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급여는 근로의 대가로 지급되는 금전적 보상으로, 고대 사회부터 현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왔다. 고대에는 물물교환이나 맥주, 소금 등이 임금의 역할을 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군인에게 소금(salarium)을 지급한 것이 'salary'의 어원이 되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기업의 성장과 서비스 경제의 발달에 따라 급여를 받는 직업이 일반화되었으며, 한국에서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임금 지급 기준이 정해져 최저임금, 임금명세서 교부 등이 의무화되어 있다. 급여는 지급 방식, 계산 방식, 지급 주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각국의 법과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최근에는 최저임금, 임금 격차, 플랫폼 노동자 등의 임금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동경제학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노동경제학 - 임노동
임노동은 노동자가 고용주에게 노동력을 제공하고 임금을 받는 형태로, OECD 국가에서 가장 흔한 고용 형태이며 자본주의 체제의 기반이 되지만, 잉여가치 착취, 열악한 노동 환경, 고용 불안정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 보수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보수 - 음의 소득세
음의 소득세는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사람들에게 정부가 현금을 지급하여 빈곤층 소득을 보충하는 제도로, 시장 경제의 효율성과 소득 분배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논의되어 왔다. - 상업 및 금융에 관한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상업 및 금융에 관한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급여 | |
---|---|
급여 | |
설명 | 고용주가 직원에게 정기적으로 지불하는 형태 |
고용 계약 | |
급여와 관련 | 급여 임금 급여 포장 직원 주식 소유권 직원 복리후생 |
개인 재정 | |
주요 항목 | 개인 재정 |
관련 정보 | |
추가 정보 | 신용 부채 퇴직 개인 예산 투자 |
관련 항목 | 자산 가격 결정 은행 시민 배당금 협동조합 신용 조합 경제 거품 금융 심화 금융 포용 금융 위험 핀테크 최저 보장 소득 시장 영향 위험-수익 스펙트럼 사회 배당금 구조화 상품 지속 가능성 체계적 위험 보편적 기본 소득 변동성 (금융) 가수 주식 |
2. 역사
임금의 역사는 인류의 경제 활동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최초의 임금은 신석기 혁명 기간(기원전 10,000년에서 기원전 6,000년 사이)에 마을이나 도시에서 지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물물교환 시스템이 발달하고, 정부나 종교 단체와 같은 조직적인 고용주가 등장하면서 가능해졌다.[1]
로마 제국 시대에는 병사들에게 소금(salarium)을 지급하거나 소금 구매 비용을 보조했는데, 이는 현대 영어 단어 'salary'의 어원이 되었다.[4][5][6] 중세 및 전근대 유럽과 그 중상주의 식민지에서 봉급직 고용은 상대적으로 드물었고, 주로 하인과 높은 지위의 직책, 특히 정부 공무원에게 국한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숙소, 식사, 제복 제공 등으로 보상받았다. 길드의 장인들은 봉급을 받는 조수를 두기도 했다.[1]
1870년부터 1930년까지 제2차 산업 혁명으로 현대적인 기업이 등장하면서, 급여를 받는 관리자 계급이 널리 등장했다. "사무직"은 노력과 성과 측정이 어렵고, 주식 소유에 따른 보수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급여 고용에 적합했다.[1]
20세기 서비스 경제가 부상하면서 선진국에서는 봉급 근로가 더욱 일반화되었다. 20세기 일본의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사무직을 뜻하는 일본어 단어(샐러리맨)가 만들어졌다.[1]
일본에서는 1960년부터 1995년까지 종업원 급여가 35년 연속 증가했지만,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거나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1년 근속자의 급여 총액 또한 1949년부터 1997년까지 48년 연속 증가했지만, 이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52][53]
한국에서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임금 지급 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최저임금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일본의 샐러리맨 문화는 한국의 직장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19][20]
2. 1. 고대 사회
고대 사회에서는 물물교환이 주된 경제 시스템이었으나, 조직화된 노동력이 필요한 대규모 사업에서는 임금의 초기 형태가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점토판 기록에는 노동자들에게 맥주를 배급한 내용이 나타나는데, 이는 임금의 초기 형태 중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3] 기원전 3100년경에 쓰여진 쐐기 문자 점토판에는 메소포타미아에서 노동자들의 일일 맥주 배급량이 기록되어 있는데, 맥주는 뾰족한 바닥이 있는 직립 항아리로 표현되며, 배급량 기호는 그릇에서 먹는 사람의 머리로 표현된다. 둥글고 반원형의 자국은 측정 단위를 나타낸다.[3]히브리어 에스라기(기원전 550년~450년) 시대에는 어떤 사람으로부터 소금을 받는 것은 생계를 유지하거나, 봉급을 받거나, 그 사람의 봉사를 받는 것과 동의어였다. 당시 소금 생산은 군주 또는 지배 엘리트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되었다. 페르시아 제국의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왕의 신하들은 그들의 충성심을 "궁궐의 소금으로 간이 맞춰졌기 때문이다" 등으로 다양하게 설명한다.[1]
고대 로마에서는 병사들에게 소금(salarium)을 지급하거나 소금 구매 비용을 보조했는데, 이는 현대 영어 단어 'salary'의 어원이 되었다. 로마 병사들이 일반적으로 동전으로 급료를 받았지만, ''salarium''이라는 단어는 ''sal''(소금)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어느 시점에서 병사의 봉급이 소금 구입을 위한 수당이었거나, 병사들이 소금 공급을 정복하고 로마로 이어지는 소금길(''살라리아 가도'')을 지키는 비용이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4] [5] [6] 그러나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하는 고대의 증거는 없다.[7]
정확한 연관성과 관계없이, 로마 병사들에게 지급된 ''살라리움(salarium)''은 그 이후로 서구 세계에서 고용 형태를 정의했으며, "소금값을 하는"과 같은 표현을 낳았다.[1]
로마 역사가 플리니우스는 플리니우스의 자연사에서 "[I]n Rome. . .the soldier's pay was originally salt and the word salary derives from it..."[43]라고 하며, "바닷물"에서 유래했다고 서술하고 있다.
다른 설로는, ''soldier''는 병사의 급료로 사용되었던 솔리두스에서 유래했고, 소금을 사는 수단인 ''salarium''이었다는 주장도 있다.[44]
2. 2. 중세 및 근대 사회
중세 유럽에서는 봉건제도 하에서 농노들은 영주에게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토지 사용권과 보호를 받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1] 길드 시스템 하에서 장인들은 도제와 직인에게 기술을 전수하고 숙식과 함께 임금을 지급하는 경우가 많았다.[1] 상업 혁명과 산업 혁명 초기에는 시간제 임금, 일급, 성과급 등 다양한 형태의 임금 지급 방식이 나타났다.[1]2. 3. 현대 사회
1870년부터 1930년까지, 제2차 산업 혁명은 철도, 전기, 전신, 전화에 의해 움직이는 현대적인 기업의 등장을 가져왔다. 이 시대에는 새롭게 만들어지는 대규모 기업을 지원하는 급여를 받는 관리자 계급이 널리 등장했다.[1]새로운 관리직 일자리는 급여 고용에 적합했는데, 그 이유는 "사무직"의 노력과 성과를 시간 단위 또는 조 단위로 측정하기 어려웠고, 주식 소유에 따른 보수를 받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1]
20세기에 서비스 경제가 부상하면서 선진국에서는 봉급 근로가 더욱 일반화되었다. 산업 생산직 일자리의 상대적 비중이 감소하고, 임원, 행정, 컴퓨터, 마케팅, 창작직 일자리(이러한 일자리는 대부분 봉급 근로였다)의 비중이 증가했기 때문이다.[1]
20세기 일본의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사무직이라는 개념이 새로운 것이었기 때문에, 이 일을 하는 사람들과 그들의 보수를 가리키는 새로운 일본어 단어(샐러리맨)가 만들어졌다.[1]
일본 재무성의 법인기업통계조사에 따르면, 전 산업(금융보험업 제외)·전 규모의 종업원 급여는 1960년 3.1조엔에서 1995년 146.8조엔까지 35년 연속 증가했다. 하지만 이후 증가세가 둔화, 감소하기 시작하여 2012년에는 128.2조엔로 감소했다. 국세청의 민간급여실태통계조사에 따르면 1년 근속자의 급여 총액은 1949년 0.2조엔에서 1997년 211.5조엔까지 48년 연속 증가했지만, 이후 증가세 둔화 및 감소가 나타나 2012년에는 185.9조엔로 감소했다.[53]
2. 4. 한국
봉건 시대에는 주군으로부터 토지와 농민을 하사받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는 쌀을 봉급 대신으로 주는 것이 일반화되었다.[52]현대 한국에서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임금 지급 기준이 정해져 있다. 최저임금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임금은 매월 1회 이상 정해진 날짜에 지급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임금명세서를 교부해야 한다.[1]
일본의 샐러리맨 문화는 한국의 직장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19][20]
3. 임금 지급 기준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임금 지급 기준은 근로기준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노동자와 사용자 간의 근로계약서 및 취업규칙에 따라 구체화된다.[1] 사업주는 임금, 노동시간 등 노동조건을 근로계약서와 취업규칙으로 정하고, 그 사본을 노동자에게 지급해야 하며, 임의로 지급할 수 없다.[1]
소득세법 제28조는 '''급여소득'''을 “봉급, 급료, 임금, 세비 및 상여와 이들의 성질을 가진 급여”로 규정하며, 공무원의 근무에 대한 대가도 급여에 포함된다. 급여는 과세 여부에 따라 과세 급여와 비과세 급여로, 지급 금액의 변동 여부에 따라 고정적 급여와 변동적 급여로 분류된다. 급여 총액은 고정적 급여와 변동적 급여를 합산하고 무노동 부분 급여를 공제하여 결정된다(무노동 무급 원칙).
각 기업의 급여 체계는 근로계약규칙 내 급여체계로 정해지며, 근로자는 임금명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임금명세서는 기본급과 각종 수당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급여 계산에는 노동기준법상 “임금 전액 지급 원칙”이 적용되나, 보험료, 소득세 등은 법률에 따라 공제가 허용된다. 명목 급여에서 실제 지급되는 급여는 “실수령액”이라 한다.
급여 지급 방법은 노동기준법에 따라 근로계약규칙에 규정되어야 하며, 지급 형태는 일급, 일급월급, 월급, 연봉 등이 있다. 근로기준법 제24조 “임금 지급 5원칙”에 따라 매월 1회 이상, 정해진 날짜에 지급해야 한다. 법률상 통화에 의한 직접 지급이 원칙이며, 은행 계좌 이체는 예외적 조치로 '''근로자의 개별 동의'''가 필요하다(근로기준법 시행규칙 제7조의2 제1항).
3. 1. 주요 원칙
- 급여는 정기적으로 지급해야 한다.[1]
- 시간급은 최저임금 이상이어야 한다.[1]
- 급여는 노동자 본인에게 직접 지급해야 한다.[1]
- 임금, 노동시간 등 노동조건은 근로계약서와 취업규칙으로 정해야 하며, 그 사본을 노동자에게 지급해야 한다.[1]
- 임금명세서를 지급해야 한다. 임금명세서에는 기본급, 각종 수당, 주휴수당, 공제내역(4대보험, 소득세) 등이 명시되어야 한다.[1]
- 지각을 이유로 임금을 공제할 수 없다. 이는 초기 산업혁명 시기 자본가들이 아동 노동자들에게 행했던 횡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1]
3. 2. 임금 구성 항목 (예시)
- 기본급: 근로계약서에 따라 정해진 기본적인 임금이다.[61]
- 각종 수당: 직무수당, 주휴수당(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등이 있다.[61]
- 복지성 급여: 정기적인 식비 등 복지 목적으로 지급되는 금품이다.[61]
- 공제 항목: 4대 보험(고용보험, 산업재해, 국민연금, 건강보험), 소득세 등이 있다.[61]
3. 3. 임금 관련 법규
- 시간급은 최저임금 이상이어야 한다.
- 본인에게 직접 지급해야 한다.
- 임금, 노동시간 등 노동조건은 노동자와 사용자가 근로계약서와 취업규칙으로 정해야 하고, 사본을 지급해야 한다. 사업주가 주고 싶은 대로 줄 수 없다.
- 임금명세서를 지급해야 한다. 임금명세서에는 기본급, 정기급식비 등의 복지 목적으로 지급하는 돈, 직무수당 등의 수당, 주 15시간 이상 일한 노동자에게 주 1회 이상 유급휴가를 주어야 하는 근로기준법 55조에 근거하여 지급해야 하는 주휴수당, 공제내역(4대 보험(고용보험, 산업재해, 국민연금, 건강보험), 소득세)을 써야 한다.[48]
- 지각했다고 임금을 공제할 수 없다. 실제 초기 산업혁명 시기에 자본가들이 아동 노동자들에게 지각을 이유로 임금을 공제하는 횡포를 부렸기 때문이다.
소득세법 제28조에서는 '''급여소득'''을 “봉급, 급료, 임금, 세비 및 상여 그리고 이들의 성질을 가진 급여에 관한 소득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급료”보다 “급여”의 범위가 더 넓다. 공무원의 근무에 대한 대가도 급여이다.
급여는 과세 대상 여부에 따라 과세 급여와 비과세 급여로 분류된다. 소득세액을 계산할 때 중요한 구분이다. 또한, 매번 정해진 금액이 지급되는지에 따라 “고정적 급여”, “변동적 급여”로 분류된다. (고정적 급여도 승급 등의 이유로 변동될 수 있다. 표준보수월액, 수시개정도 참조.) 급여의 총 지급액은 고정적 급여와 변동적 급여를 더하고, 무노동 부분의 급여를 빼서 결정된다(무노동 무급의 원칙). 즉, '''급여 결정에 있어서는 실제 노동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각 기업이 어떤 급여 체계를 적용하는지는 근로계약규칙에서 급여체계(임금체계)로 정해진다. 근로자는 급여 명세서를 참고하여 급여 체계를 알 수 있다. 급여 명세서는 기본급과 각종 수당 등의 급여 항목으로 구성된다. 급여 명세서를 기재한 문서를 급여 명세서라고 한다. 구체적인 급여 계산 방법(급여 계산)은 각 기업의 급여 규정에 따라 결정된다.
급여 계산에서는 노동기준법상 “임금 전액 지급의 원칙”이 적용되며, 반올림 처리에서조차 그 규제가 미친다. 하지만 보험료와 소득세 등의 세금은 각 법률의 근거에 따라 급여에서 공제(공제)되는 것이 허용된다(원천징수, 급여세 참조). 또한, 노동기준법상 근로자와의 협약에 따라 공제가 허용되는 경우가 있다(협약 공제). 명목상의 급여에 대해 실제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급여를 속칭 “실수령액”이라고 한다.
급여 지급 방법은 각 기업에서 노동기준법에 따라 근로계약규칙을 작성할 의무가 있는 경우, 이를 규정해야 한다. 지급 형태로는 일급, 일급월급, 월급, 연봉 등의 종류가 있다. 근로기준법 제24조의 “임금 지급 5원칙”에 따라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기일에 지급해야 한다.
법률상으로는 지급 방법은 통화에 의한 직접 지급이 원칙이다(통화 지급의 원칙). 은행 등 금융기관 계좌로의 이체(급여 이체)는 법률상 어디까지나 예외적인 조치이며, '''근로자의 개별 동의'''가 없는 한 불법이다(근로기준법 시행규칙 제7조의2 제1항).
4. 임금의 형태
오늘날 급여는 고용주가 직원에게 제공하는 총 보상 시스템의 일부로서 계속 진화하고 있다. 급여는 보너스, 인센티브, 수수료, 복리후생 및 특전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는 "총 보상" 시스템의 일부로 여겨지고 있다.[1]
소득세법 제28조에서는 '''급여소득'''을 봉급, 급료, 임금, 세비, 상여 및 이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급여에 관한 소득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공무원의 근무에 대한 대가도 급여에 포함된다.
급여는 과세 대상 여부에 따라 과세 급여와 비과세 급여로 나뉘며, 이는 소득세액 계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매번 정해진 금액이 지급되는지에 따라 "고정적 급여"와 "변동적 급여"로 구분된다. 급여의 총 지급액은 고정적 급여와 변동적 급여를 더하고, 무노동 부분의 급여를 뺀 값으로 결정된다.
임금은 지급 방식, 계산 방식, 지급 주기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급여 지급 방식에는 현금 지급과 은행 계좌 이체가 있으며, 계산 방식에는 노동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급여는 지급 주기에 따라 주급, 격주급, 월급 등으로 나뉜다.
4. 1. 지급 방식
급여 지급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현금 지급: 전통적인 방식으로, 노동자에게 직접 현금을 지급한다.
- 은행 계좌 이체: 현대에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 노동자의 은행 계좌로 급여를 이체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노동자의 동의가 있어야만 가능하다.[45]
대기업에서는 급여 이체가 주를 이루지만, 중소기업이나 파트·아르바이트의 경우 현금으로 지급하기도 한다.
공무원의 경우, 1974년부터 금융기관 계좌 이체가 시작되었고, 2005년에는 산간·오지 등을 제외한 각 행정기관에서 원칙적으로 100% 급여 이체를 목표로 하고 있다.[45]
4. 2. 계산 방식
급여 계산에서 노동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기업은 근로계약규칙에 따라 급여체계를 정하며, 근로자는 급여 명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급여 계산에는 “임금 전액 지급의 원칙”이 적용되지만, 보험료와 소득세 등은 법률에 따라 원천징수, 급여세 등의 형태로 공제될 수 있다. 또한, 근로자와의 협약에 따라 공제가 허용되는 경우도 있다.급여 지급 형태는 일급, 일급월급, 월급, 연봉 등이 있으며, 근로기준법에 따라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기일에 지급해야 한다. 법률상 통화에 의한 직접 지급이 원칙이지만, 은행 계좌 이체도 근로자의 동의 하에 가능하다.
공무원의 경우, 1974년부터 금융기관 계좌 이체가 시작되었고, 2005년에는 산간·오지 등을 제외한 모든 행정기관에서 급여 전액 이체를 목표로 하였다.[45]
4. 3. 지급 주기
급여는 지급 주기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나뉜다. 매주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을 주급이라고 한다. 2주마다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은 격주급이라고 한다. 매월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은 월급이라고 하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다.5. 세계 각국의 임금 제도
유럽 연합법에 따르면 회원국 간 자본, 서비스 및 인적 자원의 이동은 제한이 없다. 최저임금과 같은 임금 결정은 여전히 각 회원국의 권한이다. 임금과 관련된 다른 사회적 혜택 또한 회원국 수준에서 결정된다.[12]
덴마크에서는 사용자, 노동자, 그리고 국가 기관 간의 3자 협상(trepartsforhandlinger)을 통해 대부분의 덴마크 민간 부문 청색 칼라 근로자에 대한 단체 임금 협약이 일반적으로 3년 또는 4년의 기간 동안 결정된다. 덴마크는 법으로 정해진 최저 임금이 없다.
이탈리아 헌법 제36조 1항[16]은 최저임금을 보장하며, 제37조 1항[16]은 여성의 동일임금을 보장한다.
네덜란드에서 가장 흔한 급여는 "얀 모달(Jan Modaal)"이라고 불린다. 네덜란드는 EU 내에서 가장 높은 급여를 지급하는 국가 상위 5위 안에 든다.[30] 네덜란드의 최저임금은 단체협상(CAOs)을 통해 결정되며, 연령에 따라 다르다.
폴란드 헌법 제65조 4항은 "임금의 최저액 또는 그 액수를 결정하는 방법은 별도의 법률로 규정한다"고 명시하고 있다.[21]
미국에서는 1938년 공정노동기준법(Fair Labor Standards Act, FLSA)에 따라 주기적인 급여와 시간급 임금을 구분하기 시작했다.[1]
일본에서는 봉건 시대에 주군이 가신에게 토지나 농민을 하사하는 형태로 봉급을 지급했다.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는 쌀을 석고로 환산하여 봉급 대신 지급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44] 소득세법 제28조는 '''급여소득'''을 규정하고 있으며, 공무원의 근무에 대한 대가도 급여에 포함된다. 재무성의 법인기업통계조사에 따르면, 전 산업 종업원 급여 총액은 1960년부터 1995년까지 35년 연속 증가했으나,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거나 감소했다.[52] 국세청의 민간급여실태통계조사에서도 1년 근속자 급여 총액이 1949년부터 1997년까지 48년 연속 증가 후 감소했다.[53]
보츠와나에서는 급여가 거의 대부분 월 단위로 지급되며, 지급일은 매달 15일부터 말일까지이다.
인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월급이 매달 마지막 근무일에 지급된다. 임금 지급법에 따르면, 직원이 1,000명 미만인 회사는 매달 7일까지, 1,000명 이상인 회사는 매달 10일까지 급여를 지급해야 한다.[13]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중간 근로자 소득은 월 2800ZAR이며, 평균 소득은 약 8500란드이다.[27]
짐바브웨는 임금과 급여의 이중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임금은 국가고용위원회(NEC)가 관리하며, 각 부문별로 자체 NEC가 존재한다. 공공 부문은 공무원위원회(Public Service Commission)의 관할 하에 임금과 급여가 협상된다.[35]
5. 1. 유럽연합 (EU)
유럽법에 따르면 회원국 간 자본, 서비스 및 인적 자원의 이동은 제한이 없다. 최저임금과 같은 임금 결정은 여전히 각 회원국의 권한이다. 임금과 관련된 다른 사회적 혜택 또한 회원국 수준에서 결정된다.[12]5. 2. 덴마크
사용자, 노동자, 그리고 국가 기관 간의 3자 협상(trepartsforhandlinger)을 통해 대부분의 덴마크 민간 부문 청색 칼라 근로자에 대한 단체 임금 협약이 일반적으로 3년 또는 4년의 기간 동안 결정된다. 이러한 협약은 "overenskomst" (OK)로 알려져 있으며, 특정 노동조합("fagforening"/"fagforbund")과 특정 사용자 단체("arbejdsgiverforening"/"arbejdsgiverorganisation") 간의 합의를 포함한다.1997년에 체결된 "Ny Løn"(영어: "new remuneration", 새로운 보수)는 덴마크 정부의 거의 모든 직원이 적용받는 공식적인 보수 시스템이다. 개인의 보수는 다음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 grundløn (기본 급여): 교육 수준 및 근무 경력에 따른 기본 급여
- kvalifikationsløn (자격 급여): 자격(추가적인 공식 또는 비공식 교육, 언어 또는 사회 기술 등)에 따른 추가 급여
- funktionstillæg (직무 보조금): 특정 직무의 책임에 대해 지급되는 추가 급여
- resultatillæg (성과 보조금): 미리 정해진 특정 성과에 대해 지급되는 추가 급여로, 일반적으로 경영진의 장기적인 동기를 부여하는 데 사용됨
- engangstillæg (일시불 보조금): 뛰어난 노력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되는 추가 급여로, 일반적으로 매년 지급됨
법으로 정해진 최저 임금은 없다. 급여는 종종 세전이지만 단체 협약("overenskomst")에 따라 고용주가 납부해야 하는 연금 혜택을 포함하는 월별 총액("månedlig bruttoløn")으로 논의되거나 제시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월별 순액("månedlig nettoløn")의 8~12%에 해당하며, 근로자 또한 일반적으로 4~6%의 금액을 납부해야 한다.
5. 3. 이탈리아
이탈리아 헌법 제36조 1항[16]은 최저임금을 보장한다.:"근로자는 그들의 노동량과 질에 상응하는 보수를 받을 권리가 있으며, 어떤 경우에도 자신과 가족의 자유롭고 존엄한 삶을 보장할 수 있는 수준의 보수를 받을 권리가 있다."
이러한 헌법적 보장은 특정 법률이 아닌, 부문별 최저임금 기준을 설정하는 단체협약을 통해 이루어진다. 단체협약은 법인격과 같은 헌법적 권리를 가진 노동조합에 의해 보호된다.
헌법 제37조 1항[16]은 여성의 동일임금을 보장한다.
:"여성 근로자는 남성과 동등한 권리와, 동일한 직무에 대해서는 동일한 임금을 받을 권리가 있다."
급여는 종종 "Retribuzione Annuale Lorda"(RAL)라는 용어로 논의되거나 제시되는데, 이는 연간 총액과 유사하다. 또한, 고용주는 계약 해지 시 근로자에게 지급하기 위해 "Trattamento di Fine Rapporto"(TFR)라는 퇴직금을 예치해야 한다.[17][18]
5. 4.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가장 흔한 급여는 "얀 모달(Jan Modaal)"이라고 불린다. "모달(modaal)"이라는 용어는 통계 용어인 최빈값(Modus)에서 유래했다. 정부의 거시경제 정책이 이 "모달" 소득 또는 급여 집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 종종 이 소득 집단을 보호하기 위해 정책이 조정된다.[29] 네덜란드어 "솔디(soldij)"는 "솔다트(soldaat)" 즉, 병사라는 단어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로마 제국 시대에 병사들에게 지급되었던 금화인 솔리두스에서 유래했다.네덜란드는 EU 내에서 가장 높은 급여를 지급하는 국가 상위 5위 안에 든다. 급여 수준과 부수적인 보너스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지만, 부수적인 혜택은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간과되었다. 하지만 이는 변화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유럽의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부수적인 혜택 측면에서는 36위를 차지한다.[30]
최저임금은 단체협상(CAOs)을 통해 결정되며, 연령에 따라 다르다. 16세의 법정 최저임금은 23세(최저임금 전액)의 최저임금보다 낮다. 최저임금 조정은 1월 1일과 7월 1일에 두 번 이루어진다. 2013년 1월 1일 21세의 최저임금은 월 1065.3유로(순액)이며, 2013년 7월 1일의 최저임금은 월 1071.4유로(순액)이다.[31] 2014년 1월 1일 23세의 경우 월 1485.6유로(세전)의 급여에 8%의 휴가 수당이 더해져 월 1604.45EUR(세전)의 급여를 받는다.
5. 5. 폴란드
폴란드 헌법 제65조 4항은 "임금의 최저액 또는 그 액수를 결정하는 방법은 별도의 법률로 규정한다"고 명시하고 있다.[21] 따라서 폴란드 국회(세임)는 2002년 10월 10일 최저임금에 관한 법률[22]을 제정하여 매년 최저임금을 설정하는 규칙과 절차를 규정하였다. 최저임금(고용계약의 경우)과 최저시간급(용역계약의 경우)은 매년 9월 15일까지 폴란드 공화국 관보 "Monitor Polski"에 장관회의가 고시한다.[23] 그 결과, 정규직 근로자에게는 법정 최저임금보다 낮은 월급을 제시할 수 없으며, 파트타임 근로자도 비례적으로 계산된 법정 최저임금의 적용을 받는다.[24]5. 6. 미국
미국에서는 1938년 공정노동기준법(Fair Labor Standards Act, FLSA)에 따라 주기적인 급여(일반적으로 근무 시간에 관계없이 지급)와 시간급 임금(최저임금 기준을 충족하고 초과 근무 수당을 지급)을 구분하기 시작했다.[1] 당시에는 최저임금과 초과 근무 수당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는 5가지 직종이 있었는데, 이들이 급여를 받는 직종이었다. 1991년에 일부 컴퓨터 관련 직종이 추가되었으나, 2004년 8월 23일부터 다시 경영직, 사무직, 전문직, 컴퓨터 관련 직종, 영업직의 5가지로 변경되었다.[1]2015년 6월, 노동부는 주급 기준을 455USD(연간 23660USD)에서 2016년 약 970USD(연간 50440USD)로 인상할 것을 제안했다.[32] 2016년 5월 18일, 초과 근무 규정을 갱신하는 최종 규칙이 발표되었는데, 2016년 12월 1일부터 시행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33][34]
주기적인 급여와 시간급 임금을 비교하는 일반적인 규칙은 연간 50주(휴가 2주 제외)의 표준 40시간 근무 주에 기반한다. 예를 들어 연간 4만 달러의 주기적인 급여를 50주로 나누면 주당 800달러가 되고, 이를 다시 40시간으로 나누면 시간당 20달러가 된다.[1]
미국에서는 과거에는 수표로 급여를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현재는 은행 송금과 급여 명세서 지급도 증가하고 있다.[54]
5. 7. 일본
일본에서는 봉건 시대에 주군이 가신에게 토지나 농민을 하사하는 형태로 봉급을 지급했다.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는 쌀을 석고로 환산하여 봉급 대신 지급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44]소득세법 제28조에서는 '''급여소득'''을 “봉급, 급료, 임금, 세비 및 상여 그리고 이들의 성질을 가진 급여에 관한 소득”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공무원의 근무에 대한 대가도 급여에 포함된다. 급여는 과세 여부에 따라 과세 급여와 비과세 급여로, 지급 금액의 변동 여부에 따라 고정적 급여와 변동적 급여로 분류된다.
각 기업은 근로계약규칙에 따라 급여체계를 정하며, 근로자는 기본급과 각종 수당 등으로 구성된 급여 명세서를 통해 급여 체계를 확인할 수 있다. 급여 계산에는 노동기준법상 “임금 전액 지급의 원칙”이 적용되지만, 보험료와 소득세 등의 세금은 법률에 따라 원천징수 형태로 공제될 수 있다.[44]
급여 지급 방법은 근로기준법 제24조의 “임금 지급 5원칙”에 따라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기일에 통화로 직접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다. 은행 계좌 이체는 예외적인 조치로, 근로자의 동의가 필요하다.[44] 하지만 대기업에서는 급여 이체가 일반적이며, 공무원의 경우 2005년도부터 산간·오지를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전액 이체 지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45]
재무성의 법인기업통계조사에 따르면, 전 산업 종업원 급여 총액은 1960년부터 1995년까지 35년 연속 증가했으나,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거나 감소하여 2012년에는 128.2조 엔으로 감소했다.[52] 국세청의 민간급여실태통계조사에서도 1년 근속자 급여 총액이 1949년부터 1997년까지 48년 연속 증가 후 감소하여 2012년에는 185.9조 엔으로 감소했다.[53]
'샐러리맨'은 일본 특유의 직장 문화를 상징하는 용어로, 학창 시절부터 훈련받은 젊은이들이 회사에 입사하여 전적인 헌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20]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등 전시에는 미국에서 법률상 무상 자원봉사자가 인정되지 않아 정부 및 기업 간부들이 1달러 연봉으로 일하는 경우가 있었다. 버나드 바룩이 대표적인 인물이다.[55][59]
5. 8. 보츠와나
보츠와나에서는 급여가 거의 대부분 월 단위로 지급되며, 지급일은 매달 15일부터 말일까지이다. 급여 지급일은 보통 회사에서 결정하며, 노동조합과 함께 결정하기도 한다.보츠와나 고용법 제47:01장 7장은 고용 계약에서 임금 보호를 규정한다. 임시직 근로자를 제외하고 최소 및 최대 임금 지급 기간은 1주일 미만 또는 1개월을 초과할 수 없으며,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은 경우 법 제75조에 따라 월 단위가 기본 임금 지급 기간이며, 임금 지급 기간 후 3번째 근무일 이전에 지급되어야 한다. 임금은 근무 시간 중 근무 장소에서 또는 직원의 동의를 얻어 은행 계좌를 통해 지급되어야 한다. 급여는 법정 통화로 지급되어야 하지만, 직원과 그의 가족의 개인적 사용 및 이익에 적합하고 그러한 현물 지급에 귀속되는 가치가 공정하고 합리적인 경우 현물로 일부 지급하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현물 지급은 직원에게 지급되는 총액의 40%를 초과할 수 없다.
최저임금은 최저임금 자문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장관이 설정하고, 조정하고, 폐지할 수 있다. 규정된 범주에는 건설, 호텔, 음식 서비스, 도매, 경비, 가정 서비스 부문, 농업 부문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부문에 대해 설정된 현재 최저임금은 법률의 하위 법규에 명시되어 있다.
출산 휴가 중인 여성은 고용법에 규정된 바에 따라 급여의 25%를 받을 자격이 있지만, 대부분의 회사는 해당 기간 동안 약 50%를 지급한다.[11]
5. 9. 인도
인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월급이 매달 마지막 근무일에 지급된다(정부, 공공 부문, 다국적 기업 및 대다수의 다른 민간 기업). 임금 지급법에 따르면, 직원이 1,000명 미만인 회사는 매달 7일까지, 1,000명 이상인 회사는 매달 10일까지 급여를 지급해야 한다.[13]인도의 최저 임금은 1948년 최저임금법에 따라 규정된다.[14] 인도의 직원들에게는 급여 인상이 서면으로 통지된다.[15]
5. 10.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간 근로자 소득은 월 2800ZAR이며, 평균 소득은 약 8500란드이다. 이 수치는 남아프리카공화국 통계에서 찾을 수 있다. 실제로 이 수치는 빈곤선 이하에 있는 상당수의 인구가 동일한 고용 기회를 갖지 못하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사회의 엄청난 격차를 반영한다.[27]백인(9500란드)과 인도/아시아계(6000란드) 인구의 월 중간 소득은 유색인종(2652란드)과 흑인 아프리카인(2167란드) 인구의 월 중간 소득보다 상당히 높았다. 흑인 아프리카인은 백인 인구의 22%, 인도/아시아계 인구의 36.1%, 유색인종 인구의 81.7%의 소득을 얻었다. 하위 5%에서 흑인 아프리카인은 월 500란드 이하를 벌었지만 백인 인구는 2000란드 이하를 벌었고, 상위 5%에서는 흑인 아프리카인은 12,567란드 이상을, 백인 인구는 34,000란드 이상을 벌었다.[28]
5. 11. 짐바브웨
짐바브웨는 임금과 급여의 이중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임금은 국가고용위원회(NEC, National Employment Council)가 관리하며, 각 부문별로 자체 NEC가 존재한다. 이 위원회에는 노동조합과 고용주 대표가 참여한다. 공공 부문은 공무원위원회(Public Service Commission)의 관할 하에 임금과 급여가 협상된다.[35]최저임금, 기본 근로 조건 및 보수에 대한 임금 협상은 매년 또는 격년으로 이루어지며, 협상이 결렬될 경우 노동부의 중재를 받는다. 중재 결과는 해당 산업의 모든 기업에 대해 구속력을 가진다.[35] 급여는 각 직원이 직접 협상하지만, NEC는 상대적인 임금 수준에 영향을 미쳐 급여 직원에게 일종의 척도 역할을 한다.[35]
짐바브웨의 급여와 임금은 일반적으로 매월 지급된다. 대부분의 회사는 20일경에 지급하며, 정부 직원의 급여 지급 시기는 분산되어 있다. 농업 노동자들은 일반적으로 월말에 급여를 받는다.[35]
짐바브웨는 은행 이용률이 높은 사회로, 대부분의 급여가 은행 계좌로 지급된다. 모든 정부 직원은 은행을 통해 급여를 받는다. 그러나 "달러화"(짐바브웨 달러에서 미국 달러로의 전환) 이후 비공식 부문이 증가하면서, 이 부문의 임금은 '갈색 봉투'로 지급되기도 한다.[35]
근로소득세(PAYE, Pay As You Earn)는 짐바브웨 세수의 상당 부분(45%)을 차지한다.[35] 높은 실업률을 고려할 때, 세금 부담이 상당히 무겁다.[35] 평균 급여는 250USD 정도이며, 고소득층의 급여는 경쟁력이 있지만 높은 생활비로 인해 상쇄된다.[35]
초인플레이션 시대에는 임금이 불규칙적으로 지급되었지만, 월 2회 지급되어 생산 요소 중 가장 저렴한 요소였다. 근로자들이 돈을 인출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보수는 종종 다음과 같은 형태로 지급되었다.[35]
- 연료 쿠폰 (가장 인기)
- 회사가 판매하는 제품 (예: 도축장의 돼지고기/육류)
- 외화 지급 (불법이었으며, 특별 허가가 필요)
- 주식 시장 상장 회사의 주식
가격은 통제되었기 때문에, 제품으로 보수를 지급함으로써 근로자들은 실제 가치로 되팔 수 있었다.[35]
짐바브웨는 전통적으로 노동력 비용 면에서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었지만, "달러화"와 높은 생활비로 인해 이러한 경쟁 우위는 점차 침식되고 있다.[35]
6. 임금 관련 논쟁 및 사회적 이슈 (한국 중심)
대한민국에서 임금한국어과 관련된 논쟁은 뜨거운 감자 중 하나이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 성별 및 고용 형태에 따른 임금 격차, 플랫폼 노동자와 특수고용직 노동자의 권익 보호 문제는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6. 1. 최저임금 논쟁
최저임금 인상은 저임금 노동자의 소득을 늘리고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는 중요한 정책 수단이다. 그러나 급격한 인상은 고용 감소, 물가 상승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적정 수준을 찾아야 한다. 한편, 최저임금의 과도한 인상은 기업의 부담을 가중시켜 고용을 감소시키고,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즉, 시장 원리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최저임금위원회가 매년 최저임금을 결정하며, 최근 몇 년간 큰 폭의 인상이 이루어졌다. 이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6. 2. 임금 격차 문제
임금 격차한국어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사례를 보면, 인종 및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백인과 인도/아시아계 인구의 월 중간 소득은 유색인종과 흑인 아프리카인 인구보다 훨씬 높았다.[28] 흑인 아프리카인은 백인 인구 소득의 22%에 불과한 소득을 얻는 등 인종 간 소득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이다.[28]성별 임금 격차 역시 중요한 문제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남성의 월 중간 소득은 여성보다 높았으며, 여성의 소득은 남성의 77.1% 수준에 그쳤다.[28] 이러한 성별 임금 격차는 남성과 여성이 협상 전략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37] 연구에 따르면 남성은 직접적으로 높은 급여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여성은 자기 홍보 전략을 강조하는 간접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38]
임금 격차는 사회 전체의 소득 불균형으로 이어진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간 근로자 소득과 평균 소득 간의 큰 차이는 사회 내 심각한 격차를 반영한다.[27] 이는 빈곤선 이하의 인구가 상당수 존재하며, 이들이 동일한 고용 기회를 갖지 못하는 현실을 보여준다.[27]
한국의 소득세법 제28조에서는 급여소득을 봉급, 급료, 임금, 세비 및 상여 등 이와 유사한 성격의 급여로 정의하고 있다. 급여는 급료보다 더 넓은 범위를 가지며, 공무원의 근무에 대한 대가도 포함된다.
6. 3. 플랫폼 노동자, 특수고용직 노동자의 임금 문제
플랫폼 노동자와 특수고용직 노동자는 새로운 고용 형태로서, 이들의 노동자성 인정, 최저임금 적용, 사회보험 가입 확대 등을 통해 노동 조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1] 이러한 주장은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 주로 제기된다.[1]반면, 플랫폼 노동자와 특수고용직은 개인 사업자 성격이 강하므로 노동법 적용에 신중해야 하며, 과도한 규제는 새로운 산업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보수적인 관점도 존재한다.[1]
최근 플랫폼 경제가 성장하면서 플랫폼 노동자, 특수고용직 노동자의 권익 보호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으며, 관련 법제도 개선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Define salary - Dictionary and Thesaurus
http://salary.askdef[...]
2016-03-05
[2]
웹사이트
When and How to Disclose your Salary Requirements
http://humanresource[...]
2016-03-05
[3]
웹사이트
BBC History of the World in 100 Objects
http://www.britishmu[...]
2010-11-11
[4]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16-03-05
[5]
웹사이트
Salt [ NaCl ] made the world go round
http://www.salt.org.[...]
2016-03-05
[6]
웹사이트
The SALT ROADS of Turkey
http://www.salt.org.[...]
2016-03-05
[7]
웹사이트
Kiwi Hellenist: Salt and salary: were Roman soldiers paid in salt?
http://kiwihellenist[...]
2017-01-11
[8]
웹사이트
Statistical Abstract of the United States: 2012
http://www.census.go[...]
U.S. Census Bureau
[9]
서적
Encyclopedia of Human Resources Information Systems
https://books.google[...]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10]
서적
Six Figure Salary Negotiation: Industry Insiders Get You the Money You Deserve
https://books.google[...]
Adams Media
[11]
웹사이트
Botswana Employment Act of 1982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Towers Watson: Employee Benefits, HR Consulting, Risk Management Insurance
http://www.towerswat[...]
2016-03-05
[13]
웹사이트
Last Date Of Payment Of Salary
http://www.citehr.co[...]
2011-06-13
[14]
웹아카이브
null
http://labourbureau.[...]
2011-02-24
[15]
웹사이트
The Minimum Wages Act, 1948
http://www.ilo.org/d[...]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16]
웹사이트
The Italian Constitution
http://www.quirinale[...]
The official website of the Presidency of the Italian Republic
[17]
웹사이트
Labour Costs in Italy: a Summary and a Comparison
https://www.cocuzzae[...]
Cocuzza & Associati Studio Legale, Milano
2022-06-29
[18]
웹사이트
TFR payment to employees in Italy
https://global-ppl.c[...]
Global People
2021-05-20
[19]
웹사이트
EUdict
http://www.eudict.co[...]
2016-03-05
[20]
서적
Japan
[21]
웹사이트
Konstytucja Rzeczypospolitej Polskiej
https://www.sejm.gov[...]
[22]
웹사이트
Ustawa z dnia 22 lipca 2016 r. o zmianie ustawy o minimalnym wynagrodzeniu za pracę oraz niektórych innych ustaw
https://isap.sejm.go[...]
[23]
웹사이트
Monitor Polski Dziennik Urzędowy Rzeczpospolitej Polskiej
https://monitorpolsk[...]
[24]
웹사이트
Employment and Labor Law in Poland
https://www.dudkowia[...]
Dudkowiak Kopeć Putyra
2021-10-29
[25]
논문
Myth and measurement: The new economics of the minimum w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간행물
New Approaches to Poverty Analysis II: Reducing poverty through labor market policies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bor Studies,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Geneva
[27]
웹사이트
What salary can you expect in South Africa?
http://cap40.co.za/f[...]
2016-03-05
[28]
웹사이트
Monthly earnings of South Africans, 2010
http://www.statssa.g[...]
Statistics South Africa
[29]
웹사이트
Veel gestelde vragen
http://www.gemiddeld[...]
2016-03-05
[30]
웹사이트
Secundaire arbeidsvoorwaarden steeds belangrijker in salarisonderhandelingen
http://www.haygroup.[...]
2016-03-05
[31]
웹사이트
Hoe hoog is het minimumloon?
http://www.rijksover[...]
2016-03-05
[32]
웹사이트
FACT SHEET: PROPOSED RULEMAKING TO UPDATE THE REGULATIONS DEFINING AND DELIMITING THE EXEMPTIONS FOR "WHITE COLLAR" EMPLOYEES ''DOJ''
http://www.dol.gov/w[...]
[33]
웹사이트
Fact Sheet: Final Rule to Update the Regulations Defining and Delimiting the Exemption for Executive, Administrative, and Professional Employees ''Wage and Hour Division''
https://web.archive.[...]
[34]
웹사이트
Payslipview
https://web.archive.[...]
2021-11-10
[35]
웹사이트
Zimbabwe Revenue Authority (ZIMRA)
https://web.archive.[...]
2016-03-05
[36]
논문
Who asks and who receives in salary negotiation
https://onlinelibrar[...]
2011-10-25
[37]
논문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salary negotiations by male and female MBA graduates
https://doi.org/10.1[...]
1991
[38]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salary negotiation skills: The role of goals, self-efficacy, and perceived control
https://doi.org/10.1[...]
1993
[39]
뉴스
Lifelong Confidence Rewarded in Bigger Pay Packets
http://www.afr.com/n[...]
2012-11-28
[40]
웹사이트
Stereotype threat in salary negotiations is mediated by reservation salary
http://www.njl.nu/up[...]
2012-10-01
[41]
웹사이트
Mywage.co.za - all about Gender Pay Gap in South Africa
https://web.archive.[...]
2016-03-05
[42]
기타
null
[43]
웹사이트
Plinius Naturalis Historia XXXI
https://penelope.uch[...]
[44]
웹사이트
null
http://www.etymonlin[...]
[45]
간행물
衆議院議員長妻昭君提出国家公務員の給与振込み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2004-03-30
[46]
보도자료
農林水産省職員の給与の全額振込の状況について(速報値)
https://web.archive.[...]
農林水産省
2007-09-27
[47]
기타
null
[48]
기타
null
[49]
웹사이트
[手続名]給与支払事務所等の開設・移転・廃止の届出
https://www.nta.go.j[...]
国税庁
[50]
웹사이트
法人設立後に必要な届出書類
https://www.yayoi-kk[...]
弥生の起業家応援プロジェクト
2016-01-15
[51]
웹사이트
No.7411 「給与所得の源泉徴収票」の提出範囲と提出枚数等
https://www.nta.go.j[...]
国税庁
[52]
기타
null
[53]
기타
null
[54]
간행물
アメリカにおける賃金制度の現状と新動向
1994-03
[55]
웹사이트
31 U.S. Code § 1342 – Limitation on voluntary services
https://www.law.corn[...]
Legal Information Institute
2014-03-19
[56]
뉴스
How World War I Transformed Washington
https://www.politico[...]
2018-03-19
[57]
웹사이트
One Dollar a Year Men May Lose Two Months' Pay Because of Tax
https://cdnc.ucr.edu[...]
2018-03-19
[58]
서적
The Independent
https://books.google[...]
Independent Publications, incorporated
1918
[59]
뉴스
The Century-Long History of Tapping Wall Street to Run the Government
https://www.smithson[...]
2018-03-20
[60]
웹사이트
The myth of the $1 CEO – 1 – executive compensation –
http://money.msn.com[...]
MSN
2012-01-17
[61]
웹인용
Salary
http://humanresource[...]
2016-03-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올해 상반기 금융권 ‘연봉킹’은...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
증권가 호황에 상반기 보상도 두둑 ···김남구 회장 57억
‘진단 늦고 희망 짧다’던 담도암, 건강보험 개정으로 ‘새 빛’ [건강한겨레]
“비슷한 지혈제 가격차 228배…비급여 사각지대 관리해야”
메타페이, AI 에이전트로 4대보험 신고 자동화 – 바이라인네트워크
653만 원 월급에 혹했는데…"한 달에 30일 일했다"
"남친 밑에서 10년 일했는데…수당이 3년 차 직원보다 못합니다" | JTBC 뉴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작년 보수 8억 2천만 원
조현상 HS부회장, 효성 떠나며 나홀로 특별공로금 85억 받아
[매경경영지원본부] 개인사업자의 법인전환, 사업에 미치는 영향은?
워크데이, 스트라다가 제공하는 ‘워크데이 급여 솔루션’ 발표…AI 활용 – 바이라인네트워크
인사·급여 자동화 ‘뉴플로이’,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사업 선정… 70% 할인 – 바이라인네트워크
불평불만 새나가자...'비밀주의' 애플, 직원들 슬랙 단속 – 바이라인네트워크
비대면 시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비용이 부족하다면 – 바이라인네트워크
깃랩 "사무실 임대료를 왜 내죠?"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