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친은 몬테네그로 최남단, 아드리아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기원전 5세기에 콜키스에서 온 정착민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올시니움"으로 불렸다. 중세 시대에는 해적의 본거지였으며, 1183년 세르비아에 정복된 이후 1423년 베네치아 공화국, 1880년 몬테네그로에 편입되었다. 현재 몬테네그로 알바니아인 공동체의 중심지이며, 알바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요 산업은 관광으로, 특히 여름철 해변 관광지로 유명하다. 울친 염전은 철새들의 서식지이며, 다양한 스포츠 활동도 즐길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고대 그리스의 도시 - 사르디스
사르디스는 터키 서부의 고대 도시로, 뤼디아 왕국의 수도로서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를 거치며 재건되었지만 지진과 침략으로 쇠퇴했으며,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중요성이 감소했으나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했고 현재는 다양한 시대의 유물이 발굴되는 고고학적 유적지이다. - 고대 그리스의 도시 - 에페소스
에페소스는 튀르키예 서부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아르테미스 숭배와 동지중해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 번영을 누렸으나 잦은 침략과 항구 매몰로 쇠퇴하여 15세기 이후 버려졌다.
울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공식 명칭 | |
유형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행정 구역 | |
국가 | 몬테네그로 |
지역 | 해안 |
지방 자치체 | 울친 |
하위 행정 구역 | 39개 취락 |
시장-의회 | |
시장 | 겐치 니만베구 |
소속 정당 | FORCA |
지리 정보 | |
면적 | 255 km² |
인구 통계 | |
인구 (2023년 인구 조사) | 21,395 명 (지방 자치체) |
인구 순위 | 몬테네그로 내 11위 |
도시 인구 | 11,488 명 |
농촌 인구 | 9,907 명 |
인구 밀도 | 79.47 명/km² |
거주민 명칭 | 울친하니 울치나케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1 |
하계 시간 (DST) | CEST |
하계 시간 (DST) 오프셋 | +2 |
식별 번호 | |
지역 번호 | +382 30 |
자동차 번호판 | UL |
우편 번호 | 85360 |
ISO 3166-2 코드 | ME-20 |
역사 | |
건립 시기 | 기원전 5세기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울친의 초기 역사는 리비우스(기원전 59년–서기 17년)[12]와 대 플리니우스(23–79)[13]에 의해 언급되었다. 플리니우스는 이 도시를 '올키니움'(Olcinium)이라 칭하며, 그 이전 이름은 '콜키니움'(Colchinium)으로 콜키스에서 온 정착민들에 의해 세워졌다고 기록했다.[13] 프톨레마이오스(90–168)는 이 도시를 그리스어 '울키니온'(Ουλκίνιον)으로 언급했다.[14] 고대 작가들은 콜키스와의 연관성을 언급했지만, 이 정착지의 이름은 알바니아어 단어 '우크'(ujk) 또는 '울크'(ulk) (늑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5][16] 이는 원시 알바니아어 '*우울카'(wulka)에서 유래되었으며, 원시 인도유럽어 '*wĺ̥kʷos'에서 파생되었다.[17]
''에리트라 해의 항해기''는 여러 인도 항구를 언급하며, 거대한 배들이 동쪽으로 항해했던 항구에서 ''크루세''(Kruče - 울치니 해안 마을)로 향했다.[19] 820년경부터 이 도시는 울치니 교구의 주교좌가 되었으며, 1532년에 폐지되었다가 라틴 명목 주교구로 부활했다.
이후 울친은 중세 시대까지 아드리아 해의 해적 본거지 중 하나로 알려졌다. 1183년, 세르비아 대공국의 스테판 네마냐가 울치니를 정복했고, 이 도시는 가장 중요한 해안 도시 중 하나로 번영했다. 1355년경 울친이라는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1423년 베네치아 공화국에 정복되면서 베네치아어로 둘치뇨(Dulcigno)로 개명되었고, 알바니아 베네타에 속하게 되었다. 이 시기 사라센인의 배가 해안에서 해난 사고를 일으켜 아프리카인들이 거주하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 정복 후 베를린 회의를 통해 몬테네그로 왕국에 편입되었다. 이후 세르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거쳐 현재의 몬테네그로에 속해 있다.
2. 1. 고대
울치니는 고대 항구 도시이다.[18] 울치니 주변 지역은 울치니 인근의 조가이 마을에서 발견된 일리리아인의 무덤(고분) 연대를 통해 청동기 시대부터 거주해 온 것으로 여겨진다. 이 도시는 기원전 5세기에 콜키스에서 온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3세기의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시에도 언급되어 있다. 당시 이 지역에는 일리리아인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옛 성채에서 거대한 키클롭스식 성벽의 흔적을 볼 수 있다.[18]중세 이전 시대 내내 울치니는 아드리아 해의 해적 수도로 알려졌다. 이는 후기 일리리아 왕국 시대에도 나타난다. 기원전 20년부터 서기 300년경까지 울치니 주민들은 외국인에게 매우 적대적이었으며, 특히 국경 분쟁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기원전 168년, 제3차 일리리아 전쟁 중, 울치니움은 겐티우스를 배신하고 로마로 전향했다 (리비우스 45:26:2). 로마 통치하에서 이 도시는 "로마 시민의 정착지"라는 의미의 ''oppidum civium Romanorum'' 지위를 받았고, 이후 ''무니키피움''(자치 도시) 지위로 승격되었다.
2. 2. 중세
9세기에는 비잔틴 제국의 군사 총독령인 디라키움 테마에 속해 있었다. 1010년, 불가리아 차르 사무일(재위 997-1014†)은 비잔틴과의 전쟁 중에 이 도시를 점령하는 데 실패했다.[1]1040년까지 두클랴의 아르콘 스테판 보이슬라브가 이 지역을 정복했다. 1183년, 세르비아 대공국의 스테판 네마냐가 울치늄을 정복했고, 이 도시는 가장 중요한 해안 도시 중 하나로 번영했다. 울친은 네마니치 왕조의 왕국과 세르비아 제국에서 유지되었으며, 황제 두샨 (재위 1331-1355†)의 사후, "하부 제타"로 알려진 이 지역은 황제 우로시 4세의 자르코 공작이 1360년 사망할 때까지 감독했다. 자르코의 영토는 이후 발시치 가문이 차지했다. 발시치의 통제 하에 울친은 중요한 도시로 남았으며 주화를 주조했다.[1]
중세 시대, 이 지역은 아드리아 해의 해적 본거지 중 하나로 유명했다. 하지만 이 지역 주민에 대한 외부의 인상은 의외로 좋았고, 세심하고 토론을 잘하는 인상을 주었다고 한다.[1] 1355년에 이 지역의 이름이 울친(Ulcinj)으로 개명되었다.[1]
2. 3. 베네치아 및 오스만 통치

역사학자 루이지 파울루치에 따르면, 베네치아 시대에 울친 인구는 알바니아인, 베네치아인, 슬라브인이 각각 1/2, 1/4, 1/4의 비율로 구성되었다.[1] 1496년, 아르놀트 폰 하르프는 단순히 도시 주민들과 교류하는 것만으로 독일-알바니아어 사전을 만들었다.[1] 베네치아는 1696년과 1718년 두 차례에 걸쳐 울친 점령을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1]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울친은 다시 번성하는 항구로서의 지위를 되찾기 시작했다. 지리학자 안토니오 발다치는 아드리아 해와 지중해 연안 사이의 무역로를 오가는 500척의 상선을 기록했다.[1]
1867년, 울친은 루멜리 빌라예트의 이슈코드라 산자크 카자가 되었다.[1] 베를린 회의 이후인 1878년에 몬테네그로와 오스만 제국 간의 국경이 재조정되어 플라브와 구시네가 몬테네그로에 양도되었다.[1] 그러나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의 저항으로 몬테네그로인들은 플라브와 구시네를 점령할 수 없었고, 이에 열강들은 1880년에 영토 이전을 취소하고 울친(당시에는 Dulcigno로도 알려짐)을 몬테네그로에 보상으로 제공하기로 결정했다.[1] 이로 인해 오스만 제국과 몬테네그로 공국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는데, 오스만 제국은 처음에 Dulcigno에 관한 조약 조항을 인정하지 않으려 했다.[1] 16세기부터 울친에 주둔해 있던 오스만 수비대와 달리 몬테네그로는 도시와 그 주변 영토가 역사적으로 자국 영토에 속한다고 주장했다.[1]
1880년 5월, 열강(영국,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 러시아)은 외교적으로 항의하고 Dulcigno 해안에서 해군 시위를 조직하여 오스만 제국에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도록 압력을 가했다.[1] 오스만 제국은 결국 보상과 교환하여 도시와 주변 영토를 몬테네그로에 양도하기로 동의했다.[1]

울친의 몬테네그로 항복은 몬테네그로 영토의 중요한 확장을 의미했으며, 이 지역에서 잠재적인 폭력적 갈등을 예방한 열강의 외교적 승리로 여겨졌다.[1]
도시가 몬테네그로에 합병된 후, 약 8,000명이었던 인구 중 약 3,000명의 알바니아인이 떠나 알바니아 북부로 이주했다.[1] 1880년대에는 142가구의 몬테네그로인 가족들이 울친 외곽에 정착하도록 초대받았다.[1] 울친 인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꾸준히 감소했다.[1]
2. 4. 20세기 이후

울친은 1878년부터 1918년까지 몬테네그로 왕국에 속했으며, 몬테네그로가 잠시 세르비아 왕국에 병합되었다가 그 해 말 유고슬라비아 연방에 편입되었다. 울친은 2006년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적인 몬테네그로의 일부가 되기 전까지 남슬라브 국가가 존재하면서 몬테네그로의 영토로 남아 있었다.
20세기 동안 울친은 심각한 쇠퇴와 새로운 부흥을 겪었다. 1880년 왕국에 합병되었을 때 몬테네그로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으나, 불과 30년 만에 경제 발전과 인구 수에서 6위(포드고리차, 니크시치, 체티네, 티바르, 플라바 다음)로 떨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울친은 1916년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점령되었고, 1918년 11월 4일에는 이탈리아에 점령되었다.[23] 1920년부터는 세르보-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알려진 국가에 속하게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해안 남쪽 도시인 울친은 1930년대 관광 산업의 발달로 강력한 반전을 이루었다. 당시 Krištja, Republic, Jadran, Koop (나중에 Galeb)과 같은 호텔이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은 경제적 발전을 멈추게 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울친은 알바니아 행정부의 통치를 받았다. 1943년 11월 7일, 울친은 연합군의 폭격을 받아 46명 이상이 사망하고 더 많은 사람이 부상을 입었다.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은 1944년 11월 26일 울친을 점령했고, 도시는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었다.[24][25][26]
1950년대와 1960년대는 울친에게 가장 큰 경제 발전의 시기로, 도시와 대평원에 다양한 현대식 호텔이 건설되었고, 주요 경제 집단(NHT "울친 리비에라", "Agroulqini", 주요 건설 회사, "Otrantkomerc", "Ultep" 등)이 설립되었다. 1979년 4월 15일, 몬테네그로 지진으로 도시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불과 몇 년 만에 유고슬라비아 전체 시민의 연대 의식으로 빠르게 재건되었다. 1980년대 말 울친은 몬테네그로 관광 수입의 약 40%를 차지했으며, 관광객의 3분의 2는 외국인, 대부분 독일인이었다.
코소보 전쟁 동안인 1998년과 1999년, 수천 명의 코소보 알바니아인이 울친과 그 주변 지역으로 몰려들었고, 그들은 울친과 주변 지역의 알바니아계 주민들의 최상의 환영을 받았다.
3. 지리
울치니는 알바니아와의 국경에 위치한 몬테네그로 최남단 도시이며, 아드리아해 해안에 위치한다. 동부에는 1930년대에 건설된 Saline (Ulcinj)|울치니 염전de이 있으며, 2013년 조업 중단 전까지 아드리아해 주변에서 가장 큰 규모의 염전(염류 평원)이었다.[42] 조업 중단 이후 자연이 회복되어 현재는 초원이 되었으며, 염생식물과 갈대로 덮여 있다. 철새의 월동지, 번식지, 먹이터가 되며, 양서류의 Pelophylax shqipericus|''Pelophylax shqipericus''영어, 파충류의 유럽늪거북과 포유류의 유라시아수달도 서식한다.[42]
3. 1. 기후
울치니는 쾨펜 기후 구분에서 지중해성 기후(Csa)를 보인다.[27] 겨울은 춥고 비가 많이 오며, 여름은 덥고 습하며 오후에 뇌우가 발생할 수 있다. 내륙에 위치한 포드고리차와 달리, 기온이 35°C를 넘는 경우는 드물고, 0°C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도 드물다.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 및 강수량, 1949년부터 현재까지의 극값은 아래 표와 같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19.6 | 26.7 | 26.8 | 31.7 | 33.9 | 37.6 | 41.1 | 41.0 | 36.0 | 32.6 | 27.9 | 20.7 | 41.1 |
평균 최고 기온 (°C) | 11.5 | 12.7 | 15.6 | 19.0 | 23.8 | 28.1 | 30.7 | 31.3 | 26.8 | 22.3 | 17.4 | 12.6 | 21.0 |
평균 최저 기온 (°C) | 3.6 | 4.4 | 6.7 | 9.6 | 13.7 | 17.6 | 19.5 | 20.1 | 16.6 | 13.0 | 9.0 | 4.7 | 11.5 |
최저 기온 기록 (°C) | -8.4 | -8.3 | -5.0 | 0.4 | 5.2 | 8.9 | 12.3 | 10.6 | 8.6 | 1.1 | -2.2 | -5.6 | -8.4 |
강수량 (mm) | 139.9 | 126.3 | 124.8 | 102.7 | 77.9 | 60.1 | 27.8 | 39.4 | 112.5 | 146.3 | 167.2 | 164.1 | 1289.0 |
평균 강수일수 (≥ 1 mm) | 9.4 | 9.6 | 9.0 | 9.0 | 7.0 | 4.1 | 2.4 | 2.9 | 6.4 | 8.4 | 10.3 | 10.8 | 89.3 |
평균 일조 시간 | 121.3 | 126.8 | 170.5 | 202.3 | 263.7 | 299.2 | 349.9 | 319.6 | 255.8 | 195.7 | 134.6 | 118.2 | 2378.0 |
평균 상대 습도 (%) | 66 | 64 | 66 | 70 | 71 | 69 | 62 | 63 | 66 | 67 | 69 | 67 | 66.6 |
3. 2. 인근 지역
차르시(복수: 차르시야)는 오래된 지역과 새로운 지역(구역)을 연결하는 구역이자 시내 중심지이다. 2009년에는 아스팔트를 자갈로 교체하고, 수도 및 전기 시스템을 변경하는 등 재건축이 이루어졌다. 이 구역에는 약 200개의 상점이 있다. 이 지역에는 나마즈자후 모스크와 크리에파자리 모스크 두 개의 모스크가 있다.울치니는 알바니아와의 국경에 위치한 몬테네그로 최남단에 있으며, 아드리아해 해안에 위치한다. 동부에는 1930년대에 건설된 Saline (Ulcinj)|울치니 염전de이 있으며, 2013년 조업 중단 전까지 아드리아해 주변에서 가장 큰 규모의 염전(염류 평원)이었다. 조업 중단 이후 자연이 회복되어 현재는 초원이 되었으며, 염생식물과 갈대로 덮여 있다. 철새의 월동지, 번식지, 먹이터가 되며, 양서류의 Pelophylax shqipericus|''Pelophylax shqipericus''영어, 파충류의 유럽늪거북과 포유류의 유라시아수달도 서식한다.[42]
3. 3. 울치니 염전
아드리아해 해안, 알바니아와의 국경에 위치한 몬테네그로 최남단 도시 울친의 동부에는 1930년대에 건설된 울치니 염전이 있다. 2013년 조업 중단 전까지 아드리아 해 주변에서 가장 큰 규모의 염전(염류 평원)이었다.[42]조업 중단 이후 자연이 회복되어 현재는 초원이 되었으며, 염생식물과 갈대로 덮여 있다. 철새의 월동지, 번식지, 먹이터가 되며, 양서류의 Pelophylax shqipericus영어, 파충류의 유럽늪거북과 포유류의 유라시아수달도 서식한다.[42]
4. 인구
울친의 인구는 1948년 4,385명에서 2011년 10,707명으로 증가했다. 연도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31]
- 1981년: 9,140명
- 1991년: 10,025명
- 2003년: 10,828명
울친 시의 행정 중심지인 울친의 인구는 2011년 기준 10,707명이며, 울친 시 전체 인구는 2023년 기준 11,488명이다.[31] 울친은 몬테네그로 알바니아인 공동체의 중심지 중 하나이다.
4. 1. 민족 구성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울친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민족 | 울치니 (자치체) | 울치니 (도시) |
---|---|---|
알바니아인 | 70.66% | 60.89% |
몬테네그로인 | 12.44% | 17.07% |
보스니아인 | 6.12% | 7.30% |
세르비아인 | 5.75% | 8.54% |
로마/이집트인 | 1.17% | 2.12% |
기타 | 3.86% | 4.08% |
2011년 모국어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2011년 종교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
2003년 인구 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민족 분포를 보였다.
2003년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았다.
울치니의 다수 민족은 알바니아인이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알바니아어이다.
4. 2. 언어
울치니의 다수 민족은 알바니아인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알바니아어이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른 모국어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모국어 | 울치니 (자치체) | 울치니 (도시) |
---|---|---|
알바니아어 | 72.04% | 62.29% |
세르비아어 | 11.97% | 18.18% |
몬테네그로어 | 10.73% | 13.73% |
보스니아어 | 1.04% | 1.19% |
기타 | 4.22% | 4.61% |
4. 3. 종교
2003년 인구 조사에서 울친의 종교 분포는 이슬람교 (80%), 로마 가톨릭 교회 (10%), 동방 정교회 (10%)로 나타났다.[1]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아래 표와 같이 나타났다.[1]
2003년 당시 종교 분포는 무슬림 70%, 로마 가톨릭 20%, 정교회 10%이었다.[1]
5. 경제
울친은 벨리카 플라자, 아다 보야나 등 아름다운 해변과 샤스 호수와 같은 자연환경, 그리고 파샤 모스크를 포함한 오래된 종교 건축물 덕분에 관광 산업이 발달하였다. 특히, 여름철에는 관광객이 많이 찾아온다.[32]
5. 1. 관광 산업

울친은 여름철 관광지이다. 2010년 1월, 뉴욕 타임스는 몬테네그로 남부 해안 지역, 특히 벨리카 플라자, 아다 보야나, 호텔 메디테란을 "2010년에 가봐야 할 31곳" 중 하나로 선정했다.[32]
울친은 아직 대규모 국가에서 온 많은 여행객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단골 관광객과 처음 방문하는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5월부터 9월까지 휴가객들에게 인기 있는 곳이다. 이곳은 모래 해변으로 가장 유명하다. 울친 리비에라에서 가장 가치 있는 자원은 벨리카 플라자(Plazha e Madhe|큰 해변sq)로, 12km 길이의 모래 해변이며 몬테네그로 해안에서 가장 긴 해변이다. 민간 전승에 따르면 다산에 도움이 된다는 레이디스 비치라는 작은 자갈 해변도 있다.
또한 크기가 훨씬 작지만 시내 중심에 위치해 방문객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말라 플라자''(Plazhi i Vogël|작은 해변sq)라는 해변도 있다. 현지인들은 "코르조"라고 부르는 이 곳은 커피숍이 늘어선 거리와 말라 플라자를 구분하는 산책로이다. 여름철 밤에는 코르조가 보행자 전용 도로로 바뀌고 가족과 젊은이들이 모인다. 주요 관광 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는 훨씬 덜 알려진 작은 해변이 많이 있다. 울친에는 파샤 모스크, 선원 모스크, 성 니콜라스 교회를 비롯한 많은 종교 건축물(모스크, 튀르베, 교회)이 있다.
울친의 구시가지는 중세 시대부터 남아 있는 잘 보존된 요새이다. 구시가지는 해안이 내려다보이는 바위 절벽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관광 중심지로 빠르게 복원되고 있다. 아다 보야나는 평화로운 분위기로 서유럽의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대규모 나체주의자(naturist) 캠프장이 아다 보야나에 위치해 있다. 샤스 호수와 울친의 염전은 조류 관찰자들의 방문을 받는데, 울친과 그 주변 지역이 200종 이상의 조류가 이동 경로에서 쉬어가는 주요 지점이기 때문이다. 여름 내내 붐비는 많은 카페, 디스코, 바가 도시에 흩어져 있다. 울친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대다수는 알바니아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보스니아인, 슬로베니아인, 마케도니아인,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및 기타 유럽인이다.
6. 교육
몬테네그로어 명칭 | 알바니아어 명칭 | 위치 | 사용 언어 |
---|---|---|---|
초등학교 | |||
Osnovna škola "Boško Strugar" | Shkolla Fillore "Boshko Strugar" | 울친 | 몬테네그로어, 알바니아어 |
Osnovna škola "Maršal Tito" | Shkolla Fillore "Marshal Tito" | 울친 | 몬테네그로어, 알바니아어 |
Osnovna škola "Bedri Elezaga" | Shkolla Fillore "Bedri Elezaga" | 블라디미르 | 알바니아어 |
Osnovna škola "Marko Nuculović" | Shkolla Fillore "Mark Nuculloviq" | 도니 스토이 | 몬테네그로어, 알바니아어 |
고등학교 | |||
Srednja mješovita škola "Bratstvo i jedinstvo" | Shkolla e Mesme e Kombinuar "Vëllazërim Bashkim" | 울친 | 몬테네그로어, 알바니아어 |
Gimnazija "Drita" | Gjimnazi "Drita" | 울친 | 알바니아어 |
7. 스포츠
울치니의 남부 해안은 활동적인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사냥으로 유명하다. 아다 보야나에서의 카이트서핑, 벨리카 플라자에서의 모든 종류의 수상 스포츠, 난파선과 침몰된 도시에서의 스쿠버 다이빙, 산악 자전거, 하이킹, 오리엔티어링, 발다노스의 올리브 숲을 가로지르는 사이클링, 몬테네그로 남부 해안의 깨끗한 해변을 따라 걷기, 심지어 아드리아 해에서의 원양 낚시, 스카다르 호수에서의 호수 낚시, 그리고 아다 보야나에서의 강 낚시도 가능하다. 야생 생물에게 유리한 서식지로 인해 사냥 관광에도 훌륭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곳은 Reč과 Shenkol에서 조류학적 (미식가) 사냥의 천국이며, 가장 흔한 야생 동물은 멧도요, 토끼, 멧돼지, 그리고 오리이다.
'''울치니의 스포츠 클럽 목록:'''
이름 | 스포츠 | 경쟁 | 설립 | |
---|---|---|---|---|
몬테네그로어 이름 | 알바니아어 이름 | |||
푸드발스키 클럽 "Otrant-Olympic" | Klubi Fudbolistik "Otrant-Olympic" | 축구 | 몬테네그로 세컨드 리그 | 1921 |
코샤르카시 클럽 "Ulcinj" | Klubi i Basketbollit "Ulcinj" | 농구 | 몬테네그로 농구 리그 | 1976 |
RK Ulcinj | Klubi i Hendbollit "Ulcinj" | 핸드볼 | 몬테네그로 남자 핸드볼 퍼스트 리그 | |
테니스키 클럽 "Bellevue" | Klubi i Tenisit "Bellevue" | 테니스 | 2009 | |
옴라딘스키 푸드발스키 클럽 "Federal" | Klubi Futbolistik Rinor "Federall" | 축구 | 사우스 지역 리그 | 2007 |
가라테 클럽 "Champions" | Klubi i Karates "Champions" | 가라테 | ||
가라테 클럽 "Ulcinj" | Klubi i Karates "Ulqini" | 가라테 | ||
스토노테니스키 클럽 "Valdanos" | Klubi i Ping Pongut "Valdanos" | 탁구 | 청소년, 주니어, 시니어 몬테네그로 리그 | 2012 |
8. 교통
울친은 2차선 고속도로를 통해 몬테네그로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아드리아 해안 고속도로를 통해 다른 해안 도시와 연결된다. 내륙으로 가는 것은 부드바 또는 수토모레(소지나 터널을 통과)에서 아드리아 해안 고속도로에서 우회하여 가능하다.
현재 울친 시에는 공항이 없다. 그러나 인근 티바트와 포드고리차 공항은 모두 약 70km 거리에 있다. 티바트에서는 베오그라드와 취리히로 정기 항공편이 운항한다. 포드고리차 공항은 연중 주요 유럽 및 기타 목적지로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 해외에서 울친으로 여행하는 많은 관광객들은 최근 개조 공사 및 전반적인 항해의 용이성으로 인해 티바트 공항에서 도시로 도착한다. 또한 국내 다른 도시로 연결되는 시외 버스와 세르비아, 알바니아,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그리스, 독일(관광 시즌 중)로 가는 버스가 있으며, 플릭스버스는 이 지역에서 운행하며 바냐 루카(보스니아) 및 두브로브니크로 연결된다.
이 지역에는 아드리아 해안 도로가 지나간다. 한때 울친 공항이 있었지만, 폐쇄된 이후 공항은 없으며, 티바트 공항 또는 포드고리차 공항으로 가야 한다. 이동에는 버스나 택시가 편리하다.
9. 국제 관계
울친은 지역 내 알바니아 지자체 연합의 창립 멤버이다.[33][34]
울친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35]
국가 | 도시 |
---|---|
Shqipëria|알바니아sq | 베라트 |
Kosova|코소보sq | 데찬[36] |
Österreich|오스트리아de | 리징 |
Bosna i Hercegovina|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s | 루카바츠[37] |
Türkiye|튀르키예tr | 세리크[38] |
Bosna i Hercegovina|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s | 스타리 그라드 (사라예보)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스테이튼 아일랜드[39] |
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 | 우주호로드 |
울치니는 또한 Shqipëria|알바니아sq 두러스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10. 축제
참조
[1]
웹사이트
Visit Ulcinj
https://www.itinari.[...]
2018-02-18
[2]
웹사이트
Statistical Office of Montenegro
http://pop-stat.mash[...]
2024-04-15
[3]
웹사이트
Ulcinj
https://www.discover[...]
2016-04-20
[4]
웹사이트
The Ulcinj pirates – TO Ulcinj
http://ulcinj.travel[...]
[5]
웹사이트
Ulcinj in Middle Age – TO Ulcinj
https://ulcinj.trave[...]
2018-11-10
[6]
웹사이트
Sabbatai Zevi – TO Ulcinj
https://ulcinj.trave[...]
2023-04-19
[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Ulcinj
https://www.visit-mo[...]
[8]
논문
"Verita d'alcuni heretici": The archbishop of Bar vs the count of Ulcinj - Two accusations, two testimonies (the sixteenth century)
http://www.dlib.si/s[...]
[9]
웹사이트
Ulcinj
https://www.myguidem[...]
[10]
웹사이트
Ulcinj travel - Montenegro, Europe
https://www.lonelypl[...]
2019-09-08
[11]
웹사이트
Montenegro - People
https://www.britanni[...]
[12]
서적
Tragom drevnih kultura Crne Gore
https://books.google[...]
Grafički zavod
[13]
서적
Arch?ologische Forschungen in Albanien und Montenegro
https://books.google[...]
Рипол Классик
[14]
서적
Claudii Ptolemaei Geographia edidit Carolus Fridericus Augustus Nobbe
https://books.google[...]
sumptibus et typis Caroli Tauchnitii
[15]
서적
The Illyrians
https://books.google[...]
Wiley
[16]
서적
Ancient Indo-European Dialec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서적
Albanian etymolog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Brill
[18]
서적
Montenegro
https://books.google[...]
The Globe Pequot Press Inc
2013-06-20
[19]
문서
Between East and West: The Moluccas and the Traffic in Spices Up to the Arrival of Europeans
Diane Publishing Company
2003
[20]
서적
Le Bocche di Cattaro nel 1810 Edizioni Italo Svevo
[21]
서적
Ulqini në përmasa kërkimi dhe frymëzimi
[22]
문서
Webarchive
https://web.archive.[...]
2016-12-29
[23]
뉴스
Gazzetta Ufficiale del Regno d'Italia N. 261 del 6 Novembre 1918
http://augusto.digit[...]
1918-11-06
[24]
문서
LTKU (1989)
[25]
웹사이트
Ćetković: DPS i Forca hoće da brišu istoriju Ulcinja
http://www.cdm.me/po[...]
[26]
웹사이트
Ružna strana lepote Ulcinja
http://www.visit-ulc[...]
[27]
논문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www.hydrol-ea[...]
2007
[28]
웹사이트
Ulcinj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9-15
[29]
웹사이트
Climate: Bar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30]
웹사이트
Dnevni prosjeci i ekstremi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31]
웹사이트
Montenegro Census 2023
http://pop-stat.mash[...]
2024-04-15
[32]
뉴스
The 31 Places to Go in 2010: 24. Montenegro
https://www.nytimes.[...]
2010-01-07
[33]
웹사이트
Zyrtarizohet UBSHR, mbledh Konferencën e parë
https://ubshr.tirana[...]
Unioni i Bashkive Shqiptare (UBSHR)
2016-11-21
[34]
웹사이트
Politikat Lokale – Bashk olitikat Lokale – Bashkëpunimi Ndërkomunal në K ëpunimi Ndërkomunal në Kosovë
https://knowledgecen[...]
University for Business and Technology (UBT)
[35]
웹사이트
Bratimljenje
http://www.uom.co.me[...]
Zajednica opština Crne Gore
2013-01-01
[36]
웹사이트
Vendim për binjakëzimin e Komunës së Decanit me Komunën e Ulqinit
https://kk.rks-gov.n[...]
Deçan Municipality
2015-07-31
[37]
웹사이트
"Bratimljenje" Lukavca i Ulcinja od posebne važnosti za privrednu saradnju
https://opcina.lukav[...]
Lukavac
2015-05-12
[38]
웹사이트
Ceremonia në Serik: Nënshkruhet protokolli për binjakëzim
http://ul-info.com/c[...]
UL Info
2014-09-05
[39]
뉴스
Did you know Staten Island now has a sister city across the globe?
https://www.silive.c[...]
2024-02-03
[40]
웹사이트
Nishani dekoron Cafo Beg Ulqinin me Titullin "Kalorës i Urdhrit të Skënderbeut" - Video
http://www.visit-ulc[...]
2016-04-20
[41]
웹사이트
Montenegro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2-05-20
[42]
웹사이트
Ulcinj Salin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9-09-04
[43]
뉴스
モンテネグロで闘羊祭、羊の勇姿が観客を魅了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7-12-17
[44]
웹인용
Climate: Ulcinj
http://195.66.163.23[...]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18-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