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르사노프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르사노프 정리는 확률 과정 이론에서 중요한 정리로, 1960년 이고르 기르사노프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 정리는 확률 측도 변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어떤 확률 측도 P에 대해 절대 연속인 다른 확률 측도 Q가 존재할 때, 모든 P-세미마팅게일은 Q-세미마팅게일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정리는 확률 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거나 금융공학에서 위험 중립 측도를 도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확률미분방정식 - 칼만 필터
    칼만 필터는 잡음이 있는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선형 동적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하는 재귀 필터로, 예측과 보정 단계를 반복하며 항법 시스템, 레이더 추적,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확률미분방정식 - 이토 확률 과정
    이토 확률 과정은 확률 공간에서 정의되고 위너 과정을 포함하는 확률 미분 방정식을 따르는 확률 과정으로, 적응적이고 연속적인 경로를 가지며 이토 적분의 형태를 갖고, 금융 공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불확실성 모델링에 사용되며, 이토 보조 정리, 콜모고로프 방정식 등의 수학적 도구로 분석되고, 마르코프 성질과 펠러 연속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 확률미적분학 - 이토 적분
    이토 적분은 확률 공간 위에서 정의되는 기초 확률 과정들의 극한으로, 위너 확률 과정에 대한 적분이며 확률 미적분학의 핵심 도구이다.
  • 확률미적분학 - 위험중립측도
    위험중립측도는 투자자의 위험 선호도를 배제하고 미래 현금 흐름의 기대값을 무위험 이자율로 할인하여 파생 상품의 가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 수학 정리 - 마스터 정리
    마스터 정리는 분할 정복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 분석 도구로서, 점화식을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재귀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정렬 및 일반 알고리즘 분석에 활용되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적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수학 정리 - 베이즈 정리
    베이즈 정리는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사건 A가 일어났을 때 사건 B가 일어날 확률과 사건 B가 일어났을 때 사건 A가 일어날 확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사전 확률과 가능도를 이용하여 사후 확률을 계산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기르사노프 정리
개요
분야확률론
이름의 유래이가라스 기르사노프
내용
설명기르사노프 정리는 확률 공간의 측도를 변경하여 확률 과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금융 수학에서 특히 유용하며, 원래의 확률 측도에서 과정의 움직임과 다른 확률 측도에서 과정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관련 개념확률 측도
확률 과정

2. 역사

카자흐스탄 태생의 수학자 이고르 기르사노프(И́горь Влади́мирович Гирсанов)가 1960년에 기르사노프 정리를 발표하기 전에,[1] 1940년대에 카메론(Cameron)과 마틴(Martin)이 이와 관련된 초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의 연구는 확률 과정의 측도 변환에 대한 기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카자흐스탄 태생의 수학자 이고리 블라디미로비치 기르사노프/И́горь Влади́мирович Гирсановru가 1960년에 발표하였다.[1] 이러한 유형의 결과는 1940년대에 카메론-마틴(Cameron-Martin)에 의해 처음 증명되었고, 이후 더 일반적인 종류의 과정으로 확장되었다.[1]

기르사노프 정리는 1940년대에 카메론-마틴(Cameron-Martin)에 의해 처음 증명되었고, 1960년에 이고르 기르사노프에 의해 발표되었다.[1] 이후 1977년, 렝가르(Lenglart)에 의해 더 일반적인 종류의 확률 과정으로 확장되었다.

2. 1. 초기 연구 (1940년대)

카자흐스탄 태생의 수학자 이고르 기르사노프가 1960년에 기르사노프 정리를 발표하기 전에,[1] 1940년대에 카메론(Cameron)과 마틴(Martin)이 이와 관련된 초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의 연구는 확률 과정의 측도 변환에 대한 기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2. 2. 기르사노프의 발표 (1960년)

카자흐스탄 태생의 수학자 이고리 블라디미로비치 기르사노프/И́горь Влади́мирович Гирсановru가 1960년에 발표하였다.[1] 이러한 유형의 결과는 1940년대에 카메론-마틴(Cameron-Martin)에 의해 처음 증명되었고, 이후 더 일반적인 종류의 과정으로 확장되었다.[1]

2. 3. 확장 (1970년대)

기르사노프 정리는 1940년대에 카메론-마틴(Cameron-Martin)에 의해 처음 증명되었고, 1960년에 이고르 기르사노프에 의해 발표되었다.[1] 이후 1977년, 렝가르(Lenglart)에 의해 더 일반적인 종류의 확률 과정으로 확장되었다.

3. 의의

기르사노프 정리는 확률 과정 이론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정리는 어떤 확률 측도 ''P''에 대해 절대 연속인 다른 확률 측도 ''Q''가 존재할 때, 모든 ''P''-세미마팅게일은 ''Q''-세미마팅게일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확률 과정의 일반 이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만약 ''Q''가 ''P''에 관하여 측도가 절대 연속이라면, 모든 ''P''-세미마팅게일은 ''Q''-세미마팅게일이라는 핵심적인 결과를 가능하게 한다.

4. 정리의 내용

확률공간 (\Omega,\mathcal{F},\mathbb{P})와 위너 과정을 따르는 확률 변수 W_{t}, 그리고 여과 \mathcal{F}_{t}^{W}에 순응하는 가측 함수 X_{t}가 있다고 가정한다. 만약 X_{0}=0일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Z_t=\mathcal{E} (X)_t\,

여기서 \mathcal{E}(X)XW에 대한 돌레앙 지수(Doléans exponential}})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mathcal{E}(X)_t=\exp \left ( X_t - \frac{1}{2} [X]_t \right )

여기서 [X]X이차변동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Z_t는 항상 양의 값을 갖는 국소 마팅게일(local martingale)이며, 확률공간 (\Omega,\mathcal{F})에 대해 다음과 같은 라돈-니코딤 도함수를 갖는 새로운 확률 측도 \mathbb{Q}를 정의할 수 있다.

:\frac{d \mathbb{Q}}{d \mathbb{P영어 |_{\mathcal{F}_t} = Z_t = \mathcal{E} (X )_t

이 경우 만약 어떤 확률과정 Y_t가 확률 측도 \mathbb{P} 하에서 마팅게일이라면 아래와 같이 정의된 확률과정 \tilde{Y}_t는 여과확률공간 (\Omega,\mathcal{F},\mathcal{F}_{t},\mathbb{Q})의 국소 마팅게일이다.

:\tilde Y_t = Y_t - \left[ Y,X \right]_t

우선 기본적인 확률 과정이 비너 과정인 특수한 경우에 대해 정리를 제시한다. 이 특수한 경우는 블랙-숄즈 모형에서 위험 중립적 가격 결정을 하기에 충분하다.

\{W_t\}를 비너 확률 공간 \{\Omega,\mathcal{F},P\}에서 비너 과정이라고 하자. X_t를 비너 과정 \{\mathcal{F}^W_t\}의 자연 여과에 적응된 가측 과정이라고 하자. 일반적인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가정한다.

적응 과정 X_t가 주어졌을 때, 다음을 정의한다.

:Z_t=\mathcal{E} (X)_t,\,

여기서 \mathcal{E}(X)는 ''W''에 대한 ''X''의 확률 지수이다. 즉,

:\mathcal{E}(X)_t=\exp \left ( X_t - \frac{1}{2} [X]_t \right ),

그리고 [X]_t는 과정 ''X''의 2차 변동을 나타낸다.

만약 Z_t가 마팅게일이면, 확률 척도 ''Q''를 라돈-니코딤 도함수를 사용하여 \{\Omega,\mathcal{F}\}에서 정의할 수 있다.

:\left .\frac{d Q}{d P} \right|_{\mathcal{F}_t} = Z_t = \mathcal{E} (X )_t

그런 다음 각 ''t''에 대해 보강되지 않은 시그마 필드 \mathcal{F}^o_t로 제한된 척도 ''Q''는

:\mathcal{F}^o_t.\,

로 제한된 ''P''와 동치이다.

또한, 만약 Y_t가 ''P'' 하에서 국소 마팅게일이면, 과정

:\tilde Y_t = Y_t - \left[ Y,X \right]_t

는 필터링된 확률 공간 \{\Omega,F,Q,\{\mathcal{F}^W_t\}\}에서 ''Q'' 국소 마팅게일이다.

4. 1. 기본 가정

확률공간 (\Omega,\mathcal{F},\mathbb{P})와 위너 과정을 따르는 확률 변수 W_{t}, 그리고 여과 \mathcal{F}_{t}^{W}에 순응하는(adapted) 가측 함수(measurable function) X_{t}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만약 X_{0}=0일 경우 다음이 성립한다.

:Z_t=\mathcal{E} (X)_t\,

여기서 \mathcal{E}(X)XW에 대한 돌레앙 지수(Doléans exponential}})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mathcal{E}(X)_t=\exp \left ( X_t - \frac{1}{2} [X]_t \right )

여기서 [X]X이차변동성을 나타낸다.

Z_t는 항상 양의 값을 갖는 국소 마팅게일(local martingale)이며, 확률공간 (\Omega,\mathcal{F})에 대해 다음과 같은 라돈-니코딤 도함수를 갖는 새로운 확률 측도 \mathbb{Q}를 정의할 수 있다.

:\frac{d \mathbb{Q}}{d \mathbb{P영어 |_{\mathcal{F}_t} = Z_t = \mathcal{E} (X )_t

만약 어떤 확률과정 Y_t가 확률 측도 \mathbb{P} 하에서 마팅게일이라면 아래와 같이 정의된 확률과정 \tilde{Y}_t는 여과확률공간 (\Omega,\mathcal{F},\mathcal{F}_{t},\mathbb{Q})의 국소 마팅게일이다.

:\tilde Y_t = Y_t - \left[ Y,X \right]_t

4. 2. 돌레앙 지수 (Doléans Exponential)

확률공간 (\Omega,\mathcal{F},\mathbb{P})에서 위너 과정을 따르는 확률 변수 W_{t}와 여과 \mathcal{F}_{t}^{W}에 순응하는 가측 함수 X_{t}가 있을 때, X_{0}=0이면 X_{t}의 돌레앙 지수 \mathcal{E}(X)_t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cal{E}(X)_t=\exp \left ( X_t - \frac{1}{2} [X]_t \right )

여기서 [X]_tX_t의 이차 변동(quadratic variation)을 나타낸다. Z_t = \mathcal{E}(X)_t는 항상 양의 값을 갖는 국소 마팅게일이며,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확률 측도 \mathbb{Q}를 정의할 수 있다.

4. 3. 확률 측도 변경

확률공간 (\Omega,\mathcal{F},\mathbb{P})에서 위너 과정을 따르는 확률 변수 W_{t}여과 \mathcal{F}_{t}^{W}에 순응하는 가측 함수 X_{t}가 있을 때, X_{0}=0이면 Z_t=\mathcal{E} (X)_t가 성립한다. 여기서 \mathcal{E}(X)XW에 대한 돌레앙 지수(Doléans exponential}})이며, \mathcal{E}(X)_t=\exp \left ( X_t - \frac{1}{2} [X]_t \right )로 정의된다. [X]X이차변동성을 나타낸다.

Z_t는 항상 양의 값을 갖는 국소 마팅게일(local martingale)이므로, 확률공간 (\Omega,\mathcal{F})에 대해 다음과 같은 라돈-니코딤 도함수를 갖는 새로운 확률 측도 \mathbb{Q}를 정의할 수 있다.

:\frac{d \mathbb{Q}}{d \mathbb{P영어 |_{\mathcal{F}_t} = Z_t = \mathcal{E} (X )_t

만약 확률과정 Y_t가 확률 측도 \mathbb{P} 하에서 마팅게일이면, \tilde{Y}_t = Y_t - \left[ Y,X \right]_t로 정의된 확률과정 \tilde{Y}_t는 여과확률공간 (\Omega,\mathcal{F},\mathcal{F}_{t},\mathbb{Q})의 국소 마팅게일이다.

4. 4. 마팅게일 성질 보존

확률공간 (\Omega,\mathcal{F},\mathbb{P})와 위너 과정을 따르는 확률 변수 W_{t}, 그리고 여과 \mathcal{F}_{t}^{W}에 순응하는 가측 함수 X_{t}가 있다고 가정할 때, X_{0}=0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Z_t=\mathcal{E} (X)_t\,

여기서 \mathcal{E}(X)XW에 대한 돌레앙 지수(Doléans exponential}})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athcal{E}(X)_t=\exp \left ( X_t - \frac{1}{2} [X]_t \right )

여기서 [X]X이차변동성을 나타낸다.

Z_t는 항상 양의 값을 갖는 국소 마팅게일(local martingale)이며, 확률공간 (\Omega,\mathcal{F})에 대해 다음과 같은 라돈-니코딤 도함수를 갖는 새로운 확률 측도 \mathbb{Q}를 정의할 수 있다.

:\frac{d \mathbb{Q}}{d \mathbb{P영어 |_{\mathcal{F}_t} = Z_t = \mathcal{E} (X )_t

만약 확률 과정 Y_t가 확률 측도 \mathbb{P} 하에서 마팅게일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된 확률 과정 \tilde{Y}_t는 여과확률공간 (\Omega,\mathcal{F},\mathcal{F}_{t},\mathbb{Q})의 국소 마팅게일이다.

:\tilde Y_t = Y_t - \left[ Y,X \right]_t

4. 5. 따름정리 (Corollary)

만약 X가 연속 과정이고 W가 척도 P 하에서 브라운 운동이면,

: \tilde W_t =W_t - \left [ W, X \right]_t

Q 하에서 브라운 운동이다.

\tilde W_t가 연속이라는 사실은 자명하다. 기르사노프 정리에 의해 이는 Q 국소 마팅게일이며, 다음을 계산함으로써

:\left[\tilde W \right]_t= \left [ W \right]_t = t

레비의 브라운 운동 특성에 의해 이는 Q 브라운 운동임을 알 수 있다.

4. 6. 추가 설명

확률공간 (\Omega,\mathcal{F},\mathbb{P})와 위너 과정을 따르는 확률 변수 W_{t}, 그리고 여과 \mathcal{F}_{t}^{W}에 순응하는 가측 함수 X_{t}가 있다고 가정할 때, X_{0}=0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Z_t=\mathcal{E} (X)_t\,

여기서 \mathcal{E}(X)XW에 대한 돌레앙 지수(Doléans exponential}})이며, [X]X이차변동성을 나타낸다.

Z_t는 항상 양의 값을 갖는 국소 마팅게일(local martingale)이며, 확률공간 (\Omega,\mathcal{F})에 대해 다음과 같은 라돈-니코딤 도함수를 갖는 새로운 확률 측도 \mathbb{Q}를 정의할 수 있다.

:\frac{d \mathbb{Q}}{d \mathbb{P영어 |_{\mathcal{F}_t} = Z_t = \mathcal{E} (X )_t

어떤 확률과정 Y_t가 확률 측도 \mathbb{P} 하에서 마팅게일이라면, \tilde{Y}_t = Y_t - \left[ Y,X \right]_t로 정의된 확률과정 \tilde{Y}_t는 여과확률공간 (\Omega,\mathcal{F},\mathcal{F}_{t},\mathbb{Q})의 국소 마팅게일이다.

많은 경우, 확률 과정 ''X''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X_t = \int_0^t Y_s\, d W_s.

이때, \mathcal{E}(X)가 마팅게일이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노비코프 조건이다.

확률 지수 \mathcal{E}(X)는 확률 미분 방정식을 푸는 과정 ''Z''이다.

: Z_t = 1 + \int_0^t Z_s\, d X_s.\,

위에서 구성된 측도 ''Q''는 \mathcal{F}_\infty에서 ''P''와 동등하지 않다.

\tilde{W}_t=W_t-\int_0^tY_sds ( t\in [0,T] )는 Q 브라운 운동이다. 이것이 이고르 기르사노프의 위 정리의 원래 공식이다.

5. 응용

금융공학에서, 기르사노프 정리는 실제 측도(physical measure)로부터 위험중립측도를 도출해내는 데 사용되며, 이렇게 도출한 위험중립측도파생상품의 가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 위험중립측도를 활용한 가격 결정 방법 가운데 대부분은 자산 가격이 위너 과정을 따른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확률 과정이 위너 과정이라는 특수한 경우에 대해서만 이 정리를 증명하더라도 실제로 활용하는 데 큰 문제가 없다.

이 정리는 블랙-숄즈 모형에서 유일한 위험 중립 측도, 즉 파생 상품의 공정 가치가 할인된 기대값인 측도를 구하는데 사용될수 있다.

한국의 파생상품 시장에서도, 특히 ELS와 같은 상품의 가격 결정에 기르사노프 정리가 활용된다.

기르사노프 정리는 확률 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에도 응용된다. 특히, 랑주뱅 방정식과 같이 드리프트 항(drift term)을 포함하는 확률 미분 방정식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구체적으로 다음 방정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dXt=μ(t, Xt)dt+dWt,

여기서 Wt브라운 운동을 나타내며, μ 와 σ는 고정된 결정론적 함수이다. 이 방정식이 [0,T] 에서 고유한 강한 해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기르사노프 정리를 사용하여 Xt의 함수를 브라운 운동과 관련된 함수를 통해 직접 계산할 수 있다.

연속 함수 C([0,T]) 에 대한 모든 유계 함수 Φ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EΦ(X)=E[Φ(W)exp(∫0T μ(s,Ws)dWs-(1/2)∫0Tμ(s,Ws)2ds)].

이는 기르사노프 정리와 위의 관찰을 마팅게일 과정

:Yt=∫0tμ(s,Ws)dWs.

에 적용하여 얻을 수 있다.

과정

:W̃t=Wt-∫0tμ(s,Ws)ds

는 Q 브라운 운동이며, 이를 미분 형태로 다시 쓰면

:dWt=dW̃t+μ(t,Wt)dt,

가 된다. W̃t 가 Q 브라운 운동이므로, Q 하에서 Wt 의 법칙은 Xt 를 정의하는 방정식을 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다음 두 방정식

:dXt=μ(Xt,t)dt+σ(Xt,t)dWt,

:dYt=(μ(Yt,t)+ν(Yt,t))dt+σ(Yt,t)dWt,

이 모두 [0,T] 에서 고유한 강한 해를 허용한다면, C([0,T]) 에 대한 모든 유계 함수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EΦ(X)=E[Φ(Y)exp(-∫0T (ν(Ys,s)/σ(Ys,s))dWs-(1/2)∫0T (ν(Ys,s)2/σ(Ys,s)2)ds)].

5. 1. 금융 공학

금융공학에서, 기르사노프 정리는 실제 측도(physical measure)로부터 위험중립측도를 도출해내는 데 사용되며, 이렇게 도출한 위험중립측도파생상품의 가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 위험중립측도를 활용한 가격 결정 방법 가운데 대부분은 자산 가격이 위너 과정을 따른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확률 과정이 위너 과정이라는 특수한 경우에 대해서만 이 정리를 증명하더라도 실제로 활용하는 데 큰 문제가 없다.

이 정리는 블랙-숄즈 모형에서 유일한 위험 중립 측도, 즉 파생 상품의 공정 가치가 할인된 기대값인 측도를 구하는데 사용될수 있다.

한국의 파생상품 시장에서도, 특히 ELS와 같은 상품의 가격 결정에 기르사노프 정리가 활용된다.

5. 2. 랑주뱅 방정식 (Langevin Equation)

기르사노프 정리는 확률 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에도 응용된다. 특히, 랑주뱅 방정식과 같이 드리프트 항(drift term)을 포함하는 확률 미분 방정식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구체적으로 다음 방정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dX_t=\mu(t, X_t)dt+dW_t,

여기서 W_t 브라운 운동을 나타내며, \mu \sigma 는 고정된 결정론적 함수이다. 이 방정식이 [0,T] 에서 고유한 강한 해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기르사노프 정리를 사용하여 X_t 의 함수를 브라운 운동과 관련된 함수를 통해 직접 계산할 수 있다.

연속 함수 C([0,T]) 에 대한 모든 유계 함수 \Phi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E \Phi(X)=E\left[ \Phi(W)\exp\left(\int_0^T \mu(s,W_s)dW_s-\frac{1}{2}\int_0^T\mu(s,W_s)^2ds\right)\right].

이는 기르사노프 정리와 위의 관찰을 마팅게일 과정

: Y_t=\int_0^t\mu(s,W_s)dW_s.

에 적용하여 얻을 수 있다.

과정

: \tilde{W}_t=W_t-\int_0^t\mu(s,W_s)ds

는 Q 브라운 운동이며, 이를 미분 형태로 다시 쓰면

: dW_t=d\tilde{W}_t+\mu(t,W_t)dt,

가 된다. \tilde{W}_t 가 Q 브라운 운동이므로, Q 하에서 W_t 의 법칙은 X_t 를 정의하는 방정식을 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다음 두 방정식

: dX_t=\mu(X_t,t)dt+\sigma(X_t,t)dW_t,

: dY_t=(\mu(Y_t,t)+\nu(Y_t,t))dt+\sigma(Y_t,t)dW_t,

이 모두 [0,T] 에서 고유한 강한 해를 허용한다면, C([0,T]) 에 대한 모든 유계 함수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E \Phi(X)=E\left[ \Phi(Y)\exp\left(-\int_0^T \frac{\nu(Y_s,s)}{\sigma(Y_s,s)}dW_s-\frac{1}{2}\int_0^T \frac{\nu(Y_s,s)^2}{\sigma(Y_s,s)^2}ds\right)\righ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