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려 국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 국왕은 918년부터 1392년까지 존속했던 고려 왕조의 군주를 의미한다. 고려는 34명의 정통 국왕과 여러 명의 추존 국왕, 심양왕 등을 배출했다. 역대 국왕들은 묘호, 휘, 시호, 능묘 등을 가지며, 각 시기별로 정치적, 사회적 변화를 겪었다. 고려 국왕의 계보는 태조부터 공양왕까지 이어지며, 왕조의 흥망성쇠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군주 목록 - 백제 국왕
    백제 국왕은 기원전 18년 온조왕이 건국하여 660년 의자왕 때 멸망할 때까지 678년간 백제를 다스린 32명의 군주를 지칭하며, 초기 국가 기반 마련, 근초고왕 때 전성기, 성왕의 문화 발전 기여 등이 있었으나 의자왕 때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했다.
  • 한국의 군주 목록 - 조선 국왕
    조선 국왕은 1392년부터 1910년까지 존속한 조선왕조의 역대 군주를 지칭하며, 왕위는 적장자 계승이 원칙이었으나 다양한 방식으로 계승되었고, 신권과의 견제 속에서 나라를 통치했다.
  • 고려 국왕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 고려 국왕 - 공민왕
    공민왕은 고려의 제31대 왕으로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개혁을 추진했지만, 친원 세력의 반발과 외세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개혁 정책과 신돈 등용을 통해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시해당했다.
  • 개성 왕씨 - 왕영은
    왕영은은 1981년 방송 데뷔 후 다양한 TV,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 CF 모델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방송인이며, 현재 SBS 《좋은 아침》, 현대홈쇼핑 《왕영은의 톡 투게더》 등을 진행하고 있다.
  • 개성 왕씨 - 우왕
    우왕은 고려 제33대 국왕으로 공민왕의 아들이며, 이인임의 추대로 10세에 즉위하여 명덕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나, 술과 여색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고 왜구 침입, 명나라와의 관계 설정 문제, 요동 정벌 명령, 위화도 회군 등의 사건을 겪으며 폐위되어 처형되었다.
고려 국왕
기본 정보
국호고려(高麗)
칭호국왕(國王)
통치 기간918년 ~ 1392년
존호폐하(陛下) (전기), 전하(殿下) (후기)
초대 국왕태조
마지막 국왕공양왕
후신조선 국왕
고려 왕실기
고려 왕실기

2. 역대 국왕

대수묘호 · 왕호생몰년도재위고려 시호원 · 명 시호능묘비고
제1대
가운데
877년 - 943년건 建응운원명광렬대정예덕장효위목신성대왕현릉
제2대혜종912년 - 945년무 武인덕명효선현고평경헌의공대왕순릉
제3대정종923년 - 949년요 堯지덕장경정숙영인경간장원문명대왕안릉
제4대광종925년 - 975년소 昭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헌릉
제5대경종955년 - 981년주 胄지인성목명혜순희정효공희헌화대왕영릉
제6대성종960년 - 997년치 治강위장헌광효헌명양정문의대왕강릉개령군
제7대목종980년 - 1009년송 訟효사위혜극영정공선양대왕의릉개령군
제8대현종992년 - 1031년순 詢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선릉대량원군
제9대덕종1016년 - 1034년흠 欽선효강명광장경강대왕숙릉연경군
제10대정종1018년 - 1046년형 亨홍효안의강헌영렬문경용혜대왕주릉평양군
제11대문종1019년 - 1083년휘 徽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경릉낙랑군
제12대순종1047년 - 1083년훈 勳영명정헌선혜대왕성릉
제13대선종1049년 - 1094년운 運관인현순안성사효대왕인릉국원공
제14대헌종1084년 - 1097년욱 昱공상정비회효대왕은릉
제15대숙종1054년 - 1105년옹 顒문혜강정명효대왕영릉계림공
제16대예종1079년 - 1122년우 俁명렬제순문효대왕유릉
제17대인종1109년 - 1146년구 構극안공효대왕장릉
제18대의종1127년 - 1173년현 晛강과장효대왕희릉
제19대명종1131년 - 1202년호 晧황명광효대왕지릉익양공
제20대신종1144년 - 1204년탁 晫경공정효대왕양릉평량공
제21대희종1181년 - 1237년영 韺인목성효대왕석릉
제22대강종1152년 - 1213년오 祦준철문열단총명헌이모목청원효대왕후릉한남공
제23대고종1192년 - 1259년철 皞안효대왕충헌홍릉
제24대원종1219년 - 1274년정 禎순효대왕충경소릉
제25대충렬왕1236년 - 1308년거 昛광문선덕경효대왕충렬경릉
제26대충선왕1275년 - 1325년장 璋선효대왕충선덕릉
제27대충숙왕1294년 - 1339년만 卍의효대왕충숙의릉강릉대군
제28대충혜왕1315년 - 1344년정 禎헌효대왕충혜영릉
제29대충목왕1337년 - 1348년흔 昕현효대왕충목명릉
제30대충정왕1337년 - 1352년저 胝충정총릉경창부원군
제31대
공민왕
1330년 - 1374년전 顓인문의무용지명열경효대왕공민현릉강릉부원대군
제32대우왕1365년 - 1389년우 禑강녕부원대군, 전폐왕
제33대창왕1380년 - 1389년창 昌윤왕, 후폐왕
제34대공양왕1345년 - 1394년요 瑤공양왕릉정창부원군


2. 1. 정통 국왕

대수묘호 · 왕호생몰년도재위고려 시호원 · 명 시호능묘비고
제1대877년 - 943년건 建응운원명광렬대정예덕장효위목신성대왕현릉
제2대혜종912년 - 945년무 武인덕명효선현고평경헌의공대왕순릉
제3대정종923년 - 949년요 堯지덕장경정숙영인경간장원문명대왕안릉
제4대광종925년 - 975년소 昭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헌릉
제5대경종955년 - 981년주 胄지인성목명혜순희정효공희헌화대왕영릉
제6대성종960년 - 997년치 治강위장헌광효헌명양정문의대왕강릉개령군
제7대목종980년 - 1009년송 訟효사위혜극영정공선양대왕의릉개령군
제8대현종992년 - 1031년순 詢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선릉대량원군
제9대덕종1016년 - 1034년흠 欽선효강명광장경강대왕숙릉연경군
제10대정종1018년 - 1046년형 亨홍효안의강헌영렬문경용혜대왕주릉평양군
제11대문종1019년 - 1083년휘 徽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경릉낙랑군
제12대순종1047년 - 1083년훈 勳영명정헌선혜대왕성릉
제13대선종1049년 - 1094년운 運관인현순안성사효대왕인릉국원공
제14대헌종1084년 - 1097년욱 昱공상정비회효대왕은릉
제15대숙종1054년 - 1105년옹 顒문혜강정명효대왕영릉계림공
제16대예종1079년 - 1122년우 俁명렬제순문효대왕유릉
제17대인종1109년 - 1146년구 構극안공효대왕장릉
제18대의종1127년 - 1173년현 晛강과장효대왕희릉
제19대명종1131년 - 1202년호 晧황명광효대왕지릉익양공
제20대신종1144년 - 1204년탁 晫경공정효대왕양릉평량공
제21대희종1181년 - 1237년영 韺인목성효대왕석릉
제22대강종1152년 - 1213년오 祦준철문열단총명헌이모목청원효대왕후릉한남공
제23대고종1192년 - 1259년철 皞안효대왕충헌홍릉
제24대원종1219년 - 1274년정 禎순효대왕충경소릉
제25대충렬왕1236년 - 1308년거 昛광문선덕경효대왕충렬경릉
제26대충선왕1275년 - 1325년장 璋선효대왕충선덕릉
제27대충숙왕1294년 - 1339년만 卍의효대왕충숙의릉강릉대군
제28대충혜왕1315년 - 1344년정 禎헌효대왕충혜영릉
제29대충목왕1337년 - 1348년흔 昕현효대왕충목명릉
제30대충정왕1337년 - 1352년저 胝충정총릉경창부원군
제31대1330년 - 1374년전 顓인문의무용지명열경효대왕공민현릉강릉부원대군
제32대우왕1365년 - 1389년우 禑강녕부원대군, 전폐왕
제33대창왕1380년 - 1389년창 昌윤왕, 후폐왕
제34대공양왕1345년 - 1394년요 瑤공양왕릉정창부원군


2. 1. 1. 태조 - 광종 (초기)


  • '''태조'''(877년 ~ 943년, 재위: 918년 ~ 943년)는 고려의 제1대 국왕이다. 휘는 건(建)이며, 시호는 응운원명광렬대정예덕장효위목신성대왕(應運元明光烈大定睿德章孝威穆神聖大王)이다. 능호는 현릉이다.
  • '''혜종'''(912년 ~ 945년, 재위: 943년 ~ 945년)은 고려의 제2대 국왕이다. 휘는 무(武)이며, 시호는 인덕명효선현고평경헌의공대왕(仁德明孝宣顯高平景憲義恭大王)이다. 능호는 순릉이다.
  • '''정종'''(923년 ~ 949년, 재위: 945년 ~ 949년)은 고려의 제3대 국왕이다. 휘는 요(堯)이며, 시호는 지덕장경정숙영인경간장원문명대왕(至德章敬正肅令仁簡敬莊元文明大王)이다. 능호는 안릉이다.
  • '''광종'''(925년 ~ 975년, 재위: 949년 ~ 975년)은 고려의 제4대 국왕이다. 휘는 소(昭)이며, 시호는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大王)이다. 능호는 헌릉이다.

2. 1. 2. 경종 - 현종 (중기)


  • 경종(955년 ~ 981년, 재위: 975년 ~ 981년)은 고려의 제5대 왕이다. 휘는 주(胄)이며, 시호는 지인성목명혜순희정효공희헌화대왕(至仁成穆明惠順熙靖孝恭懿獻和大王)이다. 능묘는 영릉이다.
  • 성종(960년 ~ 997년, 재위: 981년 ~ 997년)은 고려의 제6대 왕이다. 휘는 치(治)이며, 시호는 강위장헌광효헌명양정문의대왕(康威章憲廣孝獻明襄定文懿大王)이다. 개령군(開寧君)으로 불리기도 했다. 능묘는 강릉이다.
  • 목종(980년 ~ 1009년, 재위: 997년 ~ 1009년)은 고려의 제7대 왕이다. 휘는 송(訟)이며, 시호는 효사위혜극영정공선양대왕(孝思威惠克英定恭宣讓大王)이다. 개령군(開寧君)으로 불리기도 했다. 능묘는 의릉이다.
  • 현종(992년 ~ 1031년, 재위: 1009년 ~ 1031년)은 고려의 제8대 왕이다. 휘는 순(詢)이며,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다. 대량원군(大良院君)으로 불리기도 했다. 능묘는 선릉이다.

2. 1. 3. 덕종 - 예종 (문벌 귀족 사회)

현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덕종(1031년 ~ 1034년)은 선효강명광장경강대왕(宣孝康明廣章敬康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숙릉에 안장되었으며, 연경군(延慶君)이라는 봉호를 받았다.

덕종의 뒤를 이은 정종(1034년 ~ 1046년)은 홍효안의강헌영렬문경용혜대왕(弘孝安毅康獻英烈文敬容惠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주릉에 안장되었으며, 평양군(平壤君)이라는 봉호를 받았다.

정종에 이어 즉위한 문종(1046년 ~ 1083년)은 강정명대장성인효대왕(剛定明大章聖仁孝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경릉에 안장되었으며, 낙랑군(樂浪君)이라는 봉호를 받았다.

문종의 아들 순종(1083년)은 재위 기간이 짧았으며, 영명정헌선혜대왕(英明靖憲宣惠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성릉에 안장되었다.

순종의 동생 선종(1083년 ~ 1094년)은 관인현순안성사효대왕(寬仁顯順安成思孝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인릉에 안장되었으며, 국원공(國原公)이라는 봉호를 받았다.

선종의 아들 헌종(1094년 ~ 1095년)은 공상정비회효대왕(恭殤定比懷孝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은릉에 안장되었다.

헌종의 숙부 숙종(1095년 ~ 1105년)은 문혜강정명효대왕(文惠康正明孝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영릉에 안장되었으며, 계림공(鷄林公)이라는 봉호를 받았다.

숙종의 아들 예종(1105년 ~ 1122년)은 명렬제순문효대왕(明烈齊順文孝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유릉에 안장되었다.

2. 1. 4. 인종 - 신종 (무신정변기)

인종(1109년 ~ 1146년, 재위 1122년 ~ 1146년)은 고려의 제17대 국왕이다. 휘는 해(楷)이며, 시호는 극안공효대왕(克安恭孝大王)이다. 장릉에 묻혔다.

의종(1127년 ~ 1173년, 재위 1146년 ~ 1170년)은 고려의 제18대 국왕이다. 휘는 현(晛)이며, 시호는 강과장효대왕(剛果莊孝大王)이다. 희릉에 묻혔다.

명종(1131년 ~ 1202년, 재위 1170년 ~ 1197년)은 고려의 제19대 국왕이다. 휘는 호(晧)이며, 시호는 황명광효대왕(皇明光孝大王)이다. 지릉에 묻혔으며, 즉위 전 작위는 익양공(翼陽公)이었다. 무신정변으로 왕위에 올랐지만, 실권은 무신들에게 있었다.

신종(1144년 ~ 1204년, 재위 1197년 ~ 1204년)은 고려의 제20대 국왕이다. 휘는 탁(晫)이며, 시호는 경공정효대왕(敬恭靖孝大王)이다. 양릉에 묻혔으며, 즉위 전 작위는 평량공(平凉公)이었다. 최충헌에게 옹립되어 왕위에 올랐다.

2. 1. 5. 희종 - 원종 (대몽 항쟁기)

희종은 1181년에 태어나 1237년에 사망했으며, 1204년부터 1211년까지 재위하였다. 휘는 영(韺)이며, 인목성효대왕(仁穆誠孝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능은 석릉이다.

강종은 1152년에 태어나 1213년에 사망했으며, 1211년부터 1213년까지 재위하였다. 휘는 오(祦)이며, 준철문열단총명헌이모목청원효대왕(浚哲文烈亶聰明憲貽謀穆清元孝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능은 후릉이며, 한남공(漢南公)이었다.

고종은 1192년에 태어나 1259년에 사망했으며, 1213년부터 1259년까지 재위하였다. 휘는 철(皞)이며, 안효대왕(安孝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원나라로부터 받은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능은 홍릉이다.

원종은 1219년에 태어나 1274년에 사망했으며, 1259년부터 1274년까지 재위하였다. 휘는 정(禎)이며, 순효대왕(順孝大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원나라로부터 받은 시호는 충경(忠敬)이다. 능은 소릉이다.

2. 1. 6. 충렬왕 - 공양왕 (권문세족기)

충렬왕은 1236년에 태어나 1308년에 사망했으며, 1274년부터 1298년까지 재위했다가 복위하여 1308년까지 재위했다. 휘는 거(昛)이고,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광문선덕경효대왕(光文宣德景孝大王)이며, 원에서 받은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능묘는 경릉이다.

충선왕은 1275년에 태어나 1325년에 사망했으며, 1298년에 즉위했다가 복위하여 1308년부터 1313년까지 재위했다. 휘는 장(璋)이고, 이지르부카(益知禮普花)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선효대왕(宣孝大王)이며, 원에서 받은 시호는 충선(忠宣)이다. 능묘는 덕릉이다.

충숙왕은 1294년에 태어나 1339년에 사망했으며, 1313년부터 1330년까지 재위했다가 복위하여 1332년부터 1339년까지 재위했다. 휘는 만(卍)이고, 아라트나시리(阿刺訥忒失里)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의효대왕(懿孝大王)이며, 원에서 받은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능묘는 의릉이며, 강릉대군(江陵大君)이었다.

충혜왕은 1315년에 태어나 1344년에 사망했으며, 1330년부터 1332년까지 재위했다가 복위하여 1339년부터 1344년까지 재위했다. 휘는 정(禎)이고, 부다시리(寶塔實里)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헌효대왕(獻孝大王)이며, 원에서 받은 시호는 충혜(忠惠)이다. 능묘는 영릉이다.

충목왕은 1337년에 태어나 1348년에 사망했으며, 1344년부터 1348년까지 재위했다. 휘는 흔(昕)이고, 바스마도르지(八思麻朶兒只)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현효대왕(顯孝大王)이며, 원에서 받은 시호는 충목(忠穆)이다. 능묘는 명릉이다.

충정왕은 1337년에 태어나 1352년에 사망했으며, 1349년부터 1351년까지 재위했다. 휘는 저(胝)이고, 미스젠도르지(迷思監朶兒只)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원에서 받은 시호는 충정(忠定)이다. 능묘는 총릉이며, 경창부원군(慶昌府院君)이었다.

공민왕은 1330년에 태어나 1374년에 사망했으며, 1351년부터 1374년까지 재위했다. 휘는 전(顓)이고, 바얀테무르(伯顔帖木兒)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인문의무용지명열경효대왕(仁文義武勇智明烈敬孝大王)이며, 원에서 받은 시호는 공민(恭愍)이다. 능묘는 현릉이며, 강릉부원대군(江陵府院大君)이었다.

우왕은 1365년에 태어나 1389년에 사망했으며, 1374년부터 1388년까지 재위했다. 휘는 우(禑)이다. 강녕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이었으며, 전폐왕(前廢王)이라고도 불렸다.

창왕은 1380년에 태어나 1389년에 사망했으며, 1388년부터 1389년까지 재위했다. 휘는 창(昌)이다. 윤왕(允王)이라고도 불렸으며, 후폐왕(後廢王)이라고도 불렸다.

공양왕은 1345년에 태어나 1394년에 사망했으며, 1389년부터 1392년까지 재위했다. 휘는 요(瑤)이다. 능묘는 공양왕릉이며, 정창부원군(定昌府院君)이었다.

2. 2. 추존 국왕

國祖미상미상원덕대왕 元德大王919년   미상   태조의 증조부의조
懿祖작제건 作帝建경강대왕 景康大王온혜릉
溫鞋陵태조의 조부세조
世祖륭 隆원렬민혜위무대왕
元烈敏惠威武大王창릉
昌陵태조의 아버지대종
戴宗?   - 969년욱 旭예성화간공신현헌선경대왕
睿聖和簡恭愼顯獻宣慶大王981년태릉
泰陵태조의 아들
성종의 아버지안종
安宗?   - 996년욱 郁헌경성덕효목효의대왕
憲景聖德孝穆孝懿大王1009년무릉
武陵태조의 아들
현종의 아버지


2. 3. 역대 심양왕·심왕

대수시호능호재위전임자와의 관계비고
원에서 내린 시호공민왕이 올린 시호
1충선忠宣선효대왕宣孝大王덕릉德陵1308년~1316년-고려 26대왕
이지르부카益知禮普花
2------1316년~1345년충선왕의 조카연안군(延安君)
완택독完澤禿
3충목忠穆현효대왕顯孝大王명릉明陵1345년~1348년연안군 왕고 사후 고려왕이 겸직고려 29대왕
바스마도르지八思麻朶兒只
4충정忠定--총릉聰陵1348년~1351년-고려 30대왕
미스젠도르지迷思監朶兒只
5----독타불화篤朶不花--1354년~1376년연안군 왕고의 손자강릉대군(江陵大君) 왕덕수(王德壽)의 아들
토크토아부카


3. 가계도

{| class="wikitable"

|+ 고려 왕실 가계도

|-

|

1태조 (918~943)장화왕후신명왕후신정왕후정덕왕후신성왕후
2혜종 (943~945)정종 (945~949)광종 (949~975)대목왕후대종선의왕후안종
5경종 (975~981)헌애왕후6성종 (981~997)헌정왕후
7목종 (997~1009)원성왕후8현종 (1009~1031)원혜왕후
9덕종 (1031~1034)10정종 (1034~1046)인예왕후11문종 (1046~1083)
12순종 (1083)13선종 (1083~1094)사숙왕후15숙종 (1095~1105)명의왕후
14헌종 (1094~1095)순덕왕후16예종 (1105~1122)
공예왕후17인종 (1122~1146)
18의종 (1146~1170)광정왕후19명종 (1170~1197)선정태후20신종 (1197~1204)
원덕왕후22강종 (1211~1213)21희종 (1204~1211)양양공
23고종 (1213~1259)안혜왕후
정순왕후24원종 (1259~1274)
25충렬왕 (1274~1308)제국대장공주
의비26충선왕 (1308~1313)
27충숙왕 (1313~1330, 1332~1339)공원왕후정원부원군
덕녕공주28충혜왕 (1330~1332, 1339~1344)희비31공민왕 (1351~1374)반야34공양왕 (신종 7대손) (1389~1392)
29충목왕 (1344~1348)30충정왕 (1348~1451)근비32우왕 (1374~1388)
33창왕 (1388~1389)



|}

4. 추존 공작 (적경원 배향자)

'''적경원 배향자 / 추존 공작'''
대수묘호시호성명생존기간관계연호능호
추봉-변한국영헌공
(卞韓國英憲公)
왕영(王瑛)? ~ 1291년공양왕의 고조부--
-진한국인숙공
(辰韓國仁肅公)
왕분(王玢)? ~ ?공양왕의 증조부--
-마한국인혜공
(馬韓國仁惠公)
왕유(王瑈)? ~ 1360년공양왕의 조부--
-삼한국인효대공
(三韓國仁孝大公)
왕균(王鈞)? ~ ?공양왕의 부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