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구·강서구 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구·강서구 을은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신설 당시 북구 덕천2동과 강서구 전 지역을 관할했으며, 이후 금곡동, 화명동이 편입되기도 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한이헌, 허태열, 김도읍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강서구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강서구의회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실시된 부산 강서구의회 의원 선거는 가, 나 선거구에서 각 3명씩 선출하고 비례대표 1명을 포함하여 총 7명의 의원을 선출하였으며, 더불어민주당 3석, 자유한국당 2석, 무소속 1석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 부산 강서구의 정치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강서구의회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강서구의회에서는 가선거구와 나선거구에서 각각 지역구 의원 3명씩 총 6명을 선출했으며, 한나라당이 6석, 무소속이 1석을 확보했다.
  • 부산광역시의 폐지된 선거구 - 해운대구·기장군 갑
    해운대구·기장군 갑은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며, 김운환, 손태인, 서병수, 배덕광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부산광역시의 폐지된 선거구 - 남구 을 (2004년 부산 선거구)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남구 을 선거구는 부산 남구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으며 김무성, 서용교, 박재호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북구·강서구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의회국회
큰 지도부산광역시
연도1996
폐지2024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북구 갑
강서구
이후 선거구북구 을
강서구
의원 수1인

2. 역사

강서구 전역16대북구 금곡동, 화명동, 덕천2동
강서구 전역17대~19대북구 금곡동, 화명1동, 화명2동, 화명3동, 덕천2동
강서구 전역20대~21대북구 금곡동, 화명1동, 화명2동, 화명3동
강서구 전역


2. 1. 선거구 신설 (1996년)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강서구 을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북구 덕천2동과 강서구 전 지역을 관할했다.

2. 2. 관할 구역 변경 (2000년 ~ 2020년)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북구 덕천2동과 강서구 전 지역을 관할했다.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강서구 갑 선거구에서 금곡동과 화명동을 편입했다.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덕천2동을 북구·강서구 갑으로 보냈다.

2. 3. 선거구 폐지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가 개편됨에 따라 강서구 지역이 단독 선거구를 이루게 되고, 남은 북구 지역이 신설되는 북구 을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선거정당의원
1996년신한국당한이헌
2000년한나라당허태열
2004년한나라당
2008년한나라당
2012년새누리당김도읍
2016년새누리당
2020년미래통합당


3. 1. 한이헌 (1996-2000)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한이헌 후보가 당선되었다.

3. 2. 허태열 (2000-2012)

2000년, 2004년, 200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소속으로 내리 3선(16, 17, 18대)을 역임하였다.

3. 3. 김도읍 (2012-2024)

김도읍새누리당미래통합당 소속으로 19대, 20대,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4. 역대 선거 결과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을 지역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4. 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한이헌 후보가 62.1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합민주당 안병해 후보는 31.24%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고, 자유민주연합 윤무헌 후보는 6.62%를 득표하였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신한국당한이헌23,78462.13%
통합민주당안병해11,95831.24%
자유민주연합윤무헌2,5356.62%
합계38,277


4.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을 지역구는 한나라당 허태열 후보가 53.2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는 35.69%를 득표하여 낙선하였는데, 이는 당시 김대중 정부에 대한 지역 감정과 새천년민주당에 대한 반감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민주국민당 문정수 후보가 9.12%를 득표하며 노무현 후보의 표를 잠식한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허태열40,46453.22%
새천년민주당노무현27,13635.69%
민주국민당문정수6,9399.12%
자유민주연합김문자8391.10%
희망의한국신당윤무헌6490.85%
합계76,027100%


4. 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허태열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열린우리당 정진우 후보는 44.87%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했지만, 허태열 후보의 벽을 넘지 못했다. 당시 새천년민주당과 자유민주연합 후보는 각각 1.80%, 0.85%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진보 진영의 분열이 허태열 후보의 당선에 유리하게 작용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허태열47,62552.46
열린우리당정진우40,73344.87
새천년민주당윤무헌1,6431.80
자유민주연합김선곤7750.85
합계90,776100.00


4. 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허태열 후보가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을 유권자 155,247명 중 64,215명이 투표한 가운데 41,225표(득표율 64.19%)를 얻어 3선에 성공하였다. 통합민주당 정진우 후보는 14,888표(득표율 23.18%), 진보신당 박양수 후보는 6,548표(득표율 10.19%), 평화통일가정당 박말식 후보는 1,554표(득표율 2.41%)를 얻었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한나라당허태열41,22564.19%
통합민주당정진우14,88823.18%
진보신당박양수6,54810.19%
평화통일가정당박말식1,5542.41%
합계64,215100%


4. 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도읍새누리당52,83753.05
문성근민주통합당44,97245.15
조영환자유선진당7980.80
김재흥국민행복당20115850.58
김선곤국민생각3930.39
합계99,585100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을 지역구의 총 유권자는 164,464명이었다. 투표 결과, 새누리당 김도읍 후보가 당선되었다.

4. 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을 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김도읍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정진우 후보와 국민의당 정규룡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도읍새누리당54,25549.47%
정진우더불어민주당42,35238.62%
정규룡국민의당13,04711.89%


4. 7.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광역시 북구·강서구 을 선거구에서는 미래통합당 김도읍 후보가 52.03%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3선에 성공하였다. 더불어민주당 최지은 후보는 43.20%를 득표하여 선전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미래통합당김도읍76,05452.03%
더불어민주당최지은63,14643.20%
정의당이의용2,7251.86%
무소속강인길2,0031.37%
무소속김원성1,5201.03%
국가혁명배당금당이제현7210.49%
민중당이대진(사퇴)(사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