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려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려선은 1930년 수원-이천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31년 여주까지 전 구간이 완공된 철도 노선이다. 여주 지역 쌀 수송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조선경동철도에서 운영하다가 국유화되어 수려선이 되었다. 1971년 영동고속도로 개통 이후 수요 감소로 1972년 폐지되었다. 폐선 이후 수원-신갈 구간은 분당선이, 신갈-용인 구간은 용인 경전철이, 이천-여주 구간은 경강선이 건설되어 수려선의 일부 노선을 대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폐지된 철도 노선 - 마데이라-마모레 철도
마데이라-마모레 철도는 아마존 고무 산업과 볼리비아의 대서양 진출을 위해 건설되었으나, 열악한 환경으로 "악마의 철도"라는 별칭을 얻었고, 고무 산업 쇠퇴 후 폐선되어 현재는 일부 유적과 박물관으로 남아있다. - 1972년 폐지된 철도 노선 - 문현선
문현선은 대한민국 철도청이 운영했던 총 4.7km의 철도 노선으로, 1958년 부산역과 우암역 구간으로 개통되어 1972년에 폐지되었다. - 193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전라선
전라선은 익산역에서 여수엑스포역까지 연결되는 간선 철도 노선으로, 1914년 개통되어 국유화와 개량을 거쳐 현재 전철화되었으며, KTX가 운행되고, 노선 번호는 309번이며 총 길이는 180.4km이다. - 193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3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전라선
전라선은 익산역에서 여수엑스포역까지 연결되는 간선 철도 노선으로, 1914년 개통되어 국유화와 개량을 거쳐 현재 전철화되었으며, KTX가 운행되고, 노선 번호는 309번이며 총 길이는 180.4km이다. - 193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장항선
장항선은 천안에서 익산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사설 철도 충남선으로 개통 후 국유화되어 장항선으로 개칭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및 선형 개량 사업을 통해 수도권 전철 1호선, 서해선과 연결되어 여객 및 화물 수송의 주요 노선으로 발전하고 있다.
수려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수려선 (水驪線)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로마자 표기 | Suryeoseon |
노선 종류 | 여객/화물 철도 |
노선 상태 | 운행 중단 |
위치 | 경기도 |
기점 | 수원역 |
종점 | 여주 |
역 수 | 21 |
개통 | 1930년 12월 1일 |
폐지 | 1972년 3월 31일 |
소유주 | 한국철도공사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노선 길이 | 73.4 km |
선로 수 | 단선 |
노선도 | |
![]() | |
역 목록 (폐지 당시) | |
수원 | 수원역 |
화성 (본-수원) | 해당 정보 없음 |
원천 | 해당 정보 없음 |
덕곡 | 해당 정보 없음 |
신갈 | 해당 정보 없음 |
오정 | 해당 정보 없음 |
삼가 | 해당 정보 없음 |
용인 | 해당 정보 없음 |
마평 | 해당 정보 없음 |
양지 | 해당 정보 없음 |
제일 | 해당 정보 없음 |
오천 | 해당 정보 없음 |
표교 | 해당 정보 없음 |
유산 | 해당 정보 없음 |
이천 | 해당 정보 없음 |
무촌 | 해당 정보 없음 |
죽당 | 해당 정보 없음 |
매류 | 해당 정보 없음 |
광대리 | 해당 정보 없음 |
연라리 | 해당 정보 없음 |
여주 | 여주역 |
2. 역사
수려선은 1930년 사철인 조선경동철도에 의해 처음 개통되었으며, 이듬해 전 구간 공사가 완료되었다.
1942년 조선철도에 인수되었고, 광복 이후 국유화되었다.[2] 1971년 영동고속도로 (신갈 분기점 - 새말 나들목)가 개통되면서 수요가 급감하여, 1972년 3월 31일 최종적으로 폐선되었다.
수려선 폐지 후, 분당선이 수원-신갈 구간을, 용인 경전철이 신갈-용인 구간을 따라 건설되었다. 또한, 경강선이 이천, 여주를 통과하는 형태로 개통되었다. 이들 노선에는 수려선과 같은 명칭의 역도 있지만, 위치는 다르다.
2. 1. 개요
일제 강점기인 1930년 12월에 사철인 조선경동철도주식회사가 여주 지역의 쌀을 수탈하려는 목적으로 부설하였다. 1942년에 수인선과 함께 조선철도에 양도되어 두 선을 합쳐 '''경동선'''이라 하였다가 광복 이후 사철 국유화 정책에 따라 교통부 철도국 소유로 변경되었다.박정희 정부 때 구둔역까지 연장하는 계획[3]이 세워진 적이 있으나, 1971년에 영동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여주와 수원 사이의 철도 교통 수요가 급감하여 1972년 4월 1일에 전 구간 폐선되었다.[4] 폐선 당시 노선 연장은 73.4km였다.
2. 2. 연혁
- 1930년 12월 1일: 조선경동철도가 여주 지역의 미곡 수송을 목적으로 수원-이천 간 53.1km 구간을 개통하였다.[5]
- 1931년 12월 1일: 이천-여주 간 20.3km 구간이 개통되었다.[6]
- 1942년 11월 1일: 사철인 조선철도에 양도되어, 동사의 '''경동선'''의 일부가 되었다.
- 1946년 5월 10일: 국유화되어 '''수려선'''이 되었다.
- 1971년 12월 1일: 수려선과 병행하는 영동고속도로(신갈 분기점 - 새말 나들목)가 개통되었다.
- 1972년 4월 1일: 영동고속도로 개통으로 수요가 급감하여 전 구간이 폐지되었다.[7]
- 2013년 4월 26일: 에버라인의 기흥 – 운동장·송담대 구간이 과거 수려선과 거의 일치하는 노선으로 개통되었다.[2]
- 2016년 8월 27일: 경강선이 이천에서 여주까지 수려선 노선을 따라 개통되었다.
3. 역 목록
1972년 3월 31일 수려선 폐지 당시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로마자 역명은 당시 표기법을 따랐다.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
수원 | Suwon | 水原 | 경부선, 수인선 | 0.0 | 0.0 |
화성 | Hwaseong | 華城 | 3.0 | 3.0 | |
원천 | Weoncheon | 遠川 | 3.5 | 6.5 | |
덕곡 | Deokgok | 德谷 | 2.5 | 9.0 | |
신갈 | Singal | 新葛 | 3.5 | 12.5 | |
어정 | Eojeong | 漁汀 | 3.4 | 15.9 | |
삼가 | Samga | 三街 | 5.9 | 21.8 | |
용인 | Yongin | 龍仁 | 2.3 | 24.1 | |
마평 | Mapyeong | 麻坪 | 4.3 | 28.4 | |
양지 | Yangji | 陽智 | 3.5 | 31.9 | |
제일 | Jeil | 霽日 | 3.5 | 35.4 | |
오천 | Ocheon | 午川 | 4.6 | 40.0 | |
표교 | Pyogyo | 標橋 | 5.7 | 45.7 | |
유산 | Yusan | 酉山 | 3.7 | 49.4 | |
이천 | Icheon | 利川 | 3.7 | 53.1 | |
무촌 | Muchon | 茂村 | 4.5 | 57.6 | |
죽당 | Jugdang | 竹堂 | 2.1 | 59.7 | |
매류 | Maeryu | 梅柳 | 4.7 | 64.4 | |
광대리 | Gwangdaeri | 廣大里 | 2.6 | 67.0 | |
연라리 | Yeonrari | 煙羅里 | 2.7 | 69.7 | |
여주 | Yeoju | 驪州 | 3.7 | 73.4 |
3. 1. 상세 역 목록
1972년 3월 31일 폐지 당시 수려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1972년 당시 행정구역 | 2021년 기준 행정구역 | |
---|---|---|---|---|---|---|---|---|
수원 | Suwon | 水原 | 경부선, 수인선 | 0.0 | 0.0 | 수원시 | 권선구 | |
화성 | Hwaseong | 華城 | 3.0 | 3.0 | ||||
원천 | Weoncheon | 遠川 | 3.5 | 6.5 | 영통구 | |||
덕곡 | Deokgok | 德谷 | 2.5 | 9.0 | 용인군 | 기흥구 | ||
신갈 | Singal | 新葛 | 3.5 | 12.5 | ||||
어정 | Eojeong | 漁汀 | 3.4 | 15.9 | ||||
삼가 | Samga | 三街 | 5.9 | 21.8 | 처인구 | 삼가동 | ||
용인 | Yongin | 龍仁 | 2.3 | 24.1 | 김량장동 | |||
마평 | Mapyeong | 麻坪 | 4.3 | 28.4 | 동부동 (용인시) | |||
양지 | Yangji | 陽智 | 3.5 | 31.9 | 양지면 | |||
제일 | Jeil | 霽日 | 3.5 | 35.4 | ||||
오천 | Ocheon | 午川 | 4.6 | 40.0 | 이천군 | 마장면 | ||
표교 | Pyogyo | 標橋 | 5.7 | 45.7 | ||||
유산 | Yusan | 酉山 | 3.7 | 49.4 | 호법면 | |||
이천 | Icheon | 利川 | 3.7 | 53.1 | 창전동 | |||
무촌 | Muchon | 茂村 | 4.5 | 57.6 | 부발읍 | |||
죽당 | Jugdang | 竹堂 | 2.1 | 59.7 | ||||
매류 | Maeryu | 梅柳 | 4.7 | 64.4 | 여주군 | 세종대왕면 | ||
광대리 | Gwangdaeri | 廣大里 | 2.6 | 67.0 | ||||
연라리 | Yeonrari | 煙羅里 | 2.7 | 69.7 | 중앙동(연라동) | |||
여주 | Yeoju | 驪州 | 3.7 | 73.4 | 여흥동(홍문동) |
4. 운행 차량
수려선은 협궤 증기 기관차, 협궤 화차, KNR160 디젤 동차, KNR18000 객차를 사용했다. 폐선 후 모든 차량은 수인선으로 옮겨졌다. KNR160 및 KNR18000 차량의 예시는 의왕시에 있는 한국철도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수려선의 일부 구간을 따르는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를 사용한다. 수려선의 또 다른 일부 구간을 따르는 용인 에버라인은 봄바디어 이노비아 메트로 Mark II 차량을 사용한다.
5. 현재 상태 및 활용
수려선은 수인선처럼 전 구간을 표준궤 복선전철로 다시 부활시키는 계획은 없으나, 도로로 사용되거나, 새로 건설되는 노선의 부지로 활용되는 구간이 많다.
- 덕곡~신갈 구간의 일부(태광CC~녹십자4거리)는 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 신갈~용인 구간은 에버라인의 기흥~운동장·영어송담대 구간과 경로가 흡사하다.
- 이천~여주 구간은 경강선의 일부가 대체한다.
건설교통부나 한국철도공사는 수려선 전체에 대한 재건 계획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노선의 일부는 용인 에버라인의 일부로 재건되었으며, 노선의 또 다른 일부는 경강선 구간으로 사용되어 여주가 성남 및 이천과 철도 연결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참조
[1]
간행물
朝鮮總督府官報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朝鮮總督府
1942-11-04
[2]
웹사이트
The map of the section Singal – Yongin
http://www5f.biglobe[...]
[3]
뉴스
철도 부설 줄이도록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66-06-16
[4]
뉴스
내일하루 무임 봉사 폐선 되는 수려선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72-03-30
[5]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조선총독부
1930-12-04
[6]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조선총독부
1931-12-07
[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2호
대한민국정부
1972-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