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완나품 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완나품 공항은 태국 방콕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3년 부지 매입을 시작하여 여러 우여곡절을 겪은 후 2006년 9월 28일에 공식 개항했다. 개항 초기에는 수하물 처리 지연, 활주로 및 터미널 건물 손상 등의 문제와 2008년 반정부 시위대의 공항 점거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현재는 연간 수천만 명의 승객을 처리하는 동남아시아의 주요 공항 중 하나이다. 2019년에는 세계 100대 공항 중 46위를 기록했으며, 2023년에는 51,699,104명의 승객을 처리했다. 방콕 시내와 연결되는 공항철도, 다양한 버스 노선, 택시 등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2024년 5월에는 싱가포르항공 321편 난기류 사고로 긴급 착륙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개항한 공항 - 고베 공항
고베 공항은 고베시 포트 아일랜드 남쪽 해상에 위치한 지역 공항으로, 정치적 논란과 자금난을 겪다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재해 복구 계획으로 건설이 재개되어 2006년 개항, 2018년 민영화 후 국제선 운항 확대를 추진 중이며 편리한 교통 접근성을 갖추고 있다.
수완나품 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공항 이름 | 수완나품 국제공항 |
로마자 표기 | Tha-akatsayan Suwannaphum |
영어 이름 | Suvarnabhumi Airport |
IATA 코드 | BKK |
ICAO 코드 | VTBS |
WMO 코드 | 48429 |
공항 유형 | 공공 |
운영 기관 | 타이 공항 공사 (AOT) |
모도시 | 방콕 수도권 |
위치 | 라차테와, 방플리 군, 사뭇쁘라깐 주, 태국 |
개항일 | 2006년 9월 28일 |
허브 항공사 | K-Mile 항공 타이 국제항공 |
포커스 도시 | 중국남방항공 에바 항공 |
운영 기지 | 방콕 항공 타이 에어아시아 타이 비엣젯 항공 |
활주로 수 | 3 |
면적 | 3240 ha |
해발 고도 | 2 m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 |
![]() |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1 방향 | 02R/20L |
활주로 1 길이 | 3,700 m |
활주로 1 표면 | 아스팔트 콘크리트 |
활주로 2 방향 | 01/19 |
활주로 2 길이 | 4,000 m |
활주로 2 표면 | 아스팔트 |
활주로 3 방향 | 02L/20R |
활주로 3 길이 | 4,000 m |
활주로 3 표면 | 아스팔트 |
통계 (2023년) | |
총 여객 수 | 51,699,104명 |
국제 여객 수 | 40,010,184명 |
국내 여객 수 | 11,688,920명 |
항공기 운항 횟수 | 307,505회 |
화물 처리량 | 1,137,373톤 |
기타 | |
공항 코드 | BKK/VTBS |
2. 역사
'''토지 매입 및 초기 건설'''
1973년 새 공항의 필요성이 인지되어 방콕에서 동쪽으로 4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8천 에이커의 땅을 매입했다. 이 부지는 코브라 스웜프(Cobra Swamp)로 알려졌으며, 배수 후 "금속의 진"이라는 뜻의 수완나품(สุวรรณภูมิth)으로 명명되었다.[18] 그러나 1973년 10월 14일 학생 주도의 시위로 타놈 끼띠카쫀 총리의 군사정권이 전복되면서 사업은 보류되었다.[18]
1960년대 이후 항공기의 대형화와 태국 국내 및 동남아시아 지역의 항공 수요 증가에 따라 돈므앙 국제공항의 시설이 부족해짐에 따라 신공항 건설 계획이 수립되었다.[18] 1981년에는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이 개항하여 동남아시아의 새로운 허브 공항이 되었다.
우여곡절 끝에 1996년 신방콕 국제공항(NBIA)이 설립되었다.[18] 일본 정부는 공적개발원조(ODA)로 새 공항 프로젝트를 지원했고, 1996년 태국 정부와 일본 정부 간의 차관 계약 체결로 프로젝트가 진전되었다.[18] 그러나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정치, 경제적 불안이 발생하며 건설이 지연되었다. 2000년 완공이 목표였으나, 탁신 친나왓 정부에 의해 6년 후인 2002년 1월에야 건설이 시작되었다.[18]
'''공항 시험 운영 및 공식 개장'''
2005년 말 개장 예정이었던 수완나품 공항은 예산 초과, 건설 결함, 부패 의혹 등으로 인해 개장이 지연되었다.[19] 공항 부지가 오래된 묘지 위에 건설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미신을 믿는 건설 노동자들이 유령을 목격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2005년 9월 23일, 태국 공항 공사는 99명의 승려를 초청하여 정령을 달래는 의식을 거행했다.[19]
2006년 7월 3일과 29일에 걸쳐 공항의 완전한 시험 운영이 실시되었다. 태국 국제항공, 녹에어, 타이 에어 아시아, 방콕 항공, PB에어, 원투고 항공 등 6개 항공사가 참여하여 20편의 국내선을 운항했다.[20][21] 2006년 9월 4일에는 첫 번째 국제 시험 비행이 실시되었다. 태국 국제항공의 보잉 747-400과 에어버스 A300-600 항공기 2대가 오전 9시 19분에 각각 싱가포르와 홍콩으로 동시에 출발했다. 오후 3시 50분, 같은 항공기들이 돌아와 활주로 19L와 19R에 동시 착륙했다.
2006년 9월 15일, 젯스타 아시아 항공이 싱가포르-방콕 노선 3편을 운항하면서 제한적인 운항을 시작했다. 방콕 항공은 9월 21일에, 에어아시아와 타이 에어아시아는 9월 25일에, 녹에어는 9월 26일에 수완나품 공항으로 이전했다. 이 초기 단계 동안 공항은 임시 IATA 코드 NBK를 사용했다.
2006년 9월 28일 오전 3시, 수완나품 국제공항은 돈므앙 국제공항으로부터 모든 항공편을 인수받아 공식 개항했다.[22] 처음 도착한 비행기는 오전 3시 5분에 도착한 뭄바이발 루프트한자 화물기 LH8442편이었다.[22] 첫 상업 도착은 오전 3시 30분에 도착한 일본항공이었다. 첫 번째 승객 도착은 키이우발 아에로스비트 항공 VV171편이었고, 첫 화물 출발은 오전 5시에 리야드행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SV984편이었다.[23] 아에로스비트 항공은 오전 5시 30분경 키이우행 VV172편으로 첫 번째 승객 출발도 기록했다.[24]
'''초기 문제점'''
수완나품 공항은 개항 초기 며칠 동안 여러 문제점을 겪었다. 첫날에는 수하물 처리 지연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아에로스비트 항공편의 경우 수하물이 나오기까지 한 시간이 걸렸고, 일부 항공편은 4시간이 지나도 수하물이 나오지 않았다.[25][26] 항공편 지연과 체크인 시스템 오류도 발생했다.[25][26] 또한, 화물 컴퓨터 시스템 고장, 출발 기판 정보 오류 등으로 승객들이 혼란을 겪었다.[27]
개항 후 몇 달 동안 혼잡, 공사 품질, 안내 표지판, 시설 설비, 지반 침하 등의 문제가 지속되면서, 돈므앙 국제공항을 재개장하여 수리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28] 수완나품 공항 문제의 심각성과 원인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렸지만, 대부분의 항공사들은 공항의 피해가 미미하다고 평가했다.[29][30] 수라윳 쭐라논 당시 총리는 2007년 2월 12일 국내선 운항을 위해 돈므앙 국제공항을 재개장했고, 초기에는 71개의 주간 항공편이 돈므앙 국제공항으로 이전되었다.[31]
'''활주로 및 터미널 건물 손상'''
2007년 1월, 수완나품 공항 활주로에서 웅덩이가 발견되었다.[32] 동쪽 활주로는 수리로 인해 폐쇄될 예정이었다.[29] 웅덩이 발생 원인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분분했다.[29] 공항 당국과 항공사 관계자들은 공항이 여전히 안전하다고 주장하며, 공항을 완전히 폐쇄하고 모든 항공편을 돈므앙 국제공항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제안에 반대했다.[33]
2007년 1월 27일, 민간항공국(Department of Civil Aviation)은 전날 만료된 공항의 안전 증명서 갱신을 거부했다. ICAO는 국제공항이 비행장 안전 증명서를 보유해야 하지만, 수완나품 공항은 ICAO 규정이 태국 법률의 일부로 채택되지 않았기 때문에 계속 운영되었다.[34]
2016년 초, 수완나품 공항에서는 활주로 문제가 지속되었다. 활주로, 유도로, 에이프런 지역의 연약한 지반은 영구적으로 해결되지 않았다. 기준 미달의 자재로 인해 발생한 연약한 지반에 항공기가 갇히는 일이 발생했다. IATA의 사장 겸 CEO인 토니 타일러/Tony Tyler영어는 "아스팔트로 활주로, 유도로, 에이프런 지역을 지속적으로 재포장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임시방편입니다. 우리에게는 문자 그대로 '콘크리트' 솔루션이 필요합니다."라고 말했다.[35]
개항 직후부터 활주로와 유도로에 균열 및 손상이 다수 발견되었다. 개항 후 반달이 지난 2006년 10월 중순에는 동쪽 활주로(01R/19L) 끝부분에 균열이 발생했다. 이후 균열 발견 보고는 계속 증가하여 확인된 것만 해도 100곳이 넘었다. 또한 터미널 건물에서도 보딩 브리지 파손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공항을 관리·운영하는 태국공항공사(AOT)는 활주로를 일시 폐쇄하고 보수 작업을 실시했다. 이 영향으로 일부 항공편이 상공 대기 또는 다른 공항으로의 착륙을 강행하는 등 공항 기능에 일부 차질이 발생했다.
손상 원인으로는 침하가 발생하기 쉬운 습지대를 매립하여 건설한 점과 정지 작업 시 불량한 모래를 사용한 시공 불량의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참고로 서쪽 활주로는 다른 업체가 수주했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다.[273]
'''반정부 시위대의 공항 점거'''
2008년 11월, 민주주의를 위한 국민연합(People's Alliance for Democracy)은 솜차이 웡삿왓(สมชาย วงศ์สวัสดิ์) 정권에 반대하며 공항을 불법 점거, 출발 라운지를 폐쇄하고 출구를 봉쇄했다.[53] 이로 인해 약 3,000명의 승객이 본청사에 발이 묶였고, 다른 35만 명의 승객이 전국에 발이 묶였으며 모든 항공편이 지상에 묶였다.[53] 이들은 정오에 관제탑을 장악했다.[53] 우타파오 국제공항(U-Tapao International Airport)이 대체 국제공항으로 사용되었다.[52]
2008년 12월 2일, 시위대는 불법 시위를 벌였기에 공항을 떠나기로 합의했고, 항공편 재개가 허용되었다.[54] 그러나 보안 검사, 청소 및 재인증으로 인해 공항이 완전히 기능을 회복하는 데는 12월 5일까지 지연되었다.[54] 이 사건으로 인해 태국 관광객들은 태국 공군 비행장이나 파타야까지 가서 임시 항공편으로 귀국해야 했으며, 태국의 관광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타이 항공(Thai Airways International)은 민주주의를 위한 국민연합의 공항 점거로 인해 약 520억 엔의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2. 1. 토지 매입 및 초기 건설
1973년 새 공항의 필요성이 인지되어 방콕에서 동쪽으로 4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8천 에이커의 땅을 매입했다. 이 부지는 코브라 스웜프(Cobra Swamp)로 알려졌으며, 배수 후 "금속의 진"이라는 뜻의 수완나품(Suvarnabhumi수바르나부미)으로 명명되었다.[18] 그러나 1973년 10월 14일 학생 주도의 시위로 타놈 끼띠카쫀 총리의 군사정권이 전복되면서 사업은 보류되었다.[18]1960년대 이후 항공기의 대형화와 태국 국내 및 동남아시아 지역의 항공 수요 증가에 따라 돈므앙 공항의 시설이 부족해짐에 따라 신공항 건설 계획이 수립되었다.[18] 1981년에는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이 개항하여 동남아시아의 새로운 허브 공항이 되었다.
우여곡절 끝에 1996년 신방콕 국제공항(NBIA)이 설립되었다.[18] 일본 정부는 공적개발원조(ODA)로 새 공항 프로젝트를 지원했고, 1996년 태국 정부와 일본 정부 간의 차관 계약 체결로 프로젝트가 진전되었다.[18] 그러나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인해 정치, 경제적 불안이 발생하며 건설이 지연되었다. 2000년 완공이 목표였으나, 탁신 친나왓 정부에 의해 6년 후인 2002년 1월에야 건설이 시작되었다.[18]
2. 2. 공항 시험 운영 및 공식 개장
2005년 말 개장 예정이었던 수완나품 공항은 예산 초과, 건설 결함, 부패 의혹 등으로 인해 개장이 지연되었다.[19] 공항 부지가 오래된 묘지 위에 건설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미신을 믿는 건설 노동자들이 유령을 목격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2005년 9월 23일, 태국 공항 공사는 99명의 승려를 초청하여 정령을 달래는 의식을 거행했다.[19]2006년 7월 3일과 29일에 걸쳐 공항의 완전한 시험 운영이 실시되었다. 타이항공, 녹에어, 타이 에어 아시아, 방콕 항공, PB에어, 원투고 항공 등 6개 항공사가 참여하여 20편의 국내선을 운항했다.[20][21] 2006년 9월 4일에는 첫 번째 국제 시험 비행이 실시되었다. 타이항공의 보잉 747-400과 에어버스 A300-600 항공기 2대가 오전 9시 19분에 각각 싱가포르와 홍콩으로 동시에 출발했다. 오후 3시 50분, 같은 항공기들이 돌아와 활주로 19L와 19R에 동시 착륙했다.
2006년 9월 15일, 젯스타 아시아 항공이 싱가포르-방콕 노선 3편을 운항하면서 제한적인 운항을 시작했다. 방콕 항공은 9월 21일에, 에어아시아와 타이 에어아시아는 9월 25일에, 녹에어는 9월 26일에 수완나품 공항으로 이전했다. 이 초기 단계 동안 공항은 임시 IATA 코드 NBK를 사용했다.
2006년 9월 28일 오전 3시, 수완나품 국제공항은 돈므앙 국제공항으로부터 모든 항공편을 인수받아 공식 개항했다.[22] 처음 도착한 비행기는 오전 3시 5분에 도착한 뭄바이발 루프트한자 화물기 LH8442편이었다.[22] 첫 상업 도착은 오전 3시 30분에 도착한 일본항공이었다. 첫 번째 승객 도착은 키이우발 아에로스비트 항공 VV171편이었고, 첫 화물 출발은 오전 5시에 리야드행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SV984편이었다.[23] 아에로스비트 항공은 오전 5시 30분경 키이우행 VV172편으로 첫 번째 승객 출발도 기록했다.[24]
2. 3. 초기 문제점
수완나품 공항은 개항 초기 며칠 동안 여러 문제점을 겪었다. 첫날에는 수하물 처리 지연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아에로스비트 항공편의 경우 수하물이 나오기까지 한 시간이 걸렸고, 일부 항공편은 4시간이 지나도 수하물이 나오지 않았다.[25][26] 항공편 지연과 체크인 시스템 오류도 발생했다.[25][26] 또한, 화물 컴퓨터 시스템 고장, 출발 기판 정보 오류 등으로 승객들이 혼란을 겪었다.[27]개항 후 몇 달 동안 혼잡, 공사 품질, 안내 표지판, 시설 설비, 지반 침하 등의 문제가 지속되면서, 돈므앙 국제공항을 재개장하여 수리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28] 수완나품 공항 문제의 심각성과 원인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렸지만, 대부분의 항공사들은 공항의 피해가 미미하다고 평가했다.[29][30] 수라윳 쭐라논 당시 총리는 2007년 2월 12일 국내선 운항을 위해 돈므앙 국제공항을 재개장했고, 초기에는 71개의 주간 항공편이 돈므앙 국제공항으로 이전되었다.[31]
2. 4. 활주로 및 터미널 건물 손상
2007년 1월, 수완나품 공항 활주로에서 웅덩이가 발견되었다.[32] 동쪽 활주로는 수리로 인해 폐쇄될 예정이었다.[29] 웅덩이 발생 원인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분분했다.[29] 공항 당국과 항공사 관계자들은 공항이 여전히 안전하다고 주장하며, 공항을 완전히 폐쇄하고 모든 항공편을 돈므앙 국제공항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제안에 반대했다.[33]2007년 1월 27일, 민간항공국(Department of Civil Aviation)은 전날 만료된 공항의 안전 증명서 갱신을 거부했다. ICAO는 국제공항이 비행장 안전 증명서를 보유해야 하지만, 수완나품 공항은 ICAO 규정이 태국 법률의 일부로 채택되지 않았기 때문에 계속 운영되었다.[34]
2016년 초, 수완나품 공항에서는 활주로 문제가 지속되었다. 활주로, 유도로, 에이프런 지역의 연약한 지반은 영구적으로 해결되지 않았다. 기준 미달의 자재로 인해 발생한 연약한 지반에 항공기가 갇히는 일이 발생했다. IATA의 사장 겸 CEO인 토니 타일러/Tony Tyler영어는 "아스팔트로 활주로, 유도로, 에이프런 지역을 지속적으로 재포장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임시방편입니다. 우리에게는 문자 그대로 '콘크리트' 솔루션이 필요합니다."라고 말했다.[35]
개항 직후부터 활주로와 유도로에 균열 및 손상이 다수 발견되었다. 개항 후 반달이 지난 2006년 10월 중순에는 동쪽 활주로(01R/19L) 끝부분에 균열이 발생했다. 이후 균열 발견 보고는 계속 증가하여 확인된 것만 해도 100곳이 넘었다. 또한 터미널 건물에서도 보딩 브리지 파손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공항을 관리·운영하는 태국공항공사(AOT)는 활주로를 일시 폐쇄하고 보수 작업을 실시했다. 이 영향으로 일부 항공편이 상공 대기 또는 다른 공항으로의 착륙을 강행하는 등 공항 기능에 일부 차질이 발생했다.
손상 원인으로는 침하가 발생하기 쉬운 습지대를 매립하여 건설한 점과 정지 작업 시 불량한 모래를 사용한 시공 불량의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참고로 서쪽 활주로는 다른 업체가 수주했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다.[273]
2. 5. 반정부 시위대의 공항 점거
2008년 11월, 민주주의를 위한 국민연합(People's Alliance for Democracy)은 솜차이 웡삿왓(สมชาย วงศ์สวัสดิ์) 정권에 반대하며 공항을 불법 점거, 출발 라운지를 폐쇄하고 출구를 봉쇄했다.[53] 이로 인해 약 3,000명의 승객이 본청사에 발이 묶였고, 다른 35만 명의 승객이 전국에 발이 묶였으며 모든 항공편이 지상에 묶였다.[53] 이들은 정오에 관제탑을 장악했다.[53] 우타파오 국제공항(U-Tapao International Airport)이 대체 국제공항으로 사용되었다.[52]2008년 12월 2일, 시위대는 불법 시위를 벌였기에 공항을 떠나기로 합의했고, 항공편 재개가 허용되었다.[54] 그러나 보안 검사, 청소 및 재인증으로 인해 공항이 완전히 기능을 회복하는 데는 12월 5일까지 지연되었다.[54] 이 사건으로 인해 태국 관광객들은 태국 공군 비행장이나 파타야까지 가서 임시 항공편으로 귀국해야 했으며, 태국의 관광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태국 국제항공(Thai Airways International)은 민주주의를 위한 국민연합의 공항 점거로 인해 약 520억 엔의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3. 특징
수완나품 국제공항의 주요 터미널 지붕은 구조 요소와 베이들이 아래 중앙 홀 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캔틸레버 형태의 물결 모양으로 설계되었다.[41] 이 설계는 건설 이전에 물을 빼내야 했던 현장의 본질을 표현한 것이다. 메인 단자의 캐노피를 지지하는 8개의 복합 2,710톤 트러스들은 기본적으로 그들에 작용하는 벤딩 모멘트의 도표로서, 가장 깊이는 중간 스팬과 지지대 위에 있다.[41]
헬무트 얀(Helmut Jahn)의 설계 비전은 성능 재료가 전체 구성과 사용에서 기존의 역할보다 더 많은 역할을 하는 구조를 만들었다.[42] 이는 에너지 수명 주기 비용 절감과 함께 편안함 속에서 일광 이용을 극대화한다. 설치된 냉각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에 비해 최대 50%까지 감소했다.[42] 내부 및 외부 기후 사이를 조절하기 위해 3겹의 반투명 막이 개발되어 소음과 온도 전달을 처리하는 동시에 자연광이 건물 내부로 흐르고 외부의 녹지가 보이도록 한다.[42]
thumb
설계자는 독일 건축가 헬무트 얀(Helmut Jahn)이다. 공항터미널을 하나로 통합하는 “원플로어 전략”에 따라 탑승 및 환승이 편리한 구조이며 단일 건물 면적은 56만㎡이다.
- 7층: 전망 로비
- 6층: 레스토랑
- 5층: 보안 검색대, 항공사 사무실
- 4층: 체크인 카운터, 출국 심사, 편의점, 키오스크
- 3층: 출발 로비, 항공사 공항 라운지, 미팅 장소, 음식점, 카페, 면세점 등의 매장
- 2층: 탑승교, 환승 로비, 흡연실, 입국 심사, 수하물 찾는 곳, 세관, 도착 로비
- 1층: 버스·택시 승강장, 푸드코트
- 지하: 공항철도 역
2013년부터 공항 터미널 남쪽에 A380(A380)도 이용 가능한 29개의 탑승구를 갖춘 미드필드 위성 콘코스(Midfield Satellite Concourse) 건설이 시작되었다.[275] 2023년 9월 28일, 위성 터미널(SAT-1)이 소프트 오픈했다.[276][277]
4. 공항 순위
수완나품 공항은 2019년 세계 100대 공항 중 46위를 기록했다.[44] 같은 해 아세안 공항 중에서는 싱가포르 창이 공항이 1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이 54위, 자카르타가 40위, 하노이가 86위에 선정되었다. 2020년에는 48위를 기록했으며,[43] 창이 공항 1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63위, 자카르타 수카르노-하타 공항 35위, 하노이 공항 87위였다.[43] 2016년 36위,[46] 2017년 38위,[45] 2019년 46위,[44] 2020년 48위[43], 그리고 2024년에는 58위를 기록했다.[49][50][51] 태국개발연구소(Thailand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TDRI)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지난 6년간 공항 순위가 개선되지 않았다.[47][48] 고객 불만 사항으로는 긴 입국 심사 대기 시간, 환승 대기실 문제, 의자와 휴대전화 충전 장치 부족, 영어 구사 직원 부족, 부족한 정보 표시 등이 있었다.[47][48]
5. 운항 노선
항공사 | 도착지 |
---|---|
9에어 | 광저우,[78] 귀양,[78] 하이커우 | |
아에로플로트 | 이르쿠츠크,[79] 하바롭스크,[80] 크라스노야르스크,[81]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노보시비르스크,[81] 상트페테르부르크,[82] 블라디보스토크,[83][84] 예카테린부르크[85] | |
에어 아라비아 | 샤르자[86] | |
에어 아스타나 | 알마티 | |
에어 오스트랄 | 생드니 드 라 레위니옹 | |
에어 부산 | 부산, 서울-인천[87] | |
에어칼린 | 누메아, 파리-샤를 드 골[88] | |
에어 캐나다 | 계절 운항: 밴쿠버[89] | |
에어 차이나 | 베이징-수도, 청두-톈푸,[90] 항저우,[91] 상하이-푸둥[90] | |
에어 프랑스 | 파리-샤를 드 골[92] | |
에어 인디아 | 델리, 뭄바이 | |
에어 인디아 익스프레스 | 암리차르 (2024년 12월 27일부터),[93] 루크나우 (2024년 12월 28일부터),[94] 푸네 (2024년 12월 21일부터),[95] 수랏[96] | |
에어 재팬 | 도쿄-나리타[97] | |
에어 마카오 | 마카오 | |
에어 프리미아 | 서울-인천[98] | |
전일본공수 | 도쿄-하네다, 도쿄-나리타 | |
아시아나항공 | 서울-인천 | |
오스트리아항공 | 빈 | |
방콕 항공 | 루앙프라방, 말레, 프놈펜, 시엠레압 | |
베이징 캐피탈 항공 | 창사, 항저우, 난징, 상하이-푸둥[99] | |
부탄 항공 | 콜카타, 파로 계절 운항: 가야[100] | |
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 다카 | |
영국항공 | 런던-개트윅[101][102] | |
캄보디아 항공 | 프놈펜 | |
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 프놈펜 (2025년 2월 17일 재개)[103] | |
캐세이퍼시픽 | 홍콩, 싱가포르[104] | |
세부 퍼시픽 | 클라크, 마닐라 | |
차이나 항공 | 가오슝,[105] 타이페이-타오위안 | |
중국동방항공 | 베이징-다싱,[106] 청두-톈푸,[109] 광저우,[109] 쿤밍, 란저우,[107] 난징,[109] 상하이-푸둥,[108] 선전,[107] 타이위안,[109] 우한, 옌타이[110] | |
중국남방항공 | 광저우, 제양,[111] 난닝, 선양,[112] 선전, 정저우 | |
콘도르 | 프랑크푸르트[113] | |
드루카이르 | 바그도그라, 다카, 파로 | |
이스타항공 | 서울-인천[114] | |
엘알 이스라엘 항공 | 텔아비브[115] | |
에미레이트 | 두바이-국제, 홍콩 | |
에티오피아 항공 | 아디스아바바, 홍콩, 자카르타-수카르노-핫타[116] | |
에티하드 항공 | 아부다비 | |
에바 항공 | 암스테르담, 런던-히드로, 타이페이-타오위안, 빈 | |
핀에어 | 헬싱키 | |
파이어플라이 | 페낭[117] | |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 자카르타-수카르노-핫타 | |
그레이터 베이 항공 | 홍콩[118] | |
걸프 항공 | 바레인 | |
GX 항공 | 난닝,[119] 율린[120] | |
하이난 항공 | 베이징-수도,[121] 하이커우[122][123] | |
홍콩 익스프레스 | 홍콩 | |
홍콩 항공 | 홍콩 | |
허베이 항공 | 스자좡 | |
이베로젯 | 계절 운항: 마드리드[124][125] | |
인디고 항공 | 벵갈루루,[126] 부바네스와르,[129] 첸나이,[127] 델리, 하이데라바드,[128] 콜카타, 뭄바이,[129] 푸네[130] | |
이탈리아 항공 | 로마-피우미치노[131] | |
일본항공 | 오사카-간사이, 도쿄-하네다, 도쿄-나리타 | |
제주항공 | 부산, 서울-인천 계절 운항: 무안 | |
젯스타 | 브리즈번,[132] 멜버른, 퍼스[133] | |
젯스타 아시아 | 싱가포르[134] | |
진에어 | 부산, 서울-인천 | |
준야오 항공 | 난징, 상하이-푸둥 | |
케냐항공 | 광저우, 나이로비-조모 케냐타[135] | |
KLM | 암스테르담 | |
대한항공 | 부산,[136] 서울-인천 | |
쿤밍 항공 | 쿤밍 | |
쿠웨이트 항공 | 쿠웨이트 시티 | |
라오 항공 | 루앙프라방,[137] 비엔티안 | |
룽 항공 | 항저우[138] | |
LOT 폴란드 항공 | 계절 전세편: 바르샤바-쇼팽, 카토비체-피르조비체[139] | |
럭키 에어 | 청두-톈푸, 쿤밍 | |
루프트한자 | 뮌헨[140] | |
마한 항공 | 테헤란-이맘 호메이니 | |
말레이시아 항공 | 쿠알라룸푸르-국제 | |
MIAT 몽골 항공 | 울란바토르[141] | |
| 만달레이, 양곤 | |
미얀마 국내항공 | 양곤 | |
네팔 항공 | 카트만두 | |
노르스 애틀랜틱 항공 | 오슬로,[142] 스톡홀름-아를란다 (2025년 10월 28일부터)[143] | |
오만 항공 | 무스카트 | |
피치 | 오사카-간사이[144] | |
필리핀 항공 | 세부, 마닐라 | |
콴타스 | 시드니 | |
카타르 항공 | 도하 | |
칭다오 항공 | 칭다오[122] | |
브루나이 왕립 항공 | 반다르세리베가완 | |
로열 요르단 항공 | 암만-퀸 알리아 | |
루이리 항공 | 리장[145] | |
S7 항공 | 이르쿠츠크,[146] 노보시비르스크[147] | |
살람에어 | 무스카트[148] | |
사우디아 | 제다,[149] 리아드[150] | |
스칸디나비아 항공 | 계절 운항: 코펜하겐[151] | |
스쿠트 | 싱가포르 | |
산둥 항공 | 지난, 칭다오[122] | |
상하이 항공 | 상하이-푸둥,[152] 원저우[153] | |
선전 항공 | 선전, 윈청[154] | |
쓰촨 항공 | 청두-톈푸,[155] 하이커우 | |
싱가포르 항공 | 싱가포르 | |
스카이 앙코르 항공 | 프놈펜[156] | |
스파이스젯 | 델리, 콜카타 | |
스프링 항공 | 청두-톈푸,[157] 푸저우,[158] 광저우,[158] 란저우,[159] 상하이-푸둥, 시안 | |
스리랑카 항공 | 콜롬보-반다라나이케 | |
스타럭스 항공 | 타이페이-타오위안[160] | |
스위스 국제항공 | 취리히 | |
타이 에어아시아 | 핫야이, 콘깬 (2025년 2월 1일부터),[161] 크라비, 푸껫, 우돈타니 (2025년 2월 1일부터)[162] | |
타이항공 | 아메다바드,[163] 베이징-수도,[164] 벵갈루루, 브뤼셀,[165] 청두-톈푸,[166] 첸나이, 콜롬보-반다라나이케,[167] 코펜하겐, 델리, 덴파사르, 다카, 프랑크푸르트, 후쿠오카, 광저우, 하노이, 호찌민, 홍콩, 하이데라바드, 이스라마바드, 이스탄불,[169] 자카르타-수카르노-핫타, 제다,[170] 가오슝,[171] 카라치, 카트만두, 코치,[172] 콜카타,[173] 쿠알라룸푸르-국제, 쿤밍,[174] 라호르, 런던-히드로, 마닐라, 멜버른, 밀라노-말펜사,[167] 뭄바이, 뮌헨,[175] 나고야-센트레어, 오사카-간사이, 오슬로,[167] 파리-샤를 드 골, 페낭,[173] 퍼스,[167] 프놈펜, 삿포로-치토세,[176] 서울-인천, 상하이-푸둥, 시엠레압, 싱가포르, 스톡홀름-아를란다, 시드니, 타이페이-타오위안, 도쿄-하네다, 도쿄-나리타, 비엔티안, 양곤,[177] 취리히[178] 계절 운항: 가야 | |
타이 베트젯 항공 | 베이징-다싱,[179] 창사, 창저우, 청두-톈푸, 다낭, 후쿠오카,[180] 광저우,[179] 구이린, 하이커우,[181] 항저우, 허페이,[183] 호찌민,[184] 마카오, 뭄바이 (2024년 12월 22일부터),[185] 나하,[186] 난창, 난징,[187] 닝보, 오사카-간사이,[188] 프놈펜,[189] 푸꾸옥,[190] 삿포로-치토세,[191] 상하이-푸둥, 타이페이-타오위안, 정저우 계절 운항: 가야 | |
터키항공 | 이스탄불 | |
투르크메니스탄 항공 | 아시가바트 | |
티웨이항공 | 청주, 대구, 서울-인천 | |
우루무치 항공 | 뤄양, 우루무치 | |
US-방글라 항공 | 다카 | |
우즈베키스탄 항공 | 타슈켄트[193] | |
베트남 저가 항공 | 하노이, 호찌민 | |
베트남 항공 | 하노이, 호찌민[194] | |
비엣트래블 항공 | 하노이, 호찌민[195][196] | |
웨스트 에어 | 허페이,[197] 정저우[197] | |
샤먼 항공 | 푸저우,[122] 취안저우,[198] 샤먼[122] | |
지페어 도쿄 | 도쿄-나리타[199] |
5. 1. 국제선
{
5. 2. 국내선
항공사 | 도착지 |
---|---|
타이 항공 | 치앙마이, 치앙라이, 핫야이, 콘깬, 코사무이, 푸껫 |
타이 스마일 항공 | 치앙마이, 끄라비, 푸껫, 수코타이 |
타이 비엣젯 항공 | 치앙마이, 캇바이 |
방콕 항공 | 치앙마이, 코사무이, 람빵, 푸껫, 뜨랏, 수코타이 |
타이 항공은 치앙마이, 치앙라이, 우돈타니, 콘깬, 우본라차타니, 수랏타니, 푸껫, 크라비, 핫야이, 나라티왓 노선 등 국내선 노선을 운항한다.
타이 비엣젯 항공은 치앙마이, 치앙라이, 핫야이, 콘깬, 푸껫, 크라비, 수랏타니, 우본라차타니, 우돈타니 노선 등 국내선 노선을 운항한다.
방콕 항공은 코사무이, 수코타이, 뜨랏, 치앙마이, 푸껫, 크라비, 람빵 노선 등 국내선 노선을 운항한다.
타이 에어아시아는 치앙마이, 푸껫, 크라비, 핫야이 노선 등 국내선 노선을 운항한다.
5. 3. 화물 노선
항공사 | 도착지 |
---|---|
타이 카고 | 첸나이, 델리, 프랑크푸르트, 시드니, 타이페이(도원), 도쿄(나리타) |
K-Mile 항공 | 호치민, 싱가포르 |
대한항공 카고 | 서울(인천), 싱가포르 |
아시아나 카고 | 서울(인천) |
중국화물항공 | 상하이(푸둥) |
양쯔강 익스프레스 | 상하이(푸둥) |
에어재팬 | 나하, 오사카(간사이), 싱가포르, 타이페이(도원), 도쿄(나리타) |
일본화물항공 | 싱가포르, 도쿄(나리타) |
에어홍콩 카고 | 홍콩, 페낭 |
캐세이패시픽 카고 | 홍콩, 페낭, 싱가포르 |
중화항공 카고 | 아부다비, 룩셈부르크, 청두, 타이페이(도원) |
에바항공 카고 | 타이페이(도원), 자카르타(수카르노 하타), 페낭, 싱가포르[302] |
카르딩 에어 | 홍콩, 자카르타(수카르노 하타), 싱가포르 |
Tri-MG 인트라 아시아 항공 | 호치민, 프놈펜 |
MAS 카고 | 쿠알라룸푸르 |
싱가포르 항공 카고 | 싱가포르 |
사우디아 카고 | 광저우, 제다, 리야드, 상하이(푸둥) |
터키 항공 카고 | 알마티, 델리, 이스탄불(아타튀르크), 타슈겐트[303] |
ULS 화물항공 | 이스탄불(아타튀르크) |
루프트한자 카고 | 뭄바이, 샤르자, 프랑크푸르트 |
에어로로직 | 라이프치히(할레), 싱가포르 |
에어프랑스 카고 | 파리(샤를 드 골) |
마르틴 에어-KLM | 암스테르담, 샤르자, 무스카트[304] |
카고룩스 | 바쿠, 룩셈부르크, 상하이(푸둥), 샤먼 |
페덱스 익스프레스 | 광저우 |
UPS 항공 | 쾰른(본), 뭄바이, 두바이 |
6. 통계
(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