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더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빙은 영화, 비디오 게임,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에서 원어 이외의 언어로 대사를 녹음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1990년대 MBC의 외화 프로그램 자막 방송 도입 논쟁을 계기로 널리 알려졌다. 더빙은 정치적, 문화적 이유로 채택되기도 하며, 공동 제작을 통해 자원을 공유하고 다양한 언어의 배우를 기용하는 데 기여했다. 자동 대사 재녹음(ADR)은 오디오 품질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배우가 아닌 다른 성우가 더빙하는 경우도 있다. 더빙은 번역, 대본 작성, 립싱크 등의 과정을 거치며, 언어 현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빙에는 성우, 배우 등이 참여하며, 방송법 법령에 따라 표준어 사용이 의무화된다. 더빙은 자막의 대안으로 사용되며, 국가별 전통에 따라 선호도가 다르다. 비디오 게임, 텔레비전, 포르노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정 언어의 방언으로 더빙되기도 한다.

2. 역사

더빙은 원래 방송사에서만 쓰이던 전문 용어였으나, 1990년대에 MBC가 외화 프로그램에 대해 한국어 더빙 대신 한글 자막 방송을 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61]

영화, 비디오, 비디오 게임 등은 해외 시장의 현지 언어로 더빙된다. 해외 배급에서 더빙은 극장 개봉 영화, 텔레비전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만화, 애니메이션, 텔레노벨라에서 흔히 사용된다.[2]

많은 국가에서 더빙은 정치적인 이유로 채택되기도 했다.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프랑코 시대 스페인과 같은 권위주의 국가에서 더빙은 특정 이념을 강요하고, 국가와 지도자에 대한 부정적인 언급을 삭제하며, 지역 방언과 소수 언어를 희생하여 표준화된 국가 언어를 장려하는 데 사용되었다. 나치 이후 독일에서는 알프레드 히치콕의 ''Notorious'' 더빙처럼, 국가의 최근 과거 사건들을 축소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3] 최초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화 더빙은 러시아어에서 체코어로 더빙된 ''Konstantin Zaslonov'' (1949)였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유럽에서 더빙은 여러 영화 제작자들에게 매력적이었는데, 이는 다른 국가의 회사 간의 공동 제작을 가능하게 하여 자원을 공유하고 여러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더빙은 다국적 출연진을 구성할 수 있게 해주었고, 그들은 선호하는 언어를 사용하여 연기를 할 수 있었으며, 영화 배포 전에 적절한 후반 작업 더빙이 수행되었다.[3]

일본에서는 외국어 작품을 텔레비전에서 방송할 때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작품에 대해 일본어로 "음성 더빙판"(일본어 더빙)이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토키가 시작되었을 당시에는 자막과 화면을 번갈아 사용했지만, 1931년에 일본에서 공개된 미국 영화모로코』 이후에는 자막 슈퍼가 주류가 되었다. 해외에서는 미국, 독일, 인도,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한국, 태국 등 일반적으로 더빙이 주류인 나라도 있다.

일본에서 "음성 더빙"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된 1950년대 이후이다. 텔레비전 초창기에는 외국산 영상 소프트가 수입되어 방영될 때, 민영 방송은 주로 더빙으로 방송을 했다. 이는 초기 작은 텔레비전 화면과 낮은 해상도에서의 문자 수 제한과, 눈이 좋지 않은 노인이나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을 배려하기 위해서였다. 1956년 11월부터 KRT(현 TBS)에서 방송이 시작된 실사판 『슈퍼맨』에서는, 오히라 토오루가 클라크 켄트의 목소리를 맡았지만, 외국인이 일본어를 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 이상하게 여겼다는 일화가 있다. 외국 애니메이션 영화에서는, 1954년에 일본에서 개봉된 디즈니 애니메이션 『덤보』에서 일본어 더빙판이 제작되었다.[126]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더빙 언어는 표준어이다. 그러나, 억양이 있다는 것을 특징짓기 위해 사투리로 더빙하는 경우도 있으며, 그 대부분은 간사이벤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 이상의 언어가 오가는 장면의 경우, (미국 영화 / 영어 작품의 경우) 영어 대사 부분을 일본어로 더빙하고, 그 외의 언어는 더빙하지 않고 원어+자막 슈퍼를 그대로[127] 사용하거나, 굳이 영어 이외의 언어의 대사를 그대로 더빙 성우가 하는 경우도 있다.

3. 방법

방송국의 녹음 시설 등에서 현직 방송인이나 성우 등의 육성을 통해 자기 테이프 등의 녹음 매체를 재생하는 방식으로 영상 등에 녹음된 내용을 삽입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에 효과음이나 배경음이 추가되며 최종 수정과 편집 등을 거치면 더빙으로 된 작품이나 소리본 등이 완성된다.[5]

더빙을 하는 이들은 현직 방송인, 그 중에서도 성우들의 비중이 높으며, 그 외에도 광고나 해설 녹음을 위해 연기 배우나 영화 배우 등도 육성 녹음에 참여하기도 한다.

더빙을 할 때 성우를 비롯한 녹음 참여자들은 자신의 육성을 그대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더빙에 참여하고 있으며, 방송법 규정 및 표준어 총칙에 따라 표준어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만 일부 지방에 관한 내용이나 시나리오 등이 나오는 경우는 지방 방언에 대한 더빙도 부분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총체적으로는 방송법 규정 및 표준어 총칙에 따라 표준어를 기본으로 추구하고 있어서, 성우나 방송인이 지방 출신이라도 반드시 표준어를 사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6][7]

'''자동 대사 재녹음''' ('''ADR''')은 오디오 품질을 개선하거나 처음 대본으로 작성된 대사를 변경하기 위해 촬영 과정 후 원본 배우(또는 대체 배우)가 대사를 재녹음하는 과정이다. 토키 초창기에는 재녹음이 필요한 각 장면에 대해 필름 루프를 잘라 붙여 만들었고, 루프를 프로젝터에 하나씩 로드했다. 각 장면에서 루프는 성우가 대사를 연기하면서 반복적으로 재생되어 촬영된 연기에 동기화하려고 했다. 이것을 "루핑" 또는 "루핑 세션"이라고 했다. 재능 있는 사람과 녹음 팀이 대기하는 동안 필름 루프를 로드하고 다시 로드하는 것은 지루한 일이였다. 나중에 비디오테이프와 디지털 기술이 필름 루프를 대체하면서 그 과정은 자동 대사 재녹음(ADR)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일반적인 영화 제작에서 프로덕션 사운드 믹서는 촬영 중 대사를 녹음한다. 포스트 프로덕션 중에는 감독 사운드 편집자 또는 ADR 감독이 영화의 모든 대사를 검토하고 어떤 대사를 재녹음해야 하는지 결정한다. ADR은 특수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는 ADR 세션 중에 녹음된다. 여러 테이크를 녹음하고 가장 적합한 테이크가 최종 버전이 되거나 다양한 테이크의 일부가 함께 편집될 수 있다.[8] ADR 과정은 항상 포스트 프로덕션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은 이동 장비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녹음할 수 있다. ADR은 또한 배우에게 일치해야 하는 이미지를 보여주지 않고, 배우가 자신의 연기를 듣게 함으로써 녹음할 수도 있다. 일부 배우는 스스로 연기하는 것을 보면 이후의 연기가 저하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감독이 ADR 중에 참석할 수도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사운드 편집자, ADR 전문가 및 배우에게 맡길 수도 있다.

자동화된 프로세스에는 재능 있는 사람을 위해 화면에 대사를 자동으로 표시하고, 자동 신호, 정확한 동기화를 위한 오디오 트랙 이동, 말한 줄의 일부를 늘리거나 압축하기 위한 시간 맞춤 알고리즘을 포함한 정교한 기술이 포함된다. 원본 촬영된 사운드트랙에서 주변 소리에서 말한 단어를 분류하고, 대화의 피크를 감지하고, 새로운 더빙된 성능을 원본에 자동으로 시간 맞춤하여 완벽한 동기화를 만들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있다.[9]

때로는 원본 배우가 아닌 다른 배우가 ADR 중에 사용되기도 한다. 한 가지 예는 데이비드 프라우즈가 연기한 ''스타워즈'' 캐릭터 다스 베이더이다. 포스트 프로덕션에서 제임스 얼 존스가 베이더의 목소리를 더빙했다.[10] 인도에서는 이 과정을 단순히 "더빙"이라고 부르는 반면, 영국에서는 "사후 동기화" 또는 "포스트 싱크"라고도 한다. 컴퓨터 생성 이미지나 애니메이션 만화와 같은 애니메이션에 대한 성우 연기의 삽입은 일반적으로 기존 대사를 대체하지 않더라도 ADR이라고 한다.

ADR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 프로덕션 장비 소음, 교통, 바람 또는 환경의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소리와 같은 불필요한 소리를 제거한다.
  • 상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세트에서 녹음된 원래 대사를 변경한다.
  • 발음을 개선하거나 억양을 수정한다.
  • 코미디 타이밍 또는 드라마 타이밍을 개선한다.
  • 동기화와 관련된 기술적 문제를 수정한다.
  • 스튜디오 품질의 노래 공연을 사용하거나 보컬 실력이 좋지 않은 배우에게 음성 대역을 제공한다.
  • 법적 목적(예: 무단 상표 이름 제거)을 위해 콘텐츠를 추가하거나 제거한다.
  • 제품 배치를 추가하거나 제거한다.
  • 촬영 중에 포착되지 않은 잘못 말한 대사를 수정한다.
  • 미디어의 TV 방송을 위해 또는 문제의 장면에 어린 배우가 관련된 경우 "비속어"를 대체한다.


다음은 ADR이 사용된 예시이다.

  • 진 헤이건은 ''사랑은 비를 타고''(1952)의 두 장면에서 데비 레이놀즈의 목소리를 제공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영화의 이야기는 레이놀즈의 캐릭터인 캐시 셀던이 헤이건의 캐릭터인 리나 라몬트의 목소리를 더빙하는 내용이다. 리나의 거슬리는 목소리와 강한 뉴욕 억양 때문이다. 헤이건은 리나를 위해 캐시를 더빙하는 역할을 하는 데 자신의 일반적인 멜로디컬한 목소리를 사용했다. 무성 영화에서 토키가 인기를 얻고 있는 할리우드를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는 또한 도널드 오코너가 연기한 또 다른 캐릭터인 코스모 브라운이 한 배우가 다른 배우의 목소리를 제공하는 아이디어를 생각해 낸 것으로 묘사한다.
  • 마니 닉슨은 1964년 뮤지컬 영화 ''마이 페어 레이디''에서 오드리 헵번이 연기한 엘라이자 둘리틀의 노래 목소리를 제공했다. 닉슨은 또한 ''왕과 나''의 데보라 카와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나탈리 우드를 포함한 많은 다른 사람들의 노래 목소리를 제공했다.
  •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험''의 다스 몰로 활동한 레이 파크는 피터 세라피노위츠에 의해 목소리가 더빙되었다.
  • ''시네마 천국''에서 이탈리아어로 더빙된 프랑스인 필립 느와레와 자크 페랭
  • ''뉴욕의 헤라클레스''에서 더빙된 오스트리아 보디빌더 아놀드 슈워제네거
  • 드라마 ''라 메리''에서 주연을 맡은 전문 배우가 더빙한 아르헨티나 복서 카를로스 몬존
  • 제임스 본드 영화 골드핑거에서 오릭 골드핑거를 연기한 게르트 프뢰베는 마이클 콜린스에 의해 더빙되었다.
  • 조지 라젠비의 제임스 본드는 ''여왕 폐하의 비밀 정보국''에서 본드가 변장하여 베이커 자신의 캐릭터를 사칭했기 때문에 영화의 일부를 조지 베이커에 의해 더빙되었다.
  • 그레이스토크: 타잔, 원숭이 왕자 이야기''의 앤디 맥도웰의 제인은 글렌 클로즈에 의해 더빙되었다.
  • 톰 하디는 ''다크 나이트 라이즈''에서 베인을 연기했으며, 시청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자신의 대사의 절반을 재더빙했다.
  • 하비 케이틀은 ''새턴 3''에서 포스트 프로덕션으로 로이 도트리스에 의해 더빙되었다.
  • 데이브 쿨리에는 리처드 프라이어의 여러 TV 버전 영화에서 욕설을 대체하여 더빙했다.
  • 더그 존스는 ''판타스틱 4: 실버 서퍼의 위협''에서 포스트 프로덕션으로 로렌스 피시번에 의해 더빙되었다.


일본에서는 외국어 작품을 텔레비전에서 방송할 때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작품에 대해 일본어로 "음성 더빙판"(일본어 더빙)이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토키가 시작되었을 당시에는 자막과 화면을 번갈아 사용했지만, 1931년에 일본에서 공개된 미국 영화모로코』 이후에는 자막 슈퍼가 주류가 되었다. 해외에서는 미국, 독일, 인도,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한국, 태국 등 일반적으로 더빙이 주류인 나라도 있다.

일본에서 "음성 더빙"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된 1950년대 이후이다. 텔레비전 초창기에는, 텔레비전용 국산 영상 소프트가 부족하여, 외국산 영상 소프트가 수입되어 방영될 때, 민영 방송은 주로 더빙으로 방송을 했다. 이는 초기 작은 텔레비전 화면과 낮은 해상도에서의 문자 수 제한과, 눈이 좋지 않은 노인이나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을 배려하기 위해, 텔레비전 방송에 한해서 음성 더빙이 사용되었다. 1956년 11월부터 KRT(현 TBS)에서 방송이 시작된 실사판 『슈퍼맨』에서는, 오히라 토오루가 클라크 켄트의 목소리를 맡았지만, 외국인이 일본어를 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 이상하게 여겼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 또한 외국 애니메이션 영화에서는, 1954년에 일본에서 개봉된 디즈니 애니메이션 『덤보』에서 일본어 더빙판이 제작되었다.[126]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더빙 언어는 표준어이다. 그러나, 억양이 있다는 것을 특징짓기 위해 사투리로 더빙하는 경우도 있으며, 그 대부분은 간사이벤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 이상의 언어가 오가는 장면의 경우, (미국 영화 / 영어 작품의 경우) 영어 대사 부분을 일본어로 더빙하고, 그 외의 언어(중국어아랍어, 러시아어 등)는 더빙하지 않고 원어+자막 슈퍼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굳이 영어 이외의 언어의 대사를 그대로 더빙 성우가 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일부 대사를 바꾸는 경우도 있다(번역 "영어를 아십니까?"→더빙 "우리 말을 아십니까?"). 일본어 대사의 경우, 일본인 배우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지만, 일본계인을 포함한 아시아계 배우가 일본어를 하는 장면만의 경우에도 원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특히 영어 억양이 너무 강할 경우에는 더빙되기도 한다.

뮤지컬 영화 등, 노래하는 장면은 원어로 하거나, 오리지널 가사 또는 일본어로 번역한 가사를 더빙 성우가 부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일부 보도가 규제되는 국가나 지역에서는, 뉴스 프로그램의 시민 인터뷰에서도 더빙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과거 구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상투적인 수단이었으며, 현재도 이 수법이 사용되는 국가가 있다. 또한 외국인 인터뷰에서는, 번역된 자막이 본인의 발언 취지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번역가는 비디오와 대본을 바탕으로, 원음의 목소리에 맞도록 너무 길지도 않고 짧지도 않게 일본어로 대사를 번역한다. 음향 감독의 오역이나 길이 체크를 거쳐 대본이 완성되면, 사전에 성우에게 비디오와 대본이 전달되고, 성우는 미리 배역을 파악해둔다. 녹음일에는 프로듀서, 음향 감독, 성우가 스튜디오에 모여 음향 감독의 지시에 따라, 먼저 첫 번째 리허설을 한다. 이 때 문제가 있으면 대사를 수정하거나 연기에 지적을 하고, 라스테스라고 불리는 다음 리허설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녹음을 한다. 성우는 3개에서 4개의 마이크를 여러 명이 공동으로 사용하며, 헤드폰으로 원본 대사를 들으면서, 화면과 대본을 번갈아 보며 자신의 차례가 되면 대사를 발성한다. 프로듀서나 음향 감독 등 스태프는 성우들이 있는 방음된 녹음 부스와는 구별되어, 금붕어 어항이라고 불리는 녹음 장비로 둘러싸인 부스에서 지시를 내린다. 성우가 대사를 실수하여 NG를 내면, 다시 녹음하여 성우는 출연을 마친다. 그 후에는 믹서나 음향 효과와 같은 스태프가 음향 감독의 지시에 따라 일본어 대사와 원음의 음악과 효과음을 맞추는 더빙을 진행한다. 마이크로 녹음한 그대로의 대사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전화 목소리라면 그럴듯하게 에펙트를 걸고, 다가오는 인물의 목소리라면 영상에 맞춰 음성의 레벨을 조정하는 식이다.

오늘날에는, 대사가 녹음되지 않은 음악과 효과음만의 ME 테이프에 일본어 목소리를 녹음하는 아후레코로 진행된다. 하지만 녹음 장비 등 아후레코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1950년대에는 생방송으로 더빙을 진행했었다. 생방송 시대의 더빙은 좁은 아나운스 부스에 출연 성우가 모두 들어가, 한 개의 마이크를 서로 사용하면서 대사를 말했지만, 읽는 실수 등의 미스도 많았다고 한다. 이윽고, 16mm 자기 필름 녹음 장치가 도입되었고, 일본어 음성을 테이프로 녹음하는 아후레코는, 1956년 4월 8일부터 일본 텔레비전 방송망(Nippon Television Network, 줄여서 NTV)이 방송한 해외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소년의 모험』부터 시작되었지만, 이 단계에서는 영상과 음성을 싱크시키는 것이 어려워, 번역가 누카타 야에코에 따르면 생방송에서 아후레코로 본격적으로 이행한 것은 1958년 경이라고 한다. 편집 기술이 미발달했던 초기의 녹음에서는 대사를 실패하면, 다시 처음부터 아후레코를 다시 해야 했고, 성우의 부담은 컸다. NHK가 음성 싱크를 위해 2대의 영사기를 이용하여 작품의 영상과 대사의 음성 파형을 동시에 투영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대사의 타이밍을 맞추기 쉽게 하고, 성우의 부담을 경감시켰다.[128] 초기의 녹음 스튜디오는 방음 설비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스튜디오 밖에 있던 개의 울음소리가 원인이 되어 아후레코를 다시 해야 할 정도였다.[129] 녹음용 테이프도 고가였으며, 과거 아테레코 말투라고 불렸던 독특한 평판한 말투는, 연기력보다는 무엇보다 대사를 실패하지 않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여 길러진 것이다. ME 테이프가 없는 경우에는 효과음과 음악도 효과 스태프나 선곡가가 원음에 비슷한 효과음이나 음악을 준비했었다. 녹음 기술이 발전하면서 연기력에 중점을 둘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130]

디지털 녹음을 사용한 녹음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녹음의 합리화가 진행되어, 제작비를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예산이 적은 전문 채널 등에서도 더빙판을 제작하여 방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한다.

일본어판 음성 제작은 전문 음성 제작 회사가 담당한다. 처음에는 텔레비전 방송국이 제작했지만, 1960년대 초반부터 외부 프로덕션에 발주하게 되었다. 일본어판 제작 회사로는 태평양 텔레비전, 트랜스글로벌, 도호쿠 신샤, 브로드미디어 스튜디오 (구: 무비 텔레비전), 글로비전, 코스모 프로모션, 잭 프로모션, 뉴 재팬 필름, AC 크리에이트 등이 있다.

텔레비전용 더빙 제작 회사는 텔레비전 방송국에 지명권이 있어, 배급권을 가진 회사가 더빙판 제작을 하고 있는 업체라도 제작을 담당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4. 참여자

기본적으로 방송인 중에서도 성우들의 비중이 큰 편이라 남녀 성우들이 더빙의 주역으로 참여한다. 경우에 따라 성우가 아닌 연기 배우나 영화배우 등도 참여하게 된다. 이들은 방송국 녹음실에서 PD의 지휘 및 감독하에 방송국의 시나리오 대본을 통해서 대본에 나온 내용을 그대로 낭독 및 녹음을 하며 시청자들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더빙 PD는 감독자 및 지휘자로서 성우들의 발성 및 발음 교정이나 녹음 상태 및 편집과 수정을 지시할 권한을 갖고 있으며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거나 이를 교정할 수 있도록 조력자 역할을 하는 의무를 가진다. 또한 더빙에 참여할 성우나 배우 등을 캐스팅할 수 있는 권한도 가지며 오디션 등을 통해서 더빙에 참여할 성우나 배우들을 임명할 수 있는 권한도 있다.

더빙에 참여하는 성우 및 배우들은 출신지에 상관없이 방송법 법령 및 표준어 총칙에 따라 의무적으로 더빙을 할 때 표준어를 쓰도록 하고있다. 이는 시청자들에게 올바른 표준어를 통해서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취한 방송법 법령에 의거한 것이자 표준어 총칙 규정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 다만 특정 지방의 방언이 시나리오나 나레이션 등에 포함된 경우에는 지방 방언도 일부 허용하고 있다.

더빙의 지휘자는 방송국에서 현역으로 있는 더빙 관련 PD들이 감독 및 지휘자로서 연출을 맡고있다. 더빙 PD들은 오디션을 통해서 더빙에 참여할 성우나 배우 등을 임명하여 더빙에 참여하게 되는 작품이나 광고 등에 기회를 주면서 성우나 배우의 발성 및 발음, 문법, 어법 등의 체계적인 관리와 감독을 통해서 시청자들에게 성우나 배우들이 전달하는 육성 내용 및 내레이션이나 시나리오 등을 전달할 수 있도록하는 역할을 맡고있다. 또한 더빙본의 수정 및 편집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있으며 그에 맞게 수정 및 편집을 지시하는 권한도 있다.



'''자동 대사 재녹음(ADR)'''은 오디오 품질을 개선하거나 처음 대본으로 작성된 대사를 변경하기 위해 촬영 과정 후 원본 배우(또는 대체 배우)가 대사를 재녹음하는 과정이다.[6][7]

일반적인 영화 제작에서 프로덕션 사운드 믹서는 촬영 중 대사를 녹음한다. 포스트 프로덕션 중에 감독 사운드 편집자 또는 ADR 감독이 영화의 모든 대사를 검토하고 어떤 대사를 재녹음해야 하는지 결정한다. ADR은 특수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는 ADR 세션 중에 녹음된다.[8] ADR 과정은 항상 포스트 프로덕션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은 이동 장비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녹음할 수 있다. ADR은 또한 배우에게 일치해야 하는 이미지를 보여주지 않고, 배우가 자신의 연기를 듣게 함으로써 녹음할 수도 있다.

ADR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프로덕션 장비 소음, 교통, 바람 또는 환경의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소리와 같은 불필요한 소리를 제거한다.

:*상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세트에서 녹음된 원래 대사를 변경한다.

:*발음을 개선하거나 억양을 수정한다.

:*코미디 타이밍 또는 드라마 타이밍을 개선한다.

:*동기화와 관련된 기술적 문제를 수정한다.

:*스튜디오 품질의 노래 공연을 사용하거나 보컬 실력이 좋지 않은 배우에게 음성 대역을 제공한다.

:*법적 목적(예: 무단 상표 이름 제거)을 위해 콘텐츠를 추가하거나 제거한다.

:*제품 배치를 추가하거나 제거한다.

:*촬영 중에 포착되지 않은 잘못 말한 대사를 수정한다.

:*미디어의 TV 방송을 위해 또는 문제의 장면에 어린 배우가 관련된 경우 "비속어"를 대체한다.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 진 헤이건은 ''사랑은 비를 타고''(1952)의 두 장면에서 데비 레이놀즈의 목소리를 제공했다.
  • 마니 닉슨은 1964년 뮤지컬 영화 ''마이 페어 레이디''에서 오드리 헵번이 연기한 엘라이자 둘리틀의 노래 목소리를 제공했다.
  •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험''의 다스 몰로 활동한 레이 파크는 피터 세라피노위츠에 의해 목소리가 더빙되었다.
  • ''시네마 천국''에서 이탈리아어로 더빙된 프랑스인 필립 느와레와 자크 페랭
  • ''뉴욕의 헤라클레스''에서 더빙된 오스트리아 보디빌더 아놀드 슈워제네거
  • 드라마 ''라 메리''에서 주연을 맡은 전문 배우가 더빙한 아르헨티나 복서 카를로스 몬존
  • 제임스 본드 영화 골드핑거에서 오릭 골드핑거를 연기한 게르트 프뢰베는 마이클 콜린스에 의해 더빙되었다.
  • 조지 라젠비의 제임스 본드는 ''여왕 폐하의 비밀 정보국''에서 본드가 변장하여 베이커 자신의 캐릭터를 사칭했기 때문에 영화의 일부를 조지 베이커에 의해 더빙되었다.
  • 그레이스토크: 타잔, 원숭이 왕자 이야기''의 앤디 맥도웰의 제인은 글렌 클로즈에 의해 더빙되었다.
  • 톰 하디는 ''다크 나이트 라이즈''에서 베인을 연기했으며, 시청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자신의 대사의 절반을 재더빙했다.
  • 하비 케이틀은 ''새턴 3''에서 포스트 프로덕션으로 로이 도트리스에 의해 더빙되었다.
  • 데이브 쿨리에는 리처드 프라이어의 여러 TV 버전 영화에서 욕설을 대체하여 더빙했다.
  • 더그 존스는 ''판타스틱 4: 실버 서퍼의 위협''에서 포스트 프로덕션으로 로렌스 피시번에 의해 더빙되었다.

스턴트, 스턴트맨, 스턴트 더블도 참조

초창기 무성 영화 시대의 영화에서는 위험한 장면도 배우가 직접 대역 없이 연기하는 것이 활동 사진의 재미로 여겨졌다. 할리우드의 3대 코미디 배우인 찰리 채플린, 로이드, 키튼은 "대역"을 쓰지 않고 모두 본인이 액션을 연기하여 인기를 얻었다. 영화 제작 회사가 기업으로서 건실한 발걸음을 내딛기 시작하면서 상품 가치가 있는 배우를 소중히 다룬다는 의미와 영화 스타가 예술가의 반열에 올랐다는 두 가지 이유로 "'''대역'''", "'''대역 배우'''"라는 새로운 직업이 생겨났다.

이처럼 "배우 대신 다른 배우가 연기하는" 영화 속 "대역 배우"는 토키 시대에 들어선 할리우드 영화계에서 시작되었다. 이 시대의 유명한 "대역 배우"로는 리처드 탈마지가 있다.

탈마지는 더글러스 페어뱅스의 대역에서 스타가 된 배우였다. 이후 주연작을 얻어 페어뱅스보다 인기가 높아졌지만, 페어뱅스의 영화에서는 항상 대역을 연기했다.

일본 영화계에서 이 "대역 배우"가 채택된 것은 10년 정도 늦은 시점이었으며, 당시에는 "'''대역'''"이라고도 불렸다. 이러한 액션 장면뿐만 아니라, 촬영 일정이나 배우의 스케줄 사정으로 대역 배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오코치 덴지로나 반도 츠마사부로와 같은 옛날 배우들은 아무리 멀리서 얼굴이 보이지 않는 샷이라도 "자신의 모습을 보여줄 기회"라며 대역 배우를 쓰려 하지 않았다[122]

1959년(쇼와 34년) 다이에이의 유도 영화 『고도칸에 해가 뜬다』(타사카 카츠히코 감독)로 배우 데뷔한 혼고 지로는, 자신이 유도 선수였기 때문에, 야외 로케에서 스가와라 켄지에게 던져지는 장면에서 대역을 거절하고, 스스로 7번 연속으로 던져지는 연기를 선보였다. 혼고에 따르면 당시 유도 영화에서는 모든 장면에서 대역 배우가 사용되었고, 실제로 유도 기술로 던져지는 배우는 없었다고 한다[123]

토키 시대의 일본에서 "더빙 배우", "대역 배우"로는 쇼치쿠 가마타에서는 오시모토 에이지, 가쓰미 요타로, 닛카쓰에서는 미나미 미쓰아키, 스즈키 덴메이, 히로세 쓰네미, 마키노 영화에서는 다카기 신페이, 하야후사 히데토와 같은 배우들이 있었으며, "'''모험 배우'''"나 "'''조인'''"이라는 캐치프레이즈로 홍보했다.

하야후사 히데토는 "영화 스타"가 되고 싶은 일념으로, 고베의 상관빌딩과 빌딩 사이에 피아노선을 쳐서, 안전 장비 없이 즉흥적으로 줄타기를 했다.

일본에서 처음으로 불덩이가 되는 더빙을 연기한 배우는 나카지마 하루오이다. 나카지마가 더빙을 연기한 쇼와 20~30년대 영화계에는 아직 "스턴트 배우"라는 말은 없었다고 한다[125]

일본어 더빙의 배역은 애니메이션과는 달리 오디션을 거의 실시하지 않고, 프로듀서나 디렉터 등이 성우를 지명하여 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디즈니 작품, 스티븐 스필버그 작품, 조지 루카스 작품 등에서는 지명이 아닌, 애니메이션과 마찬가지로 오디션이 진행된다.

초창기 더빙 성우는 방송국의 방송 극단과 함께 신극 계열의 극단에서 기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칠요회, 삼기회, 신인회와 같은 극단이 유닛 출연 계약을 맺었다. 이후에도 신극 계열 극단원은 캐스팅의 중심이 되었으며, 문학좌, 테아토르 에코, 극단 청년좌, 연극 집단 엔, 극단 스바루가 대표적이다. 성우 프로덕션 소속 성우도 캐스팅되지만, 애니메이션이나 게임과 비교하면 신극 계열 극단원의 비율이 높다. 극단원이 중용되는 것은 역사적 경위 외에도 실사 연기에 정통하기 때문이다.

일본인 배우 및 여배우가 출연한 외국 영화 작품에서는, 더빙판 녹음에서도 연기한 본인이 외국어 대사 부분을 더빙하는 경우도 있지만, 연기한 본인이 아닌 다른 성우가 더빙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주로 배우의 스케줄 및 갤런티 사정, 더빙판 녹음 시 이미 은퇴했거나 사망했다는 이유 때문이다. 이때 밸런스를 고려하여 일본어 대사를 포함해 전부 더빙하는 경우나, 일본어 대사가 대부분이고 외국어 대사가 적은 경우에는 컷하는 경우(지상파 TV 방송)도 있다.

미국에서는 더빙 시 원래 목소리와 목소리가 비슷한 성우를 캐스팅하는 것이 통례가 되고 있다. 배우 한 명마다 더빙 전용 성우가 있을 정도이다. 또한, 미국에서는 부모와 자식, 형제 배역에도 비슷한 얼굴의 배우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미공개 장면의 복원 사례로 『스파르타쿠스』에서는 로렌스 올리비에와 인연이 있는 앤서니 홉킨스가 대사 더빙을 담당했다.

번역가는 비디오와 대본을 바탕으로, 원음의 목소리에 맞도록 너무 길지도 않고 짧지도 않게 일본어로 대사를 번역한다. 음향 감독의 오역이나 길이 체크를 거쳐 대본이 완성되면, 사전에 성우에게 비디오와 대본이 전달되고, 성우는 미리 배역을 파악해둔다. 녹음일에는 프로듀서, 음향 감독, 성우가 스튜디오에 모여 음향 감독의 지시에 따라, 먼저 첫 번째 리허설을 한다. 이 때 문제가 있으면 대사를 수정하거나 연기에 지적을 하고, 라스테스라고 불리는 다음 리허설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녹음을 한다. 성우는 3개에서 4개의 마이크를 여러 명이 공동으로 사용하며, 헤드폰으로 원본 대사를 들으면서, 화면과 대본을 번갈아 보며 자신의 차례가 되면 대사를 발성한다. 프로듀서나 음향 감독 등 스태프는 성우들이 있는 방음된 녹음 부스와는 구별되어, 금붕어 어항이라고 불리는 녹음 장비로 둘러싸인 부스에서 지시를 내린다. 성우가 대사를 실수하여 NG를 내면, 다시 녹음하여 성우는 출연을 마친다. 그 후에는 믹서나 음향 효과와 같은 스태프가 음향 감독의 지시에 따라 일본어 대사와 원음의 음악과 효과음을 맞추는 더빙을 진행한다. 마이크로 녹음한 그대로의 대사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전화 목소리라면 그럴듯하게 에펙트를 걸고, 다가오는 인물의 목소리라면 영상에 맞춰 음성의 레벨을 조정하는 식이다.

오늘날에는, 대사가 녹음되지 않은 음악과 효과음만의 ME 테이프에 일본어 목소리를 녹음하는 아후레코로 진행된다. 하지만 녹음 장비 등 아후레코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1950년대에는 생방송으로 더빙을 진행했었다. 생방송 시대의 더빙은 좁은 아나운스 부스에 출연 성우가 모두 들어가, 한 개의 마이크를 서로 사용하면서 대사를 말했지만, 읽는 실수 등의 미스도 많았다고 한다. 이윽고, 16mm 자기 필름 녹음 장치가 도입되었고, 일본어 음성을 테이프로 녹음하는 아후레코는, 1956년4월 8일부터 일본 텔레비전 방송망(Nippon Television Network, 줄여서 NTV)이 방송한 해외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소년의 모험』부터 시작되었지만, 이 단계에서는 영상과 음성을 싱크시키는 것이 어려워, 생방송에서 아후레코로 본격적으로 이행한 것은 1958년 경이라고 한다. 편집 기술이 미발달했던 초기의 녹음에서는 대사를 실패하면, 다시 처음부터 아후레코를 다시 해야 했고, 성우의 부담은 컸다. NHK가 음성 싱크를 위해 2대의 영사기를 이용하여 작품의 영상과 대사의 음성 파형을 동시에 투영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대사의 타이밍을 맞추기 쉽게 하고, 성우의 부담을 경감시켰다[128]。초기의 녹음 스튜디오는 방음 설비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스튜디오 밖에 있던 개의 울음소리가 원인이 되어 아후레코를 다시 해야 할 정도였다[129]

5. 목소리 연기

성우 또는 배우들은 시나리오 대본에 나온 대사를 육성으로 전달하여 시청자들에게 내용을 전달한다. 영화나 애니메이션 더빙의 경우 성우가 더빙 PD나 애니메이션 감독의 지휘 및 지시에 따라 발성의 강약 및 높낮이를 조절하며 영화 속 배우나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의 말뜻, 입모양, 행동, 시선, 감정 등에 맞춰 목소리 연기를 한다. 캐릭터의 성격이나 행동, 감정에 따라 강약 조절과 높낮이 조절이 필요하며, 더빙 PD의 지휘와 지시하에 이루어진다. 캐릭터의 나이와 성별에 따라서도 목소리가 달라질 수 있다.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등에 나오는 캐릭터들은 직접 육성을 낼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성우나 배우의 육성을 통해 말뜻이나 행동을 전달해야 하므로 더빙의 비중이 높다.

캐릭터가 특정 지방의 방언을 쓰는 경우에는 지방 방언도 허용된다. 방송법 및 표준어 총칙 규정에 따라 더빙 목소리 연기는 표준어 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캐릭터가 지방 방언을 쓰는 경우 예외로 한다. 말을 하지 못하는 동물 캐릭터는 동물의 특성에 맞게 울음소리를 표현한 대사를, 갓난아기는 아기의 울음소리나 아기 소리를 표현한 대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자동 대사 재녹음''' ('''ADR''')은 음질을 개선하거나 대사를 변경하기 위해 촬영 후 원본 배우(또는 대체 배우)가 대사를 다시 녹음하는 과정이다. 토키 초기에는 필름 루프를 사용한 "루핑" 또는 "루핑 세션"이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이후 비디오테이프와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면서 자동 대사 재녹음(ADR)으로 알려지게 되었다.[6][7]

일반적인 영화 제작에서 프로덕션 사운드 믹서는 촬영 중 대사를 녹음한다. 포스트 프로덕션 중에는 감독 사운드 편집자 또는 ADR 감독이 영화의 모든 대사를 검토하고 재녹음 여부를 결정한다. ADR은 특수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는 ADR 세션 중에 녹음된다. 여러 테이크를 녹음하고 가장 적합한 테이크를 최종 버전으로 사용하거나, 여러 테이크의 일부를 편집하여 사용하기도 한다.[8] ADR 과정은 포스트 프로덕션 스튜디오 외에도 이동 장비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녹음하거나, 배우에게 이미지를 보여주지 않고 자신의 연기를 듣게 하여 녹음할 수도 있다.

자동화된 프로세스에는 화면에 대사를 자동으로 표시하고, 자동 신호, 정확한 동기화를 위한 오디오 트랙 이동, 시간 맞춤 알고리즘 등 정교한 기술이 포함된다.[9]

때로는 원본 배우가 아닌 다른 배우가 ADR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스타워즈'' 캐릭터 다스 베이더는 데이비드 프라우즈가 연기했지만, 포스트 프로덕션에서 제임스 얼 존스가 목소리를 더빙했다.[10]

인도에서는 이 과정을 "더빙"이라고 부르며, 영국에서는 "사후 동기화" 또는 "포스트 싱크"라고도 한다. 컴퓨터 생성 이미지나 애니메이션 만화와 같은 애니메이션에 대한 성우 연기 삽입도 기존 대사를 대체하지 않더라도 ADR이라고 한다.

ADR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 프로덕션 장비 소음, 교통, 바람 등 불필요한 소리 제거
  • 상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원래 대사 변경
  • 발음 개선 또는 억양 수정
  • 코미디 타이밍 또는 드라마 타이밍 개선
  • 동기화 관련 기술적 문제 수정
  • 스튜디오 품질의 노래 사용 또는 음성 대역 제공
  • 법적 목적(예: 무단 상표 이름 제거)을 위해 콘텐츠 추가 또는 제거
  • 제품 배치 추가 또는 제거
  • 잘못 말한 대사 수정
  • "비속어" 대체


다음은 ADR 프로세스가 사용된 예시다.

"리듬 밴드" (또는 "립싱크 밴드")라고 불리는 더빙의 대체 방법은 캐나다프랑스에서 사용되어 왔다. 이 방법은 배우, 감독, 기술자에게 더 정확한 가이드를 제공하며, 전통적인 ADR 방식을 보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리듬 밴드는 대사가 인도 잉크로 손으로 쓰여진 투명한 35mm 필름 리더이며, 배우를 위한 추가 표시가 포함되어 있다. 리듬 밴드는 스튜디오에서 영사되며 화면과 완벽하게 동기화되어 스크롤된다.

스튜디오 시간은 스크롤 텍스트, 그림, 오디오 큐의 도움을 받아 배우가 ADR만 사용할 때보다 시간당 더 많은 대사를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더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ADR의 경우 배우는 시간당 평균 10~12줄을 처리할 수 있지만, 리듬 밴드는 시간당 35~50줄을 읽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11]

그러나 리듬 밴드의 제작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과정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이 기술이 더 널리 채택되지 못했지만, 리듬 밴드 기술의 소프트웨어 에뮬레이션은 전통적인 리듬 밴드 프로세스의 단점을 극복하고 더빙 세션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상당히 줄여준다.

더빙이 원어 이외의 언어로 이루어질 경우, 더빙 과정은 다음과 같은 작업들을 포함한다.

# 번역

# 대본 작성:

## 분할

## 더빙 기호 삽입

## 대화 작성 및 자연스러운 대화 흉내

## 립싱크

때때로 번역가가 이 다섯 가지 작업을 모두 수행한다. 다른 경우에는 번역가가 대략적인 번역본만 제출하고 대본 작가가 나머지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번역가와 대본 작가의 언어 전문성은 다르다. 번역가는 원어에 능숙해야 하는 반면, 대본 작가는 대상 언어에 능숙해야 한다.

토키 시대의 일본에서 "더빙 배우", "대역 배우"로는 쇼치쿠 가마타에서는 오시모토 에이지, 가쓰미 요타로, 닛카쓰에서는 미나미 미쓰아키, 스즈키 덴메이, 히로세 쓰네미, 마키노 영화에서는 다카기 신페이, 하야후사 히데토와 같은 배우들이 있었으며, "모험 배우"나 "조인"이라는 캐치프레이즈로 홍보했다.

하야후사 히데토는 "영화 스타"가 되고 싶은 일념으로, 고베의 상관 빌딩과 빌딩 사이에 피아노선을 쳐서, 안전 장비 없이 즉흥적으로 줄타기를 했지만, 이 피아노선은 하야후사가 사비로 구입했고, 선을 친 것도 본인이었다. 마키노 영화의 다카하 에이이치로는 "대역" 전문 배우였지만, 교토 묘신사의 중문에서 뛰어내리다 다리가 골절되어 배우를 그만두고 조감독이 되었다.[124]

일본에서 처음으로 불덩이가 되는 더빙을 연기한 배우는 나카지마 하루오이다. 나카지마가 더빙을 연기한 쇼와 20~30년대 영화계에는 아직 "스턴트 배우"라는 말은 없었다고 한다.[125]

6. 노래 연기

일부 캐릭터는 노래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개 성우들이 직접 부르거나 외부 가수가 대신 부르기도 한다. 성우 중에서도 가창력이 뛰어나거나 음대 및 성악 전공자는 노래 연기에 유리하다. 하지만 가수를 겸업하지 않는 이상, 전문 가수와는 다르다. 캐릭터 설정에 따라 노래 연기를 할 뿐, 전문적으로 노래하는 것은 아니다.[5]

캐릭터 노래 외에도 애니메이션의 여는 곡이나 닫는 곡을 성우가 직접 부르는 경우도 있다. 보통은 외부 가수나 어린이 합창단이 부르지만, 성우가 직접 부르는 경우도 있다.

7. 국가별 현황

]]

더빙은 해외 시장을 위해 영화, 비디오, 때로는 비디오 게임을 현지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이다. 해외 배급에서 더빙은 극장 개봉 영화, 텔레비전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만화, 애니메이션, 텔레노벨라 등에서 흔히 사용된다.[2]

  • '''유럽'''

북서유럽, 폴란드, 포르투갈, 발칸, 발트 및 북유럽에서는 일반적으로 어린이용 영화 및 TV 프로그램만 더빙되며, 나이가 많은 시청자를 위한 TV 프로그램과 영화는 자막 처리된다.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헝가리어 사용 시장에서는 거의 모든 외국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더빙된다. 외국 영화를 원본 버전으로 볼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

  • '''아시아'''

중국은 1930년대부터 외국 영화를 만다린 중국어로 더빙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홍콩에서는 영어 및 표준 중국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외한 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광둥어로 더빙된다. 타이완에서는 일부 외국 영화와 TV 드라마를 중국어로 더빙한다. 일본에서는 어린이용으로 제작된 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자막이나 더빙으로 제공된다.

  • '''아프리카'''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에서는 대부분의 외국 영화(특히 할리우드 작품)가 프랑스어로 더빙되어 상영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아프리칸스어로 더빙되었다.

  • '''아메리카'''

미국영어 사용 캐나다에서는 실사 영화 외국 영화가 일반적으로 원어로 영어 자막과 함께 극장에서 상영된다. 브라질에서는 외국 프로그램이 거의 예외 없이 무료 방송에서 브라질 포르투갈어로 더빙된다. 멕시코에서는 법적으로 극장에서 상영되는 영화는 원본 버전으로 상영되어야 한다.

  •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전통적으로 더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외국어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는 자막이나 다른 국가에서 제작된 영어 더빙과 함께 상영되었다.

  • * 더빙의 정치적, 문화적 맥락


많은 국가에서 더빙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치적인 이유로 채택되었다.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프랑코 시대 스페인과 같은 권위주의 국가에서 더빙은 특정 이념적 의제를 강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 나치 이후 독일에서는 더빙이 국가의 최근 과거 사건들을 축소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3]

  • * 더빙과 현지화


현지화는 전 세계 한 지역의 영화텔레비전 드라마를 다른 지역에 맞게 변환하는 행위이다. 순수한 번역과 달리 현지화는 대상 시청자에게 맞게 콘텐츠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13] 더빙 현지화는 해외 영화 제작텔레비전 프로그램 애호가, 특히 애니메이션 팬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 국가별 더빙 현황 상세


국가더빙 현황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대부분의 외국 영화(특히 할리우드 작품)가 프랑스어로 더빙되어 상영됨.
아랍어 사용 국가어린이 프로그램(주로 만화와 어린이 시트콤)이 아랍어로 더빙되거나 아랍어 자막이 사용됨.
튀니지튀니지 국립 텔레비전(TNT)은 더빙된 콘텐츠만 방송해야 함.
남아프리카 공화국많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아프리칸스어로 더빙됨.
우간다외국 영화는 우간다의 "비디오 자키"(VJ)가 제공하는 루간다어 번역 및 해설과 함께 제공됨.
아제르바이잔모든 텔레비전 채널은 더빙된 오디오로 영화 및 TV 프로그램을 방송해야 함.
중국1930년대부터 외국 영화를 만다린 중국어로 더빙하는 오랜 전통을 가짐.
홍콩영어 및 표준 중국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외한 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광둥어로 더빙됨.
타이완일부 외국 영화와 TV 드라마를 중국어로 더빙함.
조지아영화와 TV 시리즈에서 원본 사운드트랙이 유지되지만, 음성 해설 번역이 함께 제공됨.
인도더빙은 주로 힌디어, 타밀어, 텔루구어로 이루어짐.
인도네시아어린이 프로그램은 대부분 더빙되지만, 만화 시리즈에서도 노래는 일반적으로 더빙되지 않음.
이란국제적인 외국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페르시아어로 더빙됨.
이스라엘어린이 영화와 TV 프로그램만 히브리어로 더빙됨.
일본1950년대 즈음부터 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가 일본어로 더빙되어 방영되기 시작함.
말레이시아TV2에서 방영되는 외국어 프로그램과 영화는 원어로 방영되며 말레이어 자막이 제공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많은 외국 영화와 TV 쇼가 공식적으로 배급됨.
파키스탄터키의 연속극은 현재 우르두어로 더빙되어 힌두어의 인도 연속극을 대체하며 인기를 얻고 있음.[50]
필리핀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의 더빙 여부에 대해 혼합된 관행을 보임.
싱가포르더빙은 서구 프로그램에서는 드문 편임.
대한민국일본에서 수입된 애니메이션이 일반적으로 한국어 더빙으로 텔레비전에 방영됨.
태국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태국어로 더빙되지만, 원어 사운드트랙은 종종 동시 방송됨.
베트남외국어 영화와 프로그램이 종종 베트남어로 자막 처리되거나 텔레비전에서 보이스 오버 방식으로 방송됨.
벨기에플랑드르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영화를 제외하고 영화와 TV 시리즈가 원어에 자막과 함께 방영됨. 왈로니아에서는 극장과 TV에서 프랑스어 더빙 버전으로 영화가 상영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일반적으로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 더빙을 사용함.
불가리아불가리아어 더빙에는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함.
크로아티아외국 실사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는 항상 자막으로 제공되는 반면, 대부분의 어린이 프로그램과 애니메이션 영화는 크로아티아어로 더빙됨.
에스토니아외화 어린이 영화만 극장과 에스토니아 방송 TV 채널에서 더빙됨.
그리스대부분의 만화 영화가 더빙으로 상영됨.
아일랜드TV에서 방영되는 어린이 만화도 가끔 아일랜드어로 더빙됨.
네덜란드대부분 어린이 영화와 가족 영화에만 네덜란드어 더빙이 제작됨.
북유럽 국가더빙이 애니메이션 영화와 어린이를 위한 다른 영화에만 사용됨.
핀란드성인 관람객을 위한 영화는 핀란드어와 스웨덴어 자막이 모두 제공됨.
아이슬란드영화와 TV의 더빙 버전이 원래 덴마크어였으며 일부는 아이슬란드어로 번역되었지만, 현재는 아이슬란드어가 더 많이 사용됨.
북마케도니아많은 만화 영화를 마케도니아어로 더빙했지만, 일부 세르비아어 더빙도 방영함.
포르투갈1994년까지 애니메이션 영화와 어린이용 TV 시리즈는 포르투갈에서 자막으로 상영되었으며, 브라질 포르투갈어로 더빙된 작품도 수입됨.
루마니아사실상 모든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이 루마니아어로 더빙됨.
세르비아어린이용 애니메이션 영화와 일부 실사 영화 및 TV 시리즈는 세르비아어로 더빙되는 반면, 성인용 실사 영화 및 TV 시리즈는 항상 자막으로 방영됨.
슬로베니아모든 외국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자막으로 제공되며, 어린이 영화와 TV 프로그램(애니메이션 또는 실사)은 예외임.
영국대다수의 외국어 영화가 자막으로 제공되며, 대부분의 애니메이션 영화는 영어로 더빙됨.
프랑스더빙이 일반적임.
독일거의 모든 영화, 쇼, 텔레비전 시리즈, 외국 연속극이 독일 시장을 위해 제작된 더빙 버전으로 상영됨.
헝가리더빙이 거의 보편화되어 있음.
이탈리아더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며, 193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을 가지고 있음.
폴란드십 대를 위한 영화와 TV 시리즈 더빙은 니켈로데온과 디즈니 채널에서 이루어짐.
러시아텔레비전은 일반적으로 더빙되지만, 종종 몇 명의 성우만 사용하여 원본 대사가 밑에서 들리는 음성 해설 번역 방식을 사용함.
슬로바키아영화, TV 시리즈, 만화의 텔레비전 방송은 슬로바키아어로 더빙됨.
스페인거의 모든 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유럽 스페인어로 더빙되어 방영되며, 대부분의 영화도 마찬가지임.
우크라이나2006년 이후 영화 개봉작은 거의 항상 더빙 기법을 사용하여 우크라이나어로 더빙됨.
브라질외국 프로그램이 예외를 제외하고는 거의 예외 없이 무료 방송에서 브라질 포르투갈어로 더빙됨.
멕시코법적으로 극장에서 상영되는 영화는 원본 버전으로 상영되어야 함.
페루모든 외국 시리즈, 영화,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이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로 더빙되어 방영됨.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국가지상파 TV 네트워크에서 방영되는 모든 외국어 프로그램, 영화, 만화 및 다큐멘터리는 표준 스페인어로 더빙됨.
캐나다 퀘벡영어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영화와 TV 프로그램이 표준 프랑스어로 더빙되며, 때때로 퀘벡 프랑스어의 특징이 나타나기도 함.
미국실사 영화 외국 영화가 일반적으로 원어로 영어 자막과 함께 극장에서 상영됨.
오스트레일리아전통적으로 더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외국어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는 자막이나 다른 국가에서 제작된 영어 더빙과 함께 상영됨.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거의 프랑스어 또는 영어로만 상영함.
뉴질랜드점점 더 많은 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가 마오리어로 더빙되고 있음.


8. 방송법 법령에서의 더빙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법 법령에서는 대한민국 국민 및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더빙을 필수 의무 조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캐릭터가 직접 언어 소통을 할 수 없는 애니메이션이나 외국어가 삽입된 해외 영화 및 드라마는 모국어만 아는 국민 및 시청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방송국의 전문 성우나 배우 등을 통해 육성 녹음을 하도록 하고 있다.[162] 부득이하게 전문 성우가 없거나 성우를 투입하기 매우 어려운 경우에는 한글 자막을 넣어 자막 방송으로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도록 의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162] 원칙적으로 표준어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캐릭터가 특정 지방의 방언을 쓰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162]

9. 대안

자막은 더빙의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국가별로 더빙과 자막 중 무엇을 선택할지에 대한 선호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번역 예산이 많은 DVD에서는 시청자의 선호에 따라 두 가지 옵션을 모두 제공하기도 하며, 언어 순수주의자들은 종종 자막을 선호한다. 언어 사용 인구가 적거나 특정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규모 시장에서는 자막이 더 저렴하므로 적합하다. 반면, 아직 글을 읽을 수 없거나 읽는 속도가 느린 어린이를 위한 영화는 더빙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영어 사용 국가에서는 더빙이 비교적 드물다. 이스라엘에서는 일부 프로그램이 러시아어히브리어를 모두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더빙으로는 불가능하므로 자막이 더 일반적이며, 때로는 여러 언어로 제공되기도 한다. 사운드트랙은 보통 원어(영어)로 유지된다. 핀란드에서도 스웨덴어핀란드어가 모두 공용어이므로 같은 방식이 적용된다.

네덜란드, 플랑드르, 북유럽 국가, 에스토니아, 포르투갈, 투발루에서는 영화와 TV 프로그램이 원어(주로 영어)와 함께 자막으로 상영되며, 만화와 어린이 영화 및 프로그램만 더빙된다. 영화관에서는 보통 이러한 영화의 더빙 버전과 자막 버전을 모두 상영하며, 자막 버전은 늦은 저녁 시간에 상영하는 경우가 많다.

포르투갈에서는 지상파 채널 중 하나인 TVI에서 미국 드라마 ''도슨의 청춘일기''를 포르투갈어로 더빙했다.[112] RTP도 ''프렌즈''를 더빙 버전으로 방송했으나, 반응이 좋지 않아 나중에 자막 버전으로 다시 방송했다. 반면, 만화는 종종 유명 배우들이 더빙에 참여하며 TV에서도 방영된다. 애니메이션 영화는 일반적으로 자막 버전과 더빙 버전 모두 극장에서 개봉된다.

아르헨티나베네수엘라에서는 지상파 채널에서 법적으로 영화와 TV 시리즈를 더빙 버전으로 방송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 채널에서는 같은 시리즈를 자막 버전으로 더 이른 시간에 볼 수 있으며, 보통 지상파 TV보다 먼저 방영된다. 이와 달리, ''심슨 가족'' 시리즈는 지상파 TV와 해당 지역 케이블 방송국 Fox에서 멕시코 스페인어 더빙 버전으로 방송된다. 첫 번째 시즌은 자막과 함께 방영되었지만, 이후 시즌에서는 자막이 제공되지 않았다.

불가리아에서는 TV 드라마는 더빙되지만, 대부분의 TV 채널은 액션 영화와 드라마 영화에 자막을 사용한다. AXN은 자막을 사용하지만, 2008년부터 더빙을 강조하고 있다. 디에마 채널만이 모든 프로그램을 더빙한다. 어린이 영화를 제외한 극장 상영 영화는 더빙과 자막을 모두 사용한다. TV 프로그램 더빙은 보통 내레이션 방식이지만, 각 캐릭터에 맞는 억양을 사용하는 전문 성우의 목소리를 사용한다. 동기화 더빙은 드물며, 주로 애니메이션 영화에 사용된다. ''미세스 다웃파이어''는 BNT 채널 1에서 동기화 더빙된 극장 영화의 드문 예이지만, 현재 다른 채널에서는 자막 버전이 방영되고 있다.

월트 디즈니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시리즈 (예: ''DuckTales'', ''Darkwing Duck'', ''Timon & Pumbaa'')는 2005년까지 BNT 채널 1에서 불가리아어 동기화 더빙으로만 방영되었지만, 이후 디즈니 프로그램은 중단되었다. 2008년 노바 텔레비전과 제틱스에서 디즈니 시리즈 방영이 재개되었을 때는 내레이션이 사용되었지만,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번역은 여전히 동기화 더빙을 사용한다. 극장 개봉작에는 내레이션 더빙을 사용하지 않는다. 불가리아 영화 산업법은 모든 어린이 영화에 자막이 아닌 더빙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노바 텔레비전은 ''포켓몬'' 애니메이션을 동기화 더빙으로 방영했다. 현재 이 프로그램은 디즈니 채널에서도 동기화 더빙으로 방영되고 있다.

넷플릭스는 브라질 드라마 "3%"와 독일 스릴러 "Dark" 등 외국어 프로그램에 자막과 더빙 오디오를 모두 제공한다. 시청자 테스트 결과, 번역된 자막보다 더빙된 오디오를 선택한 시청자가 시리즈를 끝까지 볼 확률이 더 높았다. 넷플릭스는 현재 시청자 유지를 위해 외국어 콘텐츠의 더빙 오디오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다.[113]

10. 일반적 용도

더빙은 원래 현장 소리가 없는 필름에 대사, 음향, 배경 음악 등을 추가하여 완성된 작품을 만드는 작업이다. 특히 대사 더빙은 화면 속 배우의 목소리를 성우의 목소리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성일, 엄앵란, 최진실과 같이 배우가 유명해지면 그 배우의 목소리를 담당한 성우도 함께 유명해지는 경우도 있었다.[161]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 배우의 목소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더빙은 영화, TV 드라마, CF 광고,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외국 영화, 드라마, 게임 등을 수입하여 자국어로 더빙할 때 유용하다.[161]
자동 대사 재녹음(ADR)은 음질 개선이나 대사 변경을 위해 촬영 후 배우가 대사를 다시 녹음하는 과정이다.[6][7] 초기에는 필름 루프를 사용한 "루핑" 방식이었으나, 현재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ADR 방식이 사용된다.[6][7]

일반적으로 영화 제작 과정에서 촬영 중 대사는 프로덕션 사운드 믹서가 녹음한다. 이후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서 사운드 편집자나 ADR 감독이 대사를 검토하고 재녹음 여부를 결정한다. ADR은 특수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며, 여러 테이크를 녹음하여 최적의 버전을 만들거나 편집한다.[8] ADR은 포스트 프로덕션 스튜디오 외에 이동 장비를 사용하여 현장에서도 녹음할 수 있다. 또한 배우가 자신의 연기를 보지 않고 듣기만 하면서 녹음하는 경우도 있다.[8]

자동화된 프로세스에는 대사 자동 표시, 자동 신호, 정확한 동기화를 위한 오디오 트랙 이동, 시간 맞춤 알고리즘 등 정교한 기술이 포함된다. 원본 사운드트랙에서 주변 소리 속 대화를 분류하고, 새로운 더빙을 원본에 자동으로 맞춰 완벽한 동기화를 만드는 소프트웨어도 있다.[9]

때로는 원본 배우가 아닌 다른 배우가 ADR을 맡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스타워즈''의 다스 베이더는 데이비드 프라우즈가 연기했지만, 목소리는 제임스 얼 존스가 더빙했다.[10]

인도에서는 이 과정을 "더빙"이라고 하며, 영국에서는 "사후 동기화" 또는 "포스트 싱크"라고도 한다. 컴퓨터 생성 이미지나 애니메이션 만화와 같은 애니메이션성우 연기를 추가하는 것도 ADR이라고 한다.

ADR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 프로덕션 장비 소음, 교통, 바람 등 불필요한 소리 제거
  • 상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대사 변경
  • 발음 개선 또는 억양 수정
  • 코미디 타이밍 또는 드라마 타이밍 개선
  • 동기화 관련 기술적 문제 수정
  • 스튜디오 품질의 노래 제공 또는 보컬 실력이 좋지 않은 배우의 음성 대역
  • 법적 목적(예: 무단 상표 이름 제거)을 위한 콘텐츠 추가/제거
  • 제품 배치 추가/제거
  • 잘못 말한 대사 수정
  • TV 방송 또는 어린 배우 관련 장면에서 "비속어" 대체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례들이 있다.

더빙은 비디오 게임, 텔레비전, 포르노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북미, 일본,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제작된 비디오 게임은 국제 출시를 위해 외국어로 더빙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대화가 중요한 게임의 경우, 새로운 언어에 맞춰 입 모양을 다시 코딩하여 립싱크를 구현하기도 한다. 소스 엔진은 립싱크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게임 현지화를 돕는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현지화된 콘텐츠는 영화 더빙 기술을 사용하거나, 이미지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원본 오디오를 참조하여 더빙된다. 사운드 싱크는 현지화된 오디오를 원본 콘텐츠의 길이와 일시 정지에 맞춰 녹음하는 방식이다.

비디오 게임의 유럽 버전은 화면 텍스트가 다양한 언어로 제공되며, 대화도 더빙되는 경우가 많다.

북미 버전 게임은 항상 영어로 제공되며, 필요한 경우 다른 언어로 번역된 텍스트와 더빙된 대화가 제공된다. ''진·삼국무쌍'' 시리즈나 ''소울 칼리버'' 시리즈와 같이 일부 일본 게임은 일본어 원음과 영어 더빙을 모두 포함하여 출시되기도 한다.

더빙은 네트워크 텔레비전 방송에서 비속어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대부분 원래 배우가 아닌 비슷한 목소리의 배우가 변경된 대사를 읽는다. 더빙된 대사 중에는 영화의 배경 소리가 갑자기 사라지는 경우가 있어 쉽게 눈에 띄기도 한다.

더빙은 SF 텔레비전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애니매트로닉스 인형이나 정교한 세트(예: 우주선 브리지)에서 배우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리는 원래 대사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스타게이트''와 ''파이스케이프''는 ADR이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예이다.

일부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비속어를 포함하고 있어, 영어 더빙 스튜디오에서 카툰 네트워크 방송 시 죽음이나 지옥에 대한 언급을 제거하고 특정 대사를 다시 녹음하는 경우가 있다. 일부 회사는 편집된 버전과 무삭제 버전을 모두 DVD로 제공하기도 한다.

더빙은 코미디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원래 다른 장르였던 영상의 대사를 바꿔 코미디를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1970년대 홍콩 쿵푸 영화를 코미디로 재더빙한 미국 프로그램 ''쿵푸 포'', 1970년대 호주 드라마와 액션 시리즈를 재더빙한 호주 프로그램 ''옛날''과 ''바지어스'', 폴란드 드라마 ''Pierwsza miłość''를 재더빙한 아일랜드 쇼 ''수피 노먼'', 일본 게임 쇼 ''타케시 성''을 코미디로 더빙한 ''가장 극한 제거 도전'' 등이 있다.

외국어 더빙이 항상 원어를 삭제하는 것은 아니다. 러시아폴란드에서는 공연자가 번역된 대사를 내레이션으로 읽는 경우가 있다. 폴란드에서는 한 명의 아나운서가 모든 텍스트를 읽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고품질 더빙 영화가 증가하고 있다. ''해리 포터''나 ''스타 워즈''와 같은 영화는 더빙 버전과 자막 버전이 모두 상영되기도 한다.

러시아에서는 한 사람이 모든 대사를 읽는 것을 가브릴로프 번역이라고 하며, 주로 불법 복제본이나 케이블 텔레비전에서 발견된다. 전문적인 복사본에는 최소 두 명 이상의 배우가 대사를 번역한다.

영화제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는 전문적인 통역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포르노 영화는 예산이 적고 촬영 중단을 최소화해야 하는 특성상 성행위 장면의 더빙이 흔하다. 이러한 더빙에 사용되는 오디오는 '신음 소리' 또는 '끙끙거림'이라고 불린다.

11. 다양한 버전으로의 더빙

영화, 비디오, 때로는 비디오 게임은 해외 시장의 현지 언어로 더빙된다. 해외 배급에서 더빙은 극장 개봉 영화, 텔레비전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만화, 애니메이션텔레노벨라에서 흔히 사용된다.[2]

많은 국가에서 더빙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치적인 이유로 채택되었다.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프랑코 시대 스페인과 같은 권위주의 국가에서 더빙은 특정 이념적 의제를 강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으며, 국가와 지도자에 대한 부정적인 언급을 삭제하고 지역 방언과 소수 언어를 희생하여 표준화된 국가 언어를 장려했다. 나치 이후 독일에서는 알프레드 히치콕의 ''Notorious'' 더빙처럼, 더빙은 국가의 최근 과거 사건들을 축소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 영화의 줄거리가 중심이 되는 나치 조직이 마약 밀매 기업으로 변경되었다.[3] 최초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화 더빙은 러시아어에서 체코어로 더빙된 ''Konstantin Zaslonov'' (1949)였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유럽에서 더빙은 여러 영화 제작자들에게 매력적이었는데, 이는 다른 국가의 회사 간의 공동 제작을 가능하게 하여 자원을 공유하고 여러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더빙의 사용은 다국적 출연진을 구성할 수 있게 해주었고, 그들은 선호하는 언어를 사용하여 연기를 할 수 있었으며, 영화의 버전을 배포하기 전에 적절한 후반 작업 더빙이 수행되었다.[3]

더빙이 원어 이외의 언어로 이루어질 경우, 더빙 과정은 다음과 같은 작업들을 포함한다.

# 번역

# 대본 작성:

## 분할

## 더빙 기호 삽입

## 대화 작성 및 자연스러운 대화 흉내내기

## 립싱크

때때로 번역가가 이 다섯 가지 작업을 모두 수행한다. 다른 경우에는 번역가가 대략적인 번역본만 제출하고 대본 작가가 나머지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번역가와 대본 작가의 언어 전문성은 다르다. 번역가는 원어에 능숙해야 하는 반면, 대본 작가는 대상 언어에 능숙해야 한다.

현지화는 전 세계 한 지역의 영화텔레비전 드라마를 다른 지역에 맞게 변환하는 행위이다. 순수한 번역과 달리 현지화는 대상 시청자에게 맞게 콘텐츠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문화 특유의 레퍼런스가 변경될 수 있으며, 영상이 삭제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13]

더빙 현지화는 해외 영화 제작텔레비전 프로그램 애호가, 특히 애니메이션 팬들 사이에서 영화광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일부 현지화는 번역 과정에서 거의 불가피하지만, 얼마나 많은 현지화가 "너무 많은"가에 대한 논쟁은 종종 그러한 커뮤니티에서 논의되며, 특히 최종 더빙 결과물이 원본과 크게 다를 때 더욱 그렇다. 어떤 팬들은 광범위한 현지화를 싫어하는 반면, 다른 팬들은 그것을 기대하며, 다양한 정도로 그것을 높이 평가한다.

새로운 음성 트랙은 일반적으로 성우가 녹음한다. 많은 국가에서 이 역할을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배우들은 특정 분야(애니메이션 팬덤 등)를 제외하고는 거의 알려지지 않거나, 그들의 목소리가 그들이 일반적으로 더빙하는 역할이나 배우의 목소리와 동일시될 때 알려진다. 미국에서는 많은 성우들이 미국 배우 조합 규정이나 역할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 때문에 가명을 사용하거나 크레딧에 이름을 올리지 않을 수 있다.[14]

중국은 1930년대부터 외국 영화를 만다린 중국어로 더빙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중화민국 시대에는 서구 영화가 수입되어 중국어로 더빙되었을 수도 있지만, 1950년 이후에는 소련 영화가 주요 수입원이 되었고,[29] 때로는 자국 생산량을 능가하기도 했다.[30] 공산주의 중국에서는 대부분의 유럽 영화가 상하이에서 더빙되었고, 아시아와 소련 영화는 일반적으로 창춘에서 더빙되었다.[31]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북한, 루마니아, 알바니아 영화가 인기를 끌었다.[32] 1970년대 후반부터는 영화 외에도 미국, 일본, 브라질, 멕시코의 인기 TV 시리즈도 더빙되었다.[30] 상하이 영화 더빙 스튜디오는 중국 영화 더빙 산업에서 가장 잘 알려진 스튜디오였다. 고품질의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각 영화를 몇 분 길이의 짧은 세그먼트로 나누어 세그먼트별로 작업을 진행한다. 번역의 정확한 의미 외에도 배우의 입 모양과 대사를 일치시키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인다. 그 결과, 이러한 영화의 더빙은 일반적으로 쉽게 감지되지 않는다. 더빙된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는 더빙 배우의 이름이 올라간다. 추위에펑, 비커, 리즈, 류광닝 등 상하이 영화 더빙 스튜디오의 여러 더빙 배우들이 유명 인사가 되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동부 및 남부 해안의 대도시에서는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이 그대로 유지된 자막 버전의 영화를 상영하는 영화관이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영화는 또한 중국의 일부 자치 지역의 언어로 더빙된다. 특히 티베트 자치구 영화사 번역부(西藏自治区电影公司译制科)[33]는 1960년대부터 영화를 티베트어로 더빙해 왔다. 초창기에는 매년 25~30편의 영화를 더빙했지만, 2010년대 초반에는 그 수가 60~75편으로 늘어났다.[33][34] 영화는 또한 중국의 몽골족위구르어 사용 시장을 위해 더빙된다.[35]

중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억양을 제거하고, 저조한 연기를 개선하거나, 현지 검열법을 준수하기 위해 전문 성우들이 표준 만다린으로 더빙하는 경우가 많다.[36]

홍콩에서는 영어 및 표준 중국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외한 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광둥어로 더빙된다. 영어 및 표준 중국어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원어로 방영되며 자막이 제공된다. 대부분의 실사 영화 및 애니메이션 영화(애니메이션 및 디즈니 등)와 같은 외국 영화는 일반적으로 광둥어로 더빙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화관에서는 영어 영화의 자막 버전도 제공한다.

대부분의 외국 영화와 TV 프로그램은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모두 표준 중국어와 광둥어로 더빙된다. 예를 들어, 영화 시리즈 ''반지의 제왕''에서 일라이저 우드가 연기한 프로도 배긴스는 중국과 대만을 위해 장광타오가 표준 중국어로 더빙했다. 광둥어 현지화를 위해 홍콩과 마카오에서 실제로 두 개의 더빙이 이루어졌다. 첫 번째 광둥어 더빙에서는 량웨이더가, 두 번째 광둥어 더빙에서는 등즈슝이 프로도 배긴스의 목소리를 연기했다.

벨기에의 네덜란드어 사용 지역인 플랑드르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영화를 제외하고 영화와 TV 시리즈가 원어에 자막과 함께 방영된다. 어린이를 위한 영화의 경우, 때때로 네덜란드와 플랑드르에서 별도의 더빙 버전이 녹음되기도 한다(예: 여러 월트 디즈니 영화와 해리 포터 영화). 이러한 더빙 버전은 다른 성우와 다른 발음을 사용한다는 점만 서로 다를 뿐, 텍스트는 거의 동일하다.

벨기에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인 왈로니아에서는 극장과 TV에서 프랑스어 더빙 버전(프랑스 성우가 더빙)으로 영화가 상영된다. 몇몇 단어를 제외하고,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는 유사하다. 극장에서 자막과 함께 상영되는 원어 영화의 수는 극히 제한적이며, 대부분의 극장은 프랑스어 더빙 영화만 상영한다.

독일어 사용 더빙 시장은 유럽에서 가장 크다. 독일은 세계에서 1인당, 면적당 외국 영화 더빙 스튜디오가 가장 많으며, 독일 신문 디 벨트(Die Welt)에 따르면, 현재 모든 성우의 52%가 독일 더빙 업계에서 일하고 있다.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는 거의 모든 영화, 쇼, 텔레비전 시리즈, 외국 연속극이 독일 시장을 위해 제작된 더빙 버전으로 상영된다. 독일어를 사용하는 유럽에서는 자막이 다른 유럽 국가만큼 널리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영화 더빙이 전통적이고 일반적인 관행이다.

독일어 사용 시장에서는 컴퓨터 및 비디오 게임에 독일어 텍스트 메뉴가 있으며, 대사가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독일어로 더빙된다.

오스트리아와 독일과 달리, 독일어 사용 스위스의 영화관에서는 역사적으로 외국어 영화의 자막 버전을 선호했다. 스위스 영화 배급업체는 독일어와 프랑스어 자막이 모두 있는 이중 언어 필름을 주요 버전으로 제작하고, 더빙 버전도 상영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더빙 버전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 현재 상영의 대부분을 차지한다.[70] 외국 영화와 프로그램의 텔레비전 방송은 역사적으로 더빙되어 왔다.

스위스와 오스트리아의 텔레비전 방송국은 다중 사운드트랙을 사용하여 외국어 영화 및 TV 프로그램을 점점 더 많이 방송하고 있으며, 시청자는 원어(예: 영어)와 해당 채널의 현지 언어(위치에 따라 독일어, 프랑스어 또는 이탈리아어)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독일어 사용 성우는 조연 역할만 하지만, 유명한 배우에게 친숙한 목소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주목할 만하다. 유명 외국 배우들은 그들의 독일어 목소리로 알려지고 인식되며, 독일 청중은 그들에게 익숙하므로 더빙은 진정성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대도시에서는 젊고 교육받은 시청자들 사이에서 영어가 다소 인기를 얻으면서, 영화를 원어로 볼 수 있는 극장이 있다. 독일 주류 텔레비전에서는 영화를 자막과 함께 방송하지 않지만, 주문형 프로그램은 종종 원어로 제공된다. 자막이 있는 틈새 시장 및 예술 영화는 때때로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방송된다.

독일어 더빙 버전은 특히 원본에 없는 유머 요소를 추가하면서 원본과 크게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The Persuaders!''(국내명: 2인의 프로)나 ''Erik the Viking''과 같은 극단적인 경우, 독일어 더빙 버전이 영어 원본보다 더 성공적이었다. 종종, 번역은 미국 버전에서는 허용되지 않을 수 있는 성적으로 노골적인 개그를 추가한다. 예를 들어, ''Bewitched''에서 번역가들은 ''"The Do Not Disturb sign will hang on the door tonight"''(오늘 밤, 방해 금지 팻말이 문에 걸릴 겁니다)를 ''"The only hanging thing tonight will be the Do Not Disturb sign"''(오늘 밤, 걸리는 것은 방해 금지 팻말뿐일 겁니다)로 변경했다. 이러한 관행은 1960년대부터 80년대까지 가장 널리 퍼졌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훨씬 덜 흔해졌다.

오스트리아에서 더빙된 일부 영화는 다른 사람에게 말을 걸 때 독일 표준 버전과 다르지만, 이러한 영화는 특정 오스트리아 방언 버전으로 더빙된 경우에만 해당한다. (Mr.와 Mrs.는 Herr와 Frau로 번역되는데, 일반적으로 립싱크를 맞추기 위해 번역되지 않는다).

때로는 영어 발음 이름조차 번역되어 올바른 독일어에 해당하는 이름으로 발음된다(영어 이름 "Bert"는 남부 독일어 발음 이름 "Bertl"이 되었는데, "bert"로 시작하거나 끝나는 모든 이름의 약자, 예를 들어 "Berthold" 또는 "Albert"이다.)

재통일 전에 더빙된 일부 영화는 동독서독에 따라 다른 버전으로 존재한다. 그들은 다른 번역을 사용하며, 종종 더빙 스타일이 다르다.

잘 알려진 독일 더빙 성우는 아래 표에 나열되어 있다.

독일 더빙 아티스트배우/여배우비고
Peer AugustinskiRobin Williams
Marie BierstedtKirsten Dunst
Anna Faris
Kate Beckinsale
Susanna BonaséwiczIsabelle Huppert
Sissy Spacek
Hallgerd BruckhausMeryl Streep
Sigourney Weaver
Christian BrücknerRobert De Niro
Michael ChevalierCharles Bronson
Omar Sharif
Thomas DannebergArnold Schwarzenegger
Sylvester Stallone
Nick Nolte
Marion DeglerSophia Loren
Audrey Hepburn
Eckart DuxAnthony Perkins
Arne ElsholtzTom Hanks
Bill Murray
Max FelderRupert Grint
Taylor Lautner
Rosemarie FendelElizabeth Taylor
Jeanne Moreau
Gisela FritschJudi Dench
Frank GlaubrechtAl Pacino
Pierce Brosnan
Kevin Costner
Daniela HoffmannJulia Roberts
Gert Günther HoffmannPaul Newman
Sean Connery
Hansi JochmannJodie Foster
Martin KeßlerNicolas Cage
Vin Diesel
Temuera Morrison
Clone troopers 역할의 Dee Bradley Baker도 더빙한다.
Renate KüsterFaye Dunaway
Jane Fonda
Manfred LehmannBruce Willis
Margot LeonardMarilyn Monroe
Brigitte Bardot
Lutz MackenseyRowan Atkinson
Christopher Lloyd
Arnold MarquisJohn Wayne
Ulrich MatthesKenneth Branagh1989년 영화 Henry V에서 잉글랜드의 헨리 5세로 더빙했다.
Hartmut NeugebauerGene Hackman
John Goodman
Robbie Coltrane
Veronika NeugebauerNeve Campbell
Timmo NiesnerElijah Wood
Tom Welling
Peter Sarsgaard
Topher Grace
1999년부터 Elijah Wood의 공식 독일어 성우.
Heinz PetruoDarth Vader로 알려짐
Thomas PetruoGary Oldman
Gabrielle PietermannEmma Watson
Selena Gomez
Meaghan Jette Martin
Anna Kendrick
Nico SablikDaniel Radcliffe세 번째 영화부터 나머지 해당 영화 시리즈에서 해리 포터로 더빙했다.
Udo SchenkGary Oldman
Dennis Schmidt-FoßRyan Reynolds
크리스 에반스
Siegmar SchneiderJames Stewart
Tim SchwarzmaierDaniel Radcliffe처음 두 편의 해당 영화 시리즈에서 해리 포터로 더빙했다.
Achime SchülkeSpud의 독일어 목소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Georg ThomallaJack Lemmon
Jürgen ThormannMichael Caine
Andreas von der MedenDavid HasselhoffBaywatchThe SpongeBob SquarePants Movie를 포함한 그의 대부분의 작품에서 더빙했다.
Dietmar WunderAdam Sandler
Cuba Gooding Jr.
Daniel Craig



스페인에서는 더빙이 1932년부터 더 널리 퍼졌는데, 제2공화국이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에서 더빙을 도입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스페인어로 더빙된 최초의 영화는 1932년의 ''악마와 깊은 바다''로 알려져 있다.[79][80] 스페인 내전 이후 더빙은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부가 1941년 4월 23일에 공포한 규정에 의해 강화되었으며, 이는 당시 베니토 무솔리니의 1938년 언어 방어법에 기반을 두었다.[80] 이 법은 두 가지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언어적 정체성을 통한 민족주의와, 국가적 이익에 반하는 외국 사상의 검열을 통한 통제였다.[81]

스페인에서는 거의 모든 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유럽 스페인어로 더빙되어 방영되며, 대부분의 영화도 마찬가지다. 일부 더빙 배우들은 목소리로 인기를 얻었는데, 예를 들어 클린트 이스트우드, 다스 베이더, 아놀드 슈워제네거의 ''터미네이터'' 등을 더빙한 콘스탄티노 로메로일라이저 우드 및 헤이든 크리스텐슨의 공식 유럽 스페인어 더빙 배우인 오스카 무뇨스가 있다. 현재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의 보급으로 시청자는 대부분의 영화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해 원본 사운드트랙과 더빙된 사운드트랙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카탈루냐, 갈리시아 및 바스크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일부 외국 프로그램이 카탈루냐어, 갈리시아어, 또는 바스크어로도 자주 더빙된다.

언어 공동체가 큰 경우 (예: 영어, 중국어, 힌디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스페인어, 또는 프랑스어) 하나의 번역이 특정 지역의 원어민에게는 어색하게 들릴 수 있다. 따라서 영화는 특정 언어의 특정 방언으로 번역될 수 있다.

라틴 아메리카와 스페인은 더빙된 영화와 시리즈의 다른 버전을 사용한다.[114] 라틴 아메리카의 다양한 스페인어 억양으로 인해, 이 지역의 더빙은 표준 스페인어로 제작되며, 일상적인 표현을 피하고 발음, 어휘, 문법적 특징이 특정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다.[115] 이러한 이유로, 이 더빙은 주로 멕시코, 아르헨티나, 콜롬비아에서 전체 대륙을 위해 제작된다.[116] 또한, 일부 영화는 애니메이션 영화인 ''인크레더블''처럼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라틴 아메리카의 특정 지역의 억양으로 더빙되었다. 이 영화는 유럽 스페인어와 중립 스페인어로 더빙되었을 뿐만 아니라, 리오플라텐세 스페인어와 멕시코 스페인어 방언으로도 더빙되었다.[117]

또 다른 예는 ''심슨 가족''의 프랑스어 더빙인데, 퀘벡프랑스를 위해 완전히 다른 두 가지 버전이 있다. 유머는 각 관객에게 매우 다릅니다(''심슨 가족''의 비영어 버전 참조). 퀘벡의 관객들은 일반적으로 프랑스의 ''심슨 가족'' 더빙에 비판적인데, 종종 재미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영화의 퀘벡 프랑스어 더빙은 일반적으로 억양이 없는 표준 프랑스어로 제작되지만, 일부 지역 중립적인 표현이 지속되고 퀘벡 프랑스어 출연자가 프랑스 출연자와 달리 앵글로색슨 이름을 미국식 억양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프랑스 관객에게는 특이하게 들릴 수 있다. 때로는 예산 제약으로 인해 1995년 영화 ''When the Bullet Hits the Bone''과 같은 미국 직배 영화가 퀘벡 프랑스어 더빙으로 프랑스에서 개봉되어, 프랑스 관객의 일부에게 의도하지 않은 유머로 인식되기도 한다.

포르투갈브라질도 더빙된 영화와 시리즈의 다른 버전을 사용한다. 포르투갈에서는 더빙이 인기가 없었기 때문에, 수십 년 동안 어린이 영화는 더 품질이 높은 브라질 더빙을 사용하여 배포되었다(어린이 TV 시리즈와는 달리, 전통적으로 유럽 포르투갈어로 더빙된다). 1990년대에 들어서야 포르투갈에서 더빙이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라이온 킹''은 유럽 포르투갈어로 완전히 더빙된 최초의 디즈니 장편 영화가 되었으며, 이후 모든 주요 애니메이션 영화가 유럽 포르투갈어 버전을 얻었다. 최근 DVD 릴리스에서, 대부분의 브라질 포르투갈어 더빙 고전은 새로운 유럽 포르투갈어 더빙으로 출시되어, 포르투갈에서 브라질 포르투갈어 더빙의 지배가 사라졌다.

마찬가지로, 플란데런, 즉 벨기에네덜란드어 사용 지역에서는 만화가 종종 네덜란드에서 제작된 사운드트랙을 사용하는 대신 플라망 예술가에 의해 현지에서 더빙된다.[118]

독일어 사용 지역, 즉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리히텐슈타인은 영화와 쇼의 공통 독일어 더빙 버전을 공유한다. 세 가지 주요 독일어 방언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모든 영화, 쇼 및 시리즈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청중의 지역적 변형을 피하는 단일 표준 독일어 버전으로 더빙된다. 대부분의 성우는 주로 독일 또는 오스트리아 출신이다. 네 개의 공용어(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를 사용하는 스위스는 일반적으로 각 해당 국가에서 제작된 더빙 버전을 사용한다(로만슈어 제외). 리히텐슈타인은 독일어 더빙 버전만 사용한다.

때로는 영화가 여러 독일어 방언으로도 더빙된다 (베를린어, 쾰른어, 작센어, 오스트리아-바이에른어 또는 스위스 독일어), 특히 애니메이션 영화와 디즈니 영화가 그렇다. 이는 청중이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추가 "특별 기능"이다. 독일어 방언으로 더빙된 인기 있는 애니메이션 영화로는 ''아스테릭스'' 영화(표준 독일어 버전 외에도, 모든 영화에는 특정 방언 버전이 있음), ''인어 공주'', ''슈렉 2'', '''' (+ 오스트리아 독일어) 및 ''''[119] (+ 오스트리아 독일어) 등이 있다.

일부 실사 영화 또는 TV 시리즈에는 추가적인 독일어 방언 더빙이 있다: ''베이브'' 및 속편, ''베이브 2 - 돼지코 시티''(독일 독일어, 오스트리아 독일어, 스위스 독일어); ''살인 리허설'', ''Framed''[120] (+ 오스트리아 독일어); ''멍스터즈'', ''형사 서피코'', ''럼폴'' (+ 오스트리아 독일어), 및 ''가시나무 새''[121]

(오스트리아 독일어 더빙만).

독일 재통일 이전에는 동독도 자체적인 독일어 버전을 제작했다. 예를 들어, ''올슨 갱''과 헝가리 애니메이션 시리즈 ''메즈가 가족''은 서독과 동독에서 모두 더빙되었다.

일반적으로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제작된 두 개의 더빙이 있다: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용이고, 크로아티아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일부 지역용이다.

"텔레비전이나 영화 등에서의 음성을 다른 언어로 바꾸는 것"('''더빙''', 로컬라이제이션/번안의 일종)에 대해 기술한다.

일본에서는 외국어 작품을 텔레비전에서 방송할 때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작품에 대해 일본어로 "음성 더빙판"(일본어 더빙)이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토키가 시작되었을 당시에는 자막과 화면을 번갈아 사용했지만, 1931년에 일본에서 공개된 미국 영화모로코』 이후에는 자막 슈퍼가 주류가 되었다. 해외에서는 미국, 독일, 인도,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한국, 태국 등 일반적으로 더빙이 주류인 나라도 있다.

일본에서 "음성 더빙"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된 1950년대 이후이다. 텔레비전 초창기에는, 텔레비전용 국산 영상 소프트가 부족하여, 외국산 영상 소프트가 수입되어 방영될 때, 민영 방송은 주로 더빙으로 방송을 했다. 이는 초기 작은 텔레비전 화면과 낮은 해상도에서의 문자 수 제한과, 눈이 좋지 않은 노인이나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을 배려하기 위해, 텔레비전 방송에 한해서 음성 더빙이 사용되었다.

1956년(쇼와 31년) 11월부터 KRT(현 TBS)에서 방송이 시작된 실사판 『슈퍼맨』에서는, 오히라 토오루가 클라크 켄트의 목소리를 맡았지만, 외국인이 일본어를 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 이상하게 여겼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 또한 외국 애니메이션 영화에서는, 1954년(쇼와 29년)에 일본에서 개봉된 디즈니 애니메이션 『덤보』에서 일본어 더빙판이 제작되었다.[126]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더빙 언어는 표준어이다. 그러나, 억양이 있다는 것을 특징짓기 위해 사투리로 더빙하는 경우도 있으며, 그 대부분은 간사이벤으로 이루어진다. 두 개 이상의 언어가 오가는 장면의 경우, (미국 영화 / 영어 작품의 경우) 영어 대사 부분을 일본어로 더빙하고, 그 외의 언어(중국어아랍어, 러시아어 등)는 더빙하지 않고 원어+자막 슈퍼를 그대로[127] 사용하거나, 굳이 영어 이외의 언어의 대사를 그대로 더빙 성우가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일부 대사를 바꾸는 경우도 있다(번역 "영어를 아십니까?"→더빙 "우리 말을 아십니까?"). 일본어 대사의 경우, 일본인 배우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지만, 일본계인을 포함한 아시아계 배우가 일본어를 하는 장면만의 경우에도 원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특히 영어 억양이 너무 강할 경우에는 더빙되기도 한다.

뮤지컬 영화 등, 노래하는 장면은 원어로 하거나, 오리지널 가사 또는 일본어로 번역한 가사를 더빙 성우가 부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일부 보도가 규제되는 국가나 지역에서는, 뉴스 프로그램의 시민 인터뷰에서도 더빙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과거 구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상투적인 수단이었으며, 현재도 이 수법이 사용되는 국가가 있다. 또한 외국인 인터뷰에서는, 번역된 자막이 본인의 발언 취지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12. 일본의 더빙 배우

일본에서는 1950년대부터 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를 일본어로 더빙하여 방영하기 시작했다. 일본어로 더빙된 최초의 작품은 1955년 1940년대 슈퍼맨 만화였다.[37]

해상도가 낮은 작은 TV 화면에는 문자 표현에 제한이 있었고, 더빙 방식은 시력이 좋지 않은 노인이나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적합했다. 현재는 TV 방송과 영화(모든 연령대 대상, 성인 대상)가 원어와 일본어 자막으로 더빙되어 방영되며, VHS, DVD, 블루레이로 출시될 때는 원어 옵션이 제공된다.

NHK, 닛폰 TV, 후지 TV, TV 아사히, TBS 등 주요 방송사는 일반적으로 외국 영화의 여러 일본어 더빙 버전을 제작하며, VHS, 레이저디스크, DVD, 블루레이 출시작도 마찬가지이다. 최근에는 더빙과 자막 버전을 모두 상영하는 영화관도 있다.

2009년, 20세기 폭스 일본 지사는 인기 할리우드 영화의 여러 일본어 더빙을 수록한 "더빙의 황제" 블루레이 라인업을 출시했다. NBC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재팬은 "추억의 재판", 워너 브라더스 재팬은 "더빙의 힘"이라는 이름으로 유사한 블루레이를 출시하고 있다.

다음은 특정 배우의 목소리를 더빙하는 일본어 더빙 성우 목록이다.

일본어 더빙 성우배우비고
이시마루 히로야성룡성룡이 공식 승인[37]
겐다 텟쇼아놀드 슈워제네거슈워제네거가 공식 승인[38]
사사키 이사오실베스터 스탤론
엘비스 프레슬리
데이비드 핫셀호프
에바라 마사시톰 행크스
빌 머레이
웨슬리 스나이프스
로빈 윌리엄스
야마데라 코이치짐 캐리
윌 스미스
장 클로드 반 담
에디 머피
슈렉 제작자 제프리 카젠버그와 스미스가 공식 승인[39][40]
호리우치 켄유브래드 피트
찰리 쉰
벤 스틸러
존 스타모스
피트가 공식 승인[41]
쿠사오 타케시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1990년대 영화 더빙
나미카와 다이스케일라이저 우드
헤이든 크리스텐슨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크리스텐슨이 공식 승인[42]
우치다 유야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라이언 고슬링
코야마 리키야조지 클루니
키퍼 서덜랜드
서덜랜드가 공식 승인[43]
무라이 쿠니오해리슨 포드포드가 공식 승인[44]
이소베 츠토무해리슨 포드
멜 깁슨
주윤발
야마지 카즈히로러셀 크로우
휴 잭맨
제이슨 스타뎀
숀 펜
오카 히로에케이트 윈슬렛
샤를리즈 테론
커스틴 던스트
하야시 마리카케이트 윈슬렛
츠카야마 마사네케빈 코스트너
리암 니슨
에드 해리스
로버트 드 니로
오오츠카 아키오니콜라스 케이지
스티븐 시걸
덴젤 워싱턴
돌프 룬드그렌
사코 마사토게리 올드만
사코 마유미레이첼 맥아담스
스칼렛 요한슨
츠지 신파치게리 올드만
콜름 미니
오오츠카 호우츄장 클로드 반 담
제프 골드블룸
견자단
게리 올드만
올드만의 일부 영화와 초기 영화 후반 더빙
코스기 주로타빌리 블랭크스
데이비드 듀코브니
루크 페리
다니엘 크레이그
히라타 히로아키조니 뎁
맷 데이먼
노아 와일
맷 르블랑
뎁이 공식 승인[45]
후지와라 케이지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모리카와 토시유키톰 크루즈
이완 맥그리거
아담 샌들러
키아누 리브스
크루즈와 맥그리거가 공식 승인[46][42]
이케다 마사코오드리 헵번
오하라 노리코제인 폰다
브리지트 바르도
무토 레이코엘리자베스 테일러
나야 고로찰턴 헤스턴
클라크 게이블
리 반 클리프
헤스턴이 공식 승인[47]
고바야시 키요시제임스 코번
리 마빈
야마다 야스오클린트 이스트우드
장 폴 벨몽도
이스트우드가 공식 승인[48]
오오츠카 치카오찰스 브론슨
리처드 위드마크
우츠미 켄지올리버 리드
스티브 맥퀸
와카야마 겐조숀 코너리
진 베리
피터 그레이브스
레이먼드 버
고바야시 오사무율 브리너
야마노우치 마사토몽고메리 클리프트
타이론 파워
코바야시 아키지존 웨인
카유미 이에마사프랭크 시나트라
도널드 서덜랜드
크리스토퍼 리
하마 미치오로이 슈나이더
스티브 마틴
딘 마틴
실베스터 스탤론
노자와 나치알랭 드롱
알 파치노
줄리아노 젬마
브루스 윌리스
토미야마 케이릭 모라니스
나카무라 타다시레슬리 닐슨
스즈오키 히로타카톰 크루즈
존 트라볼타
1990년대 영화 더빙
히노 유리카잉그리드 버그만
위노나 라이더
케이트 윈슬렛
줄리앤 무어
미츠이시 코토노엘렌 폼페오
나카무라 치에커스틴 던스트
나가시마 유코사라 제시카 파커
시모조 아토무에디 머피
이케다 슈이치이연걸
후루야 토오루원표
오키아유 료타로스콧 폴리
테일러 키취
펑더룬
린갱신
미즈시마 유홍금보
마크 해밀
스고 타카유키장 르노
토미 리 존스
에드 해리스
마츠모토 리카산드라 블록
르네 젤위거
야스하라 요시토미키 루크
케빈 베이컨
게리 올드만
사카모토 마아야나탈리 포트만
혼다 타카코밀라 요보비치
힐러리 스웽크
할리 베리
요보비치가 공식 승인[49]
아리모토 킨류크리스토퍼 워켄
호즈미 타카노부크리스토퍼 로이드
아오노 타케시크리스토퍼 로이드
조 페시
히로카와 타이치로로저 무어
토니 커티스
허관문
로버트 레드포드
타나카 히데유키피어스 브로스넌
마이클 빈
사카구치 요시사다모건 프리먼
이케다 마사루대니 글로버
모건 프리먼
카와나고 마사히토저스틴 롱
도이 미카줄리아 로버츠
타카기 와타루잭 블랙
쿠스노키 타이텐드웨인 존슨
오노 다이스케벤자민 맥켄지
사쿠야 슌스케패트릭 윌슨
벤 애플렉
미카미 사토시베네딕트 컴버배치
히라카와 다이스케올랜도 블룸
카이다 유코앤 해서웨이
소노자키 미에앤 해서웨이
커스틴 던스트
아다치 시노부제니퍼 애니스톤
히로타 코세이대니 트레호
야나카 히로시존 쿠삭
치바 코이치크리스토퍼 리
카나오 테츠오윌 패튼
이노우에 노리히로앤서니 에드워즈
코미야 카즈에베트 미들러
사와다 토시코안젤리카 휴스턴
후지타 토시코글렌 클로즈
우시야마 시게루윌리엄 피츠너
한 메구미클로이 모레츠
미키 신이치로오우삼
쿠마쿠라 카즈오알프레드 히치콕
우치다 나오야브루스 윌리스
우디 해럴슨
토다 케이코조디 포스터
타카시마 가라데미 무어
앤디 맥도웰
에이미 야스백
엠마 톰슨
코야마 마미샤론 스톤
사사키 유코로빈 라이트
타나카 아츠코니콜 키드먼
모니카 벨루치
케이트 베킨세일
후카미 리카캐서린 제타존스
와타나베 미사카메론 디아즈
아오야마 유타카스티브 부세미
반죠 긴가마이클 클라크 던칸
고우리 다이스케마이클 클라크 던칸
쿠스미 나오미존 굿맨
시마다 빈마크 해밀
스티브 카렐
조 하루히코제프리 러쉬
모리타 준페이휴 그랜트
매튜 매커너히
콜린 퍼스
호키 카츠히사빙 레임스
이와사키 히로시스탠리 투치
아이카와 킨야잭 레먼
이시다 타로진 해크먼
시라이시 료코마일리 사이러스
타니구치 타카시토미 리 존스
야나가 카즈코시고니 위버
츠치다 히로시조셉 고든 레빗
하시 타카야앨런 릭먼
호소야 요시마사테일러 로트너
히우라 벤브루스 윌리스
존 말코비치
리처드 드라이퍼스
미츠야 유지마이클 J. 폭스
하야시 유샤이아 라보프
코마츠 후미노리샤이아 라보프
오노 켄쇼다니엘 래드클리프
스도 유미힐러리 더프
헤이든 파네티에르
엠마 왓슨
도키와 유키루퍼트 그린트
대릴 사바라
사카구치 슈헤이크리스 파인
이병헌
타카하시 카즈야이병헌
이시다 아키라이준기
마도노 미츠아키권상우
하기와라 마사토배용준
토마 유미김하늘
토치 히로키윌 스미스
샘 워싱턴
웬트워스 밀러
에가와 히사오도미닉 퍼셀
미야모토 미츠루키아누 리브스
에단 호크
애드리언 브로디
유야 아츠코안젤리나 졸리
하라 야스요시커트 러셀
이시즈카 운쇼리암 니슨
오가와 신지마이클 더글라스
더스틴 호프만
티모시 달튼
키리모토 타쿠야브래들리 쿠퍼
무기히토패트릭 스튜어트
타치키 후미히코포레스트 휘태커
마이클 루커
모리타 마사카즈잭 에프론
아리카와 히로시이안 맥켈런
토미타 코세이어니스트 보그나인
모리야마 슈이치로텔리 사바라스
쿠메 아키라험프리 보가트
호리 카츠노스케윌리엄 허트
스즈키 히로코재클린 비세
이노 마나부토비 맥과이어
오키 타미오크리스토퍼 플러머
카세 야스유키폴 베타니
라이언 레이놀즈
후지모토 유즈루제임스 얼 존스
유미바 사오리키이라 나이틀리
우치다 미노루헨리 폰다
오야마다 무네노리헨리 폰다
시오타 토모코케이트 블란쳇
안도 마부키제니퍼 가너
코이케 아사오피터 포크
쿠로사와 료게리 쿠퍼
콘도 요스케윌리엄 홀든
코마츠 호세이앤서니 퀸
카와이 노부오폴 뉴먼
미야베 아키오스티브 맥퀸
키무라 아키라글렌 포드
나카타 코지제프리 헌터
시마 우시오칼 말덴
타구치 케이리처드 버튼
우라노 히카루제임스 스튜어트
타나카 노부오시드니 포이티어
치카이시 신스케제리 루이스
이노우에 타카오록 허드슨
코노시마 아이코소피아 로렌
타지마 레이코캐슬린 터너
미즈키 란코잉그리드 버그만
조 타츠야그레고리 펙
오츠카 미치코로렌 바콜
우시다 히로코브릿지트 멘들러
무토 타다시제시 아이젠버그


13. 방송국 법령에서의 더빙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법 법령에서는 대한민국 국민 및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더빙을 필수 조항으로 규정하고 있다.[162] 특히 캐릭터가 직접 언어 소통을 할 수 없는 애니메이션이나 외국어가 삽입된 해외 영화 및 드라마는 모국어 밖에 모르는 국민 및 시청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반드시 방송국의 전문 성우나 배우 등을 통해 육성 녹음을 하도록 하고 있다.[162] 부득이하게 전문 성우가 없거나 성우를 투입하기 매우 어려운 경우에는 한글 자막 삽입을 통해 자막 방송으로 시청자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의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162] 원칙적으로 표준어 사용 규정에 따라 표준어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캐릭터가 특정 지방의 방언을 쓰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162]

참조

[1] 웹사이트 SBF Glossary: AD to adzy http://www.plexoft.c[...] 2015-07-09
[2] 간행물 H'W'D OVERSEAS: DUB & DUBBER 2007-08
[3] 웹사이트 The political history of dubbing in films https://www.salon.co[...] 2021-08-04
[4] 웹사이트 Retro (tv show) - Dubbing in Czechoslovakia https://www.ceskatel[...] 2020-10-25
[5] 뉴스 Why Vijay Sethupathi didn't dub for 'Uppena'? Director Buchi Babu has the answer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22-09-07
[6] 웹사이트 ADR: Hollywood Dialogue Recording Secrets http://magazine.crea[...] Creative COW 2012-07-30
[7] 웹사이트 The Dark Knight Without Heath Ledger: How will Warner Bros. sell a summer blockbuster marked by tragedy? http://www.slate.com[...] The Slate Group, LLC 2008-01-31
[8] 웹사이트 ADR http://filmsound.org[...] FilmSound.org 2016-11-06
[9] Youtube ADR. What is ADR? Automated Dialogue Replacement https://www.youtube.[...] 2009-07-08
[10] 뉴스 Film: Lucas Returns with 'The Jedi' https://www.nytimes.[...] 2016-11-06
[11] 웹사이트 U of U Sound Final http://quizlet.com/8[...] Quizlet LLC 2012-07-30
[12] 문서 Research paths in audiovisual translation: The case of dubbing. In The Routledge handbook of translation studies (pp. 2013
[13] 웹사이트 Localisation in the Film and TV Industries https://www.translat[...] TranslateMedia 2015-08-11
[14] 서적 Introducing Translational Studies https://www.worldcat[...] EDTECH 2018
[15] 웹사이트 Disney brings back Egyptian dubbing with animated film 'Encanto' https://www.broadcas[...] 2023-09-26
[16] 웹사이트 Turkish soap operas in the Arab world: social liberation or cultural alienation? https://www.arabmedi[...] 2023-09-26
[17] 서적 The voice, the vision: a sixty year history of the South African Broadcasting Corporation https://books.google[...] Advent Graphics
[18] 웹사이트 The Six Million Dollar Man http://www.tvsa.co.z[...]
[19] 서적 Kaapse bibliotekaris https://books.google[...] Library Service
[20] 뉴스 Shows Allow Blacks, Whites to Share Cultural Experiences: South African Viewers Get a Mixed TV Message From U.S. Programs https://www.latimes.[...] 1986-05-25
[21] 뉴스 The critics' thumbs-up http://mg.co.za/arti[...] 1996-02-09
[22] 서적 Mass Media, Towards the Millennium https://books.google[...] J.L. van Schaik 2015-07-09
[23] 학위논문 Putting up screens: A history of television in South Africa, 1929-1976 https://repository.u[...] University of Pretoria 2022-12-15
[24] 웹사이트 South Africa: Dream and Reality https://www.nytimes.[...] 2010-11-30
[25] 뉴스 Maya the Bee flick dubbed into Afrikaans and Zulu for SA audience http://www.channel24[...] 2015-09-18
[26] 뉴스 eExtra's brand new 'KuierTyd' premieres soon https://nextvnews.co[...] 2018-10-01
[27] 뉴스 Coming to you live https://www.economis[...] 2012-11-02
[28] 웹사이트 Azərbaycanda dublyaj problemi: çıxış yolu nədədir? https://report.az/me[...] Report.az 2018-08-22
[29] 문서
[30] 서적 The Cold War and Asian Cinema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11-28
[31] 서적 Chinese Cinemas in Translation and Dissemin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11-29
[32] 웹사이트 突击译制《卖花姑娘 http://epaper.tianji[...] 2008-10-07
[33] 웹사이트 Confucius the Movie: China Flop Dubbed at the State's Expense for Tibetan Movie-goers http://www.bruce-hum[...] 2013-11-22
[34] 뉴스 China Focus: Dubbed movies spice up life for Tibetans http://www.china.org[...] Xinhua News Agency 2013-02-24
[35] 서적 Chinese Cinema: Culture and Politics Since 1949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36] 웹사이트 Q&A With Voice Artist on Why Dubbing Will Never Die https://www.sixthton[...] Sixth Tone 2019-12-23
[37] 웹사이트 Cinema Today Japan - Direct interview with Jackie Chan! The secret story of the birth of "''Drunken Fist'' https://www.cinemato[...] 2024-07-29
[38] 웹사이트 Movies.com - Voice actor Tessho Genda is permanently nominated as a Japanese dubbing voice from the person he met for the first time! https://eiga.com/new[...] 2024-07-29
[39] 웹사이트 Moviewalker - Norika Fujiwara promotes "''Shrek'' https://moviewalker.[...] 2024-07-29
[40] 웹사이트 Tweet by Koichi Yamadera https://twitter.com/[...] 2019-06-04
[41] 웹사이트 Brad Pitt met Kenyu Horiuchi, who has been dubbing himself for 25 years, for the first time https://news.ntv.co.[...] 2024-07-29
[42] 웹사이트 Toshiyuki Morikawa is very excited to meet Ewan McGregor! Hayden Christensen bursts out laughing at the message from Daisuke Namikawa, dubbing Anakin! https://m.youtube.co[...] 2024-07-29
[43] 웹사이트 『キーファー・サザーランドさんにお会いしましたよ!!』 http://blog.livedoor[...] 2010-12-24
[44] 웹사이트 ハリソン・フォード声優歴40年 村井國夫、本人からのサプライズメッセージに感涙 https://www.cinemato[...] シネマトゥデイ 2023-07-05
[45] 웹사이트 Cinema Today Japan - Johnny Depp and voice actor Hiroaki Hirata meet after 20 years! https://www.cinemato[...] 2024-07-29
[46] 웹사이트 NTV News - Toshiyuki Morikawa "Actually with Tom" A moment spent with Tom Cruise https://news.ntv.co.[...] 2024-07-29
[47] 간행물 Sarai Interview Goro Naya Shogakukan 2009-06-18
[48] 간행물 声のスターのTVスター評 四季出版新社 1965
[49] 웹사이트 Continuing 👉 Colonel Spalko is dubbed by Takako Honda.🗣️ In addition to being in charge of dubbing for Milla Jovovich herself, she has also been active in numerous foreign movies, foreign dramas, anime, narrations, commercials, etc.🤗 https://x.com/kinro_[...] 2024-07-29
[50] 뉴스 In Pakistan, Indian soap operas give way to Turkish serials https://www.firstpos[...] Firstpost 2013-12-01
[51] 뉴스 Is TV drama industry overreacting to Turkish soaps blitz? https://www.dawn.com[...] Dawn 2012-12-20
[52] 뉴스 The Geopolitics of Soap Operas http://latitude.blog[...] The New York Times 2013-01-10
[53] 서적 'The Right to Tell: The Role of Mass Media in Economic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World Bank Publications 2002
[54] 웹사이트 Ben 10 Vietnamese Trailer (Trailer Ben 10 - HTV3) https://web.archive.[...] YouTube 2013-03-14
[55] 웹사이트 HTV3 - Cẩm Nang Của Ned - Trailer https://web.archive.[...] YouTube 2013-03-14
[56] 웹사이트 MINI TV - prvi hrvatski dječji televizijski kanal https://dnevnik.hr/s[...] 2023-02-07
[57] 웹사이트 RTL Kockica starta 11.1. u 11.01 http://www.glas-slav[...] 2024-06-14
[58] 웹사이트 Nickelodeon lokalizacija TV kanala - Audio / Video usluge https://www.net-zg.h[...] 2024-06-24
[59] 웹사이트 Što Netflix nudi u Hrvatskoj? - Sinkronizirani naslovi (kronološki) https://hrflix.eu/lo[...] 2024-06-24
[60] 웹사이트 amor de perdição - especiais http://www.amordeper[...] 2005-01-21
[61] 웹사이트 A realidade das dobragens em Portugal {{!}} Raio-x às dobragens {{!}} PÚBLICO https://www.publico.[...] 2023-06-18
[62] 웹사이트 Polémica: dobragem da série 'Einstein' gera críticas ao AXN https://web.archive.[...] O Jornal Económico 2017-02-03
[63] 문서 Special Eurobarometer 243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06-02-01
[64] 웹사이트 Majstori Sinhronizacije: Ko se krije iza Duška Dugouška, Šilje, Popaja, Sunđera Boba? (Foto) (Video) http://www.telegraf.[...] 2013-06-30
[65] 웹사이트 Goran Jevtić, Isidora Minić i Lako Nikolić o filmu Ledeno Doba 4 https://web.archive.[...] 2020-12-24
[66] 웹사이트 B92 - Internet, Radio i TV stanica - najnovije vesti iz Srbije https://www.b92.net/
[67] 뉴스 Započela "Sezona lova" https://www.b92.net/[...]
[68] 뉴스 Hinterland – the TV noir so good they made it twice https://www.theguard[...] 2019-05-05
[69] 문서 https://www.cnc.fr/d[...]
[70] 뉴스 'Das Ende der Originalfassungen ("The End of Original Versions")' http://www.tagesanze[...] Tages-Anzeiger 2012-11-19
[71] 뉴스 9 culture shocks Americans will have in Hungary http://matadornetwor[...]
[72] 웹사이트 Masterfilm :: Services http://www.masterfil[...]
[73] 웹사이트 Dubbed versions Sherlock Holmes, dubbing, hungarian voices http://www.sherlocki[...]
[74] 웹사이트 ISzDb - Internetes Szinkron Adatbázis http://www.iszdb.hu/
[75] Youtube Woody Allen remembers Oreste Lionello https://m.youtube.co[...]
[76] Youtube Angela Lansbury vince il Telegatto per “La signora in giallo”- canale 5 (1999)
[77] 서적 Das kulturelle Leben der Deutschen in Niederschlesien unter polnischer Verwaltung. 1947-1958 Bundesministerium für gesamtdeutsche Fragen 1967
[78] 뉴스 On Polish TV, Desperate Wives Sound Like Guys https://www.wsj.com/[...] 2007-10-12
[79] 웹사이트 Cosas que no sabías sobre el doblaje http://www.muyintere[...] MuyInteresante.es 2017-02-25
[80] 뉴스 «Al cine, mejor sin política» https://elpais.com/d[...] El País 2009-03-21
[81] 웹사이트 Los orígenes del doblaje. El doblaje en España https://www.atrildob[...] 2024-03-30
[82] 웹사이트 A dublagem venceu as legendas http://revistaepoca.[...]
[83] 웹사이트 Cresce preferência por filmes dublados nos cinemas brasileiros (in Portuguese) https://web.archive.[...] Ne10 2012-05-27
[84] 웹사이트 Quando surgiu a dublagem no Brasil e no mundo? https://mundoestranh[...]
[85] 웹사이트 Quem é Herbert Richers? https://super.abril.[...]
[86] 뉴스 Dublagem em canais de TV paga provoca polêmica (in Portuguese) http://oglobo.globo.[...] O Globo 2011-11-20
[87] 웹사이트 Ley Federal de Cinematografía http://www.diputados[...] Cámara de Diputados 2011-01-22
[88] 뉴스 Quebec pressing Hollywood to justify lack of movie dubbing https://www.theglobe[...] The Globe and Mail 2008-05-26
[89] 웹사이트 Drôle d'abeille (v.o.a) Bee Movie http://doublage.qc.c[...] idgrafix 2012-07-30
[90] 웹사이트 Editorial: Life Isn't Beautiful Anymore, it's Dubbed https://www.indiewir[...] 2018-11-01
[91] 웹사이트 Will Dubbing Fly in the U.S.? Read My Lips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2018-11-01
[92] 뉴스 Little Indian': Big Mistake https://www.washingt[...] 2018-11-01
[93] 웹사이트 Weekend Box Office http://www.boxoffice[...] 2018-11-01
[94] 웹사이트 'Pinocchio' will try again, in Italian https://www.latimes.[...] 2018-11-01
[95] 웹사이트 Girl with Dragon Tattoo Gets U.S. Release https://www.indiewir[...] 2018-11-01
[96] 서적 Sinascape: Contemporary Chinese Cinema Rowman & Littlefield
[97] 간행물 Magnolia speaks English, more Video Business 2007-05-28
[98] 웹사이트 Hawaiian language version of 'Moana' to be distributed to schools across Hawaii https://www.nbcnews.[...] 2018-11-27
[99] 웹사이트 The Quest Behind the Navajo Dub of 'Star Wars': A Cultural Milestone https://movieweb.com[...] 2021-12-01
[100] 웹사이트 'Finding Nemo' Becomes Second Movie Dubbed into Navajo https://www.hollywoo[...] 2016-03-17
[101] 웹사이트 Dubbing 'A Fistful of Dollars' to spread the Navajo language https://www.npr.org/[...] 2021-11-17
[102] 웹사이트 Navajo-dubbed 'Finding Nemo' and 'Star Wars: A New Hope' now on Disney+ https://indiancountr[...] 2021-02-12
[103] 웹사이트 Hoyts https://www.hoyts.co[...]
[104] 웹사이트 Why this Bruce Lee film has been dubbed in an Aboriginal language https://www.sbs.com.[...]
[105] 웹사이트 Little J and Big Cuz Indigenous Languages https://iview.abc.ne[...]
[106] 웹사이트 Little J & Big Cuz in Kriol - coming soon! - Meigim Kriol Strongbala https://meigimkriols[...]
[107] 웹사이트 Walt Disney Animation Studios' "Moana" to be First Film Ever Translated into the Tahitian Language https://thewaltdisne[...] 2016-10-25
[108] 웹사이트 Spongebob and Dora prove popular in te reo https://web.archive.[...]
[109] 웹사이트 Moana Reo Māori arrives on Disney+ three years after release https://www.stuff.co[...] 2020-06-28
[110] 웹사이트 The Lion King translated into te reo Māori in New Zealand https://www.theguard[...] 2022-06-24
[111] 웹사이트 Frozen, the Lion King to be dubbed in te reo Māori https://www.rnz.co.n[...] 2021-07-23
[112] Youtube Dawson's Creek PT https://www.youtube.[...] 2008-12-06
[113] 뉴스 Netflix's Secrets to Success: Six Cell Towers, Dubbing and More https://variety.com/[...] 2018-11-07
[114] 웹사이트 Las peores traducciones de títulos de películas al español https://www.latercer[...] 2024-04-13
[115] 웹사이트 El mundo del doblaje https://www.elobserv[...] 2024-04-13
[116] 웹사이트 México, país líder del arte del doblaje en América Latina https://www.excelsio[...] 2024-04-13
[117] 웹사이트 Rubén Rada y Juana Molina son las voces de Los Increíbles https://www.infobae.[...] 2024-04-13
[118] 웹사이트 Page 34 - My FlipBook http://psulibrary.pa[...] 2021-04-15
[119] 웹사이트 Österreich-Version von Disney/Pixars "Oben" mit Otto Schenk und Karlheinz Böhm - BILD http://www.ots.at/pr[...] ots.at 2010-11-30
[120] 웹사이트 Allgemeines " ORF-Synchronisationen - Wer weiß was? http://215072.homepa[...] 215072.homepagemodules.de 2010-11-30
[121] 웹사이트 Serien " 24 http://215072.homepa[...] 215072.homepagemodules.de 2010-11-30
[122] 문서 ここまですべて『日本映画の若き日々』(稲垣浩、毎日新聞社)より
[123] 서적 大怪獣ガメラ秘蔵写真集 徳間書店 2001-09-30
[124] 문서 『日本映画の若き日々』(稲垣浩、毎日新聞社、1978年)
[125] 문서 『三大怪獣地球最大の決戦DVD』(東宝ビデオ)中島春雄のコメンタリより
[126]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127] 문서 場合によっては一括で日本語に吹き替えとすることもある。他にも香港映画で警察幹部の会話が英語と広東語が飛び交う(特にイギリス領だった1997年以前は香港警察幹部はイギリス人で占めていた)場合もすべて日本語で吹き返している。
[128] 서적 NHK王国 : 現代を支配する恐怖の機構 講談社
[129] 간행물 ふれいむ・あっぷ「アテレコ文化」事始め異聞 東京放送 2000-11
[130] 서적 声優白書 オークラ出版 2000-03-01
[131] 문서 『ダンボ』(ディズニー作品としては初の吹き替え上映作品)、ディズニー・ピクサー作品など。
[132] 문서 『ロスト・ワールド/ジュラシック・パーク』など。
[133] 문서 『魔法ワールド』、『スター・ウォーズシリーズ』(エピソード1以降)など。1999年以降は当初から字幕・吹き替え同時上映行う作品や字幕上映のみだった作品が、次回作から字幕吹き替え同時上映作品が多くなっている。
[134] 웹사이트 金曜ロードショー:プロデューサーが語る吹き替え版の魅力 他局版放送の謎も明かす https://mantan-web.j[...] まんたんウェブ 2021-07-13
[135] 웹사이트 ダークボのふきカエ偏愛録 https://www.fukikaer[...] ふきカエル 2021-07-13
[136] 웹사이트 35周年「金曜ロードSHOW!」“テレビで観る映画”を守り続ける意味 https://www.oricon.c[...] ORICON NEWS 2021-07-13
[137] Youtube BSテレ東新録吹き替え版『世界にひとつの金メダル』を演出家の高橋剛さんと詳しく!MC:水落幸子 https://www.youtube.[...]
[138] Tweet 日本語版制作関係者の投稿 2021-07-13
[139] 웹사이트 1966年~1970年 その3 日本俳優連合30年史 https://www.nippaire[...] 日本俳優連合 2023-03-16
[140] 서적 映画に乾杯 ―歓談・和田誠と11人のゲスト- キネマ旬報社 1982
[141] 트윗 日本語版制作関係者の投稿 2021-07-13
[142] 웹사이트 飯森盛良のふきカエ考古学 https://www.fukikaer[...] ふきカエル 2021-07-13
[143] 웹사이트 航空トリビア 第19回 機内映画の吹き替えが変な理由 https://news.mynavi.[...] マイナビニュース 2021-07-13
[144] 웹사이트 「吹替の帝王」大ヒットの秘訣とは? そして次の発売候補は・・・ FOX担当者に聞く(第1回) http://www.bunkatsus[...] 2015-02-01
[145] 서적 오타쿠・인・USA 사랑과 오해의 Anime수입사 太田出版
[146]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kyleheber[...] Kyle Hebert: Professional Voice Actor([[카일・에베르]]공식사이트) 2022-05-04
[147] 웹사이트 Animation World News - Films http://www.awn.com/m[...] Animation World Network 2014-06-20
[148] 웹사이트 2020 TV Animation Agreement Wage Rates https://www.sagaftra[...] SAG-AFTRA 2022-05-04
[149] 웹사이트 Dubbing Japanese Animation: A Pleasure or a Pain for Voice Actors? http://www.awn.com/a[...] Animation World Network 2022-05-04
[150] 웹사이트 Trends in Voice Casting http://www.awn.com/a[...] Animation World Network 2014-06-20
[151] 웹사이트 アメリカの有名声優に日本アニメの人気や声優事情を聞いた https://forbesjapan.[...] フォーブス 2019-08-18
[152] 웹사이트 Dubbing Rates https://www.sagaftra[...] SAG-AFTRA 2022-05-06
[153] 웹사이트 "#JustAMeeting- The Push To Unionize English Dubs Of Anime" https://www.cultures[...] CultureSlate 2022-12-23
[154] 웹사이트 Netflix Dubbing Wage Table https://www.sagaftra[...] SAG-AFTRA 2022-05-04
[155] 웹사이트 2022 Dubbing Agreement https://www.sagaftra[...] SAG-AFTRA 2022-05-01
[156] 트윗
[157] 웹사이트 Dubbing Industry Standards https://codaunite.co[...] Coalition of Dubbing Actors 2022-12-23
[158] 인터뷰 SYNC OR SWIM! Craig Allen Remembers Dubbing the ’90s Godzilla Films in Hong Kong! https://vantagepoint[...] Vantage Point Interviews 2023-12-10
[159] 문서
[160] 문서
[161] 뉴스 더빙 연출 총지휘한 성우 권희덕 http://www.cine21.co[...] 씨네21 2006-07-06
[162] 웹사이트 http://www.law.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