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시예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시예크는 크로아티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무르사'라는 요새가 건설되었다. 1196년에 '오시예크'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중요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합스부르크 제국에 편입된 후 서양식으로 개조되었고, 19세기에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다. 20세기에는 도시가 확장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과 크로아티아 전쟁으로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이 발달한 도시이며, 다양한 문화 행사와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보니아 - 시르미아
    시르미아는 스렘스카미트로비차의 고대 도시 시르미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현재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에 걸쳐 있으며, 로마 제국 시기 판노니아의 중심지였고, 프루슈카 고라 산맥이 주요 지형을 이룬다.
  • 슬라보니아 - 빈코브치
    빈코브치는 크로아티아 동부 슬라보니아에 위치한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키발리스라는 이름으로 번성했고,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지배를 거쳐 교통 요충지로 발전했고, 현재는 무역, 운송, 식품 가공을 중심으로 경제가 운영되며 "빈코브치 가을" 축제가 열린다.
  • 크로아티아의 주도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 크로아티아의 주도 - 리예카
    크로아티아 서부 아드리아해 북부 연안에 위치한 리예카는 고대부터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2020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된 풍부한 역사와 문화 유적을 지닌 곳이다.
  • 크로아티아의 도시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 크로아티아의 도시 - 리예카
    크로아티아 서부 아드리아해 북부 연안에 위치한 리예카는 고대부터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2020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된 풍부한 역사와 문화 유적을 지닌 곳이다.
오시예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오시예크 시기
시기
오시예크 시 문장
시 문장
별칭드라바 강변의 도시
정복되지 않은 도시
공식 명칭오시예크 시
로마자 표기Osijek
행정 구역
국가크로아티아
오시예크-바라냐 주
선거구IV 선거구
정치
시장이반 라디치
시장 소속 정당크로아티아 민주 연합
시의회31석
시의회 구성HDZ, NL Ante Đapića, ANU (14석)
DP, Most (6석)
SDP (6석)
Možemo! (2석)
Snaga SiB (2석)
HNS, HSS, NS-R (1석)
지리
면적174.9km²
도시 면적59.1km²
해발 고도94m
인구
총 인구 (2021년)96,313명
도시 인구 (2021년)75,535명
시간대
시간대CET
일광 절약 시간CEST
UTC 오프셋+1
UTC 오프셋 (하계)+2
기타 정보
우편 번호31000
지역 번호31
차량 번호OS
기후Cfb
웹사이트오시예크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오시예크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초기에는 일리리아인켈트족이 정착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무르사'(Mursa)라는 이름의 요새 도시가 세워져 131년 하드리아누스 황제로부터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1196년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 '오시예크'라는 이름은 중세 시대를 거치며 사용되었다. 1526년 8월 8일, 오스만 제국의 침공으로 파괴되었으나, 이후 오스만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1687년에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편입되어 서양식으로 도시 구조가 개편되었으며, 1809년 자유 왕립 도시 칭호를 얻었다. 19세기 초에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도시로 성장하며 문화적, 경제적으로 번영했다.

20세기에 들어서도 도시는 계속 확장되었으나,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1991년-1995년) 당시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전쟁 이후 복구 노력을 통해 역사적인 건축물들이 점차 옛 모습을 되찾고 있다.

2. 1. 고대

오시예크 지역에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9] 최초의 거주민은 일리리아인이었으며, 기원전 4세기 후반에는 켈트족의 일파인 스코르디스키족이 이 지역을 침략했다.[10]

로마 제국이 판노니아를 정복한 후, 이곳에 "무르사"(Mursa)라는 이름의 정착지가 세워졌다. 로마 제7 젬미나 군단이 주둔하며 행정을 담당했고, 군사적 카스트룸(요새)과 드라바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건설하여 유지했다. 131년[7](일부 자료에서는 133년으로도 기록됨)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는 오래된 정착지인 무르사 마이오르(Mursa Maior)를 로마 식민지로 승격시키고 특별한 지위를 부여했다.

그러나 무르사는 이후 격동의 역사를 겪었다. 주변 지역에서는 여러 중요한 전투가 벌어졌는데, 대표적으로 260년 아우레올루스와 잉게누우스 사이의 전투[11], 그리고 351년에 벌어진 매우 치열했던 무르사 마요르 전투가 있다. 특히 후자의 전투는 이미 고트족을 비롯한 여러 부족의 침략으로 압박받고 있던 식민지와 지역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6세기에는 아바르 카간국이 침입하여 당시 거주하던 부족들을 파괴했다. 그 후 슬라브족 계열의 크로아티아인들이 무르사 유적지에 새로 정착하여 마을을 세웠다. '오시예크'라는 이름은 크로아티아어로 썰물을 뜻하는 'oseka'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주변 습지의 범람을 피해 높은 지대에 마을을 건설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2. 2. 중세

1196년 문헌에서 '오시예크'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 이름은 크로아티아어로 썰물을 뜻하는 oseka|오세카hr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과거 습지대의 범람을 피해 주민들이 높은 지대에 마을을 건설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중세 시대 오시예크의 모습에 대한 기록이나 유적은 많이 남아있지 않다. 이는 1526년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한 후, 기존의 건물들을 파괴하고 자신들의 방식으로 도시를 재건했기 때문이다. 1353년부터 1472년까지 오시예크는 코로지(Korogyi) 가문의 봉건 영지였다.

1526년 8월 8일, 오시예크는 오스만 제국 군대의 침공을 받아 크게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은 이곳을 터키식으로 재건하여 1566년에는 오스만 양식의 도시가 들어섰으며, 1579년에 이루어진 오스만 제국의 조사 기록에도 '오시예크'라는 지명이 등장한다. 술레이만 1세 통치 시기에는 오시예크에 총 길이 8km에 달하는 거대한 목조 다리가 건설되었는데, 이 다리는 '술레이만의 다리'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다.

2. 3. 근세

1526년 8월 8일, 오스만 제국 군대의 침공으로 도시는 파괴되었으나, 오스만 제국은 자신들의 방식으로 도시를 재건했다. 1566년에는 오스만 양식의 도시가 건설되었고, 1579년 터키 측의 조사 기록에도 오시예크라는 이름이 등장한다. 술레이만 1세는 이곳에 총 길이 8km에 달하는 유명한 목조 다리인 '술레이만의 다리'를 건설하기도 했다. 오시예크는 17세기에 공식적으로 시(市)의 지위를 얻었다.

1687년 9월 29일,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오시예크를 점령하면서 서구 세력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19] 1712년부터 1721년 사이에 오스트리아 당국은 도시 중심부에 '트르자(Tvrđa)'로 알려진 새로운 요새를 건설했다.[20] 건축가 막시밀리안 드 고소(Maximilian de Gosseau)가 설계한 이 요새는 성벽과 계획된 5개의 보루를 포함했다. 트르자의 중심인 삼위일체 광장(Holy Trinity Square)은 북쪽으로 슬라보니아 군사령부 궁전, 서쪽으로 메인 가드(Main Guard) 건물, 동쪽으로 치안 판사 건물(현재 슬라보니아 박물관)으로 둘러싸여 있다. 광장 중앙에는 1729년 막시밀리안 페트라스(Maximilian Petras) 장군의 미망인이 세운 페스트 기념비가 있다.[21]

요새 건설과 함께 새로운 도시 구역도 형성되었다. 고지대에 위치한 고르니 그라드(Gornji Grad, "상부 도시")는 1692년에, 저지대에 위치한 도니 그라드(Donji Grad, "하부 도시")는 1698년에 건설되었는데, 도니 그라드에는 주로 인근 바라냐 지역의 습지대 주민들이 정착했다. 트르자, 고르니 그라드, 도니 그라드는 1786년까지 별도의 자치 구역으로 존재하다가 하나의 행정 단위로 통합되었다.[22] 18세기 말, 오시예크는 비로비티차를 대신하여 비로비티차 현의 중심지가 되었다. 합스부르크 제국은 이 시기 독일계 주민들의 이주와 정착을 장려했으며,[23] 이로 인해 오시예크 특유의 독일어 방언인 Essekerrisch|에세케리슈de가 형성되기도 했다.[24][23]

1809년 오시예크는 자유 왕립 도시 칭호를 부여받았고,[25] 19세기 초에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도시로 성장했다.[25] 이 시기 오시예크는 이나 부다페스트와 같은 다른 중앙유럽 도시들처럼 문화, 건축, 사회경제적으로 발전했다.

2. 4. 현대

1687년 9월 29일, 합스부르크 제국이 오스만 군대를 몰아내고 오시예크를 점령하면서 서방 세계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19] 오스트리아 당국은 1712년부터 1721년까지(다른 기록에 따르면 1715년까지[20]) 도시 중심부에 트르자(Tvrđa)로 알려진 새로운 요새를 건설했다. 건축가 막시밀리안 드 고소(Maximilian de Gosseau)가 설계한 이 요새는 5개의 보루와 외벽으로 이루어졌다.[20] 트르자의 중심인 삼위일체 광장(Holy Trinity Square)은 북쪽으로 슬라보니아 군사령부 궁전, 서쪽으로 메인 가드(Main Guard) 건물, 동쪽으로는 당시 치안 법원 건물이었던 현재의 슬라보니아 박물관(Museum of Slavonia)으로 둘러싸여 있다. 광장 중앙에는 1729년 막시밀리안 페트라스(Maximilian Petras) 장군의 미망인이 세운 페스트 기념비가 서 있다.[21]

도시의 다른 구역들도 개발되었다. 고지대에 위치한 고르니 그라드(Gornji Grad, "상부 도시")는 1692년에, 저지대에 위치한 도니 그라드(Donji Grad, "하부 도시")는 1698년에 건설되었으며, 주로 바라냐 지역의 습지대 주민들이 정착했다. 이 세 구역(트르자, 고르니 그라드, 도니 그라드)은 1786년까지 별도의 자치구로 운영되다가 하나의 도시로 통합되었다.[22] 18세기 말, 오시예크는 비로비티차를 대신하여 비로비티차 현의 중심지가 되었다. 합스부르크 제국은 이 시기에 독일계 이민자들의 정착을 장려했으며,[23] 이로 인해 도시에는 Essekerrisch|에세케리쉬de라는 독특한 독일어 방언이 형성되기도 했다.[24][23]

1809년 오시예크는 자유 왕립 도시 칭호를 받았고, 19세기 초에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도시로 성장했다.[25] 이 도시는 이나 부다페스트와 같은 다른 중부 유럽 도시들처럼 문화, 건축, 사회경제적으로 발전했다. 1848년 헝가리 혁명 당시 잠시 헝가리 군대에 점령되기도 했으나, 1849년 2월 4일 바론 트레베르스베르크(Baron Trebersberg) 장군이 이끄는 오스트리아 군대에 의해 다시 점령되었다.[26]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오시예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자치 지역인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비로비티차 현 소재지였다.[26][27]

오시예크 대성당


안테 스타르체비치 광장


19세기 오시예크의 문화 생활은 극장, 박물관(1877년 개인 기부로 설립된 슬라보니아 박물관), 그리고 프란치스코회에서 운영하는 인쇄소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28] 경제적 번영과 활발한 무역을 바탕으로 도시 사회는 종교 축제, 박람회, 다양한 오락 및 스포츠 활동을 즐겼다. 이 시기에 도시 서쪽의 레트팔라(Retfala)와 함께 노비 그라드(Novi Grad, 신시가지) 구역이 건설되었다. 19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오시예크에는 약 12,000명의 크로아티아인, 약 11,000명의 독일인, 약 7,000명의 유대인, 약 3,700명의 헝가리인이 거주하고 있었다.

20세기에 들어서도 도시는 계속 확장되어 스넨약(Sjenjak), 이반 메슈트로비치의 이름을 딴 비예나츠 이바나 메슈트로비차(Vijenac Ivana Meštrovića), 노비 그라드, 유그 II(Jug II)와 같은 새로운 지역들이 개발되었다. 드라바강변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과 바로크 양식의 트르자(Tvrđa)와 같은 풍부한 문화 및 역사 유산은 관광 산업 발달의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시예크 정유 공장이 연합군의 전략 폭격 목표가 되기도 했다. 전쟁 이후, 도시에 거주하던 독일계 주민 상당수가 추방되었다.

전후 오시예크는 문화 및 사회 기반 시설을 확충해 나갔다. 일간지 ''글라스 슬라보니예''(Glas Slavonije)가 오시예크로 이전하여 발행되기 시작했고, 1947년에는 시립 역사 기록 보관소가, 1949년에는 시립 도서관(GISKO)이 설립되었다. 1950년에는 어린이 극장과 미술관이 문을 열었으며, 1954년에는 크로아티아 전통 음악과 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문화 예술 단체 "파요 콜라리치"(Pajo Kolarić)가 창단되었다.

교통 인프라도 개선되었다. 1958년에는 당시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수도였던 자그레브 및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수도였던 베오그라드와 연결되는 현대적인 포장 도로가 개통되었다. 1962년에는 드라바강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다리가 건설되었고, 1980년대에는 보행자 전용 현수교가 추가로 건설되었다.

교육 분야에서도 발전이 있었다. 1959년 자그레브 대학교 경제학부의 부속 연구 센터로 시작한 경제학부가 개설되었고, 이후 농업 고등학교(훗날 농업학부로 개편)와 철학부가 뒤를 이었다. 1975년에는 법학부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오시예크 대학교(University of Osijek)가 공식 출범하며 이들 학부를 통합 관리하게 되었다. 지역의 주요 산업인 식품 가공 및 농업 발전을 위해 1962년에는 주요 농업-산업 복합체가 설립되었으며, 국영 방송 JRT의 지역 센터도 문을 열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당시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


세르비아 군의 탱크를 막아선 피아트 600 자동차를 형상화한 ''Crveni fićo'' 설치물


1991년부터 1995년까지 이어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오시예크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과 세르비아계 반군의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부코바르만큼 완전한 파괴는 면했지만, 시가지 중심부와 오시예크 대성당(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공동 대성당)[34]을 비롯한 여러 건물과 외곽 지역이 심하게 손상되었다. 특히 1991년 8월부터 1992년 6월까지 이어진 집중 포격으로 인해 약 800명[35](다른 자료에서는 1,200명 이상)의 시민이 목숨을 잃었다. 전쟁 기간 전체를 통틀어 오시예크 출신 사망자는 군인 1,327명과 민간인 397명을 포함하여 총 1,724명에 달했다.[36] 전쟁 중 오시예크에서는 세르비아계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전쟁 범죄도 발생했으며, 브라니미르 글라바시(Branimir Glavaš) 장군을 포함한 크로아티아 측 인사 5명이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37]

전쟁의 상흔은 일부 건물에 여전히 남아있지만, 최근 복구 자금이 지원되면서 구시가지의 역사적인 바로크 양식 건물들이 옛 모습을 되찾고 있다. 전쟁의 기억을 상징하는 설치물로는 세르비아 군의 탱크 진격을 막아선 붉은 피초(Crveni fićo) 자동차를 형상화한 기념물과 독립 전쟁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 등이 있다.

3. 지리

오시예크는 크로아티아 동부 슬라보니아 지방에 위치하며 드라바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다. 판노니아 평원의 일부로, 도시 주변은 비옥한 농경지가 펼쳐져 있다. 해발 고도는 약 94m이다.

3. 1. 기후

오시예크는 서안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b'')에 속한다.

오시예크의 기후 (1971년~2000년 평균, 극값 1899년~2014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합계
역대 최고 기온 (°C)19°C23°C26.9°C30.9°C36°C39.6°C40.3°C40.3°C37.1°C30.5°C25.8°C21.3°C40.3°C
평균 최고 기온 (°C)3.3°C6.5°C12.3°C17.2°C22.6°C25.6°C27.6°C27.5°C23.4°C17.4°C9.4°C4.7°C16.5°C
일평균 기온 (°C)-0.2°C1.8°C6.4°C11.2°C16.7°C19.7°C21.3°C20.8°C16.5°C11°C5.1°C1.2°C11°C
평균 최저 기온 (°C)-3.3°C-2.1°C1.3°C5.5°C10.5°C13.6°C14.8°C14.5°C10.8°C6.1°C1.6°C-1.7°C6°C
역대 최저 기온 (°C)-27.1°C-26.4°C-21°C-6.8°C-3°C1°C4.7°C5.1°C-1.2°C-8.6°C-15.7°C-23.2°C-27.1°C
평균 강수량 (mm)41.4mm35.1mm40.5mm51mm59.2mm82mm65.4mm61.9mm51mm56.6mm61.7mm49.1mm654.9mm
평균 강수일수 (≥ 0.1 mm)11.310.611.213.013.313.410.69.99.410.511.712.3137.2
평균 강설일수 (≥ 1.0 cm)10.37.82.10.00.00.00.00.00.00.02.26.528.9
평균 상대 습도 (%)87.581.974.171.370.170.969.671.876.279.286.188.577.3
월평균 일조 시간58.996.1145.7171.0217.0231.0260.4251.1189.0142.669.055.81887.6
평균 일조율 (%)20344245525560615344252145
출처: 크로아티아 기상 수문 서비스[67][68]


4. 인구

'''오시예크의 역사적 인구'''
연도인구
188025,260
189027,801
190033,407
191040,106
192142,930
193151,871
194858,046
195366,073
196184,652
1971109,189
1981123,944
1991129,792
2001114,616
2011108,048
202196,848



출처: Naselja i stanovništvo Republike Hrvatske 1857–2001, DZS, Zagreb, 2005 및 2021년 인구 조사

오시예크 구시가지, 트르자


성 미카엘 교회


교외 주택


1910년 오스트리아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도시 인구 31,388명 중 크로아티아인이 12,625명, 독일인 또는 도나우 슈바벤인이 11,269명, 헝가리인이 3,729명, 세르비아인이 2,889명, 기타 민족이 876명이었다. 종교별로는 로마 가톨릭 신자가 24,976명으로 가장 많았고, 동방 정교회 신자 2,943명, 유대인 2,340명, 개혁교회(칼뱅교) 신자 594명, 개신교 신자 385명, 그리스 가톨릭 신자 122명, 기타 종교 신자 28명 순이었다.[40][4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의 독일 점령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도나우 슈바벤인의 상당수가 추방되었고, 그들의 재산은 국가에 귀속되어 전쟁 피해자들에게 분배되었다.

1981년 인구 조사에서는 도시의 총 인구가 104,775명이었으며, 이 중 크로아티아인이 63,373명(60.48%), 세르비아인이 13,716명(13.09%), 헝가리인이 1,521명(1.45%)을 차지했다.[42]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직전인 1991년 인구 조사에서는 총 인구가 165,253명으로 집계되었다. 민족 구성은 크로아티아인 110,934명(67.1%), 세르비아인 33,146명(20.0%), 헝가리인 3,156명(1.9%), 독일인 276명(0.16%)이었으며, 자신을 유고슬라비아인으로 밝히거나 '기타'로 분류된 인구가 17,741명(10.7%)이었다.[43]

2001년 인구 조사에서는 오시예크의 총 인구가 114,616명으로 감소했다. 크로아티아인이 인구의 86.58%를 차지하며 다수를 이루었고, 세르비아인 8,767명(7.65%), 헝가리인 1,154명(1.01%), 알바니아인 480명(0.42%), 보스니아인 211명(0.18%), 몬테네그로인 175명(0.15%), 마케도니아인 178명(0.16%), 로마니족 124명(0.11%), 그리고 24명의 유대인을 포함한 기타 민족이 뒤를 이었다.[44] 같은 해 종교 구성은 로마 가톨릭 신자가 96,600명(84.28%)으로 가장 많았고, 동방 정교회 신자 8,619명(7.52%), 이슬람교도 966명(0.84%), 동방 가톨릭 교회 신자 78명(0.07%) 순이었다.[45]

201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오시예크시를 구성하는 정착지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46]

정착지인구
브리예스트1,187
브리예슈체1,318
요시포바츠4,101
클리사324
네메틴139
오시예크 (도심)84,104
포드라블레357
사르바시1,884
테냐7,376
트르자비차578
비슈네바츠6,680



도시의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47]


  • 지방 위원회(mjesni odbor|몌스니 오드보르hrv):
  • * 요시포바츠
  • * 비슈네바츠
  • * 크브예트노
  • * 브리예스트
  • * 오시예크 리예바 오발라
  • * 테냐
  • * 클리사
  • * 사르바시
  • 도시 구역(gradska četvrt|그라드스카 체트브르트hrv):
  • * 레트팔라
  • * 고르니 그라드
  • * 산업 구역
  • * 트르자
  • * 노비 그라드
  • * 유그 II
  • * 도니 그라드

5. 정치

노르만 궁전, 현재 오시예크-바라냐 주 정부 청사


오시예크 시 및 주 법원


오시예크의 시의회 선거는 비례대표제를 따르기 때문에 특정 정당이 과반수를 차지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2007년 11월 선거 역시 과반수를 확보한 정당이 없었으며, 연립 정부 구성에 난항을 겪었다. 이 선거는 기존의 주요 연립 세력이었던 크로아티아 권리당(HSP)과 슬라보니아와 바라냐의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HDSSB) 간의 연합이 새로운 스포츠 경기장 건설 문제에 대한 이견으로 붕괴하면서 조기에 치러진 선거였다.[50][51]

2007년 11월 25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7년 11월 25일 오시예크 시의회 선거 결과[52]
정당득표 의석 수
크로아티아 권리당 (HSP)7석
슬라보니아와 바라냐의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 (HDSSB)7석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SDP)6석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 (HDZ)4석
크로아티아 인민당 – 자유 민주당 (HNS)1석



선거 이후 HDSSB와 SDP 간의 연립 정부 구성 가능성이 논의되었으나, HDSSB 지도자 브라니미르 글라바시가 전쟁 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는 점 때문에 다미르 카진과 같은 정치인들은 이를 "접착 테이프 연합"이라 비판하며 원칙 없는 연합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53] 결국 정당 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자 크로아티아 정부는 시의회 재선거를 결정했다.[51]

2008년 3월 9일에 치러진 재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8년 3월 9일 오시예크 시의회 재선거 결과[54]
정당득표 의석 수
크로아티아 권리당 (HSP)9석
슬라보니아와 바라냐의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 (HDSSB)6석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 (HDZ)5석
크로아티아 사회민주당 (SDP)3석
크로아티아 인민당 – 자유 민주당 (HNS) 및 소수 정당 연합2석



재선거 후 HSP의 안토 자피치는 크로아티아 민주 연합(HDZ)과의 연립 정부 구성을 희망한다고 밝혔다.[54]

5. 1. 소수 민족 의회

직접 선출된 소수 민족 의회 및 대표는 소수 민족의 권리와 이익을 옹호하고, 공적 생활에의 통합, 지방 문제 관리에의 참여를 통해 지방 또는 지역 당국에 자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55] 2023년 크로아티아 소수 민족 의회 및 대표 선거에서 알바니아인, 헝가리인, 독일인, 슬로바키아인, 세르비아인은 각자 오시예크 시의 15명의 의회 구성원을 선출하기 위한 법적 요건을 충족했으며, 보스니아인, 마케도니아인, 몬테네그로인은 개별 대표를 선출했다.[56]

6. 경제

유로돔 오시예크


포르타노바 쇼핑 센터


오시예크에는 요시프 유라이 슈트로스마이어 오시예크 대학교 (1975년 설립), 오시예크 크로아티아 국립 극장, 슬라보니아 박물관 (1877년 설립), 1735년에 세워진 인쇄소 등 주요 기관들이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여러 김나지움 (가장 오래된 곳은 1729년 설립), 미술 학교, 동물원, 축산 진흥 센터, 사탕무 농업 연구소 등이 19세기부터 운영되고 있다.

오시예크 지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업으로는 화학 공장 ''사포니아''가 있다. 이 회사는 세제, 비누, 화장품의 주요 생산 업체로, 높은 품질을 인정받아 지역 전반에 제품을 공급하며 도시의 주요 수출 기업이기도 하다.[48] 이 외에도 지역 양조장인 피보바라 오시예크(크로아티아 최초의 맥주 생산), 설탕 가공 공장, 칸디트 사탕 공장 등이 있다. 1922년 ''시바''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니베타'' 브러시 공장 역시 현재까지 운영 중이다.

과거 오시예크는 더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던 곳이다. 1856년에 설립된 ''드라바'' 성냥 공장은 초기 공장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사라졌다.[49] 과거에는 합성 재료, 농업 기계, 금속 가구, 목재, 섬유, 신발, 실크 생산, 금속 가공 및 인쇄 등 여러 산업이 존재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많은 산업이 쇠퇴하거나 완전히 문을 닫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시예크는 여전히 중요한 농업 지역의 중심지로서 그 중요성을 유지하고 있다.

7. 문화

오시예크의 유럽 대로


오시예크 크로아티아 국립 극장 내부


오시예크는 바로크 양식의 거리, 요새, 드라바 강변 산책로 등 다양한 볼거리를 갖춘 관광지이다. 도시에서는 연중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며, 특히 탐부리차 음악 축제와 여름 야간 축제가 유명하다.

또한 오시예크 지역은 슬라보니아 전통 요리와 현지 맥주, 와인 등으로 유명한 미식의 도시이기도 하다.

7. 1. 문화 행사

오시예크에서는 일년 내내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그중 중요한 행사로는 매년 5월 크로아티아 전역의 탐부라 오케스트라가 참가하는 탐부라 음악 축제가 있으며, 탐부라는 크로아티아 민족 음악에 사용되는 악기이다. 또한, 6월부터 8월까지는 야외에서 열리는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인 '오시예크 여름 밤'이 개최되며, 이 기간에는 음식 관련 행사와 박람회도 함께 열린다. 오시예크 시의 날에는 다양한 문화 및 예술 활동과 전시회가 열린다.

최근 오시예크는 여러 대규모 축제와 행사를 유치하며 도시 문화가 더욱 풍성해지고 활기를 띠고 있다. 이러한 행사들은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방문객들을 끌어모으며, 오시예크가 문화 중심지로서의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주요 행사는 다음과 같다.

오시예크 주변 지역에서는 드라바 강과 그 지류에서 사냥낚시를 즐길 수 있다. 특히 바라냐의 코파치키 리트 지역에서의 사냥은 국제적으로도 알려져 있다.

7. 2. 관광 명소

오시예크 호텔


오시예크는 바로크 양식의 건축물, 넓은 공간, 다양한 휴식 기회를 제공하는 인기 있는 국내 관광지이다. 도시의 주요 명소는 다음과 같다.

  • '''안테 스타르체비치 광장''': 도시의 중앙 광장이다.
  • '''트르자''' (Tvrđa): 18세기 바로크 양식으로 지어진 요새이자 구시가지이다. 1687년 합스부르크 제국이 점령한 후 1712년부터 1721년까지 건설되었으며, 오시예크의 중심부가 되었다.
  • * '''삼위일체 광장''': 트르자의 중심 광장이다. 북쪽에는 옛 군사령부 건물, 서쪽에는 주요 경비대 건물, 동쪽에는 행정 장관 관저(현재 슬라보니아 박물관)가 있다. 광장 중앙에는 1729년에 세워진 페스트 기념비가 서 있다. --
  • '''드라바 강변 산책로''' ("프로메나다", Promenada): 강을 따라 조성된 산책로이다.
  • '''보행자 현수교''': 드라바 강을 가로질러 바라냐 지역으로 이어진다.

드라바 강 위의 보행자 다리 파노라마 전경

  • '''성 베드로와 바오로 공동성당''':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의 로마 가톨릭 교회이다. 프란츠 랑겐베르크가 설계했으며, 높이 90m의 탑은 자그레브 대성당 다음으로 크로아티아에서 두 번째로 높다. 에두아르 하우저의 조각품과 40개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있었으나,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폭격으로 일부 손상되었다. 전쟁 중 시가지 중심부와 성당 외관 등 여러 건물이 피해를 입었으며, 1,200명 이상의 시민이 사망했다. 최근 복구 자금 지원으로 옛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의 바로크 건축물의 매력을 되찾고 있다.
  • '''공원''': 크로아티아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국왕의 이름을 딴 공원과 토미슬라프 왕의 이름을 딴 공원은 20세기 초에 조성되었으며 보호받는 국립 랜드마크이다.
  • '''오시예크 동물원''': 드라바 강변에 위치한 동물원이다.
  • '''안테 스타르체비치 기념비'''


오시예크에서는 다양한 문화 행사와 축제가 열린다.

  • '''탐부리차(Tamburica) 음악 축제''': 크로아티아 민속 악기인 탐부리차 축제가 매년 5월에 열려 전국에서 악단이 모인다.
  • '''여름 야간 축제''': 6월부터 8월까지 열리며, 다양한 이벤트와 함께 현지 음식을 즐길 수 있다.


드라바 강 주변에서는 사냥과 낚시도 즐길 수 있다.

오시예크 지역은 미식의 도시로도 알려져 있다.

  • '''전통 슬라보니아 요리''': 파프리카 향이 나는 소시지인 쿨렌(Kulen), 햄 등이 유명하다.
  • '''사슴고기 요리'''
  • '''리블랴 초르바''' (riblja čorba): 파프리카를 사용한 생선 수프이다.
  • '''현지 맥주''': 오시에츠코(Osječko)와 에세케르(Esseker) 브랜드가 있다.
  • '''와인''': 바라냐 지방 특산 와인도 맛볼 수 있다.

8. 교통

오시예크의 사장교인 드라바 고속도로 다리(크로아티아에서 가장 긴 다리) (펠레샤츠 다리보다 더 김).


오시예크는 주요 철도고속도로 분기점이며, 강 항구와 오시예크 공항을 갖추고 있어 교통 연결성이 좋다. 2008년 3월부터는 오시예크 공항에서 독일 쾰른 본 공항으로 가는 국제선이 운행되고 있다.[62]

판유럽 코리더 Vc의 일부인 4차선 고속도로가 오시예크와 크로아티아의 다른 지역을 연결하며, 이 도로는 2009년 4월에 완공되어 개통되었다. 오시예크에서는 자그레브, 리에카, 포제가, 비로비티차, 나시체, 슬라본스키 브로드, 에르두트, 브르폴리에, 달, 자코보 등 여러 도시로 기차와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헝가리로 향하는 철도 노선과도 연결되어 있으며, 부다페스트사라예보행 국제 열차도 오시예크에 정차한다.

1884년부터 운영되어 온 트램 네트워크는 자그레브 외에 크로아티아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트램 시스템이다. 최근 이 네트워크는 전면적으로 개편되어 노선 길이가 두 배 이상 늘어났고, 노후된 트램 차량도 현대화되었다.

9. 자매 도시

오시예크의 자매 도시 표지판


오시예크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65]

도시국가결연 연도
페치Pécshun (헝가리)1972년
포르츠하임Pforzheimger (독일)1994년
마리보르Mariborslv (슬로베니아)1995년
플로이에슈티Ploieștiron (루마니아)1996년
투즐라Tuzlabos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996년
로잔Lausannefra (스위스)1997년
니트라Nitraslk (슬로바키아)1997년
부다페스트 13구Budapest XIII. kerületehun (헝가리)2001년
노비사드Нови Садsrp (세르비아)2002년
수보티차Суботицаsrp (세르비아)2004년
프리즈렌Prizrensqi (코소보)2010년
비첸차Vicenzaita (이탈리아)2014년
엘바산Elbasansqi (알바니아)2015년
황강黄冈市zho (중국)2017년
캐나다 베이Canada Bayeng (호주)2018년
모스타르Mostarbos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022년[66]


10. 저명한 출신/거주 인물

오시예크에서 태어났거나 거주했던 저명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18세기 크로아티아 작가이자 고고학 교수였던 마티야 페타르 카탄치치는 크로아티아어로 성경을 번역하고 크로아티아 최초의 고고학 논문을 썼다.[63] 크로아티아 출신의 메세나 주교인 요십 유라이 스트로스마이어[63], 1960년부터 1968년까지 자그레브 대교구 대주교를 지내고 1968년부터 1981년까지 신앙 교리성 장관을 역임한 프라뇨 셰페르 추기경도 이곳과 관련이 있다. 독일의 공작 테크의 프랜시스 역시 오시예크 출신이다.

예술 분야에서는 조각가 오스카 네몬, 화가 아돌프 발딩거와 벨라 치코시 세시야, 음악학자 프라뇨 쿠하치, 바이올리니스트 프라뇨 크레즈마, 음악가 미로슬라브 스코로, 브란코 미할레비치, 크루노슬라브 슬라비나츠 등이 있다. 학계 및 언론계 인물로는 역사가 페르도 시시치, 언어학자 스녜자나 코르디치[63], TV 저널리스트 블라디미르 헤르초그가 있다. 영화계에서는 할리우드 프로듀서 브란코 루스티그가 유명하다.[63]

스포츠계에서는 축구 선수 다보르 슈케르, 프라뇨 글라세르, 보르나 바리시치, 이고르 츠비타노비치, 유리차 브라니예시, 사격 선수 야스나 세카리치, 테니스 선수 옐레나 도키치도나 베키치 등이 오시예크 출신이다.

또한, 노벨상 수상자인 라보슬라프 (레오폴트) 루지치카와 블라디미르 프레로그가 이 도시에 거주했으며, 기상학자이자 지진학자인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 수학자이자 기후학자인 밀루틴 밀란코비치, 자그레브 대학교에서 자연 과학 분야 최초의 박사 학위를 받은 광물학자이자 암석학자인 미요 키슈파티치도 이곳에 살았다. 교육학자이자 대학교수인 안테 부카소비치와 가수 미아 딤시치, 주일 교황 대사 대리인 베체슬라브 투밀도 오시예크와 관련이 있는 인물이다.

참조

[1] Q인용
[2] Croatian Census
[3] 학술지 A Convention Centre on the International Road: The Osijek Fair During the Ottoman Period [Uluslararasi Güzergah Üzerinde Bir Ticari Merkez: Osmanli Döneminde Ösek Panayiri] https://alternatifpo[...]
[4] 사전 Mursa or Mursĭa https://www.perseus.[...] Clarendon Press
[5] 사전 Mursa or Múrsia (Μοῦρσα, Μουρσία) http://www.perseus.t[...] Walton and Maberly 1854
[6] 학술지 Ime Mursa https://hrcak.srce.h[...]
[7] 서적 Hadrianus MCM: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Occasion of the 1900th Anniversary of the Emperor Hadrian's Accession to the Throne https://www.academia[...] Budapest History Museum
[8] 사전 murus https://logeion.uchi[...] University of Chicago
[9] 학술지 Radiocarbon dating of Sopot culture sites (Late Neolithic) in eastern Croatia https://journals.uai[...]
[10] 서적 The Clash of Cultures? The Celts and the Macedonian World https://d1wqtxts1xzl[...] Kelten Römer Museums
[11] 서적 The Gallic Empire: Separatism and continuity in the north-western provinces of the Roman Empire A.D. 260 - 274 https://web.archive.[...] Steiner 1998-09-24
[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Croat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10-15
[13] 웹사이트 Middle Ages https://web.archive.[...] City of Osijek
[14]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5] 학술지 Turska osvajanja u Slavoniji (1526–1552) https://www.scribd.c[...]
[16] 학술지 Popis Sandžaka Požega — 1579 https://heinonline.o[...]
[17] 서적 DK Eyewitness Travel Guide: Croatia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Ltd 2011-10-15
[18] 웹사이트 Osijek after the Turks https://web.archive.[...] City of Osijek
[19] 서적 Rough guide to Croatia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2011-10-15
[20] 서적 Croatia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2011-10-15
[21] 서적 Frommer's Croatia https://books.google[...] Frommer's 2011-10-15
[22] 문서 Osijek-history
[23] 서적 Prožimanje kultura i jezika Hrvatsko društvo za primijenjenu lingvistiku 2021-09-20
[24] 문서 Die deutschen Stadtsprachen in Temeswar und Esseg. Edition Praesens, Wien 2001
[25] 서적 DK Eyewitness Travel Guide: Croatia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Ltd 2011-10-15
[26] 백과사전 Esseg
[27] 백과사전 Croatia-Slavonia
[28] 서적 Ostrogothic coinage from collections in Croatia, Slovenia and Bosnia & Herzegovina https://books.google[...] Narodni Muzej 2011-10-15
[29] 서적 Shadow: a Cottontail bomber crew in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1-10-15
[30] 웹사이트 Ekonomski fakultet u Osijeku | EFOS – Povijest fakulteta http://www.efos.hr/i[...] Efos.hr 2011-09-16
[31] 웹사이트 Poljoprivredni fakultet u Osijeku http://www.pfos.hr/i[...] Pfos.hr 2011-09-16
[32] 웹사이트 Filozofski fakultet u Osijeku http://web.ffos.hr/?[...] Web.ffos.hr 2011-09-16
[33] 웹사이트 Faculty of Law in Osijek – Content https://web.archive.[...] Pravos.hr 2011-09-16
[34] 웹사이트 Župna crkva Sv. Petra i Pavla Apostola u Osijeku http://www.svpetarip[...]
[35] 서적 Sign of Hope: the Center for Peace, Nonviolence and Human Rights in Osijek Life & Peace Institute
[36] 웹사이트 Dan osječkih branitelja: "Opća opasnost" večeras http://www.hrt.hr/in[...] HRT 2012-06-28
[37] 웹사이트 Former war mayor Branimir Glavas is sentenced on 9 years of jail and he is war criminal fugitive now. Osječka Hvidra osudila uhićenje svojih članova http://www.seebiz.eu[...]
[38] 웹사이트 Osijek Climate Normals http://klima.hr/k1/k[...]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2
[39] 웹사이트 Mjesečne vrijednosti za Osijek u razdoblju1899−2014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3
[40] 서적 Talma Kiadó Atlas and Gazetteer of Historic Hungary 1914 https://web.archive.[...] Talma Kiadó 2017-01-14
[41] 웹사이트 Statisztikai közlemények, 42. kötet (új sorozat), Budapest, 1912 https://web.archive.[...] 2013-05-29
[42] 문서 Stanovništvo prema nacionalnom sastavu i tipu naselja, popis 1981
[43] 문서 Popis stanovništva 1991,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 Zagreb
[44] 간행물 Croatian Census 2001 2008-01-13
[45] 간행물 Croatian Census 2001 2008-01-13
[46] 간행물 Croatian Census 2011
[47] 웹사이트 Mjesni odbori i gradske četvrti https://www.osijek.h[...] City of Osijek 2024-10-08
[48] 서적 Restructuring Eastern Europe: the microeconomics of the transition proces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11-10-15
[49] 서적 Acta historico-oeconomica Iugoslaviae: časopis za ekonomsku povijest Jugoslavije https://books.google[...] Komisija za ekonomsku historiju Jugoslavije 1985-01-01
[50] 웹사이트 Šutnja u Osijeku http://vijesti.hrt.h[...]
[51] 뉴스 Government calls early elections in Osijek for 9 March http://www.vlada.hr/[...]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roatia 2008-01-24
[52] 웹사이트 Osijek: Pokušaj riješavanja krize http://vijesti.hrt.h[...] Hrvatska radiotelevizija 2007-12-26
[53] 웹사이트 IDS osuđuje trgovinu Vlade i Osijeka http://izbori.hrt.hr[...] Hrvatska radiotelevizija 2007-12-21
[54] 웹사이트 HSP najjači u Osijeku https://web.archive.[...] 2008-03-11
[55] 웹사이트 Manjinski izbori prve nedjelje u svibnju, kreću i edukacije https://www.tportal.[...] T-portal 2023-03-13
[56] 웹사이트 Informacija o konačnim rezultatima izbora članova vijeća i izbora predstavnika nacionalnih manjina 2023. XIV. OSJEČKO-BARANJSKA ŽUPANIJA https://www.izbori.h[...] Državno izborno povjerenstvo Republike Hrvatske 2023
[57] 웹사이트 For many of us, a big dream has come true https://www.glas-sla[...] 2024-01-13
[58] 웹사이트 History Speedway and Longtrack http://www.speedway.[...] Speedway.org 2024-01-11
[59] 웹사이트 1977 World Team Cup http://www.internati[...] 2024-01-13
[60] 뉴스 Osijek sports hall construction contract signed http://www.javno.com[...] Javno.com 2007-11-23
[61] 뉴스 Osječani rekli "Da" spomeniku Ocu Domovine – na glavnom trgu otkriven spomenik dr. Anti Starčeviću http://www.osijek.hr[...] City of Osijek 2007-06-13
[62] 뉴스 First international flight departs from Osijek International Airport http://www.osijek-ai[...] Osijek Airport 2008-03-14
[63] 웹사이트 Notable people https://sib.net.hr/l[...] SiB.hr 2022-08-02
[64] 웹사이트 Svi počasni građani Osijeka, od Preloga, preko Šukera, do Mészárosa… A imamo i neke do '80. godine… https://www.osijekex[...] 2020
[65] 웹사이트 Gradovi prijatelji https://www.osijek.h[...] 2022-05-30
[66] 웹사이트 Osijek i Mostar postali gradovi prijatelji https://www.osijek.h[...] Osijek 2022-05-26
[67] 웹인용 Osijek Climate Normals http://klima.hr/k1/k[...]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2
[68] 웹인용 Mjesečne vrijednosti za Osijek u razdoblju1899−2014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