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여단은 1936년 스페인 내전에서 공화국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결성된 외국인 의용군이다. 프랑스 공산당의 요청으로 시작되어 코민테른의 지원을 받아 모병이 이루어졌으며, 50여 개국에서 약 32,000명이 참여했다. 국제여단은 마드리드 공방전, 하라마 전투, 과달라하라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나, 불간섭 위원회의 철수 요구에 따라 1938년 해산되었다. 해산 이후에도 일부 대원들은 스페인에 남아 싸웠으며, 종전 후에는 각자의 모국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등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파시즘에 맞선 영웅으로 칭송받았고, 일부 서방 국가에서는 감시를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세테도의 역사 - 알만사 전투
    알만사 전투는 1707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알만사에서 부르봉 왕가 연합군과 합스부르크 왕가 연합군 간에 벌어져 부르봉 왕가의 승리로 끝났으며, 펠리페 5세의 왕위 공고화와 부르봉 왕가의 스페인 지배력 강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반프랑코주의 - 전국노동총연맹
    전국노동총연맹은 1910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창립된 아나키즘-생디칼리즘 노동조합으로, 억압적인 정부 기관에 속하지 않은 모든 이에게 개방되어 노동 해방과 상호 부조를 추구하며 아나키스트 공산주의 사회를 목표로 하고, 스페인 내전 당시 자치적인 사회 운영을 시도했으나 프랑코 정권 하에서 탄압받았고 민주화 이후 노동총연맹과 분열되었으며 현재는 국제노동연맹의 회원으로 활동한다.
국제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국제 여단의 상징
국제 여단의 상징
명칭스페인어: Brigadas Internacionales
영어: International Brigade (국제 여단)
표어당신과 우리의 자유를 위하여!
기간1936년 9월 18일 ~ 1938년 9월 23일
국가알바니아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폴란드
미국
아일랜드
유고슬라비아
영국
벨기에
캐나다
쿠바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멕시코
아르헨티나
네덜란드
외 다수
소속코민테른
스페인 제2공화국
역할준군사조직
종류보병
규모40,000 ~ 59,000명
주둔지알바세테
지휘부
사령관앙드레 마티
주요 지휘관만프레드 슈테른
한스 카흘레
루이지 롱고
카롤 슈비에르체프스키
톰 윈트링엄
로버트 헤일 메리먼
잘카 마테
빌헬름 자이저
빌 알렉산더
벨리 데디
전투
참전스페인 내전
마드리드 전투
로페라 전투
하라마 전투
과달라하라 전투
세고비아 공세
우에스카 공세
브루네테 전투
벨치테 전투
테루엘 전투
아라곤 공세
카스페 전투
에브로 전투
기타
국제 여단 깃발
깃발

2. 설립과 지원

1936년 8월, 영국 작가이자 군사 이론가인 톰 윈트링엄은 스페인에 다녀온 후 외국 공산당을 이용해 자원병을 모집하자고 처음 제안했다.[6] 이후 같은 해 9월, 스페인 공산당스페인 내전에서 공화국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외국인 의용군을 공식적으로 요청하였다. 이 요청은 프랑스 공산당을 통해 소련에 전달되었고, 코민테른 서유럽 선전부 책임자인 빌리 뮌젠베르크는 모리스 토레즈의 제안으로 보이는 이 아이디어를 소련 코민테른에 정식으로 제기하며 서방측에 의용군 지원을 요청했다.[6] 보안 조치로, 공산주의자가 아닌 자원병은 먼저 내무인민위원회(또는 제1국) 요원의 보안 심문을 거쳐야 했다.[188][6]

9월 말, 프랑스 공산당이탈리아 공산당은 스페인 공화국을 지원하기 위한 의용군 파견을 결정했다. 이탈리아 공산청년회 전임 서기장이었던 루이지 롱고는 가능한 최대의 지원을 스페인 정부에 약속한다. 소련 역시 러시아 내전 참전 경험이 있는 예비역 적군의 지원을 약속했다. 처음에는 당시 스페인의 총리였던 스페인 사회노동당의 지도자 프란시스코 라르고 카바예로가 소련의 직접적인 군사 개입을 거부했으나, 내전 초기 프랑코 군의 공세가 거세지자 입장을 바꾸어 10월 22일 소련 측 의용군 파견을 최종 승인했다. 그러나 소련은 영국프랑스와의 외교적 마찰을 우려하여 불간섭 조약에서 공식적으로 탈퇴하지는 않았다.[6]

국제여단 모병의 주요 중심지는 프랑스 파리였으며, 소련의 카롤 "발터" 스비에르체프스키Кароль Сверчевскийru 장군이 감독했다.[6] 1936년 10월 17일, 이오시프 스탈린은 호세 디아스에게 보낸 공개 서한을 ''무도 오브레로''에 게재하며 "스페인의 파시스트 반란은 스페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진보적 인류가 당면한 문제"라고 주장하며 코민테른을 비롯한 전 세계에 지원을 호소했다.[7] 곧 여러 국가에서 공산주의 활동가들이 온건 사회주의자 및 자유주의자 그룹과 연합하여 반파시스트 "인민 전선" 민병대를 결성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코민테른의 통제하에 있거나 영향을 받았다.[7] 동남유럽 지역의 의용군 모집은 훗날 원수 요시프 브로즈 티토로 널리 알려진 유고슬라비아인 요시프 브로즈가 파리에서 담당하여 자금, 여권 등을 지원했다.[6]

모집된 의용군들은 열차나 선박을 이용하여 프랑스를 거쳐 스페인의 알바세테 주에 위치한 기지로 보내졌다. 많은 이들이 스스로 스페인으로 향하기도 했다. 초기에는 의용군들의 계약 조건이나 참전 기간 등이 명확히 정해지지 않아 혼란이 발생하기도 하였다.[6] 1937년 5월 30일에는 마르세유에서 스페인으로 자원병 200~250명을 태우고 가던 프랑스 여객선 ''시우다드 데 바르셀로나''가 말그라트 데 마르 해안에서 국민파 잠수함의 어뢰 공격을 받아 침몰하여 최대 65명의 자원병이 사망하는 비극도 있었다.[13]

국제여단 결성은 공산주의자들에게 열렬한 환영을 받았지만, 아나키즘 세력은 코민테른 주도의 움직임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초기에는 국경을 통제하던 아나키스트들이 공산주의자 자원병의 입국을 거부하라는 지시를 받기도 했으나, 항의가 이어지자 결국 통과를 허용했다. 그럼에도 스페인의 민주주의를 지켜야 한다는 공감대 속에서 약 500명의 아나키스트 의용군도 스페인으로 향했다.[8]

알바세테는 곧 국제여단의 본부이자 주요 보급 기지가 되었다. 이곳은 코민테른에서 파견된 주요 인물 3인방이 운영했는데, 프랑스 공산당의 앙드레 마르티가 총사령관, 이탈리아 공산당의 루이지 롱고(가명 '갈로')가 감찰관(부사령관), 이탈리아의 생디칼리즘 노동운동가 주세페 디 비토리오(가명 '니콜레티')가 정치위원을 맡았다.[14][189] 군복은 프랑스 공산당에서 지원하였다.[189] 여단은 스페인 공화군의 기본 군사 부대인 혼성 여단으로 편성되었으며, 엄격한 군사 규율 하에 몇 주간 강도 높은 훈련을 받았다.[16]

국제여단에는 파시즘으로부터 민주공화국을 지키려는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공산주의자나 아나키스트뿐만 아니라, 윈스턴 처칠의 조카 에스먼드 로밀리와 같은 자유주의자, 실업자, 모험가 등도 포함되어 있었다.[190][6] 또한 헤밍웨이, 조지 오웰, 존 콘퍼드 등 많은 지식인과 예술가들도 참전하여 전투 경험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190][9][10][11][12] 소련으로 망명했던 약 500명의 공산주의자들도 스페인으로 보내졌는데, 이 중에는 제1차 세계 대전 경험이 풍부한 군사 지도자들("클레버" 슈테른, "고메즈" 자이서, "루카스" 잘카, "갈" 갈리치 등)도 포함되어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전체 자원병 중 약 1/4은 유대인이었으며, 폴란드 대대 내에는 1925년 폴란드에서 사망한 젊은 유대인 공산주의자 나프탈리 보트윈의 이름을 딴 유대인 중대가 결성되기도 했다.[15]

불가리아 국제여단 부대, 1937


헝가리 라코시 그룹(아나키스트 철의 기둥의 일부)의 깃발.

3. 참여 국가 및 인원

국제여단에는 스페인 내전 당시 스페인 제2공화국을 지원하기 위해 세계 50여 개국[3]에서 모인 약 32,000명에서 40,000명 (일부 추산은 연인원 6만 명)의 의용군이 참여했다. 이들은 주로 파시즘에 반대하는 이상주의적 동기나 민주주의 수호, 혁명적 대의 실현 등을 위해 자원했다.[7] 참여자 중 약 60~85%는 각국의 공산당원이었으며, 사회 계층별로는 노동자가 약 80%, 지식인학생이 약 20%를 차지했다.

주요 모집 센터는 파리에 있었으며, 코민테른이 조직과 운영에 깊이 관여했다.[6][14] 앙드레 말로, 어니스트 헤밍웨이 등 일부 저명한 문화인들도 전쟁에 참여하거나 관련 활동을 벌였다.

다음은 주요 참여 국가별 의용군 규모 추정치이다. 다만, 자료마다 집계 방식이나 기준이 달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국가별 의용군 참여 규모 추정'''
국가추정 인원비고
프랑스8,962[82]–9,000[3][83]
이탈리아3,000[82][83]–3,350[84]가리발디 대대 등 활동.
독일오스트리아3,000[3]–5,000[83]역사가 앤터니 비버(Antony Beevor)는 독일인 2,217명, 오스트리아인 872명을 언급.[82] 오스트리아는 1938년 독일에 병합(안슐루스). 오스트리아 저항 운동 문서 센터에는 오스트리아인 1,400명의 이름이 기록됨. 텔만 대대, 한스 바임러 대대 등 활동.
폴란드3,000[3][83][82]–5,000[86]폴란드 출신 이민자(주로 프랑스, 벨기에 거주)가 약 75% 차지.[87]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 유대인 자원병 포함 (유대인은 폴란드인 자원병의 약 45% 추정).[88] 돔브로프스키 대대, 미체비츠 대대 등 활동.
미국2,341[82]–2,800[83][84]에이브러햄 링컨 대대, 조지 워싱턴 대대 등 활동.
영국2,500[89]영국 대대 활동. 영연방 국가 출신 다수 포함.
벨기에1,600[83]–1,722[82]
체코슬로바키아1,500[191][192]–2,200[90]체코슬로바키아 자원병 중 독일계 약 20%, 헝가리계 약 11% 포함.[91] 토마스 마사리크 대대 등 활동.
유고슬라비아1,500[191]–2,095[82]주로 자코비치 대대, 디미트로프 대대 등 활동. 훗날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된 요시프 브로즈가 파리에서 모집 지원.
캐나다1,000[191]–2,000[83]매켄지-파피노 대대 활동.
헝가리528[82]–1,500[3]라코시 대대 활동.
쿠바1,101[92][93]
아르헨티나740[94]
네덜란드628[82]–700[191]
덴마크550약 220명 전사.
스웨덴500[96]–1,000[84]스칸디나비아 출신 포함.
루마니아500
불가리아400[195]–462디미트로프 대대, 데바 블라기에프 대대 등 활동.
스위스408[82]–800[1]스위스 정부는 중립 정책에 따라 참여를 금지하고 귀국 후 처벌. 2009년 복권됨.[1][163]
리투아니아300–600[97][82]
아일랜드250코놀리 부대가 에이브러햄 링컨 대대 소속으로 참전.
노르웨이225약 100명 전사.[98][99][100]
핀란드225핀란드계 미국인/캐나다인 포함, 약 70명 전사.[101]
에스토니아200[102][82]
그리스160[195]–400[103]디미트로프 대대 등 활동.
포르투갈134[82]다수는 국제여단 대신 공화국군에 직접 합류.[104]
룩셈부르크103[105]
중화민국100[106]대부분 해외 화교 출신.[107]
멕시코90[191]
키프로스60[103]영국 대대, 링컨 대대 등에서 활동.
오스트레일리아60[108]약 16명 전사.[108] 영국 대대 등에서 활동.
필리핀50[109][110]
알바니아43주로 가리발디 대대에서 활동.
코스타리카24[3]
뉴질랜드12[111]–20영국 대대 등에서 활동.
기타1,122[82]일본 출신도 소수(1명~수 명) 참여한 것으로 알려짐.



국제여단은 마드리드 공방전, 하라마 강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여하여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이끄는 반란군 및 이들을 지원한 나치 독일파시스트 이탈리아 군대와 싸웠다. 이 과정에서 약 1만 명 이상이 전사하고 많은 부상자가 발생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국제여단의 폴란드 의용병

4. 주요 임무

스페인 내전 발발 이후인 1936년 9월, 스페인 공산당공화국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외국인 의용군 파병을 요청했다. 이 요청은 프랑스 공산당을 통해 소련에 전달되었고, 코민테른은 빌리 뮌젠베르그를 통해 서방 국가들에 의용군 지원을 호소했다. 공산주의자가 아닌 지원자는 내무인민위원회의 보안 심사를 거쳐야 했다.[188] 초기에는 프란시스코 라르고 카바예로 총리가 소련 측 의용군 파견을 거부했으나, 전황이 급박해지자 10월 22일 이를 수용했다.

국제여단의 주요 임무는 파시즘 세력에 맞서 스페인 제2공화국을 수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프랑스 파리에서 모병이 이루어졌고, 소련의 카롤 스비에르체프스키( Кароль Сверчевскийru ) 장군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공개 서한을 통해 스페인 내전이 인류 전체의 문제임을 강조하며 국제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와 같은 인물들이 동남유럽 지역의 모병을 담당하기도 했다. 모인 의용군들은 스페인 알바세테로 집결하여 훈련을 받고 전선에 투입되었다.

국제여단에는 공산주의자뿐만 아니라 파시즘에 반대하는 다양한 배경과 이념을 가진 사람들이 자원했다. 아나키즘 세력은 초기에는 회의적이었으나 스페인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약 500명이 합류했으며, 윈스턴 처칠의 조카 에스먼드 로밀리와 같은 자유주의자, 어니스트 헤밍웨이, 조지 오웰 같은 지식인들도 참여했다.[190]

국제 여단 참전 용사인 아돌프 로우(독일계 프랑스인, )


알바세테에 설치된 사령부를 중심으로, 국제여단은 국적 및 언어별로 부대를 편성하여 운영되었다. 이들은 마드리드 공방전, 하라마 전투, 과달라하라 전투, 에브로 전투 등 스페인 내전의 주요 전투에 참여하여 공화국 군대를 지원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내전 중반 이후에는 형식상 스페인 육군의 외인 부대 신분으로 편입되기도 했다. 국제여단의 지도부는 코민테른에서 파견된 앙드레 마르티(총사령관), 루이기 롱고(부사령관), 귀세페 디 비토리오(정치위원) 등으로 구성되었다.[189]

4. 1. 마드리드 공방전 (1936년 10월 ~ 1939년 3월)

1936년 10월 중순, 프랑코가 이끄는 국민군은 스페인 중부를 빠르게 장악하며 수도 마드리드로 진격했다. 진격 속도가 매우 빨라, 10월 18일 공화국 정부의 라르고 카바예로 총리가 이예스카스의 공화군 지휘관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전화를 받은 것은 이미 그 도시를 점령한 프랑코군 지휘관일 정도였다. 위기를 느낀 공화국 정부는 10월 18일 밤, 각국에서 온 의용군으로 구성된 혼성여단을 창설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국제여단 제11연대와 제12연대가 정식으로 공화국 군대에 편입되었다.[196]

프랑코군은 이전까지의 전투 경험을 바탕으로 마드리드를 쉽게 함락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10월 26일 벌어진 첫 전투에서 국제여단은 소련 붉은 군대로부터 지원받은 T-26 전차를 앞세워 반격에 나섰다. 예상치 못한 전차 공격에 프랑코군 보병은 후퇴했고, 모나스테리오 기병대대는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전투로 T-26 전차 부대 지휘관 파벨 아르만은 공화국의 영웅으로 떠올랐다. 하지만 모로코 출신 병사들로 구성된 프랑코군의 레굴라르 분견대가 화염병으로 공격해오면서 소련제 전차 역시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197]

1936년 11월, 아나키즘 성향의 노동조합인 전국노동자연맹(CNT)과 이베리아 아나키즘 연맹(FAI)은 스페인 사회노동당 정부와 협력하기로 결정했다. 이전까지 CNT와 FAI는 아나키즘 입장에서 스페인 제2공화국 역시 국가 권력의 일부로 보았고, 사회노동당은 자신들의 지지 기반인 노동자총연맹(UGT) 조합원들이 CNT로 이탈할 것을 우려하여 협력을 주저했다. 그러나 프랑코군의 마드리드 공격이 임박하자, CNT는 정부 내 4개 부서의 장관직을 할당받는 조건으로 사회노동당과의 연립 정부 구성에 합의했다.[198] 이로써 마드리드 방어를 위한 공동 전선이 형성되었다. 당시 국제여단에는 제1차 세계대전이나 아일랜드 독립전쟁 등에서 전투 경험을 쌓은 베테랑 의용군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199]

11월 초, 프랑코군은 마드리드를 포위했다. 프랑코는 "11월 7일 마드리드에서 미사를 드리겠다"고 공언하며 함락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11월 8일, 에밀리오 클레이버 장군이 이끄는 제11 국제여단(파리 코뮌 대대, 돔브로프스키 대대, 앙드레 마르티 대대, 영국인 기관총 부대) 소속 1,900명의 병력이 포위된 마드리드에 도착하여 카사 데 캄포 공원에서 첫 전투를 치렀다. 이후 제12 국제여단(텔만 대대, 가리발디 대대, 루이즈 미셸 대대, 차파예프 대대, 앙리 베이유망 대대)이 증원되고, 약 6,000명의 아나키스트 의용군도 방어에 합류했다. 11월 19일, 아나키스트 의용군과 국제여단 제11연대는 프랑코 측 스페인 외인부대나치 독일의 콘도르 사단이 점령하고 있던 마드리드 대학 구역을 공격했다. 대포폭격기의 포화 속에서 치열한 시가전이 벌어졌고, 양측 모두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전투 와중에 아나키스트 의용군의 저명한 지도자 부에나벤투라 두루티가 총격을 입고 다음 날 사망하는 비극이 있었지만, 공화군은 대학 구역에서 프랑코 파시스트 군대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결국 11월 23일, 프랑코군은 카사 데 캄포 외곽까지 물러나며 마드리드 점령을 일시적으로 포기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국제여단 역시 병력의 절반 가량이 사상하는 큰 손실을 입었다.[200]

1936년 12월 13일, 프랑코군은 다시 마드리드 진입을 시도했다. 독일제 1호 전차와 이탈리아의 안살도 전차를 앞세운 약 18,000명의 병력이 코루나 가도를 따라 공격해왔으나, 소련 붉은 군대 장교들이 지휘하는 국제여단과의 격렬한 교전 끝에 또다시 격퇴되었다. 소련 군사 고문단 소속 드미트리 파블로프의 지휘 아래 국제여단은 프랑코군의 공세를 막아냈고, 프랑코군은 마드리드 점령을 다시 한번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마드리드는 스페인 내전이 프랑코군의 승리로 끝날 무렵까지 국제여단과 공화군의 통제 하에 남게 되었다.[200]

마드리드 공방전에서 국제여단이 거둔 성과는 분명 값진 것이었지만, 그들의 역할은 코민테른스페인 제2공화국에 의해 선전 목적으로 다소 과장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공화국을 지지했던 영국 대사 헨리 칠턴 경은 마드리드 방어가 오직 국제여단의 힘만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이야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 마드리드를 방어한 약 4만 명의 공화군 병력 중 국제여단 소속은 약 3천 명 정도였으며, 공화군 전체의 피해 역시 막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여단이 파시즘에 맞서 마드리드를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201]

4. 2. 하라마 전투 (1937년 2월)

1937년 2월 6일, 말라가가 함락된 후, 국민군은 마드리드 남쪽의 마드리드-안달루시아 도로를 따라 공격을 개시했다. 국민군은 XV 국제여단이 방어하고 있던 작은 마을 시에포주엘로스로 빠르게 진격했다. 당시 XV 국제여단은 영국 대대(영연방아일랜드인), 디미트로프 대대(주로 발칸 반도 출신), 2월 6일 대대(벨기에 및 프랑스), 캐나다의 매켄지-파피노 대대, 그리고 에이브러햄 링컨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후 코놀리 대대로 알려진 독립적인 아일랜드 부대도 전투에 합류했다.

1937년 2월 11일, 하라마 전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국민군 여단은 XIV 국제여단 소속 앙드레 마르티 대대의 초병들을 기습적으로 제거하고 하라마 강을 건넜다. 가리발디 대대가 맹렬한 사격으로 저지하려 했으나, 다른 지점에서도 국민군은 비슷한 전술로 강을 건너는 데 성공했다.

다음 날인 2월 12일, XV 국제여단의 영국 대대가 국민군의 집중 공격 대상이 되었다. 영국 대대는 7시간 동안 격렬한 포화 속에 놓였으며, 이 지역은 이후 "자살 언덕"(Suicide Hill)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날 전투로 영국 대대원 600명 중 225명만이 생존했다. 특히 한 중대는 국민군 병사들이 인터내셔널가를 부르며 항복하는 척 접근하여 기습하는 속임수에 넘어가 점령당하기도 했다.

2월 17일, 공화군은 반격을 시작했다. 2월 23일과 27일에는 국제여단도 반격에 가담했으나, 포병 지원 부족 등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특히 에이브러햄 링컨 대대는 큰 압박 속에서 120명이 사망하고 175명이 부상을 입는 피해를 겪었다. 사망자 중에는 아일랜드의 시인 찰스 도넬리와 레오 그린도 포함되어 있었다. 아일랜드 시인 찰스 도넬리는 하라마 리버 밸리라는 하라마 강 전투에 대한 노래를 지었다.

하라마 전투는 양측 모두에게 막대한 피해를 남겼다. 국민군 약 2만 명, 공화국군 약 2만 5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투는 결국 어느 한쪽의 결정적인 승리 없이 교착 상태에 빠졌고, 양측은 하라마 강 전선에 참호를 파고 정교한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며 대치하게 되었다. 소스에 따르면 "양측 모두 승리를 주장했지만... 양측 모두 패배했다"고 평가된다.

한편, 국제 사회의 움직임도 있었다. 1937년 2월 22일, 국제 연맹의 불개입 위원회는 스페인 내전에 대한 외국인 지원병의 참전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4. 3. 과달라하라 전투 (1937년 3월)

1937년 3월 9일, 베니토 무솔리니가 국민군(반란군) 지원을 위해 파견한 이탈리아군 4개 사단(리토리오 사단, "검은 셔츠" 사단, "검은 불꽃" 사단, "검은 화살" 사단)과 국민군 1개 사단, 모로코인 중심의 부대가 마드리드 북동쪽 80km 지점의 과달라하라를 공격했다.

이에 맞서 공화국 측의 엔리케 리스터 장군은 4개 사단으로 제4군단을 편성하여 과달라하라 외곽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다음 날인 3월 10일, 국제여단 소속의 가리발디 대대(이탈리아인 중심)를 선두로 한 공화국군은 진격 중이던 이탈리아군을 기습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가리발디 대대의 의용병들은 이탈리아어로 이탈리아 병사들에게 "우리는 가리발디 대대다"라고 외쳤고, 이에 많은 이탈리아 병사들이 투항했다. 또한 이탈리아군의 보급 부대는 소비에트 연방에서 지원한 폴리카르포프 I-16 전투기와 투폴레프 SB 폭격기의 공중 공격을 받아 격퇴되었다.

이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2,000명의 전사자와 300명의 포로를 내고 다량의 문서를 남긴 채 후퇴했다. 다음 날 스페인 공화국 정부는 이탈리아가 스페인 내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고 있다는 사실을 국제 연맹에 공식 보고했다.[176]

이 전투 이후 프랑코는 이탈리아군에게 중요한 임무를 맡기지 않았으며, 국민군은 마드리드 공략을 잠시 보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마드리드는 내전이 끝날 무렵까지 공화국 정부의 통제 하에 남게 되었다.[176]

4. 4. 기타 전투

1937년 2월 6일, 말라가 함락 이후, 국민군은 마드리드 남쪽의 마드리드–안달루시아 도로를 공격했다. 국민군은 XV 국제여단이 지키고 있던 작은 마을인 시에포주엘로스로 빠르게 진격했다. XV 국제여단은 영국 대대(영연방아일랜드인), 디미트로프 대대(다양한 발칸 반도 국적), 2월 6일 대대(벨기에 및 프랑스), 캐나다 매켄지-파피노 대대와 에이브러햄 링컨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코놀리 대대로 알려진 독립적인 80명의 아일랜드 부대도 참전했다. 대대는 특정 국적으로만 구성되는 경우는 드물었고, 대부분 여러 국적이 혼합되어 있었다.

하라마 전투에서 국제여단은 격렬한 전투를 치렀다. 1937년 2월 11일, 국민군 여단은 XIV 국제여단의 앙드레 마르티 대대를 기습 공격하여 초병들을 제거하고 하라마 강을 건넜다. 가리발디 대대는 맹렬한 사격으로 진격을 저지했으나, 다른 지점에서는 국민군이 같은 전술로 강을 건너는 데 성공했다. 2월 12일, XV 국제여단의 영국 대대는 집중 공격 대상이 되어 7시간 동안 격렬한 포화 속에 놓였고, 이 지역은 "자살 언덕"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날 전투 후 영국 대대 600명 중 225명만이 생존했다. 심지어 한 중대는 국민군이 인터내셔널가를 부르며 접근하는 속임수에 넘어가 점령되기도 했다. 2월 17일 공화군이 반격을 시도했고, 2월 23일과 27일에도 국제여단이 교전에 참여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특히 링컨 대대는 포병 지원 없이 큰 압박을 받아 120명이 사망하고 175명이 부상을 입었다. 사망자 중에는 아일랜드 시인 찰스 도넬리와 레오 그린도 포함되었다. 양측 모두 막대한 사상자를 냈고, "양측 모두 승리를 주장했지만... 양측 모두 패배했다"는 평가처럼[176] 사실상 어느 쪽도 확실한 승리를 거두지 못한 채 전투는 교착 상태에 빠졌으며, 양측은 참호를 파고 정교한 참호 시스템을 구축했다. 전투 중인 1937년 2월 22일, 국제 연맹의 불개입 위원회는 외국인 지원병 참전을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청동 명판은 세라 데 판돌스의 언덕 705에 있는 기념비에서 스페인 공화국을 방어하다 사망한 국제 여단의 영국군을 기리고 있다.


국제여단이 참여한 마지막 주요 전투 중 하나는 1938년 7월 25일부터 11월 말까지 이어진 에브로 전투였다. 이 전투가 한창이던 1938년 10월, 불개입 위원회는 국제 여단의 철수를 요구했다.[75] 공화국 정부의 후안 네그린 총리는 국민주의자 측 외국 군대의 철수와 서방 민주주의 국가들의 무기 금수 조치 해제를 유도하기 위해 1938년 9월 21일 국제 연맹에서 국제여단 해산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러한 외교적 노력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에브로 전투에서 공화군은 초반 공세를 펼쳤으나 프랑코 국민전선군의 대규모 반격에 밀려 큰 패배를 당했고, 이는 바르셀로나 방면 공화국 군대의 붕괴로 이어졌다.[176] 철수 결정 당시 공화국 측에는 약 10,000명의 외국인 자원병이 있었던 것으로 추산되며, 국민주의자 측에는 약 50,000명의 외국인 징집병(모로코인 30,000명 제외)이 있었다.[76] 국제여단원 중 상당수는 나치 독일, 파시스트 이탈리아, 헝가리 등 권위주의적 우익 정부 치하의 국가 출신 망명자나 난민이었기에 안전하게 귀국할 수 없었다. 이들 중 일부는 명예 스페인 시민권을 받고 인민군 부대에 통합되었고, 나머지는 각자의 나라로 송환되었다. 벨기에와 네덜란드 출신 자원병들은 외국 군대 복무를 이유로 시민권을 박탈당하기도 했다.[5]

5. 해산

1938년 9월 21일, 후안 네그린이 이끄는 스페인 제2공화국 정부는 국제여단의 해산을 공식적으로 명령했다. 당시 전황은 프랑코가 이끄는 반란군에게 유리하게 기울고 있었으며, 국제 연맹 역시 해산을 요구하는 상황이었다. 또한, 스탈린 치하의 소비에트 연방도 나치 독일과의 복잡한 정치적 관계 속에서 국제여단의 철수를 지시했다. 공화국 정부의 이러한 결정은 프랑코 반란군을 지원하는 외국 세력(나치 독일, 파시스트 이탈리아 등)의 철수를 유도하고, 영국, 프랑스 등 서방 민주주의 국가들이 공화국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해제하도록 설득하려는 외교적 노력의 일환이었다.

해산 결정 이후에도 약 1만 명의 의용병들은 스페인에 남아 공화국을 위해 종전까지 싸움을 이어갔다. 이들 중 절반 이상은 나치 독일, 파시스트 이탈리아, 헝가리 등 고국으로 돌아갈 경우 정치적 박해가 예상되는 파시즘 정권 하에 있던 국가 출신의 망명자 또는 난민들이었다. 이들에게는 스페인 시민권이 부여되었으며, 공화국 군인과 동일한 급료를 받으며 공화국 인민군 부대에 통합되었다.

6. 전후 상황

스페인 내전이 국민파의 승리로 끝나자, 국제여단 참전 용사들은 처음에는 역사적으로 "잘못된 편"에 섰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그들의 모국 대부분이 우익 정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예를 들어 프랑스에서는 인민 전선 정부가 실각한 상태였다)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이 국가들 대부분이 곧 국민파를 지원했던 추축국제2차 세계 대전을 벌이게 되면서, 여단원들은 민주주의의 첫 번째 수호자로서, 파시즘의 위험을 예견하고 이에 맞서 싸웠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생존자 중 상당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활약하며 약간의 영광을 누렸지만, 공산주의와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 때문에 그 명성은 곧 희미해졌다.

전후 국제여단 전투원 중 일부는 각국에서 정치, 군사, 안보 분야의 고위직에 올랐다.

국제여단 출신 주요 고위 공직자
이름주요 직책국가재임 기간 (참고)
코차 포포비치부통령유고슬라비아1966–1967
메흐메트 셰후총리알바니아1954–1981
페렌츠 뮌니흐총리헝가리1958–1961
하인리히 라우DWK 의장동독1948–1949
페트레 보릴라부총리루마니아1954–1965
유게니우시 시르부총리폴란드1959–1972
고구 러둘레스쿠부총리루마니아1963–1979
피에트로 넨니부총리이탈리아1963–1968
로드롤류브 촐라코비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총리유고슬라비아1945-1948
카를로 루카노프외무장관불가리아1956-1962
요세프 파벨내무장관체코슬로바키아1968
게오르기 바실리치장관루마니아
에르뇌 게뢰내무장관 등헝가리
막스 바체 밀리치장관유고슬라비아
에리히 밀케국가보안부 장관동독1957-1989
하인츠 호프만국민군 사령관 (국방장관)동독1960-1985
프리드리히 디켈내무장관동독1963-1989
루 리히트펠트장관수리남 (네덜란드령)
아르만도 페델리상원의원이탈리아1948–1958
레몽 기요상원의원프랑스1959–1977
오귀스트 르쾨르하원의원프랑스1945-1955
아리스토데모 마니에라하원의원이탈리아1948-1958
페르디난트 코조프스키국회 의장불가리아1950–1965
잭 존스일반 노동자 연맹 사무총장영국1969-1978



=== 국가별 상황 ===

==== 캐나다 ====

매켄지-파피노 대대 생존자들은 캐나다로 돌아온 후 종종 RCMP의 조사를 받았고, 취업이 거부되었다. 많은 "Mac-Pap" 참전 용사들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자원했지만, 일부는 공산주의적 배경 때문에 "정치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로 거부되었다.[112]

1995년, 스페인 내전에 참전한 캐나다 군인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온타리오 주의사당 근처에 세워졌다.[113] 2000년 2월 12일, 조각가 잭 하먼의 작품인 청동 조각상 "공화국의 정신"이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의사당 부지에 설치되었다.[114] 2001년, 스페인 내전에 참전한 캐나다 참전 용사 중 생존자들은 오타와의 그린 아일랜드 공원에 자국의 국제여단 병사들을 기리는 기념비를 헌정했다.

==== 동독 ====

에리히 밀케, 가장 강력한 동독의 국제여단 출신 인사 중 한 명


''스파니엔캠퍼''(Spanienkämpfer) 기념비, 베를린


동독에서 국제여단 참전 용사들이 누린 명성은 다른 어떤 국가와도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았다.[115] 1945년 이후, 그들은 모든 공산주의 국가에서 파시즘에 맞선 자유 투사로 칭송받았지만, 동독의 경우 다른 공산주의 국가들과 달리 내세울 만한 독자적인 저항 서사가 부족했기 때문에, 스페인 내전 투사들의 영웅담은 동독 건국 신화의 중심적인 요소가 되었다.[116] 1950년대 초의 파벌 숙청은 체코슬로바키아 등에서보다 독일 참전 용사들(예: 프란츠 다렘, 빌헬름 자이서)에게 훨씬 덜 영향을 미쳤지만, 일부 여단원들은 스탈린주의 하에서 정치적 부침을 겪기도 했다.[117]

다른 공산주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국제여단 참전 용사들, 일반적으로 Spanienkämpfer|스파니엔캠퍼de로 불리는 이들은 권력 구조에서 과도하게 대표되었다. 그들은 가장 중요한 세 개의 군사 및 안보 요직을 차지했다: 하인츠 호프만은 국민군 사령관, 에리히 밀케는 국가보안부(슈타지) 수장, 프리드리히 디켈은 내무부 장관이었다. 많은 이들이 군대와 보안 분야에서 다른 주요 직책을 맡았으며, 사회주의통일당 정치국에도 10명의 전직 국제 여단원이 진입했다. 일부는 잠시 머물렀지만(예: 안톤 아커만, 다렘, 자이서), 일부는 수십 년 동안 활동했다(예: 파울 베르너, 쿠르트 하거, 알프레드 노이만).[118] 수많은 전직 전투원들이 언론계에서도 높은 직책을 맡았다.[119] 동독 정부에서 고위직에 오른 참전 용사들의 목록은 수백 명에 달한다.[120]

국제 여단에 대한 독일의 참여는 동독 붕괴까지 동독의 이념적, 역사적 뼈대로 남아 있었다. 동독은 공식적으로 “국제 여단의 독일어 사용 부대가 미래 동독의 군대의 핵을 대표했다”고 인정했다.[121] 루트비히 렌의 책은 표준 작품이 되었고 때로는 필독서가 되었다.[122] 수많은 거리, 학교, 다리, 공장 및 군대 부대가 Spanienkämpfer|스파니엔캠퍼de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123] 1968년에는 동베를린에 기념비가 헌정되었다.[124]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원 봉사자들은 “국가 자체의 경직성을 반영하는 판지 인물”처럼 묘사되기도 했다.[126] 베를린 장벽 붕괴 며칠 전인 1989년 11월 5일, 숙청되었던 참전 용사 발터 얀카는 도이체스 테아터에서 자신의 회고록을 낭독하는 공개 행사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이 행사는 라디오로 생중계되었고 나중에 텔레비전으로 방영되었다.[127]

==== 체코슬로바키아 ====

요세프 파벨, 국제여단 최고위급 전투원 중 한 명


블라스타 베셀라, 1950년대 숙청 과정에서 고문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대부분의 체코슬로바키아 의용군[128]은 내전 후 프랑스에 남았다. 1939-40년에는 많은 사람들이 망명 정부가 모집한 군대에 입대했다. 이후 그들의 운명은 다양했다. 일부는 영국에서 모집된 체코슬로바키아 부대에서 복무했고,[129] 일부는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일원이었으며, 일부는 고국으로 돌아갔고, 일부는 강제 수용소에서 생을 마감했다.[130]

재건된 체코슬로바키아에서, 'španěláci'로 알려진 국제여단원들은 참전 용사 권리를 부여받았다. 그들은 공산당(KSČ)이 통제하는 권력 구조(군대, 공공 질서, 안보, 정보)에서 과도하게 대표되었다. 요세프 파벨과 같은 일부는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를 실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보안 기관을 통제하는 핵심 인물인 '보안 5인'은 전직 국제여단원들로 구성되었다: 파벨, 호프만, 흐로마드코, 발레슈, 자보츠키].[131] 일부는 차관으로 승진했다(

7. 기념

스페인 내전이 국민파의 승리로 끝난 후, 국제여단 참전 용사들은 처음에는 역사적으로 "잘못된 편"에 섰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그들의 모국 대부분이 우익 정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들 국가 대부분이 곧 국민파를 지원했던 바로 그 세력(추축국)과 제2차 세계 대전을 벌이게 되면서, 여단원들은 민주주의의 첫 번째 수호자로서, 파시즘의 위험을 예견하고 이에 맞서 싸웠다는 점에서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재평가에도 불구하고, 공산주의와의 연관성 때문에 이들의 명성은 제한적인 측면이 있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국제여단 참전 용사들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과 기념 사업이 이루어졌다.

1996년 1월 26일, 스페인 정부는 1938년 후안 네그린 총리가 약속했던 대로, 당시 생존해 있던 600여 명의 국제여단 병사들에게 스페인 시민권을 부여했다.

같은 해인 1996년,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공산당 소속 국회의원인 르포르와 아상시(두 사람 모두 국제여단 자원병의 자녀였다)의 요청에 따라, 당시 프랑스 대통령이었던 자크 시라크가 국제여단에서 복무했던 프랑스인들에게 옛 참전 용사("고참 전투원")의 법적 지위를 부여했다. 이전에는 전 사회주의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같은 요청이 거부된 바 있었다.

2009년 7월 9일 스페인 정부는 스페인 내전 기간 동안 국제여단의 에이브러험 링컨 여단에 복무하였던 미국인 생존자 25명에게 명예 시민증을 발급하였다.[202]

세계 각국에는 국제여단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 --
  • --
  • 스톡홀름 국제여단 기념 조형물 "라 마노"
  • 베를린 프리드리히샤인 공원의 국제여단 기념비
  • 캔버라 스페인 내전 참전 호주인 기념비 (1993년 제막)
  • --
  • 샌프란시스코 에이브러햄 링컨 여단 기념비

8. 상징

국제여단은 사회주의 미학을 계승했다. 깃발은 스페인 공화국의 색상인 빨강, 노랑, 보라색을 사용했으며, 종종 사회주의 상징(붉은 깃발, 망치와 낫, 주먹)과 함께 사용되었다. 여단 자체의 문장은 세 개의 뾰족한 붉은 별이었으며, 자주 사용되었다.[173]

참조

[1] 논문 Leaning on Legionnaires: Why Modern States Recruit Foreign Soldiers https://direct.mit.e[...] 2021-07-30
[2] 뉴스 Reportaje {{!}} La última brigadista http://elpais.com/di[...] 2011-12-11
[3] 문서
[4] 논문 De Moisés Ville a Madrid: Los argentinos judíos y la solidaridad con el bando republicano durante la Guerra Civil Española http://revistascient[...] University of Buenos Aires 2020-12-10
[5] 문서
[6] 문서
[7] 문서 Third International {{!}} association of political parties
[8] 서적 Single to Spain https://theclaptonpr[...] The Clapton Press 2022-12-15
[9] 서적 Volunteer in Spain Lawrence & Wishart Ltd.
[10] 서적 English Captain Faber & Faber
[11] 서적 The Miraculous Horde Johnathan Cape
[12] 서적 The Good Comrade: Memoirs of an International Brigader https://theclaptonpr[...] The Clapton Press 2022-12-15
[13] 웹사이트 The Sinking of the "Ciudad de Barcelona", 30th May 1937 https://ciudaddebarc[...] 2017-03-20
[14] 문서
[15]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6] 서적 Orden, circular, creando un Comisariado general de Guerra con la misión que se indica. http://www.boe.es/da[...] Gaceta de Madrid: diario oficial de la República 1936-10-16
[17] 문서
[17] 문서
[18] 서적 Boadilla The Clapton Press
[19] 서적 The Irish and the Spanish Civil War, 1936–39: Crusades in Conflict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9
[20] 논문 The Enigma of Frank Ryan part 1 http://www.limerickc[...] 2018-06-25
[21] 문서
[22] 문서
[23] 서적 The International Brigades: Fascism, Freedom and the Spanish Civil War Bloomsbury Publishing 2021-05-13
[24] 웹사이트 report of Semyon Gendin РГВА, ф. 33987, оп. 3, д. 1149, л. 260—269 https://scwnyc.stuy.[...] 2022-07-11
[25] 서적 Living the Death of Democracy in Spain Routledge 2017-10-02
[26] 서적
[26] 서적 Spain in Arms Casemate 2019-03-19
[26] 서적 Fighting for Spain Pen & Sword Military
[27]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Spanish Civil War Bloomsbury Publishing 2019-09-19
[27] 문서
[28] 서적 Les Brigades Internacionales de la Guerra España
[29] 서적 Foreign Volunteers and International Brigades in the Spanish Civil War 1936-1939 Luca Cristini Editore (Soldiershop) 2019
[29] 서적 Azul y rojo: imágenes de la Guerra Civil Española Almena 1999
[30] 서적 International Brigades in Spain 1936–39 Bloomsbury USA
[31]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8-13
[32] 논문 Brygady Międzynarodowe w obronie republiki hiszpańskiej
[33] 서적 Battle for Spain: The Spanish Civil War Weidenfeld & Nicolson 2012-08-23
[34] 문서
[35] 문서
[36] 학위논문 Los brigadistas internacionales de San Pedro de Cardeña University of Burgos
[37] 웹사이트 International Brigades https://spartacus-ed[...] 2022-07-11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41] 문서
[42] 학술지 Freedom fighters or Comintern army? The International Brigades in Spain https://www.marxists[...] 1999
[43] 학술지 The Army of Strangers: The International Brigades in the Spanish Civil War* 1986
[44] 문서
[45] 학술지 Glorious Brothers, Unsuitable Lovers: Moroccan Veterans, Spanish Women, and the Mechanisms of Francoist Paternalism 2020
[46]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m Yale University Press 2011-03-11
[47] 서적 Los voluntarios latinoamericanos en la Guerra Civil Española Universidad de Castilla-La Mancha 2009
[48] 서적 The Spanish Revolution Norton
[49] 서적 Fallen Sparrows: The International Brigades in the Spanish Civil War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94
[50] 학위논문 Českoslovenští dobrovolníci, mezinárodní brigády a občanská válka ve Španělsku v letech 1936–1939 Charles University in Prague
[51] 문서
[52] 서적 Le Parti Communiste Italien
[53] 문서
[54] 웹사이트 British volunteers in the Spanish Civil War http://www.internati[...]
[55] 문서
[56] 서적 The Lincoln Battalion
[57] 문서
[58] 문서
[59] 잡지 Tito speaks 1952-04-28
[60] 웹사이트 Monument to Spanish Civil War's Mac-Paps veterans unveiled https://archive.news[...] 2022-07-11
[61] 문서
[62] 서적 Polska Ludowa wobec Hiszpanii frankistowskiej i hiszpańskiej transformacji ustrojowej, 1945-1977 Instytut Pamięci Narodowej, Komisja Ścigania Zbrodni przeciwko Narodowi Polskiemu 2015
[63] 학술지 Polscy uczestnicy hiszpańskiej wojny domowej Uniwersytet Lodzki (University of Lodz) 2016-12-30
[64] 학술지 Wysiłek organizacyjny i bojowy dąbrowszczaków w wojnie hiszpańskiej w latach 1936–1939
[65] 웹사이트 Los voluntarios cubanos en la GCE http://www.albavolun[...] 2015-04-25
[66] 학술지 Austria recuerda a sus brigadistas que lucharon en la Guerra Civil de España 2016-10-13
[67] 학위논문 The role of the Baltics in the International Brigades during the Spanish Civil War University of Latvia
[68] 학술지 Los voluntarios suizos en las Brigadas Internacionales (1936-1938) Universidad Carlos III de Madrid 2020-01-14
[69] 서적 Suomalaiset Espanjan sisällissodassa 1936-1939 Atena Kustannus Oy 2003
[70] 웹사이트 The Greek antifascist volunteers in the Spanish Civil War http://eagainst.com/[...] 2015-04-25
[71] 논문 El papel de Suecia en la guerra civil española (1936-1939) https://journals.ope[...] UMR 5136 – FRAMESPA 2018-06-01
[72] 간행물 220 dead out of 550
[73] 서적 Tusen dager: Norge og den spanske borgerkrigen 1936–1939 Gyldendal 2009
[74] 서적 Australians in Spain
[75] 웹사이트 Mensaje de de Despedida a Los voluntarios de las Brigadas Internacionales y otros discursos de La Pasionaria http://www.eroj.org/[...] 2015-04-25
[76] 잡지 WAR IN SPAIN: Exit http://www.time.com/[...] 1938-10-03
[77] 간행물
[78] 간행물
[79] 서적 Farewell Espana: The World of the Sephardim Remembered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80] 서적 Carlo Rosselli: Socialist Heretic and Antifascist Exile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81] 간행물
[82] 간행물
[83] 간행물
[84] 간행물
[85] 서적 Zarys dziejów wojskowości polskiej w latach 1864–1939
[86] 웹사이트 Wojna domowa w Hiszpanii: Pomocnicy spod czerwonej gwiazdy https://historia.rp.[...] 2018-07-29
[87] 간행물
[88] 간행물
[89] 서적 British Volunteers in the Spanish Civil War
[90] 간행물 David Majtenyi
[91] 간행물 Maroš Timko
[92] 웹사이트 Los voluntarios cubanos en la GCE http://www.albavolun[...] 2015-04-25
[93] 웹사이트 New book on Cubans in SCW http://www.albavolun[...] 2015-04-25
[94] 웹사이트 Voluntarios Argentinos en la Brigada XV Abraham Lincoln http://www.albavolun[...] 2015-04-25
[95] 서적 De oorlog tegemoet
[96] 간행물
[97] 웹사이트 Lietuviai Ispanijos pilietiniame kare – Praeities paslaptys http://www.praeities[...] 2018-08-01
[98] 서적 Tusen dager Gyldendal 2009
[99] 웹사이트 Nyheter fra arbeidslivet og fagbevegelsen http://www.frifagbev[...] 2015-04-25
[100] 웹사이트 Tusen dager http://www.tusendage[...] 2015-04-25
[101] 서적 Suomalaiset Espanjan sisällissodassa 1936-1939 Atena Kustannus Oy 2003
[102] 간행물
[103] 웹사이트 The Greek antifascist volunteers in the Spanish Civil War http://eagainst.com/[...] 2015-04-25
[104] 웹사이트 Jaime Cortesão e os antifascistas portugueses na Espanha republicana e na guerra civil https://www.esquerda[...] 2021-01-30
[105] 서적 D'Spueniekämpfer – volontaires de la Guerre d'Espagne partis du Luxembourg
[106] 뉴스 朱德等赠给国际纵队中国支队的锦旗 https://archive.toda[...] National Museum of China 2012-05-31
[107] 뉴스 战斗在西班牙反法西斯前线的中国支队 https://web.archive.[...] Luobinghui 2005-03-30
[108] 웹사이트 Serving in Spain http://archives.anu.[...]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9-04-29
[109] 웹사이트 Spanish Civil War – Filipino Involement https://web.archive.[...] 2015-04-25
[110] 웹사이트 SPANISH FALANGE IN THE PHILIPPINES, 1936–1945 https://web.archive.[...] 2015-04-25
[111] 웹사이트 The Spanish Civil War https://nzhistory.go[...] New Zealand Government 2019-04-29
[112] 서적 MacKenzie-Papineau Battalion: The Canadian Contingent in the Spanish Civil War https://www.jstor.or[...]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986
[113] 뉴스 Unsung Canadian soldiers honored ... at last https://web.archive.[...] 1995-06-04
[114] 웹사이트 "Mac-Pap" Monument Unveiling https://web.archive.[...] workingTV 2015-04-25
[115] 간행물
[116] 간행물 Internationale Brigaden in der DDR https://www.hsozkult[...] H/Soz/Kult 2005
[117] 간행물
[118] 간행물
[119] 간행물
[120] 간행물
[121] 간행물 Traditionspflege in der DDR Berlin [West] 1988
[122] 간행물
[123] 간행물
[124] 간행물 Denkmal für die deutschen Interbrigadisten https://bildhauerei-[...] Bildhauerei in Berlin sevice
[125] 간행물
[126] 간행물
[127] 간행물
[128] 간행물 Czechoslovak-Spanish relations (1918-1977) Univerzita Karlova v Praze 2022
[129] 간행물 Internacionalisté pod drobnohledem. Interbrigadisté v československých jednotkách za druhé světové války pohledem sociologických kategorií Paginae historiae 2017
[130] 간행물 Českoslovenští dobrovolníci, mezinárodní brigády a občanská válka ve Španělsku v letech 1936 – 1939 Univerzita Karloyva v Praze 2008
[131] 간행물
[132] 간행물
[133] 간행물
[134] 간행물
[135] 간행물
[136] 간행물
[137] 간행물 Říkali jim Španěláci Praha 2021
[138] 간행물
[139] 간행물
[140] 간행물
[141] 문서
[142] 문서
[143] 간행물
[144] 간행물
[145] 문서
[146] 문서
[147] 간행물
[148] 문서
[149] 간행물
[150] 간행물
[151] 간행물
[152] 간행물
[153] 문서
[154] 웹사이트 Veteran Privileges https://test.kombata[...] 2023-10-09
[155] 웹사이트 ul. Dąbrowszczaków https://ipn.gov.pl/p[...] 2021-08-31
[156] 뉴스 Koniec dekomunizacji w Warszawie https://warszawa.wyb[...] 2022-06-20
[157] 서적 Hiszpańska wojna domowa w polskich dyskursach politycznych. Analiza publicystyki 1936–2015
[158] 문서
[159] 웹사이트 No pardon for Spanish civil war helpers http://www.swissinfo[...] 2008-02-27
[160] 법률
[161] 논문 Szwajcarscy ochotnicy w Brygadach Międzynarodowych w Hiszpanii (1936–1939)
[162] 보고서 Report of the Judicial Committee of the National Council http://www.admin.ch/[...]
[163] 뉴스 Parliament pardons Spanish Civil War fighters http://www.swissinfo[...] 2009-03-13
[164] 간행물
[165] 웹사이트 Die Schweizer Freiwilligen von A – Z https://spanienfreiw[...]
[166] 서적 Unlikely Warriors: The British in the Spanish Civil War and the Struggle Against Fascism Aurum Press Limited 2012-09-06
[167] Youtube UK: WAR: INTERNATIONAL BRIGADE RETURN FROM FIGHTING IN SPAIN (1938) https://www.youtube.[...] 2023-08-09
[168] 웹사이트 Farewell to Geoffrey Servante, our last man standing – International Brigade Memorial Trust http://www.internati[...] 2019-04-24
[169] 웹사이트 Map of memorials https://internationa[...] 2022-09-09
[170] 웹사이트 Premature antifascists and the Post-war world http://www.alba-valb[...] 2009-08-09
[171] 웹사이트 Premature Anti-Fascist http://www.english.i[...] 2009-08-09
[172] 뉴스 Josep Almudéver died on May 23rd https://www.economis[...] 2021-06-05
[173]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Brigades in the Spanish War [''sic''] 1936–1939: Flags and Symbols https://www.flaginst[...] Flag Institute 2024-06-18
[174] 서적 川成洋『スペイン内戦 ジャック白井と国際旅団』
[175] 웹사이트 Abraham Lincoln Brigade: Spanish Civil War History and Education: Press Releases http://www.alba-valb[...]
[176] 서적 スペイン フランコの四〇年
[177] 서적 スペイン内戦と国際旅団 ユダヤ人兵士の回想 みすず書房 2021
[178] 간행물 ジョルジュ・ベルナノスへの手紙(1938) 春秋社 1968
[179] 논문 シモーヌ・ヴェイユの道、あるいは生きられた思想についての素描 慶應義塾大学法学研究会
[180] 문서 1961
[181] 문서 2003
[182] 문서 2006
[183] 서적 British Volunteers in the Spanish Civil War 2012
[184] 문서 1996
[185] 웹인용 Los voluntarios cubanos en la GCE https://web.archive.[...] 2015-04-25
[186] 웹인용 New book on Cubans in SCW https://web.archive.[...] 2015-04-25
[187] 문서 2003
[188] 서적 The Spanish Civil War
[189] 문서 2003
[190] 문서 2006
[191] 문서 The Spanish Civil War, 4th Rev Ed 2003
[192] 문서 Marty
[193] 문서 1961
[194] 웹사이트 No pardon for Spanish civil war helpers http://www.swissinfo[...] 2008-02-27
[195] 문서 2001
[196] 문서 2006
[197] 문서 2006
[198] 문서 2006
[199] 서적 Brigadista – an Irishman's fight against fascism Currach Press 2006
[200] 문서 2006
[201] 문서 The Spanish Civil War 1982
[201] 문서 The Spanish Civil War: A History and Reference Guide 2003
[202] 뉴스 스페인 시민증 받는 내전 참전 미국인 http://media.daum.ne[...] 뉴시스 2009-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