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버로드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버로드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독일 점령하의 서유럽을 해방하기 위해 실행한 군사 작전으로, 노르망디 상륙 작전(작전명 넵튠)을 포함한다. 1944년 6월 6일 시작된 이 작전은 연합군의 작전 준비, 독일군의 방어 태세, 기상 조건, 기만 작전 등을 고려하여 진행되었다. 연합군은 인공 항구 건설, 해저 파이프라인 설치 등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정찰 및 기만 작전을 통해 성공적인 상륙을 준비했다. 독일군은 대서양 방벽을 구축하여 방어했지만, 연합군의 항공 우세, 기만 작전의 성공, 소련군의 공세 등으로 인해 실패했다. 오버로드 작전으로 연합군은 상당한 인명 피해를 입었지만, 프랑스 북부를 해방하고 서부 전선의 승기를 잡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 파리 조약 (1947년)
    파리 조약(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추축국(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핀란드)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전쟁 상태 종결, 영토 변경, 전쟁 배상, 정치 조항 등을 포함하며 냉전 초기 국제 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 국방연구위원회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의 과학 연구를 총괄한 국방연구위원회는 배니바 부시의 주도로 설립되어 레이더, 소나, 근접 신관 등 군사 기술 개발을 주도했으며, 맨해튼 계획 추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과학연구개발처(OSRD) 설립 후 자문 기구로 역할이 축소, 1947년 해체되었다.
  • 폴란드가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몬테카시노 전투
    몬테카시노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에서 연합군과 독일군이 카시노와 몬테 카시노 수도원을 중심으로 격렬하게 싸운 네 차례의 전투로, 막대한 인명 피해와 전략적 중요성, 그리고 수도원 파괴를 포함한 잔혹성으로 역사에 기록되었으며, 연합군의 승리로 로마 해방의 발판을 마련했지만 큰 희생을 초래했다.
  • 폴란드가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크루세이더 작전
    크루세이더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영국군이 토브루크 포위 해제를 목표로 감행한 공세 작전으로, 이집트와 수에즈 운하에 대한 추축국의 위협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롬멜의 반격으로 이어져 공방전이 지속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 비시 프랑스
    비시 프랑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남부와 식민지 일부를 통치한 친독 협력 정부로, 필리프 페탱이 수반이었으며 권위주의 통치, 유대인 박해 등으로 악명 높았고, 현재까지도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 파리 조약 (1947년)
    파리 조약(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추축국(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핀란드)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전쟁 상태 종결, 영토 변경, 전쟁 배상, 정치 조항 등을 포함하며 냉전 초기 국제 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버로드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LSTs with barrage balloons deployed, unloading supplies on Omaha Beach for the breakout from Normandy
오마하 해변에서 노르망디 돌파를 위해 물자를 하역하는 전차 상륙함(LST). 저지 기구가 배치되어 있음
분쟁제2차 세계 대전서부 전선
날짜1944년 6월 6일 – 8월 30일
장소프랑스 북부
결과연합군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연합군



자유 프랑스군
폴란드군

뉴질랜드군
자유 벨기에군
체코슬로바키아군
그리스군
자유 룩셈부르크군
네덜란드군
노르웨이군
남아프리카 연방군
남로디지아군
프랑스 레지스탕스
덴마크 수병
교전국 2추축국
나치 독일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지휘관
연합군 지휘관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연합군 최고 사령관)
아서 테더 (부 최고 사령관)
버나드 몽고메리 (지상군 총사령관)
트래퍼드 리-말로리 (항공군 총사령관)
버트럼 램지 (해군 총사령관)
독일군 지휘관아돌프 히틀러 (독일 총통)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서부 총군 사령관)
에르빈 롬멜 (B 집단군 사령관)
병력 규모
연합군 병력7월 25일까지 1,452,000명 이상
8월 말까지 2,052,299명
독일군 병력7월 23일까지 380,000명
총 640,000명
전차 및 돌격포 2,200–2,500대
사상자
연합군 사상자124,394명 사상 (20,668명 사망)
약 65,000명 사상 (11,000명 사망, 54,000명 부상 또는 실종)
18,444명 사상 (5,021명 사망)
2,097명 사상
연합군 항공기 조종사 16,714명 사망 (미국 육군 항공대 8,536명, 영국 공군 지휘 하 8,178명)
총 226,386명 사상
항공기 4,101대
전차 약 4,000대
독일군 사상자약 80,000명 사망
233,000명 포로
항공기 2,127대
전차 및 돌격포 1,500–2,400대
민간인 사상자침공 전 폭격으로 11,000–19,000명 사망
침공 중 13,632–19,890명 사망
총 25,000–39,000명 사망

2. 연합군의 작전 준비

1940년 프랑스 항복 이후, 연합군은 유럽 대륙 탈환을 위한 계획을 수립했다. 1943년 워싱턴 회담에서 영국 해협을 건너는 침공 작전을 결정하고, 프레더릭 E. 모건 중장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했다. 상륙 지점 선정 과정에서 브르타뉴, 코탕탱반도, 파드칼레 등이 검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노르망디가 선택되었다. 노르망디는 넓은 전선을 형성할 수 있고, 셰르부르 항구와 브르타뉴의 해안 항구를 동시에 위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었다.

초기 계획은 상륙정 부족으로 인해 제약을 받았으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몽고메리의 주장으로 상륙 규모가 확대되고 공수 작전이 추가되었다.

디에프 습격의 실패를 교훈 삼아, 연합군은 인공 항구(멀베리 항구) 개발, 해저 파이프라인(플루토 작전) 건설, 특수 전차(호바트의 장난감) 개발 등 새로운 기술을 도입했다.

2. 1. 침공 계획

D-day 노르망디 상륙 작전 경로


"오버로드"는 유럽 대륙에 대규모 교두보를 건설하는 작전에 붙여진 암호명이다. 상륙 작전과 안전한 교두보 확보를 위한 초기 단계는 작전명 넵튠으로 명명되었으며, 종종 "D-Day"로 불린다. 연합군은 성공적인 침공을 위해 필요한 제공권을 확보하고자 독일의 항공기 생산, 연료 공급, 비행장을 목표로 전략 폭격 작전(포인트블랭크)을 시작했다. 또한 수송 계획에 따라 프랑스 북부의 통신 시설과 도로 및 철도 연결 지점을 폭격하여 독일군의 증원군 투입을 어렵게 했다. 이러한 공격은 침공의 정확한 위치를 밝히지 않기 위해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독일군이 침공 시기와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정교한 군사 기만 작전이 계획되었다.

노르망디 해안선은 17개 구역으로 나뉘었고, 오마하 서쪽에서 소드 동쪽 측면까지 통화표를 사용한 코드명으로 구분되었다. 침공 지역이 유타코탕탱반도에 포함하도록 확장되면서 8개의 구역이 추가되었다. 17개의 구역은 다시 녹색, 적색, 백색 등 색깔로 구분된 해변으로 세분화되었다.

연합군 계획자들은 해상 상륙에 앞서 공수 강하를 계획했다. 동쪽 측면에서는 근처의 오른 강 다리를 확보하고, 서쪽 측면에서는 카랑탕 북쪽에 공수부대를 투입할 예정이었다. 초기 목표는 카랑탕, 이지니, 바유, 캉을 점령하는 것이었다. 유타와 오마하에 상륙할 예정인 미군은 코탕탱반도를 차단하고 셰르부르의 항만 시설을 점령할 계획이었다. 소드와 골드에 상륙할 영국군과 주노에 상륙할 캐나다군은 캉을 점령하고 코몽 레 방테에서 캉 남동쪽까지 전선을 형성하여 미군의 측면을 보호하면서 캉 근처에 비행장을 구축할 계획이었다. 캉과 그 주변을 확보하면 영국-캐나다군은 남쪽으로 진격하여 팔레즈 마을을 점령하기 위한 적절한 집결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첫 3주 동안 연합군은 아브랑슈-팔레즈선 북쪽의 모든 점령지를 지키고 안전한 거점을 구축할 계획이었다. 이후 연합군은 센강을 향해 진격할 예정이었다.

버트람 램지 제독이 이끄는 침공 함대는 미국 구역을 지원하는 서부 해군 기동 부대(앨런 커크 제독 지휘)와 영국 및 캐나다 구역을 지원하는 동부 해군 기동 부대(필립 비안 제독 지휘)로 나뉘었다. 오마 브래들리 중장이 이끄는 미국 제1군은 제7군단(유타)과 제5군단(오마하)으로 구성되었다. 영국 측에서는 마일스 뎀프시 중장이 제2군을 지휘하였으며, 제30군단이 골드 해변에, 제1군단이 주노와 소드에 배치되었다. 지상군은 몽고메리의 지휘 아래 있었고, 공군 지휘는 트래퍼드 리맬러리 공군 원수가 맡았다. 제1캐나다군에는 폴란드, 벨기에, 네덜란드에서 온 병과 부대도 포함되었다. 다른 연합국들도 참여했다.

2. 2. 정찰

연합국 원정 공군은 1944년 4월부터 6월 6일까지 3,200회 이상의 사진 정찰 임무를 수행했다. 노르망디 침공군에게 지형, 해변 장애물, 벙커 및 총포대 같은 방어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해 해안선 사진은 매우 낮은 고도에서 촬영되었다. 침공 위치를 숨기기 위해 유럽 해안선을 따라 정찰 비행이 이루어졌다. 내륙 지형, 다리, 병력 배치, 건물 등도 여러 각도에서 촬영되었다. 연합작전 안내팀 구성원들은 비밀리에 깊이 측정을 포함한 상세한 항구 지도를 준비했다. BBC에서 발표한 유럽의 휴가 사진과 엽서에 대한 요청으로 천만 개 이상의 휴가 사진과 엽서가 생산되었으며, 그 중 일부는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프랑스 레지스탕스는 추축군의 병력 이동과 독일군이 벙커 및 기타 방어 시설에 사용한 건설 기술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했다.

많은 독일군 라디오 메시지는 에니그마 기계 및 기타 암호 기술을 사용하여 암호화되었고, 암호는 자주 변경되었다. 블레츨리 파크에 주둔한 암호 해독팀은 독일군의 계획과 병력 이동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암호를 해독했다. 영국 군사 정보국은 이 정보를 울트라 정보라고 암호화했으며, 이는 최고 지휘관들에게만 제공되었다. 서부 전선 사령관인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원수가 사용하는 에니그마 암호가 3월 말까지 해독되었다. 독일 정보부는 연합군의 상륙 후 에니그마 암호를 변경했으나 6월 17일까지 연합군은 다시 에니그마를 해독할 수 있었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위한 연합군 항공 계획

2. 3. 기만 작전

연합군은 오버로드 작전 실행에 앞서 몇 달 동안 독일군을 기만하기 위한 보디가드 작전을 수행했다. 이 작전의 일환으로 포티튜드 작전이 실행되었는데, 이는 노르웨이에 대한 공격을 예상하게 하기 위한 '포티튜드 노스 작전'과 파 드 칼레에 상륙할 것이라고 믿게 하기 위한 '포티튜드 사우스 작전'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가상의 미국 제1집단군이 창설되었고, 조지 S. 패튼 중장이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연합군은 가짜 전차, 트럭, 상륙정을 제작하여 해안 근처에 배치했다. 제2캐나다군단과 제2캐나다사단을 포함한 여러 군사 부대가 그 지역으로 이동하여 독일군에게 대규모 병력이 집결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었다. 가짜 무선 통신 방송 외에도, 제21군단의 진짜 무선 메시지는 처음에 지상 회선을 통해 켄트로 보내진 후 방송되어 독일군에게 연합군 병력 대부분이 그곳에 주둔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었다. 패튼은 7월 6일까지 영국에 주둔하여 독일군이 칼레에서 두 번째 공격이 있을 것이라고 믿게 했다.

독일군은 영국에서 광범위한 스파이 네트워크가 운영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모든 요원이 체포되었고 일부는 이중 스파이가 되어 더블 크로스 시스템의 일환으로 연합군을 위해 일하고 있었다. "가르보"라는 암호명으로 알려진 후안 푸욜 가르시아는 디데이에 이르기까지 2년 동안 독일군이 자신들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믿게 만든 가짜 정보원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디데이에 앞서 몇 달 동안 푸졸은 마드리드의 상관들에게 수백 건의 메시지를 보냈으며, 이 메시지는 영국 정보국이 준비한 것으로 칼레에서 7월에 공격이 있을 것이라고 독일군을 설득하기 위한 것이었다.

영국 공군은 프랑스 해안의 독일 레이더 기지를 파괴했다. 침공 전야에 제617비행대대는 택서블 작전에서 "윈도우"라고 불리는 금속 호일 조각을 투하했으며, 독일 레이더 운영자들은 이를 해군 호송선단이 캡 당티페르로 접근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독일군의 착각은 조색기구를 견인하는 소형 선박 그룹으로 강화되었다. 영국 공군 제218비행대대는 글리머 작전에서 불로뉴쉬르메르 근처에 "윈도우"를 투하했다. 같은 밤, 소규모 SAS 작전 부대가 르아브르와 이지니 상공에 가짜 낙하산병을 투하시켜 독일군이 추가적인 공수 작전이 발생했다고 믿게 만들었다.

2. 4. 준비 및 보안

실탄을 사용한 훈련의 모습


오버로드 작전 상륙 훈련은 1943년 7월부터 시작되었다. 잉글랜드 데번의 슬랩턴 마을은 인근 해변이 노르망디 해안과 유사하여 1943년 12월 주민들이 피난했고, 상륙정 사용 및 해변 장애물 관리 훈련 장소로 군대에 점령되었다. 1944년 4월 27일, 슬랩턴에서 발생한 아군 오사 사고로 최대 450명이 사망했고, 다음 날 독일 어뢰정이 타이거 훈련 중인 "U" 돌격 부대원을 기습하여 추가로 749명의 미국 병사와 해군이 사망했다.

스코틀랜드 인버라레이의 연합 훈련 센터에서도 상륙정과 실탄을 사용한 훈련이 이루어졌다. 북아일랜드에서는 해군 훈련이, 런던 등지의 의료팀은 예상되는 사상자 처리 연습을 했다. 1944년 3월 23일, 윈스턴 처칠,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등 고위 관계자들이 참관한 가운데 낙하산 부대의 대규모 시범 강하 훈련이 실시되었다.

연합군 계획자들은 상륙 작전 계획에서 전술적 기습이 필수 요소라고 생각했다. 상륙 날짜와 위치 정보는 최고위층에만 제공되었고, 병사들은 5월 말 집결지에서 나갈 수 없었으며 외부와의 연락도 차단되었다. 병사들은 지명을 제외한 모든 세부 사항이 정확히 반영된 지도를 받았고, 대부분은 승선 전까지 실제 목적지를 알지 못했다. 영국에서의 뉴스 차단은 기만 작전의 효과를 높였다. 아일랜드로의 왕래 및 영국 해안 몇 킬로미터 내에서의 이동도 제한되었다.

2. 5. 기상 예보

제6공수사단 제22독립강하중대 대원들이 1944년 6월 4일부터 6월 5일 사이 침공에 대해 브리핑을 받고 있다.


상륙 작전 계획자들은 상륙 시기에 대한 일련의 조건을 명시하며, 상륙은 매월 몇 안 되는 날만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항공기 조종사에게 조명을 제공하고 가장 높은 조수가 생기게 하는 보름달이 상륙 기상 조건으로 바람직했다. 연합군은 상륙을 해가 뜨기 직전, 만조와 간조의 중간 지점에 조수가 들어오는 시점으로 계획하고자 했다. 이는 적이 해변에 설치한 장애물의 가시성을 높이면서 병사들이 노출된 상태에서 보내야 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했다. 풍속, 가시성, 구름 덮개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도 설정되었다. 아이젠하워는 6월 5일을 공격 날짜로 잠정적으로 선택했으나, 6월 4일에 높은 바람과 거친 파도로 인해 상륙정을 출발시키는 것이 불가능했고 낮은 구름으로 인해 항공기가 목표물을 찾을 수 없게 되어 상륙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6월 4일 저녁, 영국 공군 소속의 제임스 스태그가 이끄는 연합군 기상팀은 날씨가 충분히 개선되어 6월 6일에 상륙 작전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사우스위크 하우스에 있는 사령부에서 아이젠하워와 다른 고위 지휘관들을 만나 상황을 논의했다. 몽고메리 장군과 아이젠하워의 비서실장인 월터 베델 스미스 소장은 상륙 작전을 개시하기를 열망했다. 버트럼 램지 제독은 함정을 투입할 준비가 되어 있었으나, 트래퍼드 리맬러리 공군 원수는 날씨 조건이 연합군 항공기에 불리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많은 논의 끝에 아이젠하워는 상륙 작전을 강행하기로 결정했다.

대서양에 대한 연합군의 통제로 인해 독일 기상학자들은 연합군만큼 다가오는 기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했다. 파리에 있는 루프트바페 기상 센터는 2주간의 폭풍우를 예측했기 때문에 많은 독일 국방군 지휘관들이 렌에서 열리는 전쟁 게임에 참석하기 위해 자리를 비웠고, 많은 부대의 병사들에게 휴가가 주어졌다. 에르빈 롬멜 원수는 아내의 생일을 축하하고 히틀러를 만나 더 많은 전차를 확보하기 위해 독일로 돌아갔다.

아이젠하워가 상륙 작전을 다시 연기했더라면, 바람직한 보름달은 없지만 적절한 조수 조건을 가진 다음 가능한 기간은 6월 18일부터 20일까지였다. 실제로 이 기간 동안 연합군은 6월 19일부터 22일까지 4일 동안 지속된 대규모 폭풍우를 만나 초기 상륙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3. 독일군의 준비

나치 독일은 프랑스와 베네룩스에 50개 사단을, 덴마크와 노르웨이에 18개 사단을 배치했다. 독일 국내에서는 15개 사단이 편성 중이었지만, 전략 예비군은 없었다. 칼레 지역은 한스 폰 잘무트 상급대장이 지휘하는 제15군이 방어했고, 노르망디 지역은 프리드리히 돌만 상급대장이 지휘하는 제7군이 방어했다. 전쟁, 특히 동부 전선의 피해로 인해 독일은 더 이상 징병 가능한 젊은이가 부족해, 독일군 병사의 평균 연령은 연합군보다 6세나 많았다. 노르망디의 병사 중 상당수는 '동방 부대'로, 투르키스탄, 러시아, 몽골 등에서 징집된 병사 또는 의용병이었다. 국방군은 그들에게 주로 신뢰성이 부족한 노획 무기를 지급했고, 기동 수송 능력도 부족했다. 제12SS 기갑사단 "히틀러 유겐트" 등 나중에 도착한 부대는 해안에 배치된 병사보다 대부분 젊고 훨씬 좋은 장비를 갖추고 훈련되어 있었다.

1944년 초, 서부최고지휘부(OB West)는 병력과 물자를 동부 전선으로 이동시키면서 심각하게 약화되었다. 소련의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동안, 독일 육군 최고 사령부(OKH)는 제9 및 제10 SS 기갑사단과 제349 보병사단, 제507 중전차 대대, 제311 및 제322 StuG 돌격포 여단으로 구성된 제2 SS 기갑군단 전체를 프랑스에서 이동시켜야 했다. 총 45,827명의 병력과 363대의 전차, 돌격포, 자주 대전차포가 프랑스 주둔 독일군에서 차출되었다. 이는 아돌프 히틀러의 총통 지침 51호가 제정된 이후 프랑스에서 동부로의 첫 번째 주요 병력 이동이었다.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는 자신의 최고 부대 중 다수가 이탈리아 전선으로 가는 것에 대해 불평했다.

제1 SS 기갑사단 라이프슈탄다르테 SS 아돌프 히틀러, 제9, 제11, 제19 및 제116 기갑사단은 제2 SS 기갑사단 "다스 라이히"와 함께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은 후 광범위한 재정비를 위해 1944년 3월-5월에 프랑스에 도착했다. 프랑스에 주둔한 11개의 기갑 또는 기갑척탄병 사단 중 7개 사단은 1944년 6월 초까지 여전히 완전 작전 능력이 없거나 부분적으로만 기동 가능했다.

3. 1. 대서양 방벽

1942년 생나제르디에프에서의 기습에 놀란 히틀러스페인에서 노르웨이까지 대서양 연안을 따라 요새 건설을 명령했다. 그는 15,000개의 방어 진지가 300,000명의 병력에 의해 수비되기를 구상했지만, 콘크리트와 인력 부족으로 대부분의 방어 거점은 건설되지 않았다. 연합군 침공의 예상 지점인 파드칼레는 강력하게 방어되었다. 노르망디 지역에서 가장 좋은 요새는 셰르부르와 생말로의 항구 시설에 집중되어 있었다.

대서양 방벽 지도


1943년 10월, 롬멜룬트슈테트의 보고를 받은 후 네덜란드에서 셰르부르까지 예상 침공 전선에 추가 요새 건설을 감독하도록 임명되었다. 롬멜은 새로 재편성된 B 집단군의 지휘를 맡았으며, 여기에는 제7군, 제15군, 네덜란드를 수비하는 부대가 포함되었다. 나치 독일의 복잡한 지휘 구조는 롬멜이 임무를 완수하는 데 어려움을 주었다. 그는 군수 장관 알베르트 슈페어가 지휘하는 토트 조직에 명령을 내릴 수 없었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병사들을 건설 작업에 배치해야 했다.

롬멜은 노르망디 해안이 연합군이 침공할 가능성이 있는 상륙 지점이 될 수 있다고 믿고, 그 해안에 광범위한 방어 공사를 명령했다. 해안의 전략적 지점에 콘크리트 포대 외에도, 상륙정을 지연시키고 전차의 이동을 방해하기 위해 해변에 목재 말뚝, 금속 삼각대, 지뢰, 대전차 장애물을 설치하도록 지시했다. 연합군이 해병대가 해변에서 노출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만조 시 상륙할 것으로 예상하고, 많은 장애물을 만조선에 배치하도록 명령했다. 철조망, 함정, 지상 덮개의 제거 등으로 보병의 접근을 위험하게 만들었다. 롬멜의 명령에 따라 해안에 설치된 지뢰의 수가 세 배로 늘어났다. 연합군의 항공 우위를 고려하여, 공중 상륙을 막기 위해 들판과 초원에 롬멜스파겔(en)로 알려진 함정이 설치되었다.

3. 2. 예비 병력 가용

롬멜은 독일군이 상륙작전을 해안에서 저지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믿고, 기동 예비군, 특히 전차를 해안 가까이에 배치해 줄 것을 요청했다. 룬트슈테트, 서부 기갑군단 사령관 레오 가이어 폰 슈베펜부르크 장군 및 다른 고위 지휘관들은 해변에서 침공을 저지할 수 없다고 믿었다. 가이어는 주력 연합군 상륙지가 확인된 후에야 파리와 루앙 주변의 중앙 위치에 기갑 부대를 집중 배치해야 한다는 전통적인 교리를 주장했다. 그는 또한 이탈리아 전역에서 해안 근처에 배치된 장갑 부대가 해군 포격으로 손상되었다고 언급했다. 롬멜은 연합군의 압도적인 항공 우위로 인해 침공이 시작되면 대규모 전차이동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최종 결정은 히틀러가 내렸다. 그는 가이어의 지휘 하에 3개 사단을 남겨두고, 롬멜에게 예비군으로 3개 기갑 사단의 작전 통제권을 부여했다. 히틀러는 4개 사단을 전략 예비대로 직접 통제하며, 자신의 직접 명령 없이는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4. 작전

1944년 5월까지 150만 명의 미군이 영국에 도착했다. 대부분은 잉글랜드 남서부의 임시 캠프에 머무르며 해협을 건너 상륙 지대의 서부 구역으로 이동할 준비를 했다. 영국군과 캐나다군은 더 동쪽에 위치한 사우샘프턴에서 뉴헤이븐에 있는 숙소에 배치되었고, 나중에 올 병력은 동해안에까지 분산되었다. '이동 통제'라는 복잡한 시스템을 통해 20개의 출발 지점에서 병력과 차량이 일정에 맞춰 출발할 수 있었다. 일부 병력은 출발 거의 일주일 전에 배에 탑승해야 했다. 배들은 와이트섬 남동쪽의 '피카딜리 서커스'라는 집결지에서 만나 해협을 건너는 호송대에 합류했다. 6월 5일 저녁, 기뢰 제거선들이 침공 항로에 있는 기뢰를 제거하기 시작했고, 1,000 대의 폭격기가 해안 방어선을 공격하기 위해 새벽 전에 출발했다. 약 1,200대의 항공기가 자정 직전에 영국을 출발하여 상륙 몇 시간 전에 적진 뒤에 있는 낙하지역으로 3개의 공수사단을 수송했다. 미국 제82공수사단제101공수사단유타 해변 서쪽 코탕탱반도에 있는 목표에 배정되었다. 영국 제6공수사단은 캉 운하와 오른강의 다리를 무사히 확보하는 임무를 맡았다. 자유 프랑스제4SAS대대 538명은 브르타뉴에 있는 목표에 배정되었다. D-Day에는 약 132,000명의 병력이 해상으로 수송되었고, 추가로 24,000명이 공중으로 수송되었다. 해군의 사전 폭격은 05:45에 시작되어 06:25까지 이어졌고 5대의 전함, 20대의 순양함, 65대의 구축함, 2대의 모니터함이 이 폭격에 참여했다. 보병은 06:30경 해변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4. 1. 해안 상륙

유타 해변의 해안 방벽을 넘어 진격하는 미 제4보병사단 제8보병연대 미군 병사들.


유타 해변을 공격하는 미국 제4보병사단을 실은 상륙정은 조류에 밀려 예정된 상륙 지점에서 약 1,800미터 남쪽에 도착했다. 병사들은 독일군의 가벼운 저항에 부딪혀 200명 이하의 사상자를 냈다. 첫날 목표에는 크게 못 미쳤지만, 내륙으로 약 6.4km 진격하여 제101공수사단과 만날 수 있었다. 유타 해변 서쪽의 공수 작전은 성공적이지 못했으며, 낙하산병 중 단 10%만이 투하 지점에 착륙했다. 전투 부대로 병력을 집결시키는 일은 무전기 부족과 생울타리, 돌담, 습지 등 지형 때문에 어려웠다. 제82공수사단은 주요 목표인 생메르에글리즈를 점령하고 서쪽 측면을 방어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메르데레 강의 도하 지점을 점령하지 못해 코탕탱 반도의 봉쇄가 지연되었다. 제101공수사단은 남쪽 측면을 방어하는 데 기여하고 라 바르케트의 도브강 수문을 점령했지만, 첫날에 할당된 인근 다리들을 점령하지는 못했다.

프앙테 뒤 오크에서 200명의 제2레인저대대는 제임스 러더 중령의 지휘 아래 밧줄과 사다리를 사용해 30미터 절벽을 오르고, 그곳에 위치한 포병 진지를 파괴하는 임무를 맡았다. 위에서 쏟아지는 공격을 받으면서 병사들은 절벽을 올랐으나, 도착해보니 포는 이미 철수한 상태였다. 레인저 부대는 무방비 상태로 방치된 채 사용 준비가 되어 있던 무기들을 곶 남쪽 약 550미터 떨어진 과수원에서 발견하고 무력화시켰다. 독일군의 공격을 받으며 고립된 제2레인저대대 중 일부는 포로로 잡혔다. 6월 7일 새벽까지 러더에게 남은 전투 가능한 병력은 90명이었다. 제2레인저대대는 6월 8일 제743전차대대가 도착하면서 비로소 고립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오마하 해변에 도착한 히긴스 보트를 떠나는 미국 제1보병사단 병사들을 담은 사진, 죽음의 이빨 속으로.


오마하 해변은 가장 방어가 철저한 구역으로, 미국 제1보병사단과 제29보병사단의 병력이 배치되었다. 이들은 예상했던 단일 연대가 아닌, 제352보병사단과 맞서게 되었다. 강한 조류로 인해 많은 상륙정이 의도한 위치에서 동쪽으로 밀려나거나 상륙이 지연되었다. 병사들은 절벽 위에서 쏟아지는 포화에 노출되어 오마하 해변은 다른 상륙 지점보다 더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장애물을 제거하는 데 문제가 생겨, 해변 관리관은 08:30에 차량 상륙을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 무렵 지원 포격을 제공하기 위해 구축함들이 도착했다. 오마하 해변을 빠져나가는 것은 다섯 개의 골짜기를 통해서만 가능했으며, 오전 늦게까지 고지에 도달한 병력은 겨우 600명에 불과했다. 정오가 되자 포격의 효과와 독일군의 탄약 부족으로 인해 미군은 해변에 몇 개의 통로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차량이 해변을 벗어날 수 있도록 골짜기의 적 방어시설을 제거하기 시작했다. 이후 며칠 동안 해변의 교두보는 확장되었고 6월 9일이 되어서야 D데이 목표가 달성되었다.

1944년 6월 7일의 골드 해변.


골드 해변에서는 강한 바람으로 인해 상륙정이 상륙하기 상당히 어려웠으며, DD 전차는 계획된 지점보다 더 가까운 해안이나 해변 바로 앞에 상륙해야 했다. 공군은 르아멜 거점을 타격하는 데 실패했고, 그곳의 75mm 포는 오후 4시까지 계속해서 영국군에 피해를 입혔다. 서쪽 측면에서는 햄프셔 연대 제1대대가 아로망슈(향후 멀베리 "B"의 위치)를 점령했고, 동쪽 측면에서는 영국군이 캐나다군과 주노 해변에서 만나게 되었다.

주노 해변에서는 거친 바다로 인해 보병의 상륙이 지연되었고, 병사들은 지원 장갑차보다 먼저 도착하여 하선하는 동안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대부분의 해상 포격이 독일군의 방어 시설에 명중하지 않았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캐나다군은 신속하게 해변을 정리하고 해변 위 마을로 향하는 두 개의 출구를 확보했다. 제1기병전차연대의 한 부대는 침공 첫날 목표를 달성한 유일한 연합군 부대였다. 주노 해변에서의 사상자는 961명이었다. 베니쉬르메르를 점령하는 것이 지연되어 해변에 혼잡이 발생했지만, 6월 6일 자정 주노와 골드 해변의 연합군 교두보는 폭 19km, 깊이 10km에 이르게 되었다.

소드 해변에서는 25대의 DD 전차 중 21대가 안전하게 상륙하여 07:30에 상륙을 시작한 보병을 엄호했다. 보병들은 신속하게 해변을 정리하고 여러 출구를 확보했다. 강한 바람으로 인해 조수가 예상보다 빠르게 들어와 기갑부대의 기동이 어려워졌다. 왕립 슈롭셔 경보병연대 제2대대는 도보로 에서 몇 킬로미터 이내까지 진격했으나, 장갑 지원 부족으로 철수해야 했다. 오후 4시에는 독일 제21기갑사단이 소드와 주노 해변 사이에서 반격을 시도하여 해안에 거의 도달할 뻔했으나, 영국 제3보병사단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캉과 바이외 사이 지역을 지원하기 위해 곧 철수했다.

4. 1. 1. 유타 해변



유타 해변을 공격하는 미국 제4보병사단을 실은 상륙정은 조류에 밀려 예정된 상륙 지점에서 약 1,800미터 남쪽에 도착했다. 병사들은 독일군의 가벼운 저항에 부딪혀 200명 이하의 사상자를 냈다. 첫날 목표에는 크게 못 미쳤지만, 내륙으로 약 6.4km 진격하여 제101공수사단과 만날 수 있었다.

4. 1. 2. 오마하 해변



오마하 해변은 가장 방어가 철저한 구역으로, 미국 제1보병사단과 제29보병사단의 병력이 배치되었다. 이들은 예상했던 단일 연대가 아닌, 제352보병사단과 맞서게 되었다. 강한 조류로 인해 많은 상륙정이 의도한 위치에서 동쪽으로 밀려나거나 상륙이 지연되었다. 병사들은 절벽 위에서 쏟아지는 포화에 노출되어 오마하 해변은 다른 상륙 지점보다 더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4. 1. 3. 골드 해변

골드 해변에서는 강한 바람으로 인해 상륙정이 상륙하기 상당히 어려웠으며, DD 전차는 계획된 지점보다 더 가까운 해안이나 해변 바로 앞에 상륙해야 했다. 공군은 르아멜 거점을 타격하는 데 실패했고, 그곳의 75mm 포는 오후 4시까지 계속해서 영국군에 피해를 입혔다. 서쪽 측면에서는 햄프셔 연대 제1대대가 아로망슈(향후 멀베리 "B"의 위치)를 점령했고, 동쪽 측면에서는 영국군이 캐나다군과 주노 해변에서 만나게 되었다.

4. 1. 4. 주노 해변

거친 바다로 인해 보병의 상륙이 지연되었고, 병사들은 지원 장갑차보다 먼저 도착하여 하선하는 동안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대부분의 해상 포격이 독일군의 방어 시설에 명중하지 않았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캐나다군은 신속하게 해변을 정리하고 해변 위 마을로 향하는 두 개의 출구를 확보했다. 제1기병전차연대의 한 부대는 침공 첫날 목표를 달성한 유일한 연합군 부대였다. 주노 해변에서의 사상자는 961명이었다. 베니쉬르메르를 점령하는 것이 지연되어 해변에 혼잡이 발생했지만, 6월 6일 자정 주노와 골드 해변의 연합군 교두보는 폭 19km, 깊이 10km에 이르게 되었다.

4. 1. 5. 소드 해변

소드 해변에서는 25대의 DD 전차 중 21대가 안전하게 상륙하여 07:30에 상륙을 시작한 보병을 엄호했다. 보병들은 신속하게 해변을 정리하고 여러 출구를 확보했다. 강한 바람으로 인해 조수가 예상보다 빠르게 들어와 기갑부대의 기동이 어려워졌다. 왕립 슈롭셔 경보병연대 제2대대는 도보로 에서 몇 킬로미터 이내까지 진격했으나, 장갑 지원 부족으로 철수해야 했다. 오후 4시에는 독일 제21기갑사단이 소드와 주노 해변 사이에서 반격을 시도하여 해안에 거의 도달할 뻔했으나, 영국 제3보병사단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캉과 바이외 사이 지역을 지원하기 위해 곧 철수했다.

4. 2. 셰르부르

1944년 공중 촬영한 셰르부르 항구.


노르망디 상륙의 서부 지역에서 미군은 코탕탱반도를 점령해야 했으며, 특히 셰르부르는 연합군에게 깊은 수심의 항구를 제공할 수 있어 중요한 목표였다. 유타와 오마하 해변 뒤쪽의 지형은 보카주가 주요 특징으로, 대부분의 도로는 전차가 다니기에 너무 좁았다. 독일군은 유타 해변 뒤쪽의 들판을 최대 3.2km까지 범람시키기도 했다.

6월 9일, 연합군 지휘관들은 셰르부르를 빠르게 점령하기 어렵다고 판단, 코탕탱반도를 차단하여 독일군의 추가 증원을 막기로 결정했다. J. 로턴 콜린스 소장은 제9보병사단에게 이 임무를 맡겼고, 제9보병사단은 6월 17일 코탕탱반도의 서쪽 해안에 도달하여 셰르부르를 차단했다.

이후 제9보병사단은 제4보병사단 및 제79보병사단과 합류한 뒤 6월 19일부터 독일군과 치열한 전투를 통해 코탕탱반도를 장악했고, 6월 26일에 셰르부르를 점령했다. 그러나 독일군이 셰르부르 항구 시설을 파괴했기 때문에 항구는 9월이 되어서야 완전히 운영될 수 있었다.

4. 3. 캉

캉 지역에서 독일 제21기갑사단, 제12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등과의 전투는 곧 교착 상태에 빠졌다. 퍼치 작전에서 영국 제30군단은 몽핑송을 향해 남쪽으로 진격하려 했으나, 직접적인 접근 대신 캉을 포위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제30군단은 제7기갑사단과 함께 틸리쉬르셀에서 빌레르보카쥬로 우회 기동했고, 제1군단은 캉 동쪽으로 진격하려 했다. 그러나 제1군단의 공격은 저지되었고, 제30군단은 빌레르보카쥬를 일시 점령했지만, 영국군 선발대가 매복 공격을 받아 빌레르보카쥬 전투가 벌어졌다. 결국 영국군은 틸리쉬르셀로 철수해야 했다.

퍼치 작전 진행도.


6월 17일부터 23일까지 폭풍으로 작전이 지연된 후, 6월 26일 엡섬 작전이 개시되었다. 제8군단은 캉 남서쪽을 공격하여 오동강 남쪽에 교두보를 확보하고자 했다. 이 작전으로 캉을 점령하지는 못했지만, 독일군은 가용 가능한 모든 기갑 부대를 투입하여 큰 전차 손실을 입었다. 7월 1일, 전쟁에서 패배했다고 언급한 룬트슈테트가 해임되고 귄터 폰 클루게 원수가 서부전선 최고사령관으로 교체되었다.

캉 전투 지도


7월 7일, 영국군은 찬우드 작전을 통해 캉 북부를 폭격하고 오르강 북쪽 지역을 점령했다. 7월 18일부터 21일까지 애틀랜틱 작전과 굿우드 작전이 이어져 캉의 나머지 지역과 남쪽 고지대가 점령되었지만, 이 과정에서 도시는 거의 파괴되었다. 7월 20일에는 7월 20일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했지만 실패로 끝났다.

4. 4. 방어선 돌파와 작전 종료

코브라 작전부터 팔레즈 포위전까지의 상황을 보여주는 지도.


코탕탱반도에서 생로까지 미군이 노르망디 남쪽 지역을 확보한 후, 미국 제1군은 7월 25일 코브라 작전을 개시하고 8월 1일까지 아브랑슈로 남진했다. 영국군은 7월 30일 비르와 몽핑송 고지를 확보하기 위해 블루코트 작전을 개시했다. 8월 1일 편성된 조지 S. 패튼 중장의 미국 제3군은 빠르게 브르타뉴 대부분과 루아르강까지의 영토를 점령했으며, 제1군은 그들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르망을 향해 동쪽으로 계속 진격했다. 8월 3일까지 패튼과 제3군은 브르타뉴에 소규모 병력을 남기고 동쪽으로 진격하여 캉 남쪽에 있는 독일군 주력 부대를 향해 진군할 수 있었다. 클루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8월 4일 히틀러는 비르에서 아브랑슈로의 역습(뤼티히 작전)을 명령했다.

8월 8일 토털라이즈 작전에서 제2캐나다군단이 캉에서 팔레즈를 향해 남진하는 동안, 브래들리와 몽고메리는 대부분의 독일군이 팔레즈 포위전에서 포위될 기회가 있음을 깨달았다. 제3군은 남쪽에서 포위를 계속하여 8월 11일 알랑송에 도달했다. 히틀러는 8월 14일까지 그의 군대가 반격해야 한다고 계속 주장했지만, 클루게와 그의 장교들은 동쪽으로 후퇴할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독일군은 주요 결정을 직접 내리려는 히틀러의 집착으로 심각한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로 인해 바이에른 오버잘츠베르크에 있는 히틀러의 거처로 정보를 보내는 동안 최대 24시간 동안 명령이 없었다. 8월 12일 저녁, 패튼은 브래들리에게 그의 군대가 북쪽으로 계속 진격하여 독일군을 포위해야 하는지 물었다. 브래들리는 이미 몽고메리가 제1캐나다군에게 북쪽 지역을 점령하도록 할당했기 때문에 이를 거부했다. 캐나다군은 강한 저항에 직면했고 8월 16일 팔레즈를 점령했다. 8월 21일에 포위망이 닫혀 50,000명의 독일군이 갇혔지만 독일 제7군의 3분의 1 이상과 11개 기갑사단 중 잔여 병력이 동쪽으로 탈출했다. 포위망에 대한 몽고메리의 의사 결정은 당시 미국 지휘관들, 특히 패튼의 비판을 받았으나, 브래들리는 이 결정에 대해 보다 동정적이었고 패튼이 포위망을 닫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믿었다. 이 문제는 역사가들 사이에서 많은 논의의 주제가 되었고, 미국, 영국, 캐나다군 모두가 비판을 받았다. 히틀러는 8월 15일 클루게를 서부 총사령부(OB West)에서 해임하고 그를 발터 모델 원수로 교체했다. 클루게는 8월 19일 히틀러가 7·20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에 그의 연루 사실을 알게 된 후 자살했다.

8월 19일 파리에서 프랑스 레지스탕스가 독일군에 맞서 봉기했다. 아이젠하워는 처음에 다른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파리를 우회하려고 했지만, 시민들이 굶주리고 있다는 보고와 히틀러가 파리를 파괴하려는 의도를 밝힌 상황에서 샤를 드골은 즉시 파리를 탈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필리프 르클레르 장군 휘하의 프랑스 제2기갑사단이 8월 24일 파리 서쪽에 도착했고, 미국 제4보병사단은 파리 남쪽에서 압박을 가했다. 8월 25일 아침까지 전투 끝에 파리는 해방되었다.

4. 5. 후속 작전

1944년 9월 1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연합군 지상군 전체의 직접 지휘를 맡았다. 독일의 반격과 프랑스로 도착하는 물자의 제한을 우려한 그는 좁은 돌파구를 시도하는 대신 광범위한 전선을 따라 작전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노르망디에 주둔한 연합군 병력과 남부 프랑스에 주둔한 연합군 병력은 9월 12일 지크프리트 방어선으로 진격하기 위한 작전의 일환으로 연결되었다.

나치 독일 국기를 노획한 캐나다 군인들


한편 용기병 작전으로 마르세유와 툴롱을 확보한 연합군은 쥐라산맥 서쪽을 따라 계속 북진했지만, 연합군의 작전 구조를 개편하기 위해 용기병 작전의 총사령관인 트러스콧은 작전을 끝내라는 아이젠하워의 명령을 받고 공세를 중단했다. 9월 17일, 몽고메리는 영국-미국 공수 부대가 네덜란드 교량을 점령하려 한 마켓 가든 작전을 시작했지만, 이는 실패로 끝났다. 연합군의 진격은 독일의 저항과 보급품 부족(특히 연료)으로 인해 둔화되었다. 12월 16일, 독일군은 서부 전선에서 전쟁의 마지막 주요 공세인 벌지 전투로도 알려진 아르덴 공세를 시작했다. 일련의 성공적인 소련군의 작전은 1월 12일에 비스와-오데르 공세로 시작되었다. 아돌프 히틀러는 소련군이 베를린의 ''총통 벙커''에 접근하자 4월 30일에 자살했고, 독일은 1945년 5월 7일에 항복했다.

5. 평가

5. 1. 연합군의 승리 요인

오버로드 작전의 승리는 여러 요인에 기인했다. 대서양 방벽에 대한 독일군의 준비는 부분적으로만 완료되었고, D-데이 직전에 에르빈 롬멜은 자원이 다른 곳으로 전환되면서 일부 지역의 공사가 18%만 완료되었다고 보고했다. 포티튜드 작전에서 수행된 기만 작전이 성공하여 독일군은 광대한 해안선을 방어해야 했다. 연합군은 항공 우위를 달성하고 유지하여 독일군이 영국에서 진행 중인 준비 상황을 관찰하거나 폭격 공격으로 방해할 수 없었다. 프랑스의 교통 인프라는 연합군 폭격기와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의해 심각하게 파괴되어 독일군은 증원군을 배치하거나 보급품을 가져오는 것이 어려워졌다. 독일 고위 지휘부의 우유부단함과 지나치게 복잡한 지휘 구조도 연합군의 성공 요인 중 하나였다.

바그라티온 작전 (1944.6.22~1944.8.19) 개황도.


유럽 전체의 전황으로 보자면, 동부 전선의 전황이 1944년 초부터 급격하게 바뀐 것도 오버로드 작전이 성공적으로 끝날 수 있었던 원인 중 하나였다. 아돌프 히틀러는 서구 연합군이 프랑스에 상륙할 예정이라는 소식을 듣자 동부 전선에서의 영토를 잃지 않으려고 했다.[6] 이오시프 스탈린은 바그라티온 작전의 실행을 위해 서구 연합군과 작전 일정을 조율하였고, 다양한 문제로 인해 원래 일정보다 조금 지연된 1944년 6월 22일 작전을 개시했다.[7] 이 작전으로 인해 독일 중부집단군의 34개 사단 중 28개 사단이 완전히 격멸되었으며,[8] 사상자는 최대 450,000명에 달했다.[9] 서구 연합군이 1944년 6월부터 7월까지 보카주에서 독일군과 치열하게 전투를 벌이는 동안, 소련군은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724km를 진격하고 벨라루스를 해방하고 폴란드 동부에 진입했다.[10] 오버로드 작전으로 두 번째 전선이 열리자 독일군은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 프랑스에서 가용할 수 있는 병력을 빼낼 수 없었다.[11][6] 바그라티온 작전과 오버로드 작전이 종료되었을 때 독일군은 양쪽 전선 모두에서 큰 손실을 입은 채 전쟁을 지속해야 했으며,[6] 실제 몇몇 역사학자들은 바그라티온 작전이 서구 연합군이 오버로드 작전을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었던 것에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보기도 한다.[6][10] 결론적으로 오버로드 작전과 바그라티온 작전은 서로 작전의 결과에 영향을 준 요인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5. 2. 독일군의 실패 요인

오버로드 작전 이전부터 독일군은 물자 및 인력을 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는 동부 전선에서 소련과 독일군 간의 전투에서 수많은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었다.[15]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독일 국방군 제6군이 궤멸한 것은 독일군이 더 이상 무적이 아니라는 것을 입증했으며,유럽 전체의 전황이 뒤바뀌게 되었다.[12][13] 스탈린그라드에서 독일군이 입은 손실은 전체적인 독일 국방군의 전력 손실을 야기했으며 독일 국방군은 이 손실을 전쟁이 끝날 때까지 회복하지 못했다.[14]

무장친위대 인도 의용군단의 독일군 병사가 1944년 3월 21일 프랑스의 대서양 방벽에 주둔 중이다.


병력 보충이 어려웠던 독일군은 힐프스빌리거[16] 같은 외국인 의용부대를 운용하거나 하인리히 힘러가 1934년 마련한 징집 규정을 어기고 점령지 여러 곳에서 병력을 보충했다. 독일군은 바르바로사 작전 기간까지 베네룩스, 체코슬로바키아, 프랑코 정권, 헝가리 왕국, 발칸반도 등지에서 병력을 보충했다. 1942년부터는 러시아, 크로아티아 독립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조지아, 우크라이나 등지에서 병력을 추가로 징집하게 되었다. 이들 징집병은 제11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노르트란트나 제5SS기갑사단 비킹, 친위대 제20무장척탄병사단, 제7SS의용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과 같은 편제로 다시 편성되기도 했다. 독일 국방군 역시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쾨스트링의 지휘 하에 동부군을 비롯한 여러 외국인 자원군을 편성하였다.[17] 이 병력 부족 문제는 오버로드 작전 때도 지속되어 노르망디 상륙 당시 해안 방어를 담당하던 병사들은 대부분 동부군 출신이었다. 독일 육군은 1944년 한 해 6,550,000명의 병사를 모집했지만, 이 병사 중 동부 전선에서 사망한 총 병사 수는 약 430만 명이었다.

6. 피해

6. 1. 연합군

오마하 해변 상륙 당시 부상을 입은 미군 병사들


오버로드 작전부터 8월 21일까지 프랑스 북부에 2,052,299명의 연합군 병력이 상륙했다. 6월 6일부터 8월 말까지 미군은 124,394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그 중 20,668명이 전사하고 10,128명이 실종되었다.

제1캐나다군과 영국 제2군의 사상자는 83,045명으로 집계되었으며, 그 중 15,995명이 전사하고 57,996명이 부상, 9,054명이 실종되었다. 이 중 캐나다군의 손실은 18,444명으로, 5,021명이 전사했다. 6월 6일부터 11일 사이에 전사한 캐나다군 병사 7명 중 1명은 항복 후 처형되었으며, 이 사건은 노르망디 학살로 알려지게 되었다.

상륙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연합군 공군은 480,317회의 출격을 실시하여 4,101대의 항공기와 16,714명의 항공 승무원을 잃었다. 이 중 8,536명은 미국 육군 항공대 소속이었고, 8,178명은 영국 공군 지휘하에 있었다. 자유 프랑스 SAS 공수부대는 77명이 전사하고, 197명이 부상 또는 실종되었다. 연합군의 전차 손실은 4,000대로 추정되며, 전차 손실 수치는 미군과 영국/캐나다군이 비슷할 것으로 추산된다.

전체 사상자 수는 최저 225,606명에서 최고 226,386명으로 추산된다.

6. 2. 독일군

생람베르쉬르디브에서 항복하는 독일군. 1944년 8월 21일.


오버로드 작전에서 독일군은 막대한 인적, 물적 손실을 입었다. 연합군은 6월에 북부 프랑스에서 47,000명의 독일군을 포로로 잡았고, 7월에는 36,000명, 8월에는 150,000명을 포로로 잡아, 오버로드 작전의 세 달 동안 총 233,000명을 포로로 잡았다고 보고했다.[2] 약 80,000명의 독일군이 노르망디에 묻혀 있는데, 이 수치에는 전투 이전에 사망한 독일군과 전투가 끝난 후 포로 수용 중에 사망한 독일군의 미보고 수가 포함되어 있다.

독일군은 6월 6일부터 8월 14일 남부 프랑스에서의 용기병 작전이 시작되기 직전까지 158,930명의 손실을 보고했다.[18] 팔레즈 포위전에서만 50,000명이 손실되었으며, 그 중 10,000명이 사망하고 40,000명이 포로로 잡혔다.[18]

독일군의 총 피해 규모에 대해서는 출처마다 다르지만, 적게는 21만 명에서 많게는 53만 명까지 추산된다. 노르망디 전투에서 독일군의 전차 손실에 대한 정확한 수치는 없지만, 약 2,300대의 전차와 돌격포가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이 중 100대에서 120대만이 전역이 끝날 때 센강을 건넜다. 루프트바페(Luftwaffe)는 2,127대의 항공기를 잃었다.[18]

노르망디 전투가 끝날 때까지 55개의 독일 사단(42개의 보병 사단과 13개의 기갑 사단)이 전투 불능 상태에 빠졌고, 이 중 7개 사단은 해체되었다.

6. 3. 노르망디 지역



오버로드 작전으로 노르망디가 해방되는 동안 13,632명에서 19,890명의 프랑스 민간인이 사망했고, 더 많은 이들이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이 작전 기간 동안 사망한 이들 외에도, 노르망디 침공 전 폭격으로 11,000명에서 19,000명의 노르망디 주민들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쟁 전체를 통틀어 70,000명의 프랑스 민간인이 사망했다. 지뢰와 불발탄은 작전 종료 후에도 노르망디 주민들에게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혔다.

침공에 앞서 연합군 최고사령부(SHAEF)는 프랑스 문화유산 파괴를 제한해야 한다는 지침을 발표했으며, 이는 후에 1954년 헤이그 협약 제1의정서의 기초가 되었다. 공식 민사 목록에 등재된 유적지들은 상부 지휘 계통의 허가 없이는 군대가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군이 사용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지역 전역의 교회 첨탑과 기타 석조 건물들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었다. 중요한 유적의 잔해를 도로 보수에 사용하는 것을 막고 유물을 찾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바이외 태피스트리와 다른 중요한 문화유들은 전쟁이 시작될 때부터 샤토드쉬르슈에 보관되어 있었고, 온전하게 살아남았다. 점령 중이던 독일군 또한 보호 건물 목록을 가지고 있었으나, 이들의 의도는 독일군 병사들의 숙소로 사용하기 위해 시설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었다.

노르망디의 많은 도시와 마을들이 전투와 폭격으로 인해 완전히 파괴되었다. 캉 전투가 끝날 무렵, 60,000명이 넘는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거주지는 8,000채만 남아 있었다. 캉에 있는 18개의 등재된 교회 중 네 곳이 심각하게 손상되었고, 다섯 곳이 파괴되었으며, 66개의 다른 등재된 기념물들도 함께 파괴되었다. 노르망디 상륙이 이루어진 칼바도스 지역에서는 76,000명의 시민들이 집을 잃었다. 오버로드 작전 기간 동안 독일군, 연합군, 프랑스 주민 모두 약탈을 저질렀다. 그러나 연합군 부대에서 약탈은 절대 허용되지 않았으며 약탈한 것으로 적발된 연합군 병사는 처벌을 받았다.

7. 기념

노르망디의 해변들은 여전히 침공 당시의 코드명으로 알려져 있다. 중요한 장소들에는 명판, 기념물, 혹은 작은 박물관이 있으며, 안내서와 지도가 제공된다. 일부 독일군의 요새들은 보존되어 있으며, 특히 프앙테 뒤 오크(Pointe du Hoc)는 1944년 당시와 거의 변하지 않았다. 뫼르베리 항구 B의 잔해는 여전히 아로망슈(Arromanches) 바다에 남아 있다.

이 지역에는 노르망디 미군 묘지 및 기념지, 바이외 전쟁 묘지 등 노르망디 전역에서 사망한 많은 연합군과 독일군 병사들을 위한 여러 개의 큰 묘지가 있다. 연합군과 독일군의 전쟁 묘지는 1944년 대부분 조성되었으며,[19] 연합군의 전쟁 묘지는 각각 미군 전투 기념 위원회[20],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21] 그리고 프랑스 정부가 관리하고 있다.

오버로드 작전의 개시일이자 노르망디 상륙 당일인 6월 6일은 1945년부터 기념해왔다.[22] 1945년 1주년 기념일 때 이 기념행사에 참석한 인원은 몇백 명에 불과했다.[22] 그러나 현재 노르망디 상륙 기념은 세계 각국의 외교의 장이자 국제 역학 관계를 보여주는 행사로 평가받고 있다.[22]

201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 7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오버로드 작전 참전국 정상들.

참조

[1] 간행물 SHAEF Weekly Intelligence Summary, No.51 "1945-03-11"
[2] 간행물 SHAEF Weekly Intelligence Summary, No.51 "1945-03-11"
[3] 서적 大いなる聖戦(下)
[4] 문서
[5] 웹사이트 "「解放者」米兵、ノルマンディー住民にとっては「女性に飢えた荒くれ者」" https://www.afpbb.co[...] AFP 2013-05-27
[6] 웹인용 How the Soviets DESTROYED Army Group Centre https://www.youtube.[...] 2024-07-03
[7] 서적 Operation Bagration: The Soviet Destruction of German Army Group Center, 1944 Casemate Publishers (Ignition) 2020-10-28
[8] 서적 Ostfront 1944: The German Defensive Battles on the Russian Front 1944 Schiffer Publishing, Ltd. 1995
[9] 서적 Europe at War
[10] 뉴스 The other D-day – and the onset of Cold War https://www.theguard[...] 가디언 2014-06-21
[11] 하버드 인용
[12] 서적 Victory at Stalingrad Routledge
[13] 웹인용 Stalingrad at 75, the Turning Point of World War II in Europe https://origins.osu.[...] 2017-08-15
[14] 저널 The Strategic Implications of the Battle of Stalingrad https://apps.dtic.mi[...] US Army War College 2004
[15] 서적 Contemporary World History Cengage Learning
[16] 웹인용 Leaning on Legionnaires: Why Modern States Recruit Foreign Soldiers https://direct.mit.e[...]
[17] 서적 "Die Generale des Heeres 1921–1945" Biblio Verlag
[18] 간행물 SHAEF Weekly Intelligence Summary, No.51 "1945-03-11"
[19] 간행물 Arbeitsbilanz 2019 Volksbund Deutsche Kriegsgräberfürsorge e. V. (Hrsg.) 2020-04
[20] 웹인용 About http://www.abmc.gov/[...] American Battle Monuments Commission
[21] 웹인용 A History of the Commonwealth War Graves Commission http://issuu.com/war[...] Commonwealth War Graves Commission
[22] 뉴스 How D-Day commemorations became the stage for diplomacy and geopolitics https://www.france24[...] 프랑스24 2024-06-04
[23] 웹인용 D-Day 70th Anniversary Celebrations: Queen, Obama, Merkel, Putin and Cameron in France https://www.thedaily[...] 2017-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