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라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라게는 갑각류의 일종으로, 성장하면서 더 큰 껍데기를 찾아 이주하며, 껍데기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과 협력적인 행동을 보인다. 잡식성 청소동물이며, 야행성 습성을 가진다. 소라게는 몸이 머리가슴과 복부로 나뉘며, 집게발을 사용하여 껍데기 안을 보호하고, 껍데기를 개조하거나 다른 개체의 껍데기를 빼앗기도 한다. 일부 종은 말미잘과 공생 관계를 맺으며, 9개의 과로 분류된다. 화석 기록은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소라게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명 | Paguroidea Latreille, 1802 |
한국어 이름 | 야도카리 |
영어 이름 | Hermit crab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아문 | 갑각아문 |
강 | 연갑강 |
목 | 십각목 |
아목 | 포란아목 |
하목 | 이미하목 |
상과 | 야도카리상과 |
형태 | |
![]() | |
분포 및 생태 | |
서식지 | 바다 |
하위 분류 | |
과 | 캘시니다에 (Calcinidae) 코에노비티다에 (Coenobitidae) 디오게니다에 (Diogenidae) 리소디다에 (Lithodidae) 파구리다에 (Paguridae) 파라파구리다에 (Parapaguridae) 파라필로첼리다에 (Parapylochelidae) 필로첼리다에 (Pylochelidae) 필로자크에시다에 (Pylojacquesidae) |
기타 | |
화석 범위 | 헤탕기절-현재 |
2. 생태
다른 갑각류와 달리 소라게는 대부분 약하고 긴 나선형 복부를 가지고 있어, 몸 전체를 숨길 수 있는 껍데기로 보호한다.[65] 대부분 소라 껍데기를 집으로 쓰지만 이매패류와 굴족류의 껍데기, 속이 빈 나무나 돌을 쓰기도 하고,[66] 해안가의 쓰레기를 쓰기도 한다.[67]
대부분의 종은 다양한 깊이의 해수에서 산다. 열대 육지에 사는 종도 있지만, 이들 역시 물을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소라게는 야행성이다.
소라게는 자라면서 더 큰 껍데기를 필요로 한다. 꼭 맞는 껍데기는 종종 부족하기 때문에, 껍데기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일어나기도 한다. 다른 소라게와 복족류의 개체 수가 차지할 수 있는 빈 껍데기의 양과 관련이 있다.
일부 더 큰 해양 종의 경우, 껍질에 하나 이상의 말미잘을 부착하여 포식자를 쫓아낼 수 있다. 말미잘 역시 소라게의 식사 조각을 섭취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익을 얻는다. 다른 매우 밀접한 공생 관계는 태형동물과 소라게가 태형암을 형성하는 것이다.[34]
수족관 등에서는 소라게의 전체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소라 껍데기 모양의 유리를 준비하여 살게 하여 전시하기도 한다.[63]
2. 1. 껍데기 경쟁과 협력
소라게는 성장하면서 더 큰 껍데기가 필요하며, 꼭 맞는 껍데기가 부족하면 이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발생한다. 소라게는 껍데기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자와 싸우거나 죽이기도 하지만,[68] 몸집 차이가 크면 경쟁이 줄어들기도 한다.[28] 몸집에 비해 작은 껍데기를 쓰는 소라게는 성장이 더디고, 포식자에게 잡아먹힐 가능성이 더 높다.[69]새로운 껍데기를 발견하면, 여러 소라게가 모여들어 껍데기 크기를 잰다. 껍데기가 크면, 원래 껍데기로 돌아가 다른 소라게를 기다린다. 최대 20여 개체의 소라게가 크기 순으로 줄을 서서 기다리다가, 새로운 소라게가 와서 껍데기를 가져가면, 기다리던 소라게들이 차례대로 껍데기를 교환한다.[70] 이러한 행동을 "공실 사슬"이라고 부른다.

2. 2. 껍데기 개조
소라게는 껍데기 내부를 화학적, 물리적으로 깎아내어 개조한다.[31] 이렇게 개조된 껍데기는 여러 세대에 걸쳐 사용될 수 있으며, 달팽이가 지역적으로 멸종된 곳에서도 소라게가 생존할 수 있게 한다.[31]소라게는 조개 껍데기를 구할 수 없을 때 양철 캔, 맞춤형 껍질, 또는 기타 유형의 쓰레기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종종 소라게에게 치명적이다.[32] 미끄러운 플라스틱 쓰레기 안으로 들어갈 수는 있지만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32] 죽은 소라게는 다른 소라게에게 껍질이 있다는 신호를 보내 더 많은 소라게를 죽음으로 유인하는 연쇄적인 죽음을 초래할 수 있다.[33] 구체적으로, 소라게는 죽은 소라게 살 냄새에 이끌린다.[33] 2024년 2월, 폴란드 연구원들은 16종의 육상 소라게 중 10종이 자연 껍질 대신 버려진 플라스틱 폐기물, 깨진 유리병, 전구 등을 포함한 인공 껍질을 사용하는 것을 관찰했다고 보고했다.[35]
3. 형태
몸은 머리가슴과 복부로 나뉜다. 흉각의 첫 번째 쌍은 굵고 발달한 집게발이며, 대부분 좌우 비대칭이다. 더 큰 집게는 몸을 조개껍데기 안으로 집어넣었을 때 입구를 덮는 데 사용된다. 보행지로 사용되는 것은 제2·제3쌍의 2쌍이며, 나머지 제4·제5 흉각은 짧아져 조개껍데기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복부는 길고 부드러운 주머니 모양이며, 나선형으로 말려 조개 껍데기에 맞게 된다. 복부의 관절은 불분명하며, 부속지는 왼쪽만 남아있고, 오른쪽은 퇴화했다. 미각은 갈고리 모양이며, 조개껍데기 내부에 몸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지만, 종류에 따라 없는 것도 있다.[65][66][67]
4. 번식
소라게의 유생은 여러 단계를 거쳐 발달하며, 처음 두 단계(노플리우스와 프로토조에아)는 알 내부에서 발생한다. 대부분의 소라게 유생은 세 번째 단계인 조에아에서 부화한다. 이 유생 단계에서 게는 여러 개의 긴 가시, 길고 좁은 복부, 크고 가장자리가 있는 더듬이를 갖는다. 여러 번의 조에아 탈피 후 마지막 유생 단계인 메갈로파가 나타난다.[21]
소라게의 짝짓기는 암컷이 탈피하기 직전에 이루어진다. 종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수컷은 탈피 전의 암컷을 몇 시간에서 며칠 동안 붙잡고 있기도 한다. 암컷이 탈피하는 동안 수컷은 짝짓기 전에 암컷을 수컷 쪽으로 잡아당기거나 흔드는 등의 행동을 할 수 있다.[22]
암컷은 짝짓기를 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로 집게발을 입에 넣는다. 그러면 둘 다 몸을 껍질 밖으로 내밀고 짝짓기를 한다. 짝짓기 후 두 게는 다시 껍질 안으로 들어가서 다시 짝짓기를 할 수 있다. 어떤 종에서는 수컷이 암컷이 다리(부속지)에 알을 갖기 전까지 짝짓기 후 행동을 한다.[22]
4. 1. 탈피
소라게는 발달하고 성장하면서 탈피를 한다. 탈피 과정에서 흐물흐물한 게와 같은 외골격을 벗는다. 탈피 과정은 길고 완료하는 데 최대 60일이 걸릴 수 있다.[23] 탈피에는 간탈피, 전탈피, 탈피, 후탈피의 4단계가 있다.[24] 간탈피는 소라게가 에너지를 비축하는 탈피 사이의 기간이다. 전탈피는 낡은 외골격이 벗겨지기 시작하고 새로운 외골격이 형성되는 탈피 전 단계이다. 탈피는 게가 낡은 외골격에서 기어 나와 새롭고 부드러운 외골격만 남게 되는 탈피의 주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후탈피(탈피 후)는 새로운 외골격이 굳어지고 소라게가 낡은 외골격을 먹는 단계이다.어떤 대형 소라게 종에서는 외골격을 묻고 떠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25]
5. 행동
소라게는 다리와 집게발을 움직이거나 위치를 바꾸는 행동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행동은 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서로 매우 유사하며, 보통 몇 초, 길게는 몇 분까지 지속될 수 있다.[36][22]
소라게는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몸에서 멀리 위로 올린 다음 앞으로 움직이는 행동을 할 수 있다.[22][36]
또한 집게발을 경고 표시로 사용하는데, 집게발을 앞으로 움직이거나, 위로 움직여 다른 소라게를 밀어내는 행동을 한다.[22][36]
껍데기를 두고 싸울 때는 "두드리기" 행동으로 상대를 제압한다.[22] Paguridae과에 속하는 소라게는 다른 소라게의 껍질 위로 기어 올라가, 크기가 맞으면 위아래 또는 옆으로 움직여 다른 소라게가 떨어지게 할 수 있다.[22]
일부 소라게 종은 무리에서 독특한 행동을 보인다. 붉은집게와 같은 종들은 군집 행동을 보이는데, 낮 동안에는 모여 있다가 저녁에 흩어진다.[22] ''Clibanarius tricolor''는 가장 조밀하고 큰 무리를 형성하며, 낮 동안 모여서 같은 그룹과 함께 머무르다가 오후 4시에 무리 지어 이동하기 시작하여 오후 5시까지 집단을 떠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다른 게들과 가까이 있는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통제된 환경에서는 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22]
5. 1. 공격적 행동
소라게는 다리와 집게발을 움직이거나 위치를 바꾸는 행동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행동은 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서로 매우 유사하며, 보통 몇 초, 길게는 몇 분까지 지속될 수 있다.[36][22]소라게는 다리를 들어 올리는 "보행 다리 들기" 행동을 할 수 있다. 앞의 두 보행 다리 또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다리 쌍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각각 "이중 보행 다리 들기"와 "사중 보행 다리 들기"라고 부른다. 다른 종에서는 다리를 몸에서 멀리 위로 올린 다음 앞으로 움직이는 "보행 다리 찌르기"를 하기도 한다.[22][36]
소라게는 또한 집게발을 경고 표시로 사용한다. "집게발 내밀기"는 몸 전체를 들어 올리고 다리를 벌린 다음, 손가락(집게발의 윗부분)이 지면과 수직이 될 때까지 집게발을 앞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집게발 뻗기"는 집게발을 앞으로 위로 움직여 다리가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보통 다른 소라게를 밀어내는 데 사용된다.[22][36]
껍데기를 두고 싸울 때는 "두드리기" 행동을 통해 상대를 제압한다. 공격자는 다리와 머리 가슴을 고정한 채 껍데기를 방어자의 껍데기 위로 빠르게 움직인다. 여러 번 "두드린" 후, 방어자는 껍데기 밖으로 나올 수 있으며, 공격자는 비어 있는 껍데기를 확인한 다음 빠르게 껍데기를 바꾼다.[22]
Paguridae과에 속하는 소라게는 다른 소라게의 껍질 위로 기어 올라가, 크기가 맞으면 위아래 또는 옆으로 움직여 다른 소라게가 떨어지게 할 수 있다.[22]
5. 2. 군집 행동
일부 소라게 종은 무리에서 독특한 행동을 보인다. 붉은집게와 같은 종들은 군집 행동을 보이는데, 낮 동안에는 모여 있다가 저녁에 흩어지는 행동을 보인다.[22] ''Clibanarius tricolor''는 가장 조밀하고 큰 무리를 형성하며, 낮 동안 모여서 같은 그룹과 함께 머무르다가 오후 4시에 무리 지어 이동하기 시작하여 오후 5시까지 집단을 떠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다른 게들과 가까이 있는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통제된 환경에서는 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22]6. 공생 관계
많은 소라게 종이 자포동물 중 말미잘류와 공생한다. 일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대형 얕은 바다에 사는 종인 솜털소라게, 케스지소라게 ''Dardanus arrosor''가 짊어진 껍데기 위에 붉은색끈말미잘 ''Calliactis polypus'', 소라게말미잘 ''C. japonica''가 공생하는 예이다. 그 외에도 가시뿔소라게 ''Diogenes edwardsii''의 큰 집게에 소라게고착말미잘 ''Verrillactis paguri''가 부착되는 등, 몇 가지 공생 관계가 알려져 있다.[53] [54]
이러한 말미잘 중에는 스스로 소라게의 껍데기에 서식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있으며, 소라게의 종류에 따라서는 말미잘을 발견하면 자신의 껍데기 위로 그것을 옮겨 붙이는 행동을 하는 것도 있다. 그 경우, 말미잘의 기부를 소라게가 집게로 자극하면 말미잘은 순순히 기질을 떠난다.
이 관계에서 말미잘은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부착할 기질이 없는 모래 진흙 바닥 부분에도 진출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소라게 측에서는 말미잘의 자포에 의해 문어 등의 천적으로부터 몸을 지킬 수 있다. 즉, 서로에게 이익이 있는 상리공생 관계이다.[54] [55] [56]
더욱 관계가 진전된 예로, 심해에 사는 유메오키소라게 ''Paragiopagurus diogenes'', 이이지마오키소라게 ''Sympagurus dofleini'' 등에서는 공생하는 말미잘이 분비물로 큐티클 질의 "껍데기"를 만들어, 그 안에 소라게가 들어간다. 소라게의 성장에 맞춰 껍데기도 커지므로, 소라게는 이사를 할 필요가 없다.[54] 또한, 소라게가 말미잘에게 먹이를 주는 것도 관찰되고 있다.
말미잘 외에는, 말미잘류의 소라게말미잘과 팔손이말미잘이 역시 소라게의 껍데기를 덮어 성장한다. 또한, 히드라충류의 이까구리개불가사리히드라 ''Hydrissa sodalis''는, 이까구리혼소라게 ''Pagurus constans''가 사는 조개 껍데기에서 자라, 차츰 성장하면 껍데기가 커지도록 성장한다. 표면에서 많은 가시를 뻗는 데에서 이 이름이 붙었다.[54][56]
7. 분류
소라게 상과(Paguroidea)는 갯가재, 달랑게와 더불어 이 미하 목(Anomura)에 속하며, 참게(Brachyura)보다는 이들과 더 가깝다. 소라게 상과는 현재 9개의 과로 나뉘며, 약 1200여 종이 135개 속에 포함되어 있다.[1][10]
과 | 학명 및 명명자 | 특징 | 속의 수 |
---|---|---|---|
Calcinidae | Fraaije, Van Bakel & Jagt, 2017 | 7개[11] | |
뭍집게과(Coenobitidae) | Dana, 1851 | 육상 소라게 및 야자집게 | 2개 |
넓적왼손집게과(Diogenidae) | Ortmann, 1892 | "왼쪽 집게 소라게" | 20개 |
집게과(Paguridae) | Latreille, 1802 | "진짜 소라게" | 76개 |
Parapaguridae | Smith, 1882 | "말미잘 소라게" | 10개 |
Parapylochelidae | Fraaije et al., 2012 | 2개[12] | |
뿔조개집게과(Pylochelidae) | Bate, 1888 | "대칭 소라게" | 9개 |
Pylojacquesidae | McLaughlin & Lemaitre, 2001 | 2개 |
과거에는 왕게(Lithodidae)를 소라게 상과에 포함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별도의 상과(Lithodoidea)로 분류한다.[7][8] 그러나 2023년에 Lithodidae 과가 다시 소라게 상과로 재배치되었다.[9]
7. 1. 화석 기록
소라게의 생체 내 화석 기록은 복족류 껍데기를 사용하는 경우 후기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 이전에는 적어도 일부 소라게가 암모나이트 껍데기를 대신 사용했는데, 이는 영국 요크셔의 스피턴 점토층에서 발견된 전기 백악기의 ''팔레오파구루스 반덴엔젤리'' 표본[14]과 러시아의 후기 쥐라기에서 발견된 디오게네스과 소라게 표본에서 알 수 있다.[15] 상과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쥐라기 초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가장 오래된 종은 독일의 후기 헤탕기에서 발견된 ''쇼베르텔라 횔데리''이다.[16]8. 인간과의 관계
소라게는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잘 먹지는 않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먹기도 한다. 미우라 반도 남단의 조가시마(가나가와현 미우라시)에서는 일본 닭새우나 넙치를 잡을 때 붉은집게나 얼룩무늬집게가 같이 잡히는데, 이 소라게들의 부드러운 배 부분을 된장국에 넣거나, 굽거나, 생선회로 먹는다. 먹고 나서 물을 마시면 단맛이 나서 "아마가니"라고 부르기도 한다.[59]
오키나와현에서는 2023년에 천연기념물인 대왕집게를 중국인 관광객이 먹으려고 잡았다가 적발된 사건이 있었다.[60]
최근에는 버려진 페트병 뚜껑 같은 쓰레기를 껍데기 대신 쓰는 소라게도 보이는데,[62] 이는 바다 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8. 1. 식용
소라게는 일반적으로 식용 해산물로 취급되지는 않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된다. 미우라 반도 남단의 조가시마(가나가와현 미우라시)에서는 여름에 일본 닭새우 어획 과정에서 작은 붉은집게가, 겨울에는 넙치 어획 과정에서 대형 얼룩무늬집게가 함께 잡힌다. 이 소라게들은 부드러운 복부를 된장국 재료로 사용하거나, 굽거나, 생선회로 먹기도 한다. 먹고 난 후에 물을 마시면 달콤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아마가니"라는 지방명으로 불린다.[59]오키나와현에서는 2023년에 천연기념물인 대왕집게를 중국인 관광객이 식용 목적으로 포획하여 적발되는 사건이 있었다.[60]
8. 2. 환경 문제
최근에는 버려진 페트병 뚜껑 등 쓰레기를 껍데기 대신 사용하는 소라게도 관찰되고 있다.[62] 이는 해양 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참조
[1]
간행물
Paguroidea
2011-11-25
[2]
논문
The Behavioral Ecology of Hermit Crabs
https://www.annualre[...]
1981
[3]
논문
Larvae of the British Species of ''Diogenes, Pagurus, Anapagurus,''and ''Lithodes''
[4]
논문
Evolution of king crabs from hermit crab ancestors
[5]
논문
Mitochondrial gene rearrangements confirm the parallel evolution of the crab-like form
http://www.biology.d[...]
2012-01-02
[6]
논문
Hermit to king, or Hermit to All: Multiple Transitions to Crab-like Forms from Hermit Crab Ancestors
[7]
논문
Carcinization in the anomura – fact or fiction? I. Evidence from adult morphology
http://decapoda.nhm.[...]
[8]
논문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http://rmbr.nus.edu.[...]
[9]
서적
Marine Decapod Crustacea: A Guide to Families and Genera of the World
CRC Press
[10]
논문
Annotated checklist of anomuran decapod crustaceans of the world (exclusive of the Kiwaoidea and families Chirostylidae and Galatheidae of the Galatheoidea) - Chapter: Part I – Lithodoidea, Lomisoidea and Paguroidea
http://rmbr.nus.edu.[...]
[11]
논문
A new paguroid from the type Maastrichtian (upper Cretaceous, the Netherlands) and erection of a new family
https://www.bsgf.fr/[...]
[12]
논문
New species, genera and a family of hermit crabs (Crustacea, Anomura, Paguroidea) from a mid-Cretaceous reef of Navarra, northern Spain
[13]
논문
A phylogenomic framework, evolutionary timeline and genomic resources for comparative studies of decapod crustaceans
2019-04-24
[14]
논문
The oldest ''in situ'' hermit crab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Speeton, UK
2003-01
[15]
논문
A hermit crab preserved inside an ammonite shell from the Upper Jurassic of central Russia: Implications to ammonoid palaeoecology
2020-01
[16]
논문
New Early Jurassic hermit crabs from Germany and France
2013-01-01
[17]
웹사이트
Aquarium Hermit Crabs
http://www.fishchann[...]
[18]
서적
Crayfishes, lobsters, and crabs of Europe: an illustrated guide to common and traded spec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논문
Hermit crab biocoenoses: a worldwide review of the biodiversity and natural history of hermit crab associates
http://people.hofstr[...]
2020-01-13
[20]
논문
Mechanoreceptors innervating soft cuticle in the abdomen of the hermit crab, ''Pagurus pollicarus''
[21]
논문
Larvae of the hermit crab, ''Pagurus arcuatus'', from the plankton (Crustacea, Decapoda)
[22]
논문
Social behavior of the Paguridae and Diogenidae of Curaçao
https://repository.n[...]
2023-01-06
[23]
웹사이트
How to Tell If Your Hermit Crab Is Molting or Dead
https://www.thespruc[...]
2024-12-05
[24]
웹사이트
Molting Stages and Gel Limbs - HCA: Hermit Crab Association
https://hermitcrabas[...]
2024-12-05
[25]
논문
Peculiar Molting Behavior of Large Hermit Crabs1
https://doi.org/10.2[...]
2022-09-22
[26]
웹사이트
Hermit Crab Care Sheet
https://www.petmd.co[...]
2024-11-21
[27]
논문
Shell acquisition by hermit crabs: which tactic is more efficient?
https://flore.unifi.[...]
2006-08
[28]
논문
Social context of shell acquisition in ''Coenobita clypeatus'' hermit crabs
[29]
논문
Effects of shell fit on the biology of the hermit crab ''Pagurus longicarpus'' (Say)
[30]
웹사이트
Hermit crabs socialize to evict their neighbors
https://news.berkele[...]
2023-01-06
[31]
웹사이트
The Social Lives of Hermits {{!}} Natural History Magazine
https://www.naturalh[...]
2023-01-06
[32]
뉴스
Plastic pollution has killed half a million hermit crabs that confused trash for shells
https://www.cbsnews.[...]
CBS News
2019-12-07
[33]
웹사이트
Hermit crabs are drawn to the smell of their own dead
https://www.sciencen[...]
2024-01-29
[34]
논문
Bryoliths constructed by bryozoans in symbiotic associations with hermit crabs in a tropical heterozoan carbonate system, Golfe d'Arguin, Mauritania
[35]
논문
The plastic homes of hermit crabs in the Anthropocene
2024-02-25
[36]
논문
Notes on the Social Behavior of Some Hawaiian Hermit Crabs (Decapoda, Anomura)
https://www.jstor.or[...]
2023-01-07
[37]
웹사이트
On a Tiny Caribbean Island, Hermit Crabs Form Sophisticated Social Networks
http://www.scientifi[...]
2014-11-06
[38]
뉴스
Hermit crabs socialize to evict their neighbors
http://newscenter.b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2-10-27
[39]
논문
Pisidia magdalenensis (Crustacea: Porcellanidae) commensal of the diogenid hermit crab Petrochirus californiensis (Decapoda: Diogenidae).
https://www.research[...]
2023-01-07
[40]
논문
The Behavioral Ecology of Hermit Crabs
https://www.jstor.or[...]
2023-01-07
[41]
논문
An association between an amphipod, Liljeborgia sp., and the hermit crab, Pagurus hemphilli (Benedict)
1979-07-01
[42]
웹사이트
Hermits: The Unfortunate Victims of Society
https://awionline.or[...]
2024-11-19
[43]
웹사이트
Caring for your Hermit Crab
https://petsdomain.c[...]
2024-11-26
[44]
웹사이트
Carol ‘CrabWorks’ Ormes
https://crabstreetjo[...]
2024-11-26
[45]
웹사이트
Setting up a Proper Hermit Crab Habitat (crabitat)
https://crabstreetjo[...]
2024-11-26
[46]
웹사이트
Hermit Crabs - A Hands Off Pet
https://crabstreetjo[...]
2024-11-26
[47]
웹사이트
Hermit Crab Care – Crestwood Animal Hospital
https://crestwoodvet[...]
2024-11-26
[48]
웹사이트
Hermit Crab Anatomy
https://www.hermitcr[...]
2024-11-26
[49]
웹사이트
Cannibalism
https://crabstreetjo[...]
2024-11-26
[50]
문서
宿を借りる生き物
北海道大学水産学部・水産科学研究院
[51]
뉴스
ヤドカリ種6割 ごみの家/プラスチック、ガラス瓶、電球
毎日新聞
2024-02-03
[52]
논문
駿河湾のサンゴ礫地におけるオイランヤドカリのマガキガイ殻利用
2008
[53]
서적
エコロン自然シリーズ 海岸動物
保育社
1971
[54]
서적
原色日本大型甲殻類図鑑 I
保育社
1982
[55]
서적
ヤマケイポケットガイド16 海辺の生き物
山と渓谷社
2000
[56]
서적
サンゴ礁の生きもの
山と渓谷社
2006
[57]
서적
原色検索日本海岸動物図鑑 II
保育社
1995
[58]
서적
干潟の生きもの図鑑
南方新社
2007
[59]
뉴스
アマガニ(ヤドカリ)神奈川県三浦市/城ヶ島名物「海のカリスマ」
読売新聞
2018-10-28
[60]
뉴스
天然記念物ヤドカリ682匹をビーチで捕獲疑い 観光客の中国籍夫妻を逮捕「食べるために取った」
沖縄タイムス
2023-06-16
[61]
웹사이트
ヤドカリの特大ペニスは「家」を盗まれないため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協会
2019-03-21
[62]
뉴스
「ヤドカリさん、キャップの住み心地は?沖縄・伊江島」
沖縄タイムス
2016-06-12
[63]
뉴스
ガラスの貝殻でヤドカリ丸見え すさみ町の水族館
http://www.agara.co.[...]
2014-01-10
[64]
논문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09
[65]
서적
Hermit and stone crabs (Paguroide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66]
논문
Hermit crab biocoenoses: a worldwide review of the biodiversity and natural history of hermit crab associates
2004
[67]
뉴스
‘치약 뚜껑’ 집으로 삼은 소라게…인류에게 경고하다
서울신문
2015-09-22
[68]
논문
Social context of shell acquisition in Coenobita clypeatus hermit crabs
2010
[69]
논문
Effects of shell fit on the biology of the hermit crab Pagurus longicarpus (Say)
2000
[70]
뉴스
On a Tiny Caribbean Island, Hermit Crabs Form Sophisticated Social Networks
Scientific American
2012
[71]
웹인용
Land Hermit Crab Care Guide
http://www.petsmart.[...]
2011-06-11
[72]
뉴스
Hermit crabs dont have to fade away; with proper care they can have long life
http://www.cumberlan[...]
Amherst Daily News
2008-07-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