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금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금연은 흡연을 금지하는 정책 및 행위를 의미하며,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간접흡연으로부터 비흡연자를 보호하고 흡연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행된다. 역사적으로 흡연 금지 조치는 종교적, 정치적 이유로 시작되었으며, 20세기 후반부터는 간접흡연의 위험성이 과학적으로 밝혀지면서 공공장소 금연, 담뱃값 인상, 금연 지원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이러한 정책은 건강 증진, 경제적 효과, 환경 보호 등의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지만, 개인의 자유 침해, 재산권 침해, 사회적 형평성 문제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향후 금연 정책은 이러한 비판들을 고려하여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배 규제 - 나치 독일의 반담배 운동
    나치 독일의 반담배 운동은 출산 장려, 인종주의, 건강 관념을 바탕으로 흡연을 억제하고 공공장소 흡연 금지, 담배 광고 규제 등의 정책을 시행했으나, 전쟁과 미국의 영향으로 그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 담배 규제 - 세계 금연의 날
    세계 금연의 날은 세계 보건 기구(WHO)가 흡연의 폐해를 알리고 금연을 장려하기 위해 매년 5월 31일로 지정하여 기념하는 날이다.
  • 흡연 - 간접 흡연
    간접흡연은 흡연자의 연기나 담배 자체에서 나오는 연기를 비흡연자가 흡입하는 것으로, 각종 암,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며 특히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위험하지만, 담배 산업은 그 위험성을 축소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 흡연 - 흡연실
    흡연실은 흡연을 위해 마련된 별도의 공간으로, 의자, 재떨이, 환기 시설 등을 갖추고 있으며, 공공장소 흡연 금지 정책으로 인해 설치가 제한되기도 한다.
  • 보건법 - 공중보건
    공중보건은 조직적인 노력과 사회적 선택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과학 기술이며, 환경보건, 역학, 보건관리 분야를 포함하여 개인과 인구 집단의 건강을 개선하고 평균 수명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보건법 - 보건 정책
    보건 정책은 의료 서비스 제공 방식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개인의 건강과 의료 접근성, 의료의 질, 건강 형평성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금연
지도
기본 정보
유형법률
목적특정 장소에서 흡연 금지
관련 법규애리조나 주 금연법
추가 정보
관련 주제흡연, 간접흡연, 흡연 중단
관련 문서흡연 금지 목록

2. 역사

세계적인 금연 운동은 16세기 종교적인 이유에서부터 시작되었다. 1575년 멕시코에서는 로마 가톨릭 교회가 교회 내에서의 흡연을 금지했고,[22] 1590년 교황 우르바노 7세는 교회 내 흡연자를 파문하겠다고 경고했다.[23][24] 1624년 교황 우르바노 8세도 비슷한 조치를 취했다.[26]

17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무라드 4세가 흡연을 금지하고 흡연자를 처형했으며,[26] 유럽 일부 지역(바이에른, 작센 선제후국, 오스트리아)에서도 금연령이 시행되었다. 18세기에는 베를린(1723년), 쾨니히스베르크(1742년), 슈체친(1744년) 등에서 흡연이 금지되었으나, 이러한 금지 조치는 1848년 혁명으로 폐지되었다.[27]

근대적인 금연 운동은 20세기 초 나치 독일에서 시작되었다. 나치는 대학교, 우체국, 군 병원 등에서 흡연을 금지하고 대대적인 금연 캠페인을 벌였다.[30][3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흡연의 유해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축적되면서 현대적인 금연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1975년 미국 미네소타주는 '미네소타 청정 실내 공기법'을 제정하여 공공장소 흡연을 제한했고,[33] 1990년 캘리포니아주 산루이스오비스포는 세계 최초로 식당과 술집에서 흡연을 금지했다.[36] 1998년 캘리포니아주의 흡연 금지 조치는 다른 주에도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후반부터는 간접흡연의 유해성이 알려지면서, 세계 각국에서 공공장소 금연 정책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2. 1. 대한민국

조선시대에도 담배의 해악에 대한 인식이 있어 금연령이 내려지기도 했으나, 흡연 습관은 근절되지 않았다.[169][170] 대한민국은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을 통해 본격적인 금연 정책을 시작했으며, 2000년대 이후 공공장소 금연 구역 확대, 담뱃값 인상 등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등 여러 지방 자치 단체는 간접 흡연 피해 방지를 위해 버스 정류장, 지하철역 주변, 음식점, 극장, 공원 등을 금연 구역으로 지정하고, 위반 시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강남구도로도 금연 구역으로 지정하였다. 이러한 금연 정책은 간접 흡연으로 인한 비흡연자, 특히 여성어린이건강권 침해를 막기 위한 것이다. 2015년부터는 실내 흡연이 금지되었고, 입주민 과반수 찬성으로 금연 아파트를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

세계 보건 기구의 권고에 따라 2015년 대한민국의 담뱃값은 4500원으로 인상되었다.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금연 구역 설정과 담뱃값 인상이 금연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정책 기조를 유지하며 금연 정책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0년 서울특별시는 "간접흡연 제로 서울" 정책을 시행하여 금연 구역에서 흡연 시 1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약 91%의 사람들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5]

2. 2. 일본

일본에서는 담배가 전래된 1605년(慶長|게이초일본어 10년)경부터 흡연 습관이 퍼졌으며, 초기에는 약으로 사용되었다.[169] 에도 막부는 화재의 원인이 되고 담배 재배가 밭을 황폐화시킨다는 이유로 1612년(慶長|게이초일본어 17년) 담배 금지령을 내렸으나,[169] 흡연은 널리 퍼져 사쓰마 번(지금의 가고시마현 지역)에서는 흡연자를 사형에 처하기도 했다.[170]

메이지 시대 이후, 철도 열차 내에서는 흡연이 가능했지만, 쇼와 시대에 전철이 보급되면서 1930년(쇼와 5년)부터 국철 전철 차내는 금연이 되었다.[171]

현대에 들어 일본은 철도역에서 금연을 실시하고, 시내 중심가를 금연 구역으로 지정하여 흡연 시 과태료를 부과한다.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자유민주당 정권은 간접흡연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기 위해 공공장소 금연을 강화하는 법안을 추진했으나, 흡연자들의 반발로 인해 실내 흡연을 일부 허용하는 등 논란이 있었다.

2. 3. 기타 국가

1973년과 2007년 ABC 뉴스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Victoria, Australia)의 실내 흡연 금지 초기 및 완전 금지에 대한 보도


세계 최초의 흡연 금지 조치 중 하나는 1575년 멕시코의 모든 교회에서 담배 사용을 금지한 로마 가톨릭 교회 규정이었다.[22] 1590년 우르바노 7세(Pope Urban VII)는 교회 건물 내 흡연에 대해 조치를 취하며, "교회 현관이나 내부에서 담배를 씹거나 파이프로 피우거나 가루 형태로 코로 흡입하는 자"는 모두 파문하겠다고 위협했다.[23][24] 우르바노 8세(Pope Urban VIII)는 1624년에, 1604년 제임스 6세와 1세(James VI and I) 왕은 흡연 반대 논문인 ''담배에 대한 반박(A Counterblaste to Tobacco)''을 발표하여 담배에 대한 세금을 인상했다. 러시아는 1627년부터 70년 동안 담배를 금지했다.[25]

오스만 제국의 술탄 무라드 4세(Murad IV)는 1633년 제국에서 흡연을 금지하고 흡연자들을 처형했다.[26] 가장 초기의 유럽 도시 전역 흡연 금지 조치는 그 직후 시행되었다. 이러한 금지 조치는 17세기 후반 바이에른(Bavaria), 작센 선제후국(Kursachsen) 및 오스트리아 일부 지역에서 시행되었다. 1723년 베를린, 1742년 쾨니히스베르크(Königsberg), 1744년 슈테틴(Stettin)에서 흡연이 금지되었다. 이러한 금지 조치는 1848년 혁명(revolutions of 1848)에서 폐지되었다.[27] 1865년 이전 러시아에서는 거리 흡연이 금지되었다.[28]

세계 최초로 흡연을 금지한 건물은 뉴질랜드 웰링턴(Wellington)의 웰링턴 구정부 청사(Old Government Buildings, Wellington)로, 1876년에 금지되었다.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목조 건물이라는 점에서 화재 위험에 대한 우려와 관련 있었다.[29]

흡연 제한에 대한 최초의 현대적 시도는 나치 독일에서 모든 대학교, 우체국, 군 병원 및 나치당 사무실에서 흡연을 금지한 것으로, 1941년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의 명령에 따라 설립된 카를 아스텔(Karl Astel)의 담배 위험 연구소의 후원 아래 이루어졌다.[30] 나치는 1945년 정권 붕괴까지 주요 반담배 캠페인을 실시했다.[31]

1975년 미국 미네소타주(state of Minnesota)는 ''미네소타 청정 실내 공기법(Minnesota Clean Indoor Air Act)''을 제정하여 대부분의 공공장소에서 흡연을 제한한 최초의 주가 되었다. 처음에는 레스토랑에서 "금연" 구역을 마련해야 했고, 바는 이 법의 적용을 받지 않았다.[33] 2007년 10월 1일부터 미네소타주는 2007년 숨 쉴 자유법(Freedom to Breathe Act)이라 불리는 주 전역의 모든 레스토랑과 바에서의 흡연을 금지했다.[34]

휴양 도시인 콜로라도주 애스펜(Aspen, Colorado)은 1985년 레스토랑에서 흡연을 제한한 최초의 미국 도시였지만, 별도로 환기되는 구역에서는 흡연을 허용했다.[35] 1987년 4월 3일 캘리포니아주 베벌리힐스(Beverly Hills, California)시는 대부분의 레스토랑, 소매점 및 공공 회의에서 흡연을 제한하는 조례를 시행했다. 그러나 호텔 내 레스토랑은 예외였는데, 시의회 의원들은 호텔 레스토랑이 미국보다 흡연이 더 허용되는 해외 관광객들을 많이 상대한다는 이유를 들었다.[35]

1990년 캘리포니아주 산루이스오비스포(San Luis Obispo, California)시는 레스토랑뿐 아니라 바에서도 실내 흡연을 제한한 세계 최초의 도시가 되었다.[36] 이 금지 조치에는 직장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기타 모든 실내 공공장소[37]를 포함했으며, 집행은 다소 제한적이었다.[38]

미국에서 캘리포니아의 1998년 흡연 금지는 뉴욕과 같은 다른 주에서도 유사한 규정을 시행하도록 장려했다. 캘리포니아의 금지 조치에는 바에서의 흡연 제한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1994년에 제정된 주 전역 금지를 확대한 것이다. 2009년 4월 현재, 37개 주에 어떤 형태의 흡연 금지가 있었다.[39] 캘리포니아의 일부 지역은 주거용 주택을 제외한 모든 장소를 포함하여 도시 전체에 걸쳐 흡연을 금지하기 시작했다. 캘리포니아의 20개 이상의 도시에서 공원 및 해변 흡연 제한을 시행했다. 2011년 5월 뉴욕시는 기존의 흡연 금지 조치를 확대하여 공원, 해변, 보드워크, 공공 골프장 및 뉴욕시 공원국(New York City Parks Department)이 관리하는 기타 지역에서의 흡연을 금지했다.[40] 최근 몇 년 동안 뉴욕시는 사유 건물, 협동 조합 및 콘도미니엄의 임대인에게 모든 임대차 계약에 흡연 정책을 채택하도록 강제하는 행정법을 통과시켰다. 이러한 법규는 임대인이 세입자에게 흡연이 허용되거나 허용되지 않는 정확한 위치를 알리는 조항을 제정하도록 의무화한다.[41][42] 2010년 1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Boston, Massachusetts)의 시장 토머스 메니노(Thomas Menino)는 보스턴 주택 당국(Boston Housing Authority)의 관할하에 있는 공공 주택 아파트 내 흡연을 제한하는 것을 제안했다.[43]

1993년 12월부터 페루(Peru)에서는 모든 실내 공공장소와 모든 대중교통 차량에서 흡연이 불법이 되었다. 또한 광고를 제한하는 법률이 있으며, 미성년자에게 담배를 판매하거나 학교 500m 이내에서 담배를 직접 광고하는 것도 불법이다.

1975년 11월 11일 이탈리아(Italy)는 대중교통 차량(흡연자 전용 철도 차량 제외)과 일부 공공 건물(병원, 영화관, 극장, 박물관, 대학교, 도서관)에서의 흡연을 금지했다.[44] 2003년 1월 16일 이탈리아 의회는 2005년 1월 10일부터 바, 레스토랑, 디스코텍 및 사무실을 포함한 모든 실내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하는 ''시르키아 법(Legge Sirchia)''을 통과시켰다.[45][46]

2003년 12월 3일 뉴질랜드(New Zealand)는 2004년 12월까지 학교, 학교 운동장 및 직장에서 흡연을 단계적으로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47] 2004년 3월 29일 아일랜드 공화국(Republic of Ireland)은 모든 직장에서 전국적인 흡연 금지 조치를 시행했다. 노르웨이에서는 같은 해 6월 1일에 유사한 법률이 시행되었다.[48][49][50]

스코틀랜드(Scotland)에서는 2006년 3월 26일 공공장소에서의 흡연 금지 조치가 도입되었다. 영국(United Kingdom) 전역의 모든 공공장소에서 흡연이 금지된 것은 2007년으로, 잉글랜드(England)가 마지막으로 법률이 시행된 지역이 되었으며(담배 구매 연령 제한도 2007년 10월 1일 16세에서 18세로 증가).[51][52]

1999년 7월 12일 인도 케랄라 고등법원(Kerala High Court)은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했다. 2003년 인도는 레스토랑, 대중교통 또는 학교와 같은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하는 법률을 도입했다. 같은 법률은 담배 또는 기타 담배 제품 광고도 불법으로 만들었다.[53]

2010년 네팔(Nepal)은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하고 모든 담배 광고를 금지하는 새로운 반흡연 법안을 제정할 계획이었다.[54] 2011년 5월 31일 베네수엘라(Venezuela)는 모든 실내 공공 및 상업 공간에서 흡연을 금지하는 조치를 도입했다.[55]

터키(Turkey)에서는 1996년에 학교, 병원, 기차, 버스 및 기차역에서 처음으로 흡연이 제한되었다. 2008년에 모든 실내 공공 장소를 포함하는 더 포괄적인 흡연 금지 조치가 시행되었다.[56] 프랑스(France) 라시오타(La Ciotat)의 플라주 루미에르(Plage Lumière) 해변은 2011년 8월부터 흡연을 제한한 유럽 최초의 해변[57]이 되었다. 2012년 코스타리카의 흡연(smoking in Costa Rica)은 공공 건물과 차량뿐만 아니라 많은 야외 레크리에이션 및 교육 지역에서도 흡연이 금지되는 등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규제 중 일부가 적용되었다.[58]

애리조나주미국에서 1973년 최초로 공공장소 흡연을 포괄적으로 제한하는 법률을 제정하였다. 캘리포니아주는 1994년에 직장 내 흡연을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하였고, 1998년에는 벽으로 둘러싸인 장소에서의 흡연을 전면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하였다. 많은 레스토랑과 에서는 실외에 흡연실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뉴욕주, 캘리포니아주, 하와이주를 포함한 22개 주(2008년 기준)와 수도 워싱턴 D.C.에서는 레스토랑과 바에서의 흡연이 전면 금지되어 있다.[172] 캘리포니아주 벨몬트시는 아파트나 콘도미니엄과 같은 개인 시설까지 금연으로 하는 조례를 통과시켜 2009년부터 시행하였다.

아일랜드는 2004년 3월, 국가로서는 세계 최초로 폐쇄된 실내 작업장에서의 흡연을 완전히 금지했다. 아일랜드에서는 인쇄물, 텔레비전, 라디오, 게시판에서의 담배 광고 금지 외에도 2008년에는 상점 내 광고도 금지되었고, 담배를 상점에 진열할 경우 눈에 띄지 않는 곳에 두어야 한다.

2010년 6월, 불가리아는 다른 유럽 국가들을 따라 공공 실내 흡연을 금지할 예정이었으나, 음식점 내 흡연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바꾸면서 규제를 완화했다. 불가리아는 유럽에서도 손꼽히는 흡연 대국으로, 10대 젊은이 3명 중 1명이 흡연자이다.[173]

뉴질랜드 정부는 2009년 이후에 태어난 아이들은 현행법상 흡연이 가능한 18세가 되더라도 금연하도록 하는 법안을 뉴질랜드 의회에 제출했으며, 2008년 이전에 태어난 흡연자들이 수명을 다함에 따라 “담배 없는 나라”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174]

영국은 아일랜드에 이어 2007년 7월 1일부터 금연법을 시행했다. 프랑스는 2008년에 금연법을 제정하여 실내 흡연이 금지되었다. 덴마크는 2007년 8월 1일부터 술집, 클럽, 레스토랑에서의 흡연이 금지되었다. 스웨덴도 유사한 금연법을 2005년 7월 1일부터 시행했다. 네덜란드루마니아는 2008년 7월 1일부터 술집과 클럽에서의 흡연을 금지했다. 단, 어디든 흡연실에서는 흡연이 가능하다.

부탄은 2005년부터 세계 최초로 담배 판매와 가정 이외 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하고 있다(개인 수입하여 가정에서 흡연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200%의 관세가 부과된다).

홍콩에서는 2007년 1월 1일부터 사무실이나 레스토랑 등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전면 금지하는 법률이 시행되었다.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이었던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가 암 수술을 받고 금연하면서 투르크메니스탄 국내에서 담배가 금지되었다.

서울특별시는 2010년에 간접흡연 방지를 위한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해당 정책에서는 금연구역으로 지정된 버스 정류장, 공원, 학교 주변 200미터 구역 등에서 흡연할 경우 100000KRW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7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5년 최고인민회의 상무위원회에 의해 「담배 통제법」이 제정되어 병원·진료소·열차·버스 등의 공공교통기관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였고, 2020년 11월에는 같은 위원회에 의해 「금연법」이 채택되었다.[176]

2010년부터 가자 지구 여성의 공공장소 흡연이 금지되었다.

이스라엘에는 금연법이 있으며, 공공장소는 기본적으로 전면 금연이다.

3. 금연 정책의 근거

간접 흡연은 폐암, 심혈관질환, 폐기종, 기관지염, 천식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여 비흡연자의 건강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202] 특히 담배를 피우는 배우자와 함께 사는 비흡연자는 폐암에 걸릴 가능성이 20~30% 높고, 직장에서 담배 연기에 노출될 경우 16~19% 정도 높아진다.[203]

세계 보건 기구(WHO)의 연구에 따르면, 비흡연자들은 흡연자와 동일한 발암물질에 노출된다.[204] 생담배 연기[205]에는 벤조[a]피렌을 비롯한 69종의 발암물질과[206] 방사성 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다.[207] 담배 회사 자체 연구 결과에서도 부류연(간접흡연)에서의 발암물질 농도가 주류연(흡연자가 직접 흡입하는 연기)보다 높았다.[208]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미국국립보건원(NIH), 세계 보건 기구(WHO) 등 여러 단체에서도 간접 흡연의 위험성을 인정하였다.[209][210][211]

금연 정책은 간접흡연의 피해로부터 비흡연자를 보호하고, 특히 어린이와 임산부 등 건강 취약 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또한, 폭발 위험 지역의 화재 위험 감소, 청결 유지, 법적 책임 감소, 에너지 사용량 감소, 쓰레기 감소 등 다양한 근거를 바탕으로 시행된다.[2]

3. 1. 공중 보건

세계 보건 기구(WHO)는 간접흡연으로 인한 질병 발생을 줄이고 국민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금연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흡연은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의료비 부담을 증가시키므로, 금연 정책은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1][2][3]

대한민국에서는 간접 흡연 피해를 막기 위해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등 여러 지방 자치 단체에서 버스 정류장, 지하철역 주변, 음식점, 극장, 공원 등을 금연 구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를 위반하면 국민건강증진법과 관련 조례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된다. 서울특별시 강남구도로도 금연 구역으로 지정했다. 금연 정책은 간접흡연으로 인한 여성어린이 등 건강 취약 계층의 폐암 조기 사망과 같은 건강권 침해를 막기 위해 시행된다. 2015년부터는 실내 흡연이 금지되었고, 입주민 과반수가 찬성하면 금연 아파트를 지정할 수 있다.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금연 구역 설정과 담뱃값 인상이 금연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엑손 발데즈호 유류 유출 사고 이후 기름진 폐기물 옆에 있는 "금연" 표지판. 때로는 타는 불씨와 관련된 안전상의 이유로 흡연이 금지된다.


흡연 제한은 간접흡연으로부터 비흡연자를 보호하기 위해 시행된다. 간접흡연은 심장병, ,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위험을 높인다.[1][2][3] 연구에 따르면 간접흡연은 폐암,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등 직접 흡연과 동일한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4] 집에서 흡연하는 배우자와 함께 사는 비흡연자는 폐암 위험이 20~30% 더 높고, 직장에서 담배 연기에 노출된 비흡연자는 폐암 위험이 16~19% 증가한다.[5] 간접흡연은 관상동맥 심장병 위험을 약 25~30% 증가시킨다.[6]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비흡연자도 흡연자와 마찬가지로 담배 연기의 발암 물질에 노출된다고 밝혔다.[7] 담배 연기에는 벤조피렌[9], 폴로늄-210[10] 등 69가지 발암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8] 담배 회사의 연구에서도 간접흡연에 발암 물질이 더 높은 농도로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11]

간접흡연의 영향을 확인한 과학 기관으로는 미국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12] 질병통제예방센터(CDC),[13]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14] 미국 외과의장(Surgeon General of the United States),[15] 세계보건기구(WHO)[16] 등이 있다.

바와 레스토랑에서의 흡연 제한은 공기 질을 개선한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연구에 따르면, 뉴욕주의 금연 법률 시행으로 환대업소의 호흡성 부유 입자(RSP) 수치가 크게 감소했다.[17] 2004년 연구에서는 뉴저지주의 바와 레스토랑의 실내 공기 오염 수준이 뉴욕시보다 9배 이상 높았다.[18] 공기 질 개선은 직원들의 독소 노출 감소로 이어진다.[19] 노르웨이 업소 직원들의 소변에서 니코틴 수치가 감소했다.[20]

2018년 갤럽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25%가 흡연을 완전히 금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59] 2020년 칸토르 조사에서는 유럽인 10명 중 7명이 흡연 금지 구역에서 전자담배 사용 금지를 지지했다.[60]

여러 연구에서 금연 정책과 관련된 건강 및 경제적 효과를 분석했다. 2009년 미국 국립의학원 보고서는 금연 정책이 관상동맥 질환과 심장마비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밝혔다.[61][62] 같은 해 체계적 검토와 메타 분석 결과 공공장소 금연 정책은 심장마비 발생률을 상당히 감소시켰다.[63] 2012년 메타 분석에서는 금연 법안이 심장, 뇌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입원율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65] 2013년 검토에서는 금연 정책이 심근경색 위험을 감소시켰다.[67]

2014년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에 따르면 금연 법안은 조산천식으로 인한 병원 방문을 약 10% 감소시켰다.[68][69] 2016년 코크란 검토에서는 금연 정책이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입원과 관련하여 건강 결과를 개선한다는 증거가 더 확실해졌다.[70][71]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금연 정책이 심근경색률 및 기타 질병에 단기적으로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72]

세계보건기구(WHO)는 매년 약 300만 명이 흡연으로 사망한다고 주장하며, 세계 금연의 날(매년 5월 31일)을 지정하는 등 금연을 추진하고 있다. 1993년 WHO의 질병 및 관련 건강 문제의 국제 통계 분류 제10판(ICD-10)에서 흡연은 "정신작용물질에 의한 정신 및 행동 장애"로 분류되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금연 교육은 효과적이며,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 시행되고 있다.[179][180][181][182]

3. 2. 환경 보호

흡연은 담배꽁초로 인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며, 폭발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는 화재 위험을 높인다.[2] 엑손 발데즈호 유류 유출 사고 현장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타는 불씨는 때때로 안전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금연 정책은 이러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쓰레기 양을 줄이며,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한다.[2] 또한, 환기 필요성을 감소시켜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2]

4. 금연 정책의 유형

금연 규제는 일반적으로 흡연율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금연 규제가 흡연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드는 환경을 조성하고 일상생활에서 흡연에 대한 사회적 수용을 변화시킴으로써 담배 수요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75] 금연 사업장은 근로자들의 흡연율을 낮추고,[73] 공공장소 흡연 제한은 낙인 효과와 흡연에 대한 사회적 신호 감소를 통해 전반적인 흡연율을 낮춘다.[74]

금연 규제는 세금 조치, 금연 교육과 함께 공중 보건 전문가들이 흡연율을 줄이고 긍정적인 건강 결과를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다. 효과적으로 시행될 경우, 건강한 생활 방식을 선호하는 행동 변화를 지원하는 정책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75] 그러나 금연 규제가 시행된 후 대중 언론의 보도는 효과에 대한 상반된 의견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아일랜드 공화국과 스코틀랜드의 담배 판매량은 금연 규제 시행 후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다.[76] 반면 아일랜드 공화국의 경우 금연 규제 시행 후 6개월 동안 담배 판매량이 16% 감소했다는 보고도 있다.[77] 영국에서는 2007년 7월 전국적인 금연 규제가 시행된 첫 달에 2006년 7월과 비교하여 담배 판매량이 11% 감소했다.[78]

알트리아 그룹(Altria Group)의 1992년 문서는 담배 산업이 금연 규제의 영향에 대해 우려하는 내용을 요약했다. "직장 내 흡연의 전면 금지는 담배 산업의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제한에 직면한 흡연자는 평균보다 11~15% 적게 흡연하고 평균보다 84% 더 높은 비율로 금연합니다."[79]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최근 몇 년 동안 점점 더 포괄적인 금연 규제와 대규모 세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흡연율이 정체 상태를 보였다고 보고했다.[80] 또한 더 이상의 법률 제정에 대해 동기가 부족하고 점점 더 반항적인 "골수 흡연자"가 많아졌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뉴욕시의 금연 규제는 다른 지역보다 거의 두 배나 빠른 속도로 성인 흡연율 감소에 기여했으며, "10년 동안 기대 수명이 3년 증가했습니다."[81]

스웨덴에서는 흡연 금지 이후 흡연 대체제로 스누스(snus)의 사용이 꾸준히 증가했다.[82]

흡연 제한은 흡연자들이 금연하기 쉽도록 만들 수 있다.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영국 흡연자의 22%가 금연 규제에 따라 금연을 고려했을 수 있다고 한다.[83]

음식점 흡연 제한은 젊은이들이 습관적인 흡연자가 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매사추세츠주(Massachusetts)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금연 규제가 있는 마을의 청소년들은 습관적인 흡연자가 될 가능성이 35% 낮았다.[84][85]

4. 1. 공간적 금지

대한민국에서는 간접 흡연 피해를 막기 위해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부천시, 파주시, 시흥시 등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버스정류장, 지하철 역 10미터 이내, 목욕탕, 음식점, 극장, 공원 등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러한 곳에서 흡연을 하면 국민건강증진법과 각 지방자치단체의 간접흡연방지조례에 따라 사업주와 흡연자 모두에게 과태료가 부과된다. 서울특별시 강남구도로도 금연구역으로 정하여 위반 시 과태료를 물리고 있다.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 계양구 보건소의 금연선전물에 따르면, 금연정책을 시행하는 이유는 간접흡연으로 여성어린이 등 건강 취약 계층이 폐암 등에 걸려 일찍 사망하는 등 건강권 침해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2015년부터는 건물 실내 흡연도 금지되었고, 입주민 과반수가 찬성하면 금연 아파트를 지정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는 2010년에 '간접흡연 제로 서울' 정책을 시행했다. 이 정책으로 금연구역으로 지정된 버스 정류장, 공원, 학교 주변 200미터 안에서 흡연하면 1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 한다. 여론조사 결과, 약 91%의 사람들이 이 정책에 찬성했다.[175]

흡연이 공간적으로 금지되는 법률 및 조례는 다음과 같다.

  • 도로 흡연 금지 조례
  • 20세 미만의 흡연 금지에 관한 법률(부모나 감독자, 판매자에 대한 벌칙)
  • 건강증진법(간접흡연 예방, 제25조)[177]
  • 산업안전보건법(쾌적한 직장 환경 조성, 71조의 3 제1항, 지침 제2의 1의 (1))
  • 빌딩 위생 관리법(부유 분진 기준)[178]
  • 철도 영업법(흡연 금지 차량, 34조 1호)
  • 교통기관의 흡연 규제
  • 여객자동차운송사업 등 운수규칙(금연 표시가 있는 자동차, 53조 6항)
  • 해상운송법 시행규칙(선박 내 금연 장소, 23조의 14 제2호)
  • 각 지역의 화재 예방 조례(금연 장소)
  • 흥행장법 시행조례(금연 표시, 흡연실)

4. 2. 가격 정책

세계 보건 기구(WHO)는 담뱃값 인상이 가장 효과적인 금연 정책 중 하나라고 제시하였다.[75]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금연 구역 설정과 담뱃값 인상이 금연에 도움이 된다고 해석했다. 대한민국은 2015년에 담뱃값을 4500원으로 인상했다.[75]

많은 나라에서 담배 제품에 세금을 부과하기 때문에, 금연 정책은 항상 세수 감소의 가능성과 맞닿아 있다. 담뱃세 인상은 담배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금연하는 사람이 늘어나면 국가의 세수가 줄어드는 모순을 낳는다. 일본의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당시)는 담배세 문제에 관해 “세수 문제가 아니라 국민 건강을 중시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4. 3. 금연 지원

대한민국은 흡연자의 금연을 돕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보건소를 중심으로 금연 클리닉을 운영하여 금연 상담과 교육을 제공하고, 금연 보조제 구입 비용을 지원한다.

금연 치료에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비용 부담을 줄여준다. 금연 치료 의약품이나 금연 보조제 구입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며, 의료기관에서 금연 치료를 받으면 상담료와 의약품 비용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79]

더불어민주당은 금연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금연 상담 전화 운영, 금연 캠페인, 금연 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을 통해 흡연자들이 금연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83]

4. 4. 금연 교육 및 홍보

대한민국은 간접 흡연 피해를 막기 위해 여러 공공장소와 시설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부천시, 파주시, 시흥시 등에서는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10미터 이내, 목욕탕, 음식점, 300석 이상 극장, 공원 등을 금연구역으로 정하고, 위반 시 과태료를 부과한다.[17] 서울특별시 강남구도로도 금연구역으로 지정했다. 이러한 금연정책은 간접흡연으로 인한 비흡연자, 특히 여성어린이건강권 침해를 막기 위한 것이다. 2015년부터는 실내 흡연도 금지되었고, 주민 과반수가 찬성하면 금연 아파트를 지정할 수 있다. 세계 보건 기구는 담뱃값 인상을 통해 금연을 유도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으며,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금연 구역 설정과 담뱃값 인상이 금연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금연 규제는 흡연율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금연 규제가 흡연을 어렵게 만들고 사회적 수용도를 낮춰 담배 수요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고 본다.[75] 효과적인 금연 규제는 세금, 교육과 함께 흡연율을 낮추고 건강한 생활 방식을 장려하는 중요한 정책으로 평가받는다.

아일랜드 공화국은 2004년 3월 29일 세계 최초로 모든 사업장에서 흡연을 금지했다.[96] 이 조치는 간접흡연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고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도입되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매년 약 300만 명이 흡연으로 사망한다고 주장하며, 세계 금연의 날(매년 5월 31일)을 지정하는 등 금연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어린이 대상 금연 교육은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다.[179][180][181][182]

5. 금연 정책의 효과

스코틀랜드에서 2006년 3월 26일에 금연법이 처음 시행된 이후, 웨일스(2007년 4월 2일), 북아일랜드(2007년 4월 30일), 잉글랜드(2007년 7월 1일)에서도 금연법이 시행되었다.[99][100] 기업혁신기술부(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는 이 법안이 영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으며,[101] 보건부는 금연법 시행 초기 유흥업계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에 큰 악영향은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102]

웨일스에서는 금연법 시행 6개월 후, 술집주 협회(LVA)가 술집 매출이 최대 20%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일부 사업체가 문을 닫을 위기에 처했고, 매출 회복에 대한 기대도 낮다고 밝혔다.[103] 영국 맥주 및 술집 협회(British Beer and Pub Association)(BBPA)는 2007년 매출 감소의 7%가 금연 규정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맥주 판매량이 1930년대 이후 최저 수준이라고 언급했다.[104]

하지만 술집 및 바 업계 전문지 ''The Publican''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금연 정책 도입 후 예상되었던 식품 판매량 증가는 즉시 나타나지 않았다. 2007년 저녁 식사 시 고객 평균 식음료 지출액은 14.86파운드로 2006년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었다.[105]

BII와 FLVA의 설문조사에서는 금연 정책 도입 후 5개월 동안 매출이 7.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술집 주인 중 58%는 흡연자들의 방문 빈도가 감소했고, 73%는 흡연 고객들의 술집 체류 시간이 줄었다고 답했다.[106]

5. 1. 건강 증진

금연 정책은 흡연율과 간접흡연 노출을 줄이고, 관련 질병 발생률을 낮추는 등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61][62][63] 여러 연구에서 금연 정책 시행 후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암 등의 발생률이 감소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65][66][67][70][71]

2012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금연 법안은 심장, 뇌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입원율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더 포괄적인 법률일수록 위험 변화가 더 컸다.[65] 2014년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 결과, 금연 법안은 조산천식으로 인한 병원 방문을 약 10% 감소시켰지만, 저체중아 출산 감소와는 관련이 없었다.[68][69]

세계 보건 기구(WHO)는 매년 약 300만 명이 흡연으로 인해 사망한다고 주장하며, 세계 금연의 날(매년 5월 31일)을 지정하는 등 금연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5. 2. 경제적 효과

금연 정책은 의료비 절감, 생산성 향상, 세수 증대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흡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 치료 비용과 조기 사망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 등을 고려하면, 금연 정책은 장기적으로 사회 전체의 경제적 이익을 증대시키는 데 기여한다.[212]

금연 정책의 경제적 효과
효과내용
의료비 절감흡연은 ,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212] 금연 정책은 흡연율을 감소시켜 이러한 질병 발생률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의료비 지출을 줄인다.
생산성 향상흡연은 질병으로 인한 결근, 조기 퇴직, 사망 등을 유발하여 노동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금연 정책은 흡연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이는 곧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세수 증대일부에서는 금연 정책이 담배 판매 감소로 이어져 세수가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한다. 그러나 담배에 부과되는 세금은 금연 정책의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며, 담배 가격 인상은 오히려 세수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흡연으로 인한 질병 발생 감소는 의료비 절감으로 이어져 간접적으로 세수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건강 불평등 완화동아일보 기사에 따르면, 소득이 낮을수록 흡연율이 높은 경향이 있으며, 이는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212] 담배 가격 인상은 저소득층의 흡연율을 감소시켜 건강 불평등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국립암센터 서홍관 금연지원센터장은 담뱃값이 인하되면 저소득층 흡연율이 다시 올라 건강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212]



세계 보건 기구는 담배 가격을 점진적으로 인상하여 금연을 유도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212]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금연 구역 설정과 담배 가격 인상이 금연에 도움이 된다고 해석하고 있다.[212]

일본하토야마 유키오 총리(당시)는 담배세 문제에 관해 "세수 문제가 아니라 국민 건강을 중시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6. 금연 정책의 비판 및 논란

금연 규정 및 조례는 개인의 자유, 재산권, 정책의 실효성, 사회적 형평성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비판받아 왔다.

교도소 내 금연 정책 또한 논란의 대상이다.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등 여러 국가의 교도소에서 금연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93년 대법원 판결을 통해 수감자의 간접흡연 노출이 잔혹하고 비정상적인 처벌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이 인정되기도 했다.[119] 많은 관계자들은 교도소 금연을 의료비 절감 수단으로 보고 있다.[121]

그러나 교도소 금연은 폭동, 밀수 담배 시장 조성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캐나다의 한 교도소에서는 교도관들이 니코틴 패치로 만든 인공 담배 연기로 인해 호흡 곤란을 호소하는 사례도 있었다.[122][123] 일부 수감자들은 니코틴 패치나 로젠지를 차 잎과 섞어 만든 "티바코(teabacco)"를 피우기도 한다.[126]

흡연 제한 조치가 도입되면 반대 시위[128]와 규정 위반이 만연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기도 한다. 뉴욕시,[129] 독일,[130] 일리노이주[131] 등에서는 몰래 담배를 피울 수 있는 장소(smokeasy)가 증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뉴욕,[137] 아일랜드,[138] 이탈리아[139] 등에서는 금연법 준수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6. 1. 개인의 자유 침해

흡연은 개인의 기호와 선택의 문제이므로, 국가가 과도하게 개입하는 것은 개인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비판이 있다. 흡연자들은 흡연할 권리를 주장하며, 금연 정책에 반발하기도 한다.

음악가 조 잭슨[142]과 정치 논객 크리스토퍼 히친스[143][144] 등은 규제 노력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존 스튜어트 밀의 해악 원칙에 대한 해석에 근거하여 금연법을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행위에 대한 제한이라기보다는 담배 소비 자체를 막는 장애물로 간주한다.

그러나 노벨상 수상 경제학자 아마르티아 센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여러 근거를 들어 비판했다.[145] 센은 흡연 습관을 들이는 것은 자유일 수 있지만, 흡연은 끊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미래의 자신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145] 또한 센은 흡연이 공공 서비스에 부담을 주는 막대한 비용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145] 따라서 센은 금연법에 반대하여 개인의 자유 개념을 언급하는 주장은 불완전하고 불충분하다고 보았다.[145]

뉴질랜드에서는 정신과 환자와 간호사가 지역 보건위원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들은 중환자실의 흡연 금지가 정신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들의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며, 환자들에게 담배를 거부하는 것은 "잔혹한" 행위라고 주장했다.[147]

6. 2. 재산권 침해

일부 비판론자들은 금연법에 대해 사업주들의 재산권을 강조하며, 명목상 공공장소(예: 정부 건물)와 사유 시설(예: 바와 식당)을 구분한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경제적 효율성을 언급하며, 사유 재산권과 계약 자유의 기본 제도가 정부의 개입 없이 흡연자와 금연 환경을 원하는 사람들의 선호 사이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48]

금연 규정의 영향을 받은 사업체들은 이러한 규정이 위헌이거나 불법이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에서는 일부 사업체들이 법 앞에 평등한 보호를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한편, 보상 없이 사업 손실을 입었다는 등의 다른 주장도 제기했다. 네바다주, 몬태나주, 아이오와주, 콜로라도주, 켄터키주, 뉴욕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하와이주 등의 지역에서 서비스업체들이 주 또는 지방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149][150][151][152][153][154][155] 승소한 사례는 없다.

6. 3. 실효성 논란

사무실 및 기타 밀폐된 공공장소에서의 흡연 제한은 흡연자들이 밖으로 나가 담배를 피우게 하고, 종종 출입구 앞에 모이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비흡연자들이 이러한 출입구를 지날 때 흡연으로 인한 간접흡연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56]

전 영국 보건부 장관 존 레이드는 공공장소에서의 흡연 제한이 더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담배를 피우게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57] 그러나 영국 하원 보건위원회와 왕립내과의사회는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하원은 아일랜드를 연구한 결과 레이드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를 찾지 못했고,[157] 왕립내과의사회는 1996년부터 2003년 사이에 비흡연 가정이 22%에서 37%로 증가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58]

2008년 5월, 애덤스와 코티가 ''공공경제 저널''에 발표한 연구는 음주운전 사망 사고 및 사고 통계를 조사하여 바에서 금연법이 시행된 지역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치명적인 음주운전 사고가 약 13% 증가했으며, 인구 68만 명의 일반적인 카운티에서는 연간 약 2.5건의 사고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결과가 흡연자들이 금연법이 없거나 단속이 느슨한 지역으로 더 멀리 운전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추측한다.[159]

다른 연구 분야와 마찬가지로, 금연법에 대한 연구 문헌에 대한 자금 지원의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금연법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는 결과를 발표했고 담배 회사의 자금을 지원받은 연구들은 명백한 이해 상충 때문에 정당성을 잃었다.[160]

캘리포니아 주립 폴리테크닉 대학교 산 루이스 오비스포의 경제학 교수인 마이클 L. 마르로우(Michael L. Marlow)는 "담배 회사 후원" 연구를 옹호하며, 모든 연구는 자금 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면밀한 조사와 어느 정도의 회의적인 시각"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저자가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의견을 들어볼 가치가 있다"는 기본적인 가정을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평가할 때 연구 자금 지원에 대한 관심을 덜 기울여야 한다고 희망했다. 마르로우는 담배 회사의 자금을 지원받은 연구가 "기만적인" 것, 즉 (의식적인) 악의적인 의도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간주되고 기각된다고 제안한다.[161]

6. 4. 사회적 형평성 문제

담뱃값 인상은 저소득층에게 더 큰 부담을 주어 흡연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금연 정책이 저소득층 및 취약 계층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도록 정책 설계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7. 결론 및 향후 과제

금연 정책은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적 비용 절감을 위해 필수적이다. 대한민국은 그동안 강력한 금연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사회적 형평성을 고려하여 저소득층, 취약 계층을 위한 맞춤형 금연 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전문가의 상담도 효과적이며, 상담 시간에 비례하여 금연 성공률은 최대 30%까지 증가한다.[199] 2008년부터 의료기관에서 건강보험 적용 경구 금연 치료제를 사용하는 금연클리닉이 운영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mokefree legislation consultation response, The Institute of Public Health in Ireland http://www.publichea[...] 2006-09-05
[2] 웹사이트 New health bill will ban smoking in majority of workplaces http://www.direct.go[...] 2005-10-28
[3] 문서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https://web.archive.[...]
[4] 논문 European Code Against Cancer and scientific justification: Third version (2003)
[5] 논문 Tobacco smoking and cancer: a brief review of recent epidemiological evidence 2004-08
[6] 서적 Patient Assessment Tutorials: A Step-by-Step Procedures Guide for the Dental Hygienist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8-09
[7] 보도자료 Disparity in Protecting Food Service Staff from Secondhand Smoke Shows Need for Comprehensive Smoke-Free Policies, Say Groups http://www.accessmyl[...] 2004-04-13
[8] 문서 Glossary: Sidestream smoke http://www.greenfact[...]
[9] 웹사이트 Involuntary smoking http://www.inchem.or[...] 2006-07-15
[10] 논문 Polonium 210 in tobacco, cigarette smoke, and selected human organs 1966-02
[11] 논문 Philip Morris toxicological experiments with fresh sidestream smoke: more toxic than mainstream smoke 2005-12
[12] 문서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http://cancercontrol[...]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08-06
[13] 문서 Secondhand Smoke Fact Sheet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08-06
[14] 문서 Environmental Tobacco Smoke https://ntp.niehs.ni[...]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7-08-06
[15] 문서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http://www.surgeonge[...] 2007-08-06
[16] 문서 Tobacco Smoke and Involuntary Smoking http://monographs.ia[...]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08-06
[17] 논문 Indoor Air Quality in Hospitality Venue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a Clean Indoor Air Law --- Western New York, 2003 https://www.cdc.gov/[...] 2004-11-12
[18] 웹사이트 Study Finds That New Jersey Bars and Restaurants Have Nine Times More Air Pollution than Those in Smoke-Free New York http://www.umdnj.edu[...]
[19] 뉴스 Smoking ban leads to healthier bar staff http://www.rsc.org/P[...] RSC Publishing 2006-03-16
[20] 논문 Airborne exposure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bar and restaurant worker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a smoking ban 2006-03
[21] 문서 Workplace Smoking Bans and Restrictions http://www.publichea[...] Public Health Law Research 2009
[22] 뉴스 Could smoking become extinct? https://nypost.com/2[...] 2014-01-01
[23] 서적 Nicotine, an old-fashioned addiction Burke Publishing
[24] 서적 Nicotine, an old-fashioned addiction Burke Publishing
[25] 서적 Tobacco in Russian History and Culture: The Seven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Routledge 2019-04-30
[26] 잡지 The ashtray of history https://www.theatlan[...] 2017-03-01
[27] 논문 The Nazi war on tobacco: ideology, evidence, and possible cancer consequences 1997-09
[28] 서적 Tobacco in Russian History and Culture: The Seven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Routledge 2019-04-30
[29] 잡지 Law School / Old Government House http://acwp.thanh.co[...] 2006-10-08
[30] 논문 Commentary: Schairer and Schöniger's forgotten tobacco epidemiology and the Nazi quest for racial purity
[31] 논문 Treatment protocols of the lupus nephritis collaborative study of plasmapheresis in severe lupus nephritis. The Lupus Nephritis Collaborative Study Group
[32] 웹사이트 Preemption/Accommodation presentation http://legacy.librar[...]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Francisco 2006-11-23
[33] 웹사이트 Minnesota Clean Indoor Air Act – Freedom to Breathe http://www.health.st[...] Minnesota Department of Health 2008-04-26
[34] 뉴스 Minnesota lawmakers approve smoking ban https://www.boston.c[...] 2007-05-13
[35] 뉴스 BEVERLY HILLS SMOKING BAN CLEARS AIR BUT ASH TRAYS STAY https://www.nytimes.[...] 1987-04-04
[36] 웹사이트 Letter to Nebraska Senators from San Luis Obispo Chamber of Commerce in favor of Smokefree Legislation http://www.tobacco.o[...] Tobacco.org 2001-01-29
[37] 뉴스 Smoking out in Los Gatos https://news.google.[...] 1991-10-08
[38] 문서 The effects of a ban on smoking in public places in San Luis Obispo, California http://kuneman.smoke[...]
[39] 웹사이트 How many Smokefree Laws? http://www.no-smoke.[...] American Nonsmokers' Rights Foundation 2006-10-06
[40] 웹사이트 Tobacco Free Ireland http://health.gov.ie[...] 2013-06-07
[41] 웹사이트 2006 New York Laws: New York City Administrative Code(NEW) : (17-501 - 17-514) Smoke-free Air Act https://law.justia.c[...]
[42] 웹사이트 The Newest New York City Real Estate Laws That Property Owners and Occupants Must Know in 2018 https://www.huffpost[...] 2018-01-16
[43] 뉴스 Puffers fuming over planned ban http://bostonherald.[...] Boston Herald 2010-01-31
[44] 웹사이트 *** NORMATTIVA *** https://www.normatti[...]
[45] 웹사이트 L. 3/2003 https://www.camera.i[...]
[46] 문서 That was part of a wider law. Smoke provisions are contained in art. 51
[47] 웹사이트 Smokefree Law in New Zealand http://www.moh.govt.[...] moh.govt.nz 2005-09-15
[48] 뉴스 Norwegians ban smoking in bars http://news.bbc.co.u[...] 2004-06-01
[49] 웹사이트 Smoking restrictions in Norway http://www.visitnorw[...] 2008-08-07
[50] 보고서 Norway's ban on smoking in bars and restaurants – A review of the first year http://www.helsedire[...] Directora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05
[51] 뉴스 Scotland begins pub smoking ban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3-26
[52] 뉴스 Smoking ban's impact five years on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7-01
[53] 웹사이트 [ Explained ] The Cigarettes And Other Tobacco Products (Prohibition Of Advertisement And Regulation Of Trade And Commerce, Production, Supply And Distribution) Act, 2003 http://nyaaya.in/law[...]
[54] 뉴스 AFP: Nepal to ban smoking in public places https://www.google.c[...] 2010-06-01
[55] 웹사이트 Official publication of the law http://www.tsj.gov.v[...]
[56] 뉴스 Turkey expands curbs on smoking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5-19
[57] 뉴스 Smoking Ban Announced at Plage Lumière, Provence, France http://theglobalhera[...] 2011-08-27
[58] 뉴스 Costa Rica's strict anti-smoking laws https://ticotimes.ne[...]
[59] 웹사이트 One in Four Americans Support Total Smoking Ban https://news.gallup.[...] 2018-07-23
[60] 웹사이트 Attitudes of Europeans towards tobacco and electronic cigarettes https://europa.eu/eu[...]
[61] 웹사이트 Secondhand Smoke Exposure and Cardiovascular Effects: Making Sense of the Evidence https://iom.national[...] Institute of Medicine 2009
[62] 잡지 Smoke-Free Laws Are Saving Lives https://healthland.t[...] 2012-10-30
[63] 저널 Cardiovascular effect of bans on smoking in public plac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9-09
[64] 웹사이트 Big drop in heart attacks after smoking bans, studies say http://www.cnn.com/2[...] 2009-09-22
[65] 저널 Association between smoke-free legislation and hospitalizations for cardiac, cerebrovascular, and respiratory diseases: a meta-analysis 2012-10
[66] 웹사이트 Smoking bans cut number of heart attacks, strokes https://www.usatoday[...] 2012-10-29
[67] 저널 The effects of smoke-free legislation 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3-05
[68] 저널 Effect of smoke-free legislation on perinatal and child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05
[69] 웹사이트 Smoking bans cut asthma and premature births by 10%, study says https://www.bbc.com/[...] 2014-03-28
[70] 웹사이트 Smoking bans reduce harm from passive smoking, study finds https://www.theguard[...] 2016-02-04
[71] 논문 Legislative smoking bans for reducing harms from secondhand smoke exposure, smoking prevalence and tobacco consumption 2016-02-00
[72] 논문 Changes in U.S. hospitalization and mortality rates following smoking bans http://www.nber.org/[...] 2010-00-00
[73] 논문 Do Workplace Smoking Bans Reduce Smoking? http://www.nber.org/[...]
[74] 웹사이트 Do Smoking Bans Really Get People to Quit? https://abcnews.go.c[...] 2023-06-22
[75] 웹사이트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06-17
[76] 뉴스 Cigarette sales up 5% despite smoking ban https://www.timesonl[...] 2006-10-15
[77] 뉴스 Cigarette sales drop 7% in a month http://www.timesonli[...] 2007-08-21
[78] 뉴스 Cigarette sales 'slump after ban' http://news.bbc.co.u[...] BBC 2007-10-02
[79] 웹사이트 Impact of Workplace Restrictions on Consumption and Incidence http://legacy.librar[...] 1992-01-21
[80] 뉴스 Decades-Long U.S. Decrease in Smoking Rates Levels Off https://www.washingt[...] 2007-11-09
[81] 잡지 Michael Bloomberg Wants To Be Mayor of the World http://content.time.[...] 2013-10-21
[82] 웹사이트 SVD: Folkhälsoinstitutet: Snus ger cancer http://www.svd.se/ny[...]
[83] 뉴스 A fifth of smokers 'plan to quit'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3-08
[84] 뉴스 Restaurant smoking bans stop teens getting the habit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8-05-10
[85] 논문 Local restaurant smoking regulations and the adolescent smoking initiation process: results of a multilevel contextual analysis among Massachusetts youth 2008-05-00
[86] 논문 The economic impact of clean indoor air laws
[87] 논문 Review of the quality of studies on the economic effects of smoke-free policies on the hospitality industry 2003-03-00
[88] 논문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 of smoking bans in restaurants and bars 2014-05-00
[89] 논문 The health care costs of smoking https://espace.libra[...] 1997-10-09
[90] 웹사이트 Economic impacts https://web.archive.[...] Tavern League of Wisconsin
[91] 논문 Tobacco industry manipulation of the hospitality industry to maintain smoking in public places 2002-06-00
[92] 뉴스 No smoke signals a boom for pubs, clubs https://www.smh.com.[...] 2007-09-02
[93] 뉴스 DEADLINK http://www.theaustra[...]
[94] 뉴스 Germany's Smoking Ban Spreads Through States http://www.dw-world.[...] Deutsche Welle 2007-01-14
[95] 논문 Impact of Non-Smoking Ordinances on Hospitality Revenues: The Case of Germany http://www.hced.uni-[...] 2009-00-00
[96] 뉴스 Ireland's smoking ban 20 years on: How an unheralded civil servant triumphed against big tobacco https://www.theguard[...] 2024-03-29
[97] 논문 Does smoke-free Ireland have more smoking inside the home and less in pubs than the United Kingdom? Findings from the international tobacco control policy evaluation project 2008-02-00
[98] 뉴스 Rural pubs will suffer from smoking ban http://www.timesonli[...] 2007-02-27
[99] 웹사이트 Sunday 26 March 2006 – clearing the air for a healthier Scotland http://www.clearingt[...] Scottish Government
[100] 뉴스 Third of pubs 'not ready for ban' http://news.bbc.co.u[...] 2007-03-02
[101] 웹사이트 Better regulation, Better Benefits: Getting the Balance Right. Case Studies http://www.bis.gov.u[...] 2009-10-00
[102] 웹사이트 The impact of smokefree legislation in England: evidence review http://www.dh.gov.uk[...] 2011-03-00
[103] 웹사이트 ic Wales (icwales.icnetwork.co.uk) http://icwales.icnet[...]
[104] 뉴스 Pub beer sales slump to low point http://news.bbc.co.u[...] BBC News 2007-11-20
[105] 뉴스 Smoke Ban Fails To Boost Pub Meal Sales https://www.healthcl[...] SKY News 2007-11-26
[106] 뉴스 Smoking ban 'costs pub taking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12-17
[107] 웹사이트 The Health Conseque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http://www.surgeonge[...] 2006-06-27
[108] 뉴스 Richard Roesler: Surgeon general: No safe level of secondhand smoke. http://www.cnn.com/2[...] 2006-06-27
[109] 뉴스 Bars and Restaurants Thrive Amid Smoking Ban, Study Says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2003-03-29
[110] 간행물 The Health and Economic Impact of New York's Clean Indoor Air Act http://www.health.st[...] 2006-07
[111] 웹사이트 Hector's wants longer exemption http://www.wauwatosa[...] 2008-01-16
[112] 웹사이트 D.C. Grants First Exemption to Smoking Ban http://www.wjla.com/[...] 2007-10-22
[113] 웹사이트 Smoking ban fires up debate http://www.gazette.n[...] 2008-01-11
[114] 논문 Changes in exposure of adult non-smokers to secondhand smoke after implementation of smoke-free legislation in Scotland: national cross sectional survey 2007-09
[115] 웹사이트 Clearing the Air http://www.healthcar[...] 2016-01-15
[116] 웹사이트 Prison Smoking Cessation, Tobacco Cessation and Nicotine Cessation http://whyquit.com/p[...] WhyQuit.com 2009-05-23
[117] 웹사이트 100% SMOKEFREE CORRECTIONAL FACILITIES http://www.no-smoke.[...] American NonSmokers' Rights Foundation 2009-04-20
[118] 뉴스 Smoking bans spread to prisons https://www.usatoday[...] 2004-07-21
[119] 웹사이트 HELLING et al. v. McKINNEY https://www.law.corn[...]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120] 웹사이트 Prison smoking ban is not cruel and unusual punishment http://www.tobaccoco[...] Tobacco Control Resource Center, Northeastern University
[121] 뉴스 State's prison smoking ban to save health-care costs, end prisoner 'luxury' http://www.mlive.com[...] The Grand Rapids Press 2009-01-31
[122] 웹사이트 Ban Damage: Prison Ban Casualty http://www.smokerscl[...] 2004-12-14
[123] 웹사이트 Prisoner riot reverses smoking ban http://libcom.org/ne[...] 2008-02-11
[124] 뉴스 Prison smokes ban ruled unlawful http://www.nzherald.[...] 2012-12-24
[125] 뉴스 Tobacco victory goes up in a puff of smoke http://www.nzherald.[...] 2013-07-04
[126] 논문 'Teabacco': Smoking of nicotine-infused tea as an unintended consequence of prison smoking bans
[127] 논문 Constituents of "teabacco": A forensic analysis of cigarettes made from diverted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lozenges in smoke-free prisons
[128] 뉴스 Dutch cafe owners rally against smoking ban https://archive.toda[...] AFP
[129] 뉴스 Waiting to inhal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4-01-04
[130] 뉴스 'Nazi' claim as Germans rebel over smoking ban http://observer.guar[...] 2008-01-19
[131] 뉴스 Three Schaumburg businesses violate new smoking ban Arlington Heights Daily Herald 2007-03
[132] 뉴스 Beware of complacency as 'smoke-easies' appear The Irish News 2007-06-12
[133] 뉴스 Warning over 'smoke-easy' lock-ins http://news.scotsman[...] 2006-08-29
[134] 웹사이트
[135] 웹사이트 Everyone Head for the Smoke-Easy http://www.utahstate[...] 2006-12-12
[136] 뉴스 Smoke-easies offer cover from puff police; Aficionados just want a place to light up, relax 2003-11-20
[137] 웹사이트 tobaccofreecenter.org http://tobaccofreece[...] 2010-01-01
[138] 뉴스 Record compliance with smoking ban – The Irish Times – Mon, 22 Jun 2009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2009-06-22
[139] 웹사이트 Times Higher Education – Italian smoking ban leads to drop in heart attacks http://www.timeshigh[...] 2006-10-03
[140] 보도자료 Smoking ban gets seal of public approval http://www.scotland.[...] Scottish Government 2006-06-26
[141] 웹사이트 Smoking ban up in smoke in Kolkata http://www.indianexp[...] 2009-02-24
[142] 웹사이트 The Official Website of Joe Jackson http://www.joejackso[...] 2007-04-12
[143] 웹사이트 The American Spectator : Smoking Room http://spectator.org[...]
[144] 뉴스 Is the smoking ban a good idea? https://www.theguard[...] 2007-05-18
[145] 뉴스 Unrestrained smoking is a libertarian half-way house 2007-02-11
[146] 뉴스 Lawyer: smoking ban may harm patients http://www.3news.co.[...] 2013-05-20
[147] 뉴스 Smoking ban cruel to psychiatric patients, court told http://www.radionz.c[...] 2013-05-20
[148] 보고서 Should cigarettes be banned in public places? http://www.iedm.org/[...] Montreal Economic Institute 2005-04
[149] 웹사이트 Judge Rules Nevada Smoking Ban is Constitutional – Las Vegas Now http://www.lasvegasn[...]
[150] 웹사이트 Montana Gaming Group, effect of public smoking ban on Montana businesses http://www.montanaga[...]
[151] 웹사이트 Seven businesses sue over smoking ban https://web.archive.[...] 2001-09-26
[152] 웹사이트 Anti-smoking law challenged http://the.honolulua[...] 2007-01-31
[153] 웹사이트 Colorado AG Asks State Smoking Ban Lawsuit Be Dismissed https://web.archive.[...]
[154] 웹사이트 Lawsuit Challenges Louisville's Smoking Ban – Louisville News Story – WLKY Louisville http://www.wlky.com/[...]
[155] 웹사이트 Health board stands by smoking ban,: Lawsuit alleges group overstepped its authority, Charleston Gazette https://web.archive.[...]
[156] 웹사이트 Americans for Nonsmokers' Rights – Australia http://www.no-smoke.[...]
[157] 뉴스 MPs to challenge ministers' veto on total smoking ban https://www.theguard[...] 2005-12-17
[158] 저널 Smoking ban in public places also cuts smoking at home 2005-07
[159] 뉴스 Drunk driving after the passage of smoking bans in bars http://www.economist[...] 2008-04-03
[160] 저널 Smoking in Restaurants: Rejoinder to Alamar and Glantz https://econjwatch.o[...] 2008-05
[161] 저널 Honestly, Who Else Would Fund Such Research? Reflections of a Non-Smoking Scholar http://econjwatch.or[...]
[162] 웹사이트 Press Advisory – Statement of Councilmember Carol Schwartz at the 14 June 2005 Smoke-Free Hearing http://www.dccouncil[...] 2005-06-14
[163] 웹사이트 Dealing with the health effects of secondhand smoke https://publications[...] 2010-08-26
[164] 웹사이트 COMMENTARY ON STUDIES CARRIED OUT BY DR ANDREW GEENS OF THE UNIVERSITY OF GLAMORGAN SCHOOL OF TECHNOLOGY https://publications[...] 2011-12-29
[165] 웹사이트 Can Displacement Ventilation Control Secondhand ETS? http://www.rwjf.org/[...]
[166] 저널 Tobacco industry efforts to present ventilation as an alternative to smoke-free environments in North America
[167] 뉴스 Italians fume over cigarette curb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1-10
[168] 간행물 The Health Consequesnces of Involuntary Exposure to Tobacco Smok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http://www.surgeong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08-26
[169] 웹사이트 『法窓夜話』十七 https://www.aozora.g[...]
[170] 웹사이트 『法窓夜話』十八 禁煙令違反者の処分 https://www.aozora.g[...]
[171] 뉴스 省線電車車内は「禁煙」になる 東京日日新聞 1930-11-26
[172] 문서 미국 서부 해안과 뉴잉글랜드 지역의 모든 주
[173] 뉴스 全面禁煙は厳し過ぎ? ブルガリアで一転、緩和策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0-05-21
[174] 뉴스 09年誕生の子「生涯喫煙禁止」NZ たばこのない国へ/改正法 成立の公算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2-08-28
[175] 뉴스 공공장소 흡연 시 과태료 부과, 서울시 정책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05-27
[176] 웹사이트 북한의 금연문화 https://world.kbs.co[...] 2024-01-24
[177] 웹사이트 厚生労働省健康局長通知「受動喫煙防止対策について」 http://www.mhlw.go.j[...]
[178] 웹사이트 建築物衛生管理検討会報告書 https://www.mhlw.go.[...]
[179] 웹사이트 Tar Wars http://www.tarwars.o[...]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180] 웹사이트 HOW SCHOOLS CAN HELP STUDENTS STAY TOBACCO-FREE http://tobaccofreeki[...]
[181] 웹사이트 公衆衛生ネットワーク http://home.att.ne.j[...] 2022-08
[182] 웹사이트 文部科学省 http://www.mext.go.j[...] 2022-08
[183] 웹사이트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Nicotine Addiction.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http://profiles.nlm.[...]
[184] 웹사이트 The scientific case that nicotine is addictive http://www.ncbi.nlm.[...]
[185] 웹사이트 RJレイノルズ内部文書 http://tobaccodocume[...]
[186] 논문 The scientific case that nicotine is addictive
[187] 논문 Is nicotine more addictive than cocaine?
[188] 논문 Presynaptic opioid and nicotinic receptor modulation of dopamine overflow in the nucleus accumbens
[189] 저널 Change in mental health after smoking cessat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www.bmj.com/c[...]
[190] 웹사이트 禁煙継続の秘けつ4/肥満の予防 (2) 肥満予防のヒント http://www.health.ne[...] healthクリック 2012-05-17
[191] 웹사이트 500名の“禁煙成功者”に徹底調査! 3割が「禁煙成功には1ヶ月以上」、半数以上が感じる「ストレス」 精神科医・香山リカ氏に聞く! 「禁煙成功の秘訣」とは? http://prtimes.jp/ma[...] PR TIMES 2012-05-21
[192] 웹사이트 Clearing the Air http://www.smokefree[...] National Cancer Institute
[193] 문서 흡연 중단 후 대체 행위
[194] 문서 금연 후 식단 조절
[195] 문서 2007년 4월 1일 이후 열차 내 금연
[196] 문서 2007년 이전 열차 내 흡연 현황
[197] 문서 흡연율 성별 차이
[198] 문서 금연 후 지출 변화
[199] 웹사이트 National Cancer Institute http://www.cancer.go[...] 2022-08
[200] 웹사이트 『法窓夜話』十八 禁煙令違反者の処分 https://www.aozora.g[...]
[201] 웹사이트 36-601.01 - Smoke-free Arizona act http://www.azleg.sta[...] Arizona State Legislature 2009-07-18
[202] 저널 European Code Against Cancer and scientific justification: third version (2003) http://annonc.oxford[...] 2009-07-18
[203] 저널 Tobacco smoking and cancer: a brief review of recent epidemiological evidence
[204] 저널 Disparity in Protecting Food Service Staff from Secondhand Smoke Shows Need for Comprehensive Smoke-Free Policies, Say Groups http://www.accessmyl[...] 2004-04-13
[205] 웹사이트 Glossary: Sidestream smoke http://www.greenfact[...]
[206] 웹사이트 Involuntary smoking http://www.inchem.or[...] 2006-07-15
[207] 논문 Polonium 210 in Tobacco, Cigarette Smoke, and Selected Human Organs
[208] 저널 Philip Morris toxicological experiments with fresh sidestream smoke: more toxic than mainstream smoke
[209] 웹사이트 Health Effects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http://cancercontrol[...] 미국 NCI 2007-08-06
[210] 웹사이트 Environmental Tobacco Smoke http://ntp.niehs.nih[...] 미국 국립 보건원 2007-08-06
[211] 간행물 Tobacco Smoke and Involuntary Smoking http://monographs.ia[...] 세계 보건 기구 2007-08-06
[212] 뉴스 “담뱃값 인하?… 서민들 건강 망치게 부추기는 격” http://news.donga.co[...] 동아닷컴 2017-12-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