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비크 (방호순양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비크는 3,000톤급 정찰 순양함으로, 러시아 태평양 함대 강화를 위해 독일의 쉬히하우-베르케에서 건조되었다. 1902년 시험 운항에서 25.08노트의 속도를 기록하며 당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순양함 중 하나였다. 러일 전쟁 중 코르사코프 해전에서 자침되었으나, 일본 해군에 의해 인양되어 스즈야로 개명된 후 통보함으로 사용되다 1913년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 해군의 순양함 - 팔라다 (방호순양함)
팔라다는 1890년대 말 러시아 해군이 건조한 팔라다급 방호순양함으로,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뤼순 항에서 침몰 후 일본 해군에 노획되어 쓰가루로 사용되다 자침 처분되었다. - 러시아 제국 해군의 순양함 - 바랴크 (방호순양함)
바랴크는 1901년 러시아 제국 해군에 취역한 방호순양함으로, 러일 전쟁 중 제물포 해전에서 자침되었고, 이후 일본 해군에서 운용되다 러시아에 재구매되었지만, 스코틀랜드 해안에서 좌초되어 해체되었다. - 1900년 선박 - 미카사 (전함)
미카사는 러일 전쟁에서 활약한 일본 제국 해군의 전함으로, 쓰시마 해전에서 발트 함대를 격파하는 데 기여했으며 현재 요코스카에 기념함으로 보존되어 있는 세계 유일의 현존하는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이다. - 1900년 선박 - 러시아 전함 타우리스 공작 포툠킨
러시아 전함 타우리스 공작 포툠킨은 1897년 건조를 시작해 1905년 완공된 러시아 제국 해군 소속 전함으로, 당시 가장 강력한 함선으로 평가받았으며 1905년 선원 반란, 함명 변경,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등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 자침한 배 - USS 렉싱턴 (CV-2)
USS 렉싱턴(CV-2)은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따라 순양전함에서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1927년 취역, 36,000톤의 배수량과 78대의 항공기 탑재 능력을 갖춘 세계 최대 규모의 항공모함이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중 산호해 해전에서 일본군의 공격으로 1942년 5월 침몰하였고, 2018년 잔해가 발견되었다. - 자침한 배 - USS 오리스카니 (CV-34)
USS 오리스카니(CV-34)는 제2차 세계 대전 후반 건조된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현대화 개장을 통해 함재기 운용 능력을 향상시킨 후 퇴역, 현재는 멕시코만 해저에 침몰하여 다이버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가 되었다.
노비크 (방호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종 | 방호순양함 |
이름 | 노비크 (Новик) |
명명 유래 | 불명 |
러시아 제국 해군 복무 이력 | |
소속 국가 | 러시아 제국 |
건조 | 1898년 |
건조 조선소 | 독일 시샤우 조선소 |
기공 | 1900년 2월 |
진수 | 1900년 8월 2일 |
완공 | 알 수 없음 |
획득 | 알 수 없음 |
취역 | 1901년 5월 3일 |
퇴역 | 알 수 없음 |
운용 | 알 수 없음 |
퇴역 | 알 수 없음 |
제적 | 알 수 없음 |
모항 | 알 수 없음 |
훈장 | 알 수 없음 |
최후 | 1904년 8월 20일 자침 |
비고 | 알 수 없음 |
일본 제국 해군 복무 이력 | |
소속 국가 | 일본 제국 |
함명 | 스즈야 (鈴谷) |
획득 | 1904년, 전리품으로 획득 |
취역 | 알 수 없음 |
퇴역 | 알 수 없음 |
제적 | 알 수 없음 |
모항 | 알 수 없음 |
최후 | 1913년 4월 1일, 해체 |
제원 | |
함 종류 | 방호순양함 |
길이 | 수선 |
추진 | 3축, 3개의 3단 팽창 증기 기관 |
동력 | 12개의 보일러, |
항속 거리 | 에서 에서 |
승조원 | 340명 |
무장 (건조 당시) | |
주포 | 6 × 120 mm (4.7 in) 포 |
부포 | 6 × 포 |
기타 무장 | 2 × 포 5 × 어뢰 발사관 |
무장 (스즈야) | |
주포 | 2 × 120 mm (4.7 in) 포 |
부포 | 4 × 포 |
기타 무장 | 6 × 포 2 × 포 |
장갑 | |
비고 | 알 수 없음 |
2. 함형
러시아 제국이 독일 엘블롱크에서 건조한 2등 방호순양함이다. 25노트의 속력으로 당시 순양함보다 몇 노트 빠른 정찰 순양함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했다. 함수에는 램을 장착했다.[23]
러일 전쟁의 황해 해전에 참가하여 혼자 도주했지만 사할린 코르사코프 부근에서 지토세와 쓰시마에 발견되어 공격을 당해 손상을 입고 좌초되었다. (코르사코프 해전). 이후 일본 해군이 끌어 올려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정비한 후, 1906년 8월 20일 '''통보함 스즈야'''(鈴谷)로 편입시켰다. 그러나 피해가 커서 완전 복구는 포기하고, 3축 추진을 1축 추진으로 바꾸고 보일러 수를 줄여 속력이 19노트로 떨어졌다.[12]
취역 후 대부분은 뤼순 경비함으로 사용되었으나 8년(취역은 5년 미만) 정도를 더 사용하다가 단기간에 퇴역시켰다.
2. 1. 노비크
3개의 굴뚝과 1개의 마스트[23]를 가진 방호순양함이다.당시 초고속 순양함이자 경순양함의 선구자였으며, 구축함 습격이나 강력한 정찰에 위력을 발휘했다.[9] 함수에는 램을 장착했다.
2. 2. 스즈야
러일 전쟁 중 코르사코프 해전에서 큰 피해를 입고 좌초된 노비크는 일본 해군에 의해 인양되어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수리되었다. 일본 해군은 노비크의 빠른 속력에 주목했지만, 완전 복구보다는 경비 및 통신 목적으로 활용하기로 결정했다.[12]수리 과정에서 원래 3축 추진 방식은 1축(중앙)으로 변경되었고, 보일러 수가 감소하여 속력은 19노트로 감소했다.[12][23] 또한, 1개의 마스트와 2개의 굴뚝을 가진 특징적인 외관으로 재탄생했다.[12]
1906년 8월 20일, 통보함 '''스즈야'''(鈴谷)로 일본 해군 함적에 편입되었다.[12] 이후 대부분 뤼순 경비함으로 사용되었으며,[23] 1912년 8월 28일에는 2등 해방함으로 재분류되었다. 1913년 4월 1일 퇴역하여 매각되었다.[66]

3. 무장
노비크는 3개의 굴뚝과 1개의 마스트를 가진 방호순양함으로, 당시 초고속 순양함이나 경순양함의 선구자였으며, 구축함 습격이나 강력한 정찰에 위력을 발휘했다.[9] 함수에는 램이 장착되어 있었다.
코르사코프 해전에서 큰 피해를 입고 자침한 노비크는 이후 일본에 의해 인양되어 수리되었고, 일본 해군에서 ''스즈야''로 취역했다.
수리 과정에서 노비크의 원래 보일러는 8개의 미야바라 보일러로 교체되었고, 3개의 굴뚝은 2개로 줄었으며, 측면 엔진이 제거되어 출력이 감소했다. 선수와 선미 주포는 120mm 포로, 선체 중앙의 4문의 120mm 포는 76mm 포로 교체되었다. 6문의 47mm 핫치키스 포와 2문의 37mm 포는 유지되었다.
자료에 따라 스즈야의 무장 정보는 다음과 같이 차이가 있다.[53]
3. 1. 노비크 (러시아)
3개의 굴뚝과 1개의 마스트[23]를 가진 방호순양함이다. 당시에는 초고속 순양함이나 경순양함의 선구자였으며, 구축함 습격이나 강력한 정찰에 위력을 발휘했다.[9] 함수에는 램을 가지고 있다.3. 2. 스즈야 (일본)
일본 제국 해군은 코르사코프 해전에서 큰 피해를 입고 자침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노비크의 속도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1905년 8월, 일본은 공병대를 파견하여 노비크를 전리품으로 인양했으며, 이 작업은 거의 1년이 걸렸다. 요코스카 해군 조병창에서 잔해를 수리한 후, 1906년 8월 20일 일본 제국 해군에서 ''스즈야''로 취역했다. 새 이름은 노비크가 나포된 가라후토의 스즈야 강에서 따왔다.[12]
수리 과정에서 원래 보일러는 8개의 미야바라 보일러로 교체되었고, 3개의 굴뚝은 2개로 줄었으며, 측면 엔진이 제거되어 출력이 6,000마력으로 감소했다. 선수와 선미 주포는 120mm 포로 교체되었고, 선체 중앙의 4문의 120mm 포는 76mm 포로 교체되었다. 또한 6문의 47mm 핫치키스 포와 2문의 37mm 포를 유지했다. 모든 수리는 1908년 12월에 완료되었으며, 공식적으로 순양함이 아닌 통보함으로 지정되었다.
''스즈야''는 일본 제국 해군에서 주로 고속 정찰 및 통신선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전투 피해와 보일러 수 감소로 인해 수리된 함선은 원래 25kn의 최대 속도에 비해 19kn의 최대 속도만 낼 수 있었다. 무선 통신의 발전으로 통신선의 필요성이 줄어들면서, ''스즈야''는 1912년 8월 28일 2급 해방함으로 재분류되었고, 1913년 4월 1일 폐기되어 고철로 판매되었다.
자료에 따라 무장 정보에 차이가 있다.[53]
4. 운용
1901년 준공된 ''노비크''는 러시아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으로, 빠른 속력을 가진 정찰 순양함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1] 러시아 태평양 함대에 배속되어 뤼순항을 모항으로 활동하다가, 러일 전쟁에서 큰 피해를 입고 자침했다. 이후 일본에 노획되어 통보함 "스즈야"(鈴谷)로 운용되다가 1913년에 제적되어 매각되었다.
''노비크''의 활약상과 일본 해군에 노획된 이후의 운용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기 | 소속 | 주요 활동 |
---|---|---|
1902년 9월 ~ 1903년 4월 | 러시아 제국 해군 | 킬 운하를 거쳐 태평양으로 이동, 뤼순항 도착[2] |
1903년 5월 | 러시아 제국 해군 | 일본 방문, 러시아 전쟁부 장관 알렉세이 쿠로파트킨을 고베와 나가사키로 수송[2] |
1904년 | 러시아 제국 해군 | 뤼순항 해전, 황해 해전 참전, 코르사코프 해전에서 자침[3][4][5][6][7][8] |
1906년 8월 20일 | 일본 제국 해군 | 스즈야로 함적 편입[10][9] |
1908년 9월/10월 ~ 1912년 | 일본 제국 해군 | 뤼순 경비함, 1908년 11월 17일 고베 앞바다에서 실시된 대연습 관함식에 참례[23][57][58], 사세보, 뤼순, 인천, 웨이하이웨이, 자오저우만 등지에서 경비 및 훈련 임무를 수행[59][60][61][62] |
1912년 8월 28일 | 일본 제국 해군 | 2등 해방함으로 함종 변경[23] |
1913년 4월 1일 | 일본 제국 해군 | 제적 후 오사카시의 아오야마 신사부로에게 75000JPY에 매각[65] |
4. 1. 러시아 해군 (노비크)
1901년 준공된 ''노비크''는 러시아 제국 해군의 방호순양함으로, 빠른 속력을 가진 정찰 순양함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1] 러시아 태평양 함대에 배속되어 뤼순항을 모항으로 활동했다.1902년 9월, ''노비크''는 킬 운하를 거쳐 태평양으로 이동했다. 브레스트, 카디스, 나폴리, 피레아스를 거쳐 전함과 합류했다.[2] 수에즈 운하를 통과한 후 제다, 지부티, 아덴, 콜롬보, 사방, 싱가포르, 마닐라, 상하이를 경유하여 1903년 4월 뤼순항에 도착했다.
1903년 5월, ''노비크''는 외교 임무를 위해 아스콜트와 함께 일본을 방문, 러시아 전쟁부 장관 알렉세이 쿠로파트킨을 고베와 나가사키로 수송했다. 이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정비를 받고 짙은 올리브색으로 도색된 후 뤼순항으로 복귀했다.
1904년 뤼순항 해전에서 ''노비크''는 단독으로 일본 구축함들을 추격하며 203mm 포탄에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3][4] 함장 니콜라이 폰 에센은 적극적으로 전투에 임하여 일본 함대에 어뢰를 발사하기도 했으나, 명중시키지는 못했다.[5]
1904년 3월, 마카로프 제독은 ''노비크''를 기함으로 하여 일본 구축함과 교전 중이던 자국 구축함을 구출하려 했으나, 일본 장갑 순양함의 도착으로 뤼순항으로 귀환했다.[6][7] 4월에는 유사한 사건이 발생, ''노비크''는 페트로파블롭스크 등과 함께 출격했으나, 기함이 기뢰에 맞아 침몰하는 비극을 겪었다.[8]
1904년 6월 23일, ''노비크''는 빌헬름 비트게프트 제독 지휘 하에 뤼순항 탈출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7월에는 일본군의 공격을 지원하고, 일본 기뢰 제거대를 공격하기도 했다. 8월 8일에는 다구산 지상군 지원에 나섰다가 일본 함대의 접근으로 철수했다.
1904년 8월 10일, 황해 해전에서 ''노비크''는 3발의 피탄으로 피해를 입고 승무원 2명이 사망했다. 칭다오를 거쳐 블라디보스토크로 탈출을 시도했으나, 연료 부족으로 코르사코프에 기항했다. 일본 순양함 쓰시마와 지토세의 추격을 받던 ''노비크''는 아니바 만에 갇혔고, 코르사코프 해전에서 큰 피해를 입고 자침했다.
4. 2. 일본 해군 (스즈야)
러일 전쟁 중 코르사코프 해전에서 손상되어 자침했던 러시아 방호순양함 노비크를 일본 해군이 인양하여 1906년 8월 20일 통보함 "스즈야"(鈴谷)로 함적에 편입시켰다.[10][9] 피해가 커서 완전 복구는 포기하고, 3축 추진을 1축 추진으로, 보일러 수를 줄여 속력은 19노트로 감소했다.[11]1908년 9월 또는 10월,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정비를 완료한 후 주로 뤼순 경비함으로 사용되었다.[23] 1908년 11월 17일, 고베 앞바다에서 실시된 대연습 관함식에 참례하여 제3열 13번째에 정박했다.[57][58]
1909년부터 1912년까지 사세보, 뤼순, 인천, 웨이하이웨이, 자오저우만 등지에서 경비 및 훈련 임무를 수행했다.[59][60][61][62]
1912년 8월 28일, 2등 해방함으로 함종이 변경되었다.[23] 1913년 4월 1일 제적되어[65] 오사카시의 아오야마 신사부로에게 75000JPY에 매각되었다.[66]
5. 평가
노비크는 건조 당시 25노트의 빠른 속력을 가진 정찰 순양함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했다.[11] 러시아 제국 해군의 주력함 중 하나로, 러일 전쟁의 황해 해전에 참가했다. 그러나 코르사코프 해전에서 일본 제국 해군에게 공격받아 손상 후 자침했다.
이후 일본 해군에 의해 인양되어 요코스카 해군 공창에서 정비 후, 1906년 8월 20일 통보함 '스즈야'로 일본 해군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피해가 커서 완전 복구는 하지 못하고, 3축 추진에서 1축 추진으로 변경, 보일러 수를 줄여 속력이 19노트로 감소했다.
스즈야는 주로 뤼순 경비함으로 사용되었으며,[23] 8년(취역은 5년 미만)이라는 짧은 기간 운용 후 퇴역했다. 이는 무선 통신의 발달로 인해 통보함의 효용성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노비크/스즈야의 역사는 당시 열강들의 해군력 경쟁과 기술 발전, 그리고 전쟁의 흐름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6. 연표
- 1899년 독일 그단스크de 근처의 엘블롱크de 시샤우 조선소에서 기공.
- 1900년 8월 15일 진수.
- 1901년 준공.
- 1904년 8월 21일 사할린 코르사코프 앞바다에서 일본 함대의 공격을 받아 손상을 입고 좌초.[1]
- 1905년 8월 인양 작업 시작. 약 1년 후 부양 성공. 하코다테에서 응급 수리 후 요코스카 조병창에서 본격 정비.[1]
- 1906년 8월 20일 일본 함적에 편입, 통보함으로 분류를 바꾸고 함 이름을 스즈야(鈴谷)로 변경.[1]
- 1908년 9월 또는 10월 정비 완료.[1]
- 1912년 8월 28일 2등해방함에 편입.[1]
- 1913년 4월 1일 퇴역 후 매각.[1]
참조
[1]
뉴스
Article 21 July 1901 New York Times
https://timesmachine[...]
[2]
뉴스
Naval & Military intelligence
The Times
1902-10-11
[3]
서적
Steer
1913
[4]
서적
Corbett
2015
[5]
뉴스
Article New York Times
https://timesmachine[...]
[6]
서적
Steer
1913
[7]
서적
Corbett
2015
[8]
서적
Corbett
2015
[9]
문서
海軍艦艇史2巡洋艦(1980) p.136、写真No.2208の解説
[10]
서적
ロシアの20世紀
東洋書店
2007
[11]
서적
日本の軍艦 第5巻
[12]
문서
海軍艦艇史2巡洋艦(1980) p.138、写真No.2214の解説
[13]
문서
阿部要目表1994 p.50
[14]
문서
M44公文備考23/試験検査(4) 画像24、旅順鎮守府明治四十四年検定汽醸集合成績表
[15]
문서
M45(T1)公文備考31/修理改造 大正元年分(4) 画像19、軍艦鈴谷第九号罐修理ニ関スル件「本艦ノ現ニ装備シアル罐四個ノ内第九号罐以外ノ他ノ三罐モ(以下略)」
[16]
문서
海軍制度沿革10-1(1972) p.491、「通報艦定員表 其五」「将校同相当官23人、准士官7人、下士60人、卒222人」
[17]
문서
M44公文備考68/艦砲検定射撃成績表(5) 画像2、「旅順鎮守府検定射撃各艦艇砲種別成績表(軍艦)」
[18]
문서
M44公文備考72/魚形水雷戦闘発射(2) 画像36、「魚形水雷発射報告第二表」
[19]
문서
M44公文備考72/魚形水雷戦闘発射(4) 画像37、「旅順鎮守府明治四十四年度軍艦教練発射集合成績表」
[20]
문서
M44公文備考75/魚形水雷発射集合成績表(2) 画像9、「軍艦鈴谷明治四十四年度魚形水雷発射集合成績報告」
[21]
문서
M45(T1)公文備考31/修理改造 大正元年分(4) 画像16-17、大正元年8月31日旅鎮第105号の2「軍艦鈴谷罐修理ニ関スル件」
[22]
문서
M45(T1)公文備考31/修理改造 大正元年分(4) 画像14、大正元年9月20日官房第417号の2「旅鎮第一〇五號ノ二上申軍艦鈴谷第九號罐修理ヲ役務変更迄著手セザルノ件認許ス」
[23]
서적
聯合艦隊軍艦銘銘伝
[24]
서적
日本軍艦史 第7巻
[25]
문서
M42公文備考17/修理(2) 画像39-40、明治42年2月10日官房第308号の2『横廠第四号ノ五軍艦鈴谷「ビルジキール」新設ノ件認許ス 備考 本艦ノGM.ハ今日普通ノ状態ニ於テ約三呎八吋(排水量約二六〇〇)ニシテ著シク高キニ○○ル○之ヲ減少スルノ方法ナキヲ以テ「ビルジキール」新設然ルベシト認ム』
[26]
문서
M42公文備考17/修理(2) 画像42-43
[27]
문서
M44公文備考22/改造修理2止(6) 画像35-48
[28]
문서
M44公文備考22/改造修理2止(3) 画像29-34
[29]
기타
[30]
기타
[31]
서적
The Imperial Russian Navy
[32]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3]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4]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5]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6]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7]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8]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39]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0]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1]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2]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3]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4]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5]
서적
海軍艦艇史2巡洋艦(1980)
[46]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7]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8]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49]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0]
서적
日露旅順海戦史
[51]
서적
海軍艦艇史2巡洋艦(1980)
[52]
문서
M39公文備考17/造修6止(6)
[53]
서적
日本海軍全艦艇史(1994)
[54]
문서
M41公文備考9/試験検査(3)
[55]
문서
M41公文備考9/試験検査(3)
[56]
문서
M41公文備考34/雑(6)
[57]
문서
M41公文備考40/行幸御次第書並勅語(2)
[58]
문서
M41公文備考40/行幸御次第書並勅語(2)
[59]
문서
S9.12.31恩給叙勲年加算調査(下)/軍艦(3)
[60]
문서
M45(T1)公文備考20/艦船行動回航及派遣(4)
[61]
문서
M45(T1)公文備考20/艦船行動回航及派遣(4)
[62]
문서
M45(T1)公文備考20/艦船行動回航及派遣(4)
[63]
문서
T2公文備考22/行動回航及派遣、航路予定(5)
[64]
문서
T2公文備考22/行動回航及派遣、航路予定(5)
[65]
문서
海軍制度沿革(巻8、1940)
[66]
문서
T2公文備考22/亡失、売却及撤去、処分(3)
[67]
문서
M42公文備考17/修理(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