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카스 스타리그 2010은 동아제약이 후원하고, 'THE ORIGINALITY'를 리그 콘셉트로 내건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개인 리그이다.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상금 규모는 1억 800만원으로 우승 상금은 4000만원이었다. 결승전은 광주 염주종합체육관에서 열렸으며, 정명훈이 송병구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 대회 개요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당신의 진짜 피로회복제, 박카스![1]

'''리그 컨셉''': THE ORIGINALITY[1]

3. 후원

동아제약은 2008년부터 3년 연속 박카스 스타리그를 후원하였다. 지난 박카스 스타리그 2008에서는 이영호가, 박카스 스타리그 2009에서는 이제동이 우승했다.[1]

동아제약 마케팅 담당자는 스타리그 후원에 대한 기쁨과 함께, 스타리그 역사에 새로운 획을 긋는 대회가 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1]

4. 대회 방식

36강은 3전 2선승제로 1, 2경기는 1, 2경기 지정 맵에서, 3경기에서는 3경기 맵 중 추첨하여 진행한다. 16강은 단판으로 16강 맵 중 추첨하여 진행한다. 8강은 3전 2선승제로 1, 2경기는 1, 2경기 지정 맵에서, 3경기는 3경기 맵 중 추첨하여 진행한다. 4강과 결승전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된다.

5. 대회 일정

6. 상금

총 상금 규모는 1.08억이다. 우승 상금은 4000만, 준우승 상금은 2000만이다. 우승자와 준우승자를 제외한 시드자 2명부터 36강 진출자까지는 차등 지급된다.

구분상금
36강 1위250000KRW
36강 2위150000KRW
36강 3위100000KRW
16강 진출자 (8명)1인당 200만
8강 진출자 (4명)1인당 300만
시드자 (2명)1인당 700만


7. 경기장

예선은 용산 이스포츠 보조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본선 경기는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결승전은 광주 염주종합체육관에서 개최되었다.

8. 사용 맵

;오프라인 예선

아즈텍, 태풍의 눈, 이카루스

;36강



;16강

패스파인더, 글레디에이터, 아즈텍, 이카루스

9. 리그 BGM

사용 시기곡명아티스트
예선전 오프닝 멘트Right Side of The BedAtreyu
예선전 클로징 멘트Rejection RoleSoil Work
36강 오프닝Stranger In A Strange Land30seconds to mars
16강 조추첨식 타이틀곡, 16강 타이틀곡Wrectches And Kings린킨 파크
오프닝 멘트Inside Of MeDead By Sunrise
최근 10경기Blink, BrakeDeath Before Disco
경기시작전/경기종료후Moving is EasyDeath Before Disco
선수 소개16 CradlesHail the Villain
맵소개 / 현재 조 상황 / Result / NextWeekLoaded (제프 하디 WWE 시절 테마곡)Zack Tempest
결승전 타이틀곡SkywindSystemec
결승전 선수입장The Last TimeAll That Remains
결승전 포토타임Every One Needs A NemesisFighting With Wire
결승전 엔딩곡HomeDaughtry


10. 스타리그 예선 및 추가 시드자 결정전

지난 시즌 16강 탈락자 김정우의 은퇴로 추가 시드자 결정전이 진행되었다.

10. 1. 스타리그 예선 조별 본선 진출자

지난 시즌 16강 탈락자 김정우의 은퇴로 36강 시드자 추가 선발까지 포함하여, 총 25명의 선수가 예선을 통해 선발되었다.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J조K조L조M조
김윤환박지수박성균조일장이경민정경두조병세고석현우정호이영한한상봉박준오박수범
N조O조P조Q조R조S조T조U조V조W조X조Y조
김대엽전태양한두열박재영장윤철차명환남승현김현우김동건진영화김상욱김민철


10. 2. 추가 시드자 결정전 (32강전 ~ 결승전)

김정우의 은퇴로 지난 시즌 16강 진출에 실패한 선수들과 추가 시드권 획득자들은 36강 시드전을 치렀다.

32강전Match1Match2
A우정호부전승한상봉L박준오W
B조병세L고석현W이경민부전승
C박지수부전승정경두L조일장W
D김윤환W박성균L이영한부전승
E김민철부전승박재영L진영화W
F박수범L장윤철W차명환부전승
G김대엽L김동건W김상욱L김현우W
H남승현부전승전태양W한두열L



16강전8강전준결승전결승전
박준오 (W)박준오 (W)박준오 (L)김윤환 (W)
우정호 (L)이경민 (L)
이경민 (W)김윤환 (W)김윤환 (W)
고석현 (L)조일장 (L)
조일장 (W)김민철 (W)김민철 (L)김동건 (L)
박지수 (L)장윤철 (L)
김윤환 (W)김동건 (W)
이영한 (L)전태양 (L)
김민철 (W)
진영화 (L)
장윤철 (W)
차명환 (L)
김동건 (W)
김현우 (L)
전태양 (W)
남승현 (L)



32강 시드전을 통과한 선수들은 16강에 진출했다. 16강전에서는 박준오, 이경민, 조일장, 김윤환, 김민철, 장윤철, 김동건, 전태양이 승리했다. 8강전에서는 박준오, 김윤환, 김민철, 김동건이 승리했다. 준결승전에서는 김윤환과 김동건이 승리하여 결승전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김윤환이 김동건을 꺾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11. 36강

36강은 팀 배분을 우선하여 종족별 배분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해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 예선 진출 선수들은 매치 1에서 3전 2선승제로 대결하고, 승리한 선수는 지난 시즌 16강 리거와 매치 2에서 3전 2선승제 경기를 통해 16강 진출자를 가렸다.


12. 16강

이번 스타리그부터 16강 조 배정은 추첨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6강을 통과한 16강 진출자 12명이 3개의 그룹으로 나뉘고, 시드자 4명이 각 그룹에서 1명씩을 추첨하여 4개의 조(A, B, C, D)를 완성하는 방식이었다.

각 조별로 선수는 3경기씩, 조별로는 총 6경기를 치렀다. 16강 조 추첨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조B조C조D조
이영호 (1승 2패)이제동 (1승 2패)송병구 (2승 1패)윤용태 (1승 2패)
김구현 (2승 1패)구성훈 (2승 1패)박성균 (2승 1패)신동원 (1승 2패)
정경두 (0승 3패)김윤환 (2승 1패)염보성 (0승 3패)정명훈 (2승 1패)
박재혁 (3승 0패)김상욱 (1승 2패)이영한 (2승 1패)김현우 (2승 1패)



상위 또는 하위 3명의 승패가 같을 경우에는 삼자재경기를 통해 8강 진출자를 결정했다. C조의 경우, 송병구, 박성균, 이영한이 2승 1패로 동률을 이루어 삼자재경기를 치렀다.

C조 재경기
송병구 (2승 0패)
이영한 (0승 2패)
박성균 (1승 1패)


13. 8강 ~ 결승






14. 대회 결과

'''우승''': 정명훈 (첫 번째 우승)

'''준우승''': 송병구

'''4강''': 김윤환, 김현우

위의 내용으로 요약될 수 있다.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우승
정명훈 (첫 번째 우승)


15. 특이사항


  • 이번 스타리그부터 공식 트위터를 개설하였다. (https://twitter.com/thestarleague @thestarleague)
  • 우승자/준우승자 징크스 발생 (이제동, 이영호 둘 다 16강 탈락)
  • 스타리그 방송 사상 최초로 16강에서 시드권자가 자신의 조 편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지명식이 아닌, 순수 확률에 의한(복불복) 추첨 방식인 조 추첨식을 채택했다.
  • * 스타리그 사상 최초의 조 추첨 방식은 2000 하나로통신 투니버스 스타리그부터 2001 SKY 온게임넷 스타리그까지 사용하였으나 이때는 방송하지 않았다.
  • 역대 스타리그 16강 중 가장 많은 팀전이 성사되었다.
  • 해설진들의 중계 장소 변경 및 중계 위치를 대폭 변경하였다.
  • 스타리그 최초로 저그 대 저그 전이 무승부되었다. (36강 김명운 대 김상욱)
  • 다음의 SNS인 요즘으로 작성한 선수들의 경기 각오가 등장하였다.
  • 16강 5회차 경기 시작 시간이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시상식 관계로 오후 1시로 변경되었다.
  • 디펜딩 챔피언 이영호와 준우승자 이제동이 16강에서 모두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다. 이로서 리쌍 (이제동, 이영호)이 16강에서 동시에 탈락하는 최악의 굴욕을 맛보며 크리스마스의 악몽을 경험했다.
  • 정명훈이 택뱅(김택용, 송병구)을 상대로 5전제에서 3:0으로 승리한 선수가 되었다. (BATOO 스타리그 08~09 4강 & 박카스 스타리그 2010 결승)
  • 8강 A조와 C조는 각각 T1, STX 팀전이 성사되었다.
  • 역대 스타리그 사상 최초로 결승전 리매치가 성사되었다.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결승전 정명훈 vs 송병구)
  • 송병구 스타리그 역대 최다 결승 진출한 프로토스 기록 (4회 결승 진출)
  • 결승전에 초대 게스트로 홍진호가 등장하였다.
  • 정명훈 개인 첫 개인리그 우승, 송병구임요환에 이어 두 번째로 온게임넷 스타리그 3회 준우승 달성.
  • 이번 스타리그의 종료 직후 홍진호가 은퇴를 선언하였으므로, 이로써 스타크래프트1에서 콩라인으로 불리던 선수들은 다음 시즌인 진에어 스타리그 2011 이후부터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 SK텔레콤 T1에서는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최연성) 이후 무려 5년 만에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자를 배출하였다. 우승자: (정명훈)
  • 스타리그 사상 최초 미디어데이 개최 - 2011년 1월 26일.
  • 결승전 현장에서 백혈병으로 투병 중인 우정호에게 보낼 헌혈증을 기부하도록 따로 장소를 배치하였다.
  • 결승전 초대가수 : 레인보우.

참조

[1] 뉴스 동아제약, 3년 연속 스타리그 후원 http://www.fomos.kr/[...]
[2] 문서 16강 대진지명 방식을 바꾸면서 명칭을 조지명식에서 조추첨식으로 변경하였다.
[3] 문서 3인용맵으로 본진간의 공중상 거리가 가까운맵이다 다양한 러시루트 때문에 길을 찾는다는 의미의 '패스파인더'라는 이름이 붙었다
[4] 문서 4인용맵으로 도넛형 센터와 주변에 다양한 각도의 언덕능선이 존재한다 언덕모양이 검투사의 칼끝과 닮아 검투사라는 뜻의'글레디에이터'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