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여성혐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여성혐오는 여성을 여성이라는 이유로 혐오하는 문화적 태도로, 앨런 G. 존슨에 따르면 성차별적 편견과 남성 중심 사회에서 여성 억압의 기반이 된다. 사전에서는 여성에 대한 증오, 불신 등으로 정의되며, 2012년 맥쿼리 사전은 여성에 대한 확고한 편견까지 포함하여 정의를 확장했다. 코넬 대학교의 케이트 매인은 여성혐오를 남성 지배에 도전하는 여성을 통제하려는 시도로 정의하며, 가부장제를 정당화하는 성차별주의와 구분한다. 여성혐오는 1650년대 영어 단어로 등장했으며, 1970년대 안드레아 드워킨의 저서 출판으로 대중화되었다. 인터넷과 대한민국을 포함한 사회 전반에서 여성혐오적 표현이 나타나며, 페미니즘 이론에서는 여성혐오가 가부장제 사회구조의 원인이자 결과라고 본다. 일부 비판가들은 여성혐오 개념에 대한 다른 시각을 제시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 편견 - 남아선호사상
    남아선호사상은 남아를 여아보다 더 좋아하는 사회적 현상으로, 종교적 교리, 남성 노동력 중시, 가사 노동 가치 절하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며, 일부 국가에서 성비 불균형을 초래하고 대한민국에서는 완화 추세에 있지만 과거 성비 불균형이 사회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성 편견 - 젠더사이드
    젠더사이드는 성별, 성 정체성, 성적 지향 때문에 여성, 소녀 또는 성소수자를 대상으로 하는 살해 또는 폭력 행위로, 젠더 불평등과 혐오에 기인하며, 사회적 인식 개선, 국제 협력, 법적·제도적 개선, 정치적 노력이 요구된다.
  • 여성주의 용어 - 논바이너리
    논바이너리는 남성/여성 이분법적 성별 구분을 넘어선 성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젠더퀴어를 포함한 다양한 젠더 정체성을 아우르며, 성별 중립적 대명사 사용, 사회적 인식 개선, 법적 인정 확대 등을 통해 점차 존중받고 있다.
  • 여성주의 용어 - 빈곤의 여성화
    빈곤의 여성화는 여성의 빈곤이 남성보다 심각하거나 빠르게 증가하는 현상으로, 성차별, 임금 격차, 취업 기회 제한 등 다양한 요인으로 심화되며, 특히 취약 계층 여성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여성혐오
개요
정의여성에 대한 혐오 또는 편견
관련 용어성차별, 남성 우월주의
특징
형태경멸, 차별, 폭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
원인사회적 학습, 권력 불균형, 성 역할 고정관념 등 복합적인 요인
사회적 영향
개인여성의 자존감 저하, 정신 건강 문제, 사회 참여 제한 등
사회 전체성 불평등 심화, 여성 혐오 범죄 발생, 민주주의 후퇴 등
대응
개인적 노력여성 혐오적 발언에 대한 비판, 성 평등 의식 함양
사회적 노력성 평등 교육 강화, 법적 제도 개선, 미디어의 성 역할 고정관념 해소

2. 정의

앨런 G. 존슨(Allan G. Johnson)에 따르면, "여성혐오란 여성을 여성이란 이유로 혐오하는 문화적 태도"이다.[125] 울런공 대학교의 사회학자 마이클 플러드(Michael Flood)는 여성혐오를 여성에 대한 증오(hatred of women)로 정의한다.[126]

사전들은 여성혐오를 ‘여성에 대한 증오(hatred)’, ‘여성에 대한 증오(hatred), 불호(dislike) 혹은 불신(distrust)’이라고 정의한다. 2012년, 《맥쿼리 사전》(''Macquarie Dictionary'')는 여성혐오의 정의를 여성에 대한 증오 뿐만이 아니라 “여성에 대한 확고한 편견”까지를 포함하여 확장하였다.[127] 영어와 미국의 사전들은 여성혐오를 "여성에 대한 증오"[2][3][4] 및 "여성에 대한 증오, 혐오 또는 불신"으로 정의한다.[5]

미국 ''메리엄-웹스터 사전''(Merriam-Webster Dictionary)은 여성에 대한 증오인 여성혐오를 성차별을 의미하는 성차별주의와 구별하며, 성차별주의는 "성별에 따른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조장하는 행동, 조건 또는 태도"를 의미한다.[6]

코넬 대학교의 철학자 케이트 매인(Kate Manne)은 여성혐오를 남성 지배에 도전하는 여성을 통제하고 처벌하려는 시도로 정의한다.[12] 매인은 여성혐오에 대한 전통적인 "여성에 대한 증오" 정의가 너무 단순하다고 생각한다.[13]

'''여성혐오'''는 1650년대 초에 나타난 영어이다. 라틴어의 "misogynia"에서 유래되었다. 그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로 "증오", "혐오"를 의미하는 "μῖσοςgrc(mîsosla)" 와, "여성"을 의미하는 "γυνήgrc(gunḗla)"이다.

반의어로는, "여성이나 여성성에 대한 애호"를 의미하는 "필로지니(philogyny)"와, "남성이나 남성성에 대한 혐오"를 의미하는 "남성혐오(misandry)"가 있다.

3. 역사적 용례

여성혐오는 가부장제와 거의 같은 시기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대략 3천 년에서 5천 년 전 청동기 시대에 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와 같은 주요 일신교들은 가부장적 사회 구조를 유지하고 여성의 지위를 낮추기 위해 여성혐오를 이용했다.[18][13] 특히 기독교 사회에서 여성혐오는 중세 시대에 더욱 심화되었다.[19] 그러나 여성혐오는 일신교를 따르지 않던 로마인, 그리스인, 아마존 분지멜라네시아의 부족 사회에서도 나타났으며, 사실상 거의 모든 인간 문화에서 여성혐오의 증거를 찾아볼 수 있다.[20]

인류학자 데이비드 D. 길모어는 여성혐오가 남성의 양가적인 감정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즉, 남성은 여성에게 생식을 의존하고 여성의 힘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동시에 여성의 사랑과 보살핌을 갈망한다.[21]

안젤라 사이니는 고대 사회에서 많은 여성이 다른 문화에 신부 납치를 당했고, 종종 가족을 살해한 남성과 강제로 결혼해야 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상황은 고대 그리스 등에서 나타난 여성혐오적 의심, 즉 여성들이 언젠가 자신들을 납치한 자들에게 복수할 것이라는 남성들의 불안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22] 사이니는 가부장제와 성 고정관념이 국가와 함께 나타났다고 주장한다.[22]

3. 1. 고대 그리스

잭 할런드(Jack Holland)는 자신의 저서 《여성혐오: 가장 오래된 편견》(''Misogyny: The World's Oldest Prejudice'')에서 고대 세계의 신화 속에서 여성혐오의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헤시오도스는 인간은 여성이 창조되기 전까지 신들과 함께 평화롭고 자율적인 삶을 살았다고 한다. 프로메테우스가 신들에게서 의 비밀을 훔치기로 결심하자 제우스는 분노하여 인류에게 "그들의 즐거움을 위한 악"으로 벌을 내리기로 결심한다. 이 "악"은 최초의 여성인 판도라로, 열지 말라는 항아리(보통 상자로 잘못 묘사됨)를 가지고 있었다. 에피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의 형제)는 그녀의 아름다움에 압도되어 프로메테우스의 경고를 무시하고 그녀와 결혼한다. 판도라는 항아리를 열어보지 않을 수 없었고, 항아리를 열면서 세상에 모든 악—출산, 질병, 노령, 그리고 죽음—을 풀어놓았다.[128]

헬레니즘 시대의 크리시포스(대영 박물관)의 로마 시대 복사본


J.W. 로버츠는 그의 저서 ''소크라테스의 도시: 고대 아테네 입문''에서 비극과 희극보다 더 오래된 그리스 문학의 여성 혐오적 전통이 적어도 헤시오도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한다.[23] 그는 "여성 혐오"라는 용어 자체가 고대 그리스어 단어 ''미소구니아''(μισογυνίαgrc)에서 직접 영어로 유입되었으며, 이 단어는 여러 구절에서 살아남았다고 주장한다.

스토아 철학자인 타르수스의 안티파테르가 쓴 도덕적 논문인 ''결혼에 관하여''(기원전 150년경)에서 더 오래되고, 더 길고, 더 완전한 구절이 발견된다.[24][25] 안티파테르는 결혼이 국가의 기초라고 주장하며, 그것을 신성한(다신교) 칙령에 기초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는 비극 작가인 에우리피데스가 회피하는 종류의 글을 묘사하기 위해 ''미소구니아''를 사용하며, "그의 글에서 여성에 대한 증오를 거부한다"(ἀποθέμενος τὴν ἐν τῷ γράφειν μισογυνίαν)라고 말한다. 그런 다음 그는 이의 예시를 제공하며, 덕 있는 아내의 장점을 칭찬하는 에우리피데스의 사라진 희곡에서 인용한다.[25][26]

틸레만에 따르면, 고대 그리스어 단어의 또 다른 현존하는 사용은 갈렌이 그의 저서 ''히포크라테스의 감정에 관하여''에서 인용한 ''감정에 관하여''의 단편에서 크리시포스에 의해 이루어졌다.[27] 여기에서 ''여성 혐오''는 세 가지 "애착 부재"—여성(''미소구니아''), 포도주(''미소이니아'', μισοινία) 및 인류(''미산트로피아'', μισανθρωπία)—중 첫 번째이다. 크리시포스의 요점은 안티파테르의 요점보다 더 추상적이며, 갈렌은 그 구절을 자신의 의견과 상반되는 의견의 예로 인용한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는 여성에 대한 증오를 일반적으로 인류에 대한 증오, 심지어 포도주에 대한 증오와 함께 묶는다는 것이다. "포도주가 몸과 정신을 모두 강화한다는 것은 당시의 지배적인 의학적 견해였다."[28] 따라서 크리시포스는 그의 동료 스토아 철학자인 안티파테르처럼 여성 혐오를 질병—좋은 것, 즉 싫어하는 것—으로 부정적으로 본다. 고대 작가들에게 철학적으로 논쟁의 여지가 있었던 것은 바로 이러한 상반되거나 교대로 나타나는 감정의 문제였다. 리카르도 살레스는 일반적인 스토아 철학의 견해는 "남자는 여성 숭배와 여성 혐오, 박애주의와 인간 혐오 사이를 오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제안한다.[29]

''여성 혐오자''는 그리스어—''미소구네스''(μισογύνηςgrc)—에서도 발견되는데, ''데이프노소피스타이''와 플루타르코스의 ''대조 열전''에서, 포키온의 역사에서 헤라클레스의 제목으로 사용된다. 그것은 스트라보의 17권 ''지리학'' 중 7권(알렉산드리아에 관한)에서, 그리고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스토바이오스에 의한 메난드로스의 인용문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메난드로스의 희곡의 제목이었으며, 이는 결혼과 관련이 있다.[31][32][33]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라틴어로)가 보고하고 시인 마르쿠스 아틸리우스에게 귀속된 ''미소구노스''(Μισόγυνος) 또는 ''여성 혐오자''라는 비슷한 이름의 그리스 희곡이 있다.[34]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키케로는 그리스 철학자들이 여성 혐오의 원인을 여성 공포증, 즉 여성에 대한 두려움으로 여겼다고 보고한다.[35]

요약하자면, 그리스 문학은 여성을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열등하다고 간주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 혐오를 질병반사회적 행동—으로 간주했는데, 이는 여성의 가치를 아내로서, 그리고 가족을 사회의 기초로서 인식하는 것과 상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2차 문헌에서 널리 언급된다.[25]

뤼시포스의 작품을 복제한 아리스토텔레스 초상, 루브르 박물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이 열등하다고 믿었으며, 여성을 "변형된 남성"이라고 묘사했다.[59][60] 그의 저서 정치학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성별과 관련하여 남성은 본질적으로 우월하고 여성은 열등하며, 남성은 지배자이고 여성은 복종자이다 (1254b13-14).[60]

신시아는 "아리스토텔레스는 남자의 용기는 명령하는 데 있고, 여자의 용기는 복종하는 데 있다고 말한다; '물질은 형상을 갈망하고, 여성은 남성을 갈망하며, 추한 것은 아름다운 것을 갈망한다'고 한다; 여성은 남성보다 이가 적다; 여성은 불완전한 남성이거나 '말하자면, 기형'이라고 한다.[59] 아리스토텔레스는 남성과 여성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자연스럽게 다르다고 믿었다. 그는 여성은 남성보다 "더 짓궂고, 덜 단순하며, 더 충동적이고, 더 동정심이 많으며, 눈물을 더 쉽게 흘리고, 더 질투심이 많고, 더 불평이 많으며, 꾸짖고 때리는 경향이 있으며, 더 낙담하기 쉽고, 희망이 적으며, 수치심이나 자존심이 없고, 말에 더 거짓되며, 더 기만적이며, 기억력이 더 뛰어나고 깨어 있으며, 더 위축되고 행동을 일으키기 더 어렵다"고 주장했다.[61]

3. 2. 종교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의 1896년작 ''판도라''


잭 홀랜드는 그의 저서 ''여성 혐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편견''에서 고대 세계의 신화에 여성 혐오의 증거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헤시오도스는 인간은 여성이 창조되기 전까지 신들과 함께 평화롭고 자율적인 삶을 살았다고 한다. 프로메테우스가 신들에게서 불의 비밀을 훔치기로 결심하자 제우스는 분노하여 인류에게 "그들의 즐거움을 위한 악"으로 벌을 내리기로 결심한다. 이 "악"은 최초의 여성인 판도라로, 열지 말라는 항아리(보통 상자로 잘못 묘사됨)를 가지고 있었다. 에피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의 형제)는 그녀의 아름다움에 압도되어 프로메테우스의 경고를 무시하고 그녀와 결혼한다. 판도라는 항아리를 열어보지 않을 수 없었고, 항아리를 열면서 세상에 모든 악—출산, 질병, 노령, 그리고 죽음—을 풀어놓았다.[41]

컬럼비아 대학교의 베르나르 포르 교수는 저서 『부정의 힘: 불교, 순수함, 젠더』에서 "불교는 역설적으로 흔히 생각하는 것만큼 여성 혐오적이지도, 평등주의적이지도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많은 페미니스트 학자들이 불교의 여성 혐오적(또는 적어도 남성 중심적) 본질을 강조해 왔다"고 언급하며, 불교가 남성 승려를 도덕적으로 고양하는 반면, 승려의 어머니와 아내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브가 13세기 라흐 수도원 교회의 기둥머리 조각상에서 뱀을 타고 있다.


전통과 성경 해석의 차이로 인해 기독교 종파들은 여성에 대한 태도에 대한 믿음이 서로 다르다.

캐더린 M. 로저스는 『골치 아픈 조력자(The Troublesome Helpmate)』에서 기독교가 여성 혐오적이라고 주장하며, 바울 서신에서 여성 혐오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열거한다.

K. K. 루스벤은 『페미니스트 문학 연구: 입문(Feminist Literary Studies: An Introduction)』에서 로저스의 저서를 언급하며, "기독교 여성 혐오의 유산은 여성은 '악마의 문'일 뿐만 아니라 '하수구 위에 지어진 성전'이라고 생각했던 테르툴리아누스와 같은 소위 '교부'들에 의해 굳어졌다"고 주장한다.[131]

일부 기독교 기관들은 여성을 배제한다. 예를 들어, 여성은 그리스의 아토스 산 지역과 가톨릭 교회의 지배적인 계층에서 배제된다. 일부 기독교 신학자들, 예를 들어 존 녹스는 그의 저서 『여성의 괴물 통치에 반대하는 첫 번째 나팔(The First Blast of the Trumpet Against the Monstruous Regiment of Women)』에서 종교적인 이유로 여성이 세속 정부 기관에서 배제되어야 한다고 썼다.

7가지 대죄의 의인화, 중세의 여성 혐오


하지만 일부 다른 학자들은 기독교가 여성 혐오적인 원칙을 포함하지 않거나, 적어도 기독교를 올바르게 해석하면 여성 혐오적인 원칙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주장해 왔다. 풀러 신학교의 성경 학자인 데이비드 M. 숄러는 갈라디아서 3:28("유대인이나 그리스인, 종이나 자유인이 없고, 남자나 여자가 없으니, 너희는 모두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기 때문입니다")이라는 구절이 "교회의 모든 사역에서 여성과 남성을 동등하고 상호적인 파트너로 포함시키는 근본적인 바울 신학적 근거"라고 말했다.[132][133] 리처드 호브는 그의 저서 『그리스도 안의 평등? 갈라디아서 3:28과 젠더 논쟁(Equality in Christ? Galatians 3:28 and the Gender Dispute)』에서 갈라디아서 3:28이 한 사람의 성별이 구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아내가 교회가 그리스도에게 복종하는 것을 모방하고 남편이 교회를 향한 그리스도의 사랑을 모방하는 패턴이 남아 있다"고 주장한다.[134]

임상 심리학자 마가렛 J. 링크는 『여성을 혐오하는 기독교인 남성(Christian Men Who Hate Women)』에서 기독교 문화가 종종 여성 혐오적인 "성경적 복종 이상을 오용"하도록 허용한다고 썼다. 그러나 그녀는 이것이 실제로 기독교 교리에 명시된 "상호 복종의 건강한 관계"의 왜곡이며, 여기에서 "[사랑은] 모든 결정, 행동 및 계획의 지침 원칙으로서 깊고 상호적인 존중에 기초한다"고 주장한다.[135] 마찬가지로, 가톨릭 학자 크리스토퍼 웨스트는 "남성 지배는 하나님의 계획을 위반하며 죄의 구체적인 결과이다"라고 주장한다.[136]

한국 개신교 여성신학자들도 한국 기독교회와 신학이 가부장제 질서에 기초해 발전하면서 여성혐오 등의 폭력에 침묵하고 호의적 폭력을 일으켰다며, 교회 내 여성혐오 문화에 저항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37][138][139]

꾸란의 네 번째 장(또는 ''수라'')은 "여성"(''안니사'')이라고 불린다. 34절은 이슬람교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판의 핵심 구절이다.[51] 이 구절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은혜를 언급한다. 결과적으로 남자는 여성을 보호하고 유지한다. 여성이 불순종할 경우 "훈계하고, 잠자리를 함께 하지 말고, 때려라. 만약 그들이 너희에게 복종한다면, 그들에게 해를 가하지 마라..." 남가주 대학교 교수인 레자 아슬란은 그의 저서 ''신은 없다''에서 꾸란에 대한 해설이 "무슬림 남성만의 독점적인 영역"이었기 때문에 안니사 34절에 "여성 혐오적 해석"이 지속적으로 부착되어 왔다고 적었다.[141]

타지 하쉬미는 그의 저서 ''대중 이슬람과 여성 혐오: 방글라데시의 사례 연구''에서 무슬림 문화와 관련된 여성 혐오에 대해 언급했다.

남성과 여성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는 피해자 가족에 대한 혈액 돈에 반영되었다. 여성의 금전적 손실은 남성의 절반으로 책정되었다.[54]

학자 윌리엄 M. 레이놀즈와 줄리 A. 웨버는 시크교 신앙 전통의 창시자인 구루 나낙이 일부 동시대 인물들과 대조적으로 "여성의 권리를 위해 싸운" "어떤 면에서도 여성 혐오적이지 않은" 인물이었다고 기록했다.[142] 그러나 시크교 남성들의 무의식적인 여성 혐오적 태도가 시크교 내 여성의 권력을 꾸준히 감소시켜 시크교 공동체는 유해한 남성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56]

  • 하인리히 크라머 (1430년 출생, 1505년 사망)

: 15세기 독일도미니코회 수도사이자 이단 심문관이다. 극심한 여성혐오자[118][119]로, 『마녀의 망치』의 저자이다. 남성에 비해 여성이 얼마나 악마와 결탁하기 쉬운지를 집요하게 설파하는 이 책은, 당시 요하네스 구텐베르크활판 인쇄 기술의 등장으로 유럽 전역에 널리 퍼졌고, 이후 200년 동안 계속해서 팔렸다. 야마다 고로는 "크라머가 여성을 적대시한 것은 과거에 제기했던 억지 소송에서 패소한 것에 기인한 사적인 원한이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이 책이 널리 보급된 결과, 중세에는 이단자를 대상으로 하여 남녀의 성별을 구분하지 않던 마녀사냥의 희생자가 눈에 띄게 여성 편향으로 변화해갔다.

  • 한스 발둥 그린 (1484년/1485년 출생, 1545년 사망)

: 르네상스 시대 독일의 화가이자 목판화가이다. 통칭인 "Grien/Grün(그린)"은 독일어로 "마녀"를 의미하는 grienhalsde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며, 그 이름처럼 마녀를 주제로 한 유화와 목판화를 많이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세부터 이어진 마녀사냥의 표적이 여성 편향으로 기울어진 15세기에, 화가가 그림에 담은 설득력은 불에 기름을 붓는 역할을 했고[120], 많은 여성혐오자를 낳았다.[121].

3. 3. 17세기부터 20세기 서양 철학자들

데카르트, 홉스, 로크, , 루소, 헤겔, 쇼펜하우어, 니체, 프로이트, 바이닝거, 스펭글러, 루커스 등 수많은 서구의 저명한 철학자들이 여성혐오자라는 비난을 받아 왔다.[145]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이 열등하다고 믿었으며, 여성을 "변형된 남성"이라고 묘사했다.[59][60] 그의 저서 정치학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성별과 관련하여 남성은 본질적으로 우월하고 여성은 열등하며, 남성은 지배자이고 여성은 복종자이다 (1254b13-14).[60]

신시아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남자의 용기는 명령하는 데 있고, 여자의 용기는 복종하는 데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또한 '물질은 형상을 갈망하고, 여성은 남성을 갈망하며, 추한 것은 아름다운 것을 갈망한다'고 하며, 여성은 남성보다 이가 적고 불완전한 남성이거나 '말하자면, 기형'이라고 한다.[59] 아리스토텔레스는 남성과 여성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자연스럽게 다르다고 믿었다. 그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짓궂고, 덜 단순하며, 더 충동적이고, 더 동정심이 많으며, 눈물을 더 쉽게 흘리고, 더 질투심이 많고, 더 불평이 많으며, 꾸짖고 때리는 경향이 있으며, 더 낙담하기 쉽고, 희망이 적으며, 수치심이나 자존심이 없고, 말에 더 거짓되며, 더 기만적이며, 기억력이 더 뛰어나고 깨어 있으며, 더 위축되고 행동을 일으키기 더 어렵다"고 주장했다.[61]

장 자크 루소는 여성의 평등한 권리에 반대하는 견해로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그의 논문인 ''에밀''에서 그는 "여자아이에게 부과하는 부담은 항상 정당화하되, 어쨌든 부과하라... . 어린 나이부터 그들을 좌절시켜야 한다... . 그들은 제약을 받도록 훈련받아야 하며, 다른 사람의 의지에 복종하기 위해 모든 환상을 억누르는 데 아무런 어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라고 적고 있다. 다른 인용구로는 "집 안에 갇혀", "아버지와 남편의 결정을 교회의 결정처럼 받아들여야 한다" 등이 있다.[62]

칼 바우어의 쇼펜하우어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그의 에세이 "여성에 대하여"(Über die Weiber)를 바탕으로 철학자, 비평가, 작가 톰 그림우드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에게 여성혐오자로 지목받았다.[63] 2008년 철학 저널 ''크리틱''에 게재된 논문에서 그림우드는 쇼펜하우어의 여성혐오적 저작들이 니체와 같은 다른 철학자들의 저작보다 더 두드러짐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주목받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쇼펜하우어가 여성은 "현재에 사는" "동물"과 비교될 정도로 "빈약한" 이성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 저작들을 언급했다. 또한 여성이 자연에서 하는 유일한 역할은 출산을 통해 종을 번식시키는 것이며, 따라서 남성을 유혹하고 "사로잡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쇼펜하우어의 주장을 언급했다.[63] 그는 이어 여성의 쾌활함은 혼란스럽고 파괴적이므로, 이성을 가진 사람에게 복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여성이 자신의 이성적 지배자를 벗어나 활동하는 것은 남성뿐만 아니라 다른 여성에게도 위협이 된다고 그는 언급한다. 쇼펜하우어는 또한 여성의 쾌활함이 도덕성의 결여와 예술과 같은 추상적이거나 객관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없음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63] 이 주장은 "여성은 순수 예술 분야에서 진정으로 위대하고 독창적인 업적을 단 한 번도 만들어낸 적이 없으며, 세상에 영구적인 가치를 지닌 작품을 가져온 적도 없다"는 그의 인용문으로 이어진다.[63]

쇼펜하우어는 여성 문제에 대한 소위 "튜턴-기독교적 어리석음"을 비난했다. 그는 여성이 "본질적으로 복종하도록 되어 있으며", "유치하고, 경박하며, 근시안적"이라고 주장했다.[57] 그는 또한 여성이 진정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64]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그의 저서 ''선악의 저편''에서 여성에 대한 더 엄격한 통제가 "모든 문화의 고양"의 조건이라고 진술했다.[65] 그는 또한 그의 저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한 여성 등장인물을 통해 "너는 여자에게 가려는가? 채찍을 잊지 말라!"고 말하게 했다.[66] ''우상의 황혼''에서 니체는 "여성은 심오하다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우리는 그들의 깊이를 결코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성은 얕지도 않다."라고 썼다.[67] 이것이 여성 혐오에 해당하는지, 여성에 대한 그의 논쟁이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져야 하는지, 그리고 여성에 대한 그의 정확한 견해의 본질에 대한 논란이 있다.[68]

헤겔의 여성관은 여성혐오적이라고 특징지어졌다.[69] 헤겔의 ''법철학'' 구절은 이러한 비판을 잘 보여준다:[70]

4. 인터넷에서의 여성혐오

여성혐오적 수사는 온라인상에 만연해 있으며, 그 수사는 점점 더 공격적으로 변하고 있다.[74][75] 성폭력에 관한 공적 논의는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페이스북과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들의 정책적인 개입과 더 나은 반응을 요구하는 쪽으로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공격 목표는 공적 영역에서 가시화된 여성, 그들이 받는 위협에 대해 발언하는 여성, 페미니즘이나 페미니스트의 이익과 관련있다고 간주되는 여성들이다. 여성혐오적 메시지 작성자들은 종종 익명이거나 식별하기 어렵다. 그들의 수사는 여성혐오적인 욕설, 선정적이거나 성적인 이미지를 포함하고, 여성의 육체적 외양에 집중하며, 공격 대상이 된 여성에게 성폭력을 가하는 것을 교정 수단으로 제시한다. 발언하는 유명 여성에 대한 여성혐오적 공격의 예로는 애니타 사키시안(Anita Sarkeesian), 로리 페니(Laurie Penny), 캐롤라인 크리아도 페레즈(Caroline Criado-Perez), 스텔라 크리시(Stella Creasy), 린디 웨스트(Lindy West)가 있다.[74]

애니타 사키시안(Anita Sarkeesian)은 페미니즘 활동으로 인해 조직적인 여성혐오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공격 대상이 된 다양한 여성들을 향한 모욕과 위협은 매우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온라인 협박의 대상이었던 주드 도일은 남용의 “극도로 비인격적이며 반복적이며 고정관념화된 특성”을 언급하며, “우리 모두가 같은 어조로 같은 것으로 불리고 있다"고 한 바 있다.[74]

이러한 공격은 항상 온라인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스왓팅은 게이머게이트 공격을 현실 세계로 가져오는 데 사용되었다.[80]

영국 의회에서 실시하는 '인터넷 되찾기' 캠페인의 일환으로 씽크탱크 데모스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상에 올라온 여성혐오 발언의 절반은 같은 여성으로부터 나온다고 한다.[151] 데모스의 2016년 연구에 따르면, "창녀" 또는 "걸레"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트위터 메시지의 대다수는 포르노 광고였다. 그렇지 않은 메시지 중 대다수는 음란물 낙인에 대한 논의와 같이 비공격적인 방식으로 해당 용어를 사용했다. "창녀" 또는 "걸레"라는 용어를 공격적이고 모욕적인 방식으로 사용한 경우, 약 절반은 여성, 절반은 남성이었다. 공격적인 모욕으로 여성 트위터 사용자가 가장 자주 표적으로 삼은 사람은 비욘세 놀스와 같은 유명인이었다.[81]

뉴 미디어 & 사회 저널에 게재된 2020년 연구는 인터넷상의 언어가 온라인 여성 혐오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논의한다. 저자들은 특히 ''어반 딕셔너리''를 비판하며, 이 사전의 정의에 사용된 언어가 단순히 협업 사전이기보다는 여성 혐오적이고 반페미니즘적이라고 주장한다.[82]

전산 언어학회 회의에서 발표된 2021년 연구에 따르면, 온라인 여성 혐오는 다양한 맥락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스페인 온라인 토론에서는 지배적인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 이탈리아 여성 혐오는 고정관념과 대상화가 다수를 차지한다. 영어 온라인 여성 혐오는 여성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덴마크 토론에서는 주로 신성차별주의가 표현된다.[76]

인셀, 즉 자의적 독신주의자들은 이성 관계를 맺을 수 없다고 믿는 남성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이다. 이들은 여성들이 외모만을 기준으로 파트너를 선택하며, 자신들은 매력이 없기 때문에 영원히 혼자일 것이라고 믿는 공통적인 신념을 공유한다.[83] 이러한 자기 인식 때문에 인셀들은 여성을 혐오하며, 남성이 체계적으로 차별받는다고 믿는다. 인셀들은 여성에 대한 사이버 혐오, 차별, 여성 혐오 네트워크에 전념하는 남성 중심 웹사이트를 대규모로 운영한다.[84] 인셀 형태의 여성 혐오에서는 모든 여성이 차별받지만, 유색 인종 여성은 성차별과 인종차별로 이중으로 폄하된다. 인셀들은 성차별, 인종차별, 대량 폭력을 지지하고 참여한다.[85] 그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뿐만 아니라 2014년 아일라 비스타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이 다른 인셀 폭력 행위를 촉발한 살인 행각으로 여성 혐오를 옮겨간다.[86] 인셀의 존재와 수사는 온라인 여성 혐오의 좋은 예시이다.

앤드류 앵글린은 백인 우월주의 웹사이트 ''더 데일리 스토머''를 통해 여성 혐오 음모론을 퍼뜨리며, 정치적으로 활동하는 "[서구] 세계의 백인 여성"이 "그들의 타락한 성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흑인과 아랍 남성을 끊임없이 공급"하기 위해 자유주의적 이민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87] 2018년 7월 앵글린은 자신의 여성 혐오적 견해를 요약하며 "얘들아, 난 여자가 싫어. 그들은 맞고, 강간당하고, 감옥에 갇혀야 해."라고 썼다.[88] 미소지노이어라는 용어는 인종과 성별에 따른 편견이 교차성을 이루며 흑인 여성에게 향하는 여성 혐오를 설명한다.

종종 힙합 등의 분야가 심한 호모포비아 경향과 함께 여성혐오를 강하게 띠며, 공격적인 슬랭으로 여성을 조롱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미국힙합MC인 에미넴2000년에 발매한 음악 "The Real Slim Shady"에서, 동성애의 권리 단체 GLAAD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17]

5. 대한민국에서의 여성혐오

2010년대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여성혐오가 관찰되고 있으며,[152][153][154][155][156] 반여성주의를 표방하는 경우가 많다.[157] 특히 일간 베스트의 '전략적 여성혐오'[158] 이후 온라인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여성혐오 표현이 사회로 번지고 있으며,[159][160] 김치녀 레토릭이 그대로 담긴 노래가 나오기에 이르렀다.[161]

2016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남성의 삶에 관한 기초연구(Ⅱ)’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남성 54%가 김치녀와 같은 여성혐오 표현에 '공감한다'고 응답했으며, 인터넷에 여성혐오 댓글을 쓰는 사람은 남성 청소년과 대학생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162] 특히 여성혐오성 댓글을 단 사람들 중 남성 청소년(27.9%)이 대학생(23.1%) 및 무직 남성(24.2%)보다 많았는데, 경기도교육연구원이 2015년에 진행한 ‘중고등학생의 맹목적 극단주의 성향에 대한 연구: 일베 현상을 중심으로’를 보면 고교생 683명 대상 설문조사에서 92.5%가 일베를 ‘알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일베에 대한 평가도 ‘어느 정도 맞는 내용’이라는 응답이 열 명 중 한 명꼴(10.2%)이었을 정도로 여성혐오가 "일종의 ‘또래문화’"로 정착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타났다.[163] 이듬해인 2017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여성위원회가 유치원과 초·중·고교 교사 636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10명 가운데 6명가량은 학교에서 '여성혐오' 표현을 듣거나 접해봤"고, 그중 관리자나 남학생에게서 여성혐오 표현을 경험했다는 응답자는 각각 180명(45.0%)[164], 성희롱 피해를 입었다는 초등학교 교사 중 학생으로부터 당했다는 응답자가 19.1%[165]로 나타났다. 현장 교사들은 "학교에서는 거기에 대항할 문화가 있어야 하는데, 전혀 없는 상황"이라며 고충을 토로했다.[166][167][168] 이러한 여성혐오는 집단적인 언어적, 신체적 폭력으로 심화됐고, 특히 여성 학생들이 집중적 타겟이 됐다.[169][170] 2018년 4월 민우회가 한국 사회 백래시 사례 수집 조사에 나선 결과, 55%의 사례가 학교에서 겪은 일들이었다.[171]

2019년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단이 서울시민 3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7%인 322명이 온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을 사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고, 13.4%인 402명은 오프라인에서 여성혐오 표현을 쓴 적이 있다고 밝혔다.[172] 2020년 대전여성가족정책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20대 여성 중 98%가 여성혐오 표현을 경험했다고 한다.[173]

일간 베스트에 반대한다고 말하면서 오히려 그것을 면죄부삼아 더욱 적극적으로 여성혐오를 일삼는 것도 흔한 양상으로, 이런 여성혐오를 표출하는 사이트로 나무위키 등과 같은 사이트가 거론된다.[174][175][176][177][178] 이는 이후 나무위키 이퀄리즘 날조 사건에서 드러났듯[179][180][181][182], 젠더 이퀄리즘이라는 이름의 진화된 혐오 담론으로 나타났다. "즉 오늘날 안티-페미니즘과 반(反)-다문화주의는 혐오와 차별에 반대하고 평등을 지향한다."[183]

언론 비평사들은 방송사의 예능 프로그램[184] 및 언론사 보도들의 여성 혐오적 측면[185][186]들도 지적하고 있다. 또한 힙합문화 씬에서의 여성혐오에 대한 연구[187], 게임계 여성혐오에 대한 비판[188] 등이 이어지고 있다.

한편 여성혐오가 원인으로 발생한[189][190][191] 여성혐오범죄로 2016년 발생한 강남역 화장실 살인사건이 있으며, 이 사건 이후 페미니즘 논의가 급부상하면서 여성혐오는 2016년 누리미디어 DBpia에서 선정한 사회과학분야 최다 검색 키워드로 선정됐다.[192]

2017년 정현백 장관은 "여성혐오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건 더 이상 여가부의 역할이 아니다"라며 정부 차원의 여성혐오 대응 TF를 만들 것을 예고했다.[193]

2021년 발표된 김창환, 오병돈의 논문에 따르면, 한국에서 대졸 직후, 경력단절 이전의 성별 소득 격차의 1/3~1/4은 여성에 대한 편견("prejudice against women")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 부분은 통계적 차별이 아니라 선호기반차별에 해당된다.[194]

6. 페미니즘 이론

사회학자 앨런 G. 존슨(Allan G. Johnson)은 여성혐오를 "여성을 여성이란 이유로 혐오하는 문화적 태도"라고 정의했다.[125] 울런공 대학교의 사회학자 마이클 플러드(Michael Flood)는 여성혐오를 여성에 대한 증오(hatred of women)라고 정의하며, 여성혐오는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 자신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한다.[126]

20세기 후반, 2세대 여성주의 이론가들은 여성혐오가 가부장제적 사회구조의 원인이자 결과라고 주장했다.

어떤 페미니즘 모델 지지자는 여성혐오가 여성을 ‘엄마’ 혹은 ‘창녀’ 이외의 것으로는 보지 못하는 성녀-창녀 콤플렉스(Madonna–whore complex)로부터 기인한다고 주장한다.[195] 또 다른 모델은 여성혐오의 원인은 ‘처녀/창녀’의 양분법으로 사고하는 어떤 남자들이라고 주장한다.[195]

페미니스트 이론가 매럴린 프라이(Marilyn Frye)는 여성혐오의 뿌리가 남근중심성동성애에 있다고 한다.[196]

많은 페미니스트들은 "착한" 여성과 "나쁜" 여성의 개념이 여성을 통제하기 위해 강요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헬렌 루이스는 "여성 행동을 서로에 대한 반대 개념으로 정의하여 규제하는 오랜 전통"을 여성혐오의 구조로 규정한다.[92]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성모-창녀 이분법''은 여성을 착하고 정숙한 존재 또는 나쁘고 문란한 존재로 인식하는 것이다. 페미니스트 관점에 따르면, 이러한 이분법에 대한 믿음은 여성의 행동을 감시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것처럼 보여 여성혐오로 이어진다.[9] 작가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는 여성이 (#미투 운동에서처럼) 성희롱이나 폭행을 당했다고 묘사할 때, 그들이 "착한" 여성, 즉 비성적이고 어쩌면 무력한 존재일 경우에만 동정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여겨진다고 지적한다.[93]

안드레아 드워킨


안드레아 드워킨은 1974년 저서 ''여성 혐오''에서 전통적인 동화를 사용하여 여성혐오를 설명한다. 동화는 특정 여성을 "착한" 여성, 예를 들어 움직임이 없고 수동적인 인물인 잠자는 숲속의 공주와 백설 공주로 지정한다. 반면에 동화를 채우는 "악한" 여성들은 여왕, 마녀 및 권력을 가진 다른 여성들이다. 드워킨에게 이것은 여성혐오 하에서 무력한 여성만이 착하다고 여겨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94] 드워킨은 저서 ''우익 여성''에서 여성혐오주의자들이 여성이 권력을 사용하여 남성의 권력을 강화하고 페미니즘에 반대하는 경우에 한해 강력한 여성을 용인한다고 덧붙인다.[95]

철학자 케이트 맨은 현대 페미니스트들이 사용하는 "여성혐오"라는 단어가 여성에 대한 일반적인 혐오가 아니라, 대신 착한 여성과 나쁜 여성을 구별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맨은 여성혐오는 이러한 판단에 따라 여성을 보상하거나 처벌하는 경찰력과 같다고 썼다.[13]

경제학자 데니즈 칸디요티(Deniz Kandiyoti)는 식민주의가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의 정복된 남성 군대를 여성에 대한 완전한 권력을 제공함으로써 통제했다고 썼다. 그녀는 이것을 "가부장적 타협"이라고 부른다.[97]

줄리아 세라노는 여성혐오를 단순히 여성에 대한 혐오 그 자체뿐만 아니라 "여성성 및 여성스러움을 무시하고 조롱하는 경향"으로 정의한다.[98] 세라노의 저서 ''채찍 맞는 소녀''(Whipping Girl)는 트랜스여성에게 가해지는 대부분의 반(反)트랜스 감정이 여성혐오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99]

장레옹 제롬(Jean-Léon Gérôme),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아'', c. 1890


퀴니피액 대학교의 트레이시 M. 홀스테드는 문화가 남성적으로 여겨지는 특성을 보상하고 여성적으로 보이는 특성을 평가절하한다고 말한다. 소년과 남성은 어릴 때부터 여성적인 것과 거리를 둠으로써 강인해 보이도록 "남자다워지라"는 말을 듣는다. 소년들은 감정적이고 의존적이거나 취약하게 보이는 것이 수치스럽다는 것을 배운다. 이런 식으로 자란 남성은 여성성을 거부하고 심지어 혐오하게 될 수도 있다.[100]

7. 개념에 대한 비판

커밀 팔리아는 스스로를 다른 학문적인 페미니스트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반체제 페미니스트라고 소개한다. 그녀는 2세대 페미니스트 주류에서 만연해 있는 마르크스주의에서 영향을 받은 여성혐오에 대한 이해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반대로, 남성은 여성을 증오한 것이 아니라 두려워한다고 하며, 이를 드러내는 역사적 텍스트에 대한 꼼꼼한 독해를 강조한다.[198] Christian Groes-Green은 여성혐오가 이것의 반대인 여성 숭배(Philogyny|필로기니영어)와의 관계에서 보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래윈 코넬의 남성성 패권 이론을 비판하며, 그는 여성숭배적인 남성성이 모잠비크의 수도 마푸토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발되고 있음을 지적한다.[199]

참조

[1] 웹사이트 MISOGYNY {{!}} Meaning & Definition for UK English {{!}} Lexico.com https://web.archive.[...]
[2] 서적 The New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n Historical Principles. Two Volumes Complete Oxford University Press 1993-01-01
[3]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Dell 2012-06-26
[4] 서적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Unabridged Merriam-Webster, Inc. 1993-01-01
[5] 서적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Random House 1997-10-07
[6] 웹사이트 Definition of MISOGYNY https://www.merriam-[...] 2023-08-11
[7] 뉴스 Transcript of Julia Gillard's speech http://www.smh.com.a[...] 2012-10-09
[8] 뉴스 Macquarie Dictionary has last word on misogyny https://web.archive.[...] 2012-10-17
[9] 논문 The Madonna-Whore Dichotomy Is Associated With Patriarchy Endorsement: Evidence From Israel,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2019-05-02
[10]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sociology: A user's guide to sociological language https://books.google[...] Wiley
[11]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men and masculin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7-18
[12] 웹사이트 What we get wrong about misogyny https://www.vox.com/[...] 2020-03-07
[13] 서적 Down Girl: The Logic of Misogy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14] 웹사이트 Definition of "misogyny" https://www.dictiona[...]
[15]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n and Masculinities Routledge 2007
[16] 간행물 The SAGE Encyclopedia of Psychology and Gender
[17] 서적 Nevertheless, They Persisted: Feminisms and Continued Resistance in the U.S. Women's Movement Taylor & Francis
[18] 논문 Monotheism: Its Influence on Patriarchy and Misogyny https://psychohistor[...] 2015
[19] 서적 Misogyny, Misandry, and Misanthrop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20] 문서 Gilmore 2001, pp. 17–35
[21] 서적 Misogyny: The Male Malad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1
[22] 서적 The Patriarchs: The Origins of Inequality Beacon Press
[23] 서적 City of Sokrates: An Introduction to Classical Athe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6-01
[24] 문서 The ''[[editio princeps]]'' is on page 255 of volume three of ''[[Stoicorum Veterum Fragmenta]]'' (''SVF'', Old Stoic Fragments), see [[#External links|External links]].
[25] 웹사이트 A recent critical text with translation is in Appendix A to Will Deming, ''Paul on Marriage and Celibacy: The Hellenistic Background of 1 Corinthians 7'', pp. 221–226. https://books.google[...] 2023-05-25
[26] 문서 38-43, fr. 63, in von Arnim, J. (ed.). Stoicorum Veterum Fragmenta. Vol. 3. Leipzig: Teubner, 1903.
[27] 문서 SVF 3:103. Misogyny is the first word on the page.
[28] 서적 Chrysippus' on Affections: Re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s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023-05-25
[29] 문서 Ricardo Salles, Metaphysics, Soul, and Ethics in Ancient Thought: Themes from the Work of Richard Sorabji, (Oxford: Clarendon Press, 2005), 485.
[30] 서적 Routledge philosophy guidebook to Plato and the Republ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9
[31] 문서 Henry George Liddell and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LSJ), revised and augmented by Henry Stuart Jones and Roderick McKenzie, (Oxford: Clarendon Press, 1940).
[32] 문서 Strabo,Geography, Book 7 [Alexandria] Chapter 3.
[33] 서적 Menander, The Plays and Fragmen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5-25
[34] 문서 He is supported (or followed) by Theognostus the Grammarian's 9th century Canones, edited by John Antony Cramer, Anecdota Graeca e codd. manuscriptis bibliothecarum Oxoniensium, vol. 2, (Oxford University Press, 1835), p. 88.
[35] 문서 Marcus Tullius Cicero, Tusculanae Quaestiones, Book 4, Chapter 11.
[36] 백과사전 misogynist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7-17
[37] 뉴스 What Does Misogyny Look Like? https://www.nytimes.[...] 2019-03-08
[38] 간행물 Ladylike: Julia Gillard's Misogyny Speech https://www.newyorke[...] 2012-10-09
[39] 뉴스 How the poor are shunted into deeper poverty just for political capital https://www.smh.com.[...] 2018-05-31
[40] 뉴스 Dictionary changes 'misogyny' definition after Australian PM's furious attack on conservative leader https://nationalpost[...] Reuters 2012-10-17
[41] 서적 Misogyny: The World's Oldest Prejudice Avalon Publishing Group 2006
[42] 웹사이트 Sample Chapter for Faure, B.: The Power of Denial: Buddhism, Purity, and Gender https://web.archive.[...] Press.princeton.edu 2013-10-01
[43] 서적 The Troublesome Helpmate: A History of Misogyny in Literature 1966
[44] 서적 Feminist literary studies: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웹사이트 Galatians 3:28 – prooftext or context? https://web.archive.[...] The council on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2015-01-06
[46] 서적 Equality in Christ? Galatians 3:28 and the Gender Dispute Crossway
[47] 성경 The Holy Bible
[48] 서적 Marriage and family in the biblical world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20-10-19
[49] 서적 Christian Men Who Hate Women: Healing Hurting Relationships Zondervan
[50] 서적 Theology of the body explained : a commentary on John Paul II's "Gospel of the body" Gracewing
[51] Webarchive Constructing the Notion of Male Superiority over Women in Islam http://www.wluml.org[...] Empowerment International 1999
[52] 뉴스 Clothes Aren't the Issue https://www.washingt[...] 2017-10-31
[53] Webarchive Popular Islam and Misogyny: A Case Study of Bangladesh http://www.mukto-mon[...] 2008-08-11
[54] 문서 2 The Cow al-Baqarah Study Quran
[55] 서적 Expanding curriculum theory: dis/positions and lines of flight Psychology Press
[56] 학술지 Reintegrating the Feminine Voice Inherent in Sikh Scripture https://www.fsrinc.o[...] 2022-12-17
[57] 서적 Misogyny in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A Reader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9
[58] Citation Feminist History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08-21
[59] 서적 Feminist History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6-02-10
[60] 학술지 Plato and Aristotle on the Nature of Women https://www.research[...] 2016-02-10
[61] 문서 History of Animals
[62] 학술지 Rousseau and Feminist Revision
[63] 학술지 The Limits of Misogyny: Schopenhauer, "On Women" http://philpapers.or[...] 2016-02-16
[64] 서적 The Story of Philosophy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983
[65] 서적 Beyond Good and Evil http://www.gutenberg[...] 2014-01-23
[66] 서적 Nietzsche and the Feminin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994-05
[67] 서적 Twilight of the Idols http://www.handprint[...] 2014-01-23
[68] 문서 Nietzsche and The Women's Question https://web.archive.[...]
[69] 서적 Hegel, history, and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20-10-19
[70] 서적 Feminist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Philosophy https://books.google[...] Springer
[71] 서적 Femicide: The Politics of Woman Killing https://books.google[...] Twayne 1992
[72] 간행물 Male Supremacist Terrorism as a Rising Threat https://icct.nl/publ[...] The Hague 2020-07-23
[73] 뉴스 A Common Trait Among Mass Killers: Hatred Toward Women https://www.nytimes.[...] 2020-07-23
[74] 간행물 "'Back to the kitchen, cunt': speaking the unspeakable about online misogyny"
[75] 간행물 Blogging While Female: How Internet Misogyny Parallels Real-World Harassment https://digitalcommo[...] 2020-07-19
[76] 간행물 Annotating Online Misogyny http://www.derczynsk[...] 2021-07-02
[77] 간행물 Neosexism: Plus Ca Change, Plus C'est Pareil. 1995
[78] 서적 Mediating Misogyny Palgrave Macmillan 2018-02-14
[79] 간행물 Online Misogyny: A Challenge for Digital Feminism? 2019
[80] 뉴스 "'About 20' police officers sent to Gamergate critic's former home after fake hostage threat" https://www.theverge[...] 2020-08-04
[81] 웹사이트 The use of misogynistic terms on Twitter https://demosuk.wpen[...] 2020-05-28
[82] 간행물 Neologising misogyny: Urban Dictionary's folksonomies of sexual abuse http://dx.doi.org/10[...] 2020-11-19
[83] 간행물 Weaponized Subordination: How Incels Discredit Themselves to Degrade Women 2022-12
[84] 간행물 Men who hate women: The misogyny of involuntarily celibate men 2023-06-06
[85] 간행물 From "Incel" to "Saint": Analyzing the violent worldview behind the 2018 Toronto attack https://www.tandfonl[...] 2023-10-15
[86] 간행물 "'If i cannot have it, i will do everything i can to destroy it.' the canonization of Elliot Rodger: 'Incel' masculinities, secular sainthood, and justifications of ideological violence" https://www.tandfonl[...] 2023-10-15
[87] 뉴스 The 'alt-right' is fuelled by toxic masculinity — and vice versa https://www.nbcnews.[...] NBC News 2020-11-05
[88] 웹사이트 Mapping the Male Supremacy Movement: The Alt-Right's Woman Problem https://msmagazine.c[...] 2020-10-27
[89] 문서 Szymanski, Gupta, and Carr. 2009. "Internalised Misogyny as a Moderator of the Link between Sexist Events and Women's Psychological Distress." Sex Roles 16, no. 1-2: 101–109.
[90] 간행물 Misogyny, feminism, and sexual harassment 2017
[91] 간행물 Beneath Contempt: The Mistreatment of Non-Traditional/Gender Atypical Boys 2008-10-11
[92] 잡지 Meghan, Kate, and the Architecture of Misogyny https://www.theatlan[...] 2020-07-14
[93] 잡지 Chimamanda Ngozi Adichie: The novelist on being a "feminist icon," Philip Roth's humanist misogyny, and the sadness in Melania Trump. https://www.vulture.[...] Vox Media 2020-07-15
[94] 서적 Woman Hating https://www.feminist[...] Penguin Group 2020-07-14
[95] 서적 Right-Wing Women https://archive.org/[...] Perigee Books 1983
[96] 문서 E.g., Kate Millet's Sexual Politics, adapted from her doctoral dissertation is normally cited as the originator of this viewpoint; though Katharine M Rogers had also published similar ideas previously.
[97] 잡지 The Real Roots of Sexism in the Middle East (It's Not Islam, Race, or 'Hate') https://www.theatlan[...] 2020-07-14
[98] 잡지 Can Men Really Be Feminists? https://www.theatlan[...] 2020-07-14
[99] 서적 Whipping Girl Seal Press 2007
[100] 서적 Pygmalion's Chisel: For Women Who Are "Never Good Enough"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3-03-19
[101] 서적 Mythology https://4.files.edl.[...] Tridibesh Basu 2021-06-13
[102] 웹사이트 Aggravating and mitigating factors https://www.sentenci[...] Sentencing Council 2018-11-02
[103] 뉴스 UK police chiefs urged to adopt harassment of women as hate crime https://www.theguard[...] 2018-11-02
[104] 뉴스 Misogyny hate crime in Nottinghamshire gives 'shocking' results https://www.bbc.co.u[...] 2018-11-02
[105] 뉴스 Misogyny could become hate crime as legal review is announced https://www.bbc.co.u[...] 2018-11-02
[106] 뉴스 Review of UK hate crime law to consider misogyny and ageism https://www.theguard[...] 2018-10-16
[107] 뉴스 Met chief Cressida Dick backs senior police officer Sara Thornton on tackling burglars and violence ahead of hate crimes https://www.standard[...] 2018-11-02
[108] 뉴스 Focus on violent crime not misogyny, says police chief https://www.bbc.co.u[...] 2018-11-01
[109] 웹사이트 Reforms to hate crime laws to make them fairer, and to protect women for the first time https://www.lawcom.g[...] 2020-09-23
[110] 뉴스 Misogyny: Women 'should be protected' under hate crime laws https://www.bbc.co.u[...] 2020-09-23
[111] 웹사이트 Tory peers to defy Boris Johnson with push to make misogyny a hate crime https://www.theguard[...] 2021-10-08
[112] 서적 "Marxist feminists reduced the historical cult of woman's virginity to her property value, her worth on the male marriage market." 1991
[113] 서적 Sexual Personae NY: Vintage 1991
[114] 논문 Philogynous Masculinities: Contextualising Alternative Manhood in Mozambique 2011
[115] 뉴스 "女たちが国を滅ぼした」――韓国のデモに紛れ込む「女性嫌悪(ミソジニー)」の危険度 http://www.newsweekj[...] CCCメディアハウス 2016-12-12
[116] 웹사이트 立教大学ジェンダーフォーラム主催2019年度公開講演会 「ミソジニーとは何か?」 https://www.rikkyo.a[...] 立教大学
[117] 웹사이트 Eminem's Hate Lyrics. http://www.glaad.org[...] GLAAD 2007-06-31
[118] 서적 20220708
[119] 웹사이트 "'Where there are many women there are many witches': The Social and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Femininity in the Malleus Maleficarum (1486)" https://warwick.ac.u[...] 워릭大学
[120] 웹사이트 Women and Death, Monsters and Menstruation in Hans Baldung Grien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121] 문서 なお、魔女を数多く描いた画家はほかにもいるが、例えば[[ルイス・リカルド・ファレーロ]] (1851 - 1896) は、[[神話]]を画題にする以外で[[裸]]の女を批判されることなく描ける時代が来たからそこに全振りしたのであり、また、『[[魔法円 (美術)|魔法円]]』のように魔女か[[魔法使い]]の女性を何点も描いている[[ジョン・ウィリアム・ウォーターハウス]] (1849 - 1917) なども、悩ましき[[魅力]]で男性を翻弄し、破滅へと導く「[[ファム・ファタール]](約束されし魔性の女)」を表現しているのであって、女性嫌悪とは異なる感性による。
[122] 웹인용 Definition of misogyny https://www.lexico.c[...]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0-26
[123] 서적 Encyclopedia of Feminist Theories https://archive.org/[...] 2000
[124] 서적 Misogyny in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A Reader https://archive.org/[...] 1999
[125] 논문 The Blackwell dictionary of sociology: A user's guide to sociological language https://books.google[...]
[126]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n and masculinities http://books.google.[...] 2007-07-18
[127] 서적 Macquarie Dictionary has last word on misogyny 2012-10-17
[128] 서적 Misogyny: The World's Oldest Prejudice http://books.google.[...] 2006
[129] 서적 The Power of Denial: Buddhism, Purity, and Gender http://press.princet[...] 2013-10-01
[130] 서적 The Troublesome Helpmate: A History of Misogyny in Literature 1968
[131] 서적 Feminist literary studies: An introduction 1990-09
[132] 논문 Galatians 3:28 – prooftext or context?
[133] 서적 Equality in Christ? Galatians 3:28 and the Gender Dispute https://archive.org/[...] 1999
[134] 서적 Marriage and family in the biblical world 2003-10-01
[135] 서적 Christian Men Who Hate Women: Healing Hurting Relationships https://archive.org/[...] 1990
[136] 서적 Theology of the body explained : a commentary on John Paul II's "Gospel of the body" 2003
[137] 논문 교회의 여성혐오를 다루지 않고서는 500주년 종교개혁을 논하지 말라 http://www.dbpia.co.[...] 2017-03-25
[138] 논문 한국 교회, 여성 혐오를 넘어서다 http://www.dbpia.co.[...] 2017-03-25
[139] 논문 한국교회, 혐오문화 치유의 센터가 되기를 http://www.dbpia.co.[...] 2017-03-25
[140] 논문 Popular Islam and Misogyny: A Case Study of Bangladesh
[141] 뉴스 Clothes Aren't the Issue http://www.washingto[...] 2006-10-22
[142] 서적 Expanding curriculum theory: dis/positions and lines of flight Psychology Press 2004
[143] 뉴스 The Church of Scientology does not want you to see L. Ron Hubbard's woman-hatin' book chapter https://web.archive.[...] 2015-05-11
[144] 웹인용 Gender and Sexuality http://www.patheos.c[...]
[145] 서적 Misogyny in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A Reader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9
[146] 서적 Misogyny in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A Reader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9
[147] 서적 Misogyny in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A Reader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9
[148] 서적 The Story of Philosophy Simon and Schuster 1983
[149] 서적 Feminist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Philosophy 2003
[150] 간행물 "'Back to the kitchen, cunt': speaking the unspeakable about online misogyny" http://www.tandfonli[...]
[151] 웹인용 인터넷 여성혐오 발언 절반은 여성 탓 http://fnnews.com/ne[...] 2016-05-26
[152] 문서 "일반적으로 익명성으로 욕설이 심하다고 평가되는 [[디씨인사이드]]나, 여성혐오적 게시글로 비판받는 [[일간베스트]] 사이트와 같은 곳은 물론, 보통 사람들이 쉽게 접하는 정상적인 온라인 공간으로 생각되는 [[엠엘비파크]]나 [[오늘의 유머]], [[네이트]] 판과 같은 곳에서도 일반화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온라인 상의 여성 혐오 모니터링 보고서 - 한국여성단체연합, 2014.12.
[153] 문서 "뉴스기사의 76%, 뉴스 사이트 페이지 영상의 100%, 댓글의 73%, 커뮤니티 게시글의 80%, 댓글의 71.9%, 아프리카 TV 발언의 82%가 여성을 차별하는 것이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여성에 대한 차별적 태도가 온라인에서는 여성에 대한 비하/비난, 혐오/폭력적 표현으로 연결되는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이수연・정수연・김수아・나운주(2015). 온라인 성차별성 모니터링 및 모니터링 도구 개발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54] 저널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한국여성연구소
[155] 뉴스 “전업주부는 서방님 말씀 잘 들어”…온라인 내 성차별 만연 http://mobile.newsis[...] 2018-09-28
[156] 뉴스 한국 ‘인터넷 자유’ 전년보다 악화…“여성 겨냥한 공격 늘어” http://mn.kbs.co.kr/[...] 2018-11-01
[157] 저널 포스트페미니즘 시대 인터넷 여성혐오 한국여성연구소 2017-03-25
[158] 문서 전략적 여성혐오와 그 모순
[159] 뉴스 도 넘은 여성 혐오, ‘일베’만의 문제 아니다 http://www.womennews[...] 2015-02-03
[160] 뉴스 (단독) 김치녀·삼일한…‘일베’ 용어가 일상 속으로 https://news.naver.c[...] 2015-07-16
[161] 웹사이트 한국사회의 불편한 진실, 여성 혐오 http://m.news.sookmy[...] 교수신문 2014-10-06
[162] 웹사이트 한국 남성 54%,2명 ‘김치녀’중 등1명 여성혐오 표현에표현 “공감한다”(그래픽)공감...성별 갈등 심각 http://m.huffpostwom[...] 허핑턴포스트여성신문 2016-03-15
[163] 웹사이트 ‘일베놀이’ 하며 ‘여혐’ 배우는 10대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6-05-24
[164] 웹사이트 "선생님, 김치녀세요?" 교사 60% '여성혐오 표현' 경험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7-26
[165] 웹사이트 "[소년 여혐]초등 교실에서 싹트는 ‘여성혐오’"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6-05-24
[166] 웹사이트 “여교사 성희롱하는 우리 반 ‘일진’,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6-07-05
[167] 웹사이트 유튜버·BJ들의 영향력에 초등학교 교사들이 겪는 고충들 http://www.huffingto[...] 허프포스트코리아 2017-07-07
[168] 웹사이트 "'앙 기모띠', 선생님들이 가장 듣기 싫어하는 말"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7-07-08
[169] 웹사이트 청소년 페미니스트 짓밟는 교실…"여성혐오 지적하면 집단폭력" http://m.yna.co.kr/k[...] 연합뉴스 2018-07-08
[170] 뉴스 “[기타뉴스]“‘보이루’ 비판하니 발차기가 날아왔다” 학교폭력 대상된 청소년 ‘페미’” http://h2.khan.co.kr[...] 2018-07-24
[171] 웹사이트 한국여성민우회 https://mobile.twitt[...]
[172] 보고서 여성혐오 담론분석을 통해 본 사회적 갈등 대응방안 연구 https://opengov.seou[...]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21-05-02
[173] 뉴스 ‘너 메갈이지?’… “20대 여성 98%, 여성혐오 표현 경험” http://www.womennews[...] 2020-03-03
[174] 웹사이트 나무위키를 믿습니까? http://m.ize.co.kr/v[...] IZE 2016-06-21
[175] 웹사이트 넥슨 사태로 맺어진 일베와 오유의 로맨스는 호모소셜이다 http://m.huffpost.co[...] 허핑턴포스트 2016-07-26
[176] 간행물 정의의 파수꾼들? http://www.sisain.co[...] 시사IN 2016-08-25
[177] 간행물 '메갈리아=여자일베' 인정 안하면 시사인처럼 된다? http://m.mediatoday.[...] 미디어오늘 2016-08-29
[178] 서적 그럼에도, 페미니즘 https://books.google[...] 은행나무 2017-01-20
[179] 웹인용 페미니즘 비판하던 '이퀄리즘'은 누리꾼이 만들어낸 '창작품'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7-01-31
[180] 웹인용 '나무위키 성 평등주의 날조 사건'에 대하여 http://www.huffingto[...] 허핑턴포스트 코리아 블로그 2017-02-03
[181] 웹인용 "[별별시선]기만적 다수의 시대"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7-02-03
[182] 웹인용 '[2030 잠금해제] 다시 미디어 리터러시를 / 이준행' http://m.hani.co.kr/[...] 한겨레 2017-04-30
[183] 논문 '"우리는 차별을 하지 않아요"' 문화과학 2018
[184] 뉴스 지하철서 화장하면 추하다? 언론이 만든 ‘여성혐오’ http://www.mediatoda[...] 2016-01-13
[185] 웹인용 '[화보]‘여성혐오적 조장 언론보도 비판‘ 기자회견' http://biz.khan.co.k[...]
[186] 웹인용 '‘여성 혐오’ 부추기는 언론' http://www.journalis[...]
[187] 저널 힙합은 여성혐오적인 장르인가요? http://www.dbpia.co.[...] 한국대중음악학회 2017-03-25
[188] 뉴스 게임과 게이머는 어떻게 '여성혐오'하고 있을까 http://www.nocutnews[...] 2017-05-27
[189] 저널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남성공포에서 통감과 분노의 정치학으로 http://www.dbpia.co.[...] 철학연구회 2017-03-15
[190] 저널 젠더혐오범죄에 대한 형사정책적 대응 방안 :여성혐오 범죄를 중심으로 http://www.dbpia.co.[...] 2017-03-25
[191] 서적 뉴스의 배경 https://books.google[...] 파사주 2017-07-18
[192] 뉴스 2016년 최다 검색 논문 키워드는?…박정희·여성혐오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6-12-22
[193] 뉴스 정현백 여가부 장관 "여성혐오 심각… 대응 TF 만들 것"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7-07-11
[194] 저널 Taste-based gender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https://www.scienced[...] 2021
[195] 저널 The Virgin/Whore Dichotomy: Telling Mina's Story in Bram Stoker's Dracula
[196] 서적 The Politics of Reality: Essays in Feminist Theory. Trumansburg NY: Crossing 1983
[197]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n and masculinities https://archive.org/[...] 2007-07-18
[198] 서적 Sexual Personae https://archive.org/[...] Vintage
[199] 저널 Philogynous masculinities: Contextualizing alternative manhood in Mozambique http://jmm.sagepub.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