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덕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덕무(李德懋, 1741년 ~ 1793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그는 경사(經史)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능통했으나 서얼 출신으로 인해 관직에서 크게 중용되지 못했다. 유득공, 박제가, 이서구와 함께 《건연집》을 펴냈으며, 규장각 검서관으로 활동하며 《도서집성》 등 여러 서적 편찬에 참여했다. 저서로는 《청장관전서》, 《관독일기》 등이 있으며,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와 드라마 《이산》에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학파 - 북학의
    《북학의》는 박제가가 조선 후기 사회와 학문 풍조를 비판하며 백성 빈곤 해결을 위한 실용적 대안으로 상업 발전, 농업 기술 개량, 무역 확대를 주장하고 소비를 통한 생산 증대를 강조하는 북학파의 주요 논의를 담은 책이지만, 중국 문명 숭배와 조선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북학파 - 이규경
    이규경은 19세기 조선의 학자로서, 60권의 백과사전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저술하고 실학 사상을 계승하며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여 초기 개화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741년 출생 - 요제프 2세
    요제프 2세는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종교적 관용, 농노 해방, 교육 개혁 등 여러 개혁을 추진했으나 저항에 직면했고, 그의 개혁 이념인 요제프주의는 이후 오스트리아 개혁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 1741년 출생 - 앙겔리카 카우프만
    앙겔리카 카우프만은 18세기 신고전주의 미술에 기여한 스위스 출신 화가로, 로열 아카데미 오브 아츠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초상화와 역사화를 주로 제작했다.
  • 1793년 사망 - 올랭프 드 구주
    프랑스 혁명 시대 작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인 올랭프 드 구주는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 선언'을 통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촉구하고 노예제 폐지 등을 주장했으나, 반혁명 혐의로 처형당했다.
  • 1793년 사망 - 마리 앙투아네트
    마리 앙투아네트는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프랑스 왕 루이 16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며, 사치스러운 생활과 정치적 관여로 프랑스 혁명 시기 비난을 받아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나, 최근에는 재평가되고 있다.
이덕무
기본 정보
씨명
이름덕무
입지(立之)
영처(營處)
형암(炯庵)
청장관(靑莊館)
출생1741년
사망1793년
직업학자
가족
부모이함(李涵)
관련 인물
관련 인물박제가
유득공
이서구

2. 일생

경사(經史)를 비롯하여 기문이서(奇文異書)에 걸쳐 여러 방면에서 박식을 자랑하였으나, 서얼 출신인 관계로 관직에서 중용되지는 못했다.[5] 유득공, 박제가, 이서구와 함께 사가시집(四家詩集) 《건연집(巾衍集)》을 내어 문명을 떨쳤으며, 담헌 홍대용과도 교분이 두터웠다.[6]

1778년(정조 2년) 청나라에 서장관 심염조(沈念祖)를 수행하여 기균(紀均), 반정균(潘庭筠), 이조원(李調元), 이정원(李鼎元) 등의 석학과 교류하였다. 또한 청나라에서 여러 자료 및 고증학 관련 저서를 가져와 그의 학문을 발전시키게 된다. 귀국 후 북학을 제창하였다.

박 அருகே, 유득공, 서이수(徐理修)와 함께 규장각 검서관(檢書官)이 되어, 그들과 함께 4검서관(四檢書官)으로 이름을 떨쳤다. 재직 중에 규장각 도서 편찬에 적극 참여하여 《도서집성》, 《국조보감》, 《대전통편》, 《규장각지》, 《홍문관지》, 《규장전운(奎章全韻)》 등 많은 서적을 정리·교감하였다.

그의 저술은 아들 이광규에 의해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로 집성되었으며, 사후 이덕무 본인이 정선한 《아정유고》(雅亭遺稿)가 정조 임금의 특명으로 간행되었다. 이덕무의 일생을 기록한 행장(行狀)을 연암 박지원이 지었다.[7]

3. 경력

연도사건
1741년(영조 18년) 6월 11일출생[8] (1세)
1774년(영조 50년) 가을증광(增廣) 초시(初試) 합격[9] (34세)
1779년(정조 3년) 6월 1일교서관 검서관 (39세)
1781년(정조 5년) 1월 21일규장각 검서관 (41세)
1781년(정조 5년) 3월 18일6품 승진
1781년(정조 5년) 12월 27일사근도 찰방 겸 규장각 검서관
1783년(정조 7년) 11월 22일광흥창 주부 (43세)
1784년(정조 8년) 2월 25일사옹원 주부 (44세)
1784년(정조 8년) 6월 12일교서관 박사
1784년(정조 8년) 6월 29일적성 현감 겸 규장각 검서관
1787년(정조 11년) 2월 8일규장각 검서관 (47세)
1787년(정조 11년) 5월 9일적성 현감 겸 규장각 검서관[10]
1787년(정조 11년) 8월 22일4품 승진
1788년(정조 12년) 6월 10일검서관 면직[11] (48세)
1789년(정조 13년) 6월 20일와서(瓦署) 별제 (49세)
1790년(정조 14년) 6월 17일와서 별제 겸 규장각 검서관 (50세)
1790년(정조 14년) 7월 4일사도시 주부 겸 규장각 검서관[12]
1791년(정조 15년) 3월 18일장원서 별제 겸 규장각 검서관[13] (51세)
1793년(정조 17년) 1월 25일별세[14] (53세)


4. 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증조부이상함(李尙馠)1647년 5월 10일1678년 6월 20일통덕랑
증조모거창 신씨(居昌 慎氏)1647년 2월 19일1698년 12월 15일신이중(慎爾中)의 딸
조부이필익(李必益)1660년 1월 18일1730년 4월 16일강계부사, 방어사[15]
조모순흥 안씨(順興 安氏)1655년 3월 6일1717년 1월 18일안홍선(安弘善)의 딸[15]
이성호(李聖浩)1718년1793년 2월 23일통덕랑[16]
반남 박씨(潘南 朴氏)1720년1765년 5월 1일아산현감 박사렴(朴師濂)의 딸[17]
본인이덕무(李德懋)1741년 6월 11일1793년 1월 25일검서관, 현령
아내숙인(淑人) 수원 백씨(水原 白氏)1741년 2월 27일1817년 3월 21일동지중추부사 백사굉(白師宏)의 딸[18]
이광규(李光葵)1765년 6월 21일1818년 12월 1일검서관,[19] 현감
자부동래 정씨(東萊 鄭氏)1764년1839년 2월 9일
손자1이규경(李圭景)1788년 8월 5일1856년 5월 16일[20]
손자부1함안 조씨(咸安 趙氏)1786년 8월 25일1833년 1월 29일조수진(趙秀鎭)의 딸
손자2이규정(李圭井)1796년 11월 4일1834년 3월 9일무과[21]
손자부2안동 김씨(安東 金氏)1786년 8월 25일1833년 1월 29일현감 김최행(金最行)의 딸
손자3이규달(李圭達)1801년 3월 21일1860년 2월 27일
손자부3A경주 이씨(慶州 李氏)1802년1833년 5월 26일
손자부3B평산 신씨(平山 申氏)1812년 2월 17일1876년 윤5월 1일
손녀1전주 이씨(全州 李氏)손녀사위 정승환(鄭昇煥)
손녀2전주 이씨(全州 李氏)손녀사위 조직순(趙直淳)
장녀전주 이씨(全州 李氏)사위 유선(柳烍)
차녀전주 이씨(全州 李氏)사위 김사황(金思黃)
남동생1이공무(李功懋)1757년 3월 7일1825년 12월 27일검서관, 양천현령[22]
남동생2이언무(李彦懋)1763년 2월 8일1838년 2월 3일무과, 강원감영 중군[23]
여동생1전주 이씨(全州 李氏)남편 검서관 원유진(元有鎭)
여동생2전주 이씨(全州 李氏)남편 현감 서리수(徐理修)


5. 저서


  • 《관독일기》(觀讀日記)
  • 기년아람》(紀年兒覽) : 이만운과 공저
  • 《뇌뢰낙락서》(磊磊落落書)
  • 《사소절》(士小節)
  • 《앙엽기》(盎葉記)
  • 《열상방언》(洌上方言)
  • 《영처문고》
  • 《영처시고》
  • 《예기고》(禮記考)
  • 《이목구심서》
  • 《입연기(入燕記)》
  • 《천애지기서》(天涯知己書)
  • 《청비록》(淸脾錄)
  • 《편찬잡고》
  • 《한죽당섭필》
  • 《협주기》(峽舟記)
  • 《건연집》 : 유득공, 박제가, 이서구와 공저

6. 등장 작품

이덕무는 여러 작품에 등장했다.

6. 1. 영화

2012년 차태현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에서 이덕무 역을 연기했다.

6. 2. 드라마

2007년 MBC 드라마 이산에서 신성균이 이덕무 역을 연기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이덕무(李德懋) http://encykorea.aks[...] 2022-08-20
[2] 논문 1998
[3] 문서 이덕무의 자(字) 변경
[4] 문서 이덕무의 호
[5] 문서 이덕무의 가계
[6] 서적 아정유고(雅亭遺稿)
[7] 서적 연암집(燕巖集)
[8] 서적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9] 문서 이덕무의 과거 응시
[10] 문서 이덕무의 현감 유임
[11] 문서 이덕무의 검서관 겸직 면직
[12] 문서 이덕무의 본직 교체
[13] 문서 이덕무의 품계
[14] 서적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15] 문서 이덕무의 가계
[16] 문서 이덕무의 가계
[17] 문서 이덕무의 외가
[18] 문서 이덕무의 처남 백동수
[19] 문서 이덕무의 사후 검서관 임명
[20] 문서 이덕무의 아명
[21] 문서 이덕무의 양자
[22] 문서 이덕무의 친동생 이성옥의 양자
[23] 문서 이덕무의 친동생 이공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