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격탐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격탐사는 비행 기술 발전과 함께 시작되어, 인공위성 개발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발전해 온 기술이다. 음파, 전자파 등 다양한 파동을 이용하여 대상의 정보를 획득하며,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분류된다. 공간, 분광, 방사, 시간 해상도로 원격탐사 자료의 질을 평가하며, 지리 참조, 방사량 보정, 지형 보정, 대기 보정 등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쳐 활용된다. 농업, 임업, 환경, 재해/재난, 도시 계획, 자원 탐사, 기상, 해양, 국방/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한국에서도 아리랑 위성 시리즈를 통해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NASA는 데이터 처리 수준을 0부터 4까지 정의하여 데이터의 활용성을 분류한다. 원격탐사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으며, 원격탐사 자료를 처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상용 및 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리 기술 - 지리정보과학
    지리정보과학은 마이클 F. 굿차일드에 의해 1990년대에 제창되어 지리학, 지도학, 측지학을 넘어 인지 과학, 정보 과학 등 다양한 학문과 연관되어 발전해 온 지리 정보의 개념과 활용을 재정의하는 기초 연구 분야이다.
  • 지리 기술 - 지오펜스
    지오펜싱은 지도에 특정 영역을 설정하여 사용자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기술이며, GPS와 보조 GPS를 활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지도학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도학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원격탐사
원격 탐사 정보
정의멀리 떨어진 곳에서 대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
관련 학문지구과학, 환경과학, 군사
활용 분야토지 이용, 농업, 임업, 해양학
탐지 방법항공 사진
위성 영상
레이더
라이다
분광학
원리대상 물체에서 반사되거나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감지 및 분석
종류수동형 원격 탐사: 태양광 등 자연적인 에너지원 이용
능동형 원격 탐사: 레이더 등 인공적인 에너지원 사용
응용 분야기상 관측
자원 탐사
환경 모니터링
재해 감시
도시 계획
농작물 작황 예측
군사 정찰
주요 기술영상 처리
패턴 인식
GIS (지리 정보 시스템) 연계
장비원격탐사위성
추가 설명대상과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
다양한 센서와 플랫폼 사용
데이터 분석 및 해석 필요
센서 종류
광학 센서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 영역의 전자기파 감지
마이크로파 센서마이크로파 영역의 전자기파 감지, 레이더가 대표적
열 센서대상의 열복사 에너지 감지
음향 센서음파를 이용, 수중 탐사에 사용
플랫폼 종류
항공기비교적 넓은 지역을 상세하게 관측 가능
인공위성광범위한 지역을 주기적으로 관측 가능
선박해양 탐사에 사용
무인 항공기 (드론)저고도에서 유연하게 관측 가능
관련 기술
분광 분석 (Spectral analysis)대상의 분광 반사 특성을 분석하여 물질 식별
영상 분류 (Image classification)영상의 각 픽셀을 특정 클래스로 할당
기하 보정 (Geometric correction)영상의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
모자이크 (Mosaicking)여러 영상을 결합하여 하나의 큰 영상 생성
데이터 처리 단계
획득센서를 통해 원시 데이터 획득
전처리기하 보정, 방사 보정 등을 통해 데이터 품질 향상
분석영상 분류, 특징 추출 등을 통해 정보 추출
활용분석 결과를 지도 제작, 의사 결정 등에 활용
역사
초창기항공 사진을 이용한 군사 정찰
발전인공위성 개발과 함께 급속한 발전
현재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매김

2. 역사

원격탐사는 19세기 중반 기구를 이용한 항공 사진 촬영에서 시작되었으며, 20세기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군사 정찰 목적으로 발전했다. 특히 냉전 시대에는 정찰기 개발과 함께 항공사진 기술이 전성기를 맞았다. 20세기 후반, 인공위성 기술 발전으로 전 지구적 규모의 원격탐사가 가능해졌으며, 위성 영상 처리 기술 개발로 더욱 발전했다.

1941년 교과서 "항공사진 및 항공 측량(Aerophotography and Aerosurverying)"의 첫 번째 줄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냉전 기간 동안 P-51, P-38, RB-66, F-4C과 같은 개조된 전투기 또는 U-2/TR-1, SR-71, A-5, OV-1 시리즈와 같은 특수 설계된 수집 플랫폼을 사용하면서 절정에 달했다. 이는 상공 및 원거리 수집 모두에 사용되었다.[54] 최근에는 법 집행 기관과 군에서 유인 및 무인 플랫폼 모두에서 사용하는 점점 더 작아지는 센서 포드가 개발되었다. 이 방법의 장점은 특정 항공기의 개조가 최소화된다는 것이다. 이후 이미징 기술에는 적외선, 일반, 도플러 및 합성 개구 레이더가 포함될 것이다.[55]

20세기 후반 인공위성의 발전으로 냉전 종식 이후 원격탐사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56] 랜드샛, 님버스와 같은 다양한 지구 관측 및 기상 위성과 RADARSAT, UARS와 같은 최근 임무에 탑재된 계측 장비는 민간, 연구 및 군사 목적으로 다양한 데이터에 대한 전 세계적 측정을 제공했다. 다른 행성으로의 우주 탐사선은 외계 환경에서 원격탐사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했다. 마젤란 우주선에 탑재된 합성 개구 레이더는 금성의 상세한 지형도를 제공했고, SOHO에 탑재된 장비는 태양태양풍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했다.[57][58]

"원격탐사"라는 용어는 1960년대 초 에블린 프루이트가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항공사진이 새로운 기술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설명하기에 충분한 용어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 시작되었다.[59][60] 그녀는 해군 연구소의 동료 직원인 월터 베일리의 도움을 받아 "원격탐사"라는 용어를 만들었다.[61][62]

2. 1. 초기 역사

현대 원격탐사 기술은 비행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1858년, 기구 비행사였던 나다르(가스파르-펠릭스 투르나숑)는 자신의 기구에서 파리 상공을 촬영했는데,[51] 이는 최초의 항공사진으로 기록된다. 전서구, 연, 로켓, 무인 기구도 초기 영상 촬영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기구를 제외한 이러한 초기 개별 이미지는 지도 제작이나 과학적 목적에 특별히 유용하지는 않았다.

2. 2. 군사 정찰 목적의 발전

록히드 U-2(TR-1) 정찰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군사 목적으로 항공사진 촬영 기술이 체계적으로 발전했다.[52] 냉전 시대에는 U-2와 같은 정찰기를 이용한 항공사진 기술이 발전했다.[54]

2. 3. 인공위성 시대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미국에서 위성 영상의 영상 처리 기술이 개발되면서 원격탐사는 더욱 발전하였다. 실리콘밸리의 NASA 에임스 연구소, GTE, ESL 등에서 푸리에 변환 기술을 이용해 영상의 질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59][60][61][62][63] 1999년에는 최초의 상업용 고해상도 위성인 IKONOS가 발사되었다.[63]

2. 4. 한국의 원격탐사 역사

1990년대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사업을 시작으로 대한민국은 본격적인 위성 원격탐사 기술 개발 및 활용을 시작하였다. 2000년대 이후 아리랑 위성 시리즈 발사를 통해 고해상도 영상 획득 능력을 확보하고, 이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3. 분류 및 종류

원격탐사는 크게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능동형 원격탐사(active remote sensing)''': 관측 장비에서 대상에 신호를 보내고, 대상에서 반사·산란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의 성질을 파악한다. 레이더, 라이더가 대표적이며, 이들은 방출과 반환 사이의 시간 지연을 측정하여 물체의 위치, 속도, 방향을 파악한다.[5]
  • '''수동형 원격탐사(passive remote sensing)''': 물체나 주변 지역에서 방출되거나 반사되는 복사선을 수집한다. 반사된 햇빛이 가장 일반적인 복사선 원천이다. 필름 사진술, 적외선, 전하결합소자, 방사계 등이 있다.[5]


원격탐사는 이용하는 파의 종류에 따라 음파, 전자파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원격탐사의 종류
파동 종류특징 및 활용
음파주로 수중 원격탐사에 사용된다. 전자파는 수중에서 빠르게 감쇠하지만, 음파는 멀리 전달되므로, 잠수함, 어군탐지기 등에 활용된다. 차량용 근접 거리계는 초음파를 이용한다.
전자파위성이나 항공기 원격탐사에 자주 사용된다. 주파수(파장)에 따라 전파 특성과 물질과의 상호 작용 특성이 다르므로,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파, 레이저광 등 각 대역에 적합한 용도가 있다.



원격탐사 개념도

3. 1. 능동형 원격탐사 (Active Remote Sensing)

능동형 원격탐사는 관측 장비에서 신호를 보내고, 대상에서 반사되거나 산란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하여 정보를 얻는 방식이다.

움브라(Umbra)사가 촬영한 이집트 아스완댐(Aswan Dam)의 레이더 영상

  • 기존 레이더는 주로 항공 교통 관제, 조기 경보 및 특정 대규모 기상 데이터와 관련이 있다. 도플러 레이더는 지역 법 집행 기관의 속도 제한 모니터링과 강수량 위치 및 강도 외에도 기상 시스템 내의 풍속 및 방향과 같은 향상된 기상 데이터 수집에 사용된다.
  • 간섭계 합성 개구 레이더는 대규모 지형의 정밀한 디지털 표고 모델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RADARSAT, TerraSAR-X, 마젤란 참조).[10]
  • 위성에 장착된 레이저 및 레이더 고도계는 광범위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물의 융기를 측정하여 해저의 특징을 약 1마일의 해상도로 매핑한다. 해양 파도의 높이와 파장을 측정하여 고도계는 풍속과 방향, 해수면 표면류 및 방향을 측정한다.
  • 초음파(음향) 및 레이더 조석계는 해안 및 해양 조석계에서 해수면, 조류 및 파도 방향을 측정한다.
  • 라이다는 무기 거리 측정, 발사체의 레이저 조명 유도 및 대기 중 다양한 화학 물질의 농도 탐지 및 측정에 사용되며, 공중 라이다는 레이더 기술보다 더 정확하게 지상의 물체 및 지형의 높이를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라이다는 지표면 변화를 감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10] 식생 원격 감지는 라이다의 주요 응용 분야이다.[11]
  • 소나: 수동 소나는 다른 물체(선박, 고래 등)가 내는 소리를 듣는 것이고, 능동 소나는 음파 펄스를 방출하고 메아리를 들어 수중 물체와 지형을 탐지하고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 다른 유형의 능동 수집에는 전리층의 플라스마가 포함된다.


가장 유명한 능동형 원격탐사는 마이크로파 산란계와 합성개구레이더, 레이저 프로파일러 등이 있다.

3. 2. 수동형 원격탐사 (Passive Remote Sensing)

수동형 원격탐사는 물체나 주변 지역에서 방출되거나 반사되는 복사선을 수집하는 방식이다. 반사된 햇빛이 수동 센서로 측정되는 가장 일반적인 복사선 원천이다. 수동 원격 센서의 예로는 필름 사진술, 적외선, 전하결합소자(CCD), 방사계가 있다.[5] [6]

방사계와 광도계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로, 광범위한 주파수에서 반사 및 방출된 복사선을 수집한다. 가시광선 및 적외선 센서가 가장 일반적이며, 그 뒤를 마이크로파, 감마선, 자외선이 따른다. 또한 다양한 화학 물질의 방출 스펙트럼을 감지하여 대기 중 화학 물질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7] [8]

분광 편광 영상은 표적 추적에 유용하다. 인공 물체는 자연 물체에는 없는 편광 서명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론은 군용 트럭과 같은 차량과 음향 광학 조정 필터 이중 초분광 및 분광 편광 VNIR 분광 편광 이미저가 장착된 트레일러의 영상에서 도출되었다.[16] [17]

입체 사진쌍 항공 사진은 통행성 및 고속도로 부서의 영상 및 지형 분석가가 잠재적인 경로 외에도 지상 서식지 특징을 모델링하는 데 종종 사용되었다.[18] [19] [20]

Landsat과 같은 동시 다중 스펙트럼 플랫폼은 1970년대부터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주제 매퍼는 전자기 복사의 여러 파장(다중 스펙트럼)으로 이미지를 촬영하며, 일반적으로 지구 관측 위성에서 발견된다. 주제 매핑의 토지 피복 및 토지 이용 지도는 광물 탐사, 토지 이용 감지 또는 모니터링, 침입성 식생 감지, 삼림 벌채 및 토착 식물과 작물의 건강 검사(전체 농업 지역 또는 산림을 포함)에 사용할 수 있다.[21] Landsat 이미지는 규제 기관에서 Secchi 깊이, 엽록소 밀도 및 총 인 함량을 포함한 수질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기상 위성은 기상학과 기후학에 사용된다.

초분광 영상은 각 픽셀에 인접한 스펙트럼 범위에 걸쳐 좁은 스펙트럼 대역을 이미징하는 전체 스펙트럼 정보가 있는 이미지를 생성한다. 초분광 이미저는 광물학, 생물학, 방위 및 환경 측정을 포함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3. 3. 이용 파장에 따른 분류

원격탐사는 일반적으로 대상에서 관측자에게 전파되는 파동을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파동의 종류에 따라 크게 음파와 빛을 포함한 전자파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다른 특징과 활용 분야를 가진다.

이용 파장에 따른 원격탐사 분류
파동 종류특징 및 활용
음파주로 수중 원격탐사에 사용된다. 전자파는 수중에서 빠르게 감쇠하지만, 음파는 멀리 전달되므로, 잠수함, 어군탐지기 등에 활용된다. 차량용 근접 거리계는 초음파를 이용한다.
전자파위성이나 항공기 원격탐사에 자주 사용된다. 주파수(파장)에 따라 전파 특성과 물질과의 상호 작용 특성이 다르므로,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파, 레이저광 등 각 대역에 적합한 용도가 있다.


3. 3. 1. 음파 원격탐사

음파는 주로 수중 원격탐사에 사용된다. 전자파는 초저주파를 제외하고 수중에서 매우 빠르게 감쇠되어 원격탐사에 부적합하지만, 음파는 수백 km 떨어진 곳에도 전달되기 때문에 원격탐사에 활용할 수 있다.

  • 소나(Sonar): 능동 소나(active sonar)는 음파 펄스를 방출하고 메아리를 들어 수중 물체와 지형을 탐지하고 거리를 측정한다. 수동 소나(passive sonar)는 다른 물체(선박, 고래 등)가 내는 소리를 듣는다. 이를 통해, 구축함이나 잠수함은 다른 잠수함이나 함선을 탐지하고, 어선·낚시배 등에서는 어군을 탐지하는 데 사용된다.
  • 초음파: 차량 등에 탑재된 근접 거리계는 초음파의 전파 속도를 이용한 능동형 원격탐사의 일종이다. 또한, 고주파 펄스를 방출하고 메아리를 듣는 초음파 센서는 조석계 또는 예인 수조와 같이 수위와 수위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74]

3. 3. 2. 전자파 원격탐사

전자파 원격탐사는 위성이나 항공기 원격탐사에 주로 사용된다.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파, 레이저광 등 다양한 파장 대역을 활용한다.[74]

  • '''가시광선''':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이다. 일반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기술을 응용할 수 있어 비교적 쉽게 구현 가능하다. 태양의 열복사 스펙트럼이 가시광선 영역에서 최대가 되기 때문에 태양 전자파를 이용한 관측에 적합하다. 그러나 구름이 있으면 지표면 관측이 어렵고, 야간 관측도 제한적이다(도시 등 인공 광원 제외). 대기 중 노이즈(공기 분자나 에어로졸에 의한 흡수·산란)의 영향을 받기 쉽다.

  • '''적외선''':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며,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으로 나뉜다. 지구상의 물체는 적외선 영역에 열복사 피크가 있어, 물체의 열적 상태를 적외선 방사로 관측할 수 있다. 물체의 적외선 방사량을 온도로 환산하여 구름, 도시 지역(히트 아일랜드), 해수면 온도 분포(엘니뇨 현상, 해류) 등을 조사한다. 또한, 사운더라는 적외선 센서로 대기 중 수증기나 온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가시광선과 마찬가지로 구름을 투과하기 어려워 맑은 날씨에만 지표면 관측이 가능하지만, 야간 지표면 관측은 가능하다. 기상 관측, 해수면 온도 측정 등에서 오래 활용되었다.

  • '''마이크로파''': 적외선보다 파장이 길다. 구름 입자에 산란되지 않아 구름을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날씨에 관계없이 지표면을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물은 마이크로파 주파수 영역에서 효율적인 방사체이므로, 해양 조사나 강수량 조사 등 물 관련 원격탐사에 적합하다. 다만, 파장이 길어 가시광선보다 높은 해상도를 얻기 어렵다. 이를 위해 합성 개구 레이더 기술이 사용된다.

  • '''레이저광''': 레이저광의 방사와 반사로부터 위상차를 이용해 대상과의 거리나 3차원 형상을 구할 수 있다. LIDAR가 사용된다.


전자파는 편파나 위상 같은 특징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는 원격탐사 기술도 존재한다.[74]

4. 데이터 획득 기술

원격탐사는 관측 장치(센서)와 그것을 상공으로 운반하기 위한 플랫폼이 필요하다. 관측 장치로는 사진, 방사계, 레이저 프로파일러, 레이더 등이 사용된다. 플랫폼으로는 비행기, 기구, 헬리콥터, 인공위성, 자동차 등이 사용된다.[9]

원격탐사 자료의 질은 공간, 분광, 방사 및 시간 해상도로 구성된다.


  • 공간 해상도: 래스터 이미지에 기록되는 픽셀의 크기 – 일반적으로 픽셀은 한 변의 길이가 1m에서 1000m에 이르는 정사각형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 분광 해상도: 기록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파장 – 일반적으로 이것은 플랫폼에 의해 기록된 주파수 대역의 수와 관련이 있다. 현재 랜드샛 자료는 적외선 스펙트럼의 여러 대역을 포함하여 7개의 대역으로 구성되며, 분광 해상도는 0.7~2.1 μm이다. Earth Observing-1의 Hyperion 센서는 0.4~2.5 μm에서 220개의 대역을 해상도 0.10~0.11 μm/대역으로 해석한다.
  • 방사 해상도: 센서가 구분할 수 있는 방사선의 강도 수. 일반적으로 이것은 8~14비트이며, 각 대역에서 256단계의 회색조와 최대 16,384개의 강도 또는 색상 "음영"에 해당한다. 또한 계측기 잡음에도 따라 달라진다.
  • 시간 해상도: 위성이나 항공기의 반복 비행 빈도이며, 시간 계열 연구나 삼림 벌채 모니터링과 같이 평균 또는 모자이크 이미지가 필요한 연구에만 관련이 있다. 이것은 처음으로 정보 기관에서 사용되었는데, 반복적인 촬영을 통해 기반 시설의 변화, 부대 배치 또는 장비의 수정/도입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 지역이나 물체 위의 구름은 해당 위치의 자료 수집을 반복해야 할 필요성을 만든다.[9]


다중분광 자료 수집 및 분석의 기본 원리는 주변 영역과 구별되는 복사선을 반사하거나 방출하는 조사 대상 영역이나 물체에 있다.[9]

5. 데이터 처리

대부분의 원격탐사 시스템은 센서 데이터를 지상의 기준점과 연관시켜 지도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센서에 따라 데이터 처리 방식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사진은 이미지 중앙에서 거리가 가장 정확하고,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왜곡이 커진다. 이러한 왜곡을 보정하는 작업을 지리 참조라고 하며,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점들을 기준점과 일치시켜 이미지를 "왜곡"하고 정확한 공간 데이터를 생성한다.[29] 1990년대 초부터 대부분의 위성 이미지는 완전히 지리 참조된 상태로 판매된다.

이미지는 방사량 및 대기 보정이 필요할 수 있다.


  • 방사량 보정: 방사량 오차 및 왜곡을 보정한다. 지표면 물체의 조명은 지형에 따라 고르지 않기 때문에 방사량 왜곡 보정이 필요하다.[29] 방사량 보정은 픽셀 값을 실제 복사량 값으로 변환한다.
  • 지형 보정: 험준한 산악 지역에서는 지형 때문에 픽셀의 밝기가 크게 달라진다. 그늘진 곳은 어둡고 복사량 값이 낮은 반면, 햇볕이 잘 드는 곳은 밝고 복사량 값이 높다. 같은 물체라도 위치에 따라 복사량 값이 다를 수 있고, 서로 다른 물체가 비슷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지형 보정은 이러한 효과를 제거하여 물체의 실제 반사율을 복구하는 것이다.
  • 대기 보정: 대기 중의 먼지나 수증기 등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각 주파수 대역을 재조정하여 대기 헤이즈를 제거한다.


데이터를 디지털화하면 회색조 값을 변경하여 데이터를 조작할 수도 있다.

해석은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초기에는 항공 사진을 수집하여 라이트 테이블을 이용한 공간 측정, 사진 측량, 사진 모자이크, 반복 촬영 등의 기술을 사용했다. 최근에는 영상 분석이라는 자동화된 컴퓨터 지원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다.

객체 기반 영상 분석(OBIA)은 원격탐사 영상을 의미 있는 객체로 분할하고 공간적, 분광적, 시간적 특성을 평가하는 GIS 과학의 하위 분야이다.

원격탐사의 오래된 데이터는 넓은 지역에 대한 장기간의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치가 있지만, 해석하기 어렵고 저장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현대 시스템은 주로 무손실 압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디지털로 저장한다. 그러나 데이터 손상, 형식 노후화, 위조 가능성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로 생성된 기계 판독 가능한 초미세 필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초미세 필름은 표준 도서관에서 수세기 동안 보관 가능하며,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생성, 복사, 보관, 검색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원격탐사는 '역문제' 원칙에 따라 작동한다. 즉, 직접 측정할 수 없는 대상(상태) 대신 측정 가능한 다른 변수(관측)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관심 대상을 추론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상층 대기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대신 이산화탄소와 같은 화학 종의 분광 방출을 측정하고, 열역학을 통해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6. 활용 분야

원격탐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광범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활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 농업: 작물의 생육 상태를 파악하고 작황을 예측하며, 병충해 발생을 조기에 감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한다. 토양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효율적인 관개 계획을 수립하고, 농경지 면적을 조사하여 농업 정책 수립에 활용한다.
  • 임업: 산림 자원을 조사하고 관리하며, 산불 발생을 감시하고 피해 면적을 파악하여 신속한 대응을 돕는다. 또한, 산림 병해충 발생을 탐지하여 확산을 방지한다.
  • 환경: 대기 오염, 수질 오염, 해양 오염 등 각종 환경 오염을 감시하고, 사막화 진행 상황을 파악하여 대응한다.
  • 재해/재난: 홍수, 지진, 산사태, 화산 폭발 등 각종 재해 및 재난 발생 시 피해 지역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위험 지역을 예측하여 대비한다.
  • 도시 계획: 도시의 성장 과정을 분석하고, 토지 이용 변화를 탐지하며, 도시 열섬 현상을 연구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계획을 수립한다.
  • 자원 탐사: 광물 자원, 석유 및 가스전 등 지하 자원을 탐사하여 효율적인 개발을 돕는다.
  • 기상: 기상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구름, 태풍, 기후 변화 등을 분석하여 기상 관련 연구에 활용한다.
  • 해양: 해수면 온도, 적조 발생, 해류, 해양 생태계 등을 관측하고 분석하여 해양 환경 보전 및 자원 관리에 활용한다.
  • 국방/안보: 군사 시설 감시, 국경 지역 정찰, 테러 감시 등 국가 안보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한다.
  • 측지: 지구 중력장 변화, 지각 변동 등을 측정하여 지구 과학 연구에 활용한다.
  • 기타: 인프라 시설 관리, 야생 동물 서식지 조사, 고고학 유적 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7. 데이터 처리 수준 (NASA 정의)

1986년 NASA가 지구관측시스템의 일환으로 처음 정의한 데이터 처리 수준은 다음과 같다.[30][31][32]

수준설명
0통신 관련 요소(동기화 프레임, 통신 헤더, 중복 데이터 등)가 제거된, 완전한 해상도로 재구성된 미처리 기기 및 탑재체 데이터.
1a완전한 해상도의 재구성된 미처리 기기 데이터. 시간 참조 및 방사/기하 보정 계수, 지리 참조 매개변수(예: 플랫폼 에페머리스)를 포함한 보조 정보가 주석으로 추가됨. 계산된 정보는 레벨 0 데이터에 적용되지 않거나, 적용되더라도 레벨 0 데이터가 레벨 1a 데이터에서 완전히 복구 가능함.
1b센서 단위(예: 레이더 후방 산란 단면적, 밝기 온도 등)로 처리된 레벨 1a 데이터. 모든 기기에 레벨 1b 데이터가 있는 것은 아님. 레벨 0 데이터는 레벨 1b 데이터에서 복구할 수 없음.
2레벨 1 원본 데이터와 동일한 해상도와 위치에서 파생된 지구물리 변수(예: 해양 파고, 토양 수분, 얼음 농도).
3균일한 시공간 격자 척도에 매핑된 변수 (예: 누락된 지점 보간, 여러 궤도에서 모자이크된 완전한 영역 등).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완전성과 일관성을 가짐.
4하위 수준 데이터 분석의 모델 출력 또는 결과 (즉, 기기로 측정되지 않고 이러한 측정값에서 파생된 변수).



레벨 1 데이터는 상당한 과학적 유용성을 지닌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이며, 모든 후속 데이터 세트가 생성되는 기반이다. 레벨 2는 대부분의 과학적 응용 프로그램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첫 번째 수준이며, 그 가치는 하위 수준보다 훨씬 크다. 레벨 2 데이터는 시간적, 공간적 또는 스펙트럼적으로 축소되었기 때문에 레벨 1 데이터보다 용량이 적다. 레벨 3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하위 수준 데이터보다 작으므로 많은 데이터 처리 부담 없이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많은 응용 프로그램에 더 유용하다. 레벨 3 데이터의 규칙적인 공간 및 시간적 구성을 통해 서로 다른 소스의 데이터를 쉽게 결합할 수 있다.

8. 교육 및 훈련

원격탐사는 현대 정보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항공 우주 산업의 핵심 기술이며 경제적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TerraSAR-X와 RapidEye와 같은 새로운 센서가 끊임없이 개발되고 있으며 숙련된 인력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탐사는 일기 예보부터 기후 변화 또는 자연 재해에 대한 보고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독일 학생의 80%가 구글 어스 서비스를 이용하며, 2006년 한 해에만 1억 회 이상 다운로드되었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그들 중 일부만이 자신이 사용하는 데이터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64] 위성 이미지의 활용과 이해 사이에는 거대한 지식 격차가 존재한다.

정치적인 주장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원격탐사는 부차적인 역할만 하고 있다.[65] 학교 수업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많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복잡성 때문에 아직 구현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과목은 교육 과정에 전혀 통합되지 않거나 아날로그 이미지 해석 단계를 넘어서지 못한다. 사실 원격탐사는 물리학과 수학뿐만 아니라 위성 이미지의 단순한 시각적 해석 외에도 미디어 및 방법 분야의 역량을 통합해야 한다.

많은 교사들은 교육 과정을 고려한다면 원격탐사라는 주제를 교육에 통합하는 데 동기를 부여받아 이 과목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혼란스러운 정보 때문에 이러한 노력은 실패한다.[66] 원격탐사를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통합하기 위해 EGU 또는 디지털 어스[67]와 같은 기관은 학습 모듈학습 포털의 개발을 장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및 방법 자격과 독립적인 학습을 장려하기 위해 ''FIS – 원격탐사 학교 수업'',[68] ''Geospektiv'',[69] ''Ychange'',[70] 또는 Spatial Discovery[71]와 같은 예가 있다.

9. 소프트웨어

원격탐사 자료는 원격탐사 소프트웨어로 알려진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처리 및 분석된다. 원격탐사 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많은 수의 독점 및 오픈소스 응용 프로그램이 존재한다.[4]

참조

[1] 서적 Remote sensing: models and methods for image processing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5-11-15
[2] 서적 Remote sensing: the image chain approa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11-15
[3] 논문 Spatiotemporal analysis of urban environment based on the vegetation–impervious surface–soil model https://www.spiedigi[...] 2021-10-27
[4] 서적 Essential Image Processing for GIS and Remote Sensing https://www.wiley.co[...] Wiley-Blackwell 2023-04-02
[5] 웹사이트 Saving the monkeys https://spie.org/mem[...] SPIE Professional 2016-01-01
[6] 논문 Remote sensing and habitat mapping for bearded capuchin monkeys (Sapajus libidinosus): landscapes for the use of stone tools 2015-08-19
[7] 논문 Differential Absorption Lidar (DIAL) Measurements of Landfill Methane Emissions 2017
[8] 논문 Assessment and enhancement of SAR noncoherent change detection of sea-surface oil spills 2018-01
[9] 웹사이트 Science@nasa - Technology: Remote Sensing http://hurricanes.na[...] 2009-02-18
[10] 논문 Analysis of regional large-gradient land subsidence in the Alto Guadalentín Basin (Spain) using open-access aerial LiDAR datasets https://doi.org/10.1[...] 2022-10
[11] 논문 Utility of multitemporal lidar for forest and carbon monitoring: Tree growth, biomass dynamics, and carbon flux https://go.osu.edu/b[...] 2018
[12] 뉴스 Just Sit Right Back and You'll Hear a Tale, a Tale of a Plankton Trip https://blogs.nasa.g[...] NASA Earth Expeditions 2018-08-15
[13] 논문 Remote sensing of night lights: A review and an outlook for the future 2020-02
[14] 논문 Smart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Volcanic Applications 2019-01
[15] 논문 Mapping Recent Lava Flows at Mount Etna Using Multispectral Sentinel-2 Images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2019-01
[16] 논문 Multispectral, Hyperspectral, and Three-Dimensional Imaging Research at the U.S. Army Research Laboratory https://apps.dtic.mi[...] 2003-07
[17] 논문 A survey of landmine detection using hyperspectral imaging http://porto.polito.[...] 2017-02-01
[18] 논문 Photogrammetry from Archived Digital Imagery for Seal Monitoring 1997
[19] 논문 Topographic spatial characterisation of grey seal ''Halichoerus grypus'' breeding habitat at a sub-seal size spatial grain 2001
[20] 논문 Finescale ecological niche modeling provides evidence that lactating gray seals (''Halichoerus grypus'') prefer access to fresh water in order to drink http://dro.dur.ac.uk[...] 2021-10-27
[21] 논문 Land Use and Land Cover Mapping in the Era of Big Data 2022-09
[22] 웹사이트 Begni G. Escadafal R. Fontannaz D. and Hong-Nga Nguyen A.-T. (2005). Remote sensing: a tool to monitor and assess desertification. Les dossiers thématiques du CSFD. Issue 2. 44 pp. http://www.csf-deser[...] 2021-10-27
[23] 논문 Remote sensing of terrestrial plant biodiversity https://www.scienced[...] 2019-09-15
[24] 논문 Satellite remote sensing to monitor species diversity: potential and pitfalls https://onlinelibrar[...] 2016-02
[25] 논문 Plant spectral diversity integrates functional and phylogenetic components of biodiversity and predicts ecosystem function https://www.nature.c[...] 2018-06
[26] 논문 No place to hide: Rare plant detection through remote sensing 2021-02-18
[27] 논문 Using remote sensing for agricultural statistics 2005
[28] 웹사이트 Geodetic Imaging https://www.unavco.o[...] 2016-09-29
[29] 논문 Мethod of radiometric distortion correction of multispectral data for the earth remote sensing.
[30] 간행물 Report of the EOS data panel http://hdl.handle.ne[...] NASA 1986
[31] 간행물 Earth Science Reference Handbook – A Guide to NASA's Earth Science Program and Earth Observing Satellite Missions http://eospso.gsfc.n[...]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Washington, D. C.
[32] 간행물 Product User Manual http://www.grassaf.o[...] GRAS-SAF 2009-03-31
[33] 논문 Use of satellite data in agricultural surveys
[34] 논문 A Look at the Remote Sensing Applications Program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Service
[35] 서적 Regional Crop Inventories in Europe Assisted by Remote Sensing: 1988-1993. Synthesis Report Office for Publications of the EC
[36] 논문 Estimation of tropical forest extent and regenerative stage using remotely sensed data 1994
[37] 논문 Determination of deforestation rates of the world's humid tropical forests 2002
[38] 논문 Land cover estimation in small areas using ground survey and remote sensing 2000
[39] 서적 Assessing the Accuracy of Remotely Sensed Data: Principles and Practices, Third Edition https://www.taylorfr[...] CRC Press 2019-01-25
[40] 논문 Estimating Area from an Accuracy Assessment Error Matrix 2013
[41] 논문 Key issues in rigorous accuracy assessment of land cover products https://nottingham-r[...] 2019
[42] 논문 Impact of training and validation sample selection on classification accuracy and accuracy assessment when using reference polygons in object-based classification 2013
[43] 논문 Misclassification bias in areal estimates
[44] 논문 Area estimation of crops by digital analysis of Landsat data 1978
[45] 논문 Good practices for estimating area and assessing accuracy of land change http://eprints.notti[...] 2014
[46] 논문 The effects of imperfect reference data on remote sensing-assisted estimators of land cover class proportions 2018
[47] 논문 Assessing the accuracy of land cover change with imperfect ground reference data http://eprints.notti[...] 2010
[48] 논문 Using the regression estimator with landsat data to estimate proportion forest cover and net proportion deforestation in gabon 2014
[49] 논문 Remote sensing and land cover area estimation 2004
[50] 논문 Using remote sensing for agricultural statistics 2005
[51] 웹사이트 Flight of the Giant https://www.airspace[...] 2019-02-19
[52] 뉴스 A bird's-eye view of the battlefield: aerial photography https://www.telegrap[...] 2014-04-04
[53] 서적 Aerophotography and Aerosurveying The Maple Press Company 1941
[54] 웹사이트 Air Force Magazine http://www.airforcem[...] 2019-02-19
[55] 웹사이트 Military Imaging and Surveillance Technology (MIST) https://www.darpa.mi[...] 2019-02-19
[56] 간행물 The Indi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 Newsletter: VOL. 15, No. 4, October - December 2016 Brill 2018
[57] 웹사이트 In Depth {{!}} Magellan https://solarsystem.[...] 2019-02-19
[58] 웹사이트 SOHO - Solar and Heliospheric Observatory http://www.nasa.gov/[...] 2015-04-15
[59] 서적 Introduction to Remote Sensing The Guilford Press 2011-06-21
[60] 서적 Why 'where' matters : understanding and profiting from GPS, GIS, and remote sensing : practical advice for individuals, communities, companies and countries http://archive.org/d[...] Manotick, ON : Kim Geomatics Corp. 2010
[61] 논문 On defining remote sensing https://www.asprs.or[...] 1986-09
[62] 논문 The Office of Naval Research and Geography https://www.jstor.or[...] 1979
[63] 웹사이트 Ames Research Center Overview http://www.nasa.gov/[...] 2015-04-08
[64] 논문 Geospatial technologies in school – theoretical concept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in K-12 schools 2012
[65] 논문 The integration of science explorations through the use of earth images in middle school curriculum 1999
[66] 논문 Mission Geography: Linking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innovative technologies and NASA 2000-07
[67] 웹사이트 Digital Earth https://web.archive.[...]
[68] 웹사이트 FIS – Remote Sensing in School Lessons http://www.fis.uni-b[...] 2012-10-25
[69] 웹사이트 geospektiv https://www.geospekt[...] 2018-06-01
[70] 웹사이트 YCHANGE https://ychange.eu/ 2018-06-01
[71] 웹사이트 Landmap – Spatial Discovery http://www.landmap.a[...] 2021-10-27
[72] 서적 Applications of Gamma Radiation in Remote Sensing Springer-Verlag
[73] 서적 センシング工学 コロナ社 1992
[74] 논문 A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Framework with Spatial Pixel Pair Features http://www.mdpi.com/[...] 2017-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