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베를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베를린은 1920년 프로이센 주의회에서 통과된 법률로, 베를린 시의 행정 구역을 확장하여 주변 도시와 농촌 지역을 통합한 것이다. 이 법은 베를린의 면적을 66km²에서 878km²로, 인구를 190만 명에서 약 400만 명으로 증가시켜 런던, 뉴욕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로 만들었다. 대베를린법은 20개의 구를 설정하고, 통합된 도시 계획을 가능하게 하여 1920년대 베를린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까지도 법적 효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후 베를린의 시계, 구역, 도로명 등이 변경되었고, 2001년에는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정 구역 개편 - 오사카도 구상
오사카도 구상은 오사카부와 오사카시의 행정 체제 통합을 통해 도쿄도와 유사한 광역 자치 단체를 만들고자 했으나, 주민 투표 부결로 실현되지 못한 구상이다. - 행정 구역 개편 - 경기도의 분할
경기도의 분할은 경기도를 남북 또는 4개 도 등으로 나누려는 논의를 포괄하며, 조선 시대에는 경기좌도와 경기우도로 구분되었고, 1991년부터 분할 주장이 제기되어 경기 남·북도로 분할하는 법률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 프로이센의 주 - 동프로이센
동프로이센은 발트해 연안에 위치했던 역사적 지역으로, 튜턴 기사단,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과 폴란드로 분할되었다. - 프로이센의 주 - 서프로이센
서프로이센은 비스툴라 강 하류와 발트 해 연안을 포괄하는 역사적 지역으로, 폴란드 왕령, 프로이센 왕국 병합, 폴란드 할양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폴란드에 속하며, 독일어, 폴란드어, 카슈브어 사용 인구가 공존했다. - 베를린의 역사 - 동백림 사건
동백림 사건은 1967년 중앙정보부가 발표한 대규모 간첩단 사건으로, 서독과 프랑스 거주 유학생, 교민 등 194명이 동베를린을 거점으로 북한과 접촉하여 간첩 활동을 했다는 혐의를 받은 박정희 정권의 대표적인 공안 조작 사건으로, 민주화 이후 재심을 통해 무죄 판결을 받은 피해자들이 많다. - 베를린의 역사 - 베를린 봉쇄
베를린 봉쇄는 1948년 소련이 서베를린에 대한 육상 및 수상 접근을 차단하여 서방 연합국을 압박하려 한 사건으로, 서방 연합국의 공수작전으로 봉쇄는 해제되었으며 냉전 초기 동서 진영 간의 긴장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대베를린 | |
---|---|
개요 | |
명칭 | 대베를린 |
독일어 명칭 | Groß-Berlin |
법률 명칭 | Gesetz über die Bildung einer neuen Stadtgemeinde Berlin (새로운 베를린 시 건설에 관한 법률) |
별칭 | Groß-Berlin-Gesetz (대베를린 법) |
기본 정보 | |
유형 | 법률 |
관할 | 프로이센 자유주 |
발효일 | 1920년 10월 1일 |
제정 목적 | 베를린 및 주변 지역의 행정 구역 통합 |
영향 | 베를린 면적 확대 인구 증가 새로운 행정 구조 형성 |
배경 | |
배경 | 베를린의 급속한 성장과 그에 따른 행정 문제 증가 주변 지역과의 협력 필요성 증대 효율적인 도시 계획 및 관리의 필요성 |
내용 | |
주요 내용 | 베를린 시와 주변의 도시, 촌락, 영지 등을 통합하여 새로운 도시 공동체 형성 통합 대상: 알트-베를린, 쾰른, 샬로텐부르크, 슈판다우, 리히텐베르크, 빌머스도르프, 기타 다수 지역 새로운 행정 구역 설정: 20개 구 (Bezirke) 베를린 시의회 및 행정부 개편 |
법적 근거 | |
법적 근거 | 프로이센 지방자치법 (Preußische Städteordnung) 관련 법률 및 규정 |
영향 및 결과 | |
도시 계획 | 통합된 행정 구역을 바탕으로 도시 계획 수립 및 실행 용이 교통, 주택, 기반 시설 등의 문제 해결 |
경제 | 경제력 집중 및 성장 촉진 새로운 산업 및 일자리 창출 |
사회 | 사회 통합 및 균형 발전 도모 문화적 다양성 증진 |
평가 | |
평가 | 긍정적 평가: 도시 기능 향상, 경제 성장, 사회 통합 부정적 평가: 지역 간 불균형 심화, 관료주의 확대 |
관련 정보 | |
관련 단체 | 베를린 시 의회 프로이센 주 정부 |
관련 법률 | 프로이센 지방자치법 |
참고 자료 | Groß-Berlin-Gesetz im Wortlaut (대베를린 법 원문) Kommentare und Analysen (해설 및 분석) |
같이 보기 | 베를린의 역사 베를린 브란덴부르크주 |
추가 정보 | |
추가 정보 | 대베를린 법은 이후 베를린의 발전과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침 현재의 베를린 시 경계는 대베를린 법에 의해 확정됨 베를린은 독일의 수도이자 유럽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성장 |
2. 대베를린으로의 개발
산업 혁명과 1871년 독일 제국 성립 이후 베를린의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프로이센 왕국과 독일 제국의 수도였던 베를린과 주변 지역의 농경지는 주거 및 산업 용지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1820년경부터 베를린 시역을 확장하려는 논의가 있었다. 모아비트, 베딩, 티어가르텐과 남부의 쇠네베르크, 템펠호프 등이 거론되었으나, 베를린과 주변 지역 간의 이해관계가 엇갈렸다. 1860년 1월 28일 프로이센 왕국의 결정으로 이듬해 1월 1일 이들 지역이 베를린에 편입되었다.
도시와 주변 지역의 이해관계 충돌을 조정하기 위해 1875년 당시 베를린 시장 아르투어 욘손 호브레흐트는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슈판다우, 쾨페니크 시와 텔토 군, 니더바르님 군을 통합하여 새로운 베를린 주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으나, 프로이센 정부와 주변 지역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890년대 이후 도시 및 교통 계획 미비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불공평한 재정 조달 문제가 다시 논의되었다. 부유한 남서부 교외 지역은 적은 사회적 지출 덕분에 세금 감면 혜택을 누렸지만, 중심 도시 지역과 동부 교외 지역은 그렇지 못했다.
1906년 통합된 기본 계획안을 마련하기 위해 베를린 건축가 협의회에서 아이디어 공모전이 개최되었다. 1907년 대베를린 건축가 위원회가 설립되어 통합 개발 계획의 기본 지침을 담은 "대베를린 도시 개발 계획 제안"을 제출했다. 1908년부터 1909년까지 국제 공모전이 개최되었고, 1910년 5월부터 6월까지 베를린 예술대학교에서 공모안 전시회가 열렸다.
1911년 7월 1일 법을 통해 대베를린협회가 설립되었다. 주된 목적은 통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조정하는 것이었지만, 프로이센과 독일 제국 정치에서 "붉은" 베를린의 영향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목표였다. 그러나 협회는 구속력이 없어 법적 목적을 수행할 수 없었고, 지자체 간 사회적 격차를 조정할 권한도 없었다.
20세기 초반 인구는 완만하게 증가하여 1912년 210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독일 11월 혁명으로 독일 제국이 붕괴된 후에야 대베를린 설립이 정치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대베를린협회의 성과로는 1915년에 체결된 영구 산림 계약이 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도 유효하다.
thumb
2. 1. 초기 논의 (1820년-1860년)
산업 혁명이 시작되고, 특히 1871년 독일 제국 건국 이후 베를린이 고도로 산업화되면서 인구가 계속 증가했다. 당시 농업 용도로 사용된 프로이센의 수도와 독일 제국의 수도권의 빈 땅을 주거지 및 산업용지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났다.1820년경부터 베를린 시역을 당시의 근교 지역이었던 모아비트, 베딩, 티어가르텐과 남부의 경작지였던 쇠네베르크와 템펠호프로 확장하는 안이 논의되었다. 도시와 근교지의 이해 관계자는 단기적인 이익에만 관심이 있었다. 니더바르님군은 모아비트와 베딩 지역의 높은 사회적 지출 때문에 재정적인 문제로 베를린 편입을 찬성했고, 텔토군은 쇠네베르크와 템펠호프 지역에서 거둬 들이는 세금 수입의 중요성 때문에 베를린 편입에 반대했다. 베를린 시의회에서는 경제적으로 가난한 노동자 지구인 모아비트와 베딩의 편입을 반대했으나, 부유층 지구인 쇠네베르크와 템펠호프의 편입에는 큰 관심을 보였다.[20][21] 약 40년간 지역 정치권에서 성과 없는 논의만 지속되다가, 1860년 1월 28일 왕실 내각의 결정으로 인해서 이듬해 1월 1일에 모든 지역을 베를린으로 편입하기로 했다.[22]
2. 2. 통합 시도와 갈등 (1875년-1911년)
산업 혁명과 독일 제국 성립 이후 베를린의 인구가 증가하면서, 도시 확장 논의가 시작되었다. 1820년부터 베를린은 주변 지역, 특히 모아비트, 베딩, 티어가르텐, 쇠네베르크, 템펠호프 등을 편입하려는 시도를 했다. 그러나 베를린 시와 주변 지역들은 각자의 이해관계 때문에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20][21] 40년간의 논의 끝에, 1860년 프로이센 왕국의 결정으로 이듬해 이 지역들은 베를린에 편입되었다.[22]도시와 주변 지역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당시 베를린 시장 아르투어 욘손 호브레흐트는 1875년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슈판다우, 쾨페니크 시와 텔토 군, 니더바르님 군을 통합하여 새로운 베를린 주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23][24] 그러나 이 제안은 프로이센 정부와 주변 지역의 반대로 무산되었다.[25][26]
1890년대 이후 도시 계획 및 재정 불균형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다. 부유한 남서부 교외 지역은 세금 감면 혜택을 받았지만, 중심부 및 동부 교외 지역은 그렇지 못해 갈등이 심화되었다.
1906년, 통합된 기본 계획안을 마련하기 위해 베를린 건축가 협의회에서 아이디어 공모전이 개최되었다. 1907년에는 대베를린 건축가 위원회가 설립되어 통합 개발 계획을 추진하였다. 1908년부터 1909년까지 국제 공모전이 개최되어 다양한 개발안이 제시되었다.[28][29]
2. 3. 대베를린협회 설립과 한계 (1911년-1920년)
1911년 7월 1일 법을 통해 대베를린협회(Zweckverband Groß-Berlin)가 설립되었다.[28][29] 협회의 주된 목적은 통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조정하는 것이었지만, 다른 목적은 프로이센과 독일 제국 정치에서 "붉은" 베를린이 더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협회에는 구속력이 없었기 때문에 법적인 목적을 수행할 수 없었다. 지자체 간 사회적인 차이는 또 다른 문제를 낳았고, 대베를린협회는 이 문제를 균형적으로 조정할 권한이 없었다.20세기 초반에 천천히 증가하던 인구는 1912년에 최고점인 210만 명에 도달했다.[30]
제1차 세계 대전과 독일 11월 혁명의 결과로 독일 제국이 붕괴된 이후에야 정치적으로 대베를린 설립을 추진할 수 있었다. 협회가 이룬 성과로 베를린 교외 지역의 광대한 산림을 보존할 수 있었다. 1915년에 체결된 영구 산림 계약(Dauerwaldvertrag)은 오늘날까지도 그 효력이 유지되고 있다.
3. 대베를린법
1920년 4월 27일, 프로이센 주의회에서 '대베를린법'(Groß-Berlin-Gesetz)이 통과되었다. 사민당, 독립사민당, 민주당 일부는 찬성했고, 국가인민당, 인민당, 중앙당은 반대했다. 최종 투표 결과 찬성 164표, 반대 148표, 기권 5표로 가결되었으며, 1920년 10월 1일에 법안이 시행되었다.[1] 당시 베를린 시장은 아돌프 베르무트였다.
이 법은 베를린을 확장하여, 이전의 베를린 시(알트베를린) 외에 7개의 도시(샤를로텐부르크, 쾨페니크, 리히텐베르크, 노이쾰른/릭스도르프, 쇠네베르크, 슈판다우, 빌메르스도르프)와 주변 지역의 59개 농촌 공동체, 27개 부동산 지구, 그리고 베를린 시궁전 부지를 포함했다.[1]
확장 이전 베를린 인구는 약 190만 명이었으나, 법 시행 결과 190만 명이 추가되었다. 도시 면적 또한 66km2에서 878km2로 크게 확장되었다. 이로써 베를린은 면적 기준으로 로스앤젤레스 다음으로 컸고, 인구 수 기준으로는 런던(730만) 및 뉴욕(560만) 다음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32][33]
베를린은 1881년에 브란덴부르크 주에서 분리된 후 프로이센 자유주 내에서 주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자체적인 행정 구역이 되었다. 대베를린은 개별적인 번호를 가진 20개의 구로 구성되었다.
3. 1. 법안 내용 및 의의
1920년 4월 27일, 사민당, 독립사민당, 민주당의 찬성과 국가인민당, 인민당, 중앙당의 반대 속에 '대베를린법'이 프로이센 주의회에서 통과되었다(찬성 164표, 반대 148표, 기권 5표).[1] 1920년 10월 1일에 발효된 이 법은 베를린의 면적을 13배, 인구를 2배 이상 증가시켜 베를린을 세계적인 대도시로 성장시키는 기반을 마련했다. 당시 베를린 시장은 아돌프 베르무트였다.대베를린법을 통해 베를린은 기존 도시 외에 7개 도시, 59개 농촌 지구, 27개 경작 지구를 편입하여 20개 구로 재편되었다.
종류 | 지역 | 편입된 구 | 구 번호 |
---|---|---|---|
도시 | Berlin-Mitte | Mitte | 1 |
Berlin-Tiergarten | Tiergarten | 2 | |
Berlin-Wedding | Wedding | 3 | |
Berlin-Prenzlauer Tor[35] | 프렌츠라우어 베르크 | 4 | |
Berlin-Friedrichshain | 프리드리히스하인 | 5 | |
Berlin-Hallesches Tor[36] | 크로이츠베르크 | 6 | |
Charlottenburg | 샤를로텐부르크 | 7 | |
Cöpenick | 쾨페니크 | 16 | |
도시 | Berlin-Lichtenbergde[31] | 리히텐베르크 | 17 |
Neuköllnde[31] | 노이쾰른 | 14 | |
Berlin-Schönebergde[31] | 쇠네베르크 | 11 | |
Spandaude[31] | 슈판다우 | 8 | |
Berlin-Wilmersdorfde[31] | 빌머스도르프 | 9 |
이 법은 1920년대 베를린이 유럽의 문화 중심지로 부상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으며, 1990년 독일 통일 조약에도 베를린 연방주의 범위와 경계를 정의하는 데 언급되어 오늘날까지 법적 효력을 가진다.
대베를린 법 시행으로 베를린 내 도로명이 중복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193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여러 차례 도로명 변경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동베를린 지역에서는 귀족의 이름이 붙은 도로명이 변경되었다. 2014년 현재에도 베를린에는 여러 개의 '역 거리'(Bahnhofstraße)가 존재한다.
3. 2. 행정 구역 개편
1920년 대베를린법(Groß-Berlin-Gesetz) 시행으로 베를린은 기존 시역과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20개 구로 재편되었다. 기존 베를린 시역은 6개 구로, 편입된 지자체는 14개 구로 구성되었다. 각 구의 명칭은 인구가 가장 많은 행정 구역의 이름을 따랐다.구 번호 | 구 명칭 | 해당 지역 |
---|---|---|
1 | 미테 | 미테, 베를린성 |
2 | 티어가르텐 | 티어가르텐 |
3 | 베딩 | 베딩 |
4 | 프렌츠라우어 토어[35] | 프렌츠라우어 토어 |
5 | 프리드리히샤인 | 프리드리히샤인, 슈트랄라우 |
6 | 할레셰스 토어[36] | 할레셰스 토어 |
7 | 샤를로텐부르크 | 샤를로텐부르크, 헤어슈트라세 동부,[43] 플뢰첸제,[45] 융페른하이데 남부[46] |
8 | 슈판다우 | 슈판다우, 클라도, 가토, 피헬스도르프, 슈타켄, 티프베르더, 헤어슈트라세 서부,[44] 피헬스베르더, 슈판다우-치타델레 |
9 | 빌머스도르프 | 빌머스도르프, 그루네발트, 슈마르겐도르프, 그루네발트 숲 |
10 | 첼렌도르프 | 첼렌도르프, 니콜라스제, 반제, 달렘, 클라인글리니케 숲, 파우엔인젤, 포츠담 숲, 뒤펠[47] |
11 | 쇠네베르크 | 쇠네베르크, 프리데나우 |
12 | 슈테글리츠 | 랑크비츠, 리히터펠데, 마리엔도르프 남부,[40] 슈테글리츠 |
13 | 템펠호프 | 템펠호프, 부코 서부,[38] 리히텐라데, 마리엔도르프,[39] 마리엔펠데 |
14 | 노이쾰른 | 노이쾰른, 브리츠, 부코 동부,[37] 루도 |
15 | 트레프토 | 아들러스호프, 알트글리니케, 요하니스탈, 니더쇠네바이데, 오버쇠네바이데, 트레프토, 불하이데 |
16 | 쾨페니크 | 쾨페니크, 본스도르프, 프리드리히스하겐, 그뤼나우, 뮈겔하임, 란스도르프, 슈뫼크비츠, 쾨페니크 숲, 그뤼나우-다머 숲 |
17 | 리히텐베르크 | 리히텐베르크, 비스도르프, 프리드리히스펠데, 카울스도르프, 말스도르프, 마르찬, 비스도르프, 헬러스도르프 (불가르텐 포함) |
18 | 바이센제 | 바이센제, 팔켄베르크, 호엔쇤하우젠, 말쇼, 바르텐베르크, 팔켄베르크, 말쇼, 바르텐베르크 |
19 | 판코 | 판코, 블랑켄부르크, 블랑켄펠데, 부흐, 부흐홀츠, 하이너스도르프, 카로, 니더쇤하우젠, 로젠탈 동부,[41] 블랑켄부르크, 블랑켄펠데, 부흐, 니더쇤하우젠 (쇤홀츠 포함), 로젠탈 |
20 | 라이니켄도르프 | 라이니켄도르프, 하일리겐제, 헤름스도르프, 뤼바스, 로젠탈 서부,[42] 테겔, 비테나우, 프로나우, 융페른하이데 북부,[45] 테겔 숲 북부, 테겔 성 |
행정 구역 경계 설정 시에는 "부르주아" 구와 "프롤레타리아" 구 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고려하였다.[34] 이는 통합된 도시 계획 및 건설 계획을 규정하여 1920년대 베를린이 세계적인 대도시로 성장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3. 3. 법적 효력
1920년 4월 27일에 통과된 '대베를린법'(Groß-Berlin-Gesetz)은 1990년 독일 통일 조약의 시행령에도 언급되어 오늘날까지도 법적인 효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 법은 연방주로서의 베를린의 범위와 경계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2]4. "대베를린" 명칭의 사용
통합 이후 "대베를린"이라는 명칭은 일상적으로 사용되지 않았지만, 행정적으로는 계속 사용되었다.[48]
4. 1. 서독 기본법과 동독의 사용
1949년 5월 23일부터 시행된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 23조는 법적으로 베를린 전체를 서독 영토로 간주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서베를린에만 적용되었다. 이 조항은 1990년 독일 통일로 폐지되었다.[48] 동베를린 행정부는 1977년까지 "대베를린 참사회"로 불렸고, 국가보안부는 동독의 14개 구 외에 대베를린 부서를 운영했다.[48]4. 2. 베를린 헌법
1950년에 제정된 베를린 헌법에서는 도시와 주의 이름을 단순히 '베를린'으로만 칭했다. '대베를린'이라는 용어는 "과거의 대베를린 지역"으로만 언급되었다.[48]5. 1920년 이후의 변화
베를린은 1815년부터 브란덴부르크 주의 일부였다. 1881년 4월 1일, 베를린은 브란덴부르크와 분리된 도시 자치구인 슈타트크라이스 베를린이 되었다. 1920년 4월 27일, 프로이센 란트타크에서 '대베를린 법'이 통과되었고 같은 해 10월 1일에 발효되었다.[1] 이 법으로 '대베를린'이라는 명칭을 얻은 새로운 프로이센 주가 탄생했으며, 브란덴부르크 주로부터 영토를 획득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 베를린 시 (''알트-베를린'')
- 베를린을 둘러싼 7개의 도시: 샤를로텐부르크, 쾨페니크, 리히텐베르크, 노이쾰른/릭스도르프, 쇠네베르크, 슈판다우, 빌메르스도르프
- 주변 니더바르님, 오스트하펠란트, 텔토 구의 59개 농촌 공동체와 27개 부동산 지구
- 베를린 시궁전 부지 (스스로 부동산 지구가 됨)
대베를린 법으로 베를린의 면적은 6572ha에서 87810ha로 13배 증가했고, 인구도 약 400만 명으로 늘어나 독일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다.
대베를린은 20개의 자치구(''Verwaltungsbezirke'')로 나뉘었다.
- 알트-베를린에서: 미테, 티어가르텐, 베딩, 프렌츠라우어 베르크, 크로이츠베르크, 프리드리히스하인
- 이전에 독립되었던 7개 도시 각각에 대해 하나의 자치구: 샤를로텐부르크, 쾨페니크, 리히텐베르크, 노이쾰른, 쇠네베르크, 슈판다우, 빌메르스도르프
- 나머지 추가된 지역에서 만들어진 7개의 새로운 자치구: 판코, 라이니켄도르프, 슈테글리츠, 템펠호프, 트레프토, 바이스제, 첼렌도르프 (각 지역에서 가장 큰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
이 법을 통해 대베를린 전체에 걸쳐 통합된 도시 계획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고, 1920년대 베를린이 유럽의 문화 중심지로 부상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이 법에서 정의된 도시 경계는 사소한 변경을 제외하고 오늘날과 동일하다. 원래 단순한 시 경계였던 이 경계는 1945년 이후 점령 구역 사이의 경계선, 1949년 이후 철의 장막의 일부, 1961년과 1990년 사이에는 베를린 장벽이 설치되기도 했다. 독일의 재통일 이후,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 간의 독일 연방주 경계가 되었다.
5. 1. 시계 변경
베를린 시계는 1920년대와 거의 비슷하지만, 이후 몇 차례 변경이 있었다.- 1928년: 뒤펠이 베를린에 통합되었다.
- 1945년: 독일을 점령한 영국과 소련이 서부 교외지의 영토를 교환했다. 서슈타켄은 소련령으로, 가토 비행장과 그로스글리니케의 동부는 영국령 슈판다우구로 편입되었다.
- 1972년: 서베를린과 동독 간의 첫 번째 영토 교환이 있었다. 슈타인슈튀켄 접근 회랑, 작은 월경지 정리, 기타 작은 경계 조정이 있었다.
- 1988년: 서베를린과 동독 간의 두 번째 영토 교환이 있었다. 나머지 작은 월경지 정리 및 연결, 기타 작은 경계 조정이 있었다.
- 1990년: 독일 통일 조약으로 여러 경계가 수정되었다. 1945년 서슈타켄 분할은 취소되어 베를린에 다시 편입되었고, 가토 비행장과 그로스글리니케의 동부는 여전히 베를린에 남게 되었다. 헬러스도르프와 마르찬 지구에서 당시의 시계를 넘어서 개발된 회노와 아렌스펠데 지역이 편입되었다.[49]
5. 2. 구계와 구 이름 변경
- 1921년: 프렌츠라우어 베르크 구, 할레셰스 토어 구 → 베를린-크로이츠베르크|크로이츠베르크 구de로 구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33년: 베를린-프리드리히스하인|프리드리히스하인 구de → 호르스트베셀슈타트 구(나치의 '순교자' 호르스트 베셀에서 유래)로 구 명칭이 변경되었다. 1936년에는 호르스트베셀 구가 되었다.
- 1938년: 거의 모든 구 경계가 직선화되었다.
- 1945년: 호르스트베셀슈타트 구 → 베를린-프리드리히스하인|프리드리히스하인 구de로 구 명칭이 복구되었다.
- 1979년: 리히텐베르크 구와 바이스제 구|바이센제 구de의 일부에서 마르찬 구|마르찬 구de가 분리 신설되었다.
- 1985년: 바이스제 구|바이센제 구de의 일부에서 호엔쇤하우젠 구|호엔쇤하우젠 구de가 분리 신설되었다. 동시에 판코 구 일부가 바이스제 구|바이센제 구de로 편입되었다.
- 1986년: 마르찬 구|마르찬 구de의 일부에서 헬러스도르프 구|헬러스도르프 구de가 분리 신설되었다.
- 2001년: 구 개편으로 기존 23개 구가 12개 구로 축소되었다.[50]
5. 3. 시계의 기능 변화
- 1920년-1945년: 프로이센 자유주의 국가와 베를린 간의 경계였다.
- 1945년-1990년: 소련 점령 지역(1949년 이후 동독)과 4개국 점령 지구 베를린 간의 경계였다. 대베를린법에 규정된 구 경계는 얄타 회담과 포츠담 회담으로 결정된 국가별 점령 구역 간의 경계가 되었다.
- 1949년-1990년: 서베를린 경계는 동독의 국경이자 베를린 봉쇄 이후 철의 장막의 일부였다.
- 1952년-1990년: 동베를린 경계는 동독의 포츠담 구와 프랑크푸르트 구와의 경계였다.
- 1961년-1990년: 서베를린 경계는 베를린 장벽의 일부였다.
- 1990년 이후: 통일 조약에 따라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 간의 경계로 명시되었다.[49]
5. 4. 도로명 변경
여러 도심지가 병합되면서 흔한 지명에서 따온 도로명인 Dorfstraße(마을길), Hauptstraße(큰길), Bahnhofstraße(기차역길)가 같은 시내에서 여러 번 중복되었다. 1931년부터 1938년 사이를 비롯한 1930년대에는 이러한 도로명을 지역 특성을 더 잘 반영하는 이름으로 변경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여러 Dorfstraße 또는 Hauptstraße는 Alt-+지역명으로 대체되었다. 1938년에는 도로명이 나치즘을 따르는 호엔촐레른가의 사람 이름으로 명명되기도 했다.[51] 1950년에 동베를린에서는 "나치, 군국주의, 기타 시대에 맞지 않는 도로명" 약 150개가 변경되었다.[51]도로명 변경은 행정 조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2010년대에도 Birkenallee(자작나무대로) 5개, Birkenstraße 5개, Akazienallee(아카시아대로) 3개, Akazienstraße 2개, Eichenstraße(참나무대로) 4개, Kastanienallee 7개가 여전히 남아 있다. Bahnhofstraße 30개 중 2개는 행정구역 편입 당시에 이름이 바뀌었고, 나머지 20여 개는 시간이 지나면서 이름이 바뀌었다. 그러나 2014년 기준으로 여전히 Bahnhofstraße는 9개(알트호엔쇤하우젠, 블랑켄부르크, 블랑켄펠데, 프란최지시 부흐홀츠, 카로, 쾨페니크, 리히텐라데, 리히터펠데, 쇠네베르크)가 있다.
서베를린과 동베를린으로 분단된 시기에는 각각 행정부에서 도로명을 독립적으로 관리했다. 예를 들어 바이센제구에 새 도로를 건설하면서 Hansastraße라는 이름을 붙였으나, 이는 이미 대베를린 시행 당시 라이니켄도르프구에도 20세기 초부터 존재했다.
독일 통일 이후 베를린 전체 도로명은 베를린시에서 관리하고 있지만, 각 구는 독립적으로 도로명을 할당할 권한이 있다. 중복되는 도로명을 방지하기 위해서 베를린 도로법에서는 행정 조치로 도로명을 강제 전용할 수 있다. 새 도로명을 배정하려는 구에서는 배정하려고 하는 도로명이 베를린의 다른 구나 사유지에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할 책임이 있다.[52]
참조
[1]
웹사이트
1920: A Crisis Year
https://unvollendete[...]
Unvollendete Metropole
2021-09-07
[2]
문서
'Vororte von Berlin'
http://digital.zlb.d[...]
[3]
문서
Schwenk 2000, S. 9
[4]
문서
Splanemann 1990, S. 9
[5]
문서
Koehn 1911, S. 1
[6]
문서
Schwenk 2000, S. 10
[7]
문서
Krappweis 1992, S. 23
[8]
문서
Reinhardt 1971
[9]
문서
Splanemann 1990, S. 11
[10]
서적
'Öffentliche Nahverkehrspolitik in Berlin und Paris 1890–1914'
http://www.bauwelt.d[...]
Walter de Gruyter
1999
[11]
문서
'Der Wettbewerb Groß-Berlin: Die Suche nach der Einheit im Großstadt-Chaos'
Berlin
2010
[12]
서적
'Das Wilhelminische Berlin. Panorama einer Metropole.'
Berlin
1997
[13]
문서
Die Städte Lichtenberg, Schöneberg und Wilmersdorf waren bereits zur Gebietsreform 1912 schon einmal in Berlin-Lichtenberg, Berlin-Schöneberg bzw. Berlin-Wilmersdorf umbenannt worden.
[14]
문서
Gesetz über die Bildung einer neuen Stadtgemeinde Berlin
http://www.verfassun[...]
[15]
문서
'IV. Als Kommunalpolitiker und sozialdemokratischer Theoretiker in Berlin.'
Lit Verlag, Hamburg
2006
[16]
뉴스
Große Stadt, gesundes Land
http://www.tagesspie[...]
[17]
문서
Gauglitz-Plan
[18]
웹사이트
alt-berlin.info: Straßensuche
http://www.alt-berli[...]
[19]
뉴스
'Berliner Stadtentwicklung.'
https://www.spiegel.[...]
Spiegel Online
2017-08-16
[20]
문서
Schwenk 2000, S. 9
[21]
문서
Splanemann 1990, S. 9
[22]
문서
Koehn 1911, S. 1
[23]
문서
Schwenk 2000, S. 10
[24]
문서
Krappweis 1992, S. 23
[25]
문서
Reinhardt 1971
[26]
문서
Splanemann 1990, S. 11
[27]
뉴스
'Städtisches'
http://zefys.staatsb[...]
Königlich privilegierte Berlinische Zeitung
1902-06-17
[28]
문서
'Der Wettbewerb Groß-Berlin: Die Suche nach der Einheit im Großstadt-Chaos'
Berlin
2010
[29]
웹사이트
'Der Wettbewerb Groß-Berlin 1910'
https://www.dhm.de/a[...]
dhm.de
2019-12-07
[30]
서적
'Das Wilhelminische Berlin. Panorama einer Metropole.'
Berlin
1997
[31]
문서
Die Städte Lichtenberg, Schöneberg und Wilmersdorf waren bereits zur Gebietsreform 1912 schon einmal in Berlin-Lichtenberg, Berlin-Schöneberg bzw. Berlin-Wilmersdorf umbenannt worden.
[32]
뉴스
'Große Stadt, gesundes Land.'
https://www.tagesspi[...]
tagesspiegel.de
[33]
뉴스
'Nur Los Angeles war größer.'
https://www.tagesspi[...]
tagesspiegel.de
[34]
문서
과거의 베를린시는 6개 구역으로 형성됨
[35]
문서
1921년 프렌츨라워 토어(Prenzlauer Tor)에서 프렌츨라워 베르크(Prenzlauer Berg)로 개칭됨
[36]
문서
1921년 할레셰스 토어(Hallesches Tor)에서 크로이츠베르크(Kreuzberg)로 개칭됨
[37]
문서
과거의 부코군이 분할되어 동부는 노이쾰른구에 편입됨
[38]
문서
과거의 부코군이 분할되어 서부는 템펠호프구에 편입됨
[39]
문서
마리엔도르프군의 일부가 쥐트엔데(''Südende'')로 분할되고 남은 영역은 템펠호프구에 편입됨
[40]
문서
마리엔도르프군의 일부가 쥐트엔데(''Südende'')로 분할되고 분할된 영역은 슈테글리츠구에 편입됨
[41]
문서
로젠탈군이 분할되어 동부는 팡코구에 편입됨
[42]
문서
로젠탈군이 분할되어 서부는 라이니켄도르프구에 편입됨
[43]
문서
경작 지구 헤어슈트라세가 분할되어 동부는 샤를로텐부르크구에 편입됨
[44]
문서
경작 지구 헤어슈트라세가 분할되어 서부는 슈판다우구에 편입됨
[45]
문서
경작 지구 융페른하이데가 분할되어 북부는 라이니켄도르프구에 편입됨
[46]
문서
경작 지구 융페른하이데가 분할되어 남부는 샤를로텐부르크구에 편입됨
[47]
문서
경작 지구 뒤펠은 1928년에 베를린에 편입되어 첼렌도르프구에 편입됨
[48]
웹사이트
Bezirksverwaltung (BV, BVfS)
https://www.stasi-un[...]
[49]
문서
Gauglitz-Plan
[50]
문서
Gauglitz-Plan
[51]
뉴스
Berlin bereitet sich auf seine Gäste vor. Die Aufgaben des Magistrats von Groß-Berlin in der Vorbereitung der III. Weltfestspiele.
Neues Deutschland
1951-07-07
[52]
웹사이트
alt-berlin.info: Straßensuche
http://www.alt-ber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