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회공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회공화제는 국가원수가 행정 권한을 갖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행사하는 공화국의 한 형태이다. 행정 권한은 주로 총리에게 부여되며, 국가원수의 임기는 의회 임기에 따라 결정되기도 한다. 의회공화제는 입헌군주국에서 전환된 경우가 많으며,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등이 역사적으로 의회공화제를 채택한 바 있다. 현재 완전한 의회공화제는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등에서, 대통령제를 겸한 의회공화제는 보츠와나, 키리바시 등에서, 의회독립제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가이아나 등에서 시행되고 있다. 스위스는 연방 평의회가 국가원수와 정부 수반을 겸하는 평의회 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화제 - 일당제
    일당제는 하나의 정당만이 합법적이거나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 체제로,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야당 탄압 등으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정책 결정에 있어 반대 의견 부재로 잘못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공화제 - 가나상가
    가나상가는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로 부족을 의미하며 고대 인도의 부족 공화정을 지칭하는 용어로, 라자와 의회, 총회를 통해 국정을 운영했고 불교 교단의 조직에도 영향을 미쳤다.
  • 의사 절차 - 의회 해산
    의회 해산은 새 의회 구성을 위해 의회 활동을 중단하는 절차로, 과거 군주 권력 강화 수단에서 현재는 정부 신임 상실 또는 여론 반영 미흡 시 원수가 행사하는 관례가 되었으나, 해산권 제한 또는 폐지, 민주적 정당성 논쟁, 엄격한 해산 요건 및 사법 심사 강화 추세, 해산권 남용 우려 등이 존재한다.
  • 의사 절차 - 필리버스터
    필리버스터는 의사진행 방해를 통해 법안 처리를 지연시키거나 저지하는 전술로, 소수파 의견을 반영하고 정부 독주를 견제하는 수단이지만 의회 효율성과의 균형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한국 국회에서도 여러 사례가 존재한다.
  • 유형별 민주주의 - 사회민주주의
    핵전방의 활동은, **각 시대의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그들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흐름을 따라야 할 필요가 있다.** 1950년대 이후로는 변동이 잦아 졌고, 그 당시, 사회주의 운동과 관련이 있으며, 정치적·사회적 힘을 통해, 이상적인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그들은 이념을 가진다. 부연적인 내용으로는, 현재의 사회의 문제점과 사회 개혁에 대한 노력을 볼 수 있다. ``` ``` ``` ```
  • 유형별 민주주의 - 간접 민주제
    간접 민주제는 선출된 대표자들이 국민의 의사를 대신하여 정치 활동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효율성과 전문성을 가지나 과두정치 퇴보, 민의 왜곡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스토크라시나 숙의 민주주의 등이 제시된다.
의회공화제
개요
정부 형태
의원내각제 공화국
정의
정치 체제공화국
정부 형태의원내각제
특징의회에서 선출된 총리가 행정부 수반의 역할을 수행
국가 원수대통령 (상징적인 역할)
국왕 또는 여왕 (입헌군주국)
특징
책임 소재행정부 수반(총리)은 의회에 책임을 짐
정부 구성의회의 신임을 얻어야 함
불신임 제도의회는 행정부를 불신임할 수 있음
장점
융통성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정부 교체가 용이함
책임 정치행정부가 의회의 견제를 받으므로 책임정치 구현에 용이함
단점
불안정성잦은 정권 교체로 정치적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음
정책 일관성 부족정권 교체에 따라 정책의 일관성이 부족해질 수 있음
의원내각제 공화국
국가 목록독일
이탈리아
인도
이스라엘
오스트리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체코
터키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그리스
싱가포르
몰타
몰도바
미크로네시아 연방
바누아투
이라크
에티오피아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마셜 제도
트리니다드 토바고
피지
도미니카 연방
모리셔스
키리바시
나우루
사모아
투발루
솔로몬 제도
바베이도스
가이아나
수리남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통가
참고
관련 용어공화국
의원내각제
대통령제
이원집정부제

2. 권력

대통령제나 준대통령제를 채택한 공화국과 달리, 의회공화국의 국가원수에게는 행정권이 주어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37][38] 이때문에 국가원수에게 주어지지 않은 행정권은 보통 총리라 불리는 정부수반에게 부여된다.[1][2]

보츠와나, 마셜 제도, 나우루, 남아프리카 공화국처럼 국가원수의 임기가 의회 임기에 따라 결정되는 의회공화국에서는 정부수반과 국가원수가 하나의 직책으로 통합되기도 한다. 이 경우 대통령은 의원내각제 의회에서 총리를 선출하는 방식과 비슷하게 선출되며, 일반적으로 의회 내 제1당 또는 제1정당연합의 대표가 대통령직을 맡는다.

오스트리아아이슬란드와 같이 국가원수가 법적으로 행정권을 보유하지만, 관례상 행사하지 않거나 의회 또는 정부수반의 조언에 따라서만 행사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의회공화국이면서도 준대통령제가 의회제 아래에서 운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역사

오늘날 의회공화국은 기존에 의원내각제를 갖췄던 입헌군주국에서 전환된 경우가 많다.[39] 이탈리아는 본래 입헌군주국이었으나 1946년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제를 도입하면서 의회공화국이 되었다.

독일도 대표적인 의회공화국으로 꼽힌다. 1919년 바이마르 헌법 채택으로 수립된 바이마르 공화국 체제에서는 대통령제의 영향으로 대통령의 행정권이 다소 남아있는 이원집정부제였으나, 패전 후인 1945년 독일연방공화국 건국과 함께 대통령직은 행정권을 상실하고 완전한 국가원수로 남게 되었다.

프랑스는 1870년 보불전쟁에서 나폴레옹 3세가 패배하고 왕정이 폐지되면서 프랑스 제3공화국을 수립하며 의회공화국이 된 적이 있다. 제3공화국의 대통령은 이전 두 공화국의 대통령보다 행정권이 훨씬 축소되었다. 1940년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으로 제3공화국이 무너지고, 종전 후 1946년 세워진 프랑스 제4공화국도 비슷한 체제를 채택하였다. 제4공화국은 전후 프랑스의 고도 경제 성장과 더불어, 국가적 사회 제도와 산업 재건기를 누렸으며, 훗날 유럽 연합으로 실현되는 유럽 대륙의 통합에도 힘쓴 시기였다.

제3공화국 시절에 팽배했던 정권의 불안정성을 방지하기 위해, 제4공화국에서는 정부의 행정권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이뤄졌다. 그럼에도 여전히 남아있는 불안정성 때문에 정권교체가 잦아, 10년간 집권한 정부내각의 수가 총 20대에 달했다. 1950년대 들어 알제리 전쟁으로 대표되는 탈식민지화 흐름에 정부가 효과적인 결정을 내리지 못하자, 군부 쿠데타가 일어나 샤를 드골이 집권하면서 제4공화국은 무너지고, 프랑스 대통령은 법령을 통한 통치권을 갖게 되었다. 이후 1958년 9월 28일 국민투표에서 새 헌법의 승인과 함께 대통령의 권력 강화가 합법화되었고, 1959년 프랑스 제5공화국이 수립되며 지금에 이른다. 오늘날 프랑스는 대통령과 내각총리가 모두 선출되어 실권을 지니는 대표적인 이원집정부제 체제로 꼽힌다.

칠레는 1891년 내전 이후 남미 최초의 의회공화국이 되었다. 그러나 1925년 쿠데타 이후 대통령제를 채택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영국입헌군주제를 채택한 국가이며, 과거 대영제국 시절 식민지들이 독립국이 되면서 탄생한 영연방 소속 국가들도 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모시는 입헌군주제로 남아 있었다. 하지만 이들 영연방 국가 중에서 공화제를 채택하고 의회공화국이 된 사례가 나타나면서, 국왕을 국가원수로 삼지 않는 이들 국가를 영연방의 일원으로 보아야 하는가에 관한 문제가 불거졌다. 논란에 결정타를 날린 것은 1949년 아일랜드가 공화국을 선언함과 동시에 영연방에서 퇴출되면서부터였는데, 그로부터 몇 주 뒤 4월 29일 런던 선언으로 공화국도 영연방의 소속국으로 인정하기로 하면서 결론지어졌다.

이러한 영연방 내 공화국들은 기존에 총독이 대표했던 주권직을 고유의 국가원수로 대체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40], 몰타, 트리니다드 토바고, 인도, 바누아투가 대표적이었으며 가장 최근에 공화제로 전환한 바베이도스도 같은 사례에 속한다. 또 마지막 총독이 초대 대통령을 겸한 경우도 있는데, 스리랑카파키스탄이 여기에 속한다.

대한민국도 1960년 제2공화국 수립으로 의원내각제 체제로 전환함에 따라, 대통령은 상징적 직책으로만 남고 행정실권은 총리에게 돌아가는 구조가 되었다. 하지만 이듬해 1961년 5·16 군사 정변과 제3공화국 수립으로 강력한 권한을 지닌 대통령제를 다시 도입하여 지금에 이른다.

4. 의회공화제를 채택한 국가 목록

의회공화제는 국가 원수의 권한이 매우 제한적이거나 아예 없으며, 의회에서 선출된 총리가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정부 형태이다. 이러한 체제는 대통령제와 달리 행정부 수반이 의회에 책임을 지며, 의회의 신임을 바탕으로 권력을 유지한다.

의회공화제를 채택한 국가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완전 의회공화제: 국가 원수가 의례적인 역할만 수행하고, 총리가 행정부를 이끈다.
  • 대통령제를 겸한 의회공화제: 대통령이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지만, 의회의 신임을 받아야 한다.
  • 의회독립제: 국가 원수와 정부 수반이 분리되어 있고, 의회에서 선출된 국가 원수가 의회에 대해 독립적인 권한을 가진다.
  • 평의회 체제: 여러 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평의회가 국가 원수와 정부 수반의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므로 추가 설명 생략)

4. 1. 완전 의회공화제

밀로라드 도디크,
셰피크 자페로비치,
젤코 콤시치직선제 일거 선출양원제1991년일당제 (유고슬라비아 구성국)루멘 라데프직선제
(결선투표제)단원제1991년일당제차이잉원직선제단원제1946년1당 군부독재 (중국 본토),
입헌군주제 (일본 제국 타이완섬)명목상의 체제로, 오늘날 중화민국 헌법에는 총통 직선제와 단원제 입법부로 구성된 준총통제 공화국으로 규정하는 조항이 추가로 담겨 있다. 이 조항은 중화민국이 중국 본토를 수복해 통치권을 회복할 경우 효력이 중단되는 일몰조항으로 제정되었다.조란 밀라노비치직선제
(결선투표제)단원제2000년이원집정부제밀로시 제만직선제
(결선투표제)[41]양원제1993년의회공화국 (당시 국명 체코슬로바키아)찰스 새버린원내 선출
(의원 수 과반수)단원제1978년영국의 자유연합알라르 카리스원내 선출
(의석 수 3분의 2)단원제1991년일당제 국가의 점령으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체제사흘레워크 쥬드원내 선출
(의석 수 3분의 2)양원제1991년일당제윌리엄 카토니베어원내 선출
(의석 수 과반수)단원제2014년군부독재사울리 니니스퇴직선제
(결선투표제)단원제2000년[42]이원집정부제살로메 주라비슈빌리선거인단 투표
(국회의원 및 지역대표, 절대과반수 충족)단원제2018년[43]이원집정부제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연방의회 선출
(국회의원 및 주대표, 절대과반수 충족)양원제1949년일당제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원내 선출
(의원 수 과반수)양원제1975년입헌군주제를 겸한 군부독재노바크 커털린원내 선출
(의원 수 과반수)단원제1990년일당제 (헝가리 인민공화국)그뷔드니 소를라시위스 요한네손직선제단원제1944년입헌군주제 (덴마크동군연합)드라우파디 무르무국회와 주의회 선출
(즉석결선투표제)양원제1950년입헌군주제 (영국의 자치령)바르함 살리흐원내 선출
(의원 수 3분의 2)단원제2005년일당제마이클 D. 히긴스직선제
(즉석결선투표제)양원제1949년입헌군주제 (영국의 자치령)[44]이츠하크 헤르초그원내 선출
(의석 수 과반수)단원제2001년준의회공화국세르조 마타렐라국회와 주대표 선출
(대표 수 3분의 2 충족[45])양원제1946년입헌군주제총리는 상하원의 신임에 따른다.비오사 오스마니원내 선출
(의원 수 3분의 2 충족[46])단원제2008년유엔 코소보 임시행정부 (옛 세르비아의 일부)에길스 레비츠원내 선출단원제1991년일당제 국가의 점령으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체제미셸 아운원내 선출단원제1941년프랑스의 보호국 (대레바논)조지 벨라원내 선출
(의원 과반수)단원제1974년입헌군주제 (영연방 왕국[47][48])프리트비라지싱 루푼원내 선출
(의원 과반수)단원제1992년입헌군주제 (영연방 왕국[49][50])[48]마이아 산두직선제
(결선투표제)[51]단원제2001년이원집정부제밀로 주카노비치직선제
(결선투표제)단원제1992년일당제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구성국)비디아 데비 반다리국회와 주의원의 선출양원제[52]2008년입헌군주제스테보 펜다로프스키직선제
(결선투표제)단원제1991년일당제 (유고슬라비아의 구성국)아리프 알비국회와 주의원 선출
(즉석결선투표제)양원제2010년[53][54]의회독립공화제안제이 두다직선제
(의원 과반수)양원제1989년일당제 (폴란드 인민공화국)단, 폴란드는 사실상의 반대통령제 공화국으로도 분류되는데, 이는 대통령이 내각 구성권과 정부수반 (총리) 임명권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다. 대통령이 행사한 내각구성권과 총리임명권은 국회의 신임 투표를 거친다.[55][56][57][58]투이말레알리파노 바알레토아 수알라우비 2세원내 선출단원제1960년뉴질랜드의 신탁통치령알렉산다르 부치치직선제
(결선투표제)단원제1991년일당제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구성국)할리마 야콥직선제 (1993년~)단원제1965년말레이시아의 연방주주자나 차푸토바직선제
(결선투표제)[59]양원제1993년의회공화제 (체코슬로바키아의 구성국)보루트 파호르직선제
(결선투표제)양원제1991년일당제 (유고슬라비아의 구성국)마하메드 압둘라히 마하메드원내 선출양원제2012년일당제폴라메이 위크스원내 선출양원제1976년입헌군주제 (영연방 왕국[60])[48]탈리스 오베드 모세스국회와 지역의회의장의 선출
(과반수 충족)단원제1980년영-프 공동통치령 (뉴헤브리디스 제도)


4. 2. 대통령제를 겸한 의회공화제

의회공화제에서 국가원수의 임기가 의회 임기에 달려 있는 경우, 정부수반과 국가원수는 하나의 직책으로 합쳐질 수 있다. 보츠와나, 마셜 제도, 나우루,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이러한 예시에 해당한다.[37][38] 이들 국가에서는 총리와 대통령의 두 직책이 '대통령'이라는 하나의 직책으로 합쳐진다. 하지만 이름은 대통령이지만, 선출 방식은 의원내각제 의회에서 총리를 뽑는 방식과 동일하다. 즉, 원내 제1당 대표나 원내 제1정당연합의 대표가 대통령직에 오르는 것이다.

국가국가원수 및 정부수반선출 방식의회 구조채택 연도이전 체제참고
보츠와나모크위치 마시시원내 선출 (의원 과반수)단원제1966년영국 보호령 (베추아나랜드)
키리바시타네티 마마우직선제단원제1979년보호령
마셜 제도데이비드 카부아원내 선출양원제1979년UN 신탁통치령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에 속함)
나우루리오넬 아잉기메아원내 선출단원제1968년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영국 공동위임 UN 신탁통치
남아프리카 공화국시릴 라마포사원내 선출 (의원 과반수)양원제1961년입헌군주제 (영연방 왕국[61][62][63][48])1961년부터 2013년까지는 완전 의회공화국이었다. 1984년 대통령의 실권이 처음 보장된 이래 2013년부터는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을 통합하였다.


4. 3. 의회독립제

미크로네시아 연방, 가이아나, 산마리노, 수리남은 의회독립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이 분리되어 있으며, 의회에서 선출된 국가원수가 의회에 대해 독립적인 권한을 행사한다.

국가국가원수국가원수 선출 방식의회 구조채택 연도기존 체제
미크로네시아 연방데이비드 W. 파누엘로원내 선출
(의원 과반수)
단원제1986년UN 신탁통치령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에 속함)
가이아나이르판 알리준직선제
(결원시 원내 과반수 표결)
단원제1980년완전의회공화제
산마리노마리아 루이사 베르티, 마누엘 치아바타원내 선출단원제1291년신권 정치 (교황령에 속함)
수리남찬 산토히원내 선출단원제1987년완전의회공화제

4. 4. 평의회 체제

스위스는 1848년부터 평의회 체제를 채택하여, 스위스 연방의회에서 선출된 7명의 연방 평의회 위원들이 국가 원수와 정부 수반을 겸임한다. 연방 평의회 위원들은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탈락 결선 투표제로 선출된다. 스위스는 청원 국민투표제도 함께 시행하고 있다.

국가원수국가원수 선출 방식채택 연도기존 체제
기 파르멜랭, 이냐치오 카시스, 우엘리 마우러, 시모네타 솜마루가, 알랭 베르세, 카린 켈러수터, 비올라 암허르트스위스 연방의회 표결 선출
(상하원 합동회의를 통한 탈락결선투표제)
1848년국가연합


5. 의회공화제를 채택한 적이 있는 국가 목록

국가의원내각제 공화국이 된 시기지위 변경 시기변경된 정체변경 이유비고
완전 의원내각제 공화국
아브하즈 SSR19211931일당제 의원내각제 공화국아브하즈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설립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아브하즈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19311991완전 의원내각제 공화국헌법 개정1990년까지 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아브하즈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1991년1994년준대통령제 공화국새로운 헌법 채택
19181920일당 의원내각제 공화국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설립
19201991년다당 준대통령제 공화국헌법 개정1990년까지 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아르메니아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19201929준대통령제헌법 개정
19181920일당제 의원내각제 공화국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설립
19201990대통령 공화국헌법 개정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아제르바이잔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19181920일당제 의원내각제 공화국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설립
19201990완전 의원내각제 공화국헌법 개정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벨로루시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1990년1994년대통령 공화국새로운 헌법 채택
19611963대통령제국민투표
버마 (현재 미얀마)19481962군사 독재1962년 버마 쿠데타
칠레18911924군사 정부1924년 칠레 쿠데타
19251925대통령제새로운 헌법
중화민국19471972 (사실상)대통령제헌법 정지의원내각제 공화국을 설립하는 조항은 일반적으로 효력이 있는 헌법에 남아 있지만, 추가 조항에 의해 정지되어 있으며, 이 조항들은 중국 본토에 대한 ROC 통치의 가상적인 재개 시 만료되는 일몰 조항을 가지고 있음.
1991 (법적으로; 명목상 의원내각제임)준대통령제헌법 추가 조항 채택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19201939일당제 국가뮌헨 협정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19451948일당제 의원내각제 공화국쿠데타
체코슬로바키아 제4공화국19481989다당 의원내각제 공화국벨벳 혁명일당 체제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체코슬로바키아 제5공화국19891992국가 해체벨벳 이혼
동인도네시아19461950국가 해체인도네시아 공화국에 병합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19201934일당 의원내각제 공화국1934년 에스토니아 쿠데타1940년 6월, 에스토니아는 소련에 의해 점령 및 합병됨.
19341938일당 대통령 공화국새로운 헌법 채택
프랑스 제3공화국18701940괴뢰국제2차 세계 대전 독일 점령
프랑스 제4공화국19461958준대통령제새로운 헌법 채택
19181921일당제 의원내각제 공화국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아브하즈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설립
19211991년다당제 준대통령제 공화국헌법 개정1990년까지 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조지아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19701980의회 독립 공화국새로운 헌법 채택
헝가리19461949일당제 국가헝가리 인민 공화국 설립
19451959대통령제대통령 헌법 부활
19481996준의원내각제헌법 개정
20082013대통령제새로운 헌법과 선거2008년부터 2013년까지 별도의 총리가 존재
대통령제로의 전환은 2010년에 입법되었지만 2013년에 시행됨.
대한민국 제2공화국19601961군사 정부5.16 쿠데타
19361990년대통령 공화국헌법 개정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카자흐스탄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19361990대통령 공화국헌법 개정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키르기스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2010년2021년대통령 공화국국민투표2010년 키르기스스탄 헌법은 사실상 준대통령제 공화국으로 남아 있으면서, 대통령이 정부 수반인 총리 임명과 같은 많은 행정 권한을 유지하는 의원내각제를 도입함.[32]
라트비아 제1공화국19221934일당 의원내각제 공화국1934년 라트비아 쿠데타1940년 6월, 라트비아는 소련에 의해 점령 및 합병됨.
19341940국가 해체제2차 세계 대전 소련 점령
리투아니아 제1공화국19201926일당제 국가1926년 리투아니아 쿠데타1940년 6월, 리투아니아는 소련에 의해 점령 및 합병됨.
1990년1992년다당 준대통령제 공화국새로운 헌법 채택1993년 2월, 리투아니아는 국가 재건 이후 첫 번째 대통령 선거를 치름.
(현재 몰도바)19401990다당제 준대통령제 공화국헌법 개정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몰도바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19631966군사 독재
(1979년 민주적인 대통령제 나이지리아 제2공화국으로 이어짐)
쿠데타
rowspan=4|19561958군사 독재1958년 파키스탄 쿠데타
197319781977년 파키스탄 쿠데타
199719991999년 파키스탄 쿠데타
20022003의회 독립 공화국헌법 개정
폴란드 제2공화국19191935대통령제새로운 헌법 채택
포르투갈 제1공화국1911년1926군사 독재
(1933년 에스타두 노부 일당 대통령 공화국으로 이어짐)
5월 28일 쿠데타
(말로로스 공화국)18991901군사 독재
(사실상 미국 식민지)
에밀리오 아구날도의 미국군에 대한 항복
필리핀 제4공화국19731981준대통령제
(1972년부터 1986년까지 사실상 계엄령 하의 군사 독재임.)
헌법 개정
콩고 공화국19601965군사 독재
(사실상 일당제 국가)
1965년 콩고 쿠데타
1970년1979년의원내각제짐바브웨-로디지아 설립백인 소수 민족에게만 정치적 권리가 제한됨
1917년1991년다당제 준대통령제 공화국국민투표
19221990다당제 준대통령제 공화국헌법 개정1989년까지 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소련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스페인 제1공화국1873년1874년입헌 군주제왕정 복고
스페인 제2공화국1931년1939년일당제 국가
(1947년 입헌 군주제를 선포함)
쿠데타
19751987의회 독립 공화국새로운 헌법 채택
1972년1978년준대통령제새로운 헌법 채택
시리아 공화국19301958국가 해체아랍 연합 공화국 설립아랍 연합 공화국에 병합되어 일당 대통령제로 운영됨
시리아 아랍 공화국19611963일당 대통령제1963년 시리아 쿠데타
트란스발 공화국18521902영국 제국의 식민지제2차 보어 전쟁
19291990대통령 공화국헌법 개정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타지키스탄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19232018년대통령제국민투표
19251990년대통령 공화국헌법 개정별도의 의장이 있는 집단 국가원수를 가짐
일당 체제는 투르크메니스탄 공산당 아래에 있었음


참조

[1] 뉴스 Australian politics explainer: Gough Whitlam's dismissal as prime minister https://theconversat[...] 2018-10-18
[2] 뉴스 The President's Role https://timesofindia[...] 2018-10-18
[3] 서적 Parliamentary versus presidential government Oxford University Press
[4] 문서 2015 Armenian constitutional referendum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뉴스 Salome Zurabishvili Wins Georgia Presidential Runoff https://www.nytimes.[...] 2018-11-29
[11] 웹사이트 Art 54 GG - Einzelnorm https://www.gesetze-[...] 2023-09-20
[12] 웹사이트 Zusammensetzung des Bundesrates https://www.bundesra[...] 2023-09-20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웹사이트 Malta: Heads of State: 1964-1974 http://www.archontol[...] 2018-02-18
[17] 웹사이트 British Monarch's Titles: 1867-2018 http://www.archontol[...] 2018-02-18
[18] 웹사이트 Mauritius: Heads of State: 1968-1992 http://www.archontol[...] 2018-02-18
[19]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1984-85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1984
[20] 웹아카이브 Constitution of Nepal http://constitution.[...]
[21] 문서
[22] 웹사이트 Pakistan lawmakers approve weakening of presidential powers http://www.cnn.com/2[...] 2010-04-09
[23] 웹사이트 '18th Amendment to restore Constitution' https://www.nation.c[...] Nation.com.pk 2010-04-11
[24] 문서
[25] 웹사이트 Trinidad and Tobago: Heads of State: 1962-1976 http://www.archontol[...] 2018-02-18
[26] 웹사이트 Parliament of Kiribati - Constitution http://www.parliamen[...] 2009-04-16
[27] 문서
[28] 웹사이트 South Africa: Heads of State: 1910-1961 http://www.archontol[...] 2018-02-18
[29] 뉴스 South Africa returns to the Commonwealth fold https://www.independ[...] 1994-05-31
[30] 뉴스 Secession Talked by Some Anti-Republicans https://news.google.[...] 1960-10-11
[31] 웹사이트 Executive https://www.gov.fm/i[...] 2021-03-08
[32] 웹사이트 Kyrgyzstan's 2016 Constitutional Referendum https://freedomhouse[...]
[33] 뉴스 Australian politics explainer: Gough Whitlam's dismissal as prime minister https://theconversat[...]
[34] 뉴스 The President's Role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35] 뉴스 https://theconversat[...] 2018-10-18
[36] 뉴스 The President's Role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18-10-18
[37] 뉴스 Australian politics explainer: Gough Whitlam's dismissal as prime minister https://theconversat[...] 2018-10-18
[38] 뉴스 The President's Role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18-10-18
[39] 서적 Parliamentary versus presidential government Oxford University Press
[40] 문서 1961년 의회공화제 전환과 함께 영연방을 탈퇴하였고, 이후 행정부 대통령제로 바꾸고 다시 영연방에 가입하였다.
[41] 문서 2013년부터 직선제로 전환하였으며, 그 전에는 원내 과반수 확보로 선출되었다.
[42] 문서 옛 이원집정부제 공화국으로, 오늘날 의회공화제로 분류된다. 애버딘대 정치학과 수석교수 데이비드 아터의 저서 "Scandinavian Politics Toda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revised 2008 {{ISBN|9780719078538}})에서 {{저널 인용|제목=From semi-presidentialism to parliamentary government: political and constitutional developments in Finland|저널=[[Scandinavian Political Studies]]|성=Nousiainen|이름=Jaakko|날짜=June 2001|권=24|호=2|쪽=95–109|doi=10.1111/1467-9477.00048}}를 다음과 같이 인용하였다. "There are hardly any grounds for the epithet 'semi-presidential'." Arter's own conclusions are only slightly more nuanced: "The adoption of a new constitution on 1 March 2000 meant that Finland was no longer a case of semi-presidential government other than in the minimalist sense of a situation where a popularly elected fixed-term president exists alongside a prime minister and cabinet who are responsible to parliament (Elgie 2004: 317)". According to the Finnish Constitution, the president has no possibility to rule the government without the ministerial approval, and does not have the power to dissolve the parliament under his or her own desire. Finland is actually represented by its prime minister, and not by its president, in the Council of the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of the European Union. The 2012 constitutional amendements reduced the powers of the president even further.
[43] 뉴스 Salome Zurabishvili Wins Georgia Presidential Runoff https://www.nytimes.[...] The Associated Press 2019-01-03
[44] 문서 1936년까지는 영국의 자치령 형태로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었으나 이후로는 애매모호한 체제를 지녔다.
[45] 문서 3차 투표 이후에도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후보가 없을 시 과반투표로 진행된다.
[46] 문서 2차 투표 이후에도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후보가 없을 시 과반투표로 진행된다.
[47] 웹인용 Malta: Heads of State: 1964-1974 http://www.archontol[...] 2018-02-18
[48] 웹인용 British Monarch's Titles: 1867-2018 http://www.archontol[...] 2018-02-18
[49] 웹인용 Mauritius: Heads of State: 1968-1992 http://www.archontol[...] 2018-02-18
[50]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1984-85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8-02-18
[51] 문서 기존에는 원내 선출이었으며 의원 정족수는 3분의 2였으나 2016년 직선제로 전환하였다.
[5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Nepal http://constitution.[...]
[53] 웹인용 Pakistan lawmakers approve weakening of presidential powers http://www.cnn.com/2[...] CNN 2010-04-14
[54] 웹인용 '18th Amendment to restore Constitution' https://web.archive.[...] Nation.com.pk 2010-04-14
[55] 웹인용 Semi-Presidentialism-Duverger's Concept — A New Political System Model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Education,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Cologne 2017-08-21
[56] 저널 Semi-Presidential Systems: Dual Executive and Mixed Authority Patterns http://dss.ucsd.edu/[...] 2017-08-21
[57] 저널 Semi-Presidential Systems: Dual Executive And Mixed Authority Patterns https://link.springe[...] 2017-08-21
[58] 웹인용 Semi-Presidentialism and Democratisation in Poland http://webpages.dcu.[...] School of Law and Government, Dublin City University 2017-12-11
[59] 문서 기존에는 원내 선출이었으나 1999년 직선제로 잔환하였다.
[60] 웹인용 Trinidad and Tobago: Heads of State: 1962-1976 http://www.archontol[...] 2018-02-18
[61] 웹인용 South Africa: Heads of State: 1910-1961 http://www.archontol[...] 2018-02-18
[62] 웹인용 South Africa returns to the Commonwealth fold https://www.independ[...] 2018-02-18
[63] 뉴스 Secession Talked by Some Anti-Republicans https://news.google.[...] 2018-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