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인걸은 조광조, 김안국, 김식의 문인이며 이이와 성혼의 스승으로,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기묘사화와 을사사화, 정미사화 등에 연루되어 파직과 유배를 겪었으며, 명종 때 복직하여 이조참판, 대사간 등을 역임했다. 동서분당의 폐단을 지적하고 군비 확장을 강조했으며, 청백리로 선정되었다. 그의 학문적 영향은 이이에게 이어졌으며, 허례허식을 비판하는 소탈한 성품을 지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인걸 - 용주서원
용주서원은 조선 중기 문신 백인걸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1582년에 창건되어 1610년 사액을 받았으나 1868년 훼철되었다가 1924년 복원되었으며, 현재 유교적 가치를 기리는 제향 행사를 통해 지역 사회의 정신적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 백인걸 - 파주 파산서원
파주 파산서원은 조선 시대 학자들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이이, 백인걸 등을 기리기 위해 1568년 창건, 1650년 사액을 받았으나 한국 전쟁 중 소실 후 1966년 사당이 복원되었고, 성수침, 성혼, 백인걸, 성수종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경현단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 백씨 - 백정기
백정기는 아나키즘 사상을 바탕으로 3·1 운동 참여, 일본 시설 공격, 독립운동 자금 모금, 일본 고위 인사 암살 시도 등 다양한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육삼정 의거로 체포되어 옥사한 독립운동가이다. - 백씨 - 백낙승 (1886년)
백낙승은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후까지 직물 사업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일제에 협력했으며, 광복 후에는 정경유착을 통해 기업을 확장했으나 자유당 정권과의 유착으로 몰락한 기업인으로,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조광조 - 거창 일원정
거창 일원정은 1905년 건립된 서원으로, 인재 양성과 민족 의식 고취를 목표로 유생들에게 성리학 등을 교육하고 향약을 통해 지역 사회 질서를 유지하며 매년 7현을 기리는 제향 의식을 거행한다. - 조광조 - 죽림서원 (충남)
죽림서원(충남)은 1626년 황산서원으로 건립되어 1665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고, 조광조, 이황, 송시열 등을 배향하였으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후 복원되어 사우를 중심으로 제향을 지낸다.
백인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백인걸 |
한자 이름 | 白仁傑 |
![]() | |
자 | 사위(士偉) |
호 | 휴암(休菴) |
시호 | 충숙(忠肅) |
국적 | 조선 |
성별 | 남성 |
출생일 | 1497년 |
사망일 | 1579년 9월 29일 |
본관 | 수원 |
분야 | 성리학 |
스승 | 알 수 없음 |
주요 제자 | 알 수 없음 |
주요 저작 | 알 수 없음 |
2. 생애
조광조와 김식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기묘사화로 스승과 동료들을 모두 잃고 실의에 빠져 금강산에 은거하였다. 뒤에 김안국을 찾아가 그로부터 성리학을 수학하였다. 1537년 문과에 급제하고 성균관에 오래 근무하다가 출사하였으나, 문정왕후의 수렴청정과 밀지 정치를 비난하다가 파직당했다. 을사사화 등으로 출사하지 않다가 1547년 정미사화에 연루되어 안변에 유배되었다.
윤원형이 몰락한 이후 1567년(명종 22) 70세로 교리(校理)가 되었다. 그 뒤 이조참판, 사간원대사간, 대사헌, 공조참판 등을 거쳐 의정부우참찬을 지내고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1578년(선조 11) 우참찬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으며, 이듬해 동서분당(東西分黨)의 폐단을 지적하고 군비 확장을 강조했다. 선조 때 청백리(淸白吏)의 한 사람으로 녹선되었으며, 학문에도 뛰어나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을 문하에서 배출하였다. 사후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에 증직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수학
왕자사부(王子師傅)를 지낸 백익견(白益堅)의 아들이다. 구도(求道)의 뜻을 세워 일찍부터 학문에 전심하였으며, 조광조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김안국에게서도 학문을 배웠다. 송인수, 유희춘, 서경덕 등과 친하게 지냈다. 이후 이연경, 이황, 허엽, 조식, 기대항, 김인후, 이이, 성혼 등 당대의 사림계 인물들과 폭넓게 교류하였다. 이이와 성혼은 후일 그의 제자가 되어 수학하였다.김식이 성균관 대사성이 되어 새로운 학풍이 일어나게 되자, 조광조와 김안국의 친구이기도 했던 김식의 문하에도 출입하여 배움을 청했다. 특히 조광조를 존경하여 그의 집 옆에 집을 짓고 그를 사사하였다.
2. 2. 기묘사화와 은거
1519년(기묘사화)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이에 비분강개하여 금강산에 들어가 지내다가 돌아와 김안국을 찾아가 다시 공부를 계속하였다. 1531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53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조광조의 일파로 몰려 청요직에 진출하지 못하고 오랫동안 성균관에 머물다가 1538년 예문관 검열이 되었다.
2. 3. 관료 생활과 파직, 유배
기묘사화로 스승과 동료를 모두 잃은 백인걸은 실의에 빠져 금강산에 은거하였다. 이후 김안국에게서 성리학을 수학하였다. 1537년 문과에 급제, 성균관에 오래 근무하다 출사하였으나, 문정왕후의 수렴청정과 밀지 정치를 비난하다 파직당했다. 을사사화 등으로 출사하지 않다가 1547년 정미사화에 연루되어 안변(安邊)에 유배되었다.예문관 검열로 재직 시, 이조(吏曹) 인사행정의 잘잘못을 기록하는 옛 관습을 복구하여 실행하게 하였다. 예조좌랑을 거쳐 남평현감(南平縣監)으로 부임하여 청렴하고 성실한 근무 자세를 보였다. 학당(學堂)을 세우고 학장(學長)을 두어 지역 교육과 면학 분위기 조성에 힘쓴 공로로 품계가 높아졌다. 1541년 홍문록(弘文錄)에 선발되었다.
인종 사후 명종 즉위 후 문정왕후의 수렴청정을 비판하였다. 문정왕후가 정난정 등에게 밀지를 내려 윤임 등 반대파 제거를 계획한 정보를 입수, 비난하다 파직되었다. 을사사화로 윤임 등 외척과 선비들이 처형되자 파주 우계로 낙향, 서당을 열고 성리학을 가르쳤다.[1]
2. 4. 복직과 관료 생활
1545년 (明宗|명종중국어 원년) 을사사화 때 윤임을 처벌하는 절차상의 문제를 강력하게 지적하여 윤원형 등 소윤의 미움을 사서 파면당하고 파주로 내려갔고, 1547년 양재역 벽서 사건에 연루되어 안변(安邊)에 유배되었다.[2] 1551년 석방된 뒤 오랫동안 고향에 은거하며 성리학을 가르치고, 《태극도설》과 정주학(程朱學)의 서적들을 깊이 연구하는 등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그 뒤 소윤의 거두 윤원형이 죽자 복직하였다.1565년 (명종 20) 복직하고 그해 승문원교리, 1566년 사도시첨정(司導寺僉正)·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 등을 지내고 양주목사로 나갔다. 1567년 양주목사가 되었을 때는 공납의 폐단을 개혁하는 등의 치적을 쌓아 그가 이임할 때 가지 말라고 만류했다 하며, 후에 고을사람들이 선정 기념비를 세웠다. 같은 해(明宗|명종중국어 22년) 71세의 고령으로 교리가 되었고 그해 재상 김명윤(金明胤)을 탄핵하여 몰락시켰다. 이후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명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제자인 이이와 함께 다시 동서분당의 폐단을 논하고 진정시킬 것을 주장하였으나, 오히려 동인의 지탄을 받고 서인을 편든다는 공격을 받았다. 이이에 대한 동인의 악감정은 이이의 스승인 백인걸에게도 향했다.
이듬해 기대승의 추천으로 대사간으로 승진한 뒤 공조참의가 되었다. 1569년에는 시류를 잘 타 이조판서가 된 박충원을 공격하였다. 박충원은 곧 병을 핑계로 이조판서 직을 내놓았다. 선조 연간에 직제학, 이조참판, 대사간, 대사헌을 등을 지내고 공조참판으로서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를 겸임하였다. 그 뒤 병조참판을 거쳐 다시 대사헌이 되어 권신(權臣) 등의 비위를 논핵(論劾)하다가 체직당하였다.
1570년에는 좌의정 권철이 왕과 불협화음이 있는 것을 지적했다가 권철이 출사하지 않자 해명하여 다시 조정에 나오게 했다.
2. 5. 동서분당 비판과 죽음
1578년(선조 11) 의정부우참찬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으며, 1579년 5월 지중추부사가 되어 당시의 동서분당(東西分黨)의 폐단을 지적하고 군비확장을 강조하였다.[1] 도성에 있는 사대부들이 자신을 중하게 여기지 않더라도 그것에 마음을 쓰지 않았으며, 녹봉미와 마초값[騶直]을 모두 도봉서원(道峰書院)에 보내고 곤궁하게 생활하였다.[1] 병이 들자 왕이 사람을 보내 문병하고, 병세가 위독해지자 선조가 직접 문병하고 의원과 약을 내려보내 치료하게 하였으나 효험이 없었다.[1] 그해 9월에 병으로 사망하였다.[1]3. 사상과 평가
조광조를 스승 없이 사숙하던 이이는 조광조의 문하생인 백인걸을 찾아가 수학하였다. 백인걸의 문하에서 이이는 성혼을 만나는데, 성혼은 조광조의 다른 문하생인 성수침의 아들이자 문하생이기도 했다. 성혼은 이이의 오랜 친구가 된다. 청년기의 이이와 성혼은 시류의 타락을 논하며 "살아도 같이 살고 죽어도 같이 죽자"고 맹세하였다. 어머니의 오랜 병환과 죽음으로 충격받은 이이가 불교에 입문했다가 환속한 뒤에도 문제삼지 않고 받아준 것은 스승 백인걸과 오랜 친구 성혼이었다.
후에 백인걸과 이이는 마주 앉아 조광조와 퇴계의 우열을 놓고 평을 했는데, 이이는 조광조에 대해 타고난 자품은 훌륭하나 학문이 성숙하지 못해 일을 그르쳤다고 소신을 피력했다.[2] 이이의 파격적인 평에도 그는 동요하지 않았다.
백인걸은 허례허식을 비판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그대로 이이에게 이어졌다. 이이의 사물이나 인간에 대한 정직한 자세는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켜 당시 동료는 물론 선배와 원로대신들로부터 미움을 사 오국소인(誤國小人)이라고까지 지탄을 받았다.[3] 특히 원로대신들 중 허엽과 이준경 등은 이이를 예절과 근본도 모르는 인간이라고 분을 터뜨렸다.[2] 이이의 스승인 백인걸에게도 비판의 칼날이 향했다.
이이의 솔직함과 냉정함에 화가 난 이준경은 이이의 스승인 백인걸을 찾아가 항의를 한 일도 있다. 한번은 이준경이 백인걸을 찾아가 “자네가 추천한 이 아무개라는 인간이 왜 그 모양인가?[2]” 하고 드러내놓고 역정을 내기도 했다.
백인걸의 성격은 소탈하고 솔직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이나 성혼, 이준경 등 다른 이들과 있었던 일을 쉽게 외부에 발설하여 물의가 되기도 했다.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백효삼(白效參) | 사헌부지평 |
조부 | 백사수(白思粹) | 장단부사 |
아버지 | 백익견(白益堅) | 왕자사부 |
어머니 | 우종은(禹從殷)의 딸 | |
형 | 백인호(白仁豪) | 별좌 |
형수 | 정효순(鄭孝純)의 딸 | |
조카 | 백유온(白惟溫) | |
조카 | 백유량(白惟良) | |
조카 | 백유검(白惟儉) | |
조카 | 백유양(白惟讓) | |
조카 | 박관(朴寬)에게 출가 | |
조카 | 정경륜(鄭景倫)에게 출가 | |
조카 | 전응진에게 출가 | |
본처 | 평택 임씨(平澤林氏) | |
장남 | 백유공(白惟恭) | |
후처 | 안자근개(安者斤介) | [4] |
차남 | 백유항(白惟恒) | 평창현령 |
손자 | 백효민(白孝民) | 남평현감 |
손자 | 백제민(白悌民) | 행창평현령 |
손녀 | 김기원(金期遠)에게 출가 | |
손녀 | 이상(李詳)에게 출가 | |
손녀 | 최흥운(崔興雲)에게 출가 | |
손녀 | 유신붕(柳信朋)에게 출가 | |
손녀 | 이극에게 출가 | |
삼남 | 백유함(白惟咸) | 승지 |
손자 | 백해민(白海民) | |
손자 | 백선민(白善民) | 행갑산부사 |
손자 | 백신민(白信民) | 의빈도사 |
손자 | 백현민(白賢民) | 서천군수 |
손자 | 백헌민(白憲民) | |
손자 | 백철민(白哲民) | |
서손자 | 백시민(白時民) | |
서손자 | 백계민(白季民) | |
손녀 | 김흥록(金興祿)에게 출가 | |
장녀 | 조감(趙堪)에게 출가 | |
차녀 | 안수기(安守基)에게 출가 | |
삼녀 | 신세영(辛世英)에게 출가 | |
사녀 | 이윤조(李胤祖)에게 출가 | |
오녀 | 임색(任穡)에게 출가 |
5. 기타
독립운동가 백정기, 백관수는 그의 후손이다. 박정희 전 대한민국 대통령은 그의 종증조부 백효연의 15대 외손이다.
참조
[1]
서적
노서유고
[2]
간행물
한국사학에 바란다 - 열린 마음으로 6 율곡으로부터 교훈을
일조각
2005
[3]
간행물
한국사학에 바란다 - 열린 마음으로 6 율곡으로부터 교훈을
일조각
2005
[4]
웹사이트
http://royal.aks.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