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벌(Leptailurus serval)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중형 포유류로,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털은 황갈색 바탕에 검은 반점이 있으며, 큰 귀와 긴 다리가 특징이다. 서벌은 주로 설치류를 먹지만, 조류, 파충류, 곤충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뛰어난 청각을 이용하여 사냥한다. 서벌은 단독 생활을 하며,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활동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로코의 포유류 - 퀴비에가젤
퀴비에가젤은 아틀라스 산맥에 서식하며 몸집이 작고 어두운 털색과 옆구리의 띠가 특징인 가젤로, 과거 개체 수 감소 후 현재는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초식성이고 경계심이 강하다. - 모로코의 포유류 - 북아프리카코끼리땃쥐
북아프리카코끼리땃쥐는 작은 몸집과 긴 주둥이를 가진 포유류로, 북서아프리카 지역에 서식하며, 1년에 두 번, 한 번에 1~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 고양이아과 - 퓨마
퓨마는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대형 고양잇과 동물로, 넓은 분포와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며 단독 생활을 하는 사냥꾼이지만, 서식지 감소와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여러 문화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고양이아과 - 카라칼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는 중형 고양잇과 동물인 카라칼은 검은 귀털이 특징적이며, 아프리카황금고양이와 함께 카라칼속을 형성하고 서식지 파괴와 가축 습격으로 위협받고 있다. - 알제리의 포유류 - 카라칼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는 중형 고양잇과 동물인 카라칼은 검은 귀털이 특징적이며, 아프리카황금고양이와 함께 카라칼속을 형성하고 서식지 파괴와 가축 습격으로 위협받고 있다. - 알제리의 포유류 - 퀴비에가젤
퀴비에가젤은 아틀라스 산맥에 서식하며 몸집이 작고 어두운 털색과 옆구리의 띠가 특징인 가젤로, 과거 개체 수 감소 후 현재는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초식성이고 경계심이 강하다.
서벌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eptailurus serval |
이명 | Felis serval (Schreber, 1776) Felis capensis (Forster, 1781) Felis galeopardus (Desmarest, 1820) Felis algiricus (J. B. Fischer, 1829) Felis servalina (Ogilby, 1839) Felis senegalensis (Lesson, 1839) Felis ogilbyi (Schinz, 1844) Caracal serval |
한국어 이름 | 서벌 |
영어 이름 | Serval |
분포 지역 | [[파일:Serval_distribution.jpg|250px|분포도]]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과 | 고양이과 |
아과 | 고양이아과 |
속 | 서벌속 (Leptailurus) |
형태 및 크기 | |
몸길이 | 54~62cm |
몸무게 | 9~18kg |
꼬리 길이 | 약 2m |
서식지 및 생태 | |
서식 면적 | 10~32km² |
먹이 | 설치류, 작은 새, 개구리, 곤충 |
보전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최소 관심 (LC) |
CITES | 부록 II |
2. 어원
"서벌"이라는 이름은 1765년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이 베르사유 궁전의 왕립 동물원에서 기르던 얼룩 고양이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 포르투갈어 '(lobo-) cerval'(스라소니를 의미)에서 유래되었다.[3] 'lobo-cerval'은 라틴어 'lupus cervarius'에서 파생되었으며, 각각 "늑대"와 "사슴과 관련된"을 의미한다.[4][5]
요한 크리스티안 다니엘 폰 슈레버가 1776년에 ''Felis serval''이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술했다.[7] 19세기와 20세기에는 여러 학자들이 다양한 서벌 동물 표본을 기반으로 새로운 학명을 제안했으나,[8][9][10][11][12][13] 현재는 대부분 ''Leptailurus serval''의 동종이명으로 간주된다. 서벌은 ''Leptailurus''속의 유일한 종이다.[14][15]
분자 계통 추정 결과, 서벌은 아프리카황금고양이, 카라칼과 함께 단일 계통군을 형성한다.[2][18] 이 계통군은 약 850만 년 전에 나타났으며, 서벌은 이들과 공통 조상에서 약 540만 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50]
서벌은 몸매가 호리호리하지만 강인한 중형 고양이과 동물이다. 다리는 비교적 길고 꼬리는 짧은 편이다. 몸에 비해 머리 크기는 매우 작고, 귀는 타원형이다. 털 무늬는 개체마다 다르지만, 보통 황갈색 바탕에 짙은 검은 반점이 있다. 머리 꼭대기에서 목과 등으로 검은 줄 두 개 또는 네 개가 이어지다가 점차 반점으로 바뀐다. 귀 뒷면은 검은색이고 뚜렷한 흰색 작대기가 있다.
속명 'Leptailurus'는 그리스어 λεπτός|leptósgrc(가늘고 섬세한)와 αἴλουρος|aílourosgrc(고양이)에서 유래되었다.[6]
3. 분류
2017년부터 세 아종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17]
과거에는 아종 분류가 혼란스러웠으며, 17아종, 6아종, 7아종 등으로 보는 설도 있었다.[53] 분자 계통 추정에서는 아프리카황금고양이와 카라칼로 이루어진 단일 계통군의 자매군으로 추정되며, ''Caracal''속에 포함시키는 설도 있다.[59] 아프리카황금고양이 및 카라칼과 공통 조상에서 5,400,000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50] 사육 하에서는 카라칼, 유럽스라소니, 집고양이와 종간 잡종을 형성한 예가 있다.[53]
4. 계통 분류
2006년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카라칼 계통은 850만 년 전에 나타났으며, 이 계통의 조상은 850만~56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 도착했다.[2][18]
고양이과 내에서의 계통발생 관계는 다음과 같다.[78]
{| class="wikitable"
|-
! 고양이과
|-
|
{| class="wikitable"
|-
! † 마카이로두스아과
|-
! 표범아과
|-
|
{| class="wikitable"
|-
! 구름표범속
|-
|
|-
! 표범속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재규어
|-
|
|}
|}
|}
|-
! 고양이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마블고양이속
|-
| 마블고양이
|-
! 황금고양이속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서벌속
|-
| 서벌
|-
! 카라칼속
|-
|
|}
|-
|
{| class="wikitable"
|-
! 호랑고양이속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호랑고양이
|-
|
|}
|}
|}
|-
|
{| class="wikitable"
|-
! 스라소니속
|-
|
{| class="wikitable"
|-
| 붉은스라소니
|-
|
{| class="wikitable"
|-
| 캐나다스라소니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치타속
|-
| 치타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마눌속
|-
| 마눌
|-
! 삵속
|-
|
{| class="wikitable"
|-
| 붉은점박이삵
|-
|
{| class="wikitable"
|-
| 납작머리삵
|-
|
|}
|}
|}
|-
|
{| class="wikitable"
|-
! 고양이속
|-
|
{| class="wikitable"
|-
| 정글고양이
|-
|
{| class="wikitable"
|-
| 검은발고양이
|-
|
|}
|}
|}
|}
|}
|}
|}
|}
|}
|}
이전에는 고양이속이나 스라소니속으로 분류되기도 했다.[53] 분자 계통 추정에서는 아프리카황금고양이와 카라칼로 이루어진 단일 계통군의 자매군으로 추정되며, ''Caracal''속에 포함시키는 설도 있다.[59]
아종 분류는 혼란스러우며, 과거 17아종, 6아종, 7아종으로 보는 설도 있었다.[53]
다음의 아종 분류 및 분포는 IUCN SSC Cat Specialist Group(2017)에 따른다.[55]아종 학명 분포 Leptailurus serval serval (Schreber, 1776) 아프리카 대륙 남부 Leptailurus serval constantinus (Forster, 1780) 아프리카 대륙 서부·중부 Leptailurus serval lipostictus (Pocock, 1907) 아프리카 대륙 동부
5. 형태
서벌은 고양이과 동물 중에서 몸 크기 대비 다리 길이가 가장 길다. 이는 발목과 발가락 사이의 중족골이 매우 가늘고 길기 때문이다. 발가락도 가늘고 길며, 움직일 수 있어서 숨어있는 먹이를 잡는 데 유리하다. 서벌은 큰 귀와 두개골의 청각융기 덕분에 청각이 매우 뛰어나다.[67]특징 설명 몸길이 수컷 59-92cm, 암컷 63-82cm[52] 꼬리 길이 20-38cm[52] (몸길이의 약 3분의 1) 몸무게 수컷 7.9-18kg, 암컷 6-12.5kg[52] 털 짧고 부드러움, 노란색 또는 황갈색 바탕에 검은 반점[58] 머리 작음[52] 귀 크고 끝이 둥긂[52],[58] 다리 길다[52] 염색체 수 2n = 36[53]
카라칼과 유사하지만, 발자국이 더 좁고, 두개골이 더 둥글며, 귀에 술이 없다.[21] 귀는 서로 독립적으로 최대 180도까지 회전할 수 있어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24],[26]
일부 개체는 주근깨 수준으로 작은 반점들이 있어 한때 별개의 종으로 여겨지기도 했다.[67] 서아프리카의 개체군은 체색이 짙고 반점이 작기 때문에 'Felis servalina'라는 별도의 종으로 간주되기도 했다.[58]
5. 1. 외형
서벌은 중형 고양이과 동물로, 몸길이는 59to(-), 꼬리 길이는 20to(-), 어깨높이는 54to(-)이다.[66] 몸무게는 암컷 7to(-), 수컷 9to(-) 정도이다.[67]
몸매는 호리호리하지만 강인하며, 다리는 고양이과 동물 중에서 몸 크기 대비 가장 길다. 머리는 작고 귀는 크고 타원형이다. 털은 황갈색 바탕에 짙은 검은 반점이 있으며, 머리 꼭대기에서 목과 등으로 검은 줄무늬가 이어진다. 개체에 따라 주근깨 수준으로 작은 반점이 있기도 하다. 귀 뒷면은 검은색이고 흰색 작대기가 있다.[67]
흑색증을 가진 흑서벌은 흑표범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백서벌은 야생에서 발견된 적이 없고 사육 상태에서만 보고되었다.[67][68][69][70]
서벌의 긴 다리는 발목과 발가락 사이의 중족골이 가늘고 길기 때문이며, 발가락도 가늘고 길어 먹이를 잡는 데 유리하다. 큰 귀와 두개골의 청각융기는 서벌의 뛰어난 청각을 보여준다.[67]
5. 2. 백색증 및 흑색증
백색증 서벌은 야생에서 발견된 바 없고, 사육 상태에서 5개체만이 보고되었다. 1990년대 초에 캐나다에서 한 마리가 태어났으나 생후 2주 만에 죽었고, 플로리다의 고양이과 보존단체 빅캣 레스큐에서 1997년에 두 마리, 1999년에 한 마리가 태어났다. 세 마리 모두 수컷이며, "콩고", "통가", "파라오"라는 이름이 붙었다.[68][69][70] 나머지 한 마리는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 리자이나의 한 가정집에서 애완동물로 사육 중이다.[71]
흑색증이 있는 서벌은 비교적 흔하다. 흑서벌은 덩치 작은 흑표범과 비슷하게 생겼다.[67] 흑색증 변종은 야생에서도 관찰되었으며,[24] 대부분 케냐에서 관찰되었다.[27]
6. 분포 및 서식지
서벌은 아프리카 원산으로, 사하라 이남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북아프리카에서는 모로코에서만 알려져 있으며, 알제리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튀니지에서는 재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67][63][72]
주된 서식지는 사바나이나, 흑서벌은 해발고도 3,000 미터 이상의 산악지대에서 더 잘 발견된다. 수원지가 있어야 하며, 반사막이나 스텝 같은 완전 건조한 곳에는 살지 않는다. 또 나무가 너무 빽빽한 적도의 밀림도 기피한다. 하지만 삼림 주변부에서는 발견될 수 있다.[67]
사헬 지역에 서식하며, 남아프리카에 널리 분포한다. 킬리만자로 산의 3800m 고지대에서 초원, 황무지, 대나무 덤불에 서식한다. 습지와 사바나와 같이 갈대와 키 큰 풀과 같은 은신처를 제공하는 물가 근처를 선호한다.[1][21] 동수단 사바나에서는 2015년에서 2018년 사이에 실시된 조사에서 국경을 넘나드는 딘더 국립공원–알라타쉬 국립공원 보호 구역 복합 단지에서 기록되었다.[28]
잠비아의 루암베 국립공원에서는 2011년에 인구 밀도가 0.1/km2로 기록되었다.[29] 남아프리카에서는 서벌이 프리 스테이트 주, 동부 노던 케이프 주, 남부 노스웨스트 주에서 기록되었다.[30] 나미비아에서는 카우둠 국립공원과 무두무 국립공원에 존재한다.[31]
7. 생태
서벌은 사바나, 초원, 삼림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늪지나 하천 주변을 선호한다. 열대 우림에는 서식하지 않지만, 삼림과 초원이 섞인 환경이나 숲 속의 트인 곳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활동하는 경우가 있다. 단독 생활을 하지만, 짝을 이루어 행동하는 경우도 있다. 영역을 형성하지만, 다른 개체에게는 관대하며 행동권도 중복된다.
서벌은 하이에나와 아프리카 들개에게 취약하다. 위협을 느끼면 은신처를 찾고, 포식자가 가까이 있으면 꼬리를 들고 방향을 바꾸며 긴 도약을 하여 즉시 도망간다.[20] 나무를 잘 타지만 자주 오르지는 않으며, 개를 피하기 위해 9m 이상 높이의 나무를 오른 사례가 관찰되기도 했다.[24]
수컷은 영역을 가지지만, 영역의 경계는 뚜렷하지 않다. 암컷은 수컷의 영역 안을 자유롭게 돌아다닌다. 암컷은 마음에 드는 수컷과 교미를 한다. 임신 기간은 67-77일이다. 바위 틈새나 풀숲 속에 만든 굴, 땅돼지나 호저류의 옛 둥지 등에서 한 번에 2-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사육 상태에서는 6마리의 새끼를 낳은 예도 있다. 야생에서는 생후 11년, 사육 상태에서는 생후 14년의 개체가 출산한 예도 있다.[21]
어미만이 육아를 하며, 수유 기간은 6개월이다. 새끼는 6개월 정도 모유를 먹지만, 2개월이 안 되어 어미가 잡은 먹이도 먹는다. 어미는 사냥을 나갈 때 새끼를 두고 가는데, 이때 호저나 땅돼지 등이 버린 장소 등을 육아용 둥지로 사용하고 새끼를 숨겨둔다. 새끼는 잠을 자거나 서로 장난치며 어미를 기다린다. 생후 10개월 정도가 되면 스스로 사냥을 하며, 수컷은 12개월 정도에 둥지를 떠난다. 암컷도 얼마 지나지 않아 독립한다. 사육 상태에서는 수컷은 생후 17-26개월, 암컷은 생후 15-16개월에 성적으로 성숙한 예가 있다. 야생에서의 장기 생존 예는 11년, 사육 상태에서의 장기 생존 예는 22년이라는 기록이 있다.[21] 포식자나 인간에게 습격당하면 나무 위로 도망가기도 한다.
많은 서식 지역에서 서벌은 먹이 사슬의 정점 가까이에 위치하여 외적이 적다. 하지만 다른 육식 동물처럼 새끼는 다른 육식 동물이나 맹금류의 먹이가 되기 쉽고, 특히 서식 지역이 겹치는 하이에나는 경계해야 할 포식자이다. 어미는 위험을 감지하면 둥지를 옮기기도 한다.
7. 1. 습성
대부분의 고양이과 동물처럼 서벌은 단독 생활을 하는 야행성 동물이다. 밤중에 먹이를 찾아다니며 최대 3~4 킬로미터까지 이동할 수 있다. 암컷의 텃세권 면적은 먹이의 양에 따라 9.5 ~ 19.8 제곱킬로미터로 달라진다. 수컷의 텃세권은 이보다 더 넓어 11.6 ~ 31.5 제곱킬로미터에 달한다. 암수 모두 관목 등 눈에 띄는 물체에 방뇨하여 자신의 영역을 표시한다. 서벌은 위협 행동을 할 때 매우 과시적인 모습을 보인다. 귀를 빳빳하게 세우고 등을 굽히며, 이빨을 드러내고 머리를 위아래로 세차게 흔든다. 직접적인 대치 상황에서는 긴 앞다리로 채찍질하듯 잽을 날리고 날카롭게 짖거나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낸다.[67]고양이들처럼 서벌은 다른 동물의 소리도 낼 수 있다. 가르랑거림, 찍찍거림, 쉭쉭거림, 컹컹거림, 끽끽거림, 으르렁거림, 깍깍거림, 짹짹거림, 낄낄거림, 끌끌거림, 그르렁거림, 꿀꿀거림, 야옹거림 등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다.
서벌은 낮과 밤 모두 활동하며, 이른 아침, 해 질 녘, 자정 무렵에 활동량이 가장 많다. 서늘하거나 비가 오는 날에는 더 오랫동안 활동하기도 한다. 더운 한낮에는 덤불과 풀밭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몸을 단장한다. 서벌은 주변을 경계하지만, 큰 육식동물이나 먹잇감이 없을 때는 경계심이 덜하다. 서벌은 매일 밤 2km에서 4km 정도를 걷는다.[22][20] 특정 사냥 장소에 도달하기 위해 특별한 길을 이용하기도 한다. 서벌은 단독 생활을 하며, 짝짓기철을 제외하고는 서로 교류가 거의 없다. 암컷과 수컷 한 쌍이 함께 지내는 경우도 있다. 유일하게 오래 지속되는 유대는 어미와 새끼 간의 유대이며, 새끼는 1살이 되어야 어미 곁을 떠난다.[21]
수컷과 암컷 모두 영역을 설정하며, 그 안의 특정 지역('핵심 지역')에서만 가장 활동적이다. 영역의 면적은 먹이 밀도, 은신처의 가용성 및 인간의 간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21][33] 행동권은 겹칠 수 있지만, 구성원들은 최소한의 상호 작용을 보인다. 공격적인 만남은 드문데, 서벌은 싸우고 영역을 방어하기보다는 서로를 피하는 것으로 보인다. 두 성체 서벌이 영역을 두고 갈등을 겪을 경우, 의례적인 과시 행동을 보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한 서벌이 상대방의 가슴에 발을 올리고 상대방을 면밀히 관찰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싸움으로 발전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34][35]
적대적인 행동에는 머리를 수직으로 움직이는 것(다른 고양이에게서 관찰되는 수평 움직임과 반대), 털과 꼬리를 세우는 것, 이와 귀에 있는 흰 띠를 드러내는 것, 그리고 울부짖는 것이 포함된다. 개체는 주변 식물에 오줌을 뿌리고, 길을 따라 배설물을 떨어뜨리고, 침을 뱉으며 풀이나 땅에 입을 비벼서 영역과 선호하는 길을 표시한다. 서벌은 정착하는 경향이 있으며, 영역을 떠나더라도 몇 킬로미터만 이동한다.[21][20]
서벌은 하이에나와 아프리카 들개에게 취약하다. 시야에서 벗어나기 위해 은신처를 찾고, 포식자가 매우 가까이 있으면 꼬리를 들고 방향을 자주 바꾸며 긴 도약을 하여 즉시 도망간다.[20] 서벌은 효율적이지만 자주 오르지는 않는다. 한 개체가 개를 피하기 위해 9m 이상 높이의 나무를 오르는 것이 관찰되었다.[24] 많은 고양이처럼 서벌은 가르랑거릴 수 있으며,[36] 높은 음조의 소리를 내고, 쉿 소리를 내고, 낄낄거리고, 으르렁거리고, 끙끙거리고, 야옹거릴 수 있다.[24]
7. 2. 식성
서벌은 육식동물로, 들쥐, 땃쥐 같은 설치류나 작은 새, 토끼, 개구리, 곤충, 파충류를 잡아먹는다. 소화를 돕거나 구토제 역할을 하는 풀을 먹기도 한다.[37] 먹이의 최대 90%는 200g 미만이며, 뒤쥐, 토끼, 홍학, 넓적부리류, 물새, 어린 영양과 같이 더 큰 먹이를 사냥하기도 한다.[24][37] 설치류가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0~97%로 추정된다.[33][38][39] 들쥐 외에 자주 먹는 설치류로는 아프리카 풀쥐, 아프리카 피그미 생쥐, 다유방쥐가 있다.[21]뛰어난 청각으로 먹이를 찾는 서벌은 최대 15분 동안 움직이지 않고 있다가, 먹이가 사정거리에 들어오면 네 발로 4m까지 뛰어올라 앞발로 공격한다.[38] 작은 먹이는 천천히 뒤쫓다가 앞발을 가슴 쪽으로 향하여 덮친 다음, 앞다리를 뻗어 먹이 위에 착지하여 머리나 목을 물어 즉시 삼킨다. 뱀은 더 많은 타격과 물림을 받고, 심지어 움직이는 동안에도 잡아먹힐 수 있다. 더 큰 새와 같은 먹이는 도망치려는 먹이를 잡기 위해 질주한 다음 뛰어올라 죽이고 천천히 먹는다.
서벌은 나중에 먹기 위해 죽은 잎과 풀 속에 큰 사냥감을 저장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먹이를 먹는 동안 설치류의 내장을 제거하고, 새의 깃털을 뽑은 후 섭취한다. 서벌은 점프하는 동안 땅 위 2m 이상 높이 도달하고 수평 거리 3.6m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응고롱고로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서벌은 사냥 시간과 관계없이 사냥 시도의 절반에서 성공했으며, 어미 서벌의 성공률은 62%로 나타났다. 24시간 동안의 사냥 횟수는 평균 15~16회였다. 청소 행위는 관찰되었지만 매우 드물었다.[24][21]
아프리카쥐속, 얼룩다람쥐속, 작은발쥐속, 검은쥐속, 갈밭쥐속 등의 설치류를 포함한 소형 포유류, 붉은사다새속이나 방울새속과 같은 방울새류 등의 조류를 먹지만, 알, 파충류, 개구리, 어류, 곤충, 게 등을 먹은 예도 있다. 주로 소형 포유류를 먹으며, 짐바브웨에서의 65건의 위 내용물 조사에서는 97%가 소형 포유류, 똥의 내용물 조사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93.5%, 우간다에서 80% 이상이 설치류 등이 차지했다는 보고 예도 있다. 토끼속이나, 소형 영양의 유체, 황새류, 백로류, 홍학류, 호로호로닭류 등의 대형 조류를 포식한 예도 있다. 초본이나 바나나, 아보카도류의 과실을 먹은 예도 있다.
7. 3. 번식 및 생활사
발정 주기는 4일 정도이며, 사는 지역의 설치류 번식기 직후에 새끼를 친다. 서벌은 1년에 여러 번 새끼를 칠 수 있으나, 먼저 낳은 새끼들이 일찍 죽지 않았다면 굳이 여러 번 새끼를 치지 않는다. 임신(Gestation) 기간은 66 ~ 77일이고 대개 한 배에 두 마리를 낳는다. 많게는 한 배에 네 마리를 낳았다는 기록이 있기도 하다.[67]초목이 무성한 곳이나 땅돼지가 살다가 버리고 간 굴처럼 은신처가 될 만한 곳에서 새끼를 낳는다. 그런 장소가 마땅치 않으면 관목 아래 같은 곳을 이용한다. 갓 태어난 새끼는 회색 털로 뒤덮여 있고 몸무게는 250g이다. 막 태어난 새끼는 눈도 못 뜨고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생후 9 ~ 13일이 되면 눈을 뜨고, 생후 1개월 정도면 젖을 떼고 고형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 생후 6개월이면 영구치가 나고 스스로 사냥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생후 12개월이 되면 어미를 떠난다. 생후 12 ~ 25개월이면 성적으로 성숙하여 새끼를 칠 수 있다.[67]

암수 모두 생후 1~2년이 되면 성적 성숙(sexual maturity)에 이른다. 암컷의 발정기(oestrus)는 1~4일 동안 지속되며, 일반적으로 일 년에 한두 번 발생하지만, 어미가 새끼를 잃는 경우에는 일 년에 세네 번 발생할 수 있다.[40] 짝짓기가 이루어지는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보츠와나에서는 겨울에 출산이 절정에 달하고, 응고롱고로 분화구(Ngorongoro Crater)에서는 건기가 끝날 무렵에 출산이 절정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서벌의 서식지 전반에서 관찰되는 경향은 출산이 쥐과(Muridae) 설치류의 번식기보다 앞선다는 것이다.[24]
수명은 야생에서 10년 정도이고 사육 상태에서는 20년 정도이다.[76] 기록된 최장수 서벌은 23살까지 살았다. 사육 상태에서 평균 수명은 22.4년이었다.[77]
8. 인간과의 관계
서벌과 인간의 관계는 고대 이집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43] 서벌은 이집트 예술에서 누비아에서 온 선물이나 교환 물품으로 묘사된다.[44] 사자의 서에서는 태양신 라의 밤의 모습인 "아툼 라"가 고양이 모습으로 그려져, 명계에서 뱀 악마 아페프를 매일 밤 죽인다고 여겨졌다. 『후네페르의 파피루스』에 그려진 고양이는 이집트학자 야로미르 마레크에 의해 서벌로 비정되었다.
서벌은 식용으로 사용되거나, 모피가 이용되기도 한다.[52] 모피는 주술용 겉옷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표범 모피의 대용품으로 쓰이기도 한다.[52]
서벌은 가축을 습격하여 큰 피해를 주는 일은 거의 없지만, 양이나 염소의 어린 가축이나 가금류를 습격하여 해수(害獸)로 여겨지기도 한다.[52]
1986년 4월 7일, 서벌과 고양이의 한 품종인 벵갈의 교배를 통해 잡종이 탄생했다. 이는 '''사바나''' (Savannah영어)로 명명되었으며, '''사바나 캣''' (Savannah cat영어)으로 통칭되게 되었다.
9. 보존
서벌의 개체수는 감소 추세에 있다. 인간 거주지가 서벌 서식지를 잠식하고, 모피를 노린 사냥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 먹이를 찾으러 차도를 건너다가 로드킬을 당하기도 한다. CITES에는 2등급으로, 멸종을 걱정할 필요는 없으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79]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서벌은 아직 흔한 동물이지만,[63]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주에서는 멸종했다. 사하라 이북에서는 모로코와 알제리에서만 발견되었으나, 알제리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간주되며,[63] 이 북아프리카 아종(''L. s. constantina''la)은 미국 위협종법 하에 멸종위기 동물로 취급된다.[80] 튀니지 정부 측에서는 자연 상태의 서벌이 서식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실상은 동아프리카에서 들여온 서벌들을 재도입하려는 계획이 이루어지는 단계에 있다.[63]
습지와 초원의 서식지 파괴는 서벌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된다. 서벌 가죽 거래는 감소 추세에 있지만, 베냉과 세네갈과 같은 국가에서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서아프리카에서 서벌은 전통 의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목축업자들은 서벌이 일반적으로 가축을 사냥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가축을 보호하기 위해 서벌을 죽이는 경우가 많다.[1]
서벌은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로 분류되어 있으며, CITES 부속서 II에 포함되어 있다. 서벌은 서식지 전역의 여러 보호 구역에서 발견된다. 알제리, 보츠와나, 콩고, 케냐, 라이베리아, 모로코, 모잠비크, 나이지리아, 르완다, 튀니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 주에서는 서벌 사냥이 금지되어 있다. 앙골라, 부르키나파소,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가나, 말라위, 세네갈, 시에라리온, 소말리아, 탄자니아, 토고, 잠비아에서는 사냥 규정이 적용된다.[1]
참조
[1]
간행물
Leptailurus serval
2019
[2]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zenodo.org/r[...]
[3]
서적
Histoire Naturelle, générale et particulière, avec la description du Cabinet du Roi
Imprimerie Royale
[4]
문서
OEtymD
[5]
문서
L&S
[6]
문서
LSJ
[7]
서적
Die Säuge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Wolfgang Walther
[8]
서적
Herrn von Büffons Naturgeschichte der vierfüssigen Thiere. Mit Vermehrungen, aus dem Französischen übersetzt. Sechster Band
Joachim Pauli
[9]
논문
Felis servalina
https://archive.org/[...]
1839
[10]
서적
Die Säuge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von Dr Johann Christian Daniel von Schreber
Expedition des Schreber'schen Säugthier- und des Esper'schen Schmetterlingswerkes
[11]
논문
Neue afrikanische Säugethiere
https://archive.org/[...]
[12]
논문
Notes upon some African species of the genus Felis, based upon specimens recently exhibited in the Society's gardens
https://archive.org/[...]
1907
[13]
논문
Mammals from the Blue Nile valley
https://archive.org/[...]
1914
[14]
논문
Notice sur la classification multisériale des carnivores, spécialement des Félidés, et les études de zoologie générale qui s'y rattachent
https://archive.org/[...]
[15]
간행물
MSW3 Carnivora
[16]
논문
Three races, one new, of the serval (Leptailurus) from North Africa
1944
[17]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18]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https://www.resea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9]
논문
Blast from the Past: The Very First F1 Savannah
[20]
서적
The Behavior Guide to African Mammals: Including Hoofed Mammals, Carnivores, Primat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21]
서적
Mammals of Africa
Bloomsbury Publishing
[22]
서적
A Field Guide to the Animal Tracks of Southern Africa
https://www.academia[...]
David Philip Publishers
1990
[23]
서적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the Kruger National Park
null
Struik Publishers
2002
[24]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Bloomsbury Publishing
2015
[26]
서적
Cats of Africa: Behaviour, Ecology, and Conservation
Struik Publishers
[27]
웹사이트
Exclusive: Rare Black Wildcat Caught on Film in Africa
https://www.national[...]
2017-03-22
[28]
논문
Antelopes of the Dinder-Alatash transboundary Protected Area, Sudan and Ethiopia
https://www.marwell.[...]
[29]
간행물
Ecology and population status of the serval Leptailurus serval (Schreber, 1776) in Zambia
http://hss.ulb.uni-b[...]
University of Bonn
2011
[30]
논문
New records of servals Leptailurus serval in central South Africa
2008
[31]
논문
The spotted ghost: Density and distribution of serval Leptailurus serval in Namibia
2018
[32]
서적
Cat behavior: the predatory and social behavior of domestic and wild cats
Garland Publishing, Incorporated
[33]
논문
Aspects of the ecology of the serval Leptailurus serval in the Ngorongoro Crater, Tanzania
1984
[34]
웹사이트
Serval
https://www.theanima[...]
2022-04-25
[35]
웹사이트
Serval
http://www.altinawil[...]
2022-04-25
[36]
웹사이트
Devoted to field purrinng
http://purring.org/
2004-07-12
[37]
웹사이트
Leptailurus serval (Serval)
https://animaldivers[...]
[38]
논문
Serval Felis serval Schreber, 1776
[39]
논문
Diet of serval (Leptailurus serval) in a highland region of Natal
[40]
논문
A note on breeding the serval cat Felis serval at Basle Zoo
1968
[41]
서적
The mammals of the southern African subre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논문
Notes on longevity in three species of felids
[43]
논문
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review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felids and people
2009
[44]
서적
Classical Cat: The Rise and Fall of the Sacred Cat
"{{Google Books|id=N[...]
Routledge
2015
[45]
웹사이트
Regulations Concerning the Private Possession of Big Cat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3
[46]
웹사이트
Exotic pet laws in B.C.
http://spca.bc.ca/wa[...]
The British Columbia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47]
웹사이트
Wild Cat Hybrid Fad in California Concerning To Pet Experts
http://sanfrancisco.[...]
2013
[48]
간행물
I, II and III (valid from 28 August 2020)
https://cites.org/si[...]
[49]
간행물
Leptailurus serval
https://www.speciesp[...]
UNEP
2020
[50]
간행물
Leptailurus serval (amended version of 2015 assessment)
https://doi.org/10.2[...]
2019
[51]
간행물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2005
[52]
서적
サーバル
エクスナレッジ
[53]
서적
Leptailurus serval
Bloomsbury Publishing
[54]
간행물
Serval, Leptailurus serval
http://carnivoractio[...]
IUCN/SSC Cat Specialist Group
[55]
간행물
Leptailurus serval
[56]
서적
Serval Leptailurus serval (Schreber, 1776)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7]
논문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日本哺乳類学会
[58]
서적
ネコ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59]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60]
문서
今泉
[61]
서적
ランダムハウス英和大辞典 第2版
小学館
[62]
웹사이트
特定動物リスト (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https://www.env.go.j[...]
環境省
2020-12-18
[63]
간행물
Leptailurus serval
[64]
간행물
Leptailurus serval (Schreber, 1776) 서벌
[65]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66]
서적
Animal: The Definitive Visual Guide to the World's Wildlife
DK Adult
[67]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8]
웹사이트
Pharaoh
http://bigcatrescue.[...]
Big Cat Rescue
2011
[69]
웹사이트
Tonga
http://bigcatrescue.[...]
Big Cat Rescue
2011
[70]
웹사이트
Kongo White Serval - tributes
http://sites.google.[...]
2015-07-23
[71]
웹인용
Regina family wins fight to keep exotic cat as house pet (video)
http://www.ctvnews.c[...]
CTV News
2012-11-06
[72]
웹인용
Première nationale: un serval photographié dans le moyen Atlas
https://web.archive.[...]
2015-07-16
[73]
웹인용
Serval
http://www.awf.org/c[...]
African Wildlife Foundation
2007-03-13
[74]
웹인용
Serval Fact Sheet
https://web.archive.[...]
San Diego Zoo
2013-07-25
[75]
서적
Cats of Africa
http://books.google.[...]
New Holland Publishers
[76]
저널
Notes on longevity in three species of felids
[77]
웹인용
Leptailurus serval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78]
저널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79]
웹사이트
CITES Appendices
https://web.archive.[...]
[80]
간행물
Leptailurus serval constantina.
http://ecos.fws.gov/[...]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