계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성군은 조선 성종과 숙의 하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아명은 수견, 이름은 순이다. 1491년 태종의 외증손녀인 안성군부인 원씨와 혼인하였다. 창경궁 재건과 관련된 백성들의 고통, 종의 문제, 그리고 학업 불이행 등으로 여러 차례 논란을 일으켰다. 1504년 사망했으며, 시호는 희정이다. 묘소는 경기도 시흥에서 충청남도 천안으로 이장되었으며, 태실비는 순천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80년 출생 - 페르디난드 마젤란
페르디난드 마젤란은 포르투갈 출신의 탐험가로, 스페인의 지원을 받아 서쪽 항로를 통해 향신료 제도에 도달하려 했으나 필리핀에서 사망했고, 그의 함대는 세계 일주를 통해 지구의 둥근 형태를 증명했지만 유럽 열강의 식민지배를 야기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1480년 출생 - 엄숭
엄숭은 명나라 가정제 치하에서 권력을 휘두르며 부패와 전횡으로 비판받았지만, 청사에 능통하여 황제의 신임을 얻어 내각대학사, 내각수보를 역임했으며, 만년에 실각하여 몰락했다. - 1504년 사망 - 윤필상
윤필상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때 활약하며 이시애의 난 평정에 기여하고 좌의정을 거쳐 명나라를 도와 건주위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사림을 숙청하고 갑자사화 때 사사된 후 중종반정으로 복권되었다. - 1504년 사망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계성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계성군 |
한자 표기 | 桂城君 |
휘 | 순(恂) |
시호 | 희정(僖靖) |
출생일 | 1480년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504년 8월 19일 (음력) |
능묘 | 계성군묘(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송전리) |
가계 | |
부친 | 성종 |
모친 | 숙의 하씨 |
배우자 | 안성군부인 원주 원씨 |
자녀 | 이수철 (서녀) 계림군 (양자) |
작위 | |
작위 | 조선 성종의 왕자 |
2. 생애
1480년(성종 11년) 성종과 숙의 하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명은 수견(壽堅)이며, 이름은 순(恂)이다. 성종의 둘째 아들이자 숙의 하씨의 유일한 아들이었다. 어린 시절 성건(成健)의 집에서 자랐으며, 1491년(성종 22년) 혜령군의 외손녀인 안성군부인 원씨와 혼인하였다.[1][2][3]
1492년(성종 23년) 창경궁의 남은 재목으로 계성군의 집을 지나치게 크고 화려하게 지어 백성들이 괴로워했다는 기록이 있다.[4] 계성군은 종종 문제를 일으켜 대신들의 처벌 요구를 받았으나, 성종과 연산군이 이를 무마하거나 묵살하였다. 1496년(연산군 2년)에는 이유 없이 취학하지 않아 종부시에서 처벌을 요구하기도 하였다.[5]
1504년(연산군 10년) 사망하였다.[6] 정실 부인에게서는 자녀가 없었고, 첩실에게서 1녀를 두었다.
2. 1. 출생과 혼인
1480년(성종 11년), 성종과 숙의 하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명은 수견(壽堅)이며 이름은 순(恂)이다. 선원록에는 경자년(1480년)에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1] 성종에게는 두번째 아들이며, 숙의 하씨에게는 유일한 아들이었다.어린 시절 성건(成健)의 집에서 자랐으며 성건과 그의 아내 한씨(韓氏)의 보살핌을 받았다. 당시 성건의 위세에 빌붙어 성건의 집 대문 앞에 사람들이 많이 몰려들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2]
1491년(성종 22년), 원치(元菑)의 딸인 안성군부인 원씨와 혼인하였다. 원치는 태종의 여덟째 아들인 혜령군의 외손으로, 계성군과 아내 원씨는 태종을 공통 조상으로 하는 9촌 지간이다.
성종은 혼례를 앞둔 계성군에게 왕자로서의 거동에 신중할 것을 당부하기도 하였다.[3]
2. 2. 왕자 시절
1492년(성종 23년), 창경궁의 남은 재목으로 계성군의 집을 크고 화려하게 지어 노역을 하는 백성들이 괴로워하였다.[4]> 材木|재목|중국어으로 창경궁의 남은 것을 써서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의 집을 지었는데, 지나치게 높고 크게 하니, 이후로 모든 군(君)과 옹주(翁主)의 집에서 모두 그것을 본받아 관리를 충청도와 황해도에 보내어 재목을 채취하게 하였으므로 운반하는 수레가 끊이지 않았고, 선박의 꼬리가 잇달았으며, 또 水軍|수군|중국어을 役事|역사|중국어시키면서 겨울 여름없이 역사를 독려하기도 하였다.
> ㅡ 《성종실록》 262권, 성종 23년(1492년 명 홍치(弘治) 5년) 2월 7일 (무신)
계성군의 종이 유생을 구타하거나 모욕을 주는 일이 발생하여 대신들이 종의 처벌을 요구했으나 성종이 무마하였다.
1496년(연산군 2년), 계성군이 이유 없이 就學|취학|중국어하지 않자 종부시에서 처벌을 요구하였다.[5]
> 宗簿寺|종부시|중국어가 아뢰기를,
>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이 까닭 없이 취학(就學)하지 않으므로, 直長|직장|중국어 이분(李芬)이 그 집에 가서 물으니, 순(恂)이 冠帶|관대|중국어를 벗은 채 신발만 신고 거만스럽게 나와 보았다는데, 이분이 연유를 갖추어 계(啓)하였습니다."
> 하였다.
>
> 승지들이 아뢰기를,
> :"전하께서 召問|소문|중국어하지 않고 사람을 시켜서 묻게 하신 것은 존대하시는 때문이니 순이 마땅히 관대(冠帶)하고 나와 맞아야 할 터인데, 소홀하고 거만하여 이처럼 不恭|불공|중국어하니, 신하된 예가 없습니다. 文責|문책|중국어하소서."
> 하니, 傳敎|전교|중국어하기를,
> :"내가 친히 묻겠다." 하였다.
> ㅡ 《연산군일기》 13권, 연산 2년(1496년 명 홍치(弘治) 9년) 3월 24일 (임인)
이후에는 크고 작은 여러 가지 말썽을 일으켜 대신들이 처벌을 요구했으나 연산군이 이를 묵살하였다.
2. 3. 사망
1504년(연산군 10년) 음력 8월 19일에 사망하였다.[6]정실 부인 원씨에게서는 자녀가 없었고, 첩실에게서 1녀를 두었다. 사후 월산대군의 손자 계림군이 양자로 입적되었으나,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가 선조 대에 신원되었다. 시호는 희정(僖靖)이다.
3. 묘소
묘소는 경기도 시흥군 동면 신림리(현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을좌에 있었으나, 1971년 서울특별시의 도시 확장 계획으로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송전리 신대동 메일골 신좌로 이장되었다. 근처에 어머니 숙의 하씨(淑儀 河氏)의 묘소도 있다.[1]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성종 | 조선의 제9대 왕 |
어머니 | 숙의 하씨 | |
정실 부인 | 안성군부인 원주 원씨 | 원치(元菑)의 딸 |
양자 | 계림군 이유 | 월산대군의 손자 |
며느리 | 연창군부인 죽산 안씨 | 안방형(安邦炯)의 딸[7] |
며느리 | 오천군부인 연일 정씨 | 정유침(鄭惟沈)의 딸 |
며느리 | 군부인 교하 노씨 | 양민 출신[8] |
며느리 (측실) | 금덕 | 노비 출신 |
측실 | 미상 | |
손자 | 연양군 이시 | |
손자 | 금양수 이형 | |
손자 | 운양수 이후 | |
손자 | 정양군 이회 | |
손자 | 은양군 이량 | |
손녀 | 이옥향 | |
손녀 | 이옥수 | |
얼손녀 | 이모을노리 | |
서녀 | 이수철 | |
사위 | 조인각 | |
외손자 | 조계우 | |
외손자 | 조계하 | |
외손자 | 조계은 | |
외손자 | 조계주 |
5. 태실
계성군의 태실비는 2015년 7월 3일 순천시 향토유적 제3호로 지정되었다.[1]
참조
[1]
서적
선원록
[2]
서적
성종실록
1487-08-01
[3]
서적
성종실록
1491-01-24
[4]
서적
성종실록
1492-02-07
[5]
서적
연산군일기
1496-03-24
[6]
서적
연산군일기
1504-08-19
[7]
문서
""
[8]
문서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