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이크스–피코 협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크스-피코 협정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16년 영국과 프랑스 간에 체결된 비밀 협정으로, 오스만 제국 영토 분할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협정은 러시아, 이탈리아와의 사전 협상, 아랍과의 협상, 영국-프랑스 간의 협상을 거쳐 최종적으로 체결되었으며, 1917년에는 이탈리아와의 협정을 통해 내용을 보강했다. 협정의 주요 내용은 프랑스가 시리아, 레바논, 터키 남동부 등을, 영국이 이라크 남부, 팔레스타인, 지중해 연안 지역 등을 차지하는 것이었다. 이 협정은 아랍인들의 독립 열망과 상충되었고, 이후 중동 지역의 정치적 구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중동 분쟁의 원인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프랑스 - 베르됭 전투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이 프랑스군을 소모시키기 위해 베르됭을 공격했으나, 양측의 격렬한 공방전 끝에 독일군의 전략은 실패하고 전쟁의 전환점이자 소모전의 비극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 1916년 프랑스 - 솜 전투
    솜 전투는 1916년 서부 전선에서 연합군이 독일군을 상대로 벌인 대규모 공세로, 초기 목표와 달리 영국군 주도의 제한적 공세로 변경되어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미미한 전진에 그쳐 전략적 목표 달성에 실패했지만, 새로운 무기와 전술의 시도, 그리고 영국군의 전쟁 수행 능력 향상에 중요한 경험을 제공한 전투로 평가받는다.
사이크스–피코 협정

2. 배경 및 협상 과정

1915년 11월경부터 연합국 측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 영토 분할을 위한 비밀 협상을 시작했다. 이 협상은 영국의 마크 사이크스와 프랑스의 조르주 피코가 주도하여 초안을 작성했으며, 이후 러시아 제국 외상 세르게이 사조노프도 참여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최종 조율되었다. 비밀 협정은 아랍 반란 직전인 1916년 5월 16일에 체결되었다.

협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이크스-피코 협정. 짙은 적색은 영국 직접 통치, 짙은 청색은 프랑스 직접 통치, 옅은 적색은 영국의, 옅은 청색은 프랑스의 세력권. 자색(팔레스타인)은 공동 통치령


그러나 이 협정은 영국이 이전에 아랍 민족의 독립 국가 건설을 약속했던 후세인-맥마흔 협정(1915년-1916년) 및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인 민족 국가 건설을 지지한 발포어 선언(1917년 11월)과 내용상 충돌하였다. 이로 인해 영국은 상반된 약속을 남발한 '세 치 혀 외교'를 펼쳤다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자, 같은 해 11월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 정권은 제정 러시아 시기의 비밀 외교 문서를 폭로했다.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내용이 아랍 세계에 알려지면서, 열강의 제국주의적 야심에 대한 아랍 민족의 분노와 반발은 더욱 거세졌다.[95]

2. 1. 러시아 및 이탈리아와의 사전 협정 (1915년 3월~4월)



1915년 3월 18일, 다르다넬스 해협 작전이 시작되고 갈리폴리 전역을 앞둔 시점에서 콘스탄티노플 협정이 맺어졌다. 러시아 외무부 장관 세르게이 사조노프는 프랑스와 영국 대사에게 서한을 보내 콘스탄티노플과 다르다넬스 해협에 대한 러시아의 권리를 주장했다. 약 5주간의 외교 협상을 통해 영국과 프랑스는 러시아의 요구에 동의하는 한편, 각자의 이익도 확보하고자 했다. 영국은 이란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프랑스는 시리아 (지역)(팔레스타인 (지역) 포함)와 킬리키아의 병합을 주장했다. 이러한 영국과 프랑스의 요구 역시 서로 동의했으며, 성지의 구체적인 지배 문제는 추후 결정하기로 합의했다. 만약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연합국이 승리했을 경우 콘스탄티노플과 다르다넬스 해협은 러시아에게 넘어갔을 가능성이 있다. 이 콘스탄티노플 협정은 이후의 사이크스-피코 협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프랑스와 영국이 중동 지역 분할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러시아의 요구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18]

한편, 1915년 4월 26일에 체결된 런던 조약 제9조에는 이탈리아가 오스만 제국 분할에 참여하는 대가로 영토를 할당받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조항에 따르면, 만약 프랑스, 영국, 러시아가 전쟁 중 아시아에 위치한 터키 영토를 점령할 경우, 안탈리아 주에 인접한 지중해 지역이 이탈리아에게 할당되며, 이탈리아는 해당 지역을 점령할 권리를 갖게 된다.

2. 2. 아랍과의 사전 협정 (1915년 7월~1916년 3월)

1918년 영국 정부 지도: ''H.M.G.와 후세인 왕 간의 영토 협상 지도''


사이크스와 피코가 비밀 협상을 진행하는 동안, 메카의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와 영국 육군 중령이자 주이집트 영국 고등 판무관인 헨리 맥마흔 경 사이에서도 별도의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들의 논의는 1915년 7월부터 1916년 3월까지 교환된 10통의 서한, 즉 맥마흔-후세인 서한으로 구체화되었다. 이 서한 교환을 통해 영국 정부는 메카의 샤리프가 오스만 제국에 맞서 아랍 반란을 일으키는 대가(quid pro quo)로 전쟁 후 아랍의 독립을 인정하기로 약속했다.

영국이 약속한 아랍 독립 지역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북쪽으로는 메르신아다나에서 북위 37도까지, 이 위도선에는 비레지크, 우르파, 마르딘, 미디아트, 제지라트 (이븐 우마), 아마디아가 페르시아 국경까지 해당된다. 동쪽으로는 페르시아 국경에서 바스라만까지, 남쪽으로는 인도양까지이며, 아덴의 현재 지위는 유지된다는 예외 조항을 둔다. 서쪽으로는 홍해지중해에서 메르신까지"이다.

그러나 이 약속에는 중요한 예외 조항이 있었는데, "다마스쿠스, 호메스, 하마, 알레포" 서쪽에 위치한 "시리아"의 일부 지역은 아랍 독립 지역에서 제외되었다. 이는 프랑스의 이해관계가 걸린 지역이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1916년 1월 1일, 후세인은 맥마흔의 1915년 12월 14일자 편지에 대한 답신을 보냈고, 이 편지는 영국 외무부에 접수되었다. 맥마흔은 이 답신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보고했는데, 특히 프랑스와의 잠재적 갈등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 프랑스와 아라비아의 제안된 관계를 당분간 일반적으로 수용한다는 점을 주목하는 것은 만족스럽지만, 이러한 관계의 미래에 대한 그의 언급은 무시하지 않는 것이 현명할 문제를 암시한다. 나는 여러 차례 그의 폐하의 정부에 아랍인들이 프랑스가 아랍 영토의 일부를 행정 관리하는 것에 대해 깊은 반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렸다. 여기에는 프랑스와의 미래 관계에 상당한 위험이 놓여 있는데, 프랑스에게 그녀의 실수를 설득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지라도, 우리가 아랍 감정의 실제 상태를 경고함으로써 그녀에게 그렇게 하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우리는 아랍인들이 지금 위협하고 분명히 줄 프랑스에 대한 반대를 선동하거나 장려한 혐의를 받게 될 수 있다.

맥마흔의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영국 외무장관 에드워드 그레이는 프랑스 측에 이 상황을 알리라고 지시했지만, 주영 프랑스 대사 폴 캄본은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는 향후 아랍 민족의 독립 열망과 열강들의 이해관계가 충돌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2. 3. 영국-프랑스 협상 (1915년 10월~1916년 3월)

1915년 11월 23일 첫 협상의 회의록. 양측은 각자의 초기 입장을 제시했다.


1915년 10월 21일, 영국 외무장관 에드워드 그레이는 프랑스 대사 폴 캉봉을 만나 영국이 독립 아랍 국가 수립을 지지하고자 하므로, 프랑스가 시리아의 미래 국경을 논의할 대표를 임명할 것을 제안했다. 당시 영국은 프랑스와 메카의 샤리프인 후세인으로부터 상충하는 요구에 직면해 있었다. 그레이는 카이로에 전보를 보내, 헨리 맥마흔 경에게 후세인에게 보낼 다음 편지에서 후세인이 주장하는 영토 북서쪽 시리아 지역에 대해 최대한 모호하게 언급하도록 지시했다.[19]

영국과 프랑스 간의 공식적인 협상은 1915년 11월 23일, 아서 니컬슨 경이 이끄는 영국 부처 간 위원회와 프랑스 대표 프랑수아 조르주-피코 사이의 첫 회의로 시작되었다. 이 회의에서 피코는 프랑스가 킬리키아토로스산맥 해안 지점에서 시작하여 동쪽 산맥을 따라 디야르베키르, 모술, 에르빌을 포함하고, 유프라테스강데이르에조르로 내려와 사막 국경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여 이집트 국경에서 끝나는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한다고 밝혔다. 다만, 피코는 영국이 바그다드를 차지한다면 모술을 아랍인에게 넘겨줄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영국 측은 동쪽 경계로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데이르에조르까지 남하한 뒤 남서쪽 방향으로 이어지는 선을 제안했으며, 팔레스타인 문제, 특히 예루살렘나사렛 등은 러시아를 포함한 여러 국가와 관련된 별개의 사안이므로 즉시 논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1915년 12월 21일 니컬슨 위원회와 피코의 두 번째 회의가 열렸는데, 피코는 알레포, 하마, 홈스, 다마스쿠스 마을이 아랍인들이 관리할 아랍 지배권에 포함되는 것에 동의하는 허가를 받았다고 말했다. 프랑스가 요구를 어느 정도 축소했지만, 영국도 레바논을 미래의 아랍 국가에 포함시키기를 원한다고 주장했고 이 회의도 교착 상태로 끝났다.[20]

1915년 12월 16일, 사이크스는 영국 전쟁 위원회와의 인터뷰에서 협상 목표를 제시했다. 그는 팔레스타인에 대한 영국의 통제와 아크레에서 키르쿠크까지 이어지는 선 남쪽에 영국 통제 지역을 만들고자 했다.


12월 16일, 마크 사이크스는 영국 전쟁 위원회와의 인터뷰에서 협상 목표를 제시했다. 그는 팔레스타인 ("하이파 남쪽의 그러한 국가")에 대한 영국의 통제를 원하며 "아크레의 'e'에서 키르쿠크의 마지막 'k'까지의 선" 남쪽에 "영국이 통제하는 지역"을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12월 28일, 마크 사이크스는 길버트 클레이턴에게 "피코 협상을 맡았다"고 알렸다. 사이크스와 피코는 6일 동안 "거의 매일" 개인적인 논의를 시작했다. 이 논의에서 살아남은 문서는 없다.

1916년 1월 3일, 사이크스와 피코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으로 알려지게 될 내용의 기초가 되는 공동 각서에 합의하고 서명했다. 이 각서는 두 가지 주요 쟁점에 대한 타협안을 담고 있었다. 첫째, 모술 빌라예트를 리틀자브강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북부(모술과 에르빌)는 프랑스가, 남부(키르쿠크술라이마니야)는 영국이 차지하기로 했다. 둘째, 팔레스타인은 "러시아 및 다른 동맹국들, 그리고 메카의 샤리프 대표와 협의하여 결정될 형태의 국제 행정" 하에 두기로 합의했다.[21]

이 각서의 서문 격인 "예비 관찰" 부분에서는 협상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즉, 프랑스의 역사적 지위와 경제적 열망 보장, 아랍 민족의 인정과 외세 억압으로부터의 보호 및 발전 기회 부여, 영국의 페르시아만 지위 확보와 메소포타미아 개발 기회, 페르시아만-지중해 간 통신선 확보, 그리고 예루살렘과 성지 문제에 대한 종교적 열망 충족 등을 조화시키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었다.[21]

이 각서는 영국 외무부로 전달되어 내부적으로 회람되었다. 1월 16일, 사이크스는 외무부에 피코와 논의했으며 파리 정부가 동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 1월 21일 니컬슨 주재 하에 부처 간 회의가 다시 열렸다. 회의 후 최종 협정 초안은 2월 2일 내각에 회람되었고, 전쟁 위원회는 3일에 이를 검토했으며, 4일 보너 로, 오스틴 체임벌린, 허버트 키치너 등이 참석한 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M. 피코는 그의 정부에 전체 프로젝트의 수락이 상당한 영국의 이익을 포기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알릴 수 있지만, 아랍의 협력이 확보되고 아랍이 조건을 충족하며 홈스, 하마, 다마스쿠스, 알레포 마을을 획득하는 경우 영국 정부는 그 합의에 반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프랑스가 요구하는 영역(청색 지역)이 동쪽으로 너무 멀리 뻗어 있고 러시아의 이익에 영향을 미치므로, 어떤 것을 결론짓기 전에 러시아의 동의를 얻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피코에게 알렸고 5일 후 캉봉은 니컬슨에게 "프랑스 정부는 아랍 문제에 관한 제안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이후 1916년 2월과 3월에 걸쳐, 사이크스와 피코는 각각 영국 대사 조지 부캐넌 경과 프랑스 대사의 고문 자격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러시아 외무장관 세르게이 사조노프와의 협상에 참여했다.

2. 4. 영국, 프랑스, 러시아 간 공식 협정 (1916년 4월~10월)

러시아 제국은 1916년 4월 26일에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조건에 동의했다. 최종 조건은 1916년 5월 9일, 런던 주재 프랑스 대사 폴 캄봉이 영국 외무부 장관 에드워드 그레이에게 보낸 서신에 담겼으며, 그레이가 1916년 5월 16일에 보낸 회신으로 비준되었다.[22][23]

영국, 프랑스, 러시아 간의 공식적인 협정은 아래의 11개 서신으로 구성되었다.

영국-프랑스-러시아 협정의 11개 서신
날짜발신수신설명서신
1916년 4월 26일세르게이 사조노프, 러시아 외무부 장관모리스 팔레올로그, 러시아 주재 프랑스 대사사조노프-팔레올로그 협정, 프랑스가 러시아의 서아르메니아 병합에 동의함을 확인
frameless
1916년 4월 26일팔레올로그사조노프
frameless
1916년 5월 9일폴 캄봉, 런던 주재 프랑스 대사에드워드 그레이, 영국 외무부 장관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대한 프랑스의 동의 (이 문서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공식 프랑스어 버전이다)
frameless
1916년 5월 15일그레이캄봉할당된 지역에서 서로의 기존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상호 확인
frameless
1916년 5월 15일캄봉그레이
frameless
1916년 5월 16일그레이캄봉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대한 영국의 동의 (이 문서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공식 영어 버전이다)
frameless
1916년 5월 23일그레이벤켄도르프러시아-프랑스의 사조노프-팔레올로그 협정과 영국-프랑스의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대한 영국-러시아의 수용을 제안
frameless
1916년 8월 25일캄봉그레이"독립 아랍 국가"라는 단어 앞에 "보호하다"를 "유지하다"로 변경
frameless
1916년 8월 30일로버트 크루-밀네스, 영국 외무부 차관캄봉
frameless
1916년 9월 1일알렉산데르 폰 벤켄도르프, 런던 주재 러시아 대사그레이사조노프-팔레올로그 협정과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대한 러시아와 영국의 동의 확인
frameless
1916년 10월 23일그레이벤켄도르프
frameless



프랑스, 러시아, 영국 간의 일련의 협정 과정에서 러시아의 요구가 가장 먼저 승인되었다. 프랑스는 4월 26일에 동의를 확인했고, 영국은 5월 23일에 이를 확인했으며, 10월 23일에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다. 영국과 프랑스 간의 협정은 5월 9일과 16일의 서신 교환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 삼자 간의 이해는 일반적으로 사이크스-피코 협정으로 불리지만, 영국 전쟁 내각에서는 아시아 소협정(Asia Minor Agreements)으로 알려졌다.

2. 5. 이탈리아와의 협정 (1917년 4월~8월)



1917년 4월 19일, 프랑스 생-장 드 모리엔의 기차 안에서 영국 총리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프랑스 총리 알렉상드르 리보, 그리고 이탈리아 총리 파올로 보셀리와 외무장관 시드니 손니노가 만나 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의 주된 목적은 오스만 제국 영토에 대한 이탈리아의 이권을 명확히 하는 것으로, 특히 런던 조약 제9조에 명시된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합의는 서아시아 지역에서 이탈리아의 군사적 기여를 확보하기 위해 연합국에게 필요한 조치였다.[24]

당시 러시아 군대가 코카서스 전역에서 철수하면서 제1차 세계 대전 중동 전선의 군사력 약화가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비록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 군대가 그 자리를 일부 대체했지만, 연합국으로서는 이탈리아의 역할이 중요했다.[25] 이탈리아는 자신들에게 할당될 지역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쉽게 얻어지지 않을 것임을 인지하고 있었고, 이에 영국 총리는 실제 전후 영토 분할이 계획과 달라질 경우를 대비해 조정을 위한 모호한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 잠정 합의는 이후 몇 달간 각국 외교관들의 협상을 거쳐 구체화되었고, 1917년 8월 18일부터 9월 26일 사이에 연합국 간에 최종적으로 서명되었다. 그러나 당시 러시아러시아 혁명의 혼란 속에서 차르 정권이 무너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 협정에 참여하거나 동의할 수 없었다. 생-장 드 모리엔 협정에 대한 러시아의 동의 부재는 훗날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영국이 이 협정의 효력을 부인하는 근거로 사용되었고, 이는 이탈리아 정부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26]

3. 협정의 주요 내용

영국지중해 연안(바다와 요르단강 사이), 요르단, 이라크 남부(남부 메소포타미아), 하이파, 아코 등의 항구를 확보하고 지중해에 대한 점유권을 가졌다.[101] 프랑스오스만 제국령 아나톨리아 남동부, 이라크 북부(모술 지역), 시리아(샴), 레바논 지역을 영향권으로 확보했다.[101] 러시아 제국이스탄불, 터키 해협(보스포루스 해협, 다르다넬스 해협) 양안, 아르메니아 빌라예트, 흑해 동남 연안을 얻었다.[101]

또한, 협정에 따라 각 점령 국가는 자국 영향 지역 내에서 주(州) 경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101]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해서는 러시아 및 메카의 샤리프를 포함한 다른 관련 국가들과 추가 협상을 통해 국제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로 하였다.[102]

4. 경제적 측면

법학 교수 앙기(Anghie)는 2016년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관한 심포지엄 서문에서 협정의 상당 부분이 "상업 및 무역 협정, 항구 접근 및 철도 건설"에 할애되었다고 지적한다.[32] 로비(Loevy) 역시 협정의 4~8조를 언급하며, 영국프랑스가 "오스만 제국 식민지 개발을 내부자로서" 실행하려 했으며, 이러한 경험이 이후 전시 협상의 지침이 되었다고 분석한다.[33]

실제로 협정 이전인 1913년과 1914년에도 영국과 프랑스는 홈스-바그다드 철도 건설과 관련된 협상을 진행했으며, 이는 중동의 다른 지역에 대해 독일과 맺은 전시 협정과 더불어, 협정 하에서 양국의 영향력에 대한 "명확한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34]

특히 석유 자원은 협상 과정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었다. 깁슨(Gibson)은 당시 영국 전략적 사고에서 석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모술 지역을 가장 큰 잠재 석유 매장지로 보았다고 지적한다. 결국 프랑스는 "석유 지분과 다른 지역에서의 영국의 지원"을 대가로, 1918년 클레망소-로이드 조지 협정을 통해 모술 지역이 이라크 위임통치령에 포함되는 데 동의했다.[35] 당시 개발이 본격화되던 모술 유전의 존재는 이후 모술 문제로 이어지는 등 협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5. 협정의 실제 적용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 정권에 의해 협정의 존재가 폭로되면서,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통해 독립 국가 건설을 기대했던 아랍 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42] 영국과 프랑스는 아랍 민족의 독립을 지지하는 듯한 선언(영불 선언 등)을 발표하기도 했으나, 실제로는 제국주의적 이해관계를 우선시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20년 산레모 회의에서는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기본 틀에 따라 프랑스영국이 중동 지역을 분할하여 국제 연맹의 위임통치령으로 삼기로 최종 결정하였다. 이 결정은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이라크 등 현재 중동 국가들의 국경선을 형성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지속적인 지역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95]

5. 1. 시리아, 팔레스타인, 아랍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 정권은 제정 러시아의 비밀 외교 문서를 폭로하는 과정에서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내용을 공개했다. 1917년 11월 23일 ''이즈베스티야(Izvestia)''와 ''프라우다(Pravda)''에 협정 전문이 실렸고, 이어 11월 26일에는 영국 ''더 맨체스터 가디언(The Manchester Guardian)''에도 보도되었다.[42]
더 맨체스터 가디언(The Manchester Guardian)의 1917년 11월 26일 자 기사.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대한 최초의 영어권 보도 중 하나였다.
이 폭로는 후세인-맥마흔 협정을 통해 아랍 독립 국가 건설을 기대했던 아랍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연합국에 대한 깊은 불신을 야기했다. 연합국 역시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에 앞서 시온주의 지도자들은 이미 영국 정부와의 접촉을 통해 협정의 세부 내용을 인지하고 있었다.

영국은 아랍 측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노력했다. 1918년 1월, 후세인에게 전달된 호가스 메시지(Hogarth Message)는 발포어 선언이 아랍인의 정치적, 경제적 자유를 저해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려 했으며, 1918년 2월 8일의 바셋 서한(Bassett Letter)은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대한 해명을 시도했다. 또한 영국은 7인에게 보내는 선언(Declaration to the Seven) (1918년 6월)을 통해 오스만 제국 지배 하에 있던 아랍인들의 민족 자결 원칙 지지 의사를 처음으로 공식 표명했다.[49]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 역시 14개조를 통해 비밀 외교를 비판하고 민족 자결 원칙을 강조하며 연합국을 압박했다.

전쟁 막바지인 1918년 9월 30일, 아랍 반란을 지지하는 세력은 다마스쿠스에서 메카의 샤리프 후세인에게 충성하는 아랍 정부 수립을 선포했다.[50] 후세인의 아들 파이살은 10월 4일 다마스쿠스에 입성하여 알리 리다 알-리카비를 총리로 임명하고[51][52] 완전하고 독립적인 아랍 정부 수립을 공식 선언했다.[53] 파이살은 종교에 관계없이 모든 아랍인을 위한 정의와 평등에 기반한 정부를 약속했다.[54] 이어 1918년 11월, 영국과 프랑스는 영불 선언을 발표하여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토착 인구의 자유로운 주도권과 선택"에 기반한 정부 수립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55]

그러나 이러한 약속들은 전후 처리 과정에서 대부분 지켜지지 않았다. 1920년 4월 이탈리아에서 열린 산레모 회의에서 연합국은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기본 골격을 유지하며 중동 지역 분할을 최종 결정했다. 이 회의에서 시리아레바논은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으로, 팔레스타인과 이라크는 영국의 위임통치령으로 확정되었다. 이는 후세인-맥마흔 협정이나 영불 선언 등 기존의 약속들과 명백히 배치되는 결정이었다.

산레모 회의 결정에 따라 시리아를 자국의 영향권으로 확보한 프랑스는 1920년 7월 군대를 동원하여 다마스쿠스에서 파이살을 축출했다. 이후 영국은 프랑스와의 관계 및 지역 안정을 고려하여 1921년 8월 파이살을 이라크 왕으로 추대했고, 그의 형인 압둘라 1세트란스요르단 토후국(현재 요르단의 전신)의 통치자로 임명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후세인-맥마흔 서한에서 약속된 아랍 독립 국가의 범위를 크게 축소시킨 결과를 낳았다.

사이크스-피코 협정과 그에 따른 중동 분할은 이후 팔레스타인 문제, 인위적인 국경 획정으로 인한 쿠르드족 문제 등 현재까지도 지속되는 여러 분쟁의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95] ISIL과 같은 일부 극단주의 무장 단체들은 이 협정을 서구 제국주의에 의한 아랍 세계 분열의 상징으로 간주하며, 자신들의 활동을 정당화하는 명분으로 삼기도 한다.[95]

5. 2. 이라크와 페르시아 만

영국은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통해 이라크 남부 지역을 할당받았다.[101] 이미 1914년 11월, 영국은 바스라를 점령한 상태였다. 영국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관심을 가진 주된 이유는 인도의 서쪽 측면을 보호하고 석유를 포함한 상업적 이익을 확보하기 위함이었으며, 베를린-바그다드 철도 건설 또한 경계 대상이었다.

메소포타미아 전역의 일환으로 영국군은 군사 작전을 지속하여 1917년 3월 11일에는 바그다드에 입성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18년 10월 30일 무드로스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군은 진격을 멈추지 않고 11월 2일 모술까지 점령했다.

이후 산레모 회의에서 메소포타미아 지역이 메소포타미아 영국 위임통치령으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영국의 통치에 반발하여 1921년 영국에 대한 이라크 봉기가 발생했고, 북부 이라크에서는 쿠르드족 봉기가 일어나는 등 현지 주민들의 저항에 직면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국은 카이로 회담을 통해 파이살을 위임통치령 이라크의 통치자로 임명하기로 결정했다.

5. 3. 쿠르드족과 아시리아인

협정이 적용된 지역에 대한 영국 정부의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민족지 지도인 "먼셀 지도"


실현되지 못한 세브르 조약에 따른 오스만 제국의 분할안


원래 사이크스–피코 협정은 북부 쿠르디스탄의 일부와 모술 시를 포함한 모술 주의 상당 부분을 지역 B로서 프랑스에 할당하고, 러시아는 북부 쿠르디스탄의 비틀리스을 획득하기로 되어 있었다. 구상된 아랍 국가는 동쪽 경계가 A와 B 지역으로 나뉜 쿠르드족을 포함하는 형태였다. 보먼(Bowman)은 터키에 약 250만 명의 쿠르드족이 있으며, 주로 쿠르디스탄이라고 불리는 산악 지역에 거주한다고 언급했다.[80]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셰리프 파샤는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쿠르드 민족의 주장을 담은 각서를 제출했다. 또한, 공개되지 않은 킹-크레인 위원회 보고서 역시 북쪽의 제안된 아르메니아와 남쪽의 메소포타미아 사이, 서쪽으로는 유프라테스강티그리스강의 분수령, 동쪽으로는 페르시아(이란) 국경으로 둘러싸인 자연 지리적 지역 내에서 쿠르드족의 자치를 권고했다.

그러나 볼셰비키 혁명 이후 러시아가 영토 주장을 포기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산레모 회의에서는 프랑스가 프랑스 시리아 위임통치령을, 영국이 영국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을 할당받았다. 이후 세브르 조약(1920)에서는 조약 체결 1년 이내에 국민투표와 국제 연맹의 승인을 조건으로 쿠르드족에게 자치 또는 독립 영토를 제공할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하지만 튀르키예 독립 전쟁의 결과로 세브르 조약은 폐기되었고, 쿠르드 국가에 대한 조항이 없는 로잔 조약(1923)으로 대체되었다. 그 결과, 쿠르드족은 아시리아인 이웃들과 함께 터키, 이라크, 시리아, 이란 등 여러 국가로 분할되는 운명을 맞게 되었다.

6. 상충되는 약속과 결과



사이크스-피코 협정은 영국이 이전에 아랍 측에 약속했던 내용과 여러 면에서 충돌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많은 자료들은 이 협정이 1915년부터 1916년 사이에 헨리 맥마흔후세인 빈 알리에게 보낸 후세인-맥마흔 서한의 약속과 상충된다고 지적한다.[81] 가장 명백한 차이점은 후세인-맥마흔 서한에서 아랍 독립 국가의 영토로 약속되었던 지역 중 일부, 특히 이라크 지역이 사이크스-피코 협정에서는 영국의 직접 통치 지역(적색 지역)으로 지정된 점이다. 또한, 아랍 국가로 인정된 지역(A 지역과 B 지역)조차 영국과 프랑스 고문관의 통제를 받도록 규정하여 완전한 독립과는 거리가 멀었다. 팔레스타인 지역의 경우, 후세인-맥마흔 서한에서는 명시적으로 제외되지 않았으나, 사이크스-피코 협정에서는 하이파아크레가 영국령으로, 나머지 지역(갈색 지역)은 국제 공동 관리하에 두기로 하여 아랍 측의 기대와 달랐다.[82]

여기에 더해 영국은 1917년 11월 밸푸어 선언을 통해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인을 위한 민족적 고향(National Home) 건설을 지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아랍 민족의 독립 국가 건설 약속과 명백히 배치되는 것이었다. 이처럼 영국이 아랍 민족, 프랑스, 유대인에게 각각 모순되는 약속을 한 행태는 훗날 '세 치 혀 외교'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비밀 협정의 내용은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볼셰비키 정권이 들어서면서 폭로되었다. 1917년 11월, 블라디미르 레닌 정권은 제정 러시아의 비밀 외교 문서를 공개했고, 이 과정에서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존재가 아랍 세계에 알려져 큰 반발을 샀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파리 평화 회의와 1920년 4월의 산레모 회의 등 전후 처리 과정에서 강대국들은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기본 틀에 따라 오스만 제국 영토 분할을 논의했다. 후세인의 아들 파이살이 이끄는 아랍 군대가 1918년 9월 다마스쿠스에 입성하여 아랍 독립 정부 수립을 선포했지만[76], 이 지역을 자국의 세력권으로 간주한 프랑스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결국 프랑스는 1920년 7월 마이살룬 전투에서 아랍 군대를 무력으로 진압하고 파이살을 다마스쿠스에서 추방했다.

산레모 회의에서는 시리아와 레바논을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으로, 이라크팔레스타인, 트란스요르단을 영국의 위임통치령으로 하는 방안이 최종 확정되었다. 이는 후세인-맥마흔 서한에서 약속된 아랍 독립 국가의 범위와는 차이가 있었지만, 영국은 파이살을 이라크 왕으로, 그의 형 압둘라 1세를 트란스요르단(현재의 요르단)의 지도자로 임명함으로써 어느 정도 약속을 이행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이는 아랍 민족 전체의 완전한 독립과는 거리가 멀었고,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따른 분할 통치에 가까웠다.

한편, 아라비아 반도에서는 후세인이 세운 헤자즈 왕국이슬람 지도자들의 반발과 네지드이븐 사우드의 공격으로 1925년 멸망했다. 이븐 사우드는 이후 사우디아라비아를 건국하여 초대 국왕이 되었다.

사이크스-피코 협정과 이후의 분할 협상으로 그어진 인위적인 국경선은 민족, 종교,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아 이후 중동 지역의 분쟁과 갈등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특히 쿠르드족은 여러 나라에 흩어져 살게 되면서 독립 국가를 세우지 못하고 지속적인 탄압과 분쟁에 시달리게 되었다. 또한, 아랍인과 유대인 간의 갈등이 격화된 팔레스타인 문제 역시 이 시기 영국의 모순적인 약속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 현대에 들어서는 ISIL과 같은 극단주의 무장 단체가 사이크스-피코 협정으로 형성된 국경선을 부정하고 칼리파국 부활을 주장하며 무장 투쟁을 벌이는 명분 중 하나로 삼기도 한다.[95]

7. 현대 정치에 미치는 영향

2016년 사이크스-피코 협정 100주년을 맞아 언론[83]과 학계[84]에서는 이 협정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다. 이 협정은 중동에 "인위적인" 국경을 만들고 "민족적 또는 종파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끝없는 갈등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자주 받는다.[85] 다만, 사이크스-피코 협정이 현대 중동의 국경을 실제로 얼마나 형성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86][87]

이슬람 국가 (ISIL)는 2014년 6월 이라크 북부 공세의 목표 중 하나가 사이크스-피코 협정의 영향을 뒤집고 통일된 이슬람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88][89][90] ISIL의 지하디스트 아부 사피야는 "우리는 그것을 인정하지 않으며 결코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깨뜨릴 첫 번째 국경이 아니며, 다른 국경도 깨뜨릴 것"이라고 ''사이크스-피코의 종말''이라는 제목의 비디오에서 경고했다.[91][88] ISIL의 전 지도자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는 2014년 7월 모술의 알누리 대사원에서 한 연설에서 "이 축복받은 진격은 사이크스-피코 음모의 마지막 못을 박을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92][93] 전 프랑스 총리 도미니크 드 빌팽 역시 프랑스 신문 ''르 몽드''에 기고한 사설에서 비슷한 지정학적 분석을 제시했다.[94]

결과적으로 사이크스-피코 협정과 이후의 분할 과정에서 그어진 인공적인 국경선은 이 지역의 민족 및 종파 분포를 고려하지 않아 팔레스타인 문제와 쿠르드족 문제 등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많은 분쟁의 씨앗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ISIL과 같은 과격파 조직들이 무장 투쟁을 정당화하는 명분 중 하나로 작용하기도 했다.[95]

8. 한국의 관점

사이크스-피코 협정은 제1차 세계 대전영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오스만 제국의 영토 분할을 위해 맺은 비밀 협정이다. 이는 중동 지역 민족들의 의사와 관계없이 열강의 이해관계에 따라 인위적으로 국경선을 확정한 대표적인 사례로 지적된다. 이처럼 인위적인 국경 설정은 이후 중동 지역 분쟁과 불안정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특히 이 협정과 관련된 논의 과정에서 쿠르드족과 같이 고유한 정체성을 가진 민족의 분열 문제가 두드러졌다. 협정의 초기 구상이나 이후 체결된 세브르 조약에서는 쿠르드족의 자치 또는 독립 국가 수립 가능성이 잠시 언급되기도 했으나[80], 튀르키예 독립 전쟁의 결과로 체결된 로잔 조약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완전히 배제되었다. 결국 쿠르드족은 튀르키예, 이라크, 시리아, 이란 등 여러 나라에 흩어져 살게 되는 비극을 맞이했다.

과거 일제 강점기라는 식민 지배와 이후 분단의 아픔을 겪은 한국의 역사적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사이크스-피코 협정과 같은 제국주의적 거래는 해당 지역 민족들에게 깊은 상처를 남긴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대한민국 내 진보 진영,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에서는 이러한 제국주의 시대의 유산이 현재까지도 중동 지역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라고 비판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각 민족의 민족자결권이 존중되고, 강대국의 이해관계가 아닌 해당 지역 주민들의 의사가 반영되는 방향으로 국제 질서가 재편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대한민국 정부는 전통적으로 중동 문제에 대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중립적이고 균형 잡힌 외교 정책을 유지하며, 관련된 모든 당사자 간의 대화와 협상을 통한 평화적 해결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는 과거 제국주의 침탈의 피해 경험을 공유하는 국가로서, 중동 지역의 역사적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 지역의 항구적인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LPD 3
[2] 서적 A Peace to End All Peace: The Fall of the Ottoman Empire and the Creation of the Modern Middle East Owl
[3] 서적 The Middle East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6-07-04
[4]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Jordan – Syria Boundary http://www.law.fsu.e[...] 2009-05-08
[5] 간행물 British Empire magazine Time-Life Books
[6] 서적 The Fall of the Ottomans
[7] 웹사이트 Sykes-Picot Agreement - World War I Document Archive http://wwi.lib.byu.e[...] 2009-09-23
[8]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9] AV media Lawrence of Arabia: The Battle for the Arab World PBS Home Video 2003-10-21
[10] 웹사이트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17, Supplement 2, The World War, Volume I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11] Webarchive The British Empire magazine https://www.britishe[...] Time-Life Books 2019-01-05
[12] 웹사이트 Syria and Lebanon are often in the news http://www.dailykos.[...] 2016-02-19
[13] Webarchive Castles Made of Sand: A Century of Anglo-American Espionage and Intervention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22-10-27
[14] Webarchive Middle East still rocking from first world war pacts made 100 years ago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1-26
[15] 뉴스 The war within https://www.economis[...] 2017-09-15
[16] 웹사이트 Sykes and Picot's lasting legacy http://america.aljaz[...]
[17] 뉴스 Sykes-Picot: The map that spawned a century of resentment https://www.bbc.com/[...] 2016-05-16
[18] encyclopedia Constantinople Agreement https://encyclopedia[...] 2020-11-12
[19] 서적 A Line in the Sand Simon and Schuster
[20] 문서 Official outcome of the negotiations of 21 December 1915
[21] wikisource Arab Question; Sykes and Georges-Picot, Memorandum, not dated (known from other sources as 3 January 1916), and Nicolson, covering letter, 5 January 1916 (F.O. 371/2767/2522) UK Foreign Office
[22] 웹사이트 Dividing the bear's skin while the bear is still alive http://blog.national[...] 2017-06-30
[23] 웹사이트 The Sykes–Picot Agreement: 1916 http://avalon.law.ya[...] Yale Law School The Avalon Project 2017-08-06
[24] 서적 World War I: Encyclopedia ABC-CLIO
[25] 서적 The Mirage of Power: British Foreign Policy 1914–22
[26] 간행물 Italy and the Anglo-French Repudiation of the 1917 St. Jean de Maurienne Agreement.
[27] 서적 Islam in History: Ideas, People, and Events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Open Court 2011
[28] 서적 Balfour and Weizmann: The Zionist, the Zealot and the Emergence of Israel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9
[29] 서적 A Companion to International History 1900–2001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
[30] 서적 The Gentile Zionists: A Study in Anglo-Zionist Diplomacy 1929–1939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31] 서적 Redrawing the Middle East: Sir Mark Sykes, Imperialism and the Sykes–Picot Agreemen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32]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s://www.asil.org[...] Oxford Public International Law 2016
[33] 웹사이트 Railways, Ports and Irrigation: The Sykes–Picot Agreement's Forgotten Regional Moment (draft) https://www.iilj.org[...] NYU School of Law 2017
[34] journal The Economic Partition of the Arab Provinces of the Ottoman Empire before the First World War 1988
[35] thesis British Strategy and Oil, 1914–1923 http://theses.gla.ac[...] Glasgow Theses Service 2019-04-25
[36] 서적 The Arab Movements in World War I Routledge 2014
[37] 간행물 Arab Bulletin No 52, 31 May 1917, Hejaz, A Year of Revolt
[38] 서적 Camp and Combat on the Sinai and Palestine Front: The Experience of the British Empire Soldier, 1916–18 Springer 2012
[39] 논문 '"The erosion of Foreign Office influence in the making of foreign policy, 1916–1918" CUP 1972-03
[40] 서적 Palestine, a Twice-promised Land?: The British, the Arabs & Zionism, 1915–1920 Transaction Publishers 2000
[41] 문서 UK National Archives CAB/24/143, Eastern Report, No. XVIII, May 31, 1917
[42]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Jordan – Syria Boundary http://www.law.fsu.e[...] 2009-05-08
[43] 서적 Proceedings of the Brest-Litovsk Peace Conference: the peace negotiations between Russia and the Central Powers 21 November, 1917–3 March, 1918, p. 8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 Office Washington 1918
[44] 서적 Proceedings of the Brest-Litovsk Peace Conference: the peace negotiations between Russia and the Central Powers 21 November, 1917–3 March, 1918, p. 40 https://archive.org/[...] Government Print Office Washington 1918
[45] 웹사이트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The Paris Peace Conference, 1919, Volume III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46] 웹사이트 The Emergence of the Middle East into the Modern State System, Eugene Rogan, ch. 2 p. 48 https://edisciplinas[...] 2021-08-15
[47] 웹사이트 Maronite figures embracing " Syrian nationalism " https://www.academia[...]
[48]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18 http://digicoll.libr[...]
[49] 서적 Britain, the Hashemites, and Arab Rule, 1920–1925: the Sherifian solution Frank Cass 2003
[50] 서적 Jordan: Living in the Crossfire https://books.google[...] Zed Books 2005
[51] 서적 Tricolor and Crescent: France and the 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
[52] 서적 The Arab Movements in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53] 서적 Struggle for Arab Independence: Western Diplomacy and the Rise and Fall of Faisal's Kingdom in Syria Caravan Books. Delmar, New York 1977
[54] 서적 Faisal I of Iraq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4
[55] 서적 Allenby and General Strategy in the Middle East, 1917–1919 Taylor and Francis 1999
[56] 문서 CAB 27/24, E.C. 41 War Cabinet Eastern Committee Minutes, December 5, 1918
[57] 논문 Mesopotamia in British War Aims 1970
[58] 논문 "France's Middle Eastern Ambitions, the Sykes–Picot Negotiations, and the Oil Fields of Mosul." 1994
[59] 서적 Woodrow Wilson and world settlement. Written from his unpublished and personal material https://archive.org/[...] London Heinemann 1923
[60] 서적 Enemy on the Euphrates: The Battle for Iraq, 1914–1921 https://books.google[...] Saqi 2015
[61] 서적 Enemy on the Euphrates: The Battle for Iraq, 1914 - 1921 https://books.google[...] Saqi 2015
[62] 서적 A Line in the Sand: Britain, France and the struggle that shaped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1
[63] 웹사이트 Peace conference: memoranda respecting Syria, Arabia and Palestine https://www.bl.uk/co[...] 2017-08-03
[64] 논문 British Peace Aims and the Eastern Question: The Political Intelligence Department and the Eastern Committee, 1918 1987
[65] 논문 The Foreign Office at the Paris Peace Conference in 1919 2010
[66] 서적 The Politics of Self-Determination: Remaking Territories and National Identities in Europe, 1917–1923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67] 웹사이트 Peace conference: memoranda respecting Syria, Arabia and Palestine, p. 50, Syria https://www.bl.uk/co[...] British Library 2017-08-06
[68] 웹사이트 The Council of Four: minutes of meetings March 20 to May 24, 1919 http://digicoll.libr[...]
[69] 웹사이트 The Council of Four: minutes of meetings March 20 to May 24, 1919 http://digicoll.libr[...]
[70] 웹사이트 FRUS: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The Paris Peace Conference, 1919: The Council of Four: minutes of meetings March 20 to May 24, 1919 http://digicoll.libr[...] 2009-04-17
[71] 웹사이트 FRUS: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The Paris Peace Conference, 1919: The Council of Four: minutes of meetings March 20 to May 24, 1919 http://digicoll.libr[...] 2017-08-07
[72] 웹사이트 FRUS: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The Paris Peace Conference, 1919: The Council of Four: minutes of meetings March 20 to May 24, 1919 http://digicoll.libr[...] 2017-08-08
[73] 웹사이트 FRUS: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The Paris Peace Conference, 1919: The Council of Four: minutes of meetings March 20 to May 24, 1919 http://digicoll.libr[...] 2017-08-08
[74] 서적 Faisal I of Iraq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4
[75] 웹사이트 FRUS: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The Paris Peace Conference, 1919: The Council of Four: minutes of meetings May 24 to June 28, 1919 http://digicoll.libr[...] 2017-08-08
[76] 서적 Resolutions of the General Syrian Congress: Syria, July 2, 1919 https://bcc-cuny.dig[...] Yale University Press 2017-08-08
[77] 웹사이트 FRUS: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The Paris Peace Conference, 1919: The Council of Heads of Delegations: minutes of meetings July 1 to August 28, 1919 http://digicoll.libr[...] 2017-08-08
[78] 웹사이트 Notes of a Meeting of the Heads of Delegations of the Five Great Powers, Paris, 15 September, 1919 https://history.stat[...] 2017-08-08
[79] 서적 Britain, the Hashemites and Arab Rule, 1920–1925 Routledge 2003
[80] 서적 The New World: Problems in Political Geography https://archive.org/[...] World Book Company 1921
[81] 문서 See CAB 24/271, Cabinet Paper 203(37)
[82] 서적 The Making of the Modern Near East 1792–1923 https://archive.org/[...] Longman 1987
[83] 뉴스 Such coverage includes Osman, T. (2013) "[https://www.bbc.com/news/world-middle-east-25299553 Why border lines drawn with a ruler in WW1 still rock the Middle East]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802095247/https://www.bbc.com/news/world-middle-east-25299553 |date=2018-08-02 }}"; Wright, R. (2016) "[http://www.newyorker.com/news/news-desk/how-the-curse-of-sykes-picot-still-haunts-the-middle-east How the curse of Sykes–Picot still haunts the Middle East"]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019160917/http://www.newyorker.com/news/news-desk/how-the-curse-of-sykes-picot-still-haunts-the-middle-east |date=2016-10-19 }}; and Anderson, S. (2016)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16/08/11/magazine/isis-middle-east-arab-spring-fractured-lands.html Fractured lands: How the Arab world came apart]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70307113218/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16/08/11/magazine/isis-middle-east-arab-spring-fractured-lands.html |date=2017-03-07 }}"
[84] 뉴스 See, for example, academic conferences hosted by [http://www2.yorksj.ac.uk/news---events/news---events-home/events/borders-and-beyond-in-the-midd.aspx York St. John University]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07092525/http://www2.yorksj.ac.uk/news---events/news---events-home/events/borders-and-beyond-in-the-midd.aspx |date=2016-11-07 }}, the [http://jcpa.org/international-conference-100-years-since-the-sykes-picot-agreement-lessons-for-the-middle-east/ Jerusalem Center for Public Affairs]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07092746/http://jcpa.org/international-conference-100-years-since-the-sykes-picot-agreement-lessons-for-the-middle-east/ |date=2016-11-07 }}, and symposium by the [https://www.asil.org/blogs/introduction-symposium-many-lives-and-legacies-sykes-picot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07155246/https://www.asil.org/blogs/introduction-symposium-many-lives-and-legacies-sykes-picot |date=2016-11-07 }}.
[85] 웹사이트 Islam and prospects for democracy in the Middle East https://web.archiv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16-11-06
[86] 간행물 Sykes–Picot and "Artificial" States
[87] 웹사이트 'Lines Drawn on an Empty Map': Iraq's Borders and the Legend of the Artificial State http://www.jadaliyya[...] Arab Studies Institute 2015-06-02
[88] 웹사이트 Isis announces Islamic caliphate in area straddling Iraq and Syria https://www.theguard[...] 2019-01-03
[89] 웹사이트 Watch this English-speaking ISIS fighter explain how a 98-year-old colonial map created today's conflict http://www.dailynews[...] 2014-07-03
[90] 뉴스 Extremists in Iraq need a history lesson https://www.cnbc.com[...] 2017-09-15
[91] 뉴스 El video del militante chileno de ISIS https://www.youtube.[...] 2023-10-28
[92] 간행물 How the Curse of Sykes–Picot Still Haunts the Middle East https://www.newyorke[...] 2017-11-05
[93] 웹사이트 First Appearance of ISIS leader Abu Bakr Al Baghdadi https://web.archive.[...] 2014-11-17
[94] 뉴스 Ne laissons pas le Moyen-Orient à la barbarie ! http://www.lemonde.f[...] 2014-08-10
[95] 뉴스 焦点:勢力拡大するイスラム国、中東の「新秩序」を形成か http://jp.reuters.co[...] 2014-08-14
[96] 서적 A Peace to End All Peace: The Fall of the Ottoman Empire and the Creation of the Modern Middle East Owl
[97] 문서 The Middle East in the twentieth century, Martin Sicker http://books.google.[...]
[98] 웹사이트 http://www.law.fsu.e[...] 2009-03-27
[99] 문서 Peter Mansfield, British Empire magazine, Time-Life Books, no 75, p. 2078
[100] 문서 Peter Mansfield, The British Empire magazine, no. 75, Time-Life Books, 1973
[101] 웹사이트 Text of the Sykes–Picot Agreement at the WWI Document Archive http://wwi.lib.byu.e[...]
[102] 웹사이트 Text of the Sykes–Picot Agreement at the WWI Document Archive http://wwi.lib.byu.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