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과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까지 학교 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교과로, 한국의 경우 지리, 역사, 공민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초등학교에서는 지역 사회, 산업, 역사, 공민적 학습을 통해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주 시민 의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학교에서는 지리, 역사, 공민을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학습하며, 고등학교에서는 지리, 역사, 일반 사회 등의 세부 과목으로 나뉘어 사회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민주 사회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미국, 영국, 호주 등에서도 사회과 교육이 이루어지며, 문화, 역사, 개인, 권력, 경제 등 10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사회과는 역사, 경제학, 지리학 등 다양한 학문을 통합하며, 대학 입시에서도 주요 과목으로 다루어진다.
사회과는 학생들이 과학적인 사회 인식을 형성하고, 공민(국민, 시민)으로서 갖춰야 할 자질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과이다. 과학적인 사회 인식이란, 지리학, 역사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윤리학 등 다양한 학문을 통해 인간 사회의 모습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회 인식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평화롭고 민주적인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힘, 즉 시민적 자질을 기르는 것이 사회과의 본질적인 목표이다.
사회과의 기원은 19세기에 시작되어 20세기에 성장했다. 이러한 토대는 미국에 통합되기 전인 1820년대에 그레이트브리튼에서 마련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의 교육 시스템에서는 인간 사회와 환경(HSIE)이라는 유사한 용어가 사용된다.[4]
2. 한국의 사회과 교육
학습지도요령에서는 "넓은 시야로 사회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여러 자료를 바탕으로 다면적·다각적으로 고찰하며, 우리나라의 국토와 역사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키우고, 국제 사회에서 살아가는 민주적·평화적인 국가·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공민적 자질의 기초를 기른다."라고 사회과의 교육 목표를 설명하고 있다.
한국의 사회과 교육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되며, 특수학교를 제외한 모든 학교에서 가르친다.[28] 중학교에서는 지리, 역사, 공민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학습하며, 고등학교에서는 '지리 역사'와 '시민' 과목으로 분리되어 운영되지만, 여전히 '사회'라는 용어로 통칭되기도 한다.[29]
2. 1. 초등학교 사회
사회과는 지적 장애인에 관한 교육을 다루는 특수학교를 제외하면, 초등학교 3학년부터 배우는 교과이다. 과거에는 1학년부터 배웠지만, 현재는 3학년부터 배우고 있다.[28]
초등학교 사회 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2. 1. 1. 지역 사회 이해
지역 사회 학습에서는 각 자치단체별로 학습용 지역 부교재가 배포되고 있다.
2. 1. 2. 국가 정체성 확립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함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학습한다.2. 1. 3. 민주 시민 의식 함양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와 가치를 이해하고, 민주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책임을 배우는 교육 내용이 포함된다.[28] 과거에는 1학년부터 배웠지만, 현재는 3학년부터 배우고 있다.
2. 2. 중학교 사회
사회과는 지적 장애인에 관한 교육을 다루는 특수학교를 제외하면, 현행 제도상 초등학교 3학년부터 전기 중등 교육 3학년까지의 교과이다. 중학교에서는 학습 내용을 크게 '''지리, 역사, 공민'''의 3가지로 구분한다.
지리와 역사는 1학년부터 동시 병행 학습하고, 3학년에 공민을 학습하는 '''π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1학년 지리, 2학년 역사, 3학년 공민을 학습하는 '''자바돈형''', 1~2학년에 걸쳐 지리와 역사를 학습하고, 학습 내용에 따라 공민적 분야를 보조적으로 학습하며, 3학년에 다시 공민을 배우는 '''도리이형'''을 취하는 학교도 있다.
2012년부터는 2008년 고시의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이 완전 시행됨에 따라, 1·2학년은 지리, 역사를 동시 병행 학습하고, 3학년에서는 역사, 공민을 동시 병행 학습하는 형식을 채택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
2. 2. 1. 지리 영역
2. 2. 2. 역사 영역
2. 2. 3. 일반 사회 영역
일반 사회 영역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현상 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사회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공민적 분야2. 3. 고등학교 사회
과거에는 사회과를 두었으나, 학교 교육 시행 규칙 및 학습 지도 요령에 따라 현재의 고등학교 및 중등 교육 학교의 후기 과정에는 사회과가 없고, "지리 역사"와 "시민"을 두고 있다. 다만, 현재 고등학교에서도 통틀어 "사회"라고 하는 경우가 있으며, 지리 역사와 시민 양쪽을 담당하는 교원도 많다. 대학 입시 센터 시험에서는 2012년 이후 동일한 시간대에 지리 역사와 시민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29]
이 사회과 분할 경위에 대해서는 사회과 교육#역사를, 학습 내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지리 교육, 역사 교육, 시민 교육을 참조하면 된다.
다만, "지적 장애인을 교육하는 특별 지원 학교"의 고등부에는 사회과가 있다.
2. 3. 1. 한국 지리
한국 지리는 한국의 지리적 특성과 자연환경, 인문 환경 등을 탐구하고, 지역 개발과 환경 문제, 국토 통일 문제 등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내용을 다룬다.
2. 3. 2. 세계 지리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환경과 인문 환경, 지역 간 상호 의존 관계 등을 이해하고, 지구촌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세계 시민 의식을 함양하는 내용을 배운다.
2. 3. 3. 한국사
한국사 교육은 한국사의 전개 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역사적 사실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및 해석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일제 강점기와 독재 정권 시기의 역사적 경험을 성찰하고,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강조한다.
2. 3. 4. 세계사
세계사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지리 역사' 과목의 일부로 다루어진다. 과거에는 사회과에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지리 역사와 시민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라는 용어로 통칭되기도 하며, 많은 교사들이 지리 역사와 시민을 함께 담당한다.[29]
2. 3. 5. 법과 정치
과거 학교 교육 시행 규칙 및 학습 지도 요령에 따라 고등학교 및 중등 교육 학교의 후기 과정에는 사회과 대신 "지리 역사"와 "시민"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 고등학교에서도 '사회'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지리 역사와 시민을 모두 담당하는 교원도 많다.[29]
법과 정치 과목은 법의 의미와 기능, 민주 정치의 원리와 제도, 헌법의 기본 정신, 국제 관계 등을 이해하고, 법치주의와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는 시민 의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3. 6. 경제
경제 주체의 역할과 시장 경제의 작동 원리, 국민 경제의 순환, 국제 경제 등을 이해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과 경제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 내용을 다룬다.
2. 3. 7. 사회·문화
사회·문화는 사회 구조와 계층, 사회 제도, 문화의 다양성과 변동, 사회 문제 등을 이해하고, 사회 현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 내용을 다룬다.
과거에는 사회과가 있었으나, 현재 고등학교 및 중등 교육 학교의 후기 과정에는 사회과가 없고, "지리 역사"와 "시민"을 두고 있다. 다만, 현재 고등학교에서도 통틀어 "사회"라고 하는 경우가 있으며, 지리 역사와 시민 양쪽을 담당하는 교원도 많다. 대학 입시 센터 시험에서는 2012년 이후 동일한 시간대에 지리 역사와 시민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29]
사회과 분할 경위에 대해서는 사회과 교육#역사를, 학습 내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지리 교육, 역사 교육, 시민 교육을 참조한다.
다만, "지적 장애인을 교육하는 특별 지원 학교"의 고등부에는 사회과가 설치되어 있다.
3. 외국의 사회과 교육
3. 1. 미국
존 듀이의 교육 철학은 사회 과목의 초기 개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듀이는 지리학을 통해 인간의 직업과 지구 연구를 통합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단순한 사실 암기보다는 탐구 과정을 통한 학습을 강조했다. 이러한 그의 철학은 오늘날 사회과 교실에서 구현되는 탐구 기반 학습과 학생 주도 조사의 실천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6] 듀이는 또한 역사를 단순한 사건의 나열이 아닌, 사회적 과정과 현대 사회 문제에 적용 가능한 학문으로 보았다. 이러한 관점은 역사 연구가 현대 학생들에게 관련성을 가지며 사회 개선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6]
1900년대 초 미국에서 사회과는 지리, 정부, 역사 연구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1912년, 교육국(당시 미국 내무부 장관 프랭클린 나이트 레인 소속)은 20세기를 위한 미국 교육 시스템 재구성을 추진했다. 이를 위해 교육국은 전국 교육 협회와 함께 중등 교육 재편 위원회를 구성했다. 이 위원회 산하의 사회과 위원회는 여러 과목을 "사회과"라는 새로운 과목으로 통합하고 표준화하는 역할을 맡았다.[7]
1920년, 사회과 위원회는 "사회과 위원회 보고서, 1916" (회보 제28호)을 발표했다.[7] 교육국이 출판 및 배포한 이 66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는 사회 과목에 대한 최초의 저작물로, 미국 교육자들에게 사회과의 개념을 소개하고 전국적인 교육 과정을 만드는 지침을 제공했다. 이 보고서는 당시로서는 급진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20세기 초 가장 논란이 많은 교육 자료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했다.[8][9] 해럴드 O. 러그와 데이비드 새빌 머지는 사회과 분야의 초기 지지자였다.
이 보고서는 사회과의 모호한 정의 등으로 인해 교육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8]
3. 2. 영국
사회과의 기원은 19세기에 시작되어 20세기에 성장했다. 이러한 토대와 구성 요소는 미국에 통합되기 전인 1820년대에 그레이트브리튼에서 마련되었다.
3. 3. 호주
인간 사회와 환경(HSIE)은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의 교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사한 용어이다.[4]
4. 사회과 교육의 10가지 주제 (미국)
전국 사회과 협의회(NCSS)는 사회과 교육과정이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효과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돕는 인간 경험에 관한 10가지 주제를 제시했다.[23]
- 문화와 문화적 다양성: 학습자는 문화를 경험하고 적응하며, 자신과 사회를 형성하는 방식을 배운다.[23] 이 주제는 다문화주의의 원리를 포함하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 간의 이해를 높이고, 교육 과정에 다양한 학습자의 경험을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
- 시간, 연속성, 변화 (역사): 학습자는 과거와 사건의 역사를 탐구하여 현재 세계를 이해하고, 과거의 신념과 가치를 현재에 적용한다.[23] 역사 연구를 통해 탐구 능력을 향상시킨다.[23]
- 사람, 장소, 환경 (지리): 학습자는 자신과 주변 환경 및 장소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세계에 대한 공간적 시각과 관점을 얻는다.[23] 주로 지리학 분야에서 다루며, 인류와 자원의 관계, 지도 읽기, 인구 및 지구 시스템 분석 등을 포함한다.[24]
- 권력, 권위, 통치 (정치): 학습자는 역사 시대부터 현대까지 권력, 권위, 통치의 형태를 이해하고, 권력의 목적과 한계를 파악한다.
5. 사회과 관련 학문
사회과는 그 자체로 독립된 과목이 아니라, 여러 다른 과목들을 통합하는 학문 분야이다. 여기에는 주로 역사, 경제학, 시민 윤리 과목이 포함된다. 이 외에도 지리학, 사회학, 윤리학, 심리학, 철학, 인류학, 미술, 문학 등의 요소들이 사회과 자체에 통합되어 있다.[1] 사회과는 인간과 인간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이러한 과목들 중 상당수는 사회적으로 유용한 어떤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1]
6. 대학 입시에서의 사회과
대학 입시에서 사회과는 국어, 수학, 영어, 과학과 함께 주요 과목 중 하나이지만, 5과목 중에서는 출제 빈도가 가장 낮아 다소 경시되는 경향이 있다. 중학교 및 고등학교 입시에서는 지리, 역사, 공민 세 분야가 균등하게 출제되지만, 대학교 입시에서는 세계사, 일본사, 지리, 현대 사회 등 여러 과목을 선택하는 형태로 출제된다.
참조
[1]
웹사이트
On the Alleged Demise of Social Studies: The Eclectic Curriculum in times of Standardization—A Historical Sketch
https://files.eric.e[...]
Eric.ed.gov
2018-01-20
[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https://socialstudie[...]
2021-03-27
[3]
서적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Second Edition
Routledge
[4]
웹사이트
Human Society and its Environment (HSIE) in Kindergarten to Year 10
https://educationsta[...]
[5]
웹사이트
Social Studies and the broth of NCSS: 1783-1921
http://www.socialstu[...]
2021-01-23
[6]
서적
The School and Society;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웹사이트
The Social Studies in Secondary Education: A Six-Year Program Adapted Both to the 6-3-3 and the 8-4 Plans of Organization. Report of the Committee on Social Studies of the Commission on the Reorganization of Secondary Educ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Bulletin, 1916, No. 28
https://files.eric.e[...]
Bureau of Education
2018-01-20
[8]
웹사이트
On the Alleged Demise of Social Studies: The Eclectic Curriculum in times of Standardization—A Historical Sketch
https://files.eric.e[...]
Eric.ed.gov
2018-01-20
[9]
웹사이트
The Social Contexts of the Committee on Social Studies Report of 1916
https://files.eric.e[...]
Institute of Education Resources
2018-01-20
[10]
간행물
Social Studies and Social Sciences: A Fifty-Year Perspective
[11]
서적
Where Did Social Studies Go Wrong?
Thomas B. Fordham Foundation
[12]
웹사이트
Chapter 5: History among the Social Studies
https://www.historia[...]
2021-02-01
[13]
웹사이트
The teaching of social studies including history.
https://www.loc.gov/[...]
2023-05-01
[14]
웹사이트
Courses of study in history and social science, years VII-XII.
https://www.loc.gov/[...]
2023-05-01
[15]
웹사이트
The world we live in, an introduction to the social studies for the intermediate grades, by Louis Weinberg, Zenos E. Scott, and Evelyn T. Holston.
https://www.loc.gov/[...]
2023-05-01
[16]
웹사이트
The Committee on Degrees in Social Studies
https://socialstudie[...]
2023-10-23
[17]
웹사이트
Social Studies and Embracing Uncertainty
https://www.thecrims[...]
2023-10-30
[18]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https://socialstudie[...]
2024-01-13
[19]
뉴스
Donor of the Day: Giving for Learning—And for Rowing
http://online.wsj.co[...]
2024-01-13
[20]
웹사이트
Tom Morello reminds the internet he's more than qualified to talk politics
https://www.altpress[...]
2023-10-23
[21]
웹사이트
Arts/Entertainment
https://socialstudie[...]
2023-10-23
[22]
웹사이트
Social Studies Teaching Certification
https://www.teaching[...]
2021-02-10
[23]
웹사이트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Executive Summary
https://www.socialst[...]
2021-02-01
[24]
웹사이트
Home
https://ncge.org/
2021-03-27
[25]
웹사이트
Programs Supported by the Council for Economic Education
https://www.councilf[...]
2021-03-27
[26]
웹사이트
About
https://www.civiced.[...]
2021-03-27
[27]
문서
「知的障害者に関する教育を扱う特別支援学校」の高等部では、「流通・サービス」が「商業」に相当。
[28]
문서
その為、1984年4月2日から1985年4月1日生まれの児童は第1学年は理科と社会の授業を、第2学年は生活の授業を受けている。
[29]
웹사이트
受験案内
http://www.dnc.ac.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