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페이스워!는 1962년 MIT에서 개발된 2인용 우주 전투 게임이다. PDP-1 미니컴퓨터의 기능을 시연하기 위해 스티브 러셀, 마틴 그라에츠, 웨인 위타넨이 제작했으며, E. E. 스미스의 소설과 마빈 민스키의 Three Position Display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게임은 두 대의 우주선을 조종하여 미사일을 발사하고 상대를 격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관성의 법칙과 중력의 영향을 받는다. 스페이스워!는 공개 소프트웨어로 배포되어 다양한 파생 버전이 제작되었으며, 최초의 비디오 게임 토너먼트 개최와 상업용 아케이드 게임의 등장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현대 비디오 게임에도 큰 영향을 미쳐 게임 캐논으로 선정되었고, 월드 비디오 게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인프레임 게임 - 콜로설 케이브 어드벤처
콜로설 케이브 어드벤처는 1970년대 윌리엄 크라우더가 개발하고 돈 우즈가 확장한 텍스트 기반 어드벤처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텍스트 명령을 통해 동굴을 탐험하고 아이템을 사용하여 수수께끼를 풀고 보물을 찾아 탈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어드벤처 게임 장르의 효시가 되었다. - 메인프레임 게임 - 갤럭시 게임
갤럭시 게임은 1971년 빌 피츠와 휴 터크가 스페이스워!를 기반으로 제작한 아케이드 게임으로, 스탠포드 대학교 학생회관에서 인기를 끌었으나 사업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현재는 컴퓨터 역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초기 아케이드 게임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비디오 게임의 초기 역사 - 테니스 포 투
테니스 포 투는 1958년 윌리엄 히긴보텀이 개발한 최초의 비디오 게임으로, 오실로스코프 화면에 테니스 코트를 시뮬레이션하여 두 명의 플레이어가 공을 주고받는 게임이며, 원자력 연구에 대한 친근감을 높이기 위해 제작되었으나 상업적 목적 없이 해체 후 비디오 게임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재현되었고, 순수한 오락 목적으로 개발된 최초의 컴퓨터 게임으로 평가받는다. - 비디오 게임의 초기 역사 - 윌리엄 히긴보덤
물리학자 윌리엄 히긴보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원자 폭탄 개발에 참여하고 핵 확산 금지 운동에 헌신했으며, 1958년 최초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인 《테니스 포 투》를 개발했다.
스페이스워!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슈팅 게임 |
모드 | 멀티플레이어 |
플랫폼 | PDP-1 |
디자이너 | 스티브 러셀 |
프로그래머 | 스티브 러셀 |
출시일 | 1962년 4월 |
2. 배경
1961년 여름, DEC에서 MIT의 컴퓨터실에 PDP-1이 기증되었다.[5] PDP-1은 키보드와 모니터를 갖춘 최초의 컴퓨터였다. 스티브 러셀은 동료들과 함께 PDP-1을 조작하면서 '컴퓨터를 가지고 화면에 그래픽을 띄우면서 이것을 이용하여 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본 게임을 제작하였다.
매사추세츠주 옆 코네티컷주[6]에서 태어난 러셀은,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전학 온 시점부터 이미 컴퓨터 마니아였다. 1961년경부터 MIT에서 활동하던 TMRC(Tech Model Railroad Club, 직역하면 "공학 모형 철도 클럽")에 입회했지만, 이곳은 이름 그대로 원래 철도 모형 서클이었지만, 이 시점에는 컴퓨터 마니아 집단으로 변해 있었다.
1950년대 후반, 특히 프로그램이 일괄 처리 방식이 아닌 실시간으로 생성 및 실행될 수 있는 더 작고 빠른 컴퓨터가 도입되면서, 학문적 컴퓨터 및 프로그래밍 연구와 컴퓨팅 성능 시연을 목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게임이 제작되었다. 이러한 게임들은 주로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와 같이 학부생, 대학원생 및 대학교 직원들이 제작했으며, TX-0 실험용 컴퓨터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었다.
1961년 9월, 디지털 이큅먼트사(DEC)의 PDP-1 미니컴퓨터가 MIT 전기 공학과가 위치한 26동 2층의 "클루지 룸"에 설치되었다. PDP-1은 구형 TX-0을 보완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음극선관(CRT) 디스플레이로 출력을 할 수 있었다. PDP-1이 도착하기 전 여름 동안, 스티브 러셀, 마틴 그라에츠, 웨인 위타넨은 ''스페이스워!''의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러셀은 E. E. 스미스의 SF 소설 『렌즈맨』[7]과 『우주의 종달새』, 그리고 마빈 민스키가 만든 프로그램 『Three Position Display』(『Minskytron』이라고도 불렸다)에서 힌트를 얻어, 우주선을 움직여서 상대 우주선을 맞추는 게임을 제작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우주선과 미사일 외에 다른 것은 없었으나, 팀 동료들이 게임의 규칙과 그래픽 요소를 덧붙여서 1962년 5월 세미나에서 공개된 버전이 오리지널 버전이 되었다.
3. 개발
1961년 여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 PDP-1이 보급되었다. PDP-1은 키보드와 모니터를 갖춘 최초의 컴퓨터였다. 스티브 러셀은 동료들과 함께 PDP-1을 활용하여 '컴퓨터로 화면에 그래픽을 띄워 놀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이 게임을 제작하였다.
러셀은 E. E. 스미스의 소설 "렌즈맨", "우주의 종달새"와 마빈 민스키의 "Three Position Display"에서 영감을 받아 우주선을 조종하여 상대 우주선을 맞추는 게임을 구상했다. 초기에는 우주선과 미사일만 있었으나, 팀 동료들이 게임 규칙과 그래픽 요소를 추가하여 1962년 5월 세미나에서 공개된 버전이 오리지널 버전이 되었다.
'스페이스워!'는 판매 목적이 아닌 공개 소프트웨어이자 오픈소스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추가하여 개량할 수 있었다. 피터 심슨은 실제 은하계를 본뜬 배경을 추가했고, 다른 학생들은 중력 옵션, 옵션 메뉴, 태양풍 구현, 사운드 표현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했다.
3. 1. 게임 조작
''스페이스워!''는 "바늘(The Needle)"과 "쐐기(The Wedge)"라는 두 대의 우주선을 조종하여 미사일을 발사하고 상대방을 격추하는 게임이다. 우주 공간의 특성을 반영하여 관성의 법칙이 적용되므로, 역추진을 통해 우주선의 움직임을 제어해야 한다.
초기에는 PDP-1 컴퓨터의 전면 패널 테스트 스위치를 사용하여 조작했으나, 사용하기 불편하고 쉽게 마모되며, 플레이어가 실수로 컴퓨터 제어 및 전원 스위치를 켤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별도의 컨트롤러(게임 패드)가 개발되었다.
3. 1. 1. 컨트롤러
1961년 여름, DEC는 MIT의 컴퓨터실에 PDP-1을 기증했다.[5] 학교 관계자들은 PDP-1을 적극적으로 활용했고, 이들은 해커의 시조가 되었다.
MIT가 있는 매사추세츠주 옆 코네티컷주에서 태어난[6] 스티브 러셀은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전학 온 시점부터 이미 컴퓨터 마니아였다. 1961년경부터 MIT에서 활동하던 TMRC (Tech Model Railroad Club, 직역하면 "공학 모형 철도 클럽")에 가입했지만, 이곳은 원래 철도 모형 서클이었지만, 이 시점에는 컴퓨터 마니아 집단으로 변해 있었다.
앨런 코토크, 스티브 파이너, 밥 선더스는 조이스틱 형태의 컨트롤러를 개발하여 조작 편의성을 높였다. 이 컨트롤러는 전후 1축, 좌우 1축의 2개 토글 스위치와 버튼 1개로 구성되어 있었다. 컨트롤러 개발은 TMRC의 폐품 활용 전통에 따라 이루어졌다.
3. 1. 2. 게임 메커니즘
''스페이스워!''는 "니들"과 "웨지"라는 두 우주선을 조종해 미사일로 상대 우주선을 격추하는 게임이다. 각 우주선은 화면 중앙 태양의 중력 영향을 받으며, 관성의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 우주선 움직임은 역학 계산으로 시뮬레이션되었지만, 게임성을 위해 실제보다 약간 과장되었다.
조작 | 개발 담당 | 설명 |
---|---|---|
선회 및 추진 | 앨런 코토크, 스티브 파이너, 밥 선더스 | 좌우 1축, 전후 1축의 토글 스위치와 버튼 1개로 구성된 조이스틱을 사용한다.[2] 초기에는 컴퓨터 본체의 토글 스위치를 사용했으나, 조작이 불편하고 스위치 파손 위험이 있어 컨트롤러를 자체 제작했다.[3] 이는 사상 최초의 게임 전용 컨트롤러였다. 추진에는 연료 제한이 있다. |
하이퍼스페이스 | 마틴 그레이츠 | 순간이동 기능으로, 3회까지 사용 가능하다. 사용 시 잠시 주위가 빛나는 연출이 있으며, 4차원 공간을 상정하여 제4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워프 개념으로 "하이퍼스페이스(초공간)"로 명명되었다. |
미사일 발사 | 게임 시작 시 31발이 주어지며, 중력 영향을 받지 않고 직선으로 발사된다. 미사일은 "광자 폭탄"이라는 설정이며, 우주선 파괴 시 화면이 흑백 반전되고 산산조각 나는 연출이 적용되었다. | |
별하늘 | 피터 샘슨 | 처음에는 무작위 점이었으나, "Expensive Planetarium(고가의 플라네타륨)"이라는 소프트웨어로 대체되어 천문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실제 별하늘처럼 움직인다. |
3. 2. 그래픽 및 기술적 요소
피터 샘슨은 "Expensive Planetarium(고가의 플라네타륨)"이라는 소프트웨어로 실제 별하늘과 유사한 배경을 구현했다.[4] 이는 천문학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와 휘도까지 실제 별하늘과 같으며, 시간에 맞춰 플라네타륨처럼 움직인다.;삼각 함수 서브루틴
: 코토크가 DEC에 가서 입수했다.[4]
4. 파생 버전
- PDP-11영어용 "Spacewar!"
: PDP-11 기반 GT40 벡터 그래픽 시스템에서 작동한다.
: 1971년, 스탠포드 대학교의 빌 피츠와 휴 탁이 PDP-11용 스페이스워를 동전 투입식으로 개조한 게임이다. 최초의 동전 투입식 게임이나 개인용으로 제작되어 아케이드 게임 역사에서는 제외되었다.
: 1971년 Nutting Associates에서 출시한 '스페이스워'의 아케이드 게임이다. 놀런 부슈널이 제작에 참여한 세계 최초의 아케이드 게임이나, 당시로서는 너무 어려운 조작과 비싼 가격으로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 Space Wars
: 1977년 Cinematronics에서 출시한 '스페이스워!'의 가정용 게임기 버전이다. 벡터 그래픽으로 작동하며 1982년 벡트렉스용으로도 출시되었다.
- Orbitwar
: 1974년 출시된 버전으로 멀티 플레이를 지원한다.
- Java 애플릿판
: 1999년 배리 실버만, 브라이언 실버만, 바딤 게라시모프 등이 이식한 버전이다.[10]
- 기타
: 현재 다양한 『스페이스워!』 클론 게임들이 존재하며, 리눅스 배포판에 포함된 KSpaceDuel 등이 유명하다.
5. 보존 및 현황
2006년에 파악된 PDP-1 버전의 《스페이스워!》 가동 상황은 다음과 같다.[1]
- 현재 존재하는 2대의 PDP-1 중, 가동되는 것은 캘리포니아의 컴퓨터 역사 박물관에 있는 1대뿐이다. 2년에 걸쳐 수리되었으며, 지금은 《스페이스워!》도 동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1대는 MIT에 기증된 PDP-1 제2호기로, 이는 실제로 《스페이스워!》 개발에 사용된 기체이기도 하다. 2002년 시점에서 제2호기는 영국에서 개최된 [http://www.thetech.org/exhibits/game_on/ Game On]에 대여되어 가동 전시되었지만, 전원 불량 발생 후 사용 불가능하게 되었다.[1]
- 2004년 일본에서 개최된 비디오 게임과 디지털 과학전에서 PDP-1이 전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빈티지텍(VintageTech)사가 제작한 복제품이며, 내부적으로는 리눅스 기반의 PDP-1 에뮬레이터였다. 이 복제품에서도 《스페이스워!》가 작동하는 듯했지만, 플레이할 수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우주선은 나타났다가는 태양에 빨려 들어가고, 나타났다가는 태양에 빨려 들어가기를 반복했다고 한다.[1]
6. 영향 및 유산
Spacewar!영어는 1960년대 프로그래밍 커뮤니티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다양한 컴퓨터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게임 코드는 공개 소프트웨어이자 오픈소스였기 때문에,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었다.[2] 피터 심슨은 실제 은하계를 본뜬 배경을 넣었고, 다른 학생은 중력 옵션을 추가하는 등 다양한 파생 버전들이 등장하였다.[3]
Spacewar!영어는 갤럭시 게임, 컴퓨터 스페이스 등 초기 상업용 비디오 게임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스테로이드, 스페이스 워즈, 스타 컨트롤 등 수많은 게임들이 Spacewar!영어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
2007년 뉴욕 타임즈는 Spacewar!영어를 역사상 가장 중요한 비디오 게임 10개 중 하나로 선정했으며, 미국 의회 도서관에 보존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2018년에는 월드 비디오 게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D.I.C.E. 어워드 개척자 상을 수상했다.
7. 기타
참조
[1]
간행물
テレビゲームの産業・技術史(第一部) ― 世界初のテレビゲームブーム ―
https://doi.org/10.9[...]
[2]
서적
NHKスペシャル 新・電子立国 第4巻
[3]
서적
NHKスペシャル 新・電子立国 第4巻
[4]
웹사이트
Sine-cosine Routine
http://www.computerh[...]
1962-12-31
[5]
서적
NHKスペシャル 新・電子立国 第4巻
[6]
서적
NHKスペシャル 新・電子立国 第4巻
[7]
서적
NHKスペシャル 新・電子立国 第4巻
[8]
서적
ウィルクス自伝 ――コンピュータのパイオニアの回想
[9]
서적
NHKスペシャル 新・電子立国 第4巻
[10]
웹사이트
Spacewar! - Original 1962 code on PDP-1 emulator
http://spacewar.over[...]
2012-03-25
[11]
웹사이트
Space Travel: Exploring the solar system and the PDP-7
https://www.bell-lab[...]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