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트 워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모트 워크(Remote work)는 원격 근무, 재택 근무 등으로 번역되며, 정보 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1970년대 초 잭 닐스에 의해 처음 사용된 이 용어는 개인용 컴퓨터, 인터넷, 협업 소프트웨어 등의 기술 발전에 힘입어 1990년대 이후 점차 확산되었다. 2010년대 이후에는 미국 연방 기관의 원격 근무 강화 법안 통과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보편화되었으며,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워라밸 개선, 환경적 이점 등을,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사회적 고립, 보안 문제, 업무 동기 부여 저하, 대면 상호 작용 감소 등을 들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피스 - 소호 (오피스)
소호(SOHO)는 소규모 자택 사무실을 의미하며 시간과 공간에 제약 없이 유연하게 일하는 방식을 포괄하지만 사회적 고립감, 악덕 상법, 명확하지 않은 정의 등의 문제점도 존재하여 각국 정부와 지자체는 SOHO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 오피스 - 무신사 스튜디오
무신사 스튜디오는 패션 관련 1인 기업과 소규모 브랜드를 위한 공간으로, 사무 공간, 촬영 스튜디오 등 다양한 시설과 비즈니스 교육, 마케팅, 협업 시스템 등을 제공한다. - 노동 조건 - 개인 보호 장비
개인 보호 장비는 신체를 위험 요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장비 또는 의류로, 작업 환경과 요구되는 보호 수준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선택되며, 각 장비는 특정 유해 물질이나 물리적 위험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노동 조건 - 맥잡
맥잡은 1986년 처음 사용된 용어로,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서는 단조롭고 임금이 적으며 전망이 낮은 직업으로 정의되며, 맥도날드는 이 용어에 반발하여 긍정적 의미를 부여하려는 캠페인을 벌였다. - 노동 시간 - 안식일
안식일은 유대교의 중요한 성일로, 창조 7일째의 하나님의 쉼을 기념하고 이집트 탈출과 미래 메시아 시대를 예표하며, 토라 낭독, 기도, 가족 교류를 통해 지켜지고 39가지 멜라카가 금지되나 생명이 위급한 경우 예외가 허용되며, 기독교의 주일, 이슬람교의 금요일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 - 노동 시간 - 초과근무
초과근무는 정상 근무시간을 넘어서는 노동에 대해 수당, 대체휴가, 보상휴가 등으로 보상받을 수 있으며, 각국 법률에 따라 허용 여부와 보상 방식이 다르지만, 한국에서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대체휴가가 가능하고, 가산임금 지급 의무가 존재하며, 장시간 노동 문화와 은폐된 초과근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리모트 워크 |
---|
2. 역사
1970년대 초, 잭 닐스(Jack Nilles)가 "원격 근무"와 "재택 근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2][3] 같은 시기, 전화선을 네트워크 브리지로 활용하여 위성 사무실을 시내 메인프레임에 연결하는 멍청이 단말기 기술이 개발되었다.[2] 1979년에는 다섯 명의 IBM 직원이 실험적으로 재택근무를 시작했고, 1983년까지 2,000명으로 확대되었다. 1980년대 초에는 개인용 컴퓨터와 터미널 에뮬레이터의 등장으로 지점 사무실과 재택 근무자가 조직의 메인프레임에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1995년에는 "일은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하는 것이다"라는 좌우명이 만들어졌다.[4] 이 좌우명의 변형으로는 "일은 우리가 하는 것이지, 우리가 있는 곳이 아니다"가 있다.[5]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협업 소프트웨어, 가상 사설망(VPN), 전화 회의, 화상 통화, 인터넷 접속, 클라우드 컴퓨팅, IP 음성 기술(VoIP), 이동 통신 기술(예: Wi-Fi가 장착된 노트북 또는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데스크톱 컴퓨터) 등의 기술 발전으로 원격 근무가 더욱 용이해졌다.[12] 또한, 줌, Webex,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구글 미트, 슬랙, 왓츠앱과 같은 소프트웨어가 활용되었다. 1992년 칼 말라머드는 ''Exploring the Internet''에서 "디지털 유목민"을 "노트북을 가지고 전 세계를 여행하며 FidoNet 노드를 설치하는" 사람으로 묘사했다.[8] 1993년, Random House는 미치 래트클리프와 앤드루 고어의 ''Digital Nomad's Guide''를 출판했다. 이 책은 ''PowerBook'', ''AT&T EO Personal Communicator'', ''Newton's Law''를 통해 원격 근무를 가능하게 하는 향상된 이동성과 통신 및 생산성 기술을 "디지털 유목민"이라는 용어로 지칭했다.[9][10][11]
2. 1. 1970년대 ~ 2000년대: 원격 근무의 등장과 확산
1970년대 초, 잭 닐스(Jack Nilles)가 "원격 근무"와 "재택 근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2][3] 같은 시기, 전화선을 네트워크 브리지로 활용하여 위성 사무실을 시내 메인프레임에 연결하는 멍청이 단말기 기술이 개발되었다.[2] 1979년에는 다섯 명의 IBM 직원이 실험적으로 재택근무를 시작했고, 1983년까지 2,000명으로 확대되었다. 1980년대 초에는 개인용 컴퓨터와 터미널 에뮬레이터의 등장으로 지점 사무실과 재택 근무자가 조직의 메인프레임에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1995년에는 "일은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하는 것이다"라는 좌우명이 만들어졌다.[4] 이 좌우명의 변형으로는 "일은 우리가 하는 것이지, 우리가 있는 곳이 아니다"가 있다.[5]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협업 소프트웨어, 가상 사설망(VPN), 전화 회의, 화상 통화, 인터넷 접속, 클라우드 컴퓨팅, IP 음성 기술(VoIP), 이동 통신 기술(예: Wi-Fi가 장착된 노트북 또는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데스크톱 컴퓨터) 등의 기술 발전으로 원격 근무가 더욱 용이해졌다.[12] 또한, 줌, Webex,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구글 미트, 슬랙, 왓츠앱과 같은 소프트웨어가 활용되었다. 1992년 칼 말라머드는 ''Exploring the Internet''에서 "디지털 유목민"을 "노트북을 가지고 전 세계를 여행하며 FidoNet 노드를 설치하는" 사람으로 묘사했다.[8] 1993년, Random House는 미치 래트클리프와 앤드루 고어의 ''Digital Nomad's Guide''를 출판했다. 이 책은 ''PowerBook'', ''AT&T EO Personal Communicator'', ''Newton's Law''를 통해 원격 근무를 가능하게 하는 향상된 이동성과 통신 및 생산성 기술을 "디지털 유목민"이라는 용어로 지칭했다.[9][10][11]
2. 2. 2010년대 이후: 원격 근무의 보편화와 코로나19 팬데믹
2010년, 미국 연방 기관에 직원의 성과가 저하되지 않는 한 최대한 원격 근무를 허용하는 정책을 수립하도록 요구하는 원격 근무 강화법(H.R.1722)이 제정되었다.[283] 이 법은 연방 직원에게 원격 근무 자격을 부여하고, 연방 정부 기관이 원격 근무 방침을 정하고 원격 근무 관리자를 특정하도록 요구했다.[281] 2012년 원격 근무 강화법은 미국 기관이 직원에게 실행 가능한 옵션으로 원격 근무를 제공하기 위한 틀을 제공했으며, 업무 지속성 향상, 경영 유효성 증진, 워라밸 강화를 목표로 했다.[284]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수백만 명의 근로자가 처음으로 원격 근무를 시작하면서,[17] 원격 근무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 되었다. 시애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이 직원들에게 재택근무를 의무화했다.[296][297] 팬데믹 기간 동안 원격 근무 인구가 현저하게 증가한 도시는 줌 타운이라고 불렸다.[18] 전 세계 근로자의 93%가 어떤 형태로든 직장 폐쇄가 이루어진 국가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20]
팬데믹 이후, 많은 기업이 하이브리드 근무 모델을 채택하거나 원격 근무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업무 방식의 지속적인 변화를 시사한다. 하지만, 미국 노동부의 연구에 따르면 2022년까지 수백만 명의 미국인이 재택근무를 중단했고, 원격 근무 감소를 보고하는 고용주의 수가 유행병 이전 수준으로 감소했다.[19] 2022년 8월부터 9월까지 민간 부문 기업의 약 72%가 근로자 간의 원격 근무가 거의 또는 전혀 없다고 보고했다.[19]
3. 주요 개념
원격 근무와 분산 근무와 관련된 몇 가지 주요 용어가 있다. 가장 중요한 개념은 공통 기반, 작업 결합, 협업 준비, 기술 준비이다.
'''공통 기반'''은 참여자들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지식을 의미하며, 그들은 이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46] 공통 기반은 사람의 배경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대화 상호 작용 중 사람의 외모와 행동을 포함하여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단서를 통해 얻은 구체적인 지식을 통해 구축된다.[46] 아래 표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내재된 공통 기반 달성에 기여하는 특징을 보여준다.[46]
동시 현장성 | 가시성 | 청취 가능성 | 동시성 | 동시성 | 순차성 | 검토 가능성 | 수정 가능성 | |
---|---|---|---|---|---|---|---|---|
대면 | O | O | O | O | O | O | O | |
전화 | O | O | O | O | ||||
화상 회의 | O | O | O | O | O | |||
양방향 채팅 | O | O | O | |||||
자동 응답기 | O | O | ||||||
이메일 | O | O | ||||||
편지 | O | O |
원격에 있는 사람들은 공통 기반을 구축하는 어려움에 대해 불만을 제기한다. 이는 오디오 컨퍼런싱으로 연결된 경우 참여자를 잘 알지 못하면 누가 말하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상 통화를 하는 사람들은 지역 공통 기반을 구축하는 미묘한 협상을 할 수 있다. 즉, 말한 내용이 이해되었는지,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지, 수정이 필요한지 등이다. 전반적으로, 사람들이 더 많은 공통 기반을 구축할수록 의사소통이 더 쉬워지고 생산성이 높아진다.
'''결합'''은 작업에 필요한 의사 소통의 정도와 종류를 나타낸다. 긴밀하게 결합된 작업은 여러 작업자의 재능에 크게 의존하고 비정형적이며 심지어 모호한 작업이다. 이러한 유형의 작업 구성 요소는 상호 의존성이 높으며, 이는 작업이 그룹 구성원 간의 빈번하고 복잡한 의사 소통, 짧은 피드백 루프 및 여러 정보 흐름을 필요로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의사 소통은 원격 위치에서 매우 어렵다. 주로 기술이 빠른 왕복 대화 또는 모호성에 대한 인식 및 수정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느슨하게 결합된 작업은 종속성이 적거나 더 일상적이다. 모든 그룹 구성원이 작업, 목표 및 절차에 대한 공통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작업은 전반적으로 덜 빈번하거나 덜 복잡한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한다.
'''협업 준비'''는 함께 일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려는 그룹의 의지이다. 공유 기술을 사용하려면 동료가 정보를 공유해야 하고 공유에 대한 보상을 받아야 한다. 공유 및 협업 문화가 없는 조직과 커뮤니티에 그룹웨어 및 원격 기술을 도입하려고 시도해서는 안 된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통 기반은 종종 팀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협업에 사용된다.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팀 구성원의 다양한 기술과 관점을 함께 모아야 한다. 이를 위해 팀은 문제에 대한 지식과 표현 측면에서 공통 기반에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협업할 때 공통 기반을 달성하기 위해 차이점을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건설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는 협업이 타협과 다르기 때문이다.[47]
'''기술 준비'''는 회사의 기술 사용 의지와 능력이다. 회사는 회사에서 기술을 채택하려면 기술 인프라가 필요하다. 특히 분산된 작업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준비, 정기적인 접근, 다른 사람의 정보 요구에 대한 관심과 같은 습관이 필요하다. 연구자들은 분산 작업의 실패가 이미 구축된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조직이나 커뮤니티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려는 시도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을 반복해서 확인한다. 다음 목록은 직원들이 각 새로운 기술에 익숙해지고 배우도록 하기 위해 조직에서 다양한 협업 기술을 채택해야 하는 순서를 설명한다.[46]
- 전화
- 팩스
- 이메일
- 오디오 컨퍼런싱
- 음성 메일
- 첨부 파일이 있는 이메일
- 화상 회의
- 다른 사람이 구축한 저장소(예: 정적 정보의 인트라넷 사이트)
- 공유 일정 관리
- 저장소 만들기
- 핸드오프 협업(예: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변경 내용 추적 옵션 사용)
- 동시 협업(예: NetMeeting, Exceed 또는 Timbuktu 화면 공유)[46]
위 목록에서 볼 수 있듯이 고급 기술은 작은 단계로 도입해야 한다.
이러한 핵심 개념은 대면 작업과 분산 작업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나중에 조직 관리에 대한 다섯 번째 개념이 제안되었다. 조직 관리는 "근접성 없이 협업을 위한 기본적인 전제를 형성하는 관리 활동의 일부인 관행"이다.[48]
3. 1. 공통 기반 (Common Ground)
공통 기반(Common Ground)은 참여자들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지식을 의미하며, 이 지식이 공유되고 있다는 사실을 서로 인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46] 공통 기반은 사람의 배경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대화 상호 작용 중 사람의 외모와 행동을 포함하여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단서를 통해 얻은 구체적인 지식을 통해 구축된다.[46] 공통 기반은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협업에 필수적이다.[49]원격 근무 환경에서는 참여자들이 서로 다른 물리적 환경에 있기 때문에 공통 기반을 구축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49] 예를 들어, 오디오 컨퍼런싱만으로는 누가 말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화상 회의를 이용하면 지역 공통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미묘한 협상이 가능해진다. 즉, 상대방이 내용을 이해했는지, 대화를 계속 진행해도 되는지, 수정이 필요한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46]
의사소통에서의 접지(grounding)는 참여자 간의 공통 기반, 즉 공유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과정이다.[49] 참여자들은 변화와 과제에 대한 이해를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언어적, 비언어적 증거를 수집한다.[49]
다음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내재된 공통 기반 달성에 기여하는 특징을 보여준다.[46]
동시 현장성 | 가시성 | 청취 가능성 | 동시성 | 동시성 | 순차성 | 검토 가능성 | 수정 가능성 | |
---|---|---|---|---|---|---|---|---|
대면 | O | O | O | O | O | O | O | |
전화 | O | O | O | O | ||||
화상 회의 | O | O | O | O | O | |||
양방향 채팅 | O | O | O | |||||
자동 응답기 | O | O | ||||||
이메일 | O | O | ||||||
편지 | O | O |
다양한 형태의 의사 소통은 이러한 의사 소통 특성의 다양한 존재를 초래하며, 의사 소통 기술의 본질은 참여자 간의 접지를 촉진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49] 공통기반과 접지 정보가 부족하면 사회적 신호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감소한다. 이는 그들 사이의 사회적 거리를 증가시킨다.[49]
3. 2. 작업 결합 (Coupling)
작업 결합은 작업에 필요한 의사 소통의 정도와 종류를 나타낸다.[46] 긴밀하게 결합된 작업은 여러 작업자의 재능에 크게 의존하고 비정형적이며 모호한 작업이다. 이러한 유형의 작업 구성 요소는 상호 의존성이 높으며, 그룹 구성원 간의 빈번하고 복잡한 의사 소통, 짧은 피드백 루프 및 여러 정보 흐름을 필요로 한다.[46] 이러한 의사 소통은 원격 위치에서 매우 어려운데, 주로 기술이 빠른 왕복 대화 또는 모호성에 대한 인식 및 수정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느슨하게 결합된 작업은 종속성이 적거나 더 일상적이다. 모든 그룹 구성원이 작업, 목표 및 절차에 대한 공통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작업은 전반적으로 덜 빈번하거나 덜 복잡한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하므로 원격 근무에 더 적합하다.3. 3. 협업 준비 (Collaboration Readiness)
협업 준비는 함께 일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려는 그룹의 의지를 의미한다.[46] 공유 및 협업 문화가 없는 조직과 커뮤니티에 그룹웨어 및 원격 기술을 도입하려고 시도해서는 안 된다.[47]공통 기반은 종종 팀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협업에 사용된다.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팀 구성원의 다양한 기술과 관점을 함께 모아야 한다. 이를 위해 팀은 문제에 대한 지식과 표현 측면에서 공통 기반에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협업할 때 공통 기반을 달성하기 위해 차이점을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건설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는 협업이 타협과 다르기 때문이다.[47]
3. 4. 기술 준비 (Technology Readiness)
기술 준비는 회사의 기술 사용 의지와 능력을 의미한다.[46] 회사는 기술 인프라뿐만 아니라 분산된 작업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준비, 정기적인 접근, 다른 사람의 정보 요구에 대한 관심과 같은 습관이 필요하다.[46] 분산 작업의 실패는 이미 구축된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조직이나 커뮤니티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려는 시도의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46]다양한 조직에서 다양한 협업 기술이 채택되고 사용된 관찰된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전화
- 팩스
- 이메일
- 오디오 컨퍼런싱
- 음성 메일
- 첨부 파일이 있는 이메일
- 화상 회의
- 다른 사람이 구축한 저장소(예: 정적 정보의 인트라넷 사이트)
- 공유 일정 관리
- 저장소 만들기
- 핸드오프 협업(예: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변경 내용 추적 옵션 사용)
- 동시 협업(예: NetMeeting, Exceed 또는 Timbuktu 화면 공유)[46]
위 목록에서 볼 수 있듯이 고급 기술은 작은 단계로 도입해야 한다.[46]
4. 통계
### 전 세계 원격 근무 현황
2020년 유럽 연합에서 15~64세 고용 인구 중 12.3%가 재택근무를 했으며, 여성은 13.2%, 남성은 11.5%였다.[31] 핀란드가 25.1%로 가장 높았고 룩셈부르크(23.1%), 아일랜드(21.5%), 오스트리아(18.1%), 네덜란드(17.8%)가 뒤를 이었다.[31] 반면 불가리아(1.2%), 루마니아(2.5%), 크로아티아(3.1%), 헝가리(3.6%), 라트비아(4.5%)는 재택근무 비율이 낮았다.[31]
2023년, 경제학자 니컬러스 블룸은 전체 업무 일수의 약 3분의 1이 원격 근무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32] 이는 팬데믹 이전의 5%에서 증가한 수치이며, 기업 부동산 지출 감소로 이어졌다.[32] 블룸은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이 이러한 추세를 더욱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2년 9월 연구에 따르면, 26개국 근로자들은 주당 평균 1.5일 재택근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7]
2012년 추산에 따르면, 5천만 명 이상의 미국 노동자(노동 인구의 약 40%)가 적어도 일부 시간은 집에서 일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64] 2017년 현재, 약 370만 명의 직원이 노동력의 2.8%를 차지하며, 적어도 절반의 시간은 집에서 일하고 있다고 Global Analytics Workplace는 보고했다.[167]
2010년 12월 9일, 미국 연방 정부는 원격 근무 강화법을 통과시켜 업무 연속성을 향상시키고, 비상시에도 연방 정부의 중요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였다.[172]
2013년 9월에 발표된 "2013 Regus Global Economic Indicator"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비즈니스 매니저의 48%가 주간 절반 이상을 원격으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4]
시스코는 직원에게 재택근무 및 원격 근무를 허용함으로써, 연간 2억 7,700만 달러의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소프트웨어 회사 인튜이트의 보고에 따르면, 2020년까지 미국의 노동력의 40% 이상, 즉 6,000만 명이 프리랜서, 계약직, 파견직이 될 것이라고 한다.
### 미국
2012년 추산에 따르면, 5천만 명 이상의 미국 노동자(노동 인구의 약 40%)가 적어도 일부 시간은 집에서 일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64]
2010년 12월 9일, 미국 연방 정부는 업무의 연속성을 향상시키고, 비상시에도 연방 정부의 중요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원격 근무를 이용하여 조직 및 교통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노동자의 워크 라이프 밸런스를 향상시키는 원격 근무 강화법을 2010년에 통과시켰다.[172] 원격 근무를 이용함으로써, 직원은 일과 가족의 의무를 보다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다 회복력 있는 연방 정부의 노동력을 유지하고, 기관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173]
2000년 이후, 미국 연방 법률(''교통부 및 관련 부처 예산 법'')에서는, 각 행정 기관에 대해, 대상이 되는 직원이 가능한 한 재택 근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직원의 성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한, 재택 근무에 관한 방침을 정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274]
### 영국
영국 통계청(ONS)이 2022년 5월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근무 방식은 전면 원격 근무가 14%, 하이브리드 근무가 24%, 전면 현장 근무가 46%였다.[43] 2023년 6월, 정규직 근로자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는 근무 방식은 전면 원격 근무가 6%, 하이브리드 근무가 46%, 전면 현장 근무가 48%였다.[44]
### 대한민국
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2)로 인한 코로나19 범유행이 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많은 기업이 텔레워크(원격 근무)로 전환하였다.
4. 1. 전 세계 원격 근무 현황
2020년 유럽 연합에서 15~64세 고용 인구 중 12.3%가 재택근무를 했으며, 여성은 13.2%, 남성은 11.5%였다.[31] 핀란드가 25.1%로 가장 높았고 룩셈부르크(23.1%), 아일랜드(21.5%), 오스트리아(18.1%), 네덜란드(17.8%)가 뒤를 이었다.[31] 반면 불가리아(1.2%), 루마니아(2.5%), 크로아티아(3.1%), 헝가리(3.6%), 라트비아(4.5%)는 재택근무 비율이 낮았다.[31]2023년, 경제학자 니컬러스 블룸은 전체 업무 일수의 약 3분의 1이 원격 근무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32] 이는 팬데믹 이전의 5%에서 증가한 수치이며, 기업 부동산 지출 감소로 이어졌다.[32] 블룸은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이 이러한 추세를 더욱 촉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2년 9월 연구에 따르면, 26개국 근로자들은 주당 평균 1.5일 재택근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7]
2012년 추산에 따르면, 5천만 명 이상의 미국 노동자(노동 인구의 약 40%)가 적어도 일부 시간은 집에서 일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64] 2017년 현재, 약 370만 명의 직원이 노동력의 2.8%를 차지하며, 적어도 절반의 시간은 집에서 일하고 있다고 Global Analytics Workplace는 보고했다.[167]
2010년 12월 9일, 미국 연방 정부는 원격 근무 강화법을 통과시켜 업무 연속성을 향상시키고, 비상시에도 연방 정부의 중요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였다.[172]
2013년 9월에 발표된 "2013 Regus Global Economic Indicator"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비즈니스 매니저의 48%가 주간 절반 이상을 원격으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4]
시스코는 직원에게 재택근무 및 원격 근무를 허용함으로써, 연간 2억 7,700만 달러의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미국의 소프트웨어 회사 인튜이트의 보고에 따르면, 2020년까지 미국의 노동력의 40% 이상, 즉 6,000만 명이 프리랜서, 계약직, 파견직이 될 것이라고 한다.
4. 2. 미국
2021년 9월 갤럽 여론 조사에 따르면, 미국 전일제 근로자의 45%가 재택근무를 했으며, 이 중 25%는 전적으로, 20%는 부분적으로 재택근무를 했다.[33] 원격 근무자(전체 또는 부분)의 91%는 팬데믹 이후에도 계속 재택근무를 하기를 희망했다.[33] 2023년 2월 갤럽 조사에서는 미국 내 원격 근무가 가능한 직원 중 20%는 현장 근무, 28%는 전적 원격 근무, 52%는 혼합 근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4]미국 인사관리처에 따르면, 미국 연방 공무원의 50%가 원격 근무가 가능했고, 2020 회계연도에 원격 근무로 인해 기관들은 1억 8천만 달러 이상을 절약했다.[35] 2012년 추산에 따르면, 5천만 명 이상의 미국 노동자(노동 인구의 약 40%)가 적어도 일부 시간은 집에서 일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64]
2010년 12월 9일, 미국 연방 정부는 업무의 연속성을 향상시키고, 비상시에도 연방 정부의 중요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원격 근무를 이용하여 조직 및 교통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노동자의 워크 라이프 밸런스를 향상시키는 원격 근무 강화법을 2010년에 통과시켰다.[172] 원격 근무를 이용함으로써, 직원은 일과 가족의 의무를 보다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다 회복력 있는 연방 정부의 노동력을 유지하고, 기관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173]
2000년 이후, 미국 연방 법률(''교통부 및 관련 부처 예산 법'')에서는, 각 행정 기관에 대해, 대상이 되는 직원이 가능한 한 재택 근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직원의 성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한, 재택 근무에 관한 방침을 정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274]
4. 3. 영국
2022년 6월에 실시된 56개 사무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영국 사무실의 51%는 사무실 출근을 요구하는 정책이 없었고, 18%는 주 2일, 11%는 주 3일 출근을 요구했으며, 20%는 팀 단위로 정책이 설정되어 있었다.[36] 2023년 4월, 런던 시내 근로자 55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가장 일반적인 응답은 주 2일과 3일 현장 근무로 각각 26%와 21%였다.[38] 주 1일, 4일, 5일을 언급한 경우는 각각 8~11%로 더 적었으며, 아무런 요구 사항이 없다는 응답은 25%로 두 번째로 흔했다.[38]영국 통계청(ONS)이 2022년 5월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근무 방식은 전면 원격 근무가 14%, 하이브리드 근무가 24%, 전면 현장 근무가 46%였다.[43] 2023년 6월, 정규직 근로자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는 근무 방식은 전면 원격 근무가 6%, 하이브리드 근무가 46%, 전면 현장 근무가 48%였다.[44]
2023년 3월, 성인 2,01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주당 현장 근무일 수는 2일과 3일이 각각 약 16%로 거의 균등하게 분포되었다.[41] 그러나 주 5일 근무의 경우 35% 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여 가장 일반적인 응답이었다.[41] 약 13%는 주당 1일 미만으로 근무해야 했다.[41]
2023년 초에 실시된 2,049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35%는 2일, 33%는 3일 동안 현장에서 근무해야 하며, 33%는 항상 재택근무를 한다.[40] 별도의 질문에서 7%는 고용주가 하이브리드 근무를 허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40]
ONS가 실시한 가을 설문 조사에 따르면, 영국(Great Britain)의 성인 근로자의 4분의 1 이상(28%)이 하이브리드 근무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45] 또한 30세 이상, 부모, 관리자 및 전문가가 재택근무를 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45] 하이브리드 근무가 가능한 사람들에게 ONS는 통근 시간 절약(평균 56분), 수면 및 휴식 시간 증가(평균 24분), 운동, 스포츠 및 웰빙 시간 증가(15분) 등 상당한 이점이 있다고 밝혔다.[45]
2023년 2월 런던 기업에서 게시한 채용 공고의 약 18%가 하이브리드 또는 원격 근무였으며, 이는 2020년 2월의 약 4%에서 증가한 수치이다.[39]
4. 4. 대한민국
2005년 국토교통성 조사에 따르면, 주 8시간 이상 정보 통신 기기 등을 이용하여 업무를 하는 협의의 텔레워커는 674만 명이었다.[265]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2)로 인한 코로나19 범유행이 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2020년 4월 7일 도쿄도 등에서 개정된 신종 인플루엔자 등 대책 특별 조치법에 근거한 긴급 사태 선언이 발령되었다. 이에 따라 사람과의 접촉 기회가 많은 만원 전철 해소 등을 위해 텔레워크가 권장되었고, 준비 기간이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이 텔레워크로 전환하였다. 마루노우치나 야에스 등 대기업 사무실이 주변에 존재하는 도쿄역 이용자는 오전 7시대에 47.8% 감소, 8시대에 67.7% 감소했다.[267] 이는 단순 해고나 자택 대기자도 포함되어 모든 것이 텔레워크에 의한 감소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텔레워크 도입이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5. 기술
효과적인 그룹 의사소통은 다양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특성을 포함한다. 원격 근무 환경에서는 구성원 간의 거리로 인해 대인 관계적 상호 작용이 제한되므로 이러한 특성은 종종 제약된다. 커뮤니케이션 매체는 이러한 특성을 달성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대체 방법에 중점을 둔다.
재택 근무의 시작은 1970년대 초의 기술에 있다. 당시에는 전화 회선을 네트워크 브리지로 사용하여 덤 단말기를 사용하여 위성 사무실과 도심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했다. 이후 지속적이고 기하급수적으로 재택 근무의 비용이 감소하고, 동시에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사무실을 자택으로 옮기는 길이 열렸다.
1980년대 초까지는 지점 및 재택 근무자는 개인용 컴퓨터나 터미널 에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조직의 메인 프레임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재택 근무는 협업 소프트웨어, 가상 사설망, 원격 회의, 화상 회의, 가상 콜센터, VoIP, 가상 오피스 (소프트웨어) 등의 도구와 고품질 노트북 컴퓨터의 저가격화에 의해 촉진되고 있다. 광대역 인터넷 접속은 노동자가 장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이동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에게 효율적이고 유용한 것이 된다. 광대역 인터넷 접속이 일반화됨에 따라 자택에서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기업의 인트라넷 및 사내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충분한 대역폭을 가진 노동자가 늘어나고 있다.
근거리 통신망의 채용으로 리소스 공유가 촉진되고,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으로 인해 더욱 큰 분산화가 가능해졌다. 오늘날, 재택 근무자는 노트북 컴퓨터를 휴대할 수 있으며, 사무실에서도 자택에서도 거의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Wi-Fi가 사용 가능해지면서 휴대 가능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조합하여 원격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졌다[176]。더욱이 기술의 향상과 보급에 따라 스마트폰은 재택 근무에도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스마트폰은 노동자의 이동성과 조직과의 연계 정도를 대폭 향상시킨다. 휴대 전화나 개인 정보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장치의 기술은 텍스트 메시지, 카메라 사진, 비디오 클립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즉각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177]。
5. 1. 통신 기술
효과적인 그룹 의사소통은 다양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특성을 포함한다. 원격 근무 환경에서는 구성원 간의 거리로 인해 대인 관계적 상호 작용이 제한되므로 이러한 특성은 종종 제약된다. 커뮤니케이션 매체는 이러한 특성을 달성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대체 방법에 중점을 둔다.[49]의사소통에서의 접지(grounding)는 참여자 간에 진화하는 공통 기반 또는 공유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이다. 상호 지식의 기반은 효과적인 조정과 의사소통에 중요하다. 참여자들은 변화와 과제에 대한 이해를 확립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언어적, 비언어적 증거를 지속적으로 수집한다.
접지 및 증거 수집의 수단은 다음과 같다.
특징 | 설명 |
---|---|
공동 현존 | 동일한 물리적 환경을 공유할 때, 참여자들은 서로가 무엇을 하고 무엇을 보고 있는지 쉽게 듣고 파악할 수 있다. |
가시성 | 참여자들은 서로를 볼 수 있으며, 비언어적인 표정 신호와 몸짓 언어를 감지할 수 있다. |
청취 가능성 | 참여자들은 말하기를 통해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음성 억양과 발화 타이밍을 파악할 수 있다. |
동시성 | 발화가 지연 없이 거의 동시에 수신되고 이해될 때 효율성이 증진된다. 메시지는 두 참여자 모두에 의해 동시에 전달되고 수신될 수 있다. |
순차성 | 참여자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에 방해 없이 서로만 대화한다. |
검토 가능성 | 참여자들은 나중에 교환의 물리적 형태로 돌아갈 수 있다. |
수정 가능성 | 참여자들은 메시지를 보내기 전에 자신의 진술을 비공개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
다양한 형태의 의사 소통은 이러한 의사 소통 특성의 다양한 존재를 초래한다. 따라서, 의사 소통 기술의 본질은 참여자 간의 접지를 촉진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접지 정보가 부재하면 사회적 신호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감소하여 사회적 거리가 증가한다.[49]
이러한 특성 중 하나가 부족하면 일반적으로 참가자는 대체 접지 기법을 사용해야 하는데, 접지와 관련된 비용이 변경되기 때문이다. 비용 간에는 상충 관계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한 비용이 증가하면 다른 비용은 감소한다. 또한 비용 간의 상관관계도 자주 나타난다.
통신 매체가 변경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몇 가지 비용은 다음과 같다.[50]
비용 | 설명 | 지불 주체 |
---|---|---|
형성 | 발화가 생성, 수정되고 발화가 더 복잡해짐에 따라 시간과 노력이 증가한다. | 화자 |
생성 | 메시지 생성에 투입되는 노력은 통신 매체에 따라 다르다. | 화자 |
수신 | 듣는 것은 일반적으로 읽는 것보다 쉽다. | 수신자 |
이해 | 수신자가 대화의 적절한 맥락을 형성해야 하는 빈도가 많을수록 비용이 더 높다. | 수신자 |
시작 | 새로운 담론을 시작하는 데 드는 비용. 주의를 끌고, 메시지를 형성하고, 메시지를 수신해야 한다. | 둘 다 |
지연 | 보다 신중하게 계획, 수정 및 실행하기 위해 발화를 지연시키는 데 드는 비용. | 둘 다 |
비동기성 | 한 참가자가 멈추고 다른 참가자가 시작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데 필요한 작업과 관련된 비용. | 둘 다 |
화자 변경 | 한 참가자가 멈추고 다른 참가자가 시작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데 필요한 작업과 관련된 비용. | 둘 다 |
표시 | 비언어적 단서를 표시하는 데 드는 비용. | 둘 다 |
오류 | 잘못된 메시지를 생성하는 데 드는 비용. | 둘 다 |
복구 | 메시지를 복구하고 올바른 메시지를 보내는 비용. | 둘 다 |
재택 근무의 시작은 1970년대 초 전화 회선을 네트워크 브리지로 사용하여 덤 단말기를 통해 위성 사무실과 도심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사무실을 자택으로 옮기는 길이 열렸다.
1980년대 초, 지점 및 재택 근무자는 개인용 컴퓨터나 터미널 에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조직의 메인 프레임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재택 근무는 협업 소프트웨어, 가상 사설망, 원격 회의, 화상 회의, 가상 콜센터, VoIP, 가상 오피스 (소프트웨어) 등의 도구와 고품질 노트북 컴퓨터의 저가격화에 의해 촉진되고 있다. 광대역 인터넷 접속은 노동자가 장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이동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에게 효율적이고 유용한 것이 된다. 광대역 인터넷 접속이 일반화됨에 따라 자택에서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기업의 인트라넷 및 사내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충분한 대역폭을 가진 노동자가 늘어나고 있다.
근거리 통신망의 채용으로 리소스 공유가 촉진되고,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으로 인해 더욱 큰 분산화가 가능해졌다. 오늘날, 재택 근무자는 노트북 컴퓨터를 휴대할 수 있으며, 사무실에서도 자택에서도 거의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Wi-Fi가 사용 가능해지면서 휴대 가능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조합하여 원격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졌다[176]。
기술의 향상과 보급에 따라 스마트폰은 재택 근무에도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스마트폰은 노동자의 이동성과 조직과의 연계 정도를 대폭 향상시킨다. 휴대 전화나 개인 정보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장치의 기술은 텍스트 메시지, 카메라 사진, 비디오 클립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즉각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177]。
5. 2. 주요 기술
구조화된 관리는 과제 분해 및 버전 관리를 통해 개별 상황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51] 이는 그룹이 작업을 관리 가능한 덩어리로 나누도록 함으로써 분산된 그룹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룹 구성원들은 자율적으로 작업하여 완성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51]이메일은 비꼬는 말이나 유머와 같은 언어적 추론의 전달을 방해하며, 이메일 작성자가 자신의 소통에 무엇이 부족한지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52] 사람들은 이메일 수신자의 관점을 예상하려 할 때, 자신의 경험과 관점을 활용하게 되어 이메일 대화의 불일치와 혼란스러운 소통으로 이어진다.[52]
재택 근무의 시작은 1970년대 초의 기술에 있으며, 전화 회선을 네트워크 브리지로 사용하여 덤 단말기를 사용하여 위성 사무실과 도심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했다. 1980년대 초까지는 지점 및 재택 근무자는 개인용 컴퓨터나 터미널 에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조직의 메인 프레임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협업 소프트웨어, 가상 사설망, 원격 회의, 화상 회의, 가상 콜센터, VoIP, 가상 오피스 (소프트웨어) 등의 도구와 고품질 노트북 컴퓨터의 저가격화는 재택근무를 촉진하는 요인이다. 광대역 인터넷 접속은 노동자가 장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이동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에게 효율적이고 유용한 것이 된다. 광대역 인터넷 접속이 일반화됨에 따라 자택에서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여 기업의 인트라넷 및 사내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충분한 대역폭을 가진 노동자가 늘어나고 있다.
근거리 통신망의 채용으로 리소스 공유가 촉진되고,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으로 인해 더욱 큰 분산화가 가능해졌다. 오늘날, 재택 근무자는 노트북 컴퓨터를 휴대할 수 있으며, 사무실에서도 자택에서도 거의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Wi-Fi가 사용 가능해지면서 휴대 가능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조합하여 원격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졌다[176]。스마트폰은 재택 근무에 널리 사용되게 되었으며, 노동자의 이동성과 조직과의 연계 정도를 대폭 향상시킨다. 휴대 전화나 개인 정보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장치의 기술은 텍스트 메시지, 카메라 사진, 비디오 클립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즉각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177]。
기업에서는 태블릿이나 랩톱과 같은 원격 장치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사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액세스를 재택 근무자에게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6. 법적 측면
1996년, 국제 노동 기구(ILO)의 재택근무 협약은 자택에서 고용된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영국의 1998년 최저 임금법은 재택 근로자를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James v Redcats (Brands) Ltd (2007) 판례는 재택 근로자가 반드시 자택에서 근무할 필요는 없다고 확인했다.[53][54]
대한민국에서는 근로기준법, 최저임금법,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등이 재택근무에도 적용된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사업장 외 근무의 적절한 도입 및 실시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여 재택근무 규칙 제정 등을 권고하고 있다. 이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사용자는 노사 협의를 통해 재택근무 규칙을 제정하고 취업규칙에 명시해야 한다. 근로 계약 체결 시에는 취업 장소 등을 명시해야 하며, 재택근무 시에는 '사용자가 허가하는 장소'를 포함하여 명시해야 한다.
근로 시간 제도와 관련하여, 근로기준법에는 다양한 근로 시간 제도가 있으며, 모든 근로 시간 제도에서 재택근무가 가능하다. 변형 근로 시간제에서는 시업 및 종업 시각의 자유도를 인정할 수 있고, 선택적 근로 시간제는 근로자가 시업 및 종업 시각을 결정할 수 있어 재택근무에 적합하다. 사업장 밖 간주 근로 시간제는 근로 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용되며, 재량 근로제 및 고도 전문직 제도는 근로자의 자유로운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국제 노동 기구(ILO)는 홈 워커를 고용주가 지정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임금 지불을 위해 자택 또는 직장 이외의 장소에서 일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3억 명의 재택 노동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들은 비공식 경제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숫자를 파악하기 어렵다.
7. 잠재적 이점
회사가 주도권을 쥐고 있을 때에는 홈 쇼어링이나 홈 소싱과 같은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209]
조사 회사 IDC에 따르면, 홈 소싱은 연간 약 20% 규모로 확대되고 있으며(2006년), "폭발적으로 확대될 것 같다"[210]고 한다.
재택근무는 경제적, 환경적, 개인적인 면에서 사회에 이점을 가져다준다. ICT의 보급은 직원, 특히 신체 장애가 있는 직원에게 큰 이점이 된다. 또한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에너지 절약 사회의 실현으로 이어진다[211]。 재택근무는 지역 사회, 고용주, 직원에게 이점을 제공한다.
- '''비용 절감'''
원격 근무는 조직의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데, 여기에는 사무실 공간 비용과 주차, 컴퓨터 장비, 가구, 사무용품, 조명 및 냉난방 공조와 같은 관련 비용이 포함된다.[78] 사무실 경비와 같은 특정 직원의 비용은 원격 근무자에게 전가될 수 있지만, 이는 소송의 대상이 된다.[55]
원격 근무는 또한 이동/통근[56][57] 및 의류 비용과 같은 근로자의 비용을 줄여준다.[58] 또한 사무실이 있는 지역보다 더 저렴한 지역에서 생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83]
기업의 경우, 재택근무는 인재 풀 확대, 질병 확산 방지, 부동산 풋프린트를 포함한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이산화 탄소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감소, 장애를 가진 미국인 법(ADA) 준수, 미국인의 경우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수단, 이직률 및 결근율 감소, 직원의 사기 진작, 사업 연속성 전략 강화, 여러 시간대에 걸친 비즈니스 대응 능력 향상, 문화적 적응력 강화 등의 이점이 있다. 풀타임 재택근무를 도입함으로써 직원 1인당 약 20,000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는 추산도 있다.[213]
재택근무자 중 특히 "재택근무"를 하는 사람들은 워라밸 개선, 이산화 탄소 배출량 및 연료 사용량 감소, 연간 15~25일 분의 노동 시간 (출퇴근에 소비했던 시간) 해소, 출장비 및 업무 관련 비용을 연간 수천 달러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다.[214][215]
- '''직원 동기 부여 및 직무 만족도 향상'''
직무 특성 이론에 따르면, 자율성과 피드백 증가는 직원의 업무 동기 부여, 직무 만족도, 성과를 높이고 결근율 및 이직률을 낮춘다.[59][60][183][184] 특히 자율성은 근로자가 전통적인 근무 시간 외에 일하고 가족을 위해 더 유연하게 일할 수 있도록 허용될 때 업무와 가정의 갈등을 줄여 원격 근무자의 만족도를 높인다.[59] 원격 근무 시간이 증가했을 때 직원 참여가 증가한 이유는 자율성 때문으로 설명된다.[187]
원격 근무는 워라밸을 개선하고,[214][215] 업무 책임과 개인적인 삶 및 가족 역할을 더 쉽게 균형을 맞출 수 있게 해준다.[57][61] 또한, 원격 근무는 이동 시간을 줄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출퇴근 시간 및 교통 체증으로 인한 시간을 줄여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61]
원격 근무는 직원이 집, 커피숍 또는 코워킹 스페이스와 같은 업무 장소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크게 늘린다.[62]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직원이 선호하는 환경에서 자신의 유익한 작업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일과 삶의 균형을 더욱 촉진하고 생산성을 제공한다.
미국 심리학회(APA)가 발행한 ''응용 심리학 저널''에 게재된 Ravi Gajendran과 David A. Harrison의 메타 분석(2007년)에 따르면, 원격 근무는 직원의 직무 만족도, 인지된 자율성, 스트레스 수준, 관리자가 평가한 직무 성과 및 (낮은) 일과 가정의 갈등, 그리고 낮은 이직 의도에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64][77]
- '''환경적 이점'''
원격 근무는 도로의 차량 감소로 인해 교통 체증과 대기 오염을 줄일 수 있다.[65][66] 대부분의 연구에 따르면 원격 근무는 에너지 집약적인 개인 교통 수단에 소비되는 시간 감소, 더 깨끗한 공기, 그리고 더 작은 사무실 공간으로 인한 전력 사용량 감소로 인해 전반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67]
COVID-19 봉쇄 기간 동안 원격 근무의 증가는 전 세계 CO2 배출량 감소로 이어졌다.[68] 부분적으로는 자가용 통근 감소로 인해 탄소 배출량이 5.4% 감소했지만, 이듬해 배출량은 즉시 동일한 수준으로 증가했다.[69]
원격 근무가 가능한 업무를 가지고 있으며 자택에서 근무하고 싶어하는 미국 인구의 40%가 노동 시간의 절반을 그렇게 할 경우, 미국은 280,000,000 배럴의 석유를 절약하게 되며, 이는 걸프만의 석유 수입량의 37%에 해당한다. 또한 영구적으로 도로에서 900만 대의 자동차가 사라지는 것과 동등한 환경적 절약 효과를 가져오며, 연료 절약으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는 현재 미국에서 생산되는 모든 재생 에너지원을 합한 양의 2배 이상이 된다.[218] 영국에서는 재택 근무하는 직원의 수를 늘리면 매년 300만 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오염을 줄일 수 있다고 추정된다.[219]
- '''생산성 증가'''
일부 연구에 따르면 원격 근무는 직원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71] 2013년 중국의 한 여행사에서 원격 근무를 하는 콜센터 직원들의 생산성이 13%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71] 2021년 3월까지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거의 10명 중 6명의 근로자가 예상보다 재택근무에서 더 많은 생산성을 보였고, 14%는 덜 생산적이었다고 답했다.[71] 스탠퍼드 대학교와 베이징 대학 교수가 중국의 대형 여행사 직원 2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재택근무 관련 실험에서는, 무작위로 할당된 직원이 9개월 동안 재택근무를 한 경우, 사무실을 기반으로 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13.5%의 생산성 향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생산성 향상은 출퇴근 시간을 절약한 것으로 9%의 시간만큼 노동이 증가한 것과, 더 조용한 노동 조건에 의한 3.5%의 효율 개선에 기인한다.[224]
원격 근무는 직원의 출퇴근 시간을 줄이거나 없앰으로써 효율성을 향상시키므로 업무에 대한 가용성을 높인다.[72][57] 또한, 원격 근무는 직원들이 더 나은 워라밸을 달성하도록 돕는다.[73]
사회기술 시스템 (STS) 이론(1951)은 생산성 증가를 뒷받침하는데, 이는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경우가 아니면, 옵션이나 효과적인 행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목표와 작업 수행 방법을 최소한으로 명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74][75][76] 원격 근무는 근로자에게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과 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자유와 권한을 제공하며, 따라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77]
원격 근무에서는 근무 시간이 덜 규제되므로 직원 참여와 헌신은 순전히 결과나 성과 측면에서 측정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그러나 비생산적인 작업 활동(예: 연구, 자기 훈련, 기술 문제 또는 장비 고장 처리), 그리고 실패한 시도(예: 초기 초안, 성과 없는 노력, 중단된 혁신)에 소요된 시간의 흔적은 고용주에게 보인다.
- '''이직 의향 감소 및 충성도 향상'''
이직 의향은 원격 근무자에게서 더 낮게 나타난다.[77][78][64] 직무 고립을 더 심하게 경험한 원격 근무자일수록 이직 의향이 더 낮았다.[143]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원격 근무 옵션을 제공하는 회사는 이직률이 25% 낮았다.[79]
FlexJobs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1%가 유연한 근무 옵션이 있다면 고용주에게 더 충성할 것이라고 답했다.[80] 맥킨지 & 컴퍼니(McKinsey & Company)의 2021년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하이브리드 근무 모델 채택을 지지했으며, 4분의 1 이상이 현재 고용주가 원격 근무 옵션을 없앨 경우 이직을 고려하겠다고 답했다.[81]
퇴직 의지에 관해 일반 노동자와 비교하면 재택근무자가 더 낮다.[188] 업무상 고립감이 큰 재택근무자의 퇴직 의지는 실제로는 낮았다.[201] 어떤 연구에서는 목표, 목적, 기대를 명확하게 전달함으로써 피드백과 과제 완결성이 높아져 재택근무자의 퇴직 의지가 감소하고 업무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보고되었다.[233]
- '''더 많은 직원/고용주 접근성'''
재택근무는 직원과 고용주가 주요 지역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준다.[83] 업무 책임은 해당 분야에 숙련된 직원에게 부여된다.[84]
재택근무는 지역 사회, 고용주, 직원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한다. 지역 사회의 경우, 재택근무는 고용 기회를 확대하고, 교통 체증 및 교통 사고 감소, 교통 인프라 부담 경감, 온실 가스 감축, 에너지 사용량 감소, 재해 대비 향상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212]
기업의 경우, 재택근무를 통해 인재 풀을 확대하고, 질병 확산을 방지하며, 부동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장애를 가진 미국인 법을 준수하며,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직률 및 결근율 감소, 직원 사기 진작, 사업 연속성 전략 강화, 여러 시간대에 걸친 비즈니스 대응 능력 향상, 문화적 적응력 강화 등의 이점도 있다.[213] 풀타임 재택근무 도입으로 직원 1인당 약 20,000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는 추산도 있다.[213]
재택근무자들은 워라밸 개선, 이산화 탄소 배출량 및 연료 사용량 감소, 출퇴근 시간 절약, 출장비 및 업무 관련 비용 절감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214][215]
ICT의 보급은 직원, 특히 신체 장애가 있는 직원에게 큰 이점이 되며,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에너지 절약 사회 실현으로 이어진다.[211] 지역에 거주하는 재택근무자를 고용하면 지역의 억양, 매너, 화법에서 비롯되는 편견을 제거할 수 있다. 업무 목적으로 자택의 일부를 사용하는 근로자는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장애로 인해 자택에서 이동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라비 가젠드란(Ravi Gajendran)과 데이비드 A. 해리슨(David A. Harrison)이 수행하여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지에 게재된 12,833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한 46건의 재택근무에 관한 연구의 메타 분석 결과, 재택근무는 직원과 고용주에게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34][188] 가젠드란과 해리슨의 메타 분석 연구에서는 재택근무가 직원의 직무 만족도, 인지된 자율성, 스트레스 수준, 관리자가 평가하는 업무 성과, 일과 가정의 낮은 갈등에 미미하지만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택근무는 퇴사 의향(직장을 그만두고 싶어 하는 의향)을 감소시킨다. 재택근무는 직무 만족도의 향상, 이직 의향의 감소, 역할 스트레스의 감소를 보였는데, 그 이유 중 일부는 일과 가정의 갈등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재택근무로 인한 자율성의 증가는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재택근무로 인해 직원의 경력이 손상되거나, 직장 내 인간관계가 손상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학자나 경영자가 이전부터 많았지만, 이번 메타 분석에서는 직장 내 인간관계의 질이나 경력 성과에 일반적으로 유해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재택근무는 직원과 상사와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무 만족도와 퇴사 의향의 관계는 상사와의 관계의 질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고강도 재택근무(주 2.5일 이상 재택근무)만이 직원과 동료와의 관계에 악영향을 미쳤지만, 일과 가정의 갈등은 감소했다.
7. 1. 비용 절감
원격 근무는 조직의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데, 여기에는 사무실 공간 비용과 주차, 컴퓨터 장비, 가구, 사무용품, 조명 및 냉난방 공조와 같은 관련 비용이 포함된다.[78] 사무실 경비와 같은 특정 직원의 비용은 원격 근무자에게 전가될 수 있지만, 이는 소송의 대상이 된다.[55]원격 근무는 또한 이동/통근[56][57] 및 의류 비용과 같은 근로자의 비용을 줄여준다.[58] 또한 사무실이 있는 지역보다 더 저렴한 지역에서 생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83]
기업의 경우, 재택근무는 인재 풀 확대, 질병 확산 방지, 부동산 풋프린트를 포함한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이산화 탄소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감소, 장애를 가진 미국인 법(ADA) 준수, 미국인의 경우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수단, 이직률 및 결근율 감소, 직원의 사기 진작, 사업 연속성 전략 강화, 여러 시간대에 걸친 비즈니스 대응 능력 향상, 문화적 적응력 강화 등의 이점이 있다. 풀타임 재택근무를 도입함으로써 직원 1인당 약 20,000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는 추산도 있다.[213]
재택근무자 중 특히 "재택근무"를 하는 사람들은 워라밸 개선, 이산화 탄소 배출량 및 연료 사용량 감소, 연간 15~25일 분의 노동 시간 (출퇴근에 소비했던 시간) 해소, 출장비 및 업무 관련 비용을 연간 수천 달러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다.[214][215]
7. 2. 직원 동기 부여 및 직무 만족도 향상
직무 특성 이론에 따르면, 자율성과 피드백 증가는 직원의 업무 동기 부여, 직무 만족도, 성과를 높이고 결근율 및 이직률을 낮춘다.[59][60][183][184] 특히 자율성은 근로자가 전통적인 근무 시간 외에 일하고 가족을 위해 더 유연하게 일할 수 있도록 허용될 때 업무와 가정의 갈등을 줄여 원격 근무자의 만족도를 높인다.[59] 원격 근무 시간이 증가했을 때 직원 참여가 증가한 이유는 자율성 때문으로 설명된다.[187]원격 근무는 워라밸을 개선하고,[214][215] 업무 책임과 개인적인 삶 및 가족 역할을 더 쉽게 균형을 맞출 수 있게 해준다.[57][61] 또한, 원격 근무는 이동 시간을 줄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출퇴근 시간 및 교통 체증으로 인한 시간을 줄여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61]
원격 근무는 직원이 집, 커피숍 또는 코워킹 스페이스와 같은 업무 장소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크게 늘린다.[62]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직원이 선호하는 환경에서 자신의 유익한 작업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일과 삶의 균형을 더욱 촉진하고 생산성을 제공한다.
미국 심리학회(APA)가 발행한 ''응용 심리학 저널''에 게재된 Ravi Gajendran과 David A. Harrison의 메타 분석(2007년)에 따르면, 원격 근무는 직원의 직무 만족도, 인지된 자율성, 스트레스 수준, 관리자가 평가한 직무 성과 및 (낮은) 일과 가정의 갈등, 그리고 낮은 이직 의도에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64][77]
7. 3. 환경적 이점
원격 근무는 도로의 차량 감소로 인해 교통 체증과 대기 오염을 줄일 수 있다.[65][66] 대부분의 연구에 따르면 원격 근무는 에너지 집약적인 개인 교통 수단에 소비되는 시간 감소, 더 깨끗한 공기, 그리고 더 작은 사무실 공간으로 인한 전력 사용량 감소로 인해 전반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67]COVID-19 봉쇄 기간 동안 원격 근무의 증가는 전 세계 CO2 배출량 감소로 이어졌다.[68] 부분적으로는 자가용 통근 감소로 인해 탄소 배출량이 5.4% 감소했지만, 이듬해 배출량은 즉시 동일한 수준으로 증가했다.[69]
원격 근무가 가능한 업무를 가지고 있으며 자택에서 근무하고 싶어하는 미국 인구의 40%가 노동 시간의 절반을 그렇게 할 경우, 미국은 280,000,000 배럴의 석유를 절약하게 되며, 이는 걸프만의 석유 수입량의 37%에 해당한다. 또한 영구적으로 도로에서 900만 대의 자동차가 사라지는 것과 동등한 환경적 절약 효과를 가져오며, 연료 절약으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는 현재 미국에서 생산되는 모든 재생 에너지원을 합한 양의 2배 이상이 된다.[218] 영국에서는 재택 근무하는 직원의 수를 늘리면 매년 300만 톤 이상의 이산화탄소 오염을 줄일 수 있다고 추정된다.[219]
7. 4. 생산성 증가
일부 연구에 따르면 원격 근무는 직원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71] 2013년 중국의 한 여행사에서 원격 근무를 하는 콜센터 직원들의 생산성이 13%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71] 2021년 3월까지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거의 10명 중 6명의 근로자가 예상보다 재택근무에서 더 많은 생산성을 보였고, 14%는 덜 생산적이었다고 답했다.[71] 스탠퍼드 대학교와 베이징 대학 교수가 중국의 대형 여행사 직원 2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재택근무 관련 실험에서는, 무작위로 할당된 직원이 9개월 동안 재택근무를 한 경우, 사무실을 기반으로 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13.5%의 생산성 향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생산성 향상은 출퇴근 시간을 절약한 것으로 9%의 시간만큼 노동이 증가한 것과, 더 조용한 노동 조건에 의한 3.5%의 효율 개선에 기인한다.[224]원격 근무는 직원의 출퇴근 시간을 줄이거나 없앰으로써 효율성을 향상시키므로 업무에 대한 가용성을 높인다.[72][57] 또한, 원격 근무는 직원들이 더 나은 워라밸을 달성하도록 돕는다.[73]
사회기술 시스템 (STS) 이론(1951)은 생산성 증가를 뒷받침하는데, 이는 절대적으로 필수적인 경우가 아니면, 옵션이나 효과적인 행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목표와 작업 수행 방법을 최소한으로 명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74][75][76] 원격 근무는 근로자에게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과 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자유와 권한을 제공하며, 따라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77]
원격 근무에서는 근무 시간이 덜 규제되므로 직원 참여와 헌신은 순전히 결과나 성과 측면에서 측정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그러나 비생산적인 작업 활동(예: 연구, 자기 훈련, 기술 문제 또는 장비 고장 처리), 그리고 실패한 시도(예: 초기 초안, 성과 없는 노력, 중단된 혁신)에 소요된 시간의 흔적은 고용주에게 보인다.
7. 5. 이직 의향 감소 및 충성도 향상
이직 의향은 원격 근무자에게서 더 낮게 나타난다.[77][78][64] 직무 고립을 더 심하게 경험한 원격 근무자일수록 이직 의향이 더 낮았다.[143]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원격 근무 옵션을 제공하는 회사는 이직률이 25% 낮았다.[79]FlexJobs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1%가 유연한 근무 옵션이 있다면 고용주에게 더 충성할 것이라고 답했다.[80] 맥킨지 & 컴퍼니(McKinsey & Company)의 2021년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하이브리드 근무 모델 채택을 지지했으며, 4분의 1 이상이 현재 고용주가 원격 근무 옵션을 없앨 경우 이직을 고려하겠다고 답했다.[81]
퇴직 의지에 관해 일반 노동자와 비교하면 재택근무자가 더 낮다.[188] 업무상 고립감이 큰 재택근무자의 퇴직 의지는 실제로는 낮았다.[201] 어떤 연구에서는 목표, 목적, 기대를 명확하게 전달함으로써 피드백과 과제 완결성이 높아져 재택근무자의 퇴직 의지가 감소하고 업무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보고되었다.[233]
7. 6. 더 많은 직원/고용주 접근성
재택근무는 직원과 고용주가 주요 지역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준다.[83] 업무 책임은 해당 분야에 숙련된 직원에게 부여된다.[84]재택근무는 지역 사회, 고용주, 직원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한다. 지역 사회의 경우, 재택근무는 고용 기회를 확대하고, 교통 체증 및 교통 사고 감소, 교통 인프라 부담 경감, 온실 가스 감축, 에너지 사용량 감소, 재해 대비 향상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212]
기업의 경우, 재택근무를 통해 인재 풀을 확대하고, 질병 확산을 방지하며, 부동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장애를 가진 미국인 법을 준수하며,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직률 및 결근율 감소, 직원 사기 진작, 사업 연속성 전략 강화, 여러 시간대에 걸친 비즈니스 대응 능력 향상, 문화적 적응력 강화 등의 이점도 있다.[213] 풀타임 재택근무 도입으로 직원 1인당 약 20,000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는 추산도 있다.[213]
재택근무자들은 워라밸 개선, 이산화 탄소 배출량 및 연료 사용량 감소, 출퇴근 시간 절약, 출장비 및 업무 관련 비용 절감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214][215]
ICT의 보급은 직원, 특히 신체 장애가 있는 직원에게 큰 이점이 되며,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에너지 절약 사회 실현으로 이어진다.[211] 지역에 거주하는 재택근무자를 고용하면 지역의 억양, 매너, 화법에서 비롯되는 편견을 제거할 수 있다. 업무 목적으로 자택의 일부를 사용하는 근로자는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장애로 인해 자택에서 이동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8. 잠재적 단점 및 우려 사항
기술 다양성은 업무의 내적 동기 부여와 가장 강한 관련이 있다.[185]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업무는 내적인 업무 동기를 높인다. 재택 근무의 경우, 팀워크의 기회가 제한되거나,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기회가 적을 경우[196], 업무에 대한 내적 동기 부여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사회적 고립감도 동기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222] 게다가, 승인 욕구의 일본인 특유의 형태가 재택 근무 적응을 방해한다는 지적도 있다.[235] 직장 환경이나 상사가 가까이 있지 않으면, 재택 근무에서는 사무실 근무보다 동기를 높이는 능력이 더 중요해진다고 할 수 있다. 사무실에서의 업무에도 주의가 산만해지는 경우가 있지만, 재택 근무는 더욱 주의가 산만해지는 경우가 많다고 흔히 말한다. 어떤 조사에 따르면,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것의 1위는 아이, 다음으로 배우자, 반려동물, 이웃, 변호사의 순이다. 또한 적절한 도구나 설비가 없는 것도 심한 주의 산만으로 이어지지만[236], 단기 코워킹 스페이스를 임대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용하면 경감할 수 있다.
대면 교류는 대인 관계, 연결, 신뢰감을 높인다.[201] 따라서, 2012년 조사에서는 재택 근무자의 54%가 사회적인 교류를 잃었다고 생각하고, 52.5%가 전문적인 교류를 잃었다고 느꼈다.[222] 재택 근무는 재택 근무자와 동료 간의 업무 관계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동료가 재택 근무를 하지 않는 경우 더욱 그렇다. 재택 근무를 하지 않는 동료는 자신도 재택 근무를 허용받지 못하는 것에 불공평하다고 생각하여 분개하거나 질투하는 모습을 보인다.[188][199] 그러나 재택 근무에 관한 메타 분석에서는 대인 행위나 업무상 고립감이 적음에도 불구하고[201], 재택 근무자와 동료와의 관계 및 재택 근무자와 상사와의 관계가 부정적이라는 것을 뒷받침하는 결과는 얻을 수 없었다.[188] 75%의 관리자는 직원을 신뢰한다고 답했지만, 3분의 1은 "만약을 위해" 직원과 만날 수 있도록 하고 싶다고 답했다.[237]
재택 근무를 하는 근로자는, 자신이 가치 있다고 여겨지기 위해, 더 많은 성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을 느끼고, 자신의 업무량이 다른 사람보다 적다는 생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성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은, 제한된 동료와의 관계나 고립감에서 오는 사회적 지원의 부족과 마찬가지로, 재택 근무자의 업무 참여 저하로 이어진다.[187] 게다가, 팀원과의 질 높은 관계는 재택 근무자의 업무 만족도를 저하시키며, 기술을 통한 교류에 대한 불만이 원인일 수 있다.[238] 그러나, 팀 빌딩을 위한 동료 지원이나 가상 소셜 그룹은 업무 만족도의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233][221] 이는, 팀워크에 의한 기술 다양성의 향상과, 더 많은 인간 관계에 의한 과제 중요성의 향상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재택 근무와 만족도에 관한 일관성 없는 소견은, 더 복잡한 관계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아마도, 자율성의 효과에 의해, 처음의 업무 만족도는 재택 근무의 양이 늘어날수록 상승하지만, 재택 근무가 늘어날수록, 피드백과 과제 중요성이 저하되어, 업무 만족도는 횡보하거나 약간 하락한다.[239] 이처럼, 재택 근무 시간이 재택 근무와 업무 만족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재택 근무의 지속적인 확대를 막는 장벽으로는, 고용주로부터의 불신감이나, 직원의 개인적인 고립감이 꼽힌다.[240] 재택 근무 환경 하에서는, 직원이나 상사는 동료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생긴다.[241] 또한, 회사의 일상적인 활동으로부터의 고립감이 생겨, 회사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른 것을 잘 의식하지 못하게 되어, 재택 근무를 하지 않는 다른 직원으로부터 그 직원에 대한 혐오감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242] 재택 근무는, "직장에서의 업무 대신이라기보다는, 보완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243]
보안은, 재택 근무자와 비재택 근무자 모두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2006년에는, 미국 연방 보훈처 직원의 노트북이 도난당해, "역대 최대 규모의 사회 보장 번호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도되었다.[244] 해당 인물은 재택 근무자가 아니었지만, 이 사건은 직장을 벗어나서 일하는 것에 내재된 위험에 주목했다. 대기업의 보안 담당 임원의 90%는, 재택 근무는 보안상의 우려 사항이 아니라고 느낀다. 이는, 재택 근무자가 받는 훈련이나 도구,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에, 재택 근무자가 아닌 사람이 사무실에서 가져오는 드문 업무를 더 신경 쓰는 것이다.[245] 직무 특성 이론에 관한 다른 연구에서는, 업무 피드백이, 다른 업무 특성과 비교하여, 전체적인 업무 만족도와 가장 강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185] 재택 근무 중의 의사 소통은, 대면에서의 소통처럼 즉시성이나 풍부함이 없다.[178] 재택 근무 시의 피드백 부족은, 업무 참여도의 저하와 관련되어 있다.[187] 이처럼, 지각된 상사의 지원이나 리더와 재택 근무자 사이의 관계의 질이 저하되면, 재택 근무자의 업무 만족도는 저하되어 간다.[191][246] 관리자와 재택 근무자와의 의사 소통의 중요성은, 관리자가 재택 근무를 하면 개인의 업무 만족도가 저하된다는 것을 밝혀낸 연구에서 명확해졌다.[192]
일본에서는 재택 근무 시 보안에 주의하지 않는 사람의 비율이 61.7%라는 조사 결과도 나와 있다.[247]
관리자는, 처음 몇 달 동안은 재택 근무자의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생산성 저하는, "직원, 동료, 매니저가 새로운 업무 스타일에 익숙해지는" 단계에서 발생한다.[248] 생산성 저하는, 부적절한 사무 환경이 원인일 수도 있다. 게다가, 1999년의 조사에서는, "일반적인 사무실에서는 하루 중 70분이, 중단되거나, 복사기 주변에서 수다를 떨거나, 기타 산만함 때문에 낭비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249] 2008년의 조사에 따르면, 고용주의 3분의 2 이상이 재택 근무자의 생산성 향상을 보고하고 있다.[250] 기존의 라인 매니저는, 관찰에 의해 관리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으며, 반드시 결과에 의해 관리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재택 근무를 도입하려는 조직에서는, 중대한 장애가 된다.[251] 또한, 책임이나 근로자 재해 보상도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업무 성과나 결근 등, 업무 측면과 업무 성과와의 관계가 약한 것이, 성과와 재택 근무에 관한 결과가 모순되는 이유일 수 있다.[186] 몇몇 연구에서는, 재택 근무가 근로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252], 상사의 업적 평가 및 업적 평가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밝혀냈다.[188] 그러나, 또 다른 연구에서는, 재택 근무를 하는 사람의 직업적인 고립감이, 특히 재택 근무에 소비하는 시간이 길고, 대면 교류가 적은 사람의 업무 성과 저하로 이어진다는 것을 밝혀냈다.[201] 이처럼, 업무에 대한 태도와 마찬가지로, 재택 근무에 소비하는 시간도 재택 근무와 업무 성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재택 근무는, 그 사람의 경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71개국의 1,300명의 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최근의 조사에서는, 재택 근무를 하는 사람은 승진할 가능성이 낮다고 답변한 경영자가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일관되게 업무를 보이지 않는 사람을 지도적인 역할로 승진시키는 경우는 거의 없다.[253] 감독 부족에 의한 미루기가 계속되는 것에 의한 생산성 저하는, 그 직원의 업무 질 저하로 이어진다. 이러한 요인들은, 재택 근무가 그 사람의 경력에 미치는 악영향의 일부이다.[254]
코로나19 유행과 관련하여, 마이니치 신문은 2020년 4월 26일, "재택 근무를 요구하는 임산부에게 '특별 대우는 할 수 없다' 코로나19가 드러낸 직장의 의식"이라는 제목으로, 임신 중 폐렴은 중증화될 가능성도 지적되었고, 정부는 경제 단체에 배려를 요청했지만, "특별 대우는 할 수 없다"며 이전과 같은 근무를 요구하는 직장도 많다고 전했다. 전문가는 "각 직장의 일하는 방식 개혁에 임하는 자세가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259]。
같은 기사에 따르면, 한 은행에서 근무하는 임신 중인 30대 여성은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고객 대응이 적은 담당으로의 배치 전환이나 휴직이 가능한지 상사에게 상담했더니, "당신 후임 동료가 코로나에 걸려도 괜찮다는 건가요?"라는 답변을 듣고 말을 잃었다. 여성은 "동료가 감염되어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건 아니에요. 다만, 만약 아기에게 악영향이 있다면……"이라고 불안을 토로한다. 그러나 "오래 여기서 일하고 싶어서, 인간관계를 생각하면 무리한 말은 할 수 없다"며 막막해한다고 한다[259]。
2020년 9월 출산 예정인 20대 초등학교 교원은 같은 해 4월 상순, 사무 작업을 자택에서 할 수 없는지 상사에게 상담했더니, "특별 대우는 할 수 없다"며 거절당했다. 전 달 3월 말에는 관리직 등 몇 명이 밤에 회식을 했고 "감염 방지 의식이 낮아, 같은 방에서 일하는 것이 고통스러웠다"고 밝혔다. 긴급 사태 선언이 발령된 2020년 4월 7일 이후에는 직장 전체에서 재택 근무가 인정되었지만, 같은 해 5월에 학교가 재개되자 전철로 1시간을 걸려 출근하게 될 것이라고 전해졌다[259]。 또한, 교도 통신은 2020년 6월에 "임산부의 약 40%가 재택이 아닌 출근을 주로 하는 방식으로 일하고 있다"는 사실이, 민간 기업의 설문 조사로 밝혀졌다고 전했다. 의료 종사자에 한정하면 60%를 넘었다고 한다[260]。 같은 뉴스에서는 설문 조사 결과, 근무 태세가 "출근, 출근이 많은 편"이라고 답한 전체 약 40% 중, 풀타임으로 일하는 사람은 약 29%로 최다였고, 시간 단축 근무는 약 6%, 파트·아르바이트는 약 4%였다. 의료 종사자에서는 풀타임이 40% 이상이었다고 전해지고 있다[260]。
8. 1. 대면 상호 작용 감소로 인한 단점
기술은 대면 사무실 상호 작용을 완벽하게 대체하지 못하며, 이는 의사 소통 오류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86] 미디어 풍부 이론에 따르면, 대면 상호 작용은 풍부한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을 제공하여 모호한 문제를 명확히 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개인화된 의사 소통(예: 신체 언어, 목소리 톤)을 가능하게 한다.[86]원격 근무는 화상 회의, 전화, 이메일 등 다양한 유형의 미디어를 사용해야 하며, 시간 지연이나 감정 해독의 어려움 등의 단점으로 인해 의사 결정 속도와 용이성이 감소할 수 있다.[83] 특히 비동기식 통신은 동기식 통신보다 훨씬 더 큰 조정이 필요하며 관리하기 어렵다.[87] 또한, 화상 회의의 증가는 "줌 피로" 현상을 야기하는데, 이는 화면의 얼굴 크기, 시선 접촉, 자신을 보는 것에 대한 피로감, 움직임 제한, 비언어적 신호 해석의 어려움 등이 원인이다.[88]
대면 상호 작용은 대인 관계, 연결성 및 신뢰를 증가시키는데,[143] 원격 근무자는 이러한 사회적, 전문적 상호 작용을 놓칠 수 있다.[89] 특히 동료가 원격으로 근무하지 않는 경우, 불공평함으로 인한 분개와 질투를 느낄 수 있으며, 원격 근무자는 대면적 친밀감과 현장 특혜를 누리지 못한다.[90][77][111]
적응적 구조화 이론은 기술 도입에 따른 조직 변화를 연구하며, 기술의 의도된 사용과 실제 사용 방식 간의 상호 작용을 강조한다.[91][74] 원격 근무는 특정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거나 제한하는 사회적 구조를 제공하며, 전통적인 업무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92][74]
조직 및 팀 내 정보 공유는 원격 근무 환경에서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사무실에서는 커피 브레이크와 같은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정보와 지식이 공유되지만, 원격 근무에서는 이러한 무작위 만남이 없어 정보 공유에 더 많은 노력과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하다.[93] 또한, 암묵적 정보 공유는 경험이 많은 팀원의 활동을 따르는 계획되지 않은 상황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원격 근무 환경에서는 이러한 기회가 줄어든다.[94] 정보 공유가 원활하지 않으면 적시에 정보를 얻기 어려워지고, 팀원들이 서로의 업무를 충분히 알지 못해 잘못된 의사 결정을 내리거나 의사 결정이 지연될 수 있다.
인류학적 관점에서 볼 때, 원격 근무는 공통된 세계관의 합의 형성 또는 의미 형성 과정을 방해할 수 있다.[95]
피드백은 직원의 성과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키고, 지속적인 학습을 돕는 중요한 요소이다.[96][97] 그러나 원격 근무 환경에서는 전자 통신으로 인해 정보 해석 및 획득이 어려워져 피드백을 받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98] 또한, 역할 모호성[100]은 갈등, 좌절감 및 피로를 초래할 수 있으며,[98] 직무 특성 이론에 따르면 직무 피드백은 직무 만족도와 가장 강력한 관계를 갖는다.[101] 원격 근무 시 피드백이 적으면 직무 몰입도가 낮아지고,[98] 인식된 상사 지원과 리더와의 관계 품질이 감소하면 직무 만족도가 감소한다.[102][103] 관리자가 원격 근무를 하는 경우, 커뮤니케이션의 명확성, 응답 속도, 풍부함, 빈도 및 피드백의 품질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99]
사회적 정보 처리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사회적 신호를 해석하여 환경에 대한 자신만의 인식을 구성한다.[107][108] 원격 근무에서는 컴퓨터 매개 통신에서 사회적 교환 및 개인화된 커뮤니케이션을 처리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사회적 신호가 적다.[109]
8. 2. 업무 동기 부여 감소
다양한 기술은 내적 업무 동기 부여와 가장 강력한 관계를 갖는다.[101] 근로자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직업은 근로자의 내적 업무 동기 부여를 증가시킨다. 리모트 워크자가 팀워크 기회가 제한적이고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기회가 적다면,[128] 업무에 대한 내적 동기 부여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인지된 사회적 고립은 동기 부여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89]동기-위생 이론[110]은 동기 부여 요인(동기)과 불만족 요인(위생)을 구분한다. 인정 및 경력 개발과 같은 동기 부여 요인은 원격 근무를 통해 감소될 수 있다. 원격 근무자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면, 사무실의 다른 근로자에게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멀어진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111]
사무실에서 대면하지 못하면 격려 부족으로 인해 근로자가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112] 재택근무에서는 인지도나 커리어 향상 등 동기 부여 요인이 저하될 수 있다.[199]
8. 3. 주의 산만
재택근무는 사무실에서 일하는 것보다 더 큰 방해 요소를 수반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83] 한 연구에 따르면, 아이들이 가장 큰 방해 요인이며, 배우자, 애완동물, 이웃, 방문 판매원 등이 그 뒤를 잇는다. 적절한 도구와 시설 부족 또한 주요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지만,[113] 단기 코워킹 스페이스 임대 시설을 이용하면 이를 완화할 수 있다. 루마니아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국가 노동 검찰에 재택근무자의 주거지에서 작업 환경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검사를 수행하는 책임을 부여하기도 하였다.[114] 근로자는 감시 부족으로 인해 더 쉽게 방해를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84]8. 4. 여성의 불균형적인 가사 노동 부담
재택근무는 가정에서 많은 책임을 져야 하는 근로자들에게 중대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2010년[115]과 2020~21년[116][117] 영국 설문 조사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여성은 불균형적인 가사 노동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2022년 연구에서는 2020년 중반에 친밀한 파트너와 동거하는 283명의 오스트리아 재택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자녀가 있는 여성은 가정 내 사무실 환경을 자녀가 없는 여성보다 훨씬 더 힘들게 느끼며, 더 긴 근무 시간과 모호한 경계를 감수했다. 자녀가 없는 여성은 더 나은 집중력으로 인해 재택근무 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118]
2022년 9월 연구에서는 2021년 중반과 2022년 초에 26개국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거의 모든 국가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재택근무(WFH) 옵션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자녀가 있는 남성과 여성 모두 자녀가 없는 사람들보다 재택근무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119]
8. 5. 가치 있는 존재로 여겨지기 위한 직원 압박
원격 근무자는 가치 있는 존재로 여겨지기 위해 더 많은 결과물을 생산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낄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보다 적게 일하고 있다는 생각을 줄여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물 생산에 대한 압박감과 제한적인 동료 관계에서 오는 사회적 지원 부족, 고립감은 원격 근무자의 직무 몰입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한다.[98] 동료와의 더 나은 관계는 원격 근무자의 직무 만족도를 감소시키는데, 이는 기술을 통한 상호 작용의 어려움 때문일 수 있다.[120] 그러나 팀워크를 위한 동료 지원 및 가상 소셜 그룹은 직무 만족도를 직접적으로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는데,[121][122] 이는 팀워크를 통한 기술 다양성의 증가와 더 많은 업무 관계를 통한 과업 중요성의 증가 때문일 수 있다.8. 6. 팀 빌딩의 어려움; 개인에 대한 집중
의사소통과 동료 간의 친밀함은 모두가 같은 공간에서 일할 때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만, 리모트 워크의 경우 직원과 감독자는 동료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 이는 특히 새로운 직원이 원격으로 일할 때에도 조직의 습관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하다.[126]기술의 다양성, 과업 정체성 및 과업 중요성은 직원이 자신의 업무가 얼마나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영향을 미친다.[97] 기술의 다양성이 증가하면 업무의 도전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업무의 도전성이 증가하면 개인의 경험적 의미, 즉 개인이 일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갖고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지가 증가한다.[127][97] 원격 근무는 개인이 사무실에서 근무할 때와 비교하여 기술의 다양성 및 과업의 의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그룹으로 작업할 때 개인 과업의 기술의 다양성과 의미는 증가할 수 있다. 집에서 하는 일이 팀보다는 개인에게 집중되어 있다면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기회가 줄어들 수 있다.[128]
과업 정체성은 개인이 업무를 처음부터 끝까지 보거나, 단지 작은 부분을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식별 가능하거나 전체적인 업무를 완료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과업 중요성은 개인이 자신의 업무가 조직 내부 또는 외부의 다른 사람들의 삶 또는 업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97][128]
미국 의무총감 비벡 머시는 그의 저서 ''함께: 때로는 외로운 세상에서 인간관계의 치유력''에서 대면 회의, 직접적인 협업 및 직장에서의 공동체의 "마이크로 순간"이 사람들에게 소속감과 팀의 일원이라는 필수적인 느낌을 준다고 주장한다.[129][130]
8. 7. 고립과 정신 건강
줄리안 홀트-룬스타드 브리검 영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장수하는 데 가장 중요한 예측 변수는 사회적 통합이다.[129][131] 시카고 대학교 연구진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과의 일상적인 상호 작용은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된다.[129][132]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 조직 행동학 교수인 시걸 G. 바르사드는 2018년 연구에서 외로움을 느끼는 직원은 고용주와 동료에 대한 헌신도가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129][133]원격 근무로 인한 고립은 우정 형성을 방해한다.[134][83] 2007년 연구에서는 직장 관계의 질과 경력 결과에 일반적으로 해로운 영향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원격 근무는 실제로 직원-감독자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 간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감독자 관계의 질에 기인했다. 고강도 원격 근무(직원이 일주일에 2.5일 이상 재택근무하는 경우)만이 동료와의 관계를 해쳤지만, 이는 일-가정 갈등을 줄였다.[64][77]
개인은 원격 근무의 직무 특성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다. 직무 특성 이론에 따르면, 성취 및 개발에 대한 개인적인 필요("성장 욕구 강도")[96]는 개인이 원격 근무의 직무 차원에 얼마나 반응할지에 영향을 미친다.
프루덴셜의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대다수의 사람들이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호하며, 직장인 3명 중 2명이 대면 상호 작용이 경력 성장에 중요하다고 믿고 있다. 또한 이 보고서는 완전 원격 근무자가 휴가를 갈 자격이 있다고 덜 느끼고, 연중무휴로 근무해야 한다고 믿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직장인 4명 중 1명은 고립감을 느끼고 이를 주요 문제로 보고했다.
8. 8. 정보 보안
원격 근무는 사이버 보안 위험을 초래하며, 직원들은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 사용, 가족 구성원이 업무용 장치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기, 웹캠 가리기, VPN 사용, 중앙 집중식 저장 솔루션 사용, 강력하고 안전한 비밀번호 사용, 이메일 사기 및 이메일 보안에 주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범 사례를 따라야 한다.[136] 2021년에는 버몬트, 사우스캐롤라이나, 사우스다코타, 앨라배마, 네브래스카가 데이터 침해, 도난 기록, 개인 정보 보호법, 피해자 수 및 피해 손실을 기준으로 원격 근무자에게 가장 안전한 상위 5개 주(州)로 선정되었다.[137]2020년 1,000명 이상의 원격 근무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직원의 59%가 집에서 일하는 것보다 사무실에서 일할 때 더 사이버 보안이 안전하다고 느꼈다.[138] 해커는 안전하지 않은 컴퓨터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정보를 훔치는 것을 생업으로 삼고 있으며, 재택 근무자는 조직의 가장 기밀적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문을 열어주는 존재가 될 수 있다.[291] 보안 침해는 표준적인 사무실 환경에서도 충분히 큰 위협이지만, 재택 근무나 외부에서 일하는 직원이 있는 조직에서는 그 위험이 더욱 커진다.
데이터 보호와 정보 보안이 조직에게 중요하며, 기밀 데이터 보호라는 전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직원의 행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재택 근무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조직에게 중요하다.[264] 보안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직원이 보안 위험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진정한 보안은 보안 정책에서 시작된다. 정보 보안 전문가는 보안 정책이 재택 근무/원격 근무, 그리고 누가 원격 근무를 할 수 있는지, 원격 근무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 제한, 본인 확인/인증/인가, 기기 및 소프트웨어 사양, 완전성과 기밀성, 유지 관리 지침, 그리고 강력한 사용자 교육을 포함하는지 확인해야 한다.[264]
8. 9. 기술 또는 장비 문제
직원들이 부적절한 장비나 기술을 갖추고 있으면 업무 처리가 지연될 수 있다. FlexJobs 설문 조사에 따르면 28%가 기술적인 문제, 26%가 와이파이 문제를 겪었다고 보고했다.[88]8. 10. 경영진의 통제력 상실
원격 근무는 관리 통제력 상실에 대한 우려로 인해 관리자에게 항상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다.[139] 한 연구에 따르면 관리자는 사무실에서 근무하지 않는 직원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관리자는 직원이 사무실에 있는 시간을 직원의 기여도보다 더 중요하게 여겼다.[90]8. 11. 근로자 생산성 저하 주장
원격 근무와 생산성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상반된 데이터가 존재한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원격 근무는 근로자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140], 더 높은 관리자 성과 평가와 더 높은 성과 평가로 이어진다.[77]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원격 근무자의 전문적인 고립이 직무 성과 감소로 이어졌으며, 특히 원격 근무 시간이 길고 대면 상호 작용이 적은 사람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143] 따라서 원격 근무에 할애하는 시간의 양도 원격 근무와 직무 성과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원격 근무자의 생산성 저하는 부적절한 사무실 환경 설정 때문일 수 있다.[141] 고용주의 3분의 2 이상이 원격 근무자들의 생산성 증가를 보고했다는 설문 조사 결과도 존재한다. 전통적인 라인 관리자는 관찰을 통해 관리하는 것에 익숙하며, 반드시 결과에 따라 관리하지는 않는다. 이는 원격 근무를 채택하려는 조직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한다. 책임과 근로자 보상도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142]
2008년 연구에 따르면 원격 근무 시간이 길어질수록 관리자의 원격 근무자에 대한 생산성 인식도가 감소했다.[143] "원격 근무 마인드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지식 근로자의 감정과 생산성을 예측한다: 장기 연구"라는 연구는 직원의 마인드가 팬데믹 기간 동안의 원격 근무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이 연구는 원격 근무에 대한 고정된 사고방식을 가진 지식 근로자가 더 부정적인 감정과 덜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생산성 감소에 대한 인식으로 이어졌음을 발견했다. 원격 근무에 대한 성장형 사고방식을 장려하고, 원격 근무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로 간주하는 것이 직원 경험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제안한다.[150]
8. 12. 직장 내 시기
원격 근무 특권이 없는 직원은 이를 가진 직원을 시샘할 수 있으며, 이는 직장 내 논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144]8. 13. 과세 복잡성
원격 근무자는 거주지, 고용주의 위치, 관련 관할 구역의 특정 세법 등 여러 요소를 조합하여 과세 대상이 된다.[145] 일반적으로 원격 근무자는 거주하는 관할 구역의 규칙 및 규정에 따라 과세된다. 또한, 국가 간의 조세 조약은 원격 근무자의 과세에 영향을 미쳐 이중 과세를 방지하는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원격 근무자는 자신의 상황에 적용되는 세법 및 규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세무 전문가의 안내를 받거나 관련 세무 당국에 문의하여 세금 의무를 준수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145]고용주와 다른 관할 구역에서 원격으로 근무하는 경우의 세금 영향은 원격 근무자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46][147]
8. 14. 근무 시간 증가로 인한 건강 영향
세계 보건 기구(WHO)와 국제 노동 기구(ILO)의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주당 55시간 이상 근무 시간이 늘어날 경우 원격 근무가 근로자의 건강 손실을 잠재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148] 늘어난 근무 시간은 일상 생활의 혼란, 불안, 걱정, 고립, 더 큰 가족 및 직장 스트레스, 과도한 화면 사용으로 인한 건강, 웰빙, 수면의 저하를 포함한다.[22]9. 미래의 원격 근무
미래에는 설계 개선과 더 높은 성능이 현재 원격 기술의 제약을 초래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 더 넓은 대역폭은 오늘날 오디오 및 비디오 전송의 지연으로 인한 방해 요소를 해결할 것이다.[46] 또한 원격 근무자의 더 크고, 부드럽고, 실제 크기에 가까운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여 대면 상호 작용과 더 유사한 상호 작용 흐름을 만들 것이다.[46] 미래에는 기술이 어떤 면에서는 대면 방식보다 우수한 기능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46] 그러나 분산된 작업 기술과 미래 기술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지식 부족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대면 상호 작용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을 것이다.[46]
10. 대한민국의 원격 근무
10. 1. 현황
국토교통성이 실시한 2005년도 텔레워크 실태 조사에 따르면, 2005년 시점에서 일본에는 협의의 텔레워커가 674만 명이 있었다. 정부는 2003년 7월에 책정한 "eJAPAN 전략 II"에서 2010년에 일본 노동 인구의 20%를 텔레워커로 한다는 목표를 내걸었다.한편, 이 숫자는 과대 평가되었다는 지적도 있다. 일례로, "조사는 본인의 자각 여부와 관계없이 정의에 해당하는지 여부로 판단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주 8시간 이상 자택으로 업무를 가져가 잔업을 하면 텔레워커가 된다" (사토, 2008)는 점을 들 수 있다。
일본은 통근자를 위한 대중 교통망이 다른 국가에 비해 광범위하게 발달해 있다는 점과 기업의 인사 평가 제도 문제 등 때문에 2019년까지 일본에서는 텔레워크의 보급이 늦어졌지만, 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2) 감염이 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2020년 4월 7일에 도쿄도 등에서 개정된 신종 인플루엔자 등 대책 특별 조치법에 근거한 긴급 사태 선언이 발령되자, 사람과의 접촉 기회가 많은 만원 전철 해소 등을 위해 텔레워크가 권장되었다. 준비 기간이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텔레워크로 전환하는 회사도 잇따랐다. 단순 해고나 자택 대기자도 포함되어 모든 것이 텔레워크에 의한 감소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마루노우치나 야에스 등 비교적 대기업의 사무실이 주변에 존재하는 도쿄역 이용자는 오전 7시대에 47.8% 감소, 8시대에 67.7% 감소했다。
애널리스트들은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19 (COVID-19) 범유행이 재택근무의 "전환점"이 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시애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이 직원들에게 재택근무를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유행의 결과로 재택근무가 증가하면서 미국에서는 인터넷 접근권/right to Internet access영어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10. 2. 구분
일본에서 재택근무는 고용 관계 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기업이나 관공서에 고용되어 재택근무 등을 하는 "고용형"과, 프리랜서나 SOHO 등의 "자영업형", 또는 "비고용형"이 널리 사용되는 구분이다.[261][262] 국토교통성의 재택근무 인구 실태 조사에서는 정보 통신 기기 등을 이용하여 업무를 하는 시간이 1주일에 8시간 이상인 사람을 "협의의 재택근무자", 그 외를 "광의의 재택근무자"로 정의하고 있다.[263]고용형에는 자택에서 사업소와 인터넷, 컴퓨터, 전화 등으로 연락을 취하는 재택근무와, 사업소에 매일 출근하지 않고 고객이나 이동 중에 노트북, 휴대폰 등을 사용하여 근무하는 모바일 워크가 있다. 비고용형에는 개인 사업주인 SOHO와, 개인이 도급을 받거나 재택근무 알선 회사에 등록하여 데이터 입력이나 주소 수집, 홈페이지 제작 등을 하는 재택근무형이 있다. 재택근무형은 수입이 낮아 "전뇌 부업"으로 비하되기도 한다.
총무성은 위에 더하여 시설 이용형 근무를 정의하고 있다.[264]
10. 3. 텔레워크 솔루션
기업이 재택근무를 도입할 때에는 원격 근무 솔루션, 노무 관리, 집무 환경의 세 가지 측면을 검토해야 한다. 특히 재택근무는 컴퓨터 화면을 보면서 일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VDT(Visual Display Terminal) 작업 시 후생노동성의 노동 위생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에 유의한 집무 환경이 필요하다.10. 4. 텔레워크 데이
총무성, 후생노동성, 경제산업성, 국토교통성, 내각관방, 내각부는 도쿄도 및 경제계와 연계하여 2020년까지 매년 도쿄 올림픽 개회식이 예정된 7월 24일을 '텔레워크 데이'로 정하고, 기업 등에서 전국 일제히 텔레워크를 실시하도록 촉구하고 있다.[268][269]2017년에는 900개 이상의 단체, 약 6.3만 명이 참가했다.[268] NTT 커뮤니케이션즈는 약 800명의 사원이 종일 재택근무를 했고,[270] 야후!는 전체 직원의 절반에 해당하는 3000명 규모로 텔레워크를 실시하여 자택, 카페, 위성 오피스 등 각자의 워크스타일에 맞는 공간에서 작업을 했다.[270] 써니사이드 업은 본사 인근 역 중 하나가 국립경기장역이며, '하행 열차를 타자' 플랜을 도입, 해변의 집이나 다카오산에서 미팅을 진행했다.[270]
2018년에는 텔레워크 데이즈(7월 23일 주간으로, 24일을 포함한 총 2일 이상)로 개최, 1200개 이상의 단체가 실시 단체로 등록했다.[271]
10. 5. 노무 관리 및 노동 법규 적용
후생노동성은 2021년 3월에 '재택근무의 적절한 도입 및 실시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 이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재택근무 규칙 제정 및 주지가 권고된다.근로기준법, 최저임금법, 노동안전위생법, 근로자재해보상보험법 등은 재택근무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재택근무 규칙을 취업규칙에 정하고 근로자에게 적절히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택근무 장소는 사용자가 허가하는 장소로 정할 수 있다. 재택근무를 실시하는 근로자가 속한 사업장이 있는 최저임금이 적용된다.
근로 계약 체결 시 취업 장소를 명시해야 하며, 재택근무를 실시하게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허가하는 장소'를 포함하여 명시해야 한다. 근로 계약이나 취업 규칙에서 정해진 범위를 넘어 재택근무를 실시하게 하는 경우에는 근로자 본인의 합의를 얻은 후 근로 계약 변경이 필요하다.
근로 시간 제도는 재택근무 도입 전의 제도를 유지한 채 재택근무를 실시할 수 있다. 통상적인 근로 시간 제도 및 변형 근로 시간제에서는 시업 및 종업 시각을 미리 정해야 하지만, 재택근무 시에는 근로자별로 자유도를 인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택적 근로 시간제는 근로자가 시업 및 종업 시각을 결정할 수 있는 제도로, 재택근무에 적합하다. 사업장 외 간주 근로 시간제는 근로 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운 때에 적용되며, 사용자의 구체적인 지휘 감독이 미치지 않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재량 근로제 및 고도 전문직 제도는 업무 수행 방법, 시간 등에 대해 근로자의 자유로운 선택을 허용하는 제도이다.
10. 6.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참조
[1]
서적
Distributed Work
http://www.ece.ubc.c[...]
MIT Press
[2]
간행물
Jack Nilles
https://www.jala.com[...]
JALA International
2011-09-26
[3]
뉴스
Differences Between Telecommuting and Telework
https://www.lifewire[...]
2021-03-10
[4]
서적
The Underground Guide to Telecommuting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5]
웹사이트
Mobile Worker Toolkit: A Notional Guide
https://www.gsa.gov/[...]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6]
논문
The Good, The Bad, and the Unknown About Telecommuting: Meta-Analysis of Psychological Mediators and Individual Consequences
https://www.apa.org/[...]
2022-02-17
[7]
논문
Online Conferences: Some History, Methods and Benefits
2021
[8]
서적
Exploring the Internet: A Technical Travelogue
Prentice Hall
1992-09
[9]
서적
AT&T EO personal communicator: A Digital Nomad's Guide
Random House
1993
[10]
서적
PowerBook: A Digital Nomad's Guide
Random House
1993
[11]
서적
Newton's Law: A Digital Nomad's Guide
Random House
1993
[12]
뉴스
How WeWork Has Perfectly Captured the Millennial Id
https://www.theatlan[...]
2018-03
[13]
서적
Distributed Workplace Sustainable Work Environments
Spon Press
[14]
웹사이트
Telework legislation
https://www.telework[...]
U.S.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15]
웹사이트
H.R. 1722 (111th): Telework Enhancement Act of 2010
https://www.govtrack[...]
GovTrack
[16]
웹사이트
White House, Statement by the Press Secretary
https://obamawhiteho[...]
2010-12-09
[17]
뉴스
'Work from anywhere' is here to stay. How will it change our workplaces?
https://www.sandiego[...]
2020-11-12
[18]
뉴스
Zoom Towns And The New Housing Market For The 2 Americas
https://www.npr.org/[...]
2020-09-08
[19]
웹사이트
Millions of Americans stopped working from home in 2022: Labor Dept.
https://thehill.com/[...]
2023-03-28
[20]
웹사이트
ILO Monitor: COVID-19 and the world of work. Fifth edition
https://www.ilo.org/[...]
2024-01-08
[21]
논문
Working remotely: How organizational leaders and HRD practitioners used the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2022-03
[22]
논문
COVID-19 pandemic and lockdown: Cause of sleep disruption, depression, somatic pain, and increased screen exposure of office workers and students of India
2020
[23]
논문
Learning to work from home: experience of Australian workers and organizational representatives during the first Covid-19 lockdowns
2020
[24]
웹사이트
Workers are refusing to return to the office, and they are ready to face the consequences
https://www.zdnet.co[...]
2022-11-10
[25]
논문
Impacts of Working from Home During COVID-19 Pandemic on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of Office Workstation Users
2021
[26]
논문
Working from ho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mpact on office worker productivity and work experience
2021
[27]
논문
Negotiating Time and Space when Working from Home: Experiences During COVID-19
2021
[28]
논문
Why Working from Home Will Stick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21-04
[29]
웹사이트
The uneven energy costs of working from home
https://www.theverge[...]
2022-12-03
[30]
논문
How working from home reshapes cities
2024
[31]
뉴스
How usual is it to work from home?
https://ec.europa.eu[...]
2021-05-17
[32]
AV media
Home is where the work is
https://www.youtube.[...]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Engineering
2023-02-10
[33]
뉴스
Remote Work Persisting and Trending Permanent
https://news.gallup.[...]
2023-04-23
[34]
뉴스
Do we know how many people are working from home?
https://www.nytimes.[...]
2023-03-30
[35]
뉴스
Report: 45% of All Federal Employees Teleworked in Fiscal 2020
https://www.govexec.[...]
2022-01-07
[36]
웹사이트
AWA Hybrid Working Index 3
https://www.advanced[...]
2024-01-08
[37]
논문
Working From Home Around the World
https://www.nber.org[...]
2022-09
[38]
웹사이트
Office politics London and the rise of home working
https://www.centrefo[...]
2024-01-08
[39]
웹사이트
Office politics: London and the rise of home working
https://www.centrefo[...]
2024-01-08
[40]
웹사이트
Flexible and hybrid working practices in 2023 Employer and employee perspectives
https://www.cipd.org[...]
2024-01-08
[41]
웹사이트
Hybrid Work Commission 2023
https://www.publicfi[...]
2024-01-08
[42]
웹사이트
Top hybrid work trend stats from companies in the UK for 2023
https://www.travelpe[...]
2023-01-08
[43]
웹사이트
Is hybrid working here to stay?
https://www.ons.gov.[...]
2024-01-08
[44]
웹사이트
State of hybrid work 2023
https://owllabs.co.u[...]
2024-01-08
[45]
웹사이트
Who are the hybrid workers?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https://www.ons.gov.[...]
2024-11-11
[46]
논문
Distributed Work
https://www.ics.uci.[...]
[47]
간행물
Collaborating: Finding Common Ground for Multiparty Problems
[48]
논문
Does Distance Still Matter
http://orgcom17.hcir[...]
[49]
서적
Grounding in Communication
L.B. Resnick, R.M. Levine, & S.D. Teasley
[50]
논문
Using Visual Information for grounding and awareness in collaborative tasks; in press
[51]
서적
Distributed Work
MIT Press
[52]
논문
Egocentrism over e-mail: Can we communicate as well as we think?
[53]
문서
National Minimum Wage Act 1998, Section 35
https://www.legislat[...]
UK Legislation
2024-10-24
[54]
문서
James v Redcats (Brands) Ltd [2007] UKEAT 0475_06_2102
https://www.bailii.o[...]
United Kingdom Employment Appeal Tribunal
2007-02-21
[55]
웹사이트
Lawsuits Put Spotlight on Paying Remote Workers' Expenses
https://www.shrm.org[...]
2022-06-17
[56]
뉴스
In Defense Of Remote Work
https://www.forbes.c[...]
2020-12-02
[57]
논문
The Impact Of Telework On Knowledge Creation And Management
http://www.tlainc.co[...]
2010-12-04
[58]
뉴스
Pros and Cons of Working From Home
https://money.usnews[...]
2022-06-30
[59]
논문
The Impact of Enforced Working from Home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during COVID-19: An Event System Perspective
2021-12
[60]
논문
The freedom trap: digital nomads and the use of disciplining practices to manage work/leisure boundaries
2020-03-12
[61]
논문
Six Ke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Working from Home in Europe during COVID-19
2021-01
[62]
논문
Future of work from everywhere: a systematic review
https://www.emerald.[...]
2024-03-27
[63]
뉴스
Remote Work Has Opened the Door to a New Approach to Hiring
https://hbr.org/2022[...]
2022-03-11
[64]
간행물
Telecommuting has Mostly Positive Consequences for Employees and Employers, Say Researchers
https://www.apa.or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7-11-19
[65]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energy and climate impacts of teleworking
2020-08-19
[66]
뉴스
Remote Work May Be Keeping Some Cities' Air Cleaner
https://eos.org/rese[...]
2021-10-12
[67]
논문
COVID-19 & Prospects of Online Work from Home Using Technology: Case from India
2021
[68]
뉴스
Coronavirus could cause fall in global CO2 emissions
https://www.theguard[...]
2020-03-10
[69]
웹사이트
Emission Reductions From Pandemic Had Unexpected Effects on Atmosphere
https://www.jpl.nasa[...]
2022-06-08
[70]
논문
Locking-down instituted practices: Understanding sustainability in the context of 'domestic' consumption in the remaking
https://eprints.lanc[...]
[71]
뉴스
Are We Really More Productive Working from Home?
https://www.chicagob[...]
2021-08-18
[72]
웹사이트
How remote work can be more productive than in-person work
https://www.lucidcha[...]
2020-05-21
[73]
뉴스
Opinion {{!}} The Rise of Remote Work Can Be Unexpectedly Liberating
https://www.nytimes.[...]
2022-11-23
[74]
논문
Work design theory: A review and critique with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5-03-09
[75]
논문
Some Soci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the Longwall Method of Coal-Getting
[76]
논문
Principles of Sociotechnical Design Revisted
[77]
논문
The good, the bad, and the unknown about telecommuting: Meta-analysis of psychological mediators and individual consequences
https://www.apa.org/[...]
[78]
뉴스
How Remote Work Can Increase Business Profits
https://www.forbes.c[...]
2021-10-13
[79]
뉴스
Companies that support remote work experience 25 percent lower employee turnover (and other findings)
https://www.zdnet.co[...]
2017-10-04
[80]
뉴스
FlexJobs Survey: Productivity, Work-Life Balance Improves During Pandemic
https://www.flexjobs[...]
[81]
웹사이트
What employees are saying about the future of remote work
https://fortcollinsc[...]
2021-04
[82]
웹사이트
Getting real about hybrid work
https://www.mckinsey[...]
2022-11-20
[83]
웹사이트
How to Work From Home: Pros and Cons of Remote Work
https://www.mastercl[...]
2021-09-07
[84]
논문
Remote working in research: An increasing usage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can improve productivity and creativity
2019-01
[85]
웹사이트
The New Geography of Remote Work
https://www.upwork.c[...]
Upwork
2023-04-23
[86]
논문
Organiza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s, media richness and structural design
[87]
논문
Poor Communication May Be Slowing Down Your Team
https://hbr.org/2023[...]
2023-10-18
[88]
웹사이트
Disadvantages of Working From Home
https://www.thebalan[...]
2022-12-04
[89]
논문
From anxiety to assurance: Concerns and outcomes of telework
https://www.research[...]
2012-06
[90]
웹사이트
Pros and Cons of Working From Home
https://money.usnews[...]
2022-02-12
[91]
논문
Capturing the Complexity in Advanced Technology Use: 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92]
논문
Organizational context and face-to-face interaction: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trust and collaborative behaviors in computer-mediated groups
[93]
논문
Open-ended: Office space and remote working in the age of COVID-19
2020
[94]
서적
From Teams to Knots: Activity-Theoretical Studies of Collaboration and Learning at Wor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5]
뉴스
The empty office: what we lose when we work from home
https://www.theguard[...]
2021-06-03
[96]
논문
Employee reactions to job characteristics
https://psycnet.apa.[...]
[97]
논문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98]
논문
Impact of telework on exhaustion and job engagement: A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model
[99]
논문
Does it matter where your manager works? Comparing managerial work mode (Traditional, telework, virtual) across subordinate work experiences and outcomes
[100]
서적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John Wiley & Sons
[101]
논문
The validity of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A review and meta-analysis
[102]
논문
Telecommuting's differential impact on work–family conflict: Is there no place like home?
https://content.apa.[...]
[103]
논문
Schedule control, supervisor support and work engagement: A winning combination for workers in hourly jobs?
[104]
논문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the virtual workplace
https://www.research[...]
2005-06
[105]
논문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in the virtual office
[106]
논문
Getting a cue: The need to belong and enhanced sensitivity to social cues
2004-09-01
[107]
논문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to Job Attitudes and Task Design
[108]
서적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Wiley
[109]
논문
Interpersonal Effects in Computer-Mediated Interaction
[110]
문서
The motivation to work
Wiley
1959
[111]
논문
Comparing telework locations and traditional work arrangements: differences in work–life balance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inclusion
https://psycnet.apa.[...]
[112]
논문
Assessing the growth of remote working and its consequences for effort, well-being and work-life balance
2017-10-04
[113]
웹사이트
4 Reasons Why Working From Home Can be Unproductive
https://www.corporat[...]
Corporate Suites
2015-06-19
[114]
웹사이트
Romania: law on teleworking approved
https://www.etui.org[...]
2020-06-10
[115]
논문
Gender Divisions of Paid and Unpaid Work in Contemporary UK Couples
http://journals.sage[...]
2024-01-08
[116]
논문
Work less, help out more? The persistence of gender inequality in housework and childcare during UK COVID-19
https://www.scienced[...]
2024-01-08
[117]
논문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emporary shocks or durable change?
https://www.demograp[...]
2024-01-08
[118]
논문
Remote workers' free associations with working from ho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Austria: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gender
2022-08-04
[119]
논문
Working From Home Around the World
https://www.nber.org[...]
2022-09
[120]
논문
Avoiding depletion in virtual work: Telework and the intervening impact of work exhaustion 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121]
논문
A review of telework research: findings, new directions, and lessons for the study of modern work
https://psycnet.apa.[...]
[122]
논문
Management communication strategies determine job satisfaction in telecommuting
https://psycnet.apa.[...]
[123]
논문
The impact of extent of telecommuting on job satisfaction: Resolving inconsistent findings
https://psycnet.apa.[...]
[124]
뉴스
Slow But Steady "Telework Revolution" Eyed
https://www.discover[...]
Discovery Institute
2007-09-26
[125]
웹사이트
20 Tips for Working From Home
https://www.pcmag.co[...]
2022-12-15
[126]
서적
Onboarding: Getting New Hires off to a Flying Start
https://books.google[...]
Emerald Group Publishing
2019-01-21
[127]
문서
How job characteristics theory happened. In The Oxford handbook of management theory: The process of theory development, 151-170.
2005
[128]
논문
Work-At-Home and the Quality of Working Life
[129]
간행물
Remote work has a downside. Here's why I want to go back to the office
https://www.fastcomp[...]
2023-04-23
[130]
서적
Together: The Healing Power of Human Connection in a Sometimes Lonely World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23-04-11
[131]
논문
A pandemic of social isolation?
Wiley Online Library
2021-01-12
[132]
뉴스
How do cities impact mental health? A new study finds lower rates of depression
https://news.uchicag[...]
2023-04-23
[133]
논문
No Employee an Island: Workplace Loneliness and Job Performance
https://faculty.whar[...]
Academy of Management
2023-04-23
[134]
뉴스
You may get more work done at home. But you'd have better ideas at the office.
https://www.washingt[...]
2021-09-24
[135]
웹사이트
The Workplace in a Post-COVID World
https://mcguiredevel[...]
2021-08-10
[136]
뉴스
Cyber Security Risks: Best Practices for Working from Home and Remotely
https://usa.kaspersk[...]
Kaspersky Lab
[137]
웹사이트
The Safest States for Telecommuters
https://go.verizon.c[...]
2021-02-17
[138]
뉴스
Is Working Remote A Blessing Or Burden? Weighing The Pros And Cons
https://www.forbes.c[...]
2020-06-19
[139]
논문
An investigation of selected variables affecting telecommuting productivity and satisfaction
[140]
논문
Does it matter where you work? A comparison of how three work venues (traditional office, virtual office, and home office) influence aspects of work and personal/family life
https://www.scienced[...]
[141]
뉴스
Remote Working: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Cause Low Employee Productivity
https://www.apty.io/[...]
2022-03-30
[142]
뉴스
Two Cheers for the Virtual Office
https://sloanreview.[...]
1998-07-15
[143]
간행물
The impact of professional isolation on teleworker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s: Does time spent teleworking, interacting face-to-face, or having access to communication-enhancing technology matter?
https://psycnet.apa.[...]
[144]
뉴스
My co-workers are grumbling about my remote working privileges
https://www.washingt[...]
2019-11-14
[145]
웹사이트
Working remotely? Here are 4 things to pay attention to this tax season
https://www.cnbc.com[...]
2023-02-06
[146]
뉴스
AICPA/Harris Poll Reveals Many Taxpayers Unaware of State Tax Liabilities Related to Working Remotely
https://www.aicpa.or[...]
AICPA
2020-11-05
[147]
웹사이트
Many taxpayers could face surprise bill over remote work misconceptions, study finds
https://www.foxbusin[...]
2020-11-10
[148]
간행물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s of ischemic heart disease and stroke attributable to exposure to long working hours for 194 countries, 2000–2016: A systematic analysis from the WHO/ILO Joint Estimates of the Work-related Burden of Disease and Injury
2021-05-17
[149]
웹사이트
Homeshoring
https://www.macmilla[...]
[150]
간행물
Remote work mindsets predict emotions and productivity in home office: a longitudinal study of knowledge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2022-11
[151]
문서
テレワークとは
http://japan-telewor[...]
日本テレワーク協会
[152]
웹사이트
How To Stay Productive If You're WFH Because Of The Coronavirus
https://www.forbes.c[...]
2020-03-18
[153]
Citation
What is telework?
https://www.opm.gov/[...]
United States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154]
웹사이트
Google Ngram Viewer
https://books.google[...]
[155]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156]
Citation
About one in five workers worldwide telecommute: poll
https://www.reuters.[...]
2012-01-24
[157]
서적
The Underground Guide to Telecommuting
Addison-Wesley
[158]
웹사이트
Ordinary Or Extraordinary?
http://content.mycar[...]
Fairfax Media
[159]
웹사이트
Mobile Worker Toolkit: A Notional Guide
http://www.gsa.gov/g[...]
GSA
[160]
Citation
Jack Nilles
http://www.jala.com/[...]
JALA International
2011-09-26
[161]
간행물
The good, the bad, and the unknown about telecommuting: Meta-analysis of psychological mediators and individual consequences
[162]
Citation
Telework and Social Change: how technology is reshaping the boundaries between home and work
Praeger
[163]
간행물
Influences of the virtual office on aspects of work and work/life balance
[164]
간행물
Telework Adoption and Energy Use in Building and Transport Sector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2012-02-28
[165]
웹사이트
How Many People Telecommute?
http://undress4succe[...]
Telework Research Network
2007-07
[166]
뉴스
Out of the Office but Still on the Job
2012-12-20
[167]
웹사이트
Latest Telecommuting Statistics
http://globalworkpla[...]
2017-06
[168]
서적
Undress For Success--The Naked Truth About Making Money at Home
John Wiley & Sons
[169]
간행물
The Best-Paying Work-At-Home
https://www.forbes.c[...]
2011-09
[170]
웹사이트
Status of Telework in the Federal Government
http://www.telework.[...]
United States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2009-08
[171]
Citation
About one in five workers worldwide telecommute: poll
https://www.reuters.[...]
2012-01-24
[172]
웹사이트
Telework Enhancement Act of 2010
http://www.gpo.gov/f[...]
United States Government
2010-12-09
[173]
웹사이트
Telework Enhancement Act of 2010
http://www.telework.[...]
United States Federal Government
2009-12-09
[174]
웹사이트
Remote working is here to stay - 2013 Regus Global Economic Indicator
http://www.di-ve.com[...]
Digital Interactive Limited
2013-09-11
[175]
웹사이트
Homeworking: helping businesses cut costs and reduce their carbon footprint
http://www.carbontru[...]
The Carbon Trust
[176]
간행물
The Impact Of Telework On Knowledge Creation And Management
http://www.tlainc.co[...]
2010-12-04
[177]
웹사이트
Straight Talk on Telework. Technology
http://www.verizonbu[...]
Telework Exchange
2012-07-18
[178]
간행물
Organiza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s, media richness and structural design
[179]
간행물
The effects of cognitive style and media richness on commitment to telework and virtual teams
[180]
간행물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81]
간행물
Different media fo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perceptions of quality and satisfaction
[182]
간행물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the virtual workplace
[183]
간행물
How job characteristics theory happened
[184]
간행물
Employee reactions to job characteristics
[185]
간행물
The validity of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A review and meta-analysis
[186]
간행물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187]
간행물
Impact of telework on exhaustion and job engagement: A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model
[188]
간행물
The good, the bad, and the unknown about telecommuting: Meta-analysis of psychological mediators and individual consequences
[189]
간행물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190]
간행물
Role Conflict and Flexible Work Arrangements: The Effects on Applicant Attraction
[191]
간행물
Telecommuting's differential impact on work–family conflict: Is there no place like home?
[192]
간행물
Does it matter where your manager works? Comparing managerial work mode (Traditional, telework, virtual) across subordinate work experiences and outcomes
[193]
간행물
Stress in organizations
[194]
간행물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in the virtual office
[195]
간행물
Getting a cue: The need to belong and enhanced sensitivity to social cues
[196]
간행물
Work-At-Home and the Quality of Working Life
[197]
간행물
Work design theory: A review and critique with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198]
간행물
The motivation to work
[199]
간행물
Comparing telework locations and traditional work arrangements: differences in work-life balance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inclusion
[200]
간행물
An investigation of selected variables affecting telecommuting productivity and satisfaction
[201]
간행물
The impact of professional isolation on teleworker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s: Does time spent teleworking, interacting face-to-face, or having access to communication-enhancing technology matter?
[202]
간행물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to Job Attitudes and Task Design
[203]
간행물
Work design
[204]
간행물
Interpersonal Effects in Computer-Mediated Interaction
[205]
간행물
Some Soci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the Longwall Method of Coal-Getting
[206]
간행물
Principles of Sociotechnical Design Revisted
[207]
간행물
Capturing the Complexity in Advanced Technology Use: 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208]
간행물
Organizational context and face-to-face interaction: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trust and collaborative behaviors in computer-mediated groups
[209]
웹사이트
New words
http://www.macmillan[...]
2007-10-05
[210]
웹사이트
Who's Helping Homeshore Workers?
https://web.archive.[...]
2006-05-12
[211]
웹사이트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elecommuting: Good for the Economy, Good for the Environment
http://www.theameric[...]
2008-04-11
[212]
웹사이트
Sustainable Facilities Tool: Sustainable Sites
https://sftool.gov/l[...]
2014-07-01
[213]
웹사이트
Telework Savings Calculator
http://undress4succe[...]
Telework Research Network
2012-08-11
[214]
웹사이트
Telework Savings Calculator
http://undress4succe[...]
2020-04-19
[215]
웹사이트
Pros And Cons of Working From Home - Extra Paycheck
http://blog.extra-pa[...]
2020-04-19
[216]
웹사이트
Telework Savings Potential
http://undress4succe[...]
2012-05-15
[217]
간행물
Merging home and office: telecommuting is a high-tech energy saver
1998-03
[218]
웹사이트
Lister, Kate, Principal Researcher at the Telework Research Network and co-author of Undress For Success--The Naked Truth About Making Money at Home, John Wiley & Sons 2009, [[:en:Template:Text]] 978-0-470-38332-2
http://undress4succe[...]
2020-04-19
[219]
웹사이트
Homeworking: helping businesses cut costs and reduce their carbon footprint
http://www.carbontru[...]
The Carbon Trust
2014-07-18
[220]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 of job characteristics to job satisfaction
[221]
논문
A review of telework research: findings, new directions, and lessons for the study of modern work
[222]
논문
From anxiety to assurance: Concerns and outcomes of telework
[223]
웹사이트
Survey: Only 7% of Workers Say They're Most Productive in the Office
https://www.flexjobs[...]
2020-04-19
[224]
문서
Does working from home work? Evidence from a Chinese experiment
http://www.stanford.[...]
Stanford Research Paper
2013-02
[225]
웹사이트
Survey Finds Salary Is Top Draw for Job Candidates but Benefits Nearly As Popular
http://www.roberthal[...]
2020-04-19
[226]
뉴스
SF Chronicle "Group touts telecommuting's green benefits"
http://www.sfgate.co[...]
Hearst Communications, Inc.
2016-11-06
[227]
웹사이트
Richie v. Blue Shield of California
https://www.leagle.c[...]
2020-04-19
[228]
문서
Off-the-clock work was never compensated
[229]
문서
"Unreimbursed Business Expenses" .. "supplies out of her own pocket" .. "physical renovations to facilitate telecommuting" (not reimbursed)
[230]
웹사이트
No.5434 中小企業経営強化税制(中小企業者等が特定経営力向上設備等を取得した場合の特別償却又は税額控除)|国税庁
https://www.nta.go.j[...]
2022-03-10
[231]
웹사이트
テレワーク導入時の経費は課税?非課税?区分を確認しておこう
https://keiriplus.jp[...]
2022-03-10
[232]
웹사이트
NBN - Telework (defunct)
http://www.nbn.gov.a[...]
2020-04-19
[233]
논문
Management communication strategies determine job satisfaction in telecommuting
[234]
웹사이트
APA Press Release "Telecommuting has Mostly Positive Consequences for Employees and Employers, Say Researchers"
http://www.apa.org/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6-11-06
[235]
서적
日本人の承認欲求:テレワークがさらした深層
新潮社
2022
[236]
웹사이트
3 Reasons Why Working From Home Can be Unproductive
http://www.corporate[...]
Corporate Suites
2015-09-04
[237]
웹사이트
Lister, Kate, Undress For Success--The Naked Truth About Making Money at Home, (John Wiley & Sons 2009, [[:en:Template:Text]] 978-0-470-38332-2) quoting Management-Issues.com (July 30, 2007) survey
http://undress4succe[...]
2012-05-15
[238]
논문
Avoiding depletion in virtual work: Telework and the intervening impact of work exhaustion on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239]
논문
The impact of extent of telecommuting on job satisfaction: Resolving inconsistent findings
[240]
웹사이트
Slow But Steady "Telework Revolution" Eyed
http://www.discovery[...]
Cascadia Prospectus
2012-05-15
[241]
웹사이트
Telework works: A Compendium of Success Stories
http://www.opm.gov/s[...]
U.S.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Office of Merit Systems Oversight and Effectiveness
2012-03-25
[242]
웹사이트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elecommuting to Work
http://www.saching.c[...]
2020-04-19
[243]
간행물
Explaining the paradox of telecommuting
1998-03
[244]
뉴스
Veterans Affairs warns of massive privacy breach
http://www.securityf[...]
Security Affairs
[245]
문서
Remote Control Federal CISOs Dish on Mobility, Telework, and Data Security
Telework Exchange
2007
[246]
논문
Schedule control, supervisor support and work engagement: A winning combination for workers in hourly jobs?
[247]
웹사이트
テレワーク時のセキュリティ意識調査
https://wacaru-net.c[...]
2023-01-04
[248]
간행물
All dressed up with no place to go
1999-12
[249]
문서
1999-12
[250]
문서
CompTIA
2008-10
[251]
간행물
Two cheers for the virtual office
1998-06
[252]
논문
Does it matter where you work? A comparison of how three work venues (traditional office, virtual office, and home office) influence aspects of work and personal/family life
[253]
서적
Organizational Behavior
McGraw-Hill
[254]
웹사이트
Disadvantages of Telecommuting
http://www.brighthub[...]
2020-04-19
[255]
웹사이트
Work-at-home E-mail Scams Target the Vulnerable
https://www.newswise[...]
2023-02-19
[256]
웹사이트
Federal, State Law Enforcers Complete Bogus Business Opportunity Sweep
https://web.archive.[...]
Federal Trade Commission
2006-12-06
[257]
웹사이트
Lister, Kate, Undress For Success--The Naked Truth About Making Money at Home, John Wiley & Sons 2009, [[:en:Template:Text]] 978-0-470-38332-2; also quoted by AARP Bulletin, March 23, 2009
http://undress4succe[...]
2020-04-19
[258]
뉴스
Scanning for Scammers Before You Buy
http://www.businessw[...]
Business Week
2008-03-03
[259]
뉴스
在宅勤務求める妊婦に「特別扱いできぬ」 新型コロナが浮き彫りにする職場の意識(一部有料記事)
https://mainichi.jp/[...]
2020-04-26
[260]
뉴스
働く妊婦の4割出勤 勤務先の対応に不満も
https://www.47news.j[...]
2020-06-12
[261]
서적
THE Telework GUIDEBOOK 企業のためのテレワーク導入・運用ガイドブック
国土交通省
2008
[262]
서적
テレワーク―「未来型労働」の現実
岩波書店
2008-05
[263]
간행물
平成20年度 テレワーク人口実態調査
国土交通省
2009-04
[264]
문서
[265]
문서
[266]
문서
[267]
웹사이트
結局、首都圏の鉄道利用者はどのくらい減ったのか (3/4)
https://www.itmedia.[...]
ITmedia
2020-04-25
[268]
웹사이트
「働く、を変える日」テレワーク・デイ報告会の開催10月6日(金)
http://www.japan-tel[...]
日本テレワーク協会
2017-10-02
[269]
웹사이트
テレワーク・デイ|働く、を変える日|2017.07.24
http://teleworkgekka[...]
[270]
웹사이트
テレワーク・デイとは?東京五輪で変わる働き方
https://paraft.jp/r0[...]
PARAFT
2018-05-23
[271]
웹사이트
テレワーク・デイズ
https://teleworkdays[...]
2023-02
[272]
웹사이트
【withコロナ時代のオーダースーツ】オンラインでオーダースーツを購入した男性の7割以上が「リピートしていない」!?今求められている買い方とは…?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08-18
[273]
웹사이트
【withコロナ時代のオーダースーツ】オンラインでオーダースーツを購入した男性の7割以上が「リピートしていない」!?今求められている買い方とは…?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online
2020-08-18
[274]
웹사이트
Telework legislation
https://www.telework[...]
U.S. 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2019-03-17
[275]
웹사이트
Guide to Telework in the Federal Government
https://www.telework[...]
2011-04
[276]
간행물
Telework Eligibility Profile: Feds Fit the Bill
http://www.teleworke[...]
Telework Exchange
[277]
웹사이트
Administrator Doan Issues GSA Telework Challenge
http://www.gsa.gov/P[...]
U.S.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2007-09-12
[278]
간행물
"Telework" Benefits Employers, Employees and the Environment
https://www.nsf.gov/[...]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08-03-11
[279]
간행물
Telework Under the Microscope - A Report on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s Telework Program
http://www.teleworke[...]
Telework Exchange
[280]
웹사이트
GovTrack, H.R. 1722: Telework Improvements Act of 2010
http://www.govtrack.[...]
2012-05-15
[281]
웹사이트
Federal Computer Week, Telework: Senate gives unanimous thumbs up: Telework Improvements Act of 2010
http://fcw.com/artic[...]
2020-04-19
[282]
웹사이트
Legislation
http://www.teleworke[...]
Telework Exchange
2012-05-15
[283]
웹사이트
White House, Statement by the Press Secretary
http://www.whitehous[...]
2020-04-19
[284]
웹사이트
U.S. Government Agencies Lead in Telework
http://www.mobilewor[...]
2020-04-19
[285]
웹사이트
Federal Teleworking Report Released
http://www.mnn.com/m[...]
2020-04-19
[286]
논문
An Emerging Distributed Work Arrangement: An Investigation of Computer-Based Supplemental Work at Home
[287]
서적
Telework – Potentials, Inceptions, Operations and Likely Future Situation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Amsterdam, Netherlands
[288]
간행물
Virtuality as a Strategic Approach for Small and Medium Sized IT Companies to Stay Competitive in a Global Market
[289]
뉴스
At VeriFone, It's a Dog's Life (And they Love it)
http://www.fastcompa[...]
Fast Company
2006-05-16
[290]
논문
Effects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on Organizational Intention to Adopt Distributed Work Arrangements
[291]
뉴스
Improving Information Security for Teleworkers
https://www.ufairfax[...]
University of Fairfax
[292]
뉴스
It's Unclearly Defined, but Telecommuting Is Fast on the Rise
https://www.nytimes.[...]
[293]
뉴스
Top 10 telecommuters. Christian Science Monitor, 08827729, 10/4/95, Vol. 87, Issue 217
[294]
뉴스
中国员工更爱远程办公?
http://money.163.com[...]
2013-07-26
[295]
웹사이트
Coronavirus could be a tipping point (finally) for telecommuting
https://bobsullivan.[...]
2020-03-06
[296]
웹사이트
Amazon, Google, Facebook, and Microsoft are asking Seattle-based staff to work from home because of coronavirus
https://www.theverge[...]
2020-03-05
[297]
웹사이트
Seattle traffic disappears as Amazon, Microsoft, others enforce remote work policies
https://www.geekwire[...]
2020-03-05
[298]
웹사이트
'Can everyone mute?' Coronavirus means we must telecommute. We're not ready
https://www.latimes.[...]
2020-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