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변이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연변이원은 DNA에 변화를 일으켜 유전독성을 가지며, 유전자의 전사 및 복제에 영향을 미친다.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기원을 가지며, DNA에 직접 작용하여 손상을 일으키거나 복제 오류를 초래한다. 돌연변이원은 세포 사멸을 유발하거나 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검사 시스템을 통해 검출된다. 항산화제 섭취, 생활 습관 개선, 정부 규제 등을 통해 노출을 제한하고 암을 예방할 수 있다. 일부 돌연변이원은 항암 치료에 활용되기도 하며, 공상과학 소설이나 비디오 게임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돌연변이원 - 벤젠
벤젠은 6개의 탄소 원자가 정육각형으로 배열된 방향족 탄화수소로,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유기 화합물 합성에 중요하게 사용되지만 발암물질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 돌연변이원 - 이온화 방사선
이온화 방사선은 원자나 분자에서 전자를 떼어내 이온을 생성하는 에너지를 가진 방사선으로, 직접 및 간접 이온화 방사선으로 나뉘며 물질에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고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인체에 유해할 수 있어 엄격한 안전 기준과 규제가 적용된다. - 돌연변이 - 조로증
조로증은 DNA 복구 과정 결함으로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노화 징후를 보이는 희귀 유전 질환으로, RecQ 헬리카제, NER 단백질, 라민 등 DNA 복구 단백질 유전자 돌연변이가 주요 원인이며, 베르너 증후군, 블룸 증후군, 로스문드-톰슨 증후군, 콕케인 증후군, 색소피부건조증, 허친슨-길포드 프로제리아 증후군 등이 대표적이다. - 돌연변이 - DNA 수선
DNA 수선은 세포 내에서 DNA 손상을 감지하고 교정하는 과정으로, 게놈 안정성을 유지하고 세포 기능을 보존하는 데 필수적이며, 염기 절제 복구, 뉴클레오티드 절제 복구, 불일치 복구, 상동 재조합, 비상동 말단 연결 등 다양한 기작이 존재한다. - 방사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피폭자
피폭자는 핵무기 및 방사능 노출로 피해를 입은 사람을 의미하며, 급성 및 만성 방사선 증후군, 유전적 영향, 사회적 차별 등의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여러 국가와 국제기구에서 지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방사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는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암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는 의료 기술로, 근치적 및 완화적 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암종에 적용되며, 고정밀 방사선 치료 기술을 통해 정상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지만 피로,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치료법과 병행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돌연변이원 |
---|
2. 역사
돌연변이원의 역사는 암과의 연관성에서 시작하여 방사선, 화학 물질로 이어진다.
최초로 돌연변이원으로 확인된 것은 암과 관련이 있는 발암물질이었다. 이후 방사선 노출과 암의 연관성은 빌헬름 뢴트겐이 X선을, 앙리 베크렐이 방사능을 발견한 지 6년 후인 1902년에 관찰되었다.[7]
1925년 게오르기 나드손과 게르만 필리포프는 이온화 방사선을 이용하여 최초로 곰팡이 돌연변이체를 만들었다.[8][9] 1927년 허먼 뮬러는 X선이 초파리에서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하여 돌연변이 유발 특성을 처음으로 입증하였다.[10][11] 1928년 그의 동료 에드가 알텐부르크도 자외선의 돌연변이 효과를 보여주었다.[13] 루이스 스태들러는 1928년 보리, 1936년 옥수수에서 X선의 돌연변이 효과를 연구하였다.[16][17]
화학적 돌연변이원이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는 것은 1940년대 샬럿 아우어바흐와 J. M. 롭슨이 겨자 가스가 초파리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입증되었다.[19] 1970년대 브루스 에임스가 개발한 에임스 검사는 돌연변이원을 선별하고 발암 물질을 예비적으로 확인하는데 사용되었다.[20][21]
2. 1. 암과의 연관성 발견
최초로 확인된 돌연변이원은 발암물질, 즉 암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물질이었다. 종양은 염색체와 DNA가 발견되기 2,000년 전부터 묘사되어 왔다. 기원전 500년경 그리스의 의사 히포크라테스는 게를 닮은 종양을 '카르키노스'(karkinos)라고 명명했는데, 이는 라틴어를 거쳐 '암'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1] 1567년, 스위스 의사 파라켈수스는 광산에서 채굴한 광석(현대에는 라돈 가스로 확인됨)의 미확인 물질이 광부들에게 쇠약병을 일으킨다고 제안했다.[2] 1761년 영국의 존 힐은 담배 가루(snuff)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비강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암과 화학 물질을 최초로 직접적으로 연결지었다.[3] 1775년, 퍼시벌 포트 경은 굴뚝 청소부의 고환암 발병률이 높다는 논문을 발표하고 굴뚝의 그을음(soot)을 고환암의 원인으로 제시했다.[4] 1915년, 야마가와와 이치카와는 토끼 귀에 콜타르를 반복적으로 바르면 악성 암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 그 후 1930년대에 콜타르의 발암 성분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인 벤조[a]피렌으로 확인되었다.[2][6]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는 그을음에도 존재하는데, 그을음은 150년 전에 암의 원인 물질로 제시되었다.빌헬름 뢴트겐이 X선을, 앙리 베크렐이 방사능을 발견한 지 6년 후인 1902년 초기에 방사선 노출과 암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다.[7]
2. 2. 방사선과 돌연변이
방사선 노출과 암의 연관성은 빌헬름 뢴트겐(Wilhelm Röntgen)이 X선을, 앙리 베크렐(Henri Becquerel)이 방사능을 발견한 지 6년 후인 1902년 초기에 관찰되었다.[7] 1925년 게오르기 나드손(Georgii Nadson)과 게르만 필리포프(German Filippov)는 이온화 방사선을 이용하여 최초로 곰팡이 돌연변이체를 만들었다.[8][9] 1927년 허먼 뮬러(Hermann Muller)는 X선이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에서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켜 표현형 돌연변이체와 염색체의 관찰 가능한 변화를 생성한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돌연변이원의 돌연변이 유발 특성을 처음으로 입증하였다.[10][11] 이러한 변화는 초파리 침샘에서 확대된 다사 염색체("polytene" chromosomes)의 존재로 인해 눈에 보였다.[12] 1928년 그의 동료 에드가 알텐부르크(Edgar Altenburg)도 자외선의 돌연변이 효과를 보여주었다.[13] 뮬러는 X선을 사용하여 유전학 연구에 사용한 초파리 돌연변이체를 만들었다.[14] 그는 또한 X선이 초파리의 유전자뿐만 아니라 인간의 유전자 구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15] 1928년 보리에서, 그리고 1936년 옥수수에서 X선의 돌연변이 효과를 보여준 루이스 스태들러(Lewis Stadler)의 연구도 유사한 결과를 제시하였다.[16][17] 햇빛의 영향은 19세기에 시골 야외 노동자와 선원들이 피부암에 더 걸리기 쉽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전부터 알려져 있었다.[18]2. 3. 화학물질과 돌연변이
최초로 확인된 돌연변이원은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발암물질이었다. 종양은 염색체와 DNA가 발견되기 2,000년 전부터 묘사되었다. 기원전 500년경 그리스 의사 히포크라테스는 게를 닮은 종양을 '카르키노스(karkinos)'라 불렀고, 이는 '암'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1] 1761년 영국의 존 힐(John Hill)은 담배 가루(snuff)를 많이 사용하면 코 안쪽에 암이 생길 수 있다고 말하며, 암과 화학 물질을 최초로 직접 연결지었다.[3] 1775년 퍼시벌 포트(Percivall Pott) 경은 굴뚝 청소부에게 고환암 발병률이 높다는 논문을 발표하고 굴뚝의 그을음(soot)을 원인으로 제시했다.[4] 1915년 야마가와와 이치카와는 토끼 귀에 콜타르를 반복적으로 바르면 악성 암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 이후 1930년대에 콜타르의 발암 성분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인 벤조[a]피렌(benzo[a]pyrene)으로 확인되었다.[2][6]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는 150년 전 암 원인 물질로 제시된 그을음에도 존재한다.화학적 돌연변이원이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는 것은 1940년대 샬럿 아우어바흐(Charlotte Auerbach)와 J. M. 롭슨(J. M. Robson)이 겨자 가스가 초파리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입증되었다.[19] 이후 많은 화학적 돌연변이원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1970년대 브루스 에임스(Bruce Ames)가 개발한 에임스 검사를 통해 돌연변이원을 선별하고 발암 물질을 예비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20][21] 에임스의 초기 연구는 알려진 발암 물질의 약 90%가 에임스 검사에서 돌연변이원으로 확인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22][23][24] 에임스 검사를 통해 확인된 돌연변이원의 약 80%도 발암 물질일 수 있다.[24][25]
3. 종류
돌연변이원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으로 DNA에 손상을 일으켜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물질이다. 대부분 DNA에 직접 작용하여 복제 오류를 일으키지만, 일부는 복제 과정이나 염색체 분할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많은 돌연변이원은 그 자체로는 돌연변이원성이 없지만, 시토크롬 P450 시스템이나 시클로옥시게나제와 같은 세포 과정을 통해 돌연변이원성 대사체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돌연변이원을 전돌연변이원이라고 한다.[38]
돌연변이원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종류 | 설명 | 예시 |
---|---|---|
DNA 분자에 이상을 일으키는 물질 | DNA 염기 서열에 직접적인 변화를 유발 | 니트로소 화합물, 염기유사화합물, 알킬화제,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 DNA 인터칼레이터, DNA 가교제 |
유전 정보 삽입 물질 | DNA에 삽입되어 유전자 기능을 방해 | DNA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
기타 | 세포 분열 억제, 염색체 이상 유발 등 | 콜히친, 활성산소(ROS), 방사선, 자외선 |
콜히친과 같은 세포 분열 억제제는 DNA 자체에 이상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세포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여 유전 정보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3. 1. 물리적 돌연변이원
이온화 방사선(Ionizing radiation)인 X선(X-rays), 감마선(gamma rays), 알파 입자(alpha particles)는 DNA 절단 및 기타 손상을 일으킨다. 실험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코발트-60(cobalt-60)과 세슘-137(cesium-137)이 있다.[37]260nm 이상 파장의 자외선(Ultraviolet)은 염기에 의해 강하게 흡수되어 피리미딘 이량체(pyrimidine dimers)를 생성하는데, 이는 교정되지 않으면 복제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
방사성 붕괴(Radioactive decay)의 경우, DNA 내 14C가 질소(nitrogen)로 붕괴되는 현상이 있다.
3. 2. 화학적 돌연변이원
화학적 돌연변이원은 DNA에 직접 손상을 주거나, 세포 과정을 통해 돌연변이원성 대사체를 형성하여 간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DNA 염기 서열에 변화를 일으켜 돌연변이를 유발한다.화학적 돌연변이원은 작용 방식에 따라 직접 작용, 간접 작용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DNA 분자에 이상을 일으키는 것과 유전 정보를 삽입하는 것으로도 나눌 수 있다.
- DNA 분자에 이상을 일으키는 물질:
- 니트로소 화합물: 니트로소기(-NO)를 갖는 화합물로, 니트로소아민(음식물 등에서 아민과 아질산염이 반응하여 생성됨), 니트로소구아니딘 등이 있다.
- 염기유사화합물: DNA 복제 및 복구 과정에 이상을 일으키는 BrdU 등이 있다.
- 알킬화제: DNA에 알킬기를 부가하는 에틸화제 ''N''-에틸-''N''-니트로소우레아(ENU), 메탄술폰산에틸(EMS) 등이 있다.
-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배기가스나 담배 연기 등에 포함되는 벤조피렌, 크리센 등이 있다.
- DNA 인터칼레이터(DNA intercalator): DNA 이중나선 구조에 끼어들어 DNA 복제 시 이상을 일으키는 벤조피렌, 브롬화에티듐 등이 있다.
- DNA 가교제(DNA crosslinking agents): DNA 분자 중 2개의 염기에 결합하여 가교 구조를 만드는 항암제인 시스플라틴, 마이토마이신 C 등이 있다.
- 유전 정보를 삽입하는 물질:
- DNA 바이러스나 레트로바이러스 감염.
- 기타:
- 콜히친 등의 세포 분열 억제제는 DNA 자체에는 이상을 일으키지 않지만, 세포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 이상(배수성, 이수성)을 초래한다.
3. 2. 1. 직접 작용
화학적 돌연변이원은 DNA에 직접 작용하여 손상을 일으키지만, 전돌연변이원처럼 세포 과정을 통해 돌연변이원성 대사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37] 이러한 대사 과정에는 시토크롬 P450 시스템과 산화효소(oxygenase)와 같은 시클로옥시게나제의 활동이 포함될 수 있다.[38]- 활성산소종(ROS): 과산화수소, 수산기 라디칼 등을 포함하며,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의 부산물 또는 지질 과산화와 같은 세포 과정에서 생성된다. 이들은 DNA 가닥 절단, 가교, 염기 부가체 형성을 유발할 수 있다.[39]
- 탈아미노화제: 아질산과 같이 시토신을 우라실로 전환시켜 전이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 디올-에폭사이드로 활성화되면 DNA에 결합하여 부가체를 형성한다.
- 알킬화제: 에틸니트로소우레아와 같이 염기나 인산기에 알킬기를 전달한다. 알킬화된 구아닌은 티민과 잘못 짝을 이룰 수 있으며, DNA 가교 및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니트로사민은 담배나 훈제 식품에 존재할 수 있는 중요한 돌연변이원 그룹이다.
- 방향족 아민: 1895년 루드비히 렌이 처음 발견했으며, 방광암 등 다양한 암을 유발할 수 있다. 2-아세틸아미노플루오렌은 조리된 고기에서도 발견된다.
- 알칼로이드: 빈카 종과 같은 식물에서 유래하며,[40] 대사 과정을 통해 활성 돌연변이원 또는 발암 물질로 전환될 수 있다.
- 브롬: 화학 구조에 브롬을 포함하는 일부 화합물.[41]
- 아지드화나트륨: 유기 합성 시약 및 에어백 시스템 구성 요소.
- 소랄렌: 자외선과 결합하여 DNA 가교를 유발한다.
- 벤젠: 산업용 용매 및 다양한 화학 물질 생산의 전구체.
- 삼산화크롬: 도금에 사용되는 고독성 산화제.[42]
3. 2. 2. 간접 작용
활성산소종(ROS)은 과산화물, 수산기 라디칼, 과산화수소 등을 포함하며,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의 부산물이나 지질 과산화와 같은 정상적인 세포 과정에서 다량 생성된다. 세포 사이클로옥시게나제와 리폭시게나제의 천연 생성물인 15-하이드로퍼옥시에이코사테트라엔산은 4-하이드록시-2(''E'')-노네날, 4-하이드로퍼옥시-2(''E'')-노네날, 4-옥소-2(''E'')-노네날 및 ''cis''-4,5-에폭시-2(''E'')-데카날로 분해되는데, 이러한 이작용성 친전자체는 포유류 세포에서 돌연변이를 유발하며 인간 암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39] 많은 돌연변이원은 이러한 ROS를 생성하여 DNA 가닥 절단과 가교, 염기 부가체를 유발할 수 있다.아질산과 같은 탈아미노화제는 시토신을 우라실로 전환시켜 전이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다.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는 디올-에폭사이드로 활성화될 때 DNA에 결합하여 부가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에틸니트로소우레아와 같은 알킬화제는 염기나 주쇄 인산기에 메틸 또는 에틸기를 전달한다. 알킬화된 구아닌은 티민과 잘못 짝을 이룰 수 있으며, 일부는 DNA 가교와 파손을 일으킬 수 있다. 니트로사민은 담배에서 발견되는 중요한 돌연변이원 그룹이며, 훈제 고기와 생선에서 아질산염과 식품의 아민이 상호 작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황겨자 가스와 염화비닐도 알킬화제에 속한다.
방향족 아민과 아마이드는 방광암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조리된 고기에서 발견될 수 있는 2-아세틸아미노플루오렌은 방광, 간, 귀, 장, 갑상선 및 유방암을 유발할 수 있다. 빈카 종과 같은 식물에서 유래하는 알칼로이드[40]는 대사 과정을 통해 활성 돌연변이원 또는 발암 물질로 전환될 수 있다.
브롬 및 브롬을 포함하는 일부 화합물,[41] 아지드화나트륨, 자외선과 결합된 소랄렌, 벤젠, 삼산화크롬[42] 등도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돌연변이원이다.
3. 2. 3. 기타
활성산소종(ROS)은 과산화물, 수산기 라디칼, 과산화수소 등을 포함하며,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의 부산물이나 지질 과산화와 같은 정상적인 세포 과정에서 다량 생성된다. 세포 사이클로옥시게나제와 리폭시게나제의 천연 생성물인 15-하이드로퍼옥시에이코사테트라엔산은 4-하이드록시-2(''E'')-노네날, 4-하이드로퍼옥시-2(''E'')-노네날, 4-옥소-2(''E'')-노네날 및 ''cis''-4,5-에폭시-2(''E'')-데카날을 형성하며 분해되는데, 이러한 이작용성 친전자체는 포유류 세포에서 돌연변이를 유발하고 인간 암 발생 및/또는 진행에 기여할 수 있다. 많은 돌연변이원은 이러한 ROS를 생성할 수 있으며, DNA 가닥 절단과 가교뿐만 아니라 많은 염기 부가체를 유발할 수 있다.[39]아질산과 같은 탈아미노화제는 시토신을 우라실로 전환하여 전이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는 디올-에폭사이드로 활성화될 때 DNA에 결합하여 부가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에틸니트로소우레아와 같은 알킬화제는 염기 또는 주쇄 인산기로 메틸 또는 에틸기를 전달하며, 알킬화된 구아닌은 티민과 잘못 짝을 이룰 수 있다. 일부 알킬화제는 DNA 가교와 파손을 일으킬 수 있다. 니트로사민은 담배에서 발견되는 중요한 돌연변이원 그룹이며, 훈제 고기와 생선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황겨자 가스와 염화비닐도 알킬화제의 예시이다.
방향족 아민과 아마이드는 1895년 독일 의사 루드비히 렌이 독일 합성 방향족 아민 염료 산업 노동자들 사이에서 방광암 발생률이 높은 것을 관찰한 이후로 발암 작용과 관련이 있다. 2-아세틸아미노플루오렌은 방광, 간, 귀, 장, 갑상선 및 유방암을 유발할 수 있다. 빈카 종과 같은 식물에서 유래하는 알칼로이드는[40] 대사 과정을 통해 활성 돌연변이원 또는 발암 물질로 전환될 수 있다. 브롬 및 화학 구조에 브롬을 포함하는 일부 화합물,[41] 유기 합성에서 일반적인 시약이며 많은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아지드 염인 아지드화나트륨도 돌연변이원이다.
소랄렌은 자외선과 결합하여 DNA 가교를 유발하고 염색체 파손을 일으킨다. 산업용 용매이자 약물, 플라스틱, 합성고무 및 염료 생산의 전구체인 벤젠, 도금에 사용되는 고독성 산화제인 삼산화크롬[42]도 돌연변이원이다. 삽입제는 에티디움 브로마이드와 프로플라빈과 같이 DNA 염기 사이에 삽입되어 복제 과정에서 프레임시프트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분자이다. 다우노루비신과 같은 일부 삽입제는 전사와 복제를 차단하여 증식하는 세포에 매우 높은 독성을 나타낸다.
그 외에도, DNA 분자에 이상을 일으키는 니트로소 화합물, 염기유사화합물, 알킬화제, 다환방향족탄화수소, DNA 인터칼레이터, DNA 가교제, 활성산소, 방사선, 자외선 등이 있다. 또한, DNA 바이러스나 레트로바이러스 감염, 콜히친과 같은 세포 분열 억제제도 변이원이라고 할 수 있다.
3. 3. 생물학적 돌연변이원
전위인자는 DNA의 일부분으로, 자율적으로 이동 및 복제된다. 염색체 DNA에 삽입되면 유전자의 기능적 요소를 파괴한다.종양 바이러스 DNA가 게놈에 삽입되어 유전자 기능을 파괴할 수 있다. 1908년 Vilhelm Ellermann과 Oluf Bang[49], 그리고 1911년 페이턴 로스(Peyton Rous)가 라우스육종바이러스(Rous sarcoma virus)를 발견하면서[50] 감염성 인자가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박테리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와 같은 일부 박테리아는 염증을 유발하는데, 이 과정에서 활성산소가 생성되어 DNA 손상을 일으키고 DNA 복구 시스템의 효율성을 떨어뜨려 돌연변이를 증가시킨다.
4. 돌연변이원과 발암물질, DNA 손상 물질의 차이
돌연변이원이 반드시 발암물질인 것은 아니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아지드화나트륨은 돌연변이원성(그리고 높은 독성)을 가지지만, 발암성을 지닌다는 것이 밝혀지지는 않았다.[26] 한편, 직접적으로 돌연변이원성을 지니지는 않지만 세포 성장을 자극하여 DNA 복구 효율을 떨어뜨리고 돌연변이, 따라서 암 발생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증가시키는 화합물도 있다.[27] 이러한 예로는 전립선을 비롯한 여러 부위의 암 위험을 증가시키는 동화 스테로이드가 있다.[28] 다른 발암물질들은 돌연변이를 일으키지 않고도 종양 촉진, 암세포 또는 발암성 병원체와 싸우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면역억제, 내분비계 교란 (예: 유방암), 조직 특이적 독성, 그리고 염증 (예: 대장암) 등 다양한 기전을 통해 암을 유발할 수 있다.[29]
DNA 손상 인자(DNA damaging agent)는 DNA 복제 시 자체가 복제되지 않는 DNA 구조의 변화를 일으키는 인자이다.[30] DNA 손상의 예로는 DNA의 뉴클레오티드 염기에 화학적 부가 또는 파괴(비정상적인 뉴클레오티드 또는 뉴클레오티드 조각 생성), 또는 DNA의 한 가닥 또는 양 가닥의 절단이 있다. 손상된 염기를 포함하는 이중나선 DNA가 복제될 때, 상보적인 주형 가닥에 있는 손상된 염기의 반대쪽에 새로 합성된 가닥에 잘못된 염기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다음 복제 라운드에서 돌연변이가 될 수 있다. 또한 DNA 이중 가닥 절단은 부정확한 과정으로 복구되어 변형된 염기쌍, 즉 돌연변이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돌연변이와 DNA 손상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돌연변이는 원칙적으로 DNA가 복제될 때 복제될 수 있지만, DNA 손상은 반드시 복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DNA 손상 인자는 종종 2차적 결과로 돌연변이를 일으키지만, 모든 DNA 손상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모든 돌연변이가 DNA 손상에서 비롯되는 것도 아니다.[1] 유전독성(genotoxic)이라는 용어는 DNA에 독성(손상)을 의미한다.
5. 영향
돌연변이원은 DNA에 변화를 일으켜 유전독성을 갖는다. DNA의 전사와 복제에 영향을 미치며, 심한 경우 세포 사멸로 이어질 수 있다. 돌연변이원은 DNA에 돌연변이를 생성하며, 해로운 돌연변이는 특정 유전자의 기능 이상, 손상 또는 상실을 초래할 수 있고, 돌연변이가 축적되면 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돌연변이원은 발암물질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돌연변이원은 그 대사체를 통해 돌연변이 유발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러한 돌연변이원이 실제로 발암성이 되는지는 생물체의 대사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한 생물체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화합물이 다른 생물체에서는 발암성이 아닐 수 있다.[31]
다양한 돌연변이원은 DNA에 다르게 작용한다. 강력한 돌연변이원은 염색체 불안정성[32]을 초래하여 전좌, 결손, 역위와 같은 염색체 파손 및 재배열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돌연변이원을 염색체 파괴원이라고 한다.
돌연변이원은 또한 DNA 서열을 변형시킬 수 있다. 돌연변이에 의한 핵산 서열의 변화에는 뉴클레오타이드 염기쌍의 치환 및 DNA 서열에서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의 삽입 및 결손이 포함된다. 이러한 돌연변이 중 일부는 치명적이거나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지만, 많은 돌연변이는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잔기 변화를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경미한 영향을 미친다. 많은 돌연변이는 침묵 돌연변이이며, 비암호화 또는 비기능성 서열에서 발생하거나 코돈의 중복성으로 인해 아미노산 서열을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눈에 띄는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는다.[33]
일부 돌연변이원은 이수성을 유발하고 세포의 염색체 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돌연변이원을 이수체 유발인자라고 한다.[34]
에임스 테스트에서 다양한 농도의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용량 반응 곡선은 거의 항상 선형이며, 돌연변이에 대한 역치가 없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방사선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얻어져 돌연변이원에 대한 안전한 역치가 없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무역치 모델은 돌연변이에 대한 용량률 의존성 역치를 주장하는 일부 사람들에 의해 논란이 되고 있다.[35][10] 일부는 낮은 수준의 일부 돌연변이원이 DNA 복구 과정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해롭지는 않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민감한 분석 방법을 사용한 최근의 접근 방식은 유전독성 효과에 대해 비선형 또는 이선형 용량 반응이 있을 수 있으며, DNA 복구 경로의 활성화는 낮은 용량의 돌연변이원으로 인한 돌연변이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36]
6. 검사 시스템
돌연변이원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65][66] 동물 시스템은 인간의 대사 작용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려(완료하는 데 약 3년 소요) 돌연변이원성 또는 발암성에 대한 첫 번째 선별 검사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 등을 이용하는 돌연변이 시험인 '''에임스 시험'''(Ames test)은 변이원성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70] 변이원성이 있다고 해서 항상 발암성을 비롯한 유전독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유전독성을 판정하려면 발암성 시험을 포함한 유전독성 시험(유전자 돌연변이 시험과 염색체 돌연변이 시험)이 필요하다.[70] 변이원성 시험은 과정이 간편하기 때문에 유전독성 시험의 전 단계 스크리닝(선별 스크리닝)으로 실시되어 일련의 유전독성 시험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지만, 변이원성 시험 결과만으로는 유전독성 시험을 대신할 수 없다.
변이가 일어나는 과정이나 그에 따른 현상을 검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험법은 검출 대상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변이원성 시험
- DNA 손상과 복구 검출: 폴-검정(pol-assay), 렉-검정(rec-assay), 우무-검정(Umu-assay), 혜성 전기영동법(Comet assay), 비주기적 DNA 합성
- 형질전환으로 돌연변이 검출: 에임스 시험, 마우스 림포마 시험, 스팟 테스트
- 유전독성 시험
- 염색체 이상 시험, 소핵 시험, 자매 염색분체 교환 시험(SCE), 유전자 돌연변이 시험, 형질전환 시험(발암 시험 포함), 우성 치사 시험
GHS 제3판에서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 시험의 예로 인용된 OECD 시험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시험 번호 | 시험명 | 채택일 |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8j.pdf 478 | 유전독성: 설치류를 이용한 우성 치사 시험 | 1984년 4월 4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85j.pdf 485 | 유전독성: 마우스 전좌 시험 | 1986년 10월 23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5j.pdf 475 | 포유류 골수 염색체 이상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84j.pdf 484 | 유전독성: 마우스 스폿 테스트 | 1986년 10월 23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4j.pdf 474 | 포유류 적혈구 소핵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83j.pdf 483 | 포유류 정원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86j.pdf 486 | 포유류 간세포를 이용한 생체 내 불규칙 DNA 합성(UDS)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3j.pdf 473 | 포유류의 시험관 내 염색체 이상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6j.pdf 476 | 포유류 세포의 시험관 내 유전자 돌연변이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1j.pdf 471 | 세균 복귀 돌연변이 시험 | 1997년 7월 21일 |
6. 1. 세균
돌연변이원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65][66] 동물 시스템은 인간의 대사 작용을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려(완료하는 데 약 3년 소요) 돌연변이원성 또는 발암성에 대한 첫 번째 선별 검사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세균을 이용한 시스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에임스 테스트'''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테스트이며, 히스티딘 생합성이 결핍된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균주가 사용된다. 이 테스트는 야생형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돌연변이를 확인한다. 돌연변이원을 위한 쉽고, 저렴하며 편리한 초기 선별 검사이다.
- '''''S. typhimurium''에서의 8-아자구아닌 내성''' – 에임스 테스트와 유사하지만, 역돌연변이 대신 히스티딘 복귀 균주에서 8-아자구아닌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순방향 돌연변이를 확인한다.
- '''''대장균 시스템''' – 순방향 및 역방향 돌연변이 검출 시스템 모두 ''대장균''에서 사용하도록 수정되었다. 역돌연변이에는 트립토판 결핍 돌연변이체가 사용되는 반면, 순방향 돌연변이에는 갈락토스 이용 또는 5-메틸트립토판에 대한 내성이 사용될 수 있다.
- '''DNA 복구''' – DNA 복구가 결핍된 ''대장균'' 및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균주는 DNA 손상을 통한 이들 세포의 성장에 대한 영향을 통해 돌연변이원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변이원성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살모넬라균( ''Salmonella typhimurium'') 등의 세균을 이용하는 돌연변이 시험인 '''에임스 시험'''(Ames test)이다.[70]
6. 2.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방 및 역방향 돌연변이뿐만 아니라 재조합 사건도 확인할 수 있다.[65][66]6. 3. 초파리
초파리를 이용한 성염색체 연관 열성 치사 시험이 있다. 이 시험에서는 노란색 몸을 가진 계통의 수컷 초파리를 사용하는데, 노란색 몸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X 염색체에 있다. 시험 화학 물질을 섞은 먹이를 초파리에게 주고, 자손을 성별로 분류한다. 생존한 수컷을 같은 세대의 암컷과 교배시킨 후, 2세대에서 노란색 몸을 가진 수컷이 발견되지 않으면 X 염색체에 치사 돌연변이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66]6. 4. 식물
옥수수(''Zea mays''),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닭의장풀속(''Tradescantia'') 식물 등은 화학물질의 돌연변이원성을 검사하는 다양한 시험 분석에 사용되어 왔다.[65][66]6. 5. 세포 배양
중국산 햄스터 난소(CHO) 세포나 중국산 햄스터 V79 세포, 또는 마우스 림프종 세포와 같은 포유류 세포주를 돌연변이 유발성 시험에 사용할 수 있다.[65][66] 이러한 시스템에는 HPRT 분석법과 우아바인 내성(OUA) 분석법이 있는데, 각각 8-아자구아닌 또는 6-티오구아닌에 대한 내성과 우아바인에 대한 내성을 측정한다.랫트 일차 간세포는 DNA 손상 후 DNA 복구를 측정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돌연변이원은 돌연변이원에 노출된 후 세포의 핵 물질을 더 많이 염색하는 비계획적 DNA 합성을 자극할 수 있다.
6. 6. 염색체 확인
이러한 시스템은 염색체의 대규모 변화를 확인하며, 세포 배양 또는 동물 실험에 사용될 수 있다. 염색체를 염색하여 변화를 관찰한다. '''자매 염색분체 교환'''은 자매 염색분체 사이에서 염색체 물질이 대칭적으로 교환되는 현상이며, 화학 물질의 돌연변이원성 또는 발암 가능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65][66] '''미소핵 시험'''에서는 세포에서 미소핵을 검사하는데, 미소핵은 후기에 남겨진 염색체 조각 또는 염색체이며, 따라서 염색체 파손을 일으키는 클라스토젠(clastogenic agent)을 검사하는 시험이다. 다른 시험에서는 염색분체 및 염색체 간극 및 결실, 전좌, 배수체와 같은 다양한 염색체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6. 7. 동물
설치류는 일반적으로 동물 실험에 사용된다.[65][66] 시험 대상 화학 물질은 보통 먹이와 음용수에 첨가되지만, 때로는 피부에 도포하거나, 위관 영양법 또는 흡입을 통해 투여하기도 한다. 실험은 설치류의 수명 대부분에 걸쳐 진행된다. 발암 물질 확인 실험에서는 먼저 최대 내성 용량을 결정한 후, 약 50마리의 동물에게 예상 수명인 2년 동안 다양한 용량을 투여한다. 사망 후에는 종양 징후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쥐와 인간의 신진대사 차이로 인해 인간이 돌연변이 유발 물질에 정확히 동일하게 반응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동물 실험에서 종양을 유발하는 용량이 인간에게는 지나치게 높을 수 있다. 즉, 인간에게 종양을 유발하는 데 필요한 양은 사람이 실제 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양을 훨씬 초과할 수 있다.가시적인 표현형에 대한 열성 돌연변이를 가진 쥐도 돌연변이 유발 물질 확인에 사용될 수 있다. 열성 돌연변이를 가진 암컷을 야생형 수컷과 교배하면 야생형과 같은 표현형을 나타내며, 표현형의 어떠한 관찰 가능한 변화도 돌연변이 유발 물질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쥐는 초기 배아 사망을 모니터링하는 '''우성 치사 분석'''에도 사용될 수 있다. 수컷 쥐에게 시험 대상 화학 물질을 처리하고 암컷과 교배시킨 다음, 암컷을 분만 전에 안락사시키고 자궁각에서 초기 태아 사망 수를 계산한다.
바이러스성 셔틀 벡터에 감염된 쥐 품종을 사용하는 '''형질전환 쥐 분석'''은 돌연변이 유발 물질을 검사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먼저 동물을 의심되는 돌연변이 유발 물질로 처리한 다음, 쥐의 DNA를 분리하고 파지 세그먼트를 회수하여 ''대장균''을 감염시키는 데 사용한다. 블루-화이트 스크리닝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DNA로 형성된 플라크는 흰색이고, 돌연변이가 없는 플라크는 파란색이다.
6. 8. OECD 시험 가이드라인
GHS 제3판에서 생식세포 변이원성 물질 시험의 예로 인용된 OECD 시험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링크는 해당 문서의 국립보건영양연구원 번역본에 대한 링크이다. 원문은 OECD의 [http://www.oecd.org/env/chemicalsafetyandbiosafety/testingofchemicals/oecdguidelinesforthetestingofchemicals.htm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시험 번호 | 시험명 | 채택일 |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8j.pdf 478] | 유전독성: 설치류를 이용한 우성 치사 시험 | 1984년 4월 4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85j.pdf 485] | 유전독성: 마우스 전좌 시험 | 1986년 10월 23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5j.pdf 475] | 포유류 골수 염색체 이상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84j.pdf 484] | 유전독성: 마우스 스폿 테스트 | 1986년 10월 23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4j.pdf 474] | 포유류 적혈구 소핵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83j.pdf 483] | 포유류 정원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86j.pdf 486] | 포유류 간세포를 이용한 생체 내 불규칙 DNA 합성(UDS)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3j.pdf 473] | 포유류의 시험관 내 염색체 이상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6j.pdf 476] | 포유류 세포의 시험관 내 유전자 돌연변이 시험 | 1997년 7월 21일 |
[https://www.nihs.go.jp/hse/chem-info/oecd/tgj/tg471j.pdf 471] | 세균 복귀 돌연변이 시험 | 1997년 7월 21일 |
7. 보호
돌연변이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개인은 돌연변이원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고, 정부는 위험 물질을 규제하는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자외선 및 담배 연기와 같은 돌연변이원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 것은 개인이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예방 조치이다. 예를 들어, 피부가 밝은 사람들이 강한 햇빛에 자주 노출되는 호주에서는 흑색종이 15~44세 인구에서 가장 흔하게 진단되는 암이다.[56][57]
7. 1. 항산화제

항산화제는 ROS 또는 잠재적으로 유해한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항암성 화합물의 중요한 그룹이다. 과일과 채소에는 이러한 항산화제가 자연적으로 존재한다.[51] 항산화제의 예로는 비타민 A 및 그 카로티노이드 전구체, 비타민 C, 비타민 E, 폴리페놀 등이 있다. β-카로틴은 당근과 토마토 등에서 발견되는 적황색 화합물이다. 비타민 C는 돌연변이원성 N-니트로소 화합물(니트로사민)의 형성을 억제하여 일부 암을 예방할 수 있다. 녹차의 EGCG와 같은 플라보노이드도 효과적인 항산화제로 작용하며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학 연구에 따르면 과일과 채소가 풍부한 식단은 일부 암 발생률 감소 및 평균 수명 연장과 관련이 있지만,[52] 항산화제 보충제의 암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52][53]
7. 2. 생활 습관 개선
항산화제는 ROS 또는 잠재적으로 유해한 화학 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항암성 화합물이다. 이러한 항산화제는 과일과 채소에 자연적으로 존재한다.[51] 항산화제의 예로는 비타민 A 및 그 카로티노이드 전구체, 비타민 C, 비타민 E, 폴리페놀 및 기타 다양한 화합물이 있다. β-카로틴은 당근과 토마토와 같은 채소에서 발견되는 적황색 화합물이다. 비타민 C는 돌연변이원성 N-니트로소 화합물(니트로사민)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일부 암을 예방할 수 있다. 녹차의 EGCG와 같은 플라보노이드도 효과적인 항산화제로 작용하며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학 연구에 따르면 과일과 채소가 풍부한 식단은 일부 암의 발생률 감소 및 평균 수명 연장과 관련이 있지만,[52] 항산화제 보충제의 암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52][53]다른 화학 물질들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돌연변이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암을 예방할 수 있지만, 일부 물질의 경우 보호 효과에 대한 정확한 메커니즘은 불확실할 수 있다. 채소에 미량 영양소로 존재하는 셀레늄은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제와 같은 중요한 항산화 효소의 구성 요소이다. 많은 파이토뉴트리언트는 돌연변이원의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콜리와 같은 채소에 함유된 설포라판은 전립선암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4] 암에 효과적일 수 있는 다른 물질로는 십자화과 채소의 인돌-3-카비놀과 적포도주에 함유된 레스베라트롤이 있다.[55]
개인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예방 조치는 자외선 및 담배 연기와 같은 돌연변이원에 대한 노출을 제한하는 것이다. 1981년, 리처드 돌과 리처드 페토의 인간 역학 분석에 따르면 흡연은 미국의 암의 30%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8] 식단 또한 상당수의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암 사망의 약 32%는 식단 개선을 통해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59]
식품에서 확인된 돌연변이원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곰팡이 성장으로 오염된 식품의 마이코톡신(오염된 땅콩과 옥수수에 존재할 수 있는 아플라톡신 포함)
- 고온에서 조리된 고기에서 생성되는 헤테로사이클릭 아민
- 숯불에 구운 고기와 훈제 생선뿐만 아니라 기름, 지방, 빵, 시리얼에도 존재하는 PAH[60]
- 가공육(예: 베이컨)의 식품 보존제로 사용되는 아질산염으로부터 생성되는 니트로사민 (그러나 아스코르브산은 가공육에 첨가되어 니트로사민 생성을 감소시킴)[51]
- 빵, 비스킷, 감자와 같은 과도하게 갈색으로 변한 녹말 식품은 동물 연구에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난 아크릴아마이드를 생성[61][62]
과도한 알코올 섭취 또한 암과 관련이 있다. 그 발암성에 대한 가능한 메커니즘에는 잠재적인 돌연변이원인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과 돌연변이원성 화합물을 전돌연변이원으로부터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시토크롬 P450 시스템의 유도가 포함된다.[63]
7. 3. 정부 정책 및 규제
리처드 돌과 리처드 페토의 1981년 인간 역학 분석에 따르면 흡연은 미국 암의 30%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8] 식단 또한 상당수의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암 사망의 약 32%는 식단 개선을 통해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59] 위험한 화학 물질과 방사성 물질, 그리고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감염원과 같은 특정 돌연변이원의 경우, 정부의 법률 및 규제 기관이 그 통제에 필요하다.[64]8. 항암 치료에서의 활용
많은 돌연변이원은 증식하는 세포에 매우 독성이 강하며, 종종 암세포를 파괴하는 데 사용된다.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와 시스플라틴과 같은 알킬화제, 그리고 다우노루비신과 독소루비신과 같은 인터칼레이팅제는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빠르게 분열하는 다른 세포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탈모나 메스꺼움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보다 표적이 잘 맞는 치료법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이온화 방사선은 방사선 치료에 사용된다.
9. 기타
공상과학 소설에서 돌연변이원은 종종 수혜자의 형태를 완전히 바꾸거나 초능력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로 묘사된다. 강력한 방사선은 마블 코믹스의 판타스틱 포, 데어데블, 헐크에게 초능력을 주는 돌연변이의 원인이 되는 요소이며, 닌자 거북이 시리즈에서는 돌연변이원 "우주"가, 인휴먼즈에서는 돌연변이원이 테리젠 미스트이다. 돌연변이원은 ''사이버리아'', 시스템 쇼크, ''위쳐'', ''메트로이드 프라임: 트릴로지'', ''저항군: 인류의 몰락'', ''레지던트 이블'', ''인페이머스'', ''프리덤 포스'', 커맨드 앤 컨커, ''기어스 오브 워 3'', ''스타크래프트'', ''바이오쇼크'', ''폴아웃'', ''언더레일'', ''매니터''와 같은 비디오 게임에도 등장한다.
1950년대 "핵 괴물" 영화에서는 핵 방사선이 인간과 일반 곤충을 종종 엄청난 크기와 공격성으로 돌연변이시키는데, 이러한 영화에는 ''고질라'', ''괴물!'', ''50피트 여자의 공격'', ''타란툴라!'', ''놀라운 거대 인간''이 포함된다.
참조
[1]
논문
Ancient Greek and Greco-Roman methods in modern surgical treatment of cancer
2010-03
[2]
웹사이트
Nature and Nurture - Lessons from Chemical Carcinogenesis: Chemical Carcinogens — From Past to Present
http://www.medscape.[...]
[3]
서적
Cautions against the immoderate use of snuff: founded on the known qualities of the tobacco plant: and the effects it must produce when this way taken into the body: and enforced by instances of persons who have perished miserably of diseases, occasioned, or rendered incurable by its use
http://resource.nlm.[...]
Printed for Baldwin R and Jackson J
[4]
논문
Percivall Pott (1714-1788) and chimney sweepers' cancer of the scrotum
1957-01
[5]
논문
Experimentelle Studie über die Pathogenese der Epithelialgeschwülste
[6]
논문
The isolation of a cancer-producing hydrocarbon from coal tar
[7]
논문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Linear Nonthreshold Dose-Response Model as Applied to Radiation
https://scholars.unh[...]
2002-12
[8]
뉴스
"Russian Trail" in the Discovery of DNA Structure
https://scfh.ru/en/p[...]
INFOLIO
2004
[9]
서적
Bericht über das Jahr 1960
Springer Verlag
[10]
논문
Muller's Nobel lecture on dose-response for ionizing radiation: ideology or science?
http://users.physics[...]
2011-12
[11]
논문
Artificial Transmutation of the Gene
http://www.esp.org/f[...]
1927-07
[12]
서적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W. H. Freeman
2012
[13]
논문
The Limit of Radiation Frequency Effective in Producing Mutations
1928
[14]
논문
Seventy years ago: mutation becomes experimental
1997-12
[15]
서적
Biology
Pearson Education, Inc
[16]
논문
Mutations in Barley Induced by X-Rays and Radium
1928-08
[17]
논문
Genetic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in Maize: I. Unfiltered Radiation
1936-10
[18]
논문
A history of ultraviolet photobiology for humans, animals and microorganisms
http://www.photobiol[...]
2002-12
[19]
논문
The Chemical Production of Mutations
1947-03
[20]
논문
An improved bacterial test system for th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mutagens and carcinogens
1973-03
[21]
논문
Identifying environmental chemicals causing mutations and cancer
1979-05
[22]
논문
Detection of carcinogens as mutagens in the Salmonella/microsome test: assay of 300 chemicals
1975-12
[23]
논문
Statistical analysis of Salmonella test data and comparison to results of animal cancer tests
http://potency.lbl.g[...]
[24]
논문
Reproducibility of microbial mutagenicity assays: II. Testing of carcinogens and noncarcinogens in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25]
논문
Alternative strategies for carcinogenicity assessment: an efficient and simplified approach based on in vitro mutagenicity and cell transformation assays
2011-05
[26]
technical report
Toxicology And Carcinogenesis Studies Of Sodium Azide in F344/N Rats
http://ntp.niehs.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91
[27]
서적
Chemistry for Changing Times
https://chem.librete[...]
Pearson
[28]
논문
Anabolic androgenic steroids and carcinogenicity focusing on Leydig cell: a literature review
2018-04-10
[29]
논문
Mechanisms of non-genotoxic carcinogens and importance of a weight of evidence approach
2009
[30]
서적
Aging, Sex, and DNA Repair
Academic Press
[31]
논문
Synaptonemal complex damage as a measure of chemical mutagen effects on mammalian germ cells
1987-01
[32]
논문
Radiation-induced genomic instabi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radiation carcinogenesis
2003-09
[33]
논문
Genetics, Mutagenesis
https://www.ncbi.nlm[...]
2023-01
[34]
논문
Aneuploidy, the somatic mutation that makes cancer a species of its own
2000-10
[35]
웹사이트
Calabrese says mistake led to adopting the LNT model in toxicology
https://phys.org/new[...]
2017
[36]
논문
Contributions of DNA repair and damage response pathways to the non-linear genotoxic responses of alkylating agents
2016-01-01
[37]
논문
Cytochrome P450 activation of arylamines and heterocyclic amines
2005-01-01
[38]
웹사이트
Promutagen - an overview |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39]
논문
Cyclooxygenase-2-mediated DNA damage
2005-08-01
[40]
서적
Side Effects of Drugs Annual
Elsevier
[41]
논문
Production of brominating intermediates by myeloperoxidase. A transhalogenation pathway for generating mutagenic nucleobases during inflammation
2001-03-01
[42]
논문
Mutagenic and carcinogenic actions of chromium and its compound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5-04-16
[43]
논문
Environmental carcinogen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hotochemistry and phototoxicity
2002-11-01
[44]
서적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Chemistry, characterization and carcinogenesis
https://www.osti.gov[...]
1986-01-01
[45]
논문
Benzene metabolite 1,2,4-benzenetriol induces halogenated DNA and tyrosines representing halogenative stress in the HL-60 human myeloid cell line
2012-01-01
[46]
논문
Relative photomutagenicity of furocoumarins and limettin in the hypoxanthine phosphoribosyl transferase assay in V79 cells.
2009-09-01
[47]
논문
Metals,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http://www.glutathio[...]
[48]
간행물
Health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Metals – Mutagenicity
http://www.ebrc.de/i[...]
2007-01-01
[49]
논문
Experimentelle Leukämie bei Hühnern
[50]
논문
A Sarcoma of the Fowl Transmissible by an Agent Separable from the Tumor Cells
1911-04-01
[51]
서적
Carcinogens and Anticarcinogens in the Human Diet
National Academy Press
[52]
논문
Antioxidant vitamins and mineral supplementation, life span expansion and cancer incidence: a critical commentary
2012-10-01
[53]
논문
Vitamin/mineral supplementation and cancer, cardiovascular, and all-cause mortality in a German prospective cohort (EPIC-Heidelberg)
http://doc.rero.ch/r[...]
2012-06-01
[54]
논문
Sulforaphane destabilizes the androgen receptor in prostate cancer cells by inactivating histone deacetylase 6
2009-09-01
[55]
논문
Cancer prevention with natural compounds
2010-06-01
[56]
웹사이트
Skin Cancer Facts and Figures
http://www.cancer.or[...]
2010-07-02
[57]
뉴스
Skin-tone gene could predict cancer risk
https://www.newscien[...]
2019-01-24
[58]
논문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1981-06-01
[59]
논문
Diet, nutrition, and avoidable cancer
1995-11-01
[60]
웹사이트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Occurrence in foods, dietary exposure and health effects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0-08-21
[61]
뉴스
Roast potatoes and toast that's a bit too brown may cause cancer, say authorities
https://www.theguard[...]
2017-01-23
[62]
논문
Analysis of acrylamide, a carcinogen formed in heated foodstuffs
2002-08-01
[63]
논문
Alcohol and cancer
https://academic.oup[...]
[64]
서적
Genetics and the Law II
Springer US
[65]
서적
A Textbook of Modern Toxicology
John Wiley & Sons
[66]
서적
Principles of Toxicology –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67]
웹사이트
化学品の分類および表示に関する世界調和システム(GHS)改訂3版 環境省訳
https://www.env.go.j[...]
2024-07-01
[68]
웹사이트
変異原性試験
http://www.pharm.or.[...]
2024-07-01
[69]
웹사이트
変異原
http://www.j-ems.org[...]
[70]
웹사이트
変異原性
http://www.eic.or.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