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치 독일의 반담배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치 독일의 반담배 운동은 20세기 초 독일에서 시작된 금연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나치 정권이 출산 장려, 인종주의, 그리고 건강 관념을 바탕으로 추진한 정책이다. 아돌프 히틀러의 개인적인 금연 경험과 더불어, 흡연이 여성의 건강과 출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그리고 담배를 '퇴폐적'이고 '유대인'과 연결 짓는 인종주의적 시각이 반담배 운동의 주요 동기가 되었다. 나치 정권은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하고, 담배 광고를 규제하며, 여성과 청소년의 흡연을 억제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지만, 전쟁으로 인해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고, 전후에는 미국의 담배 회사들의 진출로 인해 금연 운동의 동력이 약화되었다. 결과적으로 나치 시대의 금연 운동은 현대 독일의 담배 규제 정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으며, 현대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배의 역사 - 사제의 소송
    죄송합니다. 페이지 개요가 충분하지 않아 요약문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담배 규제 - 금연
    금연은 간접흡연으로 인한 비흡연자의 건강 피해를 막기 위해 흡연을 금지하는 조치로, 전 세계적인 실내 흡연 금지 법률 제정, 화재 예방, 시설물 청결 유지 등의 이유로 시행되며, 개인의 자유 침해 논쟁 속에서 지속적인 정책 검토와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담배 규제 - 세계 금연의 날
    세계 금연의 날은 세계 보건 기구(WHO)가 흡연의 폐해를 알리고 금연을 장려하기 위해 매년 5월 31일로 지정하여 기념하는 날이다.
  • 공중위생 - 공중보건
    공중보건은 조직적인 노력과 사회적 선택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과학 기술이며, 환경보건, 역학, 보건관리 분야를 포함하여 개인과 인구 집단의 건강을 개선하고 평균 수명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공중위생 - 건강 형평성
    건강 형평성은 사회경제적 요인, 인종, 성별, 지역 등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 상태의 불공정한 차이로, 의료 접근성 향상,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건강 교육 강화, 차별 해소 등 다각적인 노력과 정책적 개입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
나치 독일의 반담배 운동
나치 독일의 반담배 운동
독일 제국 보건부의 로고
독일 제국 보건부의 로고
배경
원인흡연의 건강에 대한 악영향에 대한 과학적 증거 증가
인종 위생에 대한 우려
인구 증가 및 건강 유지에 대한 열망
주요 인물
관련자아돌프 히틀러
헤르만 괴링
카를 아스트el:Karl Astel
레오나르도 콘티el:Leonardo Conti
마르틴 보어만
요제프 뷔르거el:Josef Bürckel
프리츠 리크트필트el:Fritz Lickint
에리히 힙케el:Erich Hippke
정책
주요 정책담배 광고 금지
대중교통에서의 흡연 금지
여성의 흡연 제한
군대에서의 흡연 제한
의료 전문가 및 공무원의 금연 장려
담배세 인상
금연 캠페인
조직
관련 조직독일 제국 보건부
국가 사회주의자 의사 연맹
여성 단체
과학적 연구
주요 연구흡연과 폐암의 연관성 입증 연구
담배의 심혈관 질환 유발 가능성 연구
결과
효과독일 내 흡연율 감소 (1939년~1945년)
영향전후 독일의 금연 운동에 영향
현대 금연 정책의 토대 마련
기타
특징국가 주도의 대규모 금연 운동
과학적 연구에 기반한 정책 추진
인종 위생 이념과 결합
평가긍정적: 공중 보건 향상에 기여
부정적: 인종주의적 동기 및 강압적 방법 동원

2. 역사적 배경

1840년 프로이센 정부는 공공장소 흡연 금지령을 재실시했다.[45] 1880년대 미국 남부에서 자동화된 담배 제조 기계가 발명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담배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서구 국가에서 흡연이 일반화되었다. 이는 반발과 금주 운동을 야기하여 담배 사용의 유해성에 대한 문제 제기와 함께 담배 판매 및 사용에 대한 일부 금지 조치를 가져왔다.[15][16][1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에서는 의학 연구가 진전되면서 반담배 운동이 계속되었다. 독일 연구자들은 담배의 유해성에 대한 초기 연구에 크게 관여했으며, 1920년대와 1930년대 바이마르 공화국은 담배 연구의 최첨단에 있었다.[18]

2. 1. 20세기 초반 독일의 반담배 운동

20세기 초 독일에서는 흡연에 대한 반대 여론이 존재했다. 1904년 독일 최초의 반담배 단체인 "비흡연자 보호를 위한 독일인 담배 반대자 협회"(Deutscher Tabakgegnerverein zum Schutze der Nichtraucher)가 설립되었으나, 이 단체는 단기간만 존속했다. 1910년 보헤미아 트루트노프에서 "독일인 담배 반대자 연맹"(Bund Deutscher Tabakgegner)이 설립되었고, 1912년에는 하노버드레스덴에서 금연 단체가 설립되었다.[15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오스트리아로부터 분리 독립한 1920년에는 프라하에서 "독일인 담배 반대자 연맹 체코슬로바키아 지부"(Bund Deutscher Tabakgegner in der Tschechoslowakei)가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오스트리아 그라츠에서는 "독일인 반담배자 연맹 독일계 오스트리아 지부"(Bund Deutscher Tabakgegner in Deutschsterreich)가 설립되었다.[152]

이들 단체는 금연을 장려하는 간행물을 발행했다. 보헤미아의 담배 반대 단체는 1912년부터 1932년까지 반담배 운동과 관련된 최초의 독일어 간행물인 《담배 반대자》(''Der Tabakgegner'')를 발행했으며, 1919년부터 1935년까지 드레스덴에서 반담배 운동을 주제로 한 간행물인 《독일인 담배 반대자》(''Deutsche Tabakgegner'')를 발행했다.[153] 이들 반담배 단체는 알코올 소비에도 반대하는 활동을 펼쳤다.[154]

1898년 바이에른의 열차를 풍자한 만화. ''여성:'' 이 칸에서는 흡연이 금지되어 있어요. "금연석"이라고 분명히 써 있잖아요! ''흡연자:'' 하지만 우리는 밖에서 피우는 게 아니라 안에서 피우고 있잖아요!

2. 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상황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에서 분리된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는 1920년에 "체코슬로바키아 독일인 담배 반대자 연맹"(Bund Deutscher Tabakgegner in der Tschechoslowakeide)이 결성되었다.[152] 같은 해 오스트리아 그라츠에서는 "독일계 오스트리아 독일인 반담배자 연맹"(Bund Deutscher Tabakgegner in Deutschsterreichde)이 설립되었다.[152]

이러한 단체들은 금연을 장려하는 간행물을 발행했다. 보헤미아의 담배 반대 단체는 1912년부터 1932년까지 반담배 운동과 관련된 최초의 독일어 간행물인 《담배 반대자》(Der Tabakgegnerde)를 발행했다.[153] 1919년부터 1935년까지 드레스덴에서는 반담배 운동을 주제로 한 간행물인 《독일인 담배 반대자》(Deutsche Tabakgegnerde)를 발행했다.[153] 이들 반담배 단체는 알코올 소비에도 반대했다.[154]

3. 나치의 금연 정책

나치 정권은 공중 보건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적인 이유로 금연 정책을 추진했다.[165] 특히 반담배 운동은 인종 개량과 육체적 순결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183] 나치는 담배를 "유전적인 독"으로 간주하고,[183] "독일 민족에 "사악한 병균 세포"가 되는 것"을 우려했다.[185]

나치의 금연 운동은 근대사 최초의 공공 금연 캠페인이었다.[88] 20세기 초부터 여러 국가에서 금연 운동이 있었지만,[89][90] 나치 정부의 지원을 받은 독일만큼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89] 1930년대와 1940년대 초 독일의 금연 운동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했다.[91]

나치는 노면전차, 버스, 시내 전차 내 금연 조례,[91] 보건 교육 증진,[97] 국방군 내 담배 배급 제한, 병사 대상 보건 강의, 담배세 인상[91] 등 다양한 금연 정책을 시행했다. 담배 광고와 공공장소 흡연도 제한하고, 식당과 카페도 규제했다.[91]

나치 체제 초기(1933~1939년)에는 담배 소비량이 증가하여 금연 운동이 큰 효과를 보지 못했지만,[98] 1939년부터 1945년까지 군 관계자의 흡연은 감소했다.[99] 20세기 말에도 전후 독일의 금연 운동은 나치만큼의 영향력을 갖지 못했다.[98]

3. 1. 히틀러의 흡연관

아돌프 히틀러는 한때 하루에 25~40개비의 담배를 피울 정도로 골초였으나, 돈 낭비라는 생각에 금연했다.[147] 금연 후 히틀러는 흡연을 "퇴폐적인 것"[151], "인디언들이 독한 술을 준 백인에 대한 복수"[147]라고 비판하며, "독일의 수많은 인재들이 담배의 해로움을 모르고 있다"고 한탄했다.[155]

히틀러는 에바 브라운마르틴 보어만이 담배를 피우는 것에 불만을 가졌고, 헤르만 괴링이 공공장소에서 흡연하는 것에도 우려를 표했다. 심지어 시가를 피우는 괴링을 묘사한 조각상을 보고 분노하기도 했다.[147] 히틀러는 종종 금연을 주장한 최초의 국가 지도자로 평가받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약 300년 정도 앞선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가 이러한 주장을 먼저 했다.[156]

히틀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2년 3월 2일, 군대 내 흡연에 대해 "잘못된 것이며, 병사들이 담배 없이는 살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147] 그는 전쟁이 끝나면 군대 내에서 담배 소비를 중단하겠다고 약속했고, 자신과 가까운 동료들에게는 금연을 권유하며 금연에 성공하면 포상을 하기도 했다.[147] 그러나 히틀러의 개인적인 반(反) 담배 감정은 나치 독일의 반담배 운동을 이끈 여러 가지 원인 중 하나일 뿐이었다.[147]

3. 2. 나치의 출산 장려 정책과 금연 운동

나치당의 출산 장려 정책은 반담배 운동의 중요한 요인이었다.[148] 나치 지도부는 흡연이 여성의 조기 노화를 초래하고 신체적 매력을 떨어뜨려 독일 가정에서 아내나 어머니가 되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다.[36] 나치당 인종 정책국의 베르너 후티히(Werner Huttig)는 흡연 여성의 모유니코틴이 포함되어 있다고 주장했는데,[157] 이는 현대 연구를 통해 사실로 밝혀졌다.[158][159][160][161]

나치 독일의 의사였던 마르틴 슈템러는 임신 중 흡연이 사산이나 유산 확률을 높인다고 주장했다.[33] 이는 인종개량주의자인 아그네스 블룸(Agnes Bluhm)이 1936년에 출판한 저서에서도 언급되었다. 나치당은 독일 여성들이 가능한 한 많은 아이를 낳기를 바랐기 때문에 이에 우려를 표했다. 1943년 독일 여성의학 잡지에 실린 논문에서는 하루에 담배를 3개비 이상 피우는 여성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 여성에 비해 임신을 원하지 않는 성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언급되었다.[162]

3. 3. 인종주의 및 반유대주의와의 연관성

나치 지도자들은 흡연이 지배 민족에게 부적절하며, 담배 소비는 "민족이 퇴화하는 것"과 같다고 여겼다.[184] 나치는 담배를 "유전적인 독"으로 간주하고,[183] "독일 민족에 "사악한 병균 세포"가 되는 것"을 우려했다.[185] 나치의 반담배 운동가들은 종종 담배를 "퇴폐적인 아프리카인의 악습"으로 묘사했다.[183]

나치는 유대인이 담배와 그 유해한 영향을 퍼뜨린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제7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는 흡연이 유대인이 퍼뜨린 불건전한 악습이라고 주장했다.[185] 1941년 《북유럽 세계》(Nordische Welt)의 편집자 요한 폰 레이어스는 유럽에 담배를 퍼뜨린 책임이 유대인 자본주의에 있다고 주장하며, 독일에 담배를 처음 전래한 민족은 유대인이며 이들이 암스테르담의 담배 산업을 장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86]

4. 나치의 담배 연구

나치 독일은 다른 나라에 비해 담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했다.[143] 나치는 담배와 폐암의 관계를 처음 증명했으며,[155][163][164] 간접 흡연(Passivrauchende)이라는 용어를 만들기도 하였다.[140]

나치당은 연구 자금을 제공하여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밝혀냈다.[165] 아돌프 히틀러는 예나 대학의 카를 아스텔 교수가 회장을 맡고 있던 "담배의 위험성에 관한 연구회"(Wissenschaftliches Institut zur Erforschung der Tabakgefahren)에 경제적 지원을 했다.[151][166] 1941년에 창설된 이 기관은 나치 독일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던 반담배 연구소였다.[166]

1939년 프란츠 H. 뮐러와 1943년 E. 샤이러는 폐암에 걸린 흡연자들을 역학 조사하는 증례 대조 연구를 실시했다.[151] 뮐러는 독일의 저명한 암 연구 전문 잡지에서 흡연자는 폐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39]

4. 1. 담배와 폐암의 연관성 규명

나치 독일은 다른 나라에 비해 담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했다.[143] 특히 나치 독일의 과학자들은 세계 최초로 담배와 폐암의 연관성을 증명했다.[155][163][164]

1939년 프란츠 H. 뮐러는 흡연자가 폐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39] 뮐러는 나치당 및 국가사회주의 자동차군단 회원이었다.[168] 그의 논문은 세계 최초로 담배와 폐암의 관계를 증명한 증례 대조 연구였으며, 담배 연기가 폐암의 주요 원인임을 강조했다.[168] 1943년에는 E. 샤이러 역시 증례 대조 연구를 통해 담배와 폐암의 연관성을 확인했다.[151] 이러한 연구들은 흡연이 폐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선구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나치 독일의 의사들은 흡연이 심장병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라고 보았다. 특히 니코틴은 심근경색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동부 전선에 참전한 병사들의 관상 동맥 심부전증 발병 원인으로 니코틴이 지목되기도 했다.[157] 육군 병리학자 프란츠 부흐너는 담배를 "관상 동맥에서 가장 해로운 독"이라고 언급했다.[157]

4. 2. 간접흡연 개념의 등장

간접 흡연(Passivrauchende)이라는 용어는 나치 독일에서 처음 만들어졌다.[140] 나치 독일은 다른 나라에 비해 담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크게 진행되었고,[143] 담배와 폐암의 관계를 처음 증명하기도 하였다.[155][163][164] 나치당의 연구 자금 제공으로 진행된 연구를 통해 흡연이 건강에 많은 악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5]

4. 3. 담배의 기타 유해성 연구

나치 독일의 의사들은 흡연이 심장병과 같은 큰 병을 초래하는 원인이라고 주장했으며, 당시 독일에서는 니코틴이 심근경색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157]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니코틴이 동부 전선에 참전한 장교 상당수가 관상 동맥 심부전증에 걸리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1944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육군 병리학자가 전선에서 심근 경색으로 사망한 32명의 젊은 병사들을 조사했는데, 이들 모두 "열광적인 애연가"였다고 기록했다. 병리학자 프란츠 부흐너는 담배를 "관상 동맥에서 가장 해로운 독"이라고 언급했다.[157]

5. 금연 정책의 시행과 효과

나치 독일은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인식하고 다양한 금연 정책을 시행했다. 1930년대 후반부터 금연법이 강화되었고, 1938년에는 독일 공군과 제국 우편에서 흡연이 금지되었다. 의료 기관, 공공 기관, 요양원뿐만 아니라 조산사도 금연이 의무화되었다. 1939년에는 나치당의 모든 사무실에서 흡연이 금지되었고, 친위대 대장 하인리히 힘러는 경찰과 친위대 관리에게 금연을 명령했다. 학교에서도 흡연이 금지되었다.[143][174][165]

1941년에는 60개 도시에서 노면 전차 안 흡연이 금지되었고, 방공호에서도 흡연이 금지되었지만 일부는 흡연 구역이 있었다.[174][143] 독일 의료 협회 회장은 "독일 여성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고 선언하며 여성의 흡연을 막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175]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임산부, 25세 이하, 55세 이상 여성에게 담배 배급 카드를 지급하지 않았고, 서비스업자와 식품 소매업자에게 여성의 담배 구매를 제한하는 조치를 내렸다.[174] 극장에서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담배 반대 영화를 상영했고, 신문에는 흡연의 영향에 대한 사설을 게재했다. 국가사회주의 노동 조합은 담배를 피우는 여성 회원을 공개적으로 추방했다.[176] 1943년 7월에는 18세 미만의 공공 장소 흡연이 금지되었고,[148][169][174] 1944년에는 아돌프 히틀러가 여성이 간접 흡연의 피해자가 될 것을 우려하여 버스와 열차 안에서의 흡연을 금지했다.[151][143]

1941년 12월 7일에는 담배 광고 제한 법률이 시행되어 흡연이 건강에 해롭지 않거나 남자다움을 나타낸다는 광고, 반담배 운동을 조롱하는 광고가 금지되었다. 철도, 농촌, 경기장, 경마장에 담배 광고 포스터 부착과 확성기나 우편을 통한 담배 광고도 금지되었다.[177][178][179]

독일 국방군에도 흡연 제한이 도입되어 병사 1인당 하루 6개비로 담배 배급이 제한되었다. 히틀러 청소년단으로 구성된 12 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10대 병사들에게는 담배 대신 사탕이 제공되었고,[180] 국방군의 여성 보조 요원은 담배를 피울 수 없었다. 장교들의 금연을 설득하기 위한 의학 강연도 마련되었다.[143] 1941년 11월 3일에는 담배세를 소매 가격의 80~95%까지 인상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143]

나치 독일은 대중에게 흡연의 해로움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홍보 전략을 사용했다. 《건강한 국민》(''Gesundes Volk''),[165] 《국민의 건강》(''Volksgesundheit''), 《건강한 생활》(''Gesundes Leben'')[169] 같은 건강 잡지에 흡연의 영향에 대한 경고와 담배의 해로움을 전달하는 광고를 게재했다.[165][169] 히틀러 청소년단과 독일 소녀 연맹의 지원을 받아 노동자들에게 반담배 메시지를 전달하고,[148][165][169] 보건 교육에 금연 운동을 포함시켰다.[149][163][170] 1939년 6월에는 알코올·담배 대책국을 설립하고, 마약 대책국(Reichsstelle für Rauschgiftbekämpfung)을 통해 반담배 운동을 지원했다. 《쾌락의 흥분》(''Die Genussgifte''), 《경계 중》(''Auf der Wacht''), 《깨끗한 공기》(''Reine Luft'')[171] 같은 금연 잡지를 창간했는데, 이 중 《깨끗한 공기》는 반담배 운동의 대표적인 잡지였다.[143][172]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초기에는 담배 소비량이 증가하는 등 금연 운동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98] 그러나 1939년부터 1945년까지 군 관계자의 흡연은 감소했다.[99]

'''독일과 미국의 연간 1인당 담배 소비량'''[150]
rowspan="2" |연도
1930년1935년1940년1944년
독일4905101,022743
미국1,4851,5641,9763,039



나치의 반담배 정책은 일관성이 없었고,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43][45][44]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에서는 반담배 노력이 거의 없었던 반면, 튀링겐주 예나에서는 강력한 조치가 시행되었다.[44][45][26] 또한 "자격 있는" 집단(병사, 히틀러 유겐트단 회원 등)에게는 담배를 지급하고, "자격 없는" 집단(유대인, 전쟁 포로 등)에게는 담배를 지급하지 않는 차별적인 정책을 시행했다.[131]

5. 1. 공공장소 흡연 제한

1941년 독일의 60개 도시에서 노면 전차 안에서의 흡연이 금지되었다.[174] 1944년에는 아돌프 히틀러가 여성 차장들이 간접 흡연의 피해자가 될 것을 우려하여 버스와 시내 전차 안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을 금지했다.[151][143]

방공호에서도 흡연이 금지되었지만, 일부 방공호에는 별도의 흡연 구역이 마련되어 있었다.[143] 의료 기관 외에도 여러 공공 기관과 요양원에서도 흡연이 금지되었다.[143] 1939년에는 나치당의 모든 사무실과[174] 학교에서도 흡연이 금지되었다.[165]

5. 2. 담배 광고 규제

나치 독일은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인식하고 1941년 12월 7일 담배 광고 제한 법률을 제정했다.[177] 이 법률은 광고 평의회 의장 하인리히 훈케가 서명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었다.[178]

  • 흡연이 건강에 해롭지 않다는 표현 금지
  • 흡연이 남자다움을 나타낸다는 표현 금지
  • 반담배 운동을 조롱하는 광고 금지[178]
  • 철도, 농촌, 경기장, 경마장에 담배 광고 포스터 부착 금지
  • 확성기나 우편을 통한 담배 광고 금지[179]


이러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담배 광고를 제조업체, 브랜드, 가격에 대한 정보로 제한하려는 시도는 나치당에 의해 명시적으로 거부되었다.[45]

5. 3. 여성과 청소년 대상 금연 정책

나치 독일은 여성과 청소년의 흡연을 막기 위해 특별한 조치를 취했다. 독일 의료 협회 회장은 "독일 여성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고 선언했다.[175]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임산부, 25세 이하, 55세 이상 여성에게는 담배 배급 카드를 지급하지 않았으며, 서비스업자와 식품 소매업자에게는 여성의 담배 구매를 제한하는 조치를 내렸다.[174] 극장에서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담배 반대 영화를 상영했고, 신문에는 흡연의 영향에 대한 사설을 게재했다. 국가사회주의 노동 조합의 각 지부는 담배를 피우는 여성 회원을 공개적으로 추방시키는 엄격한 조치를 취했다.[176]

1943년 7월에는 18세 미만 청소년의 공공 장소 흡연이 금지되었고,[148][169][174] 1944년에는 히틀러가 여성이 간접 흡연의 피해자가 될 것을 우려하여 버스와 열차 안에서의 흡연을 금지했다.[151][143]

히틀러 청소년단과 독일 소녀 연맹은 청소년에게 금연 메시지를 전달했다.[148][165][169]

5. 4. 군대 내 금연 정책

독일 국방군에서도 흡연 제한이 도입되었다. 병사들은 하루에 6개비로 담배 지급량이 제한되었다. 전투 지역에서 군사적 진격이나 후퇴가 없을 때는 특히 병사들에게 추가 담배를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는 1인당 월 50개로 제한되었다.[143] 히틀러 청소년단 회원으로 구성된 제12 SS 기갑사단 히틀러 유겐트에 복무하는 십 대 병사들에게는 담배 대신 사탕이 제공되었다.[180] 그러나 다른 히틀러 유겐트 대원들은 담배를 받았다.[45] 독일 국방군의 여성 보조 인력에게는 담배 배급이 제공되지 않았다.[7] 군인들이 흡연을 그만두도록 설득하기 위한 의학 강연이 마련되었다.[7]

1938년 독일 공군은 흡연 금지령을 내렸다.[7] 1939년 당시 친위대(SS)의 수장이었던 하인리히 힘러는 경찰과 SS 장교들이 근무 중 흡연하는 것을 제한했다.[55] JAMA는 또한 헤르만 괴링이 거리, 행군 중 또는 짧은 휴무 시간에만 병사들의 흡연을 금지했다고 보도했다.[7]

1941년 11월 3일에는 담배세를 소매 가격의 약 80%에서 95%까지 인상하는 내용의 법률이 제정되었는데, 이는 나치 정권이 무너진 지 25년 이상이 지날 때까지 독일에서 가장 높은 담배세 인상이었다.[143]

1943년 루마니아에서 참호 속에서 담배를 피우는 독일 국방군 병사.


연간 1인당 담배 소비량 (독일 & 미국)[14]
rowspan="2" |연도
1930193519401944
독일4905101,022743
미국1,4851,5641,9763,039



베르마흐트에서 흡연은 흔했다. 1944년 조사에 따르면 군인의 87%가 흡연했다. 군인의 10%가 군 복무 중 흡연을 시작했으며, 조사 대상 군인 1,000명 중 7명(0.7%)만이 금연했다.[7] 그러나 일반 인구와 마찬가지로 흡연자 수는 증가한 반면 흡연량은 감소했다. 베르마흐트에서 시행된 금연 조치(공급 제한, 세금 및 선전)의 결과로,[7] 군인의 총 담배 소비량은 1939년부터 1945년 사이에 감소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직전과 비교하여 군인 1인당 평균 담배 소비량은 23.4% 감소했다. 하루 30개비 이상 담배를 피우는 군인 수(일일 최대 이론적 군 배급량 7.7개비를 훨씬 상회함)는 4.4%에서 0.3%로 감소했다.[7]

5. 5. 담배세 인상

1941년 11월 3일, 나치는 담배세를 소매 가격의 약 80~95%까지 인상했다.[143] 이는 나치 정권 붕괴 후 25년 이상 동안 독일에서 가장 높은 담배세 인상이었다.[7]

5. 6. 금연 운동의 한계와 모순

나치 독일의 금연 운동은 여러 가지 한계와 모순점을 드러냈다. 1933년부터 1937년까지 독일의 담배 소비량은 오히려 급증하여 초기 금연 운동은 실패로 돌아갔다.[150] 독일의 흡연율은 이웃 프랑스보다 빠르게 증가했는데, 1932년부터 1939년까지 독일의 1인당 담배 소비량은 연간 570개비에서 900개비로 늘어난 반면, 프랑스는 570개비에서 630개비로 증가하는 데 그쳤다.[143][181]

담배 회사들은 금연 운동을 약화시키기 위해 "광신적", "비과학적"이라고 선전하며 반발했다.[143] 또한, 여성 흡연을 막으려는 정부 정책에 맞서 담배를 피우는 모델을 광고에 등장시키기도 했다.[175] 마그다 괴벨스를 비롯한 나치 고위 관리의 부인들, 그리고 가수 랄레 안데르센 등 많은 여성들이 담배를 피웠다는 사실은 금연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176]

나치당의 반담배 정책은 일관성이 부족했다. "담배를 피울 자격이 있는" 집단(병사, 히틀러 유겐트단 회원 등)에게는 담배를 지급하고, "자격 없는" 집단(유대인, 전쟁 포로 등)에게는 담배를 지급하지 않는 차별적인 정책을 시행했다.[182]

'''독일과 미국의 연간
1인당 담배 소비량'''[150]
rowspan="2" |연도
1930년1935년1940년1944년
독일4905101,022743
미국1,4851,5641,9763,039



또한, 지역에 따라 담배 정책에 큰 차이가 있어 모순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에서는 반담배 노력이 거의 없었던 반면, 튀링겐주 예나에서는 강력한 반담배 조치가 시행되었다.[44][45][26]

헤르만 괴링은 히틀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공개적으로 시가를 피웠고,[11] 요제프 괴벨스는 담배가 전쟁 수행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여 금연 선전을 제한했다.[61][45]

6. 전후 독일의 금연 운동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나치 독일의 붕괴 이후, 미국의 담배 회사들은 독일 암시장에 빠르게 진출했고, 담배 밀수가 만연해졌다.[187] 나치 시대의 금연 운동은 사라졌다.[145] 마셜 플랜에 따라 미국은 독일에 무료로 담배를 제공했는데, 1948년에는 24,000톤, 1949년에는 69,000톤의 담배가 독일로 보내졌다. 미국 연방 정부는 이 계획에 7000만달러를 사용했고, 이는 미국의 담배 제조 회사에 큰 이익을 가져다주었다.[187]

전후 독일의 1인당 연간 담배 소비량은 초기에는 빈곤으로 낮게 유지되었으나,[7] ''경제기적''으로 인해 전후 독일의 1인당 연간 담배 소비량은 1950년 460개비에서 1963년 1,523개비로 꾸준히 증가했다.

6. 1. 나치 금연 운동의 유산과 단절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이 항복하면서 미국의 담배 제조 회사들이 독일 암시장에 빠르게 진출했다. 담배 밀수가 성행했고,[187] 나치 독일의 금연 운동을 이끌던 많은 지도자들은 사형당했다.[145] 1949년에는 매달 미국에서 제조된 약 4억 개비의 담배가 독일에 불법 반입되었고, 1954년에는 약 20억 개비의 스위스산 담배가 독일과 이탈리아에 밀수되었다. 미국은 유럽 부흥 계획의 일환으로 독일에 무료 담배를 제공했는데, 1948년에는 24,000 톤, 1949년에는 69,000 톤에 달하는 담배를 독일에 제공했다. 미국 연방 정부는 이러한 계획에 7000만달러를 사용했으며, 이는 미국의 담배 제조 회사에 큰 이익을 가져다 주었다.[187]

전후 독일의 1인당 연간 담배 소비량은 1950년 460개비에서 1963년 1,523개비로 꾸준히 증가했다. 20세기 말 독일의 반담배 운동은 나치 독일의 절정기였던 1939년에서 1941년까지의 반담배 운동 수준의 영향력을 갖지 못했으며, 로버트 N. 프로크터는 독일의 담배와 건강에 관한 연구에 대해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았다.[150]

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네덜란드 어린아이가 담배를 피우며 해방을 축하하고 있다.


나치 관련 수사법(금연 조치를 파시즘과 연관 짓는 나치 유추)은 니코틴 마케팅에서 상당히 널리 사용되었다.[45] (독일에서는 이러한 비교가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제외).[81] 역사적 연구는 선택적으로 인용되었는데, 이는 인용된 역사가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45] 21세기 초, 이러한 나치 관련 수사법은 금연 조치를 신권 정치와 연관 짓는 탈레반 관련 수사법으로 대체되고 있을 수 있다.[81]

나치의 금연 캠페인이 효과적인 니코틴 중독 감소 조치를 수십 년 동안 지연시켰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1]

6. 2. 현대 독일의 담배 규제 정책 평가

로버트 N. 프로크터는 20세기 말 독일의 금연 캠페인이 1939~1941년 나치 시대의 절정에 이르지 못했고, 독일의 담배 건강 연구는 "소극적"이라고 묘사했다.[14] 현대 독일은 유럽에서 담배 규제 정책이 가장 느슨한 나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51] 그 결과 독일인들의 흡연율과 담배로 인한 사망률이 높고,[82][83] 이는 공중 보건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84]

7.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나치 독일의 반담배 운동은 세계 최초의 정부 주도 금연 운동이었지만, 전체주의적이고 인종차별적인 이데올로기에 기반했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한국 사회의 금연 정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의 금연 정책은 흡연율 감소에 기여했지만, 흡연자 개인의 권리를 과도하게 침해하고 사회적 낙인을 조장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나치 독일의 사례처럼, 금연 정책이 사회적 약자를 억압하는 수단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해야 한다.

따라서 한국의 금연 정책은 흡연자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또한, 금연 정책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역사적 교훈을 바탕으로, 보다 성숙하고 균형 잡힌 금연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참조

[1] 논문 The history of the discovery of the cigarette-lung cancer link: evidentiary traditions, corporate denial, global toll
[2] Harvnb
[3] Harvnb
[4] 논문 Uncovering the effects of smoking: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toxicolog[...] 1998-06-01
[5] 웹사이트 Tobacco Timeline: The Twentieth Century 1900-1949—The Rise of the Cigarette http://www.tobacco.o[...]
[6] 논문 Social reformer and regulation: The prohibition of cigarett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ttp://www.colorado.[...] 2002
[7] 논문 The anti-tobacco campaign of the Nazis: a little known aspect of public health in Germany, 1933–45 1996-12-01
[8] Harvnb
[9] 논문 Nazi Medicine and Public Health Policy http://www.adl.org/B[...] Anti-Defamation League
[10] Harvnb
[11] Harvnb
[12] 논문 Lifestyle, health, and health promotion in Nazi Germany 2004-12-01
[13] Harvnb
[14] Harvnb
[15] 논문 Social reformers and regulation: the prohibition of cigarett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2002
[16] 잡지 A Brief History Of Cigarette Advertising http://www.time.com/[...] 2009-06-15
[17] 웹사이트 The anti-tobacco reform and the temperance movement in Australia: connections and differences. - Free Online Library https://www.thefreel[...]
[18] 논문 Uncovering the effects of smoking: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toxicolog[...] 1998-04-01
[19] 논문 The Nazi War on Tobacco: Ideology, Evidence, and Possible Cancer Consequences http://environmental[...]
[20] Harvnb
[21] Harvnb
[22] 논문 Smoking and health promotion in Nazi Germany
[23] 논문 Odol, Autobahne and a non-smoking Führer: Reflections on the innocence of public health http://ije.oxfordjou[...] 2005-06-01
[24] Harvnb
[25] Harvnb
[26] 논문 Commentary: Pioneering research into smoking and health in Nazi Germany— the 'Wissenschaftliches Institut zur Erforschung der Tabakgefahren' in Jena
[27] Harvnb
[28] Harvnb
[29] Harvnb
[30] Harvnb
[31] 뉴스 Death penalty no deterrent to smoking https://www.scmp.com[...] 2005-03-31
[32] 논문 Fritz Lickint (1898-1960) – Ein Leben als Aufklärer über die Gefahren des Tabaks http://www.ecomed-me[...]
[33] Harvnb
[34] 논문 Long-Term Consequences of Fetal and Neonatal Nicotine Exposure: A Critical Review 2010-08-01
[35] 논문 Non-cigarette tobacco use among women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36] 논문
[37] 논문 Nicotine in breast milk influences heart rate variability in the infant https://archive.toda[...] 2008-11-15
[38] 논문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assay for determination of nicotine and metabolites, caffeine and arecoline in breast milk https://web.archive.[...] 2008-11-15
[39] 논문 Breastfeeding and Smoking: Short-term Effects on Infant Feeding and Sleep 2007-09-00
[40] 논문 Use of nicotine patches in breast-feeding mothers: transfer of nicotine and cotinine into human milk http://www.nature.co[...] 2008-11-17
[41] 논문 Tobacco smoke causes premature skin aging
[42] 논문
[43] 논문 Tobacco policies in Nazi Germany: Not as simple as it seems
[44] 논문 Tobacco policies in Austria during the Third Reich. 2007-09-00
[45] 논문 Tobacco policies in Nazi Germany: not as simple as it seems 2008-05-00
[46] 논문
[47] 논문 Smoking and death. Public health measures were taken more than 40 years ago 1995-02-00
[48] 논문 Smoking and health promotion in Nazi Germany 1994-06-00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Commentary: Schairer and Schöniger's forgotten tobacco epidemiology and the Nazi quest for racial purity https://web.archive.[...] 2008-08-24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서적 The Third Reich in Power. Penguin 2006
[57] 논문 Anti-Tobacco Propaganda: Soviet Union Versus Nazi Germany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7-11-00
[58] 서적 The Third Reich in Power. Penguin 2006
[59] 논문
[60] 논문
[61] 뉴스 Tabak und Kaffee im Dritten Reich: "Verbote wurden ignoriert" https://www.taz.de/![...] 2018-08-27
[62] 웹사이트 Karasubazar https://collections.[...] World Holovaust Remembrance Center 2024-06-01
[63] 웹사이트 Nazi storm-troopers' cigarettes https://blogs.ucl.ac[...] 2018-08-25
[64] 뉴스 Reemtsmas Zwangsarbeiter: Tabakrausch im Osten http://www.spiegel.d[...] 2011-08-23
[65] 웹사이트 Reemtsma im Krieg: das Krim-Album https://www.fotoarch[...] Museum der Arbeit 2024-06-01
[66] 웹사이트 Rauchzeichen: Fotoarchiv Reemtsma in der NS-Zeit http://www.fotoarchi[...] 2018-08-25
[67] 웹사이트 Zwölf Millionen für Göring https://www.cicero.d[...] 2018-08-20
[68] 논문
[69] 논문 Tobacco policies in Nazi Germany: not as simple as it seems 2008
[70] 서적 Smoking and Tobacco Control Monograph No. 8
[71] 서적 Women and Smoking: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2001
[72] 서적 Tobacco In Australia: Facts and Issues 2018-10-09
[73] 뉴스 New ads accuse Big Tobacco of targeting soldiers and people with mental illness https://www.washingt[...] 2017-08-24
[74] 웹사이트 Burden of Tobacco Use in the U.S.: Current Cigarette Smoking Among U.S. Adults Aged 18 Years and Older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06-18
[75] 학술지 Cigarette-derived nicotine is not a medicine http://www.psy.swans[...] 2003-04-01
[76] 학술지 Nicotine psychobiology: how chronic-dose prospective studies can illuminate some of the theoretical issues from acute-dose research 2006-03-01
[77] 서적 (정보 부족) 1999
[78] 서적 (정보 부족) 1999
[79] 서적 (정보 부족) 1999
[80] 서적 (정보 부족) 1999
[81] 학술지 "Nicotine Nazis strike again": A brief analysis of the use of Nazi rhetoric in attacking tobacco control advocacy
[82] 학회 Zigarettenwerbung in Deutschland – Marketing für ein gesundheitsgefährdendes Produkt http://www.dkfz.de/d[...]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2012
[83] 학회 Factsheet Tabakwerbeverbot http://www.dkfz.de/d[...]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2001
[84] 학술지 A birth cohort analysis of the smoking epidemic in West Germany
[85] 웹사이트 Krebeserzeugende Tabakwirkung http://www.scielosp.[...]
[86] 문서 Franz H. Müller; Schairer & Schöniger
[87] 서적 (정보 부족) 2005
[88] 서적 (정보 부족) 2001
[89] 학술지 Uncovering the effects of smoking: historical perspective http://smm.sagepub.c[...]
[90] 웹사이트 Tobacco Timeline: The Twentieth Century 1900-1949--The Rise of the Cigarette http://www.tobacco.o[...] Tobacco.org
[91] 학술지 The anti-tobacco campaign of the Nazis: a little known aspect of public health in Germany, 1933-45 http://www.bmj.com/c[...]
[92] 서적 (정보 부족) 2006
[93] 웹사이트 Nazi Medicine and Public Health Policy http://www.adl.org/B[...] Dimensions, Anti-Defamation League
[94] 서적 (정보 부족) 2005
[95] 서적 (정보 부족) 1999
[96] 학술지 Lifestyle, health, and health promotion in Nazi Germany http://www.bmj.com/c[...]
[97] 서적 (정보 부족) 2004
[98] 서적 (정보 부족) 1999
[99] 서적 (정보 부족) 2005
[100] 학술지 The Nazi War on Tobacco: Ideology, Evidence, and Possible Cancer Consequences http://environmental[...]
[101] 서적 (정보 부족) 1999
[102] 서적 (정보 부족) 1999
[103] 문서 訳注: タバコ喫煙の起源はアメリカ大陸とされる(喫煙を参照)。
[104] 서적 (정보 부족) 1999
[105] 서적 (정보 부족) 2004
[106]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07] 논문 Nicotine in breast milk influences heart rate variability in the infant http://www3.intersci[...] 2008-11-15
[108] 논문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assay for determination of nicotine and metabolites, caffeine and arecoline in breast milk 2008-11-15
[109] 논문 Breastfeeding and Smoking: Short-term Effects on Infant Feeding and Sleep http://pediatrics.aa[...] 2008-11-15
[110] 논문 Use of nicotine patches in breast-feeding mothers: transfer of nicotine and cotinine into human milk http://www.nature.co[...] 2008-11-17
[111]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12] 논문 Odol, Autobahne and a non-smoking Führer: Reflections on the innocence of public health http://ije.oxfordjou[...] 2008-06-01
[113]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14]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15]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16]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1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18] 논문 Smoking and health promotion in Nazi Germany http://www.pubmedcen[...] 2008-07-21
[119]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20]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21] 논문 Commentary: Schairer and Schöniger's forgotten tobacco epidemiology and the Nazi quest for racial purity http://ije.oxfordjou[...] 2008-08-24
[122] 논문 Smoking and death. Public health measures were taken more than 40 years ago http://www.bmj.com/c[...] 2008-06-01
[123]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24]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25]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26]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2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28]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29]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30]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31] 논문 Tobacco policies in Nazi Germany: not as simple as it seems
[132]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33]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34]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35]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36] 서적 第二次世界大戦 ヒトラーの戦い 文藝春秋
[13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38] 웹인용 Krebserzeugende Tabakwirkung (Carcingogenic effects of tobacco) http://www.scielosp.[...] J. F. Lehmanns Verlag, Berlin 2009-09-13
[139]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40]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41] 웹인용 Uncovering the effects of smoking: historical perspective https://web.archive.[...] 1998-06-01
[142] 웹인용 Tobacco Timeline: The Twentieth Century 1900-1949--The Rise of the Cigarette http://www.tobacco.o[...] Tobacco.org 2008-11-15
[143] 웹인용 The anti-tobacco campaign of the Nazis: a little known aspect of public health in Germany, 1933-45 http://www.bmj.com/c[...] 2008-06-01
[144] Harvnb 2006-01-01
[145] 서적 Nazi Medicine and Public Health Policy https://archive.toda[...] Dimensions, Anti-Defamation League 2008-06-01
[146] Harvnb 2005-01-01
[147] Harvnb 1999-01-01
[148] 웹인용 Lifestyle, health, and health promotion in Nazi Germany http://www.bmj.com/c[...] 2008-07-01
[149] Harvnb 2004-01-01
[150] Harvnb 1999-01-01
[151] Harvnb 2005-01-01
[152] 웹인용 The Nazi War on Tobacco: Ideology, Evidence, and Possible Cancer Consequences https://web.archive.[...] 2008-07-22
[153] Harvnb 1999-01-01
[154] Harvnb 1999-01-01
[155] Harvnb 1999-01-01
[156] Harvnb 2004-01-01
[157] Harvnb 1999-01-01
[158] 웹인용 Nicotine in breast milk influences heart rate variability in the infant https://archive.toda[...] 2008-11-15
[159] 논문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assay for determination of nicotine and metabolites, caffeine and arecoline in breast milk 2008-11-15
[160] 웹인용 Breastfeeding and Smoking: Short-term Effects on Infant Feeding and Sleep http://pediatrics.aa[...] 2008-11-15
[161] 웹인용 Use of nicotine patches in breast-feeding mothers: transfer of nicotine and cotinine into human milk http://www.nature.co[...] 2008-11-17
[162] Harvnb 1999-01-01
[163] 웹인용 Odol, Autobahne and a non-smoking Führer: Reflections on the innocence of public health http://ije.oxfordjou[...] 2008-06-01
[164] Harvnb 2004-01-01
[165] Harvnb 2006-01-01
[166] Harvnb 1999-01-01
[167] Harvnb 1999-01-01
[168] Harvnb 1999-01-01
[169] 웹인용 Smoking and health promotion in Nazi Germany http://www.pubmedcen[...] 2008-07-21
[170] Harvnb 2007-01-01
[171] Harvnb 1999-01-01
[172] 웹인용 Commentary: Schairer and Schöniger's forgotten tobacco epidemiology and the Nazi quest for racial purity http://ije.oxfordjou[...] 2008-08-24
[173] 웹인용 Smoking and death. Public health measures were taken more than 40 years ago http://www.bmj.com/c[...] 2008-06-01
[174] Harvnb 1999-01-01
[175] Harvnb 2001-01-01
[176] 논문
[177] 논문
[178] 논문
[179] 논문
[180] 논문
[181] 논문
[182] 논문 Tobacco policies in Nazi Germany: not as simple as it seems 2008-05-00
[183] 논문
[184] 논문
[185] 논문
[186] 논문
[187]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