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E-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잉 E-4는 미국 공군의 국가 비상 공중 지휘소(NEACP) 역할을 수행하는 항공기이다. 보잉 747-200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핵 공격 시에도 지휘 통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E-4는 1970년대에 개발되어 E-4A, E-4B 두 가지 모델이 존재하며, E-4B는 EMP 방호 및 통신 능력이 강화되었다. 현재는 595 공군 사령부 및 통제 그룹 제1 공중 지휘 통제 비행대에 배속되어 운영되며, 대통령의 해외 순방 시에도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E-4의 노후화로 인해 대체 기종 개발이 진행 중이며, 시에라 네바다 코퍼레이션이 2024년에 후속 기종 개발을 수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첫 비행한 항공기 - 카모프 Ka-27
카모프 Ka-27은 소련에서 개발된 동축 반전 로터 방식의 함재 헬리콥터로, 대잠수함전, 수색 및 구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군용 및 민간용으로 사용되고 Ka-32 등 다양한 파생형이 있다. - 1973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봄바디어 리어젯 35
봄바디어 리어젯 35는 봄바디어사가 개발한 비즈니스 제트기로, 항속거리가 늘어난 리어젯 25BGF의 후속 모델이며, 최대 8명의 승객을 수송하고 3,269km를 항속할 수 있으며, 군사와 민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보잉 747 - 보잉 747-8
보잉 747-8은 보잉 747 시리즈의 최신 모델로 동체 연장, 주익 설계 변경, 최신 기술 적용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킨 항공기이며, 보잉 787 드림라이너의 기술을 적용하여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소음을 줄였으나, 여객형 모델은 시장 변화로 어려움을 겪었고 화물기 모델은 초대형 화물기 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보잉의 중요한 수익원 역할을 했지만 2023년 1월 마지막 747-8F가 인도되면서 50년 이상 지속된 747의 생산이 종료되었다. - 보잉 747 - 보잉 YAL-1
보잉 YAL-1은 공중에서 고출력 레이저로 탄도 미사일을 요격하는 실험적인 무기 시스템으로, 보잉 747-400F 기체를 개조하여 화학 산소 요오드 레이저를 탑재했으나, 기술적 문제와 비용 문제로 2011년 개발이 중단되었다. - 미국의 군용기 - 록히드 U-2
록히드 U-2는 미 공군과 CIA가 운용하는 고고도 정찰기로, 냉전 시대 정보 수집에 활약하며 파워스 사건으로 논란을 겪었지만, 꾸준한 개량을 거쳐 현재도 운용 중이며 향후 첨단 전투 관리 시스템과 연동될 예정이나, 장기적인 운용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미국의 군용기 - 록히드 AC-130
AC-130은 근접 항공 지원 및 항공 저지 임무를 위해 C-130 수송기를 개조하여 개발된 건쉽으로,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미 공군 특수전 사령부에서 운용되어 대테러 전쟁에서 활약했다.
보잉 E-4 | |
---|---|
개요 | |
![]() | |
역할 | 공중 전략 지휘 및 통제소 |
제작사 | 보잉 |
운용 | 미국 공군 |
개발 및 생산 | |
기반 항공기 | 보잉 747-200 |
최초 비행 | 1973년 6월 13일 |
도입 시기 | 1974년 |
생산 대수 | 4대 |
대체 항공기 | SNC E-4C Survivable Airborne Operations Center |
대당 가격 | 2억 2300만 US 달러 (1998년) |
일반 정보 | |
종류 | 공중 지휘기 |
제조사 | 보잉 |
운용 정보 | |
운용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공군 |
도입 연도 | 1974년 |
현황 | 현역 |
2. 개발
미국 공군은 노후화된 EC-135J 국가 비상 공중 지휘소(NEACP, National Emergency Airborne Command Post)를 대체하기 위해 1971년부터 발전형 공중 지휘기(AABNCAP, Advanced Airborne Command Post)/481B 계획을 검토했다.[47] 원래 상업용 항공기로 계획되었던 보잉 747-200 기체 2대가 항공사의 주문 미완료로 남게 되자, 보잉은 이를 EC-135J 대체 패키지의 일부로 미 공군에 제안했다.
1973년 2월, 공군 전자 시스템 부서는 481B NEACP 프로그램에 따라 보잉과 계약하여 엔진 4개를 장착한 장비 미탑재 항공기 2대(E-4A로 지정)를 확보했으며, 같은 해 7월 세 번째 항공기를 추가 주문했다.[4] 이 기체들은 제조 중이던 여객기를 전용한 것이었기에, 원형기는 1973년 6월 19일에 첫 비행을 했다.[48]
첫 번째 E-4A는 1973년 7월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 기지로 인도되었고, 이후 1975년까지 총 3대의 E-4A가 배치되었다.[47] E-4A는 기본적으로 EC-135와 동일한 장비를 탑재했지만, 더 넓은 공간과 긴 체공 시간을 제공했다.[4][49]
1973년 12월, 더욱 진보된 장비를 탑재한 네 번째 항공기가 E-4B로 지정되어 주문되었고, 첫 E-4B는 1979년 12월 21일에 인도되었다.[4][47] E-4B는 공중 급유 능력이 추가되고 동체 상부의 대형 레이돔 안테나 등으로 기존 E-4A와 구별되었다.[5][50] 또한 이전 모델보다 통신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고, 핵폭발로 인한 핵 전자기 펄스(EMP) 영향에 대한 방호 능력이 강화되었다.[10][50]
1985년 1월까지 기존의 E-4A 3대 모두 E-4B 사양으로 개조되었다.[4][49][47] E-4는 핵전쟁 대응을 전제로 개발되어, 탑재된 전자 장비는 EMP에 대한 보호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미군의 ICBM, SLBM, 전략폭격 부대를 지휘할 수 있는 통신 능력을 보유한다.
당초 2009년부터 퇴역을 시작하여 2015년까지 전량 퇴역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연기되어 2020년대에도 계속 운용되고 있다.
2. 1. E-4A
미국 공군은 노후화된 EC-135J 국가 비상 공중 지휘소(NEACP, National Emergency Airborne Command Post)를 대체하기 위해 1971년부터 후속기 검토를 시작했다.[47] 이 계획은 발전형 공중 지휘기(AABNCAP, Advanced Airborne Command Post)/481B 계획으로 진행되었다.원래 상업용 항공기로 계획되었던 보잉 747-200 기체 2대는 항공사가 주문을 완료하지 못하자, 보잉은 이를 EC-135J 대체 패키지의 일부로 미 공군에 제안했다. 1973년 2월, 공군 전자 시스템 부서(Air Force Electronic Systems Division)는 481B NEACP 프로그램에 따라 보잉과 계약을 체결하여, 프랫 & 휘트니 JT9D 엔진 4개를 장착한 장비 미탑재 항공기 2대(E-4A로 지정)를 확보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세 번째 항공기가 추가로 주문되었다.[4] 이 기체들은 제조 중이던 여객기를 전용한 것이었기에, 원형기는 1973년 6월 19일에 첫 비행을 했다.[48]
1973년, 첫 번째 E-4A는 워싱턴주 에버렛의 보잉 에버렛 공장에서 완성되었다. E-Systems는 이 세 대의 항공기에 임시 장비를 설치하는 계약을 맡았다.[47] 완성된 첫 E-4A는 1973년 7월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 기지로 인도되었으며, 다음 두 대는 각각 1973년 10월과 1974년 10월에 인도되었다. 1호기는 1974년 12월, 2호기와 3호기는 1975년에 배치되었다.
초기 1, 2호기에는 프랫 & 휘트니 JT9D 엔진이 장착되었으나, 3호기는 GE F103 엔진으로 구동되었다. 이후 F103 엔진이 표준으로 채택되어 이전 두 대의 항공기에도 개조 장착되었다.[4] E-4A는 기본적으로 EC-135와 동일한 장비를 탑재했지만, 기체가 커져 더 넓은 공간을 확보했고 EC-135보다 더 오래 공중에 머물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4][49]

1973년 11월 기준으로, 7대의 747기(작전용 6대, 연구개발용 1대)를 확보하는 프로그램 전체 비용은 5.48억달러으로 추정되었다.[13]
1973년 12월, 네 번째 항공기가 주문되었는데, 이 항공기에는 더 진보된 장비가 장착되어 E-4B로 지정되었다. 이후 기존의 E-4A 3대 모두 1985년 1월까지 E-4B 사양으로 개조되었다.[4][49][47]
2. 2. E-4B
E-4B는 기존 E-4A를 개량한 모델로, 미국 공군이 운용하는 국가 비상 공중 지휘소(NEACP, National Emergency Airborne Command Post)이다. 핵전쟁과 같은 국가 비상사태 발생 시 대통령과 국방장관 등 국가 지휘부가 탑승하여 군 통수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둠스데이 플레인(Doomsday Plane)'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10]=== 개발 배경 및 과정 ===
미국 공군은 노후화된 EC-135J 공중 지휘기를 대체하기 위해 1971년부터 발전형 공중 지휘기(AABNCAP, Advanced Airborne Command Post)/481B 계획을 추진했다.[47] 1973년 2월, 공군 전자 시스템 부는 보잉사와 보잉 747-200 여객기를 기반으로 한 E-4A 2기 제작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항공사가 주문을 완료하지 못한 상업용 기체를 활용했으며, 같은 해 7월에는 3번째 E-4A가 추가로 주문되었다.[4]
초기 E-4A 3대는 잠정적인 성격의 기체로, 기존 EC-135J와 동등한 수준의 지휘 통제 및 통신 장비를 탑재했다. 다만, 747 기체를 기반으로 하여 내부 공간이 넓고 탑재량이 많아 장시간 공중 체류가 가능했다.[49][4] E-Systems사가 신규 전자 장비 개발 및 탑재를 담당했다.[47] 1호기와 2호기는 프랫 & 휘트니 JT9D 엔진을, 3호기는 제너럴 일렉트릭 F103(CF6-50E2) 엔진을 장착했으나, 이후 모든 E-4A 기체의 엔진은 F103으로 통일되었다. 첫 E-4A는 1973년 7월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 기지에 인도되었으며, 나머지 두 대는 1974년까지 인도되었다.
1973년 12월, 더욱 향상된 성능의 E-4B 모델 1기가 주문되었다. 첫 E-4B(일련번호 75-0125)는 1979년 12월 21일에 공군에 인도되었다.[4][47] 이후 1985년 1월까지 기존의 E-4A 3기 모두 E-4B 사양으로 개조되었다.[4][49][47]
=== 주요 특징 및 성능 ===
E-4B는 핵전쟁 상황에서의 생존성과 임무 수행 능력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설계되었다. 가장 큰 특징은 핵폭발 시 발생하는 강력한 핵 전자기 펄스(EMP)로부터 기체 내부의 전자 장비를 보호하는 EMP 방호 능력이다. 이를 위해 기체 전체와 내부 배선에 특수 차폐 처리가 되어 있다.[10] 또한, 핵폭발의 열 복사 및 방사능 낙진에 대한 방호 능력도 갖추고 있다.[40][10]
통신 능력 또한 E-4A에 비해 대폭 강화되었다. 동체 상부 전방의 혹처럼 튀어나온 레이돔은 E-4B의 가장 큰 외형적 특징으로, 이곳에는 SHF 대역 위성 통신 안테나가 탑재되어 있다.[5][50] 이 외에도 VLF 통신 안테나를 포함한 다양한 통신 장비를 갖추고 있어, 지상의 통신망이 파괴된 상황에서도 전 세계 미군 부대, 특히 핵 SLBM 부대, ICBM 부대, 전략폭격기 부대 등과 교신하며 지휘 통제가 가능하다. 1980년대 후반에는 EHF 위성 통신 기능도 추가되었다.[51]
E-4B는 공중 급유를 통해 이론상 수일간 공중에 머무를 수 있으며,[4] 52500lbf의 추력을 내는 제너럴 일렉트릭 CF6-50E2 터보팬 엔진 4기를 장착하고 있다.[40]
구분 | E-4A | E-4B |
---|---|---|
3기 (73-1676, 73-1677, 74-0787) | 1기 제작 (75-0125) + E-4A 3기 개조 | ||
초기: JT9D-7A (1,2호기), CF6-50E2 (3호기) 이후: 전 기체 CF6-50E2로 통일 | CF6-50E2 (추력 52500lbf) | ||
EC-135J와 유사한 장비, 더 넓은 공간과 긴 체공 시간 | EMP 방호, 핵/열 차폐, 첨단 전자 장비, 광범위한 통신 장비, 공중 급유 능력, 동체 상부 SHF 안테나 레이돔 | ||
1985년까지 전량 E-4B 사양으로 개조됨 | - |
E-4B는 기반 기종인 보잉 747-200B와 기본적인 비행 성능은 동일하지만, 국가 지휘 통제 임무 수행을 위해 내부 구조 변경, 공중 급유 능력 확보, EMP(전자기 펄스) 방호 및 특수 통신 장비 탑재 등 다양한 개조가 이루어졌다.[11][8] 각 개조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 운용 ===
현재 총 4대의 E-4B가 네브래스카주 오펏 공군 기지에 주둔한 제55항공단 예하 제1공중지휘통제비행대대(1ACCS)에 소속되어 운용 중이다. 항공 전투 군단(ACC)이 기체를 관리하며, 미국 전략 사령부(USSTRATCOM)의 작전 통제를 받는다. E-4B는 국가 비상 공중 지휘소 임무 외에도, 과거 EC-135가 수행했던 전략군 사령부의 공중 지휘 통제 임무인 '루킹 글래스(Looking Glass)' 역할도 겸하고 있다.[47]
미국 대통령이 해외 순방 등 에어 포스 원(VC-25)을 이용하는 경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반드시 1대 이상의 E-4B가 근처 기지에서 대기하거나 수행한다. 평시 대통령 전용기로는 VC-25가 사용되므로, E-4B는 어디까지나 비상 상황을 대비한 기체이다.
2001년 9월 11일 발생한 9·11 테러 당일, 워싱턴 D.C. 상공을 비행하는 E-4B의 모습이 CNN 등 언론에 포착되기도 했으나, 미국 정부의 공식 조사 보고서에는 해당 비행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지 않았다.
=== 비용 및 현황 ===
E-4B는 개발 및 도입, 개량에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었으며 유지 비용 또한 상당하다. 1973년 계획 초기 단계에서 7대의 747기(작전용 6대, 연구개발용 1대)를 기준으로 추산된 총 프로그램 비용은 5.48억달러 (1973년 기준)였다.[13] 2005년에는 E-4B 기단의 지속적인 성능 향상을 위해 보잉과 5년간 20억달러 (2005년 기준)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6] 2016년 기준으로 E-4B의 시간당 운영 비용은 약 16만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7] 2024년 기준 E-4B의 대당 추정 가격은 약 2.2319999999999998억달러이다.[10]
당초 2009년부터 퇴역을 시작하여 2015년까지 모든 기체를 퇴역 시킬 예정이었으나, 대체 기종 확보 문제 등으로 계획이 연기되어 2020년대에도 계속 운용되고 있다.
3. 개조
3. 1. 내부 변경
보잉 747-200B를 기반으로 한 E-4B는 기본적인 비행 성능은 동일하지만, 특수 임무 수행을 위해 내부 구조와 장비에 여러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
기체 내부에는 국가 지휘권한 행사 구역, 회의실, 브리핑룸, 전투 참모 작업실, 통신 관제 센터, 휴게실, 기자 회견실 등이 마련되어 있다.
임무 특성상 장시간 공중에 머물러야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공중 급유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급유구는 기체 앞부분(기수)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엔진 오일은 공중에서 보충할 수 없으므로, 엔진 오일이 소진될 때까지인 최대 72시간 동안만 비행이 가능하다. 공중 급유 없이 비행할 경우 항속 시간은 12시간이다.
탑재된 각종 전자 장비는 핵폭발 시 발생하는 전자기 펄스(EMP)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특수 차폐(실드) 처리가 되어 있다. 통신 능력 강화를 위해 EHF(밀리미터파) 대역을 이용한 위성 통신 능력과 VLF(초장파) 대역을 이용한 잠수함 통신 능력을 갖춘다. 동체 상부의 돌출된 부분에는 SHF/EHF 안테나가 장착되어 있으며, 기체 꼬리 부분에서는 길이 6km의 장파(LF)/VLF 견인 안테나를 방출하여 사용한다.
3. 2. 공중 급유 장치
E-4B는 임무의 특성상 장시간 공중에 머물러야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공중 급유 설비를 갖추고 있다. 기수 부분에 공중 급유를 받기 위한 수유구가 설치되어 있다.
공중 급유를 통해 상당 기간 동안 공중에 머물 수 있으며, 비행 시간은 엔진 오일의 소모량에 의해서만 제한을 받는다. 엔진 오일은 공중 급유로 보충할 수 없으므로, 최대 비행 가능 시간은 72시간이다. 지구력 테스트 비행에서는 35.4시간 동안 공중에 머물며 완벽하게 작동했으며,[11] 비상 시에는 일주일 동안 공중에 머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1]
공중 급유 없이 자체 연료만으로 비행할 경우 항속 능력은 12시간이다. E-4B를 완전히 급유하려면 두 대의 완전 적재된 KC-135 유조기가 필요하다.
3. 3. 전자 장비
탑재된 전자 장비는 핵폭발로 발생하는 EMP(전자기 펄스)에 대응하기 위한 보호막(실드)을 갖추고 있다. E-4B는 EMP 공격에도 시스템을 온전하게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8] 통신 능력으로는 밀리미터파(EHF)를 이용한 위성 통신과 초장파(VLF)를 이용한 대잠수함 통신 능력을 갖추고 있다. 기체 상부의 돌출된 부분에는 SHF/EHF 안테나가 있으며, 장파(LF)/VLF 통신을 위한 안테나는 길이가 6km에 달하며 기체 꼬리 부분에서 끌고 다니는 방식(견인식)이다.
또한, 많은 구형 항공기들이 글래스 콕핏으로 개량된 것과 달리, E-4B는 EMP 폭발로 인한 피해에 덜 취약하도록 전통적인 아날로그 비행 계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9] 이 외에도 최첨단 직접 사격 대응책을 갖추고 있다.[8]
4. 기능 및 배치
E-4는 핵전쟁 발발 시 공중에서 국가 지휘부를 보호하고 전쟁 지휘 능력을 유지하기 위한 국가 공중 작전 센터(NAOC, National Airborne Operations Center) 임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탑재된 전자 장비는 핵폭발 시 발생하는 강력한 전자기 펄스(EMP)로부터 보호되도록 설계되었다.[10] 또한, 탑재된 다양한 통신 장비를 통해 미국의 ICBM 부대, SLBM 탑재 잠수함, 전략 폭격기 부대 등 핵전력 지휘통제가 가능하다. 언론에서는 이 항공기를 "최후의 날 비행기(the doomsday planes)"라고 부르기도 했다.[13] 과거에는 전략공군사령부(SAC)의 "룩킹 글래스" 임무도 수행할 수 있었다.[14]
총 4대의 E-4B 항공기는 네브래스카주 오펏 공군 기지에 주둔한 미국 공군 제595 지휘통제전대 (595th Command and Control Group) 예하 제1공중지휘통제비행대대(1ACCS)에 소속되어 운용된다.[10][27] 이 부대는 항공전투사령부(ACC) 소속이지만, 작전 지휘는 미국 전략 사령부(USSTRATCOM)가 담당한다.[10]
E-4B는 원래 국가 비상 공중 지휘소(NEACP, National Emergency Airborne Command Post)로 불렸으며[10], "나이트워치(Nightwatch)"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이 비상시 신속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 기지에 주로 배치되었으나, 이후 핵 공격으로부터 더 안전한 오펏 공군 기지로 주둔지가 변경되었다. 냉전 종식 후 1994년, NEACP 임무는 NAOC로 개편되었고, FEMA 요원을 자연재해 현장으로 수송하고 임시 지휘소 역할을 제공하는 임무가 추가되었다. 실제로 1995년 허리케인 오팔 발생 당시 FEMA 지원 임무에 투입된 바 있다.[16]
최소 1대의 E-4B는 항상 즉시 출격 가능한 경계 상태(alert)를 유지하며, 승무원들은 24시간 교대로 기체 또는 인근 시설에서 대기한다.[10] 대통령이 에어포스 원(VC-25)을 이용해 해외 순방에 나설 경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E-4B 1대가 대통령 목적지 인근의 다른 공항이나 해외 주둔 미군 기지에 배치되어 대기한다. 예를 들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하와이주 호놀룰루를 방문했을 때 E-4B는 종종 약 약 321.87km 떨어진 힐로 국제공항에 대기했다.[28][29] 또한, E-4B는 넓은 내부 공간과 통신 능력 덕분에 미국 국방부 장관의 해외 순방 시에도 자주 이용된다.[15]
2001년 9·11 테러 발생 당일, E-4B로 추정되는 항공기가 워싱턴 D.C. 상공을 비행하는 모습이 CNN 등에 포착되었으나[17][18], 미국 정부의 공식 보고서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당시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플로리다 방문 중이었으며, E-4B도 대통령을 수행했지만 실제 이동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한때 퇴역 계획이 발표되기도 했으나[24],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에 의해 2007년 취소되었고[25], E-4B의 고유한 능력 때문에 대체 기종 없이 계속 운용되고 있다. 2011년부터는 현대화 개량이 진행 중이며[44], 기체 수명은 2039년까지로 예상된다.[26]
2017년 6월에는 오펏 공군 기지 인근에서 발생한 토네이도로 인해 격납고가 파손되면서 E-4B 2대가 손상되어 약 11주간 운용이 중단되기도 했다.[30][31] 오펏 기지의 활주로 공사 등으로 인해 링컨 공군 방위군 기지에 임시 배치된 적도 있다 (2006년, 2019년, 2021-22년).[32]
5. 구조
E-4B는 전자기 펄스(EMP)에도 시스템을 온전하게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으며,[8] 최첨단 직접 사격 대응책을 갖추고 있다. 많은 구형 항공기가 글래스 콕핏으로 업그레이드되었지만, E-4B는 EMP 폭발로 인한 피해에 덜 취약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아날로그 비행 계기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9]
E-4B는 최대 112명의 승무원(비행 및 임무 인원 포함)과 함께 운용할 수 있으며,[10] 이는 미국 공군 역사상 가장 큰 승무원 규모이다. 공중 급유를 통해 엔진 윤활유 소모량에 의해서만 제한을 받으며 상당 기간 동안 공중에 머물 수 있다. 지구력 테스트 비행에서 해당 항공기는 35.4시간 동안 공중에 머물며 완벽하게 작동했다. 비상 시에는 일주일 동안 공중에 머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1] E-4B를 완전히 급유하려면 두 대의 완전 적재된 KC-135 유조기가 필요하다. E-4B는 상부, 중간, 하부의 세 개의 운용 층을 가지고 있다.
5. 1. 상부 데크
상부 데크에는 조종실(플라이트 데크 또는 비행 갑판)이 위치한다. 조종실에는 기장, 부조종사, 항공 기관사, 항법사를 위한 좌석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일반 상업용 보잉 747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특수 항법실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조종실 뒤편에는 비행 승무원을 위한 라운지와 침실(임시 수면 구역)이 설치되어 있다. 비행 승무원은 기장, 부조종사, 항법사, 항공 기관사로 구성된다.5. 2. 중앙 데크

중앙 데크는 E-4의 주요 작전 및 지휘 공간으로, 다양한 기능 구역으로 나뉜다.
전방 입구 구역에는 주방 유닛과 비행 갑판 및 전방 하부 장비 구역으로 이어지는 계단이 있다. 주방에는 냉장고, 냉동고, 컨벡션 오븐 2개, 전자레인지가 있어 장기간 임무 중 100명 이상의 식사를 준비할 수 있다. 이 구역 왼쪽에는 미국 비밀경호국 요원과 관리인을 위한 좌석 4개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 입구 구역 뒤에는 국가 지휘 기구(NCA) 구역이 있다. 이곳은 대통령이나 최고위급 지휘관을 위한 공간으로 설계되었으며, 사무실, 라운지, 수면 공간, 탈의실을 갖추고 있다. 전화 장비를 통해 안전하고 명확한 전 세계 통신이 가능하다.
회의실은 9명이 앉을 수 있는 회의 테이블이 있는 보안 구역이다. 회의실 뒤쪽에는 회의실과 브리핑룸에 영상을 제공하는 영사실이 있다. 영사실에서는 컴퓨터 그래픽, OHP 필름, 35mm 슬라이드 등을 투사할 수 있었으며, 이후 평면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현대화되었다.[12]
브리핑 룸에는 임원용 좌석 3개와 추가 좌석 18개, 연단, 그리고 칸막이에 매립된 80인치 평면 스크린 LED 모니터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곳에서 작전 계획 등의 정보 전달(브리핑)이 이루어진다.
브리핑룸 뒤에는 작전 팀 구역이 있으며, 29명의 직원을 위한 자동 데이터 처리 장비와 좌석 및 콘솔 작업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콘솔을 통해 자동 데이터 처리, 자동 교환대, 직접 접속 전화 및 라디오 회선, 직통("핫") 회선, 교환대 회선, 직원 및 운영자 인터폰, 오디오 레코더 등에 접근할 수 있다. 전투 참모는 다양한 통제관, 계획자, 발사 시스템 장교, 통신 운영자, 기상 장교, 행정 및 지원 인력, 전투 참모장 등으로 구성된다. 오퍼레이션 룩킹 글래스 임무 시에는 장군과 참모 장교 2명이 탑승하여 지휘한다. 국가 지휘 기구 구성원은 비공개 장소에서 E-4B에 탑승할 수 있다. E-4B 임무에는 최소 48명의 승무원이 탑승한다.
통신 제어 구역은 음성 구역과 데이터 구역으로 나뉜다. 음성 구역(우측)에는 무선 운영자 콘솔, 반자동 교환대 콘솔, 통신 장교 콘솔이 있다. 데이터 구역(좌측)에는 기록 통신 콘솔, 기록 데이터 감독자 콘솔, 고속 DATA/AUTODIN/AFSAT 콘솔, LF/극저주파(VLF) 제어 헤드가 있다. E-4B는 14 kHz에서 8.4 GHz까지 광범위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지상과 통신할 수 있으며, 주요 미국 지상 기반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데크 끝의 후방 구획은 기술 통제(Tech Control) 구역이다. 이곳은 모든 통신 및 통신 기술자의 중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6개의 승무원 위치 중 3개는 미국 공군의 전문 기술자가 차지하며, 모든 통신 관련 전력, 냉각, 신뢰성을 모니터링하고 분배한다. 기술 통제관 1(TC1)은 항공기 비행 기술자 및 승무원과의 직접적인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모든 통신 관련 문제의 주요 초점이다. 기술 통제관 2(TC2)는 항공기와 지상 기지(Nightwatch GEP) 간의 초고주파(UHF) 통신을 유지하며, 12개의 음성 회선을 제공한다(보안 음성 포함). SHF 운영자는 SHF 위성 링크를 유지 관리하고 다른 전 세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후방 메인 데크의 나머지 부분은 휴식 구역으로, 승무원을 위한 휴식 및 수면 공간을 제공한다. 음식 보관 시설이 있으며[12] 종교 의식에도 사용된다.
항공전자 구역에는 전체 전원 패널, 항공전자 장비 본체, 액체 산소 탱크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응급 수리용 예비 부품도 보관된다.
구획 | 주요 기능 및 설비 |
---|---|
회의실/영사실 | 회의용 공간, 프로젝터 영사실 (영상 제어 및 투사) |
국가 지휘 권한 작업 구획 (NCA-Area) | 대통령 또는 최고 지휘관용 공간 (집무실, 임시 침대, 탈의실) |
브리핑 룸 | 작전 계획 등 정보 전달 (브리핑) 공간 (21석, 평면 스크린 2개) |
통신 관제 구획 | 기체 통신 장비 제어 (데이터 및 음성 통신 분리) |
항공전자 구획 | 전원 패널, 항공 전자 장비 본체, 액체 산소 탱크, 예비 부품 수납 |
5. 3. 하부 데크
- '''전방 하부 장비 구역''': 이 구역에는 VLF 통신기 본체와 SHF 통신기 본체(위성 통신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항공기의 급수 탱크, 1200kVA 전력 패널, 강압 변압기도 이곳에 위치한다. AC/DC 전원을 사용하는 유압식 격납식 항공 계단이 구역 전방 우측에 있어 항공기 출입에 사용되며, 비상시에는 분리할 수 있다.
- '''후방 하부 장비 구역''': 유지 보수 콘솔과 작전 전용 임무별 장비 등이 설치된다.
- '''하부 안테나 구역''' (끌어올리는 안테나 구역): 최대 13개의 통신 링크에 사용되는 약 8.05km 길이의 끌어올리는 안테나 (TWA) 릴이 수납되어 있다. 안테나 조작 스테이션과 안테나 릴 제어 장치 및 표시기도 이 구역에 포함된다. 이 구역은 특히 EMP에 대한 내성을 강화하는 데 많은 주의를 기울였는데, 이는 오하이오급 잠수함과의 통신에 필수적인 TWA가 EMP 수신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 '''비행 항공 전자 장비 구역''': 항공기 시스템 전원 패널, 비행 항공 전자 장비, 액체 산소 변환기, 수하물 및 예비 부품 보관소가 있다.
6. 제원
구분 | 내용 |
---|---|
승무원 | 조종사 4명 + 임무 승무원 최대 108명 [10] |
전장 | 70.51m [42] |
전폭 | 59.64m [42] |
전고 | 19.33m [42] |
날개 면적 | 510.95m2 [42] |
공허 중량 | 180000kg (약 약 185972.72kg) [10][42] |
최대 이륙 중량 | 362900kg (약 약 362873.60kg ~ 약 377842.14kg) [10][42] |
엔진 | GE CF6-50E2 (F103-GE-100) 터보팬 엔진 4기 (각 52,500lbf 추력) [10][42] |
최고 속도 | 마하 0.86 (약 523 노트) [10][42] |
순항 속도 | 마하 0.84 (약 483 노트) [42] |
항속 거리 | 6,200 해리 (급유 없이) [42] |
체공 시간 | 12시간 (급유 없이), 150시간 이상 (공중 급유 시)[11][42] |
상승 한도 | 약 13716.00m [42] |
익면 하중 | 150 lb/sqft [42] |
추력 대 중량비 | 0.26 [42] |
E-4B는 전자기 펄스(EMP)에도 시스템을 온전하게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으며,[8] 최첨단 직접 사격 대응책을 갖추고 있다. 많은 구형 항공기가 글래스 콕핏으로 업그레이드되었지만, E-4B는 전자기 펄스(EMP) 폭발로 인한 피해에 덜 취약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아날로그 비행 계기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9]
E-4B는 최대 112명의 승무원(비행 및 임무 인원 포함)과 함께 운용할 수 있으며,[10] 이는 미국 공군 역사상 가장 큰 승무원 규모이다. 공중 급유를 통해 엔진 윤활유 소모량에 의해서만 제한을 받으며 상당 기간 동안 공중에 머물 수 있다. 지구력 테스트 비행에서 해당 항공기는 35.4시간 동안 공중에 머물며 완벽하게 작동했으며, 비상 시에는 일주일 동안 공중에 머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1] E-4B를 완전히 급유하려면 두 대의 완전 적재된 KC-135 유조기가 필요하다. E-4B는 상부, 중간, 하부의 세 개의 운용 층을 가지고 있다.
7. 명칭의 변천
EC-135의 후속 기종으로 발주될 당시의 명칭은 발전형 공중 국가 지휘소(Advanced Airborne National Command Post영어, AANCP, AABNCP)였다. 이후 국가 긴급 공중 지휘소(National Emergency Airborne Command Post영어, NEACP)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4년 이후 냉전 종식으로 핵전쟁 위협이 감소하고, 대규모 재난 발생 시 FEMA(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청장의 요청에 따라 재난 지역 지원 임무가 추가되면서 현재의 E-4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E-4는 전면 핵전쟁 상황에서 국가 지휘 본부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둠스데이 플레인'(Doomsday Plane영어)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8. 후속 기종
기존 E-4 기체의 노후화가 심각해짐에 따라 후속 기종 개발이 추진되었다.[52] 2021년과 2022년에 미국 공군은 E-4의 대체 기종 개발을 시작했으며, 새로운 플랫폼은 현재 생존 가능 공중 작전 센터(SAOC, Survivable Airborne Operations Center)로 알려져 있다.[33][34]
2024년 시에라 네바다 코퍼레이션(Sierra Nevada Corporation)이 후속 기종 개발 사업을 130억달러에 수주했다.[52] 이 항공기는 보잉 747-8I을 기반으로 하여 시에라 네바다 코퍼레이션이 롤스로이스 홀딩스와 협력하여 개발할 예정이다.[35][36][37][38] 이를 위해 대한항공에서 퇴역 예정인 보잉 747-8i 5대를 구매하여 개조할 계획이다.[53]
참조
[1]
서적
Air Traffic Control
http://www.faa.gov/d[...]
FAA
2012-02-09
[2]
웹사이트
Aboard America's Doomsday command and control plane
https://www.cnet.com[...]
2013-07-23
[3]
웹사이트
Aboard America's Doomsday command and control plane
https://www.cnet.com[...]
2013-07-23
[4]
문서
1994
[5]
문서
1989
[6]
웹사이트
Boeing Awarded E-4B Product Support Integrator Contract
http://www.webwire.c[...]
2005-12-21
[7]
웹사이트
This Chart Shows the Incredible Cost of Operating the Air Force's Most Expensive Planes
http://www.businessi[...]
2016-03-03
[8]
간행물
Around the clock with the E-4B
http://www.af.mil/ne[...]
USAF
2000-05
[9]
웹사이트
American Doomsday
http://channel.natio[...]
National Geographic
2013-10-15
[10]
웹사이트
E-4B fact sheet
http://www.af.mil/Ab[...]
USAF
2005-03
[11]
서적
The Encyclopedia of Modern Aircraft
https://books.google[...]
Thunder Bay Press
[12]
AV media
Guided Tour Inside the E-4B NAOC Doomsday Plane
https://www.youtube.[...]
Horizontal Rain Blog
2013-09-30
[13]
뉴스
Doomsday Jets Increase in Cost
https://news.google.[...]
1973-11-05
[14]
문서
1999
[15]
웹사이트
Rumsfeld Uses 'Flying Pentagon' To Communicate During Trips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2005-08-01
[16]
웹사이트
News Photo
http://www.fema.gov/[...]
FEMA
1995-09-16
[17]
웹사이트
9/11: The mystery plane
http://www.cnn.com/v[...]
CNN
2007-09-12
[18]
웹사이트
Mystery 9/11 aircraft
http://www.rawstory.[...]
2007-09-13
[19]
문서
2003
[20]
AV media
The 9/11 Mystery Plane Air Traffic Control Recording
https://www.youtube.[...]
[21]
AV media
84 RADES with NEADS mix
https://www.youtube.[...]
[22]
웹사이트
9-11: The Mystery Plane; not so mysterious
http://www.oredigger[...]
2009-06-30
[23]
서적
America and the World. Conversations on the future of American Foreign Policy.
Basic Books, New York NY
[24]
웹사이트
Federal Budget Program 0302015F E-4B National Airborne Operations Center
http://www.dtic.mil/[...]
2007-02
[25]
문서
2008
[26]
웹사이트
Federal Budget Program E00400 / E-4B
http://www.bga-aerow[...]
bga-aeroweb.com
2014-03
[27]
웹사이트
E-4Bs realign under 8th Air Force, 595th CACG stands up
http://www.af.mil/Ne[...]
2016-10-07
[28]
웹사이트
E-4Bs at ITO
http://hnlrarebirds.[...]
HNL RareBirds
2010-01-05
[29]
웹사이트
Plane at Hilo likely Bush's Air Force One backup
http://archives.star[...]
2003-10-25
[30]
뉴스
Air Force 'doomsday' planes damaged in tornado
http://www.cnn.com/2[...]
CNN
[31]
뉴스
A Tornado Left the USAF With Only One Active E-4B "Doomsday Plane" for Months
https://www.thedrive[...]
The War Zone
[32]
뉴스
Air Force 'doomsday' planes moved to Lincoln airport during Offutt runway replacement
https://www.airforce[...]
The Associated Press
2021-03-14
[33]
웹사이트
Requirements For New Air Force Doomsday Planes Seem To Preclude Anything But 747s
https://www.thedrive[...]
2021-02-17
[34]
웹사이트
ATAC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NAOC replacement
https://www.af.mil/N[...]
2022-01-16
[35]
웹사이트
Korean Air sells five jets to US aerospace firm Sierra Nevada
https://www.channeln[...]
2024-05-08
[36]
웹사이트
In The News: How Sierra Nevada Corp. Is Starting To Build The Next Doomsday Fleet
https://www.sncorp.c[...]
2024-05-23
[37]
웹사이트
Rolls Royce wins new contract for nuclear proof 'doomsday' plane
https://www.euronews[...]
2024-05-23
[38]
웹사이트
Rolls-Royce partners with SNC on U.S. Air Force Survivable Airborne Operations Center
https://www.rolls-ro[...]
2024-05-23
[39]
웹사이트
1 Airborne Command Control Squadron (ACC)
http://www.afhra.af.[...]
[40]
웹사이트
Aircraft Factsheets: Boeing E-4
http://aviamagazine.[...]
2014-01
[41]
뉴스
Nuke-proof 'doomsday plane' spotted flying over Nebraska
https://www.yahoo.co[...]
Joshua Hawkins
2022-03-04
[42]
웹사이트
Boeing 747-200 Technical Specifications
http://www.boeing.co[...]
[43]
웹사이트
The Incomplete Guide to Airfoil Usage
https://m-selig.ae.i[...]
2019-04-16
[44]
뉴스
Boeing Awarded Contract to Upgrade E-4B Cockpits
http://boeing.mediar[...]
ボーイング
2011-06-07
[45]
뉴스
竜巻が米空軍基地近くに襲来、軍事作戦司令機など損傷
https://www.cnn.co.j[...]
CNN
2017-06-24
[46]
뉴스
最強部隊を率いる男の行方
https://www3.nhk.or.[...]
NHK
2018-12-03
[47]
간행물
航空ファン別冊 No.32 アメリカ軍用機1945~1986 空軍編 P120-121 文林堂 雑誌コード 03344-8 1986年
[48]
웹사이트
boeing.com-Boeing E-4 Advanced Airborne Command Post
http://www.boeing.co[...]
[49]
서적
Michell 1994, p.265.
[50]
서적
Bowers 1989, p. 528.
[51]
웹사이트
AN/ASC-30 SHF/EHF command post SATCOM terminal (United States), Satellite systems and equipment
http://articles.jane[...]
[52]
웹사이트
In the News: Sierra Nevada Wins U.S. Air Force Nightwatch Replacement Contract
https://www.sncorp.c[...]
2024-05-21
[53]
웹사이트
「終末の日の飛行機」E-4B、後継機は大韓航空747-8改修 5機売却へ
https://www.aviation[...]
2024-05-21
[54]
웹사이트
E-4B fact sheet
https://archive.toda[...]
2007-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