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덴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덴호는 플라이스토세 빙하기에 라인 빙하에 의해 형성된 빙퇴석호로,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3개국에 걸쳐 있으며, 오버제와 운터제로 구성된다. 주요 지류는 알프스 라인 강이며, 라인 강이 유출된다. 주변 도시로는 콘스탄츠, 린다우, 브레겐츠 등이 있으며, 관광, 레저, 스포츠 활동이 활발하다. 1963년 마지막으로 결빙되었으며, 3개국 간의 국경 문제와 폭풍 경보 시스템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보덴호
지도
기본 정보
위성 이미지
위성 사진
지도
지도
원어 이름독일어: 보덴제(Bodensee)
위치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호수 유형빙하호
유입알파인 라인강
유출고 라인강
유역 면적11,500 km²
접경 국가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길이63 km
너비14 km
면적536 km²
평균 수심90 m
최대 수심251 m
부피48 km³
물 체류 시간4.3 년
해안선 길이273 km
표면 고도395 m
결빙 시기1795년, 1830년, 1880년 (부분), 1963년
마이나우
라이헤나우
린 다우
기타
주요 도시목록 참조
하위 구역오버제
위베를링거 제
제어라인
운터제
그나덴제
마르켈핑거 빙켈
첼러 제
라인제
정착지
주요 도시목록 참조
언어별 명칭
독일어보덴제(Bodensee)
영어레이크 콘스탄스(Lake Constance)
프랑스어라크 드 콩스탕스(Lac de Constance)
일본어보덴코(ボーデン湖)

2. 역사

플라이스토세 빙하기에 라인 빙하에 의해 형성된 ''빙퇴석호''(Zungenbecken)인 보덴호는 최후 빙기가 끝난 후에도 오버제와 운터제가 하나의 호수를 이루고 있었다. 하방침식으로 상라인강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콘스탄츠 문턱(Konstanzer Schwelle)이라는 얕은 지역이 드러났다. 라인강, 브레겐츠 아흐강, 도른비른 아흐강이 알프스에서 퇴적물을 운반하여 호수의 깊이가 감소하고 남동쪽으로의 확장이 줄었다.

고대에는 두 호수의 이름이 달랐으나, 이후 알 수 없는 이유로 같은 이름을 갖게 되었다.

19세기에는 보덴호 주변에 5개의 서로 다른 지역 표준시가 있었다.

지역표준시
바덴 대공국 콘스탄츠칼스루에 시간
프리드리히스하펜뷔르템베르크 공국 시간
린다우바이에른 뮌헨 시간
브레겐츠프라하 시간
스위스 해안베른 시간



46km만 이동하면 5개의 시간대를 방문할 수 있었던 이 상황은 무역과 교통에 혼란을 야기했다. 항구의 공용 시계는 세 가지 다른 시계 문자판을 사용했다.[7] 1892년, 모든 독일 영토는 CET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오스트리아 철도는 전년에 이미 CET를 도입했으며, 스위스는 1894년에 도입했다. 1895년에 CET가 보덴호 주변 및 보덴호에서 유일하게 유효한 시간이 되었다.[7]

2. 1. 고대 ~ 중세

플라이스토세 빙하기에 라인 빙하에 의해 형성된 ''빙퇴석호''(Zungenbecken)인 보덴호는 약 1만 년 전 최후 빙기가 끝난 후에도 오버제와 운터제가 여전히 하나의 호수를 이루고 있었다. 하방침식으로 상라인강의 수위가 점차 낮아지면서, 콘스탄츠 문턱(Konstanzer Schwelle)이라는 얕은 지역이 드러났다. 라인강, 브레겐츠 아흐강, 도른비른 아흐강은 알프스에서 호수로 퇴적물을 운반하여 호수의 깊이를 점차 감소시키고 남동쪽으로의 확장을 줄였다.

고대에는 두 호수의 이름이 달랐지만, 나중에 알 수 없는 이유로 같은 이름을 갖게 되었다. 기원전 4세기경부터 호반에 켈트족의 마을이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세기, 로마 제국이 이 지역에 거점을 마련했으며, 이후 게르만족의 이동과 함께 점차 게르만화되었다.

로마 시대에는 호반 도시 브레겐츠(Bregenz;라틴어로 >Brigantium< 또는 >Brigantia<)의 이름에서 >lacus Brigantinus< 또는 >lacus Brigantiae<, 일부에서는 오버제(Obersee) 호반에 거주했을지도 모르는 베네토족 사람들의 이름을 따서 >lacus Venetus<라고 불렸다. 독일어 명칭은 뤼버링제(Überlinger See)의 북서쪽 호반 마을 보드만(Bodman)에서 유래한다. 보드만은 메로빙거 왕조 시대에는 주화 주조소(Münzstätte)였고,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는 중요한 황제 궁전(Kaiserpfalz)이 있던 곳이었다. 이 지명은 839년 Bodoma, 887년 Podoma, 1167년 Bodimin, 1550년 Podman으로 변천했지만, 원래는 고대 고지 독일어의 보통 명사 bodam (오늘날 독일어로는 Boden, “저지대 정착지”)에 유래한다. 호수의 명칭은 890년 Podamicus, 1016년 lacus Potamicus, 1087년 ad lacum Bodinse, 1361년 Bodense로 변천했다.[93]

중세 이후,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를 잇는 호수이기 때문에 교역 활동의 무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재도 호수 위의 섬을 제외한 지역은 삼국의 공동 통치를 받고 있다.

독일 중세 전성기 최대의 서사시 작가 볼프람 폰 에센바흐(Wolfram von Eschenbach, 1160년/1180년경 - 1220년경 또는 그 이후)의 십자군 문학 『빌헬름』에서는 “오리가 보덴 호수에서 물을 찾아 이 호수의 물을 다 마신다면, 그야말로 매우 고통스러울 것이다”라는 해학적인 표현이 보인다.[92]

2. 2. 명칭의 유래

보덴제(Bodensee)라는 독일어 명칭은 보드만-루트비히스하펜 지명에서 유래했는데, 아마도 원래는 고대 고지 독일어(Old High German)의 "보다몬(bodamon)"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이는 "토양 위에"라는 뜻으로, 호수 옆 평지에 있는 장소를 가리킨다.[9] 이곳은 뤼버링겐 호(Überlinger See)의 서쪽 끝에 위치해 있으며, 초기 중세 동안 프랑크 왕궁(Kaiserpfalz, Königspfalz), 알레만니 공작의 좌석, 주화 조폐소(mint (facility))로서 특정 기간 동안 초지역적 성격을 지녔기 때문에, 그 이름이 호수로 옮겨졌을 수 있다("보드만이 위치한 호수" = 보드만제(Bodmansee)). 833/834년부터 라틴어 자료에서 라틴어화(Latinization (historical))된 형태인 라쿠스 포타미쿠스(lacus potamicus)로 나타난다.[10] 따라서 실제로 보드만 팔츠(Pfalz) (라틴어로 Potamum)에서 유래한 이름은 발라프리드 스트라보와 같은 수도원 학자들에 의해 "강"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포타모스(potamos)에서 유래했다고 잘못 생각되었다. 그들은 라인강이 호수를 통과한다는 사실에도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9]

볼프람 폰 에센바흐는 중세 고지 독일어(Middle High German)로 보데멘제(Bodemensee) 또는 보뎀제(Bodemsee)로 묘사했다.[11] 이것은 마침내 현재 독일어 이름인 보덴제(Bodensee)로 발전했다. 이 이름은 뤼버링겐 호와 운터제 사이의 언덕 지대인 보단뤼크(Bodanrück)와 보드만 가문(House of Bodman)의 역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보덴제(Bodensee)라는 독일어 이름은 네덜란드어 보덴메르(Bodenmeer), 덴마크어 보덴쇠엔(Bodensøen), 노르웨이어 보덴스외엔(Bodensjøen), 스웨덴어 보덴시외른(Bodensjön), 핀란드어 보덴야르비(Bodenjärvi), 러시아어 보덴스코예 오제로(Боденское озеро), 폴란드어 예지오로 보덴스키에(Jezioro Bodeńskie), 체코어 보담스케 예제로(Bodamské jezero), 슬로바키아어 보담스케 야제로(Bodamské jazero), 헝가리어 보데니토(Bodeni-tó),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보덴스코 예제로(Bodensko jezero), 알바니아어 리퀘니 이 보데니트(Liqeni i Bodenit) 등 여러 언어에서 채택되었다.

15세기 콘스탄츠 공의회 이후, 라쿠스 콘스탄티누스(Lacus Constantinus)라는 대안적인 이름이 로마 가톨릭(Roman Catholic) 로망스어권에서 사용되었다. 1187년 라쿠스 콘스탄티엔시스(Lacus Constantiensis) 형태로 일찍이 증명된 이 이름은[8] 라인강이 오버제(Obersee)에서 흘러나오는 곳에 있는 콘스탄츠시에서 유래했는데, 콘스탄티아(Constantia)라는 원래 이름은 로마 황제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서기 300년경)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프랑스어는 라크 드 콘스탕스(Lac de Constance), 이탈리아어는 라고 디 코스탄차(Lago di Costanza), 포르투갈어는 라고 드 콘스탄사(Lago de Constança), 스페인어는 라고 데 콘스탄차(Lago de Constanza), 루마니아어는 라쿨 콘스탄차(Lacul Constanța), 그리스어는 Λίμνη της Κωνσταντίας – Limni tis Konstantias이다. 아랍어 بحيرة كونستانس (buħaira Konstans)와 터키어 콘스탄츠 괴뤼(Konstanz gölü)는 아마도 프랑스식 이름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로망스어의 영향을 받은 영어에서도 "콘스탄츠 호수(Lake Constance)"라는 이름이 자리 잡았고, 그 후 히브리어 ימת קונסטנץ (yamat Konstanz)와 스와힐리어 Ziwa la Konstanz와 같은 다른 언어로 수출되었다. 많은 언어에서 두 형태가 병행하여 존재한다. 예를 들어 로망슈어: 라이 다 콘스탄차(Lai da Constanza)와 라이 보단(Lai Bodan), 에스페란토: 콘스탄차 라고(Konstanca Lago)와 보덴라고(Bodenlago).

"슈바벤 바다(Swabian Sea)"라는 시적인 이름은 초기 근대(early modern era)와 계몽주의 시대의 작가들이 고대 작가들, 아마도 타키투스로부터 채택했다. 그러나 이 가정은 오류에 기초했다(테우토부르크 숲(Teutoburg Forest)과 타우누스(Taunus)와 유사함): 로마인들은 때때로 보덴호가 아닌 발트해를 마레 수에비쿰(Mare Suebicum)이라고 불렀다. 로마인들이 소위 "수에비(Suebi)" (당시 엘베 강 게르만 부족(Elbe Germanic tribe))를 바다 근처에 위치시켰을 때 이것은 이해할 수 있었다. 초기 근대(Early Modern Period)의 저자들은 이것을 간과하고 전 슈바벤 공국의 중앙에 있는 가장 큰 호수에 그 이름을 적용했는데, 이곳에는 오늘날 스위스의 일부도 포함되어 있다.[12] 오늘날 슈바벤 바다(Schwäbisches Meer)라는 이름은 보덴호에 대한 과장된 표현으로만 사용된다.[13]

2. 3. 근현대

플라이스토세 빙하기에 라인 빙하에 의해 형성된 보덴호는 최후 빙기가 끝난 후에도 오버제와 운터제가 하나의 호수를 이루고 있었다. 하방침식으로 상라인강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콘스탄츠 문턱(Konstanzer Schwelle)이라는 얕은 지역이 드러났다. 라인강, 브레겐츠 아흐강, 도른비른 아흐강이 알프스에서 퇴적물을 운반하여 호수의 깊이가 감소하고 남동쪽으로의 확장이 줄었다.

고대에는 두 호수의 이름이 달랐으나, 이후 알 수 없는 이유로 같은 이름을 갖게 되었다.

19세기에는 보덴호 주변에 5개의 서로 다른 지역 표준시가 있었다.

지역표준시
바덴 대공국 콘스탄츠칼스루에 시간
프리드리히스하펜뷔르템베르크 공국 시간
린다우바이에른 뮌헨 시간
브레겐츠프라하 시간
스위스 해안베른 시간



46km만 이동하면 5개의 시간대를 방문할 수 있었던 이 상황은 무역과 교통에 혼란을 야기했다. 항구의 공용 시계는 세 가지 다른 시계 문자판을 사용했다.[7] 1892년, 모든 독일 영토는 CET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오스트리아 철도는 전년에 이미 CET를 도입했으며, 스위스는 1894년에 도입했다. 1895년에 CET가 보덴호 주변 및 보덴호에서 유일하게 유효한 시간이 되었다.[7]

기원전 4세기경부터 호반에 켈트족 마을이 있었고, 기원전 1세기에는 로마 제국이 이 지역에 거점을 마련했다. 그 후, 게르만족의 이동과 함께 게르만화되었다. 중세 이후,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를 잇는 호수이기 때문에 교역 활동의 무대로서 중요 역할을 했다. 현재 호수 위의 섬을 제외한 지역은 삼국의 공동 통치를 받고 있다.

독일 중세 전성기 최대 서사시 작가 볼프람 폰 에센바흐는 십자군 문학 『빌헬름』에서 “오리가 보덴 호수에서 물을 찾아 이 호수의 물을 다 마신다면, 그야말로 매우 고통스러울 것이다”라는 해학적인 표현을 남겼다.[92]

호수 이름은 로마 시대에는 브레겐츠의 이름에서 유래한 라쿠스 브리간티누스(lacus Brigantinus) 또는 라쿠스 브리간티아이(lacus Brigantiae), 또는 라쿠스 베네투스(lacus Venetus)라고 불렸다.[93] 독일어 명칭은 보드만(Bodman)에서 유래하는데, 이곳은 메로빙거 왕조 시대에는 주화 주조소,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는 중요한 황제 궁전이 있던 곳이었다. 지명은 839년 보도마(Bodoma), 887년 포도마(Podoma), 1167년 보디민(Bodimin), 1550년 포드만(Podman)으로 변천했고, 호수 명칭은 890년 포다미쿠스(Podamicus), 1016년 라쿠스 포타미쿠스(lacus Potamicus), 1087년 아드 라쿰 보딘세(ad lacum Bodinse), 1361년 보덴세(Bodense)로 변천했다.[93]

3. 지리

보덴호는 알프스 라인강이 흘러 들어와 고상 라인강으로 흘러 나가는 곳에 위치하며, 중앙유럽에서 제네바 호와 발라톤 호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담수호이다.[5] 길이는 약 63km, 가장 넓은 곳의 너비는 약 14km이다. 면적은 약 536km2, 해발 395m에 위치하며, 최대 수심은 252m이다. 체적은 약 48km3이다.[5]

빈터슈타우데에서 바라본 보덴호 전경


호수는 크게 오버제(Obersee, "상호")와 운터제(Untersee, "하호")로 나뉜다. 오버제는 북서쪽의 뤼베를링거제(61km2)를 포함하여 약 473km2이며, 운터제는 약 63km2이다.[5][1] 두 호수는 제어라인(Seerhein)으로 연결되는데, 이는 지리적으로 호수의 일부가 아니라 짧은 강으로 간주된다.[5][3]

2007년 프펜더에서 본 린다우 섬이 있는 보덴호


운터제는 라이헨나우 섬을 기준으로 다시 세 부분으로 나뉜다.

  • 크나덴제(Gnadensee): 섬 북쪽과 메트나우 반도 북쪽에 있는 독일 지역
  • 첼러제(Zeller See): 라돌프첼 남쪽과 라이헨나우 섬 북서쪽에 있는 지역
  • 라인제(Rheinsee): 주로 스위스 지역으로, 섬 남쪽에 있으며 남서쪽 팔은 슈타인암라인의 유출 지점으로 이어진다.[5][1]


알프스 라인강은 오스트리아 브레겐츠 근처에서 호수로 유입되어 상호를 거쳐 콘스탄츠 시의 제어라인으로 들어간다. 이후 하호의 라인제를 통과하여 슈타인암라인에서 고상 라인강으로 흘러 나간다.[5][4][1]

보덴호는 알프스 산맥 기슭에 위치하며, 총 연안선 길이는 273km이다. 이 중 173km는 독일, 28km는 오스트리아, 72km는 스위스에 속한다.[22] 오버제의 면적은 473km2이다. 브레겐츠에서 보드만-루트비히스하펜까지 63.3km 이상 뻗어 있으며, 프리드리히스하펜로만스호른 사이의 너비는 14km이다. 피슈바흐와 우트빌 사이의 최대 수심은 251.14m이다. 오버제의 북서쪽 지류는 위벌린거 제라고 불리며, 콘스탄츠 호퍼는 콘스탄츠 동쪽의 독일과 스위스 해안 사이에 있다. 운터제는 보단뤼크 반도에 의해 오버제와 위벌린거 제에서 분리되어 있다.

보덴호의 주요 지류는 알프스 라인 강이며, 이 외에도 236개의 작은 지류가 있다. 오버제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반시계 방향).

도른비르너 아흐(Dornbirner Ach), 브레겐츠 아흐(Bregenzer Ach), 라이블라흐(Leiblach), 아르겐(Argen), 슈센(Schussen), 로타흐(Rotach (Lake Constance)), 브루니사흐(Brunnisach), 제펠더 아흐(Seefelder Aach), 슈토카허 아흐(Stockacher Aach), 잘름자허 아흐(Salmsacher Aach), 아흐(아르본 근처)(Aach (Lake Constance, Arbon)), 슈타이나흐(슈타이나흐(Lake Constance)), 골다흐(골다흐(river)), 알트라인(푸스아흐)(Old Rhine (Fußach))

오버제의 유출수는 제어하인(Seerhein)이며, 이는 다시 운터제(Untersee)의 주요 지류이다. 운터제의 가장 중요한 지류는 라돌프첼러 아흐(Radolfzeller Aach)이다.

오버제의 유량 기준 상위 10개 지류[28] 및 그 유역 면적:[29]
평균 유량
(m3/s) (1978–1990)
유량
(%)
유역 분수계(Drainage divide)
(km2)
유역
(%)
알프스 라인 강(Alpine Rhine)23361.16,11956.1
브레겐츠 아흐(Bregenzer Ach)4812.68327.6
아르겐(Argen)195.36566.0
알트라인(라인 계곡 운하)(Old Rhine
(Rhine Valley Canal))
123.13603.3
슈센(Schussen)112.98227.5
도른비르너 아흐(Dornbirner Ach)7.01.81961.8
라이블라흐(Leiblach)3.30.91051.0
제펠더 아흐(Seefelder Aach)3.20.82802.6
로타흐(Rotach)2.00.51301.2
슈토카허 아흐(Stockacher Aach)1.60.42212.0
상위 10개 지류 합계34089.69,72189.2
총 유입량381100.010,903100.0



알프스 라인 강은 산에서 부유물을 가져와 퇴적시키기 때문에 브레겐츠 만은 수세기 안에 매몰될 것으로 예상되며, 보덴호 전체의 매몰에는 1만~2만 년이 더 걸릴 것으로 추산된다. 운터제의 유출수는 라인강 상류(High Rhine)이며, 샤프하우젠에 있는 라인 폭포가 있다.

보덴호에는 2,000m²보다 큰 섬이 10개 있다. 가장 큰 섬은 라이헨나우 섬이며, 린다우 섬, 마이나우 섬 등이 있다.

마이나우 섬


보덴호에는 다양한 반도도 존재한다.

  • 보단뤼크(Bodanrück): 뤼버링어제와 운터제를 분리하는 가장 큰 반도 (약 112km2)
  • 메트나우(Mettnau): 운터제에 위치 (약 1.7km2)
  • 뢰리(Höri): 라이헨아우 섬 쪽으로 뻗어 있음 (약 45km2)
  • 로어슈피츠(Rohrspitz): 새로운 라인 운하 입구 근처에 위치 (약 50 헥타르)
  • 바서부르크(Wasserburg): 바서부르크 성과 성 조지 교구 교회가 있는 반도 (약 2.3ha)
  • 갈겐인젤(Galgeninsel): 면적 0.16ha의 작은 반도


보덴호의 해안은 대부분 자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지역에는 로어슈피츠, 랑겐아르겐, 마리엔슐루흐와 같이 모래 해변도 있다.

마리엔슐루흐(Marienschlucht)의 모래 해변

3. 1. 위치 및 형태

보덴호는 알프스 라인강의 주요 지류와 고상 라인강의 유출 지점 사이의 라인강을 따라 위치해 있다. 중앙유럽에서 표면적 기준으로 세 번째로 큰 담수호이며, 제네바 호와 발라톤 호 다음이다.[5]

길이는 약 63km이고, 가장 넓은 지점의 너비는 약 14km이다. 면적은 약 536km2이고, 해발 395m에 위치한다. 최대 수심은 252m이며, 상호(Obersee) 중앙에 위치한다. 체적은 약 48km3이다.[5]

호수는 두 부분으로 나뉜다. 주요 동쪽 부분인 오버제(Obersee) 또는 "상호"는 북서쪽의 팔인 위벨링겐 호(Überlinger See)(61km2)를 포함하여 약 473km2를 차지하며, 더 작은 서쪽 부분인 운터제(Untersee) 또는 "하호"는 약 63km2의 면적을 가진다.[5][1] 두 호수는 제어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일반적으로 호수의 일부가 아니라 매우 짧은 강으로 간주된다.[5][3]

하호는 라이헨나우 섬 주변으로 세 부분으로 나뉜다. 섬의 북쪽과 메트나우 반도 북쪽에 있는 독일 지역인 그나덴제(Gnadensee), 라돌프첼 남쪽과 라이헨나우 섬 북서쪽에 있는 첼러제(Zeller See), 그리고 주로 스위스 지역인 라인제(Rheinsee)는 섬의 남쪽에 있으며, 남서쪽 팔은 슈타인암라인의 유출 지점으로 이어진다.[5][1]

규제된 알프스 라인강의 물은 오스트리아 브레겐츠 근처 남동쪽에서 호수로 유입되어 상호를 거쳐 거의 위벨링겐 호를 거치지 않고 콘스탄츠 시의 제어라인으로 들어가, 하호의 두 독일 지역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라인제를 통과하여 마지막으로 스위스 도시 슈타인암라인에서 고상 라인강의 시작 부분에 유입된다.[5][4][1]

호수 자체는 남서부 독일의 중요한 식수원이다.

호수 유역의 최고점은 글라루스 알프스의 퇴디 산맥에 있는 스위스 봉우리 피츠 루세인으로 해발 3613m에 위치한다. 아우아 다 루세인이라는 개울에서 시작된다.[6]

보덴호는 알프스 산맥 기슭에 위치해 있다. 주요 호수 두 곳의 총 연안선 길이는 273km이다. 이 중 173km는 독일(바덴뷔르템베르크주 155km, 바이에른주 18km)에, 28km는 오스트리아에, 72km는 스위스에 위치해 있다.[22] 상호 및 하호를 합치면 보덴호의 총 면적은 536km2로, 중앙유럽에서 발라톤호(594km2)와 제네바 호(580km2)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호수이다. 또한, 제네바 호(89km3)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수량(48.5km3)을 자랑하며,[23] 브레겐츠와 슈타인암라인 사이 69.2km 이상으로 뻗어 있다. 유역 면적은 약 11500km2이며, 이탈리아의 라고 디 레이까지 남쪽으로 뻗어 있다.[24]

오버제(상호)의 면적은 473km2이다. 브레겐츠에서 보드만-루트비히스하펜까지 63.3km 이상 뻗어 있으며, 프리드리히스하펜로만스호른 사이의 너비는 14km이다. 피슈바흐와 우트빌 사이의 최대 수심은 251.14m이다.

포어아르베르크 연안의 세 개의 작은 만은 각각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브레겐츠 만, 하르트와 푸사흐 앞의 푸사흐 만, 그리고 그 서쪽의 베터빙켈 만이 있다. 더 서쪽으로 스위스에 있는 로르샤흐 만이 있으며, 북쪽 바이에른 쪽에는 로이틴 만이 있다. 린다우 섬으로 이어지는 본토의 철도 제방과 호수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 다리는 린다우 마을 에샤흐와 섬 사이에 있는 소위 작은 호수(''클라이너 제'')의 경계를 이룬다.

오버제의 북서쪽 손가락 모양의 지류는 위벨링거 호라고 불린다. 때로는 별개의 호수로 간주되며, 위벌린거 호와 나머지 상호 사이의 경계는 보단뤼크의 남동쪽 끝(콘스탄츠 마을에 속하는 ''외른레'')과 메어스부르크 사이의 선을 따라 대략적으로 이어진다. 콘스탄츠 호퍼는 콘스탄츠 동쪽의 독일과 스위스 해안 사이에 있다.

오버제와 운터제는 제어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운터제(하호)는 보단뤼크의 큰 반도에 의해 오버제와 북서쪽 지류인 위벌린거 제에서 분리되어 있으며, 면적은 63km2이다. 최종 빙퇴석, 여러 빙하 말단 및 중앙 빙퇴석에 의해 다양한 지역으로 강하게 구분되어 있다. 호수의 이러한 다양한 지역은 각각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라이헨나우 섬 북쪽에는 그나덴제가 있다. 라이헨나우 섬 서쪽, 회리 반도와 메트나우 반도 사이에는 첼러 제(또는 스위스 표준 독일어로 첼러제) 또는 첼러 호가 있다. 메트나우 반도와 습지 북쪽에는 마르켈핑거 빙켈 호수 부분이 있다. 남쪽 보단뤼크의 드럼린은 호수의 이러한 북쪽 부분의 바닥을 따라 계속된다. 라이헨나우 남쪽, 고틀리벤에서 에센츠까지는 곳곳에 강한 라인 강의 흐름이 있는 ''라인제''(문자 그대로 "라인 호수")가 뻗어 있다. 이전에 이 호수 부분은 베를린겐 마을의 이름을 따서 베르낭 호수라고 불렸다. 대부분의 지도에는 ''라인제''라는 이름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데, 이곳은 운터제라는 이름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25]

현재 보덴호의 형태는 여러 요인이 결합된 결과이다.

  • 알프스와 쥐라 산맥 사이에 있는 보덴호 분지는 쥬라기와 제3기 시대에 형성된 지질 구조적 분지이다.
  • 현재의 알프스 라인강은 원래 다뉴브 강의 지류였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분지는 하천 쟁탈을 통해 상류 침식( 하천 침식)으로 인해 상라인강에 의해 쟁탈당했다.
  • 쟁탈은 항상 현재 라인강 계곡을 따라서만 일어난 것은 아니었다. 위벨링겐 호는 더 오래된 계곡의 일부를 나타낸다.
  • 알프스 라인강 계곡에서 온 라인 빙하에 의해 여러 빙하기 동안 강 계곡이 깊어졌습니다(빙하 침식).
  • 현재 눈에 띄는 뷔름 빙하기의 흔적 뒤에는 더 오래된 빙하기의 영향을 자세히 조사할 수 없다. 보덴호는 현재, 무엇보다도 뷔름 빙하기의 빙퇴석호 또는 빙하호를 나타낸다.[26]
  • 빙하기의 후기 단계에서 오버제만 빙하에 덮였습니다. 빙하가 더 후퇴함에 따라, 나타나는 위벨링겐 호에서 녹은 물이 더 북쪽에 있는 오래된 계곡을 통해 현재 상라인강 계곡으로 흘러갔다.
  • 진행되는 상류 침식으로 인해 현재 상라인강의 흐름이 마침내 다시 보덴호와 연결되었다.[27]

3. 2. 구분

보덴호는 알프스 라인강의 주요 지류와 보덴호의 유출 지점인 고상 라인강 사이의 라인강을 따라 위치해 있다. 중앙 및 서유럽에서 표면적 기준으로 제네바 호와 발라톤 호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담수호이다.[5] 길이는 약 63km이고, 가장 넓은 지점의 너비는 약 14km이다. 면적은 약 536km2이고, 해발 395m에 위치한다. 최대 수심은 252m이며, 상호(Obersee) 중앙에 위치한다. 체적은 약 48km3이다.[5]

호수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 오버제(Obersee, "상호"): 주요 동쪽 부분으로, 북서쪽의 팔인 뤼베를링거제(Überlinger See, 61km2)를 포함하여 약 473km2를 차지한다.
  • 운터제(Untersee, "하호"): 더 작은 서쪽 부분으로, 약 63km2이다.[5][1]


이 두 호수는 제어라인(Seerhein)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지리적으로는 호수의 일부가 아니라 매우 짧은 강으로 간주된다.[5][3]

하호는 라이헨나우 섬 주변으로 세 부분으로 나뉜다.

  • 크나덴제(Gnadensee, "자비의 호수"): 섬의 북쪽과 메트나우 반도 북쪽에 있는 독일 지역
  • 첼러제(Zeller See): 라돌프첼 남쪽과 라이헨나우 섬 북서쪽에 있는 지역
  • 라인제(Rheinsee, "라인강 호수"): 주로 스위스 지역으로, 섬의 남쪽에 있으며 남서쪽 팔은 슈타인암라인의 유출 지점으로 이어진다. (시작 부분의 제어라인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5][1]


규제된 알프스 라인강은 오스트리아 브레겐츠 근처 남동쪽에서 호수로 유입되어 상호를 거쳐 거의 뤼베를링거제를 거치지 않고 콘스탄츠 시의 제어라인으로 들어가, 하호의 두 독일 지역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라인제를 통과하여 마지막으로 스위스 도시 슈타인암라인에서 고상 라인강의 시작 부분에 유입된다.[5][4][1]

보덴호는 알프스 산맥 기슭에 위치한다. 주요 호수 두 곳의 총 연안선 길이는 273km이다. 이 중 173km는 독일(바덴뷔르템베르크주 155km, 바이에른주 18km), 28km는 오스트리아, 72km는 스위스에 위치해 있다.[22] 상호 및 하호를 합치면 보덴호의 총 면적은 536km2로, 중앙유럽에서 발라톤호(594km2)와 제네바 호(580km2)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호수이다.

오버제(상호)의 면적은 473km2이다. 브레겐츠에서 보드만-루트비히스하펜까지 63.3km 이상 뻗어 있으며, 프리드리히스하펜로만스호른 사이의 너비는 14km이다. 피슈바흐와 우트빌 사이의 최대 수심은 251.14m이다. 포어아르베르크 연안의 세 개의 작은 만은 각각 고유한 이름을 가지는데, 브레겐츠 만, 하르트와 푸사흐 앞의 푸사흐 만, 그리고 그 서쪽의 베터빙켈 만이 있다. 더 서쪽으로 스위스에 있는 로르샤흐 만이 있으며, 북쪽 바이에른 쪽에는 로이틴 만이 있다.

오버제의 북서쪽 지류는 위벌린거 제(또는 스위스 표준 독일어로 위벌린거제)라고 불린다. 때로는 별개의 호수로 간주되며, 위벌린거 호와 나머지 상호 사이의 경계는 보단뤼크의 남동쪽 끝과 메어스부르크 사이의 선을 따라 대략적으로 이어진다. 콘스탄츠 호퍼는 콘스탄츠 동쪽의 독일과 스위스 해안 사이에 있다.

운터제(하호)는 보단뤼크의 큰 반도에 의해 오버제와 북서쪽 지류인 위벌린거 제에서 분리되어 있으며, 면적은 63km2이다. 최종 빙퇴석, 여러 빙하 말단 및 중앙 빙퇴석에 의해 다양한 지역으로 강하게 구분되어 있는데, 호수의 이러한 다양한 지역은 각각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라이헨나우 섬 북쪽에는 그나덴제가 있다. 라이헨나우 섬 서쪽, 회리 반도와 메트나우 반도 사이에는 첼러 제(또는 스위스 표준 독일어로 첼러제)가 있다. 메트나우 반도와 습지 북쪽에는 마르켈핑거 빙켈 호수 부분이 있다. 남쪽 보단뤼크의 드럼린은 호수의 이러한 북쪽 부분의 바닥을 따라 계속된다. 라이헨나우 남쪽, 고틀리벤에서 에센츠까지는 곳곳에 강한 라인 강의 흐름이 있는 ''라인제''(문자 그대로 "라인 호수")가 뻗어 있다.

3. 3. 유입 및 유출

보덴호의 주요 지류는 알프스 라인 강(Alpine Rhine)이다. 알프스 라인 강과 제어하인(Seerhein)은 호수의 물과 크게 섞이지 않고 상대적으로 변화가 적은 수로를 따라 호수를 흐른다. 또한 수많은 작은 지류(총 236개)가 있다. 오버제(Obersee)의 주요 지류는 (반시계 방향으로) 도른비르너 아흐(Dornbirner Ach), 브레겐츠 아흐(Bregenzer Ach), 라이블라흐(Leiblach), 아르겐(Argen), 슈센(Schussen), 로타흐(Rotach (Lake Constance)), 브루니사흐(Brunnisach), 제펠더 아흐(Seefelder Aach), 슈토카허 아흐(Stockacher Aach), 잘름자허 아흐(Salmsacher Aach), 아흐(아르본 근처)(Aach (Lake Constance, Arbon)), 슈타이나흐(슈타이나흐(Lake Constance)), 골다흐(골다흐(river)), 알트라인(푸스아흐)(Old Rhine (Fußach))이다. 오버제의 유출수는 제어하인(Seerhein)이며, 이는 다시 운터제(Untersee)의 주요 지류이다. 운터제의 가장 중요한 지류는 라돌프첼러 아흐(Radolfzeller Aach)이다. 라돌프첼러 아흐의 원천은 아흐토프(Aachtopf)이며, 이는 카르스트 용천(karst spring)으로 그 물은 대부분 도나우 싱크홀(Danube Sinkhole)에서 유래한다. 따라서 도나우 강(Danube) 또한 간접적으로 라인 강의 지류이다.

오버제의 유량 기준 상위 10개 지류[28] 및 그 유역 면적:[29]
평균 유량
(m3/s) (1978–1990)
유량
(%)
유역 분수계(Drainage divide)
(km2)
유역
(%)
알프스 라인 강(Alpine Rhine)23361.16,11956.1
브레겐츠 아흐(Bregenzer Ach)4812.68327.6
아르겐(Argen)195.36566.0
알트라인(라인 계곡 운하)(Old Rhine
(Rhine Valley Canal))
123.13603.3
슈센(Schussen)112.98227.5
도른비르너 아흐(Dornbirner Ach)7.01.81961.8
라이블라흐(Leiblach)3.30.91051.0
제펠더 아흐(Seefelder Aach)3.20.82802.6
로타흐(Rotach)2.00.51301.2
슈토카허 아흐(Stockacher Aach)1.60.42212.0
상위 10개 지류 합계34089.69,72189.2
총 유입량381100.010,903100.0



알프스 라인 강은 산에서 부유물(drift (geology))을 가져와 퇴적(sedimentation))물질로 퇴적시키기 때문에 브레겐츠 만은 수세기 안에 매몰될 것이다. 보덴호 전체의 매몰에는 추가적으로 1만~2만 년이 걸릴 것으로 추산된다.

운터제(Untersee)의 유출수는 라인강 상류(High Rhine)이며, 샤프하우젠(Schaffhausen)에 있는 라인 폭포(Rhine Falls)가 있다. 연평균 강수량 0.45km3/년과 연평균 증발량 0.29km3/년은 모두 보덴호(Lake Constance) 수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유입량과 유출량에 비해 적다.[23] 보덴호 주변의 지방 상수도 사업소와 보덴제-바서페르조르궁(Bodensee-Wasserversorgung) 수도회사에서 추가로 호수의 물을 취수한다.

3. 4. 섬과 반도

보덴호에는 2,000m²보다 큰 섬이 10개 있다.

압도적으로 가장 큰 섬은 운터제에 있는 라이헨나우 섬(Insel Reichenau)으로, 라이헨나우 시에 속한다. 옛 라이헨나우 수도원(Reichenau Abbey)은 세 개의 초기 중세 시대 교회 덕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 섬은 또한 집약적인 과일채소 재배로도 유명하다.

린다우 섬(Insel Lindau)은 오버제 동쪽에 위치하며 두 번째로 큰 섬이다. 이 섬에는 린다우의 구시가지와 기차역이 있다.

세 번째로 큰 섬은 뤼베를링겐호 남동쪽에 있는 마이나우(Mainau) 섬이다. 소유주인 베르나도테 가문(House of Bernadotte)은 이 섬을 관광 명소로 조성하고 식물원과 야생동물 보호구역을 만들었다.

상대적으로 크지만, 자연보호구역이기 때문에 사람이 살지 않고 접근이 불가능한 섬으로는 볼마팅거 리트(Wollmatinger Ried) 앞바다에 있는 두 개의 섬이 있다. 면적이 13ha인 트리볼딩거보흘(Triboldingerbohl)과 면적이 3ha인 미틀러 또는 랑보흘(Mittler or Langbohl)이 그것이다.

오버제에 있는 작은 섬들은 다음과 같다.

  • 6미터 너비의 도랑으로 콘스탄츠 구시가지와 분리된 도미니카 섬(''Dominikanerinsel'')에는 슈타이겐베르거 호텔이 있다. (2ha)
  • 린다우 근처의 작은 섬 호이(Hoy) 섬
  • 후사흐 쪽 라인 제방에 있는 10개의 인공 섬
  • 로만스호른 항구 근처의 작은 섬
  • 크로이츨링겐의 제파크(Seepark) 근처에 있는 볼슈바이니인절(Wollschweininsel, 공식 명칭 ''Wulesaueninsle'')


운터제에는 다음과 같은 섬이 있다.

  • 베르트(Werd), 미틀러레스 베르들리(Mittleres Werdli), 운터레스 베르들리(Unteres Werdli) 섬은 함께 베르트 제도(Werd Islands)를 이루며, 슈타인암라인에서 운터제에서 라인강이 상라인(High Rhine)으로 흘러나오는 곳에 위치한다.
  • 소위 리베스인절(Liebesinsel, "사랑의 섬", 2620m2)은 메트나우 반도 남서쪽에 위치한다.


보덴호에는 크기가 매우 다양한 여러 반도가 있다.

  • 보단뤼크(Bodanrück)는 가장 큰 반도로, 뤼버링어제(오버제, Überlinger See)와 운터제(Untersee)를 분리한다. 면적은 약 112km2이다.
  • 메트나우(Mettnau)는 운터제에 있으며, 라이헨아우 섬(Island of Reichenau) 쪽으로 뻗어 있으며 남쪽의 첼러제(Zeller See)와 북쪽의 마르켈핑거 빙켈(Markelfinger Winkel)을 분리한다. 면적은 약 1.7km2이다.
  • 뢰리(Höri)(약 45km2)는 라이헨아우 섬(Island of Reichenau) 쪽으로 뻗어 있으며, 북쪽의 첼러제(Zeller See)와 남쪽의 라인제(Rheinsee)를 분리한다.
  • 남동쪽, 새로운 라인 운하(new Rhine Canal)의 입구 근처에는 로어슈피츠(Rohrspitz)가 호수로 약 1.2km 정도 돌출되어 있으며, 후사흐 만(Bay of Fußach)의 서쪽 경계를 형성한다. 면적은 약 50헥타르이다.
  • 바서부르크(Wasserburg) 반도에는 바서부르크 성(Schloss Wasserburg)과 성 조지 교구 교회가 있다. 이 반도는 오버제(Obersee)의 북동쪽 해안에 있으며, 서쪽의 노넨호른 만(Bay of Nonnenhorn)과 동쪽의 바서부르크 만(Bay of Wasserburg) 사이에 위치한다. 면적은 약 2.3ha이며, 1720년까지는 푸거(Fugger) 가문이 제방을 건설하기 전까지 섬이었다. 2009년 3월에는 27명이 이 반도에 거주했다.
  • 로이틴 만(Bay of Reutin)의 갈겐인젤(Galgeninsel)("교수대 섬") 또한 이전에는 섬이었던 반도이다. 면적은 0.16ha에 불과하다.

3. 5. 해안

보덴호의 해안은 대부분 자갈로 이루어져 있다. 일부 지역에는 로어슈피츠(Rohrspitz) (보덴호의 오스트리아 지역), 랑겐아르겐(Langenargen), 마리엔슐루흐(Marienschlucht)와 같이 모래 해변도 있다.

보덴호 국제 수질 보호 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대략적인 해안선 길이는 273km이다(해안선 역설 참조). 강수량과 알프스 산맥의 눈 녹는 물의 양에 따라 유입되는 수량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보덴호의 평균 수면 높이는 약 395m이다 (스위스에서는 해발 고도가 약간 더 높다). 다소 규칙적인 계절별 수위 변동으로 인해 해안선 길이와 해안대 서식지에도 약간의 변화가 발생한다 (고수위와 저수위에 따라 다름).

4. 생태

19세기까지 보덴호는 자연 호수였다. 그 이후 호숫가 주변의 많은 토지가 개간 및 경작되어 자연 환경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자연 보호 구역을 중심으로 거의 자연 상태의 지역이 상당 부분 보존되거나 재자연화되었다. 그 결과, 보덴호 지역은 보덴뤼크의 광대한 삼림 지역, 볼마팅거 리트의 습지 용담과 ''닥틸로리자''속 및 ''오르키스''속의 난초류, 그리고 에리스키르허 리트의 시베리아붓꽃(''Iris sibirica'')을 포함하여 특이한 생태적 특징을 갖게 되었다.[46] 지역 식물군 중 독특한 종은 교란되지 않은 석회암 자갈 해변에 서식지가 제한된 보덴호 잊지마세요(''Myosotis rehsteineri'')이다.

보덴호는 많은 조류의 서식지이기도 하며, 그중 많은 종이 볼마팅거 리트 또는 메트나우 반도와 같은 자연 보호 구역에 둥지를 틀고 있다. 지금까지 412종이 기록되었다.[47]

보덴호에는 약 45종의 어류가 서식하며, 연간 어획량은 150만kg에 달한다. 흰살생선(Coregonus spec.)과 무지개송어(Salvelinus alpinus)는 보덴호의 위치를 고려할 때 특이한 종이다.

오랫동안 많은 외래종들이 보덴호 생태계에 정착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토착 동식물을 멸종 위기에 처하게 하거나 위협했다. 보덴호에서는 매년 외래종이 증가하고 있다. 여러 종이 다른 수역에서 배의 외부, 구명조끼, 닻줄, 로프, 또는 다이빙 장비에 '밀항'하여 이동되었다.[60] 다른 종들은 마인-다뉴브 운하 개통 이후 흑해나 다뉴브 강에서 유입되었다. 또 다른 종들은 의도적으로 도입되었다.[61]

4. 1. 동식물

알프스 라인 강이 보덴호로 유입되는 모습


19세기까지 보덴호는 자연 호수였다. 그 이후 호숫가 주변의 많은 토지가 개간 및 경작되어 자연 환경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자연 보호 구역을 중심으로 거의 자연 상태의 지역이 상당 부분 보존되거나 재자연화되었다. 그 결과, 보덴호 지역은 특이한 생태적 특징을 갖게 되었다. 여기에는 보덴뤼크의 광대한 삼림 지역, 볼마팅거 리트의 습지 용담과 ''닥틸로리자''속 및 ''오르키스''속의 난초류, 그리고 에리스키르허 리트의 시베리아붓꽃(''Iris sibirica'')이 포함된다.[46] 지역 식물군 중 독특한 종은 교란되지 않은 석회암 자갈 해변에 서식지가 제한된 보덴호 잊지마세요(''Myosotis rehsteineri'')이다.

메트나우 반도


보덴호는 많은 조류의 서식지이기도 하며, 그중 많은 종이 볼마팅거 리트 또는 메트나우 반도와 같은 자연 보호 구역에 둥지를 틀고 있다. 지금까지 412종이 기록되었다.[47]

4. 2. 어류

보덴호에는 약 45종의 어류가 서식하며, 연간 어획량은 150만kg에 달한다. 흰살생선(Coregonus spec.)과 무지개송어(Salvelinus alpinus)는 보덴호의 위치를 고려할 때 특이한 종이다. 어업에 중요한 어종은 다음과 같다.

학명독일어기타
Coregonus wartmanni보덴호펠헨(Blaufelchen)
Coregonus arenicolus모래펠헨(Weißfelchen)
Coregonus macrophthalmus강생선
Coregonus gutturosus보덴호 흰살생선(Kilch)
Thymallus thymallus시마송어(Äsche)
Perca fluviatilis농어(Flussbarsch, Kretzer, Barschling, Egligsw)
Abramis brama붕어(Brachse, Brasse)
Esox lucius파이크(Hecht)
Sander lucioperca산더
Lota lota버벗(Quappe, Trüsche)[56]
Anguilla anguilla뱀장어(Aal)
Cottus gobio유럽 개구리매기(Groppe)
Tinca tinca잉어(Schleie)
Silurus glanis메기(Wels)
Salmo trutta lacustris호송어(Seeforelle)



보덴호펠헨(Coregonus wartmanni)은 보덴호에서 다량으로 발견되어 호수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다른 송어와 유사하게 현지 어류 레스토랑에서 통째로 또는 필레로, "밀러 부인 스타일"(nach Müllerin Art)로 요리된다.[57] 또한 훈제로도 자주 제공된다.

보덴호에만 서식하는 두 종의 고유종이 알려져 있는데, 보덴호 킬치(Coregonus gutturosus)와 심해송어(Salvelinus profundus)이다. 전자는 현재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며, 후자는 2010년대 재발견될 때까지 수십 년 동안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58][59]

2001년에는 150명의 전문 어부들이 약 1000ton의 물고기를 잡았는데, 이는 연평균 1200ton이었던 지난 10년의 평균치보다 낮은 수치였다. 보덴호 송어(Salmo trutta)는 1980년대 오염으로 인해 거의 멸종 위기에 처했지만, 보호 조치 덕분에 개체 수가 크게 회복되었다. 보덴호는 멸종 위기에 처한 심해송어(Salvelinus profundus)의 서식지이며,[85] 과거에는 현재 멸종된 보덴호 흰살생선(Coregonus gutturosus)도 서식했다.[86]

4. 3. 유입종

오랫동안 많은 외래종들이 보덴호 생태계에 정착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토착 동식물을 멸종 위기에 처하게 하거나 위협했다. 보덴호에서는 매년 외래종이 증가하고 있다. 여러 종이 다른 수역에서 배의 외부, 구명조끼, 닻줄, 로프, 또는 다이빙 장비에 '밀항'하여 이동되었다.[60] 다른 종들은 마인-다뉴브 운하 개통 이후 흑해나 다뉴브 강에서 유입되었다. 또 다른 종들은 의도적으로 도입되었다.[61]

5. 교통

보덴호에는 여러 주요 항구가 있으며, 이 항구들은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에 걸쳐 있다.[30][31][32][33][34][35]

국가항구
오스트리아브레겐츠(Bregenz)
스위스로르샤흐, 로만스호른(Romanshorn)
독일린다우, 프리드리히샤펜(Friedrichshafen), 메어스부르크(Meersburg), 운터울딩겐(Unteruhldingen), 콘스탄츠(Konstanz)



콘스탄츠 항구에 도착하는 MS 카를스루에호


또한, 자동차 페리가 로만스호른(Romanshorn)과 프리드리히샤펜(Friedrichshafen), 콘스탄츠(Konstanz)와 메어스부르크(Meersburg)를 연결한다.[2][1] 1869년부터 1976년까지는 호수를 가로지르는 열차 페리도 운행되었다.

보덴호와 상라인강의 선박 운항 노선


보덴호에서는 레저 보트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1년 초 기준으로 57,875척의 레저용 선박이 등록되어 있었다.[81] 보덴호의 모든 선박 운항은 보덴호 선박 운항 조례에 따라 규제되며,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의 수상 경찰("제포리차이(Seepolizei)")이 이를 감시한다. 모든 보트는 등록되어야 하고, 보트 운전자는 보덴호에서 특허받은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허가(Bodenseeschifferpatent)를 소지해야 한다.

'''주요 보트 행사'''[82][83][84]

  • 1979년부터 매년 성모 승천 대축일에 유럽 최대 규모의 선박 행렬이 열린다.
  • 매년 초여름에는 린다우에서 출발하여 메어스부르크, 위벌링겐, 로만스호른을 거쳐 다시 린다우로 돌아오는 "룬둠"(전체) 레가타가 개최된다.


린다우 인근의 "룬둠"(전체) 레가타

  • 2009년부터 콘스탄츠에서는 매년 수상 스포츠 및 요트 축제인 "국제 보덴호 위크"가 열린다.
  • 프리드리히스하펜에서는 매년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수상 스포츠 박람회 중 하나인 인터부트(Interboot)가 열린다.


호숫가 근처에는 프리드리히스하펜 공항 (독일)과 산 갈렌-알텐라인 공항 (스위스)이 있다. 체펠린 NT는 프리드리히스하펜 공항에서 출발하여 보덴호 주변을 관광하는 비행선 비행을 제공한다.[39]

5. 1. 도로

서쪽으로는 분데스슈트라세 33호선(B 33, 고속도로), 분데스오토반 81호선(A 81) (슈토카흐, 콘스탄츠), 분데스오토반 98호선(A 98)이 있다. 스위스에는 오토반 7호선 (A7), 오토반 1호선 (A1), 오토반 23호선 (A23)이 있다. 동쪽으로는 브레겐츠 라인탈/발가우 오토반(A 14), 린다우 분데스오토반 96호선(A 96), 분데스슈트라세 31호선(B 31)이 있다.

5. 2. 선박/페리

보덴호에는 여러 주요 항구가 있으며, 이 항구들은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에 걸쳐 있다. 주요 항구는 다음과 같다:[30][31][32][33][34][35]

국가항구
오스트리아브레겐츠(Bregenz)
스위스로르샤흐, 로만스호른(Romanshorn)
독일린다우, 프리드리히샤펜(Friedrichshafen), 메어스부르크(Meersburg), 운터울딩겐(Unteruhldingen), 콘스탄츠(Konstanz)



또한, 자동차 페리가 로만스호른(Romanshorn)과 프리드리히샤펜(Friedrichshafen), 콘스탄츠(Konstanz)와 메어스부르크(Meersburg)를 연결한다.[2][1] 1869년부터 1976년까지는 호수를 가로지르는 열차 페리도 운행되었다.

콘스탄츠 항구는 스위스 운터제와 라인 선박 운영회사(URh)의 서비스를 받으며, ''제호(Seerhein)'', 하호 및 상라인강(High Rhine)을 거쳐 샤프하우젠(Schaffhausen)까지 운행한다.[36]

보덴호에서는 레저 보트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11년 초 기준으로 57,875척의 레저용 선박이 등록되어 있었다.[81]

보덴호의 모든 선박 운항은 보덴호 선박 운항 조례(Bodensee-Schifffahrtsordnung)에 따라 규제되며,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의 수상 경찰("제포리차이(Seepolizei)")이 이를 감시한다. 모든 보트는 등록되어야 하고, 보트 운전자는 보덴호에서 특허받은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허가(Bodenseeschifferpatent)를 소지해야 한다.

'''주요 보트 행사'''[82][83][84]


  • 1979년부터 매년 성모 승천 대축일에 유럽 최대 규모의 선박 행렬이 열린다.
  • 매년 초여름에는 린다우에서 출발하여 메어스부르크, 위벌링겐, 로만스호른을 거쳐 다시 린다우로 돌아오는 "룬둠"(전체) 레가타가 개최된다.



  • 2009년부터 콘스탄츠에서는 매년 수상 스포츠 및 요트 축제인 "국제 보덴호 위크"가 열린다.
  • 프리드리히스하펜에서는 매년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수상 스포츠 박람회 중 하나인 인터부트(Interboot)가 열린다.

5. 3. 철도

포어아르베르크 S-반(S1) 열차가 포어아르베르크 철도 노선을 운행하는 모습


보덴호 주변에는 여러 철도 노선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 노선들은 오스트리아, 독일, 리히텐슈타인, 스위스 4개국에 걸쳐 운행되는 지역 열차 서비스(S-반, 레기오익스프레스, Regional-Express)에 의해 운영된다.[37] 스위스에서는 S-반 상트갈렌에 속하며, THURBO(스위스 연방 철도, SBB), Südostbahn(SOB) 및 아펜첼 철도(AB)에서 열차를 운행한다.[38] 북쪽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주변 철도(Bodensee-Gürtelbahnde)는 DB 레기오와 SBB GmbH에서 운영한다. 오스트리아와 리히텐슈타인에서는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ÖBB)가 포어아르베르크 S-반을 운영한다. 보덴호 주변 지역 열차 서비스는 보덴호 S-반으로 판매된다.

항구 근처 철도역으로는 브레겐츠 하펜, 프리드리히스하펜 하펜, 콘스탄츠, 크로이츠링엔 하펜, 린다우-인젤, 라돌츠첼, 로만스호른, 로르샤흐 하펜이 있다.

장거리 열차(RJ/RJX, EC/ECE, IC (DB)/IC (SBB), IR, IRE)는 브레겐츠, 프리드리히스하펜 슈타트, 콘스탄츠, 린다우-로이틴, 로만스호른과 같은 대형 호숫가 철도역을 주요 도시와 연결한다.

5. 4. 항공

호숫가 근처에는 두 개의 공항이 있다. 독일의 프리드리히스하펜 공항과 스위스의 산 갈렌-알텐라인 공항이다. 체펠린 NT는 프리드리히스하펜 공항에서 출발하여 보덴호 주변을 관광하는 비행선 비행을 제공한다.[39]

6. 기후



보덴호 지역은 광대한 호수의 영향으로 온화한 기온과 완만한 기온차를 보인다. 콘스탄츠는 연간 2069시간의 일조량을 기록하여 독일에서 가장 햇볕이 잘 드는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겨울은 보통 짧고 온화하지만, 12월부터 2월까지는 밤 기온이 0°C 아래로 내려가기도 한다. 낮 기온은 보통 5°C에서 12°C 사이이며, 밤 기온은 평균 1°C에서 8°C 정도이다. 춥기는 하지만, 길고 심한 서리는 드물다. 알프스산맥에서 불어오는 따뜻한 바람인 푄은 며칠 동안 15°C에서 20°C의 따뜻하고 맑은 날씨를 가져오기도 하지만, 안개는 매년 1°C에서 5°C의 추운 날씨를 며칠 동안 유발한다. 보덴호는 내륙 지역보다 안개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편이다.

봄은 3월부터 5월까지이며, 보통 맑고 낮 기온은 15°C에서 22°C 사이이다. 하지만 물은 비교적 차가워서 3월에는 4°C, 5월에는 12°C 정도에 머무르기 때문에 밤에는 여전히 쌀쌀하다.

따뜻한 날씨가 길어지면서 호수 온도가 올라가면 밤 기온도 온화해지지만, 고도와 호수의 영향으로 다소 누그러진다. 한여름에는 평균 아침 최저 기온이 16°C~18°C 정도이다. 보덴호는 독일에서 최저 기온이 20°C 이상인 열대야 일수가 가장 많은 곳 중 하나이다.

여름(6월~9월)에는 낮 기온이 평균 26°C~33°C로 따뜻하거나 더우며, 9월 말까지는 약 20°C로 떨어진다. 습도가 높아 6월부터 8월까지는 기온이 종종 35°C까지 올라가 불쾌지수가 높아진다.

이 지역은 한여름에 맑은 날이 가장 많다.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2018년과 2022년에는 몇 주 동안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수위가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반면, 알프스와 가까워 저녁에 갑작스러운 뇌우가 발생할 수 있다.

공식적인 수영 시즌은 9월에 끝나지만, 10월까지 평균 호수 온도는 약 20°C를 유지한다. 가을에는 보덴호에 안개가 낀 아침이 잦아지지만, 낮 기온은 초반에는 21°C, 계절 말에는 10°C~12°C로 다양하다. 밤 기온은 9월 13°C에서 11월 평균 5°C로 떨어진다.

보덴호는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포도 재배 지역 중 하나이며, 가을 수확철에는 다양한 야외 행사가 열린다.

6. 1. 폭풍 경보

보덴호는 날씨가 급변하여 돌풍과 파도를 일으킬 수 있어 수상 스포츠에 위험한 호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알프스에서 불어오는 따뜻한 하강풍인 푄은 알프스 라인 계곡(Alpine Rhine Valley)을 통해 퍼져나가 수 미터 높이의 파도를 만들 수 있어 위험하다.

푄 바람에 의해 일어난 파도


여름철 뇌우 시 갑자기 발생하는 돌풍도 주의해야 한다. 2006년 7월에는 뇌우로 인해 파도 높이가 최대 3.50미터까지 이르기도 했다.

여름 폭풍 – 린다우의 루이트폴트 병영(Luitpoldkaserne (Lindau)) 전경


이러한 위험 때문에 보덴호에 인접한 세 국가(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는 폭풍 경보 시스템을 운영한다. 보덴호는 서쪽, 중앙, 동쪽의 세 경보 지역으로 나뉘며, 각 지역별로 독립적인 경보가 발령될 수 있다.

경보 종류발령 조건섬광등 깜박임 횟수
강풍 경보25~33노트(보퍼트 풍력계 6~8) 풍속 예상분당 40회
폭풍 경보34노트 이상(보퍼트 풍력계 8 이상) 강풍 예상분당 90회



각 국가별 규정과 판단 기준이 달라 스위스 쪽에서는 폭풍 경보가 발령되어도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쪽에서는 발령되지 않거나, 그 반대의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보덴호를 운항하는 선박과 페리는 폭풍 경보를 알리기 위해 돛대에 "슈투름발론(Sturmballon)"("폭풍구")을 게양한다.

6. 2. 결빙

보덴호는 100년에 한 번 정도 완전히 얼어붙는데, 이를 알레만어로 "Seegfrörne"라고 부른다. 마지막 완전 결빙은 1963년에 발생했다.[40][41]

다음은 보덴호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얼었던 해이다.

연도
875, 895
1074, 1076
1108
1217, 1227, 1277
1323, 1325, 1378, 1379, 1383
1409, 1431, 1435 (완전 결빙), 1460, 1465, 1470, 1479
1512, 1517, 1553, 1560 (완전 결빙), 1564, 1565, 1571, 1573 (완전 결빙)
1684, 1695 (완전 결빙)
1788, 1796 (완전 결빙)
1830 (완전 결빙), 1880 (완전 결빙)
1929, 1963 (완전 결빙)



호수의 얕고 외진 곳은 더 자주 어는데, 마르켈핑겐(Markelfingen) 시와 메트나우(Mettnau) 반도 사이의 마르켈핑거 빙커(Markelfinger Winkel)가 대표적이다.

1963년 보덴호 결빙


얼어붙은 호수 표면: 마르켈핑거 빙커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모습

6. 3. 홍수

보덴호는 날씨 변화가 심하여 수상 스포츠에 위험한 호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알프스에서 불어오는 따뜻한 바람인 푄은 알프스 라인 계곡을 통해 퍼져나가 수 미터 높이의 파도를 일으킨다.

여름철 뇌우 시 발생하는 돌풍도 큰 피해를 야기하며, 2006년 7월에는 파도 높이가 최대 3.50미터에 달하기도 했다.

이러한 위험 때문에 보덴호 주변 3개국(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은 폭풍 경보 시스템을 운영한다. 호수는 서쪽, 중앙, 동쪽 세 구역으로 나뉘어 각 구역별로 경보가 발령된다. 강풍 경보는 25~33노트(보퍼트 풍력계 6~8)의 풍속이 예상될 때, 폭풍 경보는 34노트 이상(보퍼트 풍력계 8 이상)의 강풍이 예상될 때 발령된다. 경보는 호수 주변에 설치된 주황색 섬광등으로 표시되며, 강풍 시 분당 40회, 폭풍 시 분당 90회 깜박인다.

국가별 규정과 판단 기준 차이로 인해 스위스 쪽에서는 폭풍 경보가 발령되어도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쪽에서는 발령되지 않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보덴호의 선박과 페리는 돛대에 "슈투름발론"("폭풍구")을 올려 폭풍 경보를 알린다.

보덴호에서 발생한 주요 홍수는 다음과 같다.

발생 시기사건피해
1999년 6월경100년 홍수(Pfingsthochwasser 1999)수위 약 2미터 상승, 항구 및 해안가 건물 침수
2005년 8월 말폭우수일 만에 수위 70cm 이상 상승, 광범위한 홍수, 고속도로 및 철도 유실
2024년 여름잦은 강우와 눈 녹은 물수위 68cm 상승



2013년 5월 보덴호 해안의 홍수

7. 국제 경계



포도밭에서 바라본 보덴호


보덴호는 오스트리아, 독일, 스위스 3개국이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다.[42] 깊이가 25m 미만인 지역은 가장 가까운 국가의 관할권 하에 있다고 간주되지만, 그 외 지역에 대한 3개국 간의 국경선은 법적으로 구속력 있는 협정이 없다.[43] 그러나 스위스는 국경이 호수 중앙을 지난다고 주장하는 반면, 오스트리아는 분쟁 지역이 호숫가에 있는 모든 국가에 속하는, 소위 "공동 통치지"라고 주장하며, 독일은 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44] 선박 운송 및 어업과 관련된 법적 문제는 별도의 조약으로 규제된다.

분쟁이 종종 발생한다. 한 가지 사례는 두 국가에 정박한 하우스보트에 관한 것이고(유럽사법재판소(ECJ) c. 224/97 Erich Ciola 판결), 다른 사례는 브레겐츠 만의 어업권과 관련된 것이다. 후자와 관련하여, 한 오스트리아 가족은 브레겐츠 만의 넓은 지역에서 오직 자신들만이 어업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오스트리아 법원이나 다른 국가의 기관 및 법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45]

8. 관광, 레저 및 스포츠

보덴호 지역은 관광 및 레저 산업이 매우 발달한 곳이다. 2012년에는 1,756만 명의 숙박객이 방문하여 약 19억유로의 매출을 기록했다.[67]

이 지역은 관광, 수상 스포츠, 동계 스포츠, 하계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으로 유명하다. 특히, 현대식 체펠린 비행선을 타고 보덴호 상공을 비행하며 여러 명소를 둘러보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68]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리히텐슈타인의 관광 관련 기관들이 협력하여 설립한 국제 보덴호 관광 GmbH(IBT GmbH)가 보덴호 지역의 관광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다.[69]

보덴호에서 수영하기 가장 좋은 시기는 6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이다. 수온은 20°C에서 27°C 사이이며, 맑은 날에는 하루에 최대 3°C의 온도 변화가 있어 따뜻한 여름 저녁에 수영하기 좋다.[78]

콘스탄츠, 프리드리히스하펜, 린다우(이상 독일), 브레겐츠(오스트리아) 등의 호반 도시들은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장크트갈렌 수도원(스위스)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보덴호 문화권에 속한다.[89] 호반에서는 포도가 재배되고 와인 생산이 활발하다. 라인강은 보덴호로 흘러들어와 다시 독일로 흘러나가며, 얼마 지나지 않아 라인 폭포로 떨어진다. 보덴호의 물은 슈투트가르트와 같은 공업 도시에 공급되어 공업 용수로 사용된다.

마이나우 섬은 섬 전체가 정원으로 꾸며져 '꽃의 섬'이라고 불리며, 마이나우 성과 함께 주요 관광 명소이다. 라이헨나우 섬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린다우 노벨상 수상자 회의가 매년 개최되는 린다우 섬도 매력적인 관광지이다. 보덴호 남부의 라인강 삼각주와 서부의 볼마팅거 습원, 민델 호 부근의 수역, 갈대밭, 습원, 하천변 숲은 람사르 협약 등록지이다.[90][91]

보덴호에는 기원전 5000년경부터 기원전 500년경까지 건설된 알프스산맥 주변의 선사 시대 말뚝 건축 유적의 일부가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8. 1. 주요 관광 명소

보덴호와 그 주변 지역은 훌륭한 관광 인프라와 더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콘스탄츠, 위벌링겐, 메어스부르크, 프리드리히스하펜, 린다우, 로만스호른, 로르샤흐, 브레겐츠와 같은 도시는 보트 관광과 호수 횡단 페리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한다.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샤프하우젠 근처의 라인 폭포: 유럽에서 가장 큰 폭포 중 하나이다.
  • 마이나우 섬: 섬 전체가 정원으로 꾸며져 있어 '꽃의 섬'이라고도 불린다. 마이나우 성과 다양한 정원이 있다.
  • 린다우 섬: 매년 린다우 노벨상 수상자 회의가 개최되는 곳이다.
  • 라이헨나우 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섬이다.
  • 빌나우 순례 교회
  • 살렘 수도원
  • 메어스부르크 성
  • 파일바움제움 운터울딩겐: 말뚝집 박물관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프리드리히스하펜 체펠린 박물관
  • 라이헨나우 오베르첼 성 게오르그 교회
  • '''라인샤우엔''' 유산 철도


보덴호 남부로 흘러드는 라인강 삼각주와 서부의 볼마팅거 습원(Wollmatinger Ried) 및 민델 호수(Mindelsee) 부근 일대의 수역, 갈대밭, 습원, 하천변 숲 등은 람사르 협약 등록지이다.[90][91]

기원전 5000년경부터 기원전 500년경까지 알프스 산맥 주변에 건설되었고,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알프스 산맥 주변의 선사 시대 말뚝 건축 유적의 일부가 보덴호에 존재한다.

또한, 현대식 체펠린 비행선이 운항되는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로, 12~14명이 보덴호 상공을 비행하며 여러 명소를 둘러볼 수 있다.[68]

8. 2. 문화 행사

보덴호에서는 매년 브레겐츠의 부유식 무대 등 여러 장소에서 열리는 유명한 예술 축제인 브레겐츠 페스트슈필레가 개최된다. 공연되는 오페라, 연극, 콘서트는 보통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의 ''마술피리''나 베르디(Giuseppe Verdi)의 ''리골레토''와 같이 인기 있는 작품들이다.[70]

2001년부터 도른비른에서는 수집가, 예술가, 미술 애호가들의 교류를 위한 연례 행사인 ART BODENSEE가 열리고 있다.[71]

8. 3. 자전거 및 하이킹

보덴호 주변에서는 "보덴제 자전거 도로(Bodensee-Radweg)"라고 불리는 약 261km 길이의 자전거 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도로는 방문객들을 가장 흥미로운 장소들로 안내하며 호수 전체를 둘러싼다.[72] 여러 곳의 페리 단축로를 이용하면 더 짧은 경로로 갈 수 있으며, 이 도로는 모든 수준의 사람들에게 적합하다.[72]

"보덴제 순환 도로(Bodensee-Rundweg)"는 보행자를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자전거 이용이 적합하지 않거나 허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73] 260km 길이의 보덴호 순환 도보길("Bodensee Rundwanderweg" 표지판)은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영토를 거쳐 보덴호 주변을 따라 이어진다.[74] 이 도보길은 다양한 길이의 구간으로 나누어 걸을 수 있으며, 호수, 풍경, 야생 동물의 아름다운 전망을 제공한다.

8. 4. 다이빙

보덴호에서의 다이빙은 매력적이지만, 동시에 도전적인 스포츠로 여겨진다. 다이빙 지역 대부분은 호수 북쪽((Überlingen), (Ludwigshafen), (Marienschlucht) 등)에 위치하며, 남쪽에도 일부 지역이 있다.[79] 이 지역에서는 현지 다이빙 학교나 숙련된 다이버의 안내를 받는 숙련된 다이버만이 다이빙을 해야 한다. 마리엔슐루흐트 앞 호수의 "악마의 식탁"(Teufelstisch)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의 다이빙은 콘스탄츠 구청의 승인을 받아야만 가능하다.[79]

콘스탄츠 호수의 다이빙 명소 "악마의 식탁"


유럽에서 유명한 담수 침선으로는 바퀴선 유라(Jura)가 있으며, (Bottighofen) 앞 39m 수심에 가라앉아 있다. 투르가우 주(Thurgau) 프라우엔펠트(Frauenfeld)의 고고학 사무소는 유라를 수중 산업 유적지로 보호하고 있다.[80]

보덴호의 수온은 여름에도 10m 수심에서 10°C 이하로 낮아지기 때문에, 모든 다이버에게는 이러한 온도에서 얼지 않는 적절한 저온용 레귤레이터가 필수적이다.

9. 주변 도시

라인강 어귀에서 북쪽 또는 오른쪽 기슭을 따라 다음과 같은 도시들이 위치한다.


  • 상호수(Obersee)
  • 린다우 (바이에른 주)
  • 바서부르크
  • 노넨호른
  • 크레스브론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 랑겐아르겐
  • 에리스키르히
  • 프리드리히스하펜
  • 이멘슈타트
  • 하그나우
  • 슈테텐
  • 메어스부르크
  • 울딩겐-뮐호펜 (위벌링거제)
  • 위벌링겐
  • 지플링겐
  • 보드만-루트비히스하펜 (루트비히스하펜, 보드만)
  • 콘스탄츠와 그 주변 지역
  • 발하우젠
  • 딩겔스도르프
  • 리첼슈테텐
  • 하호수(Untersee)
  • 라이헨나우 섬 (동일한 이름의 섬 포함)
  • 알렌스바흐 (그나덴제)
  • 라돌프첼 (첼러제)
  • 모스
  • 가이엔호펜
  • 외닝겐

참조

[1] 지도 Bodensee https://www.geoporta[...] Landesamt für Geoinformation und Landentwicklung Baden-Württemberg 2017-12-20
[2] 지도 Bodensee https://s.geo.admin.[...] Federal Office of Topography – swisstopo
[3] 지도 Bodensee https://s.geo.admin.[...] Federal Office of Topography – swisstopo 2008-01-01
[4] 지도 Lindau https://s.geo.admin.[...] Federal Office of Topography – swisstopo 2008-01-01
[5] 웹사이트 Bodensee-Daten https://www.igkb.org[...] igkb Internationale Gewässerschutzkommission für den Bodensee 2004-06-01
[6] 지도 Piz Russein http://s.geo.admin.c[...] Federal Office of Topography – swisstopo 2013-01-01
[7] 위키 Fünf Ortszeiten am Bodensee 2018-01-08
[8] 서적 Lexikon schwäbischer Ortsnamen. Herkunft und Bedeutung. https://books.google[...] Verlag C. H. Beck 2013
[9] 학술지 Bodensee – Geschichte eines Wortes Selbstverlag des Bodenseegeschichtsvereins 1982
[10] 서적 Am Bodensee Stadler Verlagsgesellschaft 2004
[11] 서적 Geschichte der Stadt Konstanz Gess 1911
[12] 학술지 Der Bodensee im 16. Jahrhundert http://www.vorarlber[...] Vorarlberger Verlagsanstalt 2005
[13] 뉴스 Der Bodensee lädt nicht nur zum Baden ein. http://www.seezeiche[...] 2015-08-07
[14] 잡지 Pfahlbauten: die frühe Besiedelung des Alpenvorlandes Spektrum-Verlag 1989
[15] 웹사이트 Rätselhafte Steinstrukturen im Bodensee https://archaeologie[...] Amt für Archäologie 2018-01-01
[16] 잡지 Bohren nach dem Rätsel https://www.thurgauk[...] 2019-06-11
[17] 뉴스 Die rätselhaften Steinhügel im Bodensee stammen vermutlich aus der Bronzezeit https://www.nzz.ch/w[...] 2019-06-07
[18] 웹사이트 Steinhügel im Bodensee: Was haben sich die Pfahlbauer bloss dabei gedacht? https://www.tagblatt[...] 2018-11-25
[19] 웹사이트 Mysteriöse Steinhügel im Bodensee https://www.srf.ch/w[...] 2019-09-27
[20] 문서 Am Bodensee 2004
[21] copper print 38 x 51 cm Der Bodensee (Latin: ''Lacvs Acronianvs siue Bodamicvs'') https://aleph.unibas[...] University of Berne 1970
[22] 문서 Bodensee-Daten Internationale Gewässerschutzkommission für den Bodensee 2011-12-01
[23] 서적 Der Bodensee: Zustand – Fakten – Perspektiven Internationale Gewässerschutzkommission für den Bodensee 2004
[24] 웹사이트 http://www.hydra-ins[...]
[25] 웹사이트 Der Bodensee: drei Teile, ein See. http://www.seespiege[...]
[26] 웹사이트 Zur Entstehung des Bodenseebeckens https://quaternary-s[...]
[27] 웹사이트 Geology of Lake Constance http://www.landeskun[...]
[28] 웹사이트 Informationen zum Jahrhunderthochwasser 1999. http://www.lubw.bade[...] Landesanstalt für Umwelt, Messungen und Naturschutz in Baden-Württemberg
[29] 웹사이트 Der Bodensee. Zustand – Fakten – Perspektiven. http://www.hydra-ins[...] Internationale Gewässerschutzkommission für den Bodensee
[30] 웹사이트 Informationen zum Hafen Lindau http://buergerwiki.n[...]
[31] 웹사이트 Informationen zum Hafen Bregenz http://www.hafen-bre[...]
[32] 웹사이트 Über 100 Jahre Österreichische Bodenseeschifffahrt 1884–1984. Heimatkundliche Unterrichtsbildreihe. http://www.vobs.at/f[...] Amt der Vorarlberger Landesregierung Schulmediencenter 1984/2003
[33] 웹사이트 Hafenplan Rorschach http://www.bodensee-[...]
[34] 웹사이트 Hafenplan Romanshorn http://bodensee-schi[...]
[35] 웹사이트 Rundfahrten ab Unteruhldingen https://www.bsb.de/d[...] Bodensee-Schiffsbetriebe
[36] 웹사이트 URh website https://www.urh.ch/e[...] 2024-06-24
[37] 웹사이트 FahrplanNetzkarte 2024 https://www.thurbo.c[...] THURBO 2023-12-18
[38] 웹사이트 Fahrplan-Netzkarte 2024 [Railway network and services near Lake Constance 2024] https://www.thurbo.c[...] THURBO 2023-12-18
[39] 웹사이트 Overview of zeppelin flights in Germany https://zeppelinflug[...] zeppelinflug.de 2024-09-04
[40] 서적 Schriften des Vereins zur Geschichte des Bodensees und seiner Umgebung
[41] 서적 Seegfrörne: die spannende Geschichte der Seegfrörnen von 875 bis heute. 2. veränderte Auflage Stadler
[42] 서적 Border Disputes: A Global Encyclopedia, Volume 2 ABC-CLIO 2015
[43] 서적 Die deutschen Staatsgrenzen: rechtshistorische Grundlagen und offene Rechtsfragen ("The German national borders: legal-historical foundations and open legal questio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4] 뉴스 The Borderless Black Hole in the Middle of Europe http://www.cntravele[...] Conde Nast Traveler 2014-06-16
[45] 문서 Bizarre Shapes: 100 Geographic Monsters http://ontology.buff[...]
[46] 웹사이트 Planet Wissen – Bodensee http://www.planet-wi[...]
[47] 웹사이트 Ornithologische Arbeitsgemeinschaft Bodensee: Beobachtungsgebiete http://www.bodensee-[...]
[48] 뉴스 Aufgelistet. Die 10 häufigsten Brutvögelarten… Südkurier 2010-10-22
[49] 웹사이트 Fluctuating water levels https://web.archive.[...] 2017-09-03
[50] 문서 Information board on the Überlingen promenade.
[51] 뉴스 Stabile Verhältnisse im Vogelparadies. Südkurier 2015-01-03
[52] 웹사이트 Bundesamt für Veterinärwesen: Forschungsprojekt "Constanze“ am Bodensee gestartet http://www.news.admi[...]
[53] 웹사이트 Brachvogelprojekt http://www.bodensee-[...]
[54] 뉴스 Wasservögel bleiben Bodensee treu. Südkurier 2014-08-08
[55] 웹사이트 Max-Planck-Forschungsstelle für Ornithologie - Vogelberingung https://web.archive.[...] 2017-09-03
[56] 문서 Source: Who is Who Bodensee 2010/2011 Südkurier GmbH Medienhaus
[57] 웹사이트 Fische http://www.themenpar[...]
[58] 문서 Information board at the harbour in Ludwigshafen about especially prized Lake Constance fish.
[59] 논문 Rediscovery of a presumed extinct species, Salvelinus profundus, after re-oligotrophication https://onlinelibrar[...] 2020-00-00
[60] 뉴스 Tierische Neuankömmlinge im Bodensee. Südkurier 2016-04-20
[61] 뉴스 Die heimliche Invasion unter Wasser. Südkurier 2015-09-08
[62] 뉴스 Gepanzerte Truppe erobert den Bodensee. Südkurier 2010-10-09
[63] 뉴스 Drei von vielen, die sich bereits im Bodensee etabliert haben. Südkurier 2010-10-09
[64] 뉴스 Invasion des Höckerflohkrebses. Südkurier 2010-10-09
[65] 뉴스 Zwei Schiffswracks im Bodensee gefunden. Verschrottet in 200 Meter Tiefe. 2013-11-20
[66] 뉴스 Mindestens 5 Dampfer ruhen im See. Südkurier 2013-12-05
[67] 웹사이트 DWIF – dwif Wirtschaftsfaktor Tourismus Bodenseeregion http://www.dwif.de/n[...] 2017-01-02
[68] 웹사이트 Zeppelinflug : Bodensee Tourismus http://www.bodensee.[...] 2017-01-02
[69] 웹사이트 Internationale Bodensee Tourismus GmbH : Bodensee Tourism – About us http://www.bodensee.[...] 2018-02-28
[7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regenz Festival Bregenz Festival https://web.archive.[...] 2020-03-21
[71] 웹사이트 ART BODENSEE – Messe für zeitgenössische Kunst https://artbodensee.[...] 2020-03-21
[72] 웹사이트 Bodensee-Radweg http://www.bodensee-[...] 2017-01-02
[73] 웹사이트 Wandern rund um den Bodensee http://www.fernwege.[...] 2016-12-30
[74] 뉴스 Bodensee-Rundwanderweg http://www.wanderkom[...] 2018-02-28
[75] 뉴스 Der Jakobsweg (Pilgrimage trail of St. James) Ueberlingen near Lake Constance https://www.ueberlin[...] 2018-02-28
[76] 웹사이트 Home – Startpunkt http://www.via-beuro[...] 2018-02-28
[77] 웹사이트 Constance-Einsiedeln (Swabian way) https://www.jakobswe[...] 2018-02-28
[78] 웹사이트 Weather-station in Kressbronn (in German) http://www.wetter-kr[...] 2018-02-28
[79] 웹사이트 Diving Spots at Lake Constanze (in German) https://www.tauchaka[...] 2018-02-28
[80] 뉴스 Wrack der Jura – Tauchen vom Boot im Bodensee http://tauchboot-bod[...] 2018-02-28
[81] 웹사이트 Land Vorarlberg – Bodensee-Schiffsstatistik 2011 http://www.vorarlber[...] 2018-02-28
[82] 웹사이트 Schiffsprozession: Gebetsstätte Wigratzbad https://www.gebetsst[...] 2018-02-28
[83] 뉴스 Sailing Days "Rund Um" in Lindau at Lake Constance http://www.lindau.de[...] 2018-02-28
[84] 웹사이트 INTERBOOT http://www.interboot[...] 2018-02-28
[85] 웹사이트 ‘Extinct’ fish found in Lake Constance http://www.swissinfo[...]
[86] 웹사이트 Red List – Volume 1: Vertebrates (2009) – General assessment for the vertebrate groups http://www.bfn.de/03[...] 2012-12-28
[87]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5-13
[88] 웹사이트 Internationale Gewässerschutzkommision für den Bodensee: Bodensee-Daten http://www.igkb.de/h[...]
[89] 서적 Der Bodensee Büchergilde Gutenberg
[90] 웹사이트 Rheindelta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5-01-01
[91] 웹사이트 Bodensee: Wollmatinger Ried - Giehrenmoos & Mindelse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1976-02-26
[92] 간행물 ヴィレハルム第八巻 名古屋大学教養部・名古屋大学語学センター
[93] 서적 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Duden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