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타이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스타이오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폴론과 님프 퀴레네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헤르메스에 의해 불멸의 존재가 되었으며, 켄타우로스 케이론에게서 교육을 받았다. 아리스타이오스는 의술, 예언, 목축, 양봉, 올리브 재배 등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여, 케오스 섬의 역병을 퇴치하고 꿀벌을 부활시키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농업, 목축, 양봉, 과수 재배 등 다양한 분야의 수호신으로 숭배받았으며, "최선의 자"라는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식의 남신 - 시페 토텍
시페 토텍은 고대 메소아메리카에서 숭배받던 갱생, 계절의 갱신, 농경, 전쟁과 관련된 신으로, 인간 가죽을 벗겨 입은 모습으로 묘사되며 틀라카시페우알리스틀리 축제에서 전쟁 포로 희생과 가죽을 입는 의례 등 인신공양과 관련된다. - 사냥의 남신 - 루드라
루드라는 베다 시대부터 숭배된 인도의 신으로, 리그베다에 초기 언급이 나타나며, '포효하는 자'로 해석되는 무시무시한 모습과 질병 치료 및 풍요를 가져다주는 자비로운 면모를 동시에 지니고 있고, 후대에 시바와 동일시되었으며 불교와 조로아스터교에서도 언급되는 등 다양한 종교적 맥락에서 나타난다. - 사냥의 남신 - 노덴스
노덴스는 켈트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어원적으로 '안개' 또는 '획득'과 관련된 의미를 가지며, 고고학적 발견과 로마 신 마르스와의 동일시를 통해 치유, 어업, 사냥의 신으로 여겨졌고, 현대 문화 작품에도 영향을 미쳤다. - 아폴론의 자식 - 오르페우스
오르페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뛰어난 음악적 재능으로 자연과 동물을 매료시키고 저승에 다녀온 이야기로 유명한 전설적인 시인이자 음악가이다. - 아폴론의 자식 - 에우리디케
아리스타이오스 | |
---|---|
기본 정보 | |
신화 체계 | 그리스 신화 |
역할 | 농경 목축 양봉 치즈 제조 포도 재배 올리브 재배 사냥 의술 예언 |
인물 정보 | |
부모 | 아폴론과 키레네 |
배우자 | 아우토노에 |
자녀 | 악타이온 마크리스 |
로마 신화 | 아리스타이오스 |
2. 신화
아리스타이오스는 라피테스족의 왕 휩세우스와 님프 퀴레네 사이에서 태어난 아폴론의 아들이다. 헤르메스는 그를 넥타르와 암브로시아로 키워 불멸의 존재로 만들었다.[6] '아리스타이오스'는 '가장 훌륭한'이라는 뜻의 별칭이다.[7]
은매화 님프들에게서 치즈 제조법, 양봉, 올리브 재배 등을, 무사이에게서 의술과 예언을 배웠다. 프티아에서 목축을 했으며 아우토노에와 결혼하여 악타이온과 마크리스를 낳았다.
델포이 신탁에 따라 케오스 섬으로 가 세이리오스로 인한 혹서와 전염병을 이카리오스 암살범 처형과 제우스에게 제물을 바쳐 해결하고 섬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템페에서 꿀벌들이 병들어 죽자 프로테우스에게 이유를 묻고 에우리디케의 죽음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드리아스에게 제물을 바치고 에우리디케와 오르페우스를 위로하자 꿀벌 무리가 나타났다.
아들 악타이온이 요절한 후 리비아에서 사르데냐로 건너가 다이달로스와 토지 개발에 종사하고, 시켈리아에서 올리브 재배를 전파했다. 트라키아에서 디오니소스의 비밀 종교 의식에 참여하고 하이모스 산 근처에 도시를 건설했으나, 이후 사라졌다고 전해진다.
2. 1. 탄생과 가계
핀다르의 아홉 번째 피티아 노래와 아폴로니오스 로도스의 ''아르고나우티카''(II.522ff)에 따르면, 라피테스족의 왕 휩세우스와 님프 크리다노페의 딸 퀴레네는 사냥을 좋아했다. 어느 날 펠리온 산에서 사자와 격투 끝에 이를 죽였는데, 이를 본 아폴론은 켄타우로스 케이론에게 상담했다. 케이론은 아폴론의 연심을 간파하고 퀴레네를 아내로 삼도록 조언하며, 퀴레네가 잉태할 아이는 헤르메스가 받아 호라이와 가이아의 축복을 받으며 넥타르와 암브로시아를 받아 불멸의 신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6]헤르메스는 아리스타이오스를 넥타르와 암브로시아로 키워 가이아에 의해 불멸하게 만들었다.[6] "아리스타이오스"("가장 훌륭한")는 이름이 아닌 별칭이다. 핀다르에 따르면, 어떤 사람들은 제우스와 아폴론을 아그레우스와 노미오스라 불렀고,[7] 다른 사람들은 아리스타이오스라고 불렀다.
아리스타이오스는 은매화의 님프들로부터 치즈를 만드는 방법, 양봉, 올리브 재배 등을 배웠다. 아폴론은 아리스타이오스를 케이론에게 맡겨 양육하게 했고, 무사이로부터 의술과 예언을 배웠다. 성장한 아리스타이오스는 테살리아 지방의 프티아에서 목축을 했으며, 무사이의 중재로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딸 아우토노에와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서 악타이온과 디오니소스의 유모가 된 마크리스라는 1남 1녀가 태어났다.
2. 2. 유년기와 교육
핀다르의 아홉 번째 피티아 노래와 아폴로니오스 로도스의 ''아르고나우티카''(II.522ff)에 따르면, 라피테스족의 왕 휩세우스와 크리다노페의 딸 퀴레네는 사냥을 좋아하여 펠리온 산에서 사자와 격투 끝에 이를 죽일 정도였다. 이를 본 아폴론은 케이론에게 상담했고, 케이론은 아폴론의 마음을 간파하여 퀴레네를 아내로 삼도록 조언했다. 케이론은 퀴레네가 임신할 아이는 헤르메스가 받아 호라이와 가이아의 축복을 받으며 넥타르와 암브로시아를 받아 불멸의 신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고, 그 예언은 그대로 이루어졌다.[6] 헤르메스는 아리스타이오스가 태어나자 그를 넥타르와 암브로시아로 키워 가이아에 의해 불멸하게 만들었다. "아리스타이오스"("가장 훌륭한")는 이름이 아닌 별칭이다.[7]아리스타이오스는 은매화의 님프들로부터 우유를 응고시켜 치즈를 만드는 방법과 꿀벌 사육법, 올리브 재배 등을 배웠다. 아폴론은 아리스타이오스를 케이론에게 맡겨 양육하게 했고, 무사이로부터 의술과 예언을 배웠다. 성장한 아리스타이오스는 테살리아 지방의 프티아에서 목축을 했다.
2. 3. 주요 업적과 전승
아리스타이오스는 다양한 전원 및 농촌 예술, 공예, 기술, 관행, 전통(수공예)의 신이자 수호신으로, 그의 많은 친척들과 역할이 겹치기도 한다.- 아버지 아폴론, 켄타우로스 케이론, 고모들인 무사에게서 예언, 치유, 약초학 기술을 배웠다.
- 고모 아르테미스와 어머니 키레네에게서 사냥, 동물 추적, 덫 놓기, 고기 손질(도살), 가죽 가공(가죽 세공) 기술을 배웠다.
- 은매화 요정(드라이어드 또는 오레아드)에게서 낙농업, 우유 가공(크림, 버터, 요구르트, 치즈 제조), 양계, 양봉 기술, 올리브 재배 및 올리브 오일 가공법을 배웠다.[8]
- 아버지 아폴론, 어머니 키레네, 삼촌 헤르메스, 사촌 판처럼 양치기/목동과 목축의 수호신이자 양털 깎기 기술, 목축업, 소와 가축, 목초지의 보호자였다.
- 삼촌 디오니소스에게서 와인, 에일, 맥주 등 알코올 음료 생산 과정을 배웠고, 포도나무, 포도원, 포도 재배의 수호신으로 숭배받았다.
- 고모 데메테르에게서 농업, 원예, 균류 재배, 축산 기술을 배웠고, 정원, 농장, 밭, 과수원의 수호자였다.
- 호라이의 카르포와 카르포스와 함께 과수 재배, 채소 재배, 허브 및 향신료 재배, 식용 꽃 재배, 식용 버섯 재배, 채집, 사냥, 어업, 축산, 음식 보존(발효, 피클링, 염장 등), 조미료의 수호신이었다.
- 고모 헤스티아에게서 요리와 제빵 기술을 배워 맷돌, 제분소, 수차, 오븐의 수호신이 되었다.
- 삼촌 포세이돈에게서 어업 기술을 배웠다.
- 고모 아테나에게서 섬유 짜기, 로프 제조, 그물 제조, 바구니 세공, 점토 및 유리 다루는 기술을 배웠다.
- 삼촌 헤파이스토스에게서 금속, 돌, 점토, 유리, 나무를 다루는 법을 배워 점토 가마 등의 수호신이 되었다.
- 케오스에서는 에테시안 바람의 신으로, 더운 여름 날씨로부터 휴식을 제공했다.[13]
아리스타이오스는 성장 후 보이오티아로 가서 케이론에게 의식을 배우고 아우토노에와 결혼하여 악타이온과 마크리스를 낳았다. 페레키데스에 따르면 아리스타이오스는 마법, 교차로, 밤의 여신 헤카테의 아버지였다.[10]
라피테스족 왕 휩세우스의 딸 키레네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리스타이오스는 헤르메스에게 넥타르와 암브로시아를 받아 불멸의 신이 되었다는 케이론의 예언이 있었다. 그는 은매화 님프에게서 치즈 제조법, 양봉, 올리브 재배 등을, 무사이에게서 의술과 예언을 배웠다. 프티아에서 목축을 하고 아우토노에와 결혼하여 악타이온과 디오니소스의 유모인 마크리스를 낳았다.
델포이 신탁에 따라 케오스 섬으로 간 아리스타이오스는 세이리오스로 인한 혹서와 전염병을 이카리오스 암살범 처형과 제우스에게 제물을 바침으로써 해결하고 섬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템페에서 꿀벌들이 병들어 죽자 프로테우스에게 이유를 물었고, 에우리디케의 죽음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드리아스에게 제물을 바치고 에우리디케와 오르페우스를 위로하자 꿀벌 무리가 나타났다.
아들 악타이온의 요절 후 리비아에서 사르데냐로 건너가 다이달로스와 토지 개발에 종사하고, 시켈리아에서 올리브 재배를 전파했다. 트라키아에서 디오니소스의 비밀 종교 의식에 참여하고 하이모스 산 근처에 도시를 건설했으나, 이후 사라졌다고 전해진다.
2. 3. 1. 케오스 섬의 역병 퇴치
아리스타이오스가 케오스에 있었다는 사실은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 증명되었으며,[11] 델포이 신탁에서 아리스타이오스에게 케오스로 항해하면 큰 영예를 얻을 것이라고 예언했기 때문이다. 그는 7월 초, 태양이 뜨기 전에 시리우스가 처음 나타났을 때, 섬 주민들이 질식할 듯 해로운 개의 별의 영향으로 질병에 고통받는 것을 발견했다. 케오스 날씨 마법 의례의 건국 신화에서 아리스타이오스는 개의 별의 치명적인 영향을 막기 위해 두 번의 희생을 한 것으로 여겨졌다. 새벽에 큰개자리에게 바치는 지하의 제사[13]를 지낸 후, 산 정상 제단에서 '비 내리게 하는 제우스'인 제우스 이크마이오스에게 새벽 제사[12]를 드렸는데, 이는 연례적으로 에테시안 풍의 냉각 효과를 가져왔다.신화에 따르면, 아리스타이오스는 케오스인들의 어려움이 이카리오스를 살해한 자들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악당들이 발각되어 처형되고 제우스 이크마이오스에게 신전이 세워지자, 위대한 신은 달래졌고, 이후 에테시안 풍이 시리우스의 재앙적인 상승으로부터 40일 동안 불어 모든 에게해를 시원하게 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러나 케오스인들은 혹시 몰라서 시리우스가 뜨기 직전에 계속해서 개의 별을 달랬다.[14] 아리스타이오스는 케오스 동전에 등장한다.[15]
아리스타이오스는 델포이에서 아폴론의 신탁을 받아 "케오스 섬으로 가라. 그곳에서 너는 지대한 존경을 받게 될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다. 아리스타이오스가 케오스 섬으로 가자, 이 지역에 늑대별 세이리오스가 혹서(酷暑)를 가져오고 역병이 만연하고 있었다. 이는 이카리오스를 암살한 죄인들을 섬 사람들이 숨겨주었기 때문이었다. 아리스타이오스는 산중에 거대한 제단을 쌓게 하고, 제우스에게 산 제물을 바쳐 죄인들을 처형했다. 그러자 제우스는 이에 응답하여 에테시아이(무역풍)의 바람의 신에게 명하여, 40일 동안 시원한 바람을 보냈고, 역병도 멈추었다. 이 일로 아리스타이오스는 섬 사람들의 감사와 존경을 한몸에 받게 되었고, 섬에서는 매년 세이리오스가 하늘에 나타나기 전에 제우스에게 제물을 바치게 되었다.
2. 3. 2. 꿀벌의 부활
아리스타이오스가 의도치 않게 에우리디케를 죽게 한 뒤, 그의 벌들이 병들어 죽기 시작했다. 키레네와 프로테우스에게 조언을 구한 결과, 벌들의 죽음이 에우리디케의 죽음에 대한 벌이며, 그녀의 자매인 아울로니아드 님프들이 그렇게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8] 속죄하기 위해 아리스타이오스는 12마리의 동물(황소 4마리와 암소 4마리)을 신들에게 희생하고, 에우리디케를 기리기 위해 제물로 바친 사체를 3일 후 돌아와 확인해야 했다.[8] 그는 지시대로 분수 앞에 희생 제단을 세우고 가축을 희생한 뒤 사체를 남겨두었다.[8] 3일 후, 사체 중 하나에서 새로운 벌떼를 발견하고 자신의 양봉장으로 가져갔다. 이후 벌들은 다시는 질병에 시달리지 않았다.[8]아리스타이오스가 템페로 이주했을 때, 기르던 꿀벌들이 병들어 모두 죽었다. 어머니 퀴레네는 파로스 섬의 동굴에서 낮잠 자는 프로테우스를 붙잡아 이유를 물어보라고 조언했다. 프로테우스는 아리스타이오스가 에우리디케를 사랑했지만, 에우리디케가 오르페우스와 결혼한 직후 아리스타이오스에게 쫓기다 독사에 물려 죽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드리아스들에게 소를 바치고, 9일 후 에우리디케와 오르페우스를 위로하는 제물을 바치자 소의 시체에서 꿀벌 무리가 날아올랐다.
2. 3. 3. 기타 전승
기원전 4세기와 3세기에 아리스타이오스가 케오스에 있었다는 사실이 증명되었으며,[11] 이는 델포이 신탁의 예언에 따른 것이었다. 그는 7월 초, 태양이 뜨기 전 시리우스가 처음 나타났을 때 섬 주민들이 질병으로 고통받는 것을 발견했다. 케오스 날씨 마법 의례의 건국 신화에서 아리스타이오스는 시리우스의 치명적인 영향을 막기 위해 두 번의 희생을 한 것으로 여겨졌다. 새벽 제물로 큰개자리에 바치는 지하의 제사[13] 다음에, 산 정상 제단에서 '비 내리게 하는 제우스'인 제우스 이크마이오스에게 새벽에 드리는 제사[12]는 연례적으로 에테시안 풍의 냉각 효과를 가져왔다.신화에서 아리스타이오스는 케오스인들의 어려움이 이카리오스를 살해한 살인자들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악당들이 처형되고 제우스 이크마이오스에게 신전이 세워지자, 에테시안 풍이 시리우스의 재앙적인 상승으로부터 40일 동안 불어 모든 에게해를 시원하게 할 것이라고 선언되었다. 그러나 케오스인들은 시리우스가 뜨기 직전에 계속해서 개의 별을 달랬다.[14] 아리스타이오스는 케오스 동전에 등장한다.[15]
그 후 아리스타이오스는 문명화 임무를 수행하면서 아르카디아를 방문했는데, 여신의 배우자로서 오르테이아의 성소에 있는 상아 조각에 나타나는 날개 달린 남성 형상은 L. 마랑구에 의해 아리스타이오스로 확인되었다.[16]
아리스타이오스는 템페 계곡에 잠시 정착했다. 베르길리우스의 ''농경시'' 시대에는, 아리스타이오스가 뱀에 물려 죽은 에우리디케를 쫓는 신화가 있다.[8] 아리스타이오스가 의도치 않게 에우리디케를 죽게 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벌들이 병들어 죽기 시작했다. 어머니 키레네와 프로테우스에게 조언을 구한 아리스타이오스는 벌들의 죽음이 에우리디케의 죽음에 대한 벌이며, 그녀의 자매인 아울로니아드 님프들이 그렇게 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속죄하기 위해 아리스타이오스는 12마리의 동물(또는 황소 4마리와 암소 4마리)을 신들에게 희생해야 했고, 에우리디케를 기리기 위해 제물로 바친 사체를 제물로 바친 장소에 남겨두고 3일 후에 돌아와야 했다. 그는 이 지시를 따라 분수 앞에 희생 제단을 세우고, 앞서 언급한 가축을 희생했으며, 사체를 남겨두었다. 3일 후에 돌아온 아리스타이오스는 사체 중 하나에서 새로운 벌떼를 발견했고, 이를 자신의 양봉장으로 가져갔다. 그 후 벌들은 다시는 질병에 시달리지 않았다.[8]
이 이야기의 변형은 수 몽크 키드의 2002년 소설 ''꿀벌들의 비밀생활''(The Secret Life of Bees (novel))에 실렸다.[17]
결국 아리스타이오스는 아들 악타이온의 요절을 슬퍼한 나머지 보이오티아 지방을 싫어하게 되었고, 리비아에서 사르데냐로 건너가 다이달로스와 협력하여 토지 개발에 종사했다. 더 나아가서 멀리 떨어진 섬들을 방문하여 시켈리아에서는 올리브 재배를 전파했다. 마지막으로 트라키아를 방문하여 디오니소스의 비밀 종교 의식에 참여했다. 하이모스 산 근처에 아리스타이온 시를 건설했지만, 이후 하이모스 산 위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고 전해진다.
3. 수호신으로서의 역할
아리스타이오스는 광대한 가계도와 인맥 덕분에 다양한 농촌 및 예술, 공예, 기술, 관행, 전통 (수공예)의 신이자 수호신이었으며, 이는 종종 그의 많은 친척들과 중복되기도 한다.
- 아버지 아폴론, 현명한 켄타우로스 케이론, 고모들인 무사들로부터 예언, 치유, 약초학 기술을 배웠다(이복 형제 아스클레피오스와 마찬가지로).
- 고모 아르테미스와 어머니 키레네(필멸의 공주에서 요정으로 변한 아르테미스의 동반자)로부터 동물을 추적하고, 사냥하고, 덫을 놓는 방법과 그들의 고기(도살)와 가죽(가죽 세공)을 손질하고 준비하는 방법, 사냥에 그물과 덫을 사용하는 방법을 배웠다.
- 아폴론을 대신하여 그를 키운 은매화-요정들(드라이아드 또는 오레아드)—또는 트리아이—로부터 낙농업, 우유를 크림, 버터, 옥시갈라(요구르트와 유사) 및 치즈(치즈 제조)로 만드는 방법, 닭을 알을 위해 기르는 방법, 여신의 벌을 길들이고 벌통에 보관하는 방법(벌들은 은매화 요정들 또는 트리아이에 속함), 꿀과 밀랍 공급을 활용하는 방법 등 유용한 기술과 신비를 배웠다.[8] 올리브를 맺도록 야생 돌감람나무를 길들여 재배하고 이를 올리브 오일로 가공하는 방법(고모 아테나처럼)도 배웠다. 이와 같이 아리스타이오스는 올리브 나무, 올리브 과수원/농장, 올리브 농업, 올리브 오일 압착기의 수호신이다(아테나는 올리브, 올리브 오일, 올리브 오일 제조의 여신이다).
- 아버지 아폴론, 어머니 키레네(사냥꾼이자 양치기), 삼촌 헤르메스, 사촌(?) 판과 마찬가지로 양치기/목동과 목축의 수호신이자 보호자이며, 양털 깎기 기술, 목축업, 소와 가축, 목초지의 수호신이기도 하다.
- 삼촌 디오니소스로부터 와인, 에일, 맥주, 키케온, 미드, 쿠미스, 압생트 등 알코올 음료를 생산하는 과정을 배웠다(다른 설명에서는 현명한 늙은 사티로스 실레노스로부터 와인 제조에 대해 배우는 디오니소스와는 반대로, 그가 에우보이아 섬에서 디오니소스를 대신하여 아버지 역할을 하면서 가르쳤다고도 한다). 이처럼 아리스타이오스는 포도나무, 포도원, 와인 압착기, 포도 재배의 수호신으로 숭배받는 반면, 디오니소스는 와인 & 와인 제조, 파티, 축제, 연회 & 축제, 취함/종교적 황홀경의 신이다.
- 고모 데메테르로부터 다양한 농업([곡물] 재배), 원예, 균류 재배, 축산 기술을 배웠다. 이와 같이 아리스타이오스는 정원, 농장, 밭, 과수원 등의 수호자이기도 했다. 일부 버전에서는 데메테르가 어머니 키레네와 고모 아르테미스 대신 아리스타이오스에게 가죽 세공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 호라이의 카르포와 카르포스(제피로스/파보니우스와 클로리스/플로라의 아들)와 함께 과수 재배(과수 재배) 및 채소 식물(채소 재배), 허브 & 향신료(약초 재배), 식용 꽃(화훼 재배), 식용 버섯(균류 재배)의 수호신이며, 채집, 사냥 & 어업, 축산 & 농업, 음식 보존(발효, 피클링, 염장, 건조, 훈제, 건조) 기술, 조미료(가룸과 같은)의 수호신이다.
- 고모 헤스티아로부터 다양한 기술인 요리와 제빵을 배워 아리스타이오스는 맷돌 & 제분소, 수차, 오븐(빵 오븐 등)의 수호신이 되었다.
- 삼촌 포세이돈으로부터 그물과 갈고리 등을 이용한 어업 기술을 배웠다.
- 고모 아테나(또한)로부터 섬유를 짜고, 카드하고 손으로 방적하여 양모, 실 등을 만드는 기술을 배워 로프 제조, 그물 제조, 바구니 세공(싸리 및 싸리와 진흙 참조)과 점토 및 유리를 다루는 기술을 익혔다.
- 삼촌 헤파이스토스로부터 금속([광업], 대장장이, 금속 세공 등), 돌([채석]], 석공술 등), 점토(도기, 세라믹, 기타 조형 예술, 아테나로부터도 배움), 유리, 나무([목공]] 등)를 다루는 방법을 배워 아리스타이오스는 점토 가마, 숯더미 등의 수호신이 되었다.
- 케오스에서 아리스타이오스는 또한 에테시안 바람의 신이며(보레아스 또는 그의 형제들과 혼동되지 않음), 이는 뜨겁고 가뭄을 일으키는 한여름 날씨/기후의 격렬한 열로부터 약간의 휴식을 제공했다.[13]
4. 해석
카를 케레니에 따르면 아리스타이오스는 "최선의 자"라는 의미이며, 그 존재는 "두 번째 아폴론이자 작은 제우스"이다. 제우스의 칭호 중 하나인 "메이리키오스(꿀 같은)"는 뱀 형상의 신으로 숭배받았는데, 이것과 아리스타이오스는 무관하지 않다.[18] 이후 시대에, '아리스타이오스'는 친숙한 그리스 이름으로, 아테네의 여러 집정관들이 사용했고 비문에서 증명되었다.[18]
참조
[1]
서적
Dionysiaca
[2]
서적
Georgics
[3]
서적
Theogony
[4]
간행물
Aristaios
1962
[5]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6]
기타
[7]
기타
[8]
웹사이트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 The Georgics by Virgil
https://classics.mit[...]
2024-04-12
[9]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Vol. II., by Pausanias—A Project Gutenberg eBook
https://www.gutenber[...]
2024-04-12
[10]
서적
Argonautica
[11]
서적
Of the winds
[12]
서적
Argonautica
[13]
서적
Homo Necans
1972
[14]
서적
Poetic Astronomy
[15]
서적
The Coinage of Kea
1997
[16]
간행물
The Masks of Ortheia
1987
[17]
서적
The Secret Life of Bees
[18]
간행물
Two Inscriptions Near Athens
19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