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함탄도미사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함탄도미사일(ASBM)은 탄도 미사일의 빠른 속도와 장거리 비행 능력을 활용하여 해상 목표물을 공격하는 미사일이다. 냉전 시대에 미국과 소련이 개발을 시도했으나 실전 배치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냉전 이후 중국, 이란, 북한 등에서 개발 및 배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DF-21D, DF-26, YJ-21 등의 ASBM을 보유하고 있다. ASBM은 요격이 어렵고 발사 거점을 공격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으나, 해상에서 이동하는 목표물을 탐지하고 공격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어려움과 C4ISR 시스템의 취약성, 센서의 내열 문제 등 유효성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미국 등은 ASBM에 대응하기 위해 미사일 방어 시스템 개발, 레이저 개발, 분산형 해상 작전 등을 모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함 미사일 - 미사일 보트
- 대함 미사일 - 브라모스-2
스크램제트 엔진을 사용하여 마하 7의 속도로 450km를 비행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 중인 브라모스-2는 극초음속 순항 미사일이며, 2011년 설계가 완료되었지만 시험 발사 및 탑재 플랫폼에 대한 공식 발표는 없었다. - 탄도 미사일 - 스커드
스커드는 소련이 개발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 시리즈로, 다양한 탄두를 탑재할 수 있으며 이동식 발사대를 이용하여 기동성을 확보했고, 여러 분쟁에서 사용되었으며, 여러 국가에서 개량형 및 파생형을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다. - 탄도 미사일 - 부르칸 H2
부르칸 H2는 후티 반군이 운용하는 사거리 약 1,000km의 스커드 계열 탄도 미사일로, 이란의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우디아라비아를 향해 발사되어 지역 안보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 해전 - 통킹만 사건
통킹만 사건은 1964년 북베트남 해안에서 발생한 미 해군 구축함 공격 주장을 둘러싼 사건으로,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본격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이후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다. - 해전 - 왜교성 전투
왜교성 전투는 1598년 순천왜성에 주둔한 고니시 유키나가를 유정이 이끄는 명나라군과 권율이 이끄는 조선군 연합군이 공격했으나, 일본군의 저항과 사천성 전투 패배 소식으로 공략에 실패하고 감시 체제로 전환된 정유재란 막바지의 주요 전투이자 조명 연합군의 총공세가 실패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대함탄도미사일 | |
---|---|
개요 | |
유형 | 대함 탄도 미사일 |
개발 국가 | 중국, 러시아, 이란 |
운용 국가 | 중국, 러시아, 이란 |
개발 역사 | |
개발 시작 | 1990년대 후반 |
특징 | |
유도 방식 | 레이더 시커 (수상함 추적), 합성 개구 레이더 (SAR, 지상 시설 공격) |
사거리 | 400km ~ 5,500km (추정) |
속도 | 극초음속 |
대표적인 미사일 | |
중국 | DF-21D DF-26 CM-401 |
러시아 | Kh-47M2 킨잘 |
이란 | 칼레지 파르사 |
전략적 의미 | |
해군력 증강 | 항공모함을 포함한 적의 해상 전력에 대한 접근 거부 능력 확보 |
억지력 | 잠재적 적국에 대한 억지력 강화 |
기술적 도전 과제 | |
이동 중인 목표물 명중 | 고속으로 이동하는 함정을 정확하게 타격하는 기술 필요 |
복잡한 유도 시스템 | 종말 단계에서 기동하는 표적을 추적하고 명중시키는 정밀 유도 시스템 필요 |
요격 회피 | 적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회피하는 능력 필요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대함 미사일 |
2. 역사
대함탄도미사일(ASBM)은 냉전 시절 미국과 소련이 비용 등의 문제로 개발하지 않기로 합의한 무기체계다. 탄도미사일은 낙하 속도가 마하 10~15에 달해 함대 방공망으로 막기 어렵다. 중국은 이러한 대함탄도미사일의 개념을 차용, 2005년과 2006년에 시험 발사했다. 2009년 미 해군정보국(ONI)은 중국의 1,500km급 ASBM이 실전 배치되면 태평양에서 미 항공모함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33]
DF-21D는 세계 최초이자 유일의 ASBM이다. 미 항공모함은 중국 잠수함을 의식해 중국 본토에서 1,000km 떨어져야 하는데, 이는 항모 탑재 전투기들의 작전 한계 거리이다. 여기에 DF-21 ASBM의 위협이 추가돼, 공격받지 않으려면 1,000km를 더 후퇴해야 한다. 과거 중국 연안을 자유롭게 다녔던 미국은 이제 2,000km 밖에서만 활동할 수 있게 된 것이다.[34]
탄도미사일의 빠른 속도는 정확성 측면에서는 불리하다. 미군 항모 전단을 탐지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중국이 ASBM을 활용하여 항모를 타격한다는 것은 아직 검증되지도 확신되지도 않는 상황이다.
2. 1. 냉전 시대의 개발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은 대함탄도미사일(ASBM) 개발을 시도했지만, 실전 배치에는 이르지 못했다.소련은 1960년 로켓·항공 시스템 회의에서 미 해군 항모 기동 부대에 대항하기 위한 미사일 기술 개발을 요청했다. 이에 블라디미르 첼로메이는 "해상에서 기동하는 목표를 공격할 수 있는 탄도 미사일" 개발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인 R-27(SS-N-6)을 기반으로 한 대함 버전인 '''R-27K'''가 개발되었다. R-27K는 2단 로켓으로, 2단은 대기권 밖에서 궤도 수정에 사용되었다. 미사일이 최고 고도 300km에 도달하면 재진입체가 자세 제어를 시작하고, 목표 수색·추적 시스템이 데이터 처리를 시작했다.
재진입체에 탑재된 레이더는 반경 65km를 수색하여 대형 선박을 탐지하고 추적하여 소형 로켓을 사용해 탄도를 수정했다. 그러나 자체 센서만으로는 기동하는 항모에 명중시키기 어려워 핵탄두 탑재가 고려되었다.
1970년부터 육상 훈련장에서 발사 시험이 시작되어 20발 중 16발이 성공했다. 629형을 개조한 605형 잠수함 K-102에 탑재되어 1972년 12월부터 해상 발사 시험이 시작되었고, 11회 중 10회가 성공했다. 1975년 시험에서는 실제 함정 표적에 명중했다고 한다. 그러나 소련 해군의 수상 함정파와 잠수함파의 저항, 제1차 전략 무기 제한 협상의 영향으로 실전 배치되지 못했다.[4]
NATO 코드네임 SS-NX-13으로 불린 R-27K는 수중에서 350nmi 범위로 발사되어 27nmi의 탄착 지역을 커버했다. 기동 재진입체(MaRV)는 약 365.76m의 원형 공산 오차(CEP)로 표적을 향했으며, 탄두 위력은 0.5–1 메가톤이었다. R-27K / SS-NX-13은 세계 최초의 대함 탄도 미사일이었으나, SALT 협정에서 전략 미사일로 간주되어 실전 배치되지 않았다.[1]
미국도 퍼싱 II 미사일의 액티브 레이더 호밍(ARH) 유도를 통해 평균 오차 반경(CEP) 30m의 고정밀 사격이 가능해지자 대함 무기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했다. 그러나 1988년 중거리 핵 전력 전폐 조약 비준으로 해당 미사일은 퇴역 및 폐기되었다.[4]
2. 2. 현대의 개발 및 배치
냉전 이후, 중국, 이란, 북한 등에서 대함탄도미사일(ASBM) 개발 및 배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중국은 "항공모함 킬러"로 알려진 세계 최초의 실전 배치된 대함 탄도 미사일인 DF-21D를 도입했다.[18][19] 2010년에는 DF-21D가 초도 작전 배치 단계에 들어갔다고 보도되었다.[20] 2015년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서 처음 공개된 DF-26은 3500km에서 5000km 거리까지의 중대형 해군 선박을 공격하기 위해 DF-ZF와 같은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를 탑재하여 대함 탄두를 운반할 수도 있다.[21] 중국은 DF-ZF에서 시험된 극초음속 기동 재진입체 기술을 사용하여 2세대 ASBM을 개발 중인 것으로 보인다.[22] 055형 구축함은 GJB 5860-2006 수직 발사 시스템에 YJ-18 대함 순항 미사일과 함께 YJ-21 대함 탄도 미사일을 탑재하고 있다.

인도 해군은 현재 대함 역할을 위해 함정 발사 다누쉬 탄도 미사일을 사용하고 있다. 이 미사일은 사거리 750km로 대함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23] 또 다른 미사일인 Agni-P는 Agni-IV와 Agni-V의 기술 파생형으로, ASBM 역할을 수행하거나 현재 개발 중인 항공모함 킬러 미사일의 전신이 될 수 있다고 추정된다.[24] 2024년 11월 16일, 통합 시험장, 압둘 칼람 섬에서 사거리가 1500km 이상인 미지의 장거리 대함 극초음속 탄도 미사일이 시험 발사되었다.[26][27]
이란은 페르시아만 또는 '할리페르스'로 명명된 단거리 대함 탄도 미사일을 공개했으며, 사거리가 250km에서 300km인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알려졌다.[28] 2020년, 이란은 사거리가 700km인 졸피가르의 대함 변형인 졸피가르 바시르를 공개했다.[29]
북한은 1990년대 초 개발하기 시작한 스커드-ER을 2003년부터 실전에 배치하기 시작했다. 2017년 5월 29일, 스커드-ER 개량형을 시험발사했다. 노동신문은 1년 만에 개발했다면서, 대함탄도미사일(ASBM)로도 사용된다고 보도했다.
2. 3. 실전 사용 사례
2023년 가자 전쟁으로 인해 홍해 위기가 발생하면서, 2023년 11월 말부터 예멘 후티 반군은 홍해를 지나는 상선과 미국 군함을 대상으로 대함 탄도 미사일(ASBM)을 발사하기 시작했다.[3][4] 2024년 1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후티 반군이 "역사상 처음으로" ASBM을 사용했다고 발표했다.[5]ASBM 공격을 받은 선박들은 다음과 같다.
탄도 미사일은 낙하 시 마하 10~15에 달하는 매우 빠른 속도를 내기 때문에, 함대의 방공망으로는 사실상 요격이 불가능하다.[33] 이러한 빠른 속도와 긴 사거리를 활용하여 해상 목표물을 공격하는 것이 대함 탄도 미사일(ASBM)의 주요 특징이다.
2023년 12월 26일, 미 해군 구축함 USS 라분이 처음으로 ASBM을 격추했다.[10] 2024년 1월 9일까지 총 7발의 후티 ASBM이 미 해군에 의해 요격되었으며,[10] 1월 24일에는 USS 그레이블리가 2발, 1월 26일에는 USS 카니가 후티 ASBM을 격추했다.[11]
3. 주요 특징 및 기술
1960년 소련에서 열린 로켓·항공 시스템 회의에서 소련 해군은 미국 해군 항모 기동 부대의 우세에 대응하기 위해 미사일 기술 개발을 요청했다. 이에 로켓 공학자 블라디미르 첼로메이는 "해상에서 기동하는 목표를 공격할 수 있는 탄도 미사일" 연구 개발을 제안했다.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SLBM)인 R-27(SS-N-6)을 기반으로 개발된 대함 버전이 '''R-27K'''였다. R-27K는 2단 로켓 방식으로, 2단은 대기권 외 궤도 수정에 사용되었다. 미사일이 최고 고도 300km에 도달하면 재진입체가 자세 제어를 시작하고, 목표 탐색·추적 시스템이 데이터 처리를 시작한다. 재진입체에 탑재된 레이더는 반경 65km 내의 대형 선박을 탐지하고 추적하여 탄도를 수정한다. 그러나 자체 센서만으로는 기동하는 항모에 명중시키기 어려워 핵탄두 탑재가 고려되었다.
1970년부터 육상 훈련장에서 R-27K 발사 시험이 시작되어 20발 중 16발이 성공했다. 1972년부터는 605형 잠수함 K-102에 탑재하여 해상 발사 시험도 진행, 11회 중 10회 성공했으며, 1975년 시험에서는 실제 함정 표적에 명중했다. 그러나 소련 해군 내의 반발과 제1차 전략 무기 제한 협상의 영향으로 실전 배치되지는 않았다.
중국은 냉전 시절 구소련의 ASBM 개념을 차용, 1990년대 이후 접근 거부/영역 거부 (A2/AD) 능력 강화의 일환으로 ASBM 개발 및 배치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 해군정보국(ONI)은 2009년 보고서에서 "중국의 1,500km 급 ASBM이 실전배치될 것이며, 이는 태평양에서 미 항공모함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33]
DF-21D는 세계 최초이자 유일의 ASBM이다. 미국 국방부는 2010년에 DF-21D가 초기 운용 능력을 획득한 것으로 추정한다. 사거리는 1,500~2,000km로 추정되며, 액티브 레이더 호밍 유도와 적외선 영상 (IIR) 유도를 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거리 탄도 미사일 (IRBM) 기반의 DF-26B영어도 개발되어 2018년부터 정식 배치되었으며, 사거리는 4,000km로 추정된다. DF-26B는 대함 공격 외에 대지 공격도 가능하다. 2020년 8월 시사 군도에서 실시된 훈련에서 DF-21 및 DF-26이 이동 중인 함정 표적에 명중했다고 발표되었다.
북한 역시 1990년대 초부터 스커드-ER 개발을 시작하여 2003년부터 실전 배치했으며, 2007년에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2017년에는 탄두에 카나드가 달린 스커드-ER 개량형을 공개하고 시험 발사했다. 노동신문은 이 미사일이 1년 만에 개발되었으며, ASBM으로도 사용된다고 보도했다.
3. 1. 유효성 논란
탄도미사일은 마하 10~15의 빠른 속도로 낙하하기 때문에 함대의 방공망으로 요격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지만, 빠른 속도는 정확성 측면에서는 단점이 될 수 있다.[33] 따라서 미군 항모 전단을 탐지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중국이 대함 탄도 미사일(ASBM)을 활용하여 항모를 타격하는 것은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는 의견이 있다.
ASBM의 유용성에 대한 과대평가를 경계하는 의견도 존재한다.[34] ASBM의 사거리가 길어 공격 범위는 넓지만, 광대한 해상에서 이동하는 목표를 포착·추적하고 공격에 필요한 사격 제원을 산출·전달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은 C4ISR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우주에 배치된 부분이 많아 위성 공격 병기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사일 유도 장치의 센서가 대기권 재진입 시 발생하는 열에 견딜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목표물을 계속 포착·추적할 수 있는지 등 기술적인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미국 해군에서는 ASBM이 위협적이라는 전제하에 행동하고 있으며, 대만 유사시를 대비한 해상자위대와의 공동 훈련에서 미 해군 항공모함은 제2열도선 동쪽에서 주로 행동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2016년 10월, 미국 해군 작전부장 리처드슨 제독은 ASBM의 위협이 "manage 가능하며, manage될 것이다"라고 언급했고, 2021년 1월에는 해군 정보국장 트러스러 중장이 "중국은 (ASBM에) 계속 자금을 쏟아붓고 싶어 한다. 다음 분쟁은 그런 것으로는 승리할 수 없다"라고 발언하는 등, 대항책 마련에 따라 위협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기존 미사일 방어 (BMD) 시스템 배치와 더불어, 해군이 채택한 새로운 작전 개념인 분산형 해상 작전 (Distributed Maritime Operation, DMO영어)에서는 함대 수준의 부대 분산, 기동, 전자전 등이 대항 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다.
3. 2. 대응 방안
탄도미사일은 낙하 시 마하 10~15의 속도를 내기 때문에 함대의 방공망으로 저지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 때문에 미국 등에서는 ASBM에 대한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33]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해군이 세계 최고의 중간 단계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하며,[12] 대함 탄도 미사일에 대한 종말 방어를 위해 고출력 레이저를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13] 랜드 연구소의 선임 정치학자인 로저 클리프는 대함 탄도 미사일이 복잡한 선박 탐지, 데이터 처리 및 통신 시스템 없이는 유용하지 않으며, 미사일 자체를 포함한 이 모든 시스템은 전파 방해 또는 스푸핑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14][15]
ASBM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과대 평가를 경계하는 의견도 있다. 사거리가 길고 공격 가능 범위가 넓기 때문에 광대한 해상에서 이동하는 목표를 포착·추적하여 이를 공격하기 위해 필요한 사격 제원을 산출·전달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이를 위한 C4ISR 시스템은 우주에 배치된 부분도 많지만, 이들은 위성 공격 병기에 대한 취약성을 안고 있다. 또한 미사일 유도 장치의 센서부가 대기권 재진입 시의 열의 벽에 의한 공력 가열 (단열 압축)에 견딜 수 있는지, 견딜 수 있더라도 그 안에서 포착·추적을 유지할 수 있는지와 같은 기술적 문제도 전부터 지적되고 있다.
미국 해군 작전부장 리처드슨 제독은 ASBM의 위협에 대해 "manage 가능하며, manage될 것이다"라고 언급했으며, 2021년 1월에는 해군 작전부 부부장과 해군 정보국장을 겸임하는 트러스러 중장이 ASBM에 대해 "중국은 자금을 계속 쏟아붓고 싶어 한다. 다음 분쟁은 그런 것으로는 승리할 수 없다"라고 발언하는 등, 대항책의 확립에 따라 위협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추정된다. 기존의 미사일 방어 (BMD) 시스템의 배치 진전에 더해, 해군이 새로운 작전 컨셉으로 채택한 분산형 해상 작전에서는 함대 수준의 부대 분산, 기동, 그리고 전자전이 대항 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다.
4. 주요 ASBM 목록
국가 | 미사일 | 비고 |
---|---|---|
중국 | DF-21D | 세계 최초이자 유일의 대함 탄도미사일(ASBM).[34] 2015년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서 처음 공개됨.[21] |
중국 | 东风-26|둥펑-26중국어 (DF-26) | 2015년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서 처음 공개. 사거리 3500km에서 5000km.[21] |
중국 | DF-17 | 개발 중. DF-ZF에서 시험된 극초음속 기동 재진입체 기술 사용.[22] |
중국 | YJ-21 | 055형 구축함에 탑재.[16][17] |
이란 | 페르시아만 | 파테-110 기반. 사거리 250km에서 300km.[28] |
이란 | 호르무즈-2 | 페르시아만의 개량형[29] |
이란 | 졸피가르 바시르 | 졸피가르의 대함 변형. 사거리 700km.[29] |
북한 | KN-17 | 스커드-ER 개량형. 2017년 5월 29일 시험발사. CEP 7m. 대함탄도미사일(ASBM)로도 사용.[35] |
인도 | 다누쉬 | 함정 발사형. 사거리 750km.[23] |
인도 | Agni-P | 개발 중. Agni-IV와 Agni-V 기술 파생형.[24] |
파키스탄 | SMASH | 2024년 11월 시험 발사. 사거리 350km. |
소련 | R-27K (SS-NX-13) | 세계 최초의 대함 탄도 미사일. SALT 협정으로 실전 배치되지 않음. |
참조
[1]
웹사이트
CM-401 anti-ship ballistic missile
https://www.globalse[...]
GlobalSecurity
2021-10-22
[2]
뉴스
Kh-47M2 Kinzhal Air-Launched Ballistic Hypersonic Missile Of Russia
https://www.globalde[...]
Global Defence News
2021-10-22
[3]
웹사이트
شلیک موشک از یمن به ناو آمریکایی که به نجات کشتی سنترال پارک رفته بود
https://www.bbc.com/[...]
2024-01-25
[4]
웹사이트
We Might Have Just Seen the World's First Anti-Ship Ballistic Missile Attack
https://www.popularm[...]
2024-01-25
[5]
뉴스
US and UK strike Houthi sites in Yemen in response to ‘unprecedented’ attacks
https://www.theguard[...]
2024-01-25
[6]
보도자료
Sinking of Motor Vessel Rubymar Risks Environmental Damage
https://www.centcom.[...]
United States Central Command
2024-08-28
[7]
웹사이트
USNI News Timeline: Conflict in the Red Sea
https://news.usni.or[...]
2024-08-28
[8]
웹사이트
H.I. Sutton
http://www.hisutton.[...]
2024-08
[9]
보도자료
Iranian-Backed Houthi Terrorists conduct Multiple Anti-Ship Ballistic Missile Attacks in the Southern Red Sea and Gulf of Aden
https://www.centcom.[...]
United States Central Command
2024-08-28
[10]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Anti-Ship Ballistic Missile Attacks
https://www.popularm[...]
[11]
웹사이트
USS Carney Defends Itself From Missile Attack, Tanker Reportedly Hit
https://www.twz.com/[...]
[12]
웹사이트
US warships have the technology to take on the world’s villains and their missiles
https://www.telegrap[...]
[13]
웹사이트
Chinese Anti-ship Missiles Could Be Countered By U.S. Ship Based Lasers.
http://www.defensewo[...]
2012-07-04
[14]
뉴스
thediplomat.com/2012/01/20/behind-the-china-missile-hype/2/?all=true
https://thediplomat.[...]
2012-07-24
[15]
웹사이트
Raytheon to build 15 airborne electronic warfare (EW) jammer pods to help EA-18G jet disrupt enemy radar
https://www.military[...]
[16]
웹사이트
Russia's Sarmat and China's YJ-21: What the missile tests mean
https://www.aljazeer[...]
2022-04-22
[17]
웹사이트
Chinese navy shows off hypersonic anti-ship missiles in public
https://www.scmp.com[...]
2022-04-20
[18]
웹사이트
No Game Changer, but a Great Complicator: China's DF-21D ASBM
http://blogs.notting[...]
2013-09-29
[19]
웹사이트
Chinese missile could shift Pacific power balance
https://www.nbcnews.[...]
2010-08-05
[20]
웹사이트
China has carrier-killer missile, U.S. admiral says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Times
2010-12-27
[21]
웹사이트
Janes | Latest defence and security news
http://www.janes.com[...]
[22]
웹사이트
U.S. Navy Sees Chinese HGV As Part Of Wider Threat
http://www.aviationw[...]
Penton
2014-01-27
[23]
웹사이트
India tests Prithvi missile's naval version Dhanush
http://ibnlive.in.co[...]
IBN Live
[24]
뉴스
Agni P (Prime): India's ASBM in the Making and its Impact on Naval Warfare
https://www.eletimes[...]
2021-06-29
[25]
뉴스
DRDO's conventional ballistic missile design ready, awaits signal for development
https://www.hindusta[...]
2022-09-03
[26]
웹사이트
India successfully tests first long-range hypersonic missile, joins select club
https://www.indiatod[...]
2024-11-17
[27]
웹사이트
India set to test over 1,000 km strike range anti-ship ballistic missile
https://www.aninews.[...]
2024-11-10
[28]
웹사이트
Iranian Ballistic Missile Scores a Direct Hit on a target
http://defense-updat[...]
defense-update
2011-02-08
[29]
웹사이트
Zulfiqar Basir naval ballistic missile with ability to hit distant targets
http://iranpress.com[...]
[30]
웹사이트
Pakistan Navy conducts successful test flight of ship-launched ballistic missile
https://www.geo.tv/l[...]
[31]
보고서
索引 - 平成23年版 防衛白書
http://www.clearing.[...]
[32]
뉴스
北朝鮮ミサイル発射、失敗…「北内陸部に落下」
https://web.archive.[...]
読売新聞ニュース
2017-04-29
[33]
뉴스
'군사굴기' 中 열병식…'美日 견제' 무기 대거 공개했다
세계일보
2015-09-03
[34]
뉴스
2006년 미국 항모 9km까지 접근 소리 없는 공격 능력 세계에 과시
중앙SUNDAY
2010-06-27
[35]
뉴스
軍, 北 동시다발 2분 뒤 포착…“사드 3~4개 포대 있어야 요격”
문화일보
2017-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