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梁, 楊, 襄)은 한국의 성씨로, '들보'를 의미하는 梁(양)씨가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梁(양)씨는 남원, 제주, 청주 등 32개의 본관을 가지며, 제주 양씨, 남원 양씨, 충주 양씨 등이 주요 본관이다. '버들'을 뜻하는 楊(양)씨는 두 번째로 흔하며, 중화, 남원, 청주 등을 본관으로 한다. 襄(양)씨는 '돕다'는 의미로, 가장 드물게 사용된다.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양(梁, 楊)씨 성을 가진 인물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양 (성씨) | |
---|---|
양 (성씨) | |
![]() | |
한자 | 楊 (대부분) 梁 樑 襄 |
로마자 표기 | Yang |
주요 본관 | 남원 중화 청주 나주 안악 강릉 |
인구 (2015년) | 530,054명 |
기원 | |
양 (楊) | 제주 삼성혈에서 태어난 양을나의 후손 |
양 (梁, 樑) | 고려 시대 기성부원군 양우량의 후손 |
양 (襄) | 후조 양정의 후손 |
본관별 분포 (2015년) | |
남원 양씨 | 450,514명 |
중화 양씨 | 34,041명 |
청주 양씨 | 21,956명 |
나주 양씨 | 6,923명 |
안악 양씨 | 3,507명 |
강릉 양씨 | 2,537명 |
기타 | 10,576명 |
저명한 인물 | |
양만춘 | 고구려의 장군 |
양녕대군 | 조선의 왕족 |
양소위 | 조선의 문신 |
양재하 | 독립운동가 |
양주동 | 국문학자 |
양희은 | 가수 |
양준혁 | 야구 선수 |
2. 한자별 양(梁, 楊, 襄)씨
양(楊)씨 성은 梁|량zho, 楊|양zho, 襄|양zho 등 서로 다른 한자로 표기될 수 있으며, 이는 각기 다른 계통을 나타낸다. 2000년 대한민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양씨 성을 가진 사람은 총 151,315가구에 486,645명이었다.[1]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한자는 '들보' 또는 '다리'를 의미하는 '''梁|량zho'''이다. 2000년 인구 조사 당시 120,534가구, 389,152명이 사용하여 288개 성씨 중 25번째로 흔한 성씨였다.[1] 주요 본관으로는 제주와 남원 등이 있다. 중국에서는 梁(량)씨가 약 1800만 명으로 중국 성씨 인구 20위를 차지한다.
두 번째로 흔한 한자는 '버들'을 의미하는 '''楊|양zho'''이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는 69,101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본관으로는 중화, 남원, 청주 등이 있다. 남송의 기록에 따르면 발해의 유력 귀족 성씨 중 하나로 언급되기도 했으며,[6][7] 고려 시대에도 양지(楊志), 양연(楊演), 양규(楊規) 등 여러 인물이 기록에 등장하나 시조 이전 계보는 불명확하다. 중국에서는 楊(양)씨가 약 4천만 명으로 성씨 인구 6위이며, 주나라 양후(楊候)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함께 저족, 막호로(莫胡蘆)족 등 다양한 기원을 가진다. 중국 소수 민족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성씨 중 하나이기도 하다.
'돕다'라는 의미를 가진 '''襄|양zho'''씨는 드물게 사용된다. 조선씨족통보에는 주나라 장공의 아들 양중(襄仲)이 자신의 시호를 성으로 삼은 데서 유래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는 263가구, 823명으로 182번째로 흔한 성씨였으나,[1] 2015년 인구 조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樑|량zho'''씨는 1960년 국세조사 때 16명으로 처음 나타난 성씨이다. 2000년에는 957가구, 3,211명으로 조사되었으나 2015년에는 6명으로 크게 줄어, 梁(량)씨나 楊(양)씨의 오기로 추정된다.
2. 1. 들보 양(梁)
들보 양(梁)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460,600명으로 집계되어, 대한민국 전체 성씨 중 인구 순위 24위를 차지한다. 한자 梁은 '다리' 또는 '들보'를 의미한다. 한국의 여러 양(梁)씨 성 중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성씨로, 제주 양씨(濟州 梁氏)와 남원 양씨(南原 梁氏)가 가장 큰 인구 비중을 차지한다. 이 외에도 충주 양씨(忠州 梁氏), 전주 양씨(全州 梁氏), 안동 양씨(安東 梁氏) 등의 본관이 있다. 주요 본관의 상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에서 다룬다.2. 1. 1. 제주 양씨(濟州 梁氏)
시조는 탐라 개국 설화에 등장하는 양을나(良乙那)이다. 양을나의 후손 양탕(良宕)은 559년에 사신으로 신라를 방문하여 진흥왕에게 양(梁)씨 성을 사성(賜姓)받았다. 그의 후손 양순(梁洵)은 682년(신문왕 2년) 신라에 들어가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낸 후 한라군(漢拏君)에 봉해졌다.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14명을 배출하였다. 주요 인물로는 현령(縣令)을 지낸 양팽손(梁彭孫)과 그의 아들로 선조 때 공조참판·대사성을 지낸 양응정(梁應鼎) 등이 있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 기준으로 142,200명이다. 남원 양씨와 충주 양씨는 제주 양씨에서 분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 2. 남원 양씨(南原 梁氏)
중시조 '''양우량'''(梁友諒)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공을 세워 남원부백(南原府伯)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제주 양씨에서 분적(分籍)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문헌이 소실되어 정확한 선계(先系)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후손들은 양능양(梁能讓), 양주운(梁朱雲), 양수정(梁水精)을 각각 분파(分派)의 기세조(起世祖)로 삼아 병부공파(兵部公派), 용성부원군파(龍城府院君派), 대방부원군파(帶方府院君派)로 나뉘었다.[4]고려 시대에는 양진(梁稹)이 현종 때 상서좌복야 등을 역임했으며, 양백익(梁伯益)은 공민왕 때 개성윤(開城尹)으로서 흥왕사의 변에 공을 세워 1등 공신에 오르고, 우왕 때 찬성사상의(贊成事商議)의 지위에 올랐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46명을 배출하였다.[5] 대표적인 인물로는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지중추부사, 공조판서를 거쳐 좌리공신에 오르고 대사헌과 대제학을 역임한 양성지(梁誠之)가 있다. 양성지의 손자인 양연(梁淵)은 중종 때 공조참판, 대사헌, 좌승지, 병조판서, 이조판서, 좌찬성, 판중추부사 등 주요 관직을 두루 거쳤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 기준으로 남원 양씨는 307,724명이다.
2. 1. 3. 충주 양씨(忠州 梁氏)
중시조 '''양능길'''(梁能吉)은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할 때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삼중삼한대장군(三重三韓大將軍)으로 국가의 대업을 이룩하여 예성부원군(蘂城府院君)에 봉해지자 제주 양씨에서 분적하였다고 한다.충주 양씨는 고려 시대에 다음과 같은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인물 | 주요 관직 |
---|---|
양유달(梁攸達) | 상장군(上將軍) |
양일(梁逸) | 금오위상장군(金吾衛上將軍) |
양창(梁暢) | 정위(正位) |
양공소(梁公紹) | 검교첨사(檢校詹事) |
양원준(梁元俊) | 금자광록대부 검교태자태보 수사도 중서시랑동중서문하시랑평장사 권판상서이부사 판상서형부사(金紫光祿大夫 檢校太子太保 守司徒 中書侍郎同中書門下侍郎平章事 權判尙書吏部事 判尙書刑部事) |
양문형(梁文烱) | 어사중승(御史中丞) |
양문수(梁文秀) | 장사랑(將仕郞) |
양숙(梁肅) | 지주사 |
조선 시대에는 대과 급제자 2명과 무과 급제자 1명을 배출하였다. 주요 인물로는 세종 때 이조좌랑, 병조정랑을 지내고 사후 영의정으로 증직된 양여공(梁汝恭)과 그의 손자로 이조정랑 및 사헌부 지평을 역임한 양순경(梁舜卿), 순조 때의 양종간(梁宗幹) 등이 있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 결과, 충주 양씨는 751명으로 집계되었다.
2. 1. 4. 기타 梁씨
- '''전주 양씨'''(全州 梁氏)
- '''안동 양씨'''(安東 梁氏)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들보를 의미하는 梁(양)씨는 120,534가구, 389,152명으로 조사되어 당시 288개 성씨 중 25번째로 흔한 성씨였다. 또한, 이형태인 樑(양, 왼쪽에 "나무" 부수 추가)은 960가구, 3,254명이 사용하여 144번째로 흔한 성씨였다.[1] 당시 조사된 梁(양)씨의 주요 본관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본관 | 가구 수 | 인구 수 | 비고 |
---|---|---|---|
남원 | 67,691 | 218,546 | [1] |
제주 | 41,169 | 133,355 | [1] |
남양(화성) | 2,173 | 7,280 | [1] 이형태 樑 사용 인구(957가구, 3,211명) 대부분 포함[1] |
청주 | 2,649 | 8,499 | [1] |
경주 | 1,990 | 6,274 | [1] |
기타 또는 미상 | 4,862 | 15,171 | [1] |
2. 2. 버들 양(楊)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69,101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본관으로는 중화(中和), 남원(南原), 청주(淸州) 등이 있다.남송(南宋)의 홍호(洪皓)가 엮은 《송막기문》(松漠紀聞)에는 발해의 유력한 귀족 성씨로 고(高), 장(張), 양(楊), 두(竇), 오(烏), 이(李)의 6개 성씨가 언급되어 있다.[6][7]
고려 시대 기록에는 태조 때의 장군 양지(楊志), 광종 때의 문신 양연(楊演), 현종 때의 명장 양규(楊規)와 그의 아들 양대춘(楊帶春), 문종 때의 문신 양신린(楊信麟) 등 많은 양씨 인물이 등장하나, 시조 이전의 계보는 알 수 없다.
중국에서는 양(楊)씨가 약 4천만 명으로 성씨 인구 순위 6위를 차지하며, 그 기원은 주나라 때 당숙우(唐叔虞)의 후손 백교(伯僑)가 양후(楊候)에 봉해진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저족, 막호로(莫胡蘆)족, 그리고 양(揚)씨에서 성을 바꾼 양씨가 있으며, 중국 소수 민족 사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성씨 중 하나이다.
2. 2. 1. 중화 양씨(中和 楊氏)
(내용 없음 - 주어진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음)2. 2. 2. 남원 양씨(南原 楊氏)
'버들 양'(楊|양중국어)은 버들을 뜻하는 한자로, 이 한자를 사용하는 양씨는 대한민국에는 29,558가구, 93,416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2000년 기준). 이는 대한민국 성씨 중 55번째로 흔한 성씨에 해당한다.[1] 남원 양씨는 이 '버들 양' 자를 사용한다.2. 2. 3. 청주 양씨(淸州 楊氏)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2. 2. 4. 기타 楊씨
'''버들 楊'''(양)은 버들을 뜻하는 한자로, 네 가지 양(楊)씨 한자 중 두 번째로 흔하다. 200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29,558가구, 93,416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당시 55번째로 흔한 성씨였다.[1]2. 3. 도울 양(襄)
'도울 양'(襄)씨는 조선씨족통보에 따르면 주나라 때 장공의 아들 '''양중'''(襄仲)이 자신의 시호를 성으로 삼은 데서 유래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성씨는 '돕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양(楊)씨의 여러 한자 표기 중 가장 드물게 사용된다. 대한민국 통계청의 2000년 인구 조사에서는 263가구, 823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182번째로 흔한 성씨였으나, 당시 조사에서 본관은 보고되지 않았다.[1] 2015년 인구 조사에서는 통계에 잡히지 않았다.2. 4. 들보 량(樑)
'''양'''(樑)씨는 1960년 국세조사 때 처음 나타난 성씨로, 당시 16명이 있었다.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2000년에는 957가구, 3,211명으로 조사되었으나, 2015년 조사에서는 6명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梁(량)씨나 楊(양)씨를 잘못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3. 양(梁, 楊)씨 인물
양(梁, 楊)씨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고려 시대 여요전쟁에서 활약한 양규 장군이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이끈 양기탁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에 이르러서도 학술, 경제, 문화·예술, 군사, 정치·사회, 스포츠, 시각 예술 등 사회 다방면에 걸쳐 많은 양씨 인물들이 각자의 분야에서 활동하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각 분야별 주요 인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학술
- 양지원 (1949년 출생): KAIST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3. 2. 경제
- 마이클 양: 1961년 출생한 한국계 미국인 사업가.
3. 3. 문화/예술
- 양방언 (1960년 출생): 도쿄 출생의 한국 작곡가, 편곡가, 음반 프로듀서, 피아니스트
- 양다일 (1992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 양희은 (1952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싱어송라이터
- 양홍석 (1994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보이 그룹 펜타곤 멤버
- 양현석 (1970년 출생): 대한민국 음악 기획자, YG 엔터테인먼트 창립자이자 대표
- 양지원 (1988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겸 배우, 걸 그룹 스피카 및 유니티의 전 멤버
- 양준일 (1969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싱어송라이터
- 양정윤 (예명 지율, 1991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겸 배우, 걸 그룹 달샤벳 멤버
- 양승호 (1987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보이 그룹 엠블랙 리더
- 양성원: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첼로 교수
- 양연지 (1999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걸 그룹 앨리스의 전 멤버
- 양요섭 (1990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보이 그룹 하이라이트 멤버
- 양정인 (예명 아이엔, 2001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보이 그룹 스트레이 키즈 멤버
- 양수빈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먹방 엔터테이너
- 양영희 (1964년 출생): 일본 출생 한국 영화 감독
- 양윤호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3. 3. 1. 배우
- 신민아 (본명 양민아, 198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 양동근 (197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래퍼, 싱어송라이터, 음반 프로듀서, 브레이크댄서
- 양미경 (196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양병열 (199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양세종 (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 양승필 (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양익준 (197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영화 감독
- 양정아 (197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양진성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양혜지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양희경 (195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Eugene Lee Yang|유진 리 양eng (1986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배우, 프로듀서, 작가, 감독, 활동가, 인터넷 유명인
3. 3. 2. 코미디언
3. 3. 3. 기타
wikitext이름 | 출생 연도 | 직업/특징 |
---|---|---|
양병열 | 1993년 | 대한민국의 배우 |
양동근 | 1979년 | 대한민국의 배우, 래퍼, 싱어송라이터, 음반 프로듀서, 브레이크댄서 |
양희경 | 1954년 | 대한민국의 배우 |
양혜지 | 1996년 | 대한민국의 배우 |
양익준 | 1975년 | 대한민국의 배우, 영화 감독 |
양진성 | 1988년 | 대한민국의 배우 |
양정아 | 1971년 | 대한민국의 배우 |
양미경 | 1961년 | 대한민국의 배우 |
신민아 (본명: 양민아) | 1984년 |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
양세종 | 1992년 |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
양승필 | 1992년 | 대한민국의 배우 |
양수빈 | 1994년 | 대한민국의 먹방 엔터테이너 |
양영희 | 1964년 | 일본 출생 한국 영화 감독 |
양윤호 | 1966년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
양세형 | 1985년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방송인 |
양세찬 | 1986년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
Eugene Lee Yang|유진 리 양eng | 1986년 | 한국계 미국인 배우, 프로듀서, 작가, 감독, 활동가, 인터넷 유명인 |
3. 3. 4. 문학
- 양귀자 (1955년 출생), 대한민국 작가
3. 4. 군사
이름 | 생몰년 | 주요 활동 및 설명 |
---|---|---|
양규 | ? ~ 1011년 | 고려의 장군으로, 여요전쟁 당시 거란의 침입에 맞서 싸웠다. |
양칠성 | 1919년 ~ 1949년 | 일제강점기에 징용되었다가 탈출하여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에 참여한 한국계 독립운동가. 코마루딘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
양경종 | 1920년 ~ 1992년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 육군, 소련 붉은 군대, 나치 독일 국방군에서 복무한 것으로 알려진 한국인 군인. |
양성숙 | ? ~ ? | 대한민국 육군 장군. |
3. 5. 음악
이름 | 출생 연도 | 주요 활동/소속 |
---|---|---|
양방언 | 1960년 | 작곡가, 편곡가, 음반 프로듀서, 피아니스트 |
양다일 | 1992년 | 가수 |
양희은 | 1952년 | 가수, 싱어송라이터 |
양홍석 | 1994년 | 가수 (펜타곤 멤버) |
양현석 | 1970년 | 음악 기획자 (YG 엔터테인먼트 창립자) |
양지원 | 1988년 | 가수, 배우 (전 스피카, 유니티 멤버) |
양준일 | 1969년 | 한국계 미국인 싱어송라이터 |
양정윤 (예명 지율) | 1991년 | 가수, 배우 (달샤벳 멤버) |
양승호 | 1987년 | 가수 (엠블랙 리더) |
양성원 | - |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첼로 교수 |
양연지 | 1999년 | 가수 (전 앨리스 멤버) |
양요섭 | 1990년 | 가수 (하이라이트 멤버) |
양정인 (예명 아이엔) | 2001년 | 가수 (스트레이 키즈 멤버) |
3. 6. 정치/사회
- 양기탁 (1871년–1938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9대 대통령을 지냈다.
- 양성철 (1939년 출생): 대한민국의 외교관으로,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주미 한국 대사를 역임했다.
3. 7. 스포츠
스포츠 분야에서도 양씨 성을 가진 많은 인물들이 활동하고 있다. 농구, 야구, 체조, 레슬링, 골프, 격투기, 빙상, 탁구 등 다양한 종목에 걸쳐 활약하고 있다.3. 7. 1. 농구
3. 7. 2. 야구
3. 7. 3. 기타
이름 | 출생 연도 | 분야 | 주요 내용 |
---|---|---|---|
양정모 | 1953년 | 레슬링 | 은퇴 선수, 대한민국 최초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양영자 | 1964년 | 탁구 | 프로 탁구 선수, 1988년 올림픽 금메달 획득 |
양준혁 | 1969년 | 야구 | 은퇴 외야수 |
양용은 | 1972년 | 골프 | 프로 골프 선수, 2009년 PGA 챔피언십 우승자 |
양태영 | 1980년 | 기계 체조 | 2004년 올림픽 개인 종합 동메달리스트 |
양동근 | 1981년 | 농구 | 은퇴 선수 |
양태화 | 1982년 | 아이스 댄싱 | 은퇴 선수,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국내 선수권 우승 |
양동이 | 1984년 | 종합격투기 | 선수 |
양희종 | 1984년 | 농구 | 국가대표 선수 |
양현종 | 1988년 | 야구 | 프로 야구 투수 |
양신영 | 1990년 | 쇼트트랙 및 스피드 스케이팅 | 선수 |
양학선 | 1992년 | 기계 체조 | 대한민국 체조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양홍석 | 1997년 | 농구 | 국가대표 선수 |
3. 8. 시각 예술/패션
- 니키 양(1985년 출생): 한국계 애니메이터, 작가, 스토리보드 아티스트, 성우
4. 가상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행정구역(구시군)/성씨·본관별 가구 및 인구
http://kosis.kr/stat[...]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10-23
[2]
웹사이트
양(梁)
https://www.djjunggu[...]
Jokbo Museum
2016-07-13
[3]
서적
Encyclopedia of Regional Culture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6-07-13
[4]
웹인용
양씨중앙종친회
http://www.namiyang.[...]
2020-02-04
[5]
간행물
남원 양씨
한국학중앙연구원
[6]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발해 사회구성
https://encykorea.ak[...]
2020-09-12
[7]
웹사이트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8]
문헌
《고려사》 권26 세가 권제26 원종(元宗) 11년 9월
http://db.history.go[...]
[9]
문헌
《고려사》 권104 열전 권제17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