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인남은 1559년에 태어나 임진왜란 시기 활약한 무신이다. 1583년 알성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을 거쳐 남도 우후를 지냈으며, 임진왜란 발발 후 신립의 부관으로 탄금대 전투에 참전했으나 전사했다. 사후 선무 원종공신 3등에 추록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 자료가 발견되면서 재조명되었다. 그는 혜정옹주의 외손녀사위였으며, 형 이복남의 아들 이경수를 양자로 들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59년 출생 - 정기원 (1559년)
정기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1585년 문과 급제 후 임진왜란 때 사은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예조판서에 추증되고 충렬사에 배향, 시호는 충의이며 저서로 《현산집》, 《현산실기》가 있다. - 1559년 출생 - 모리 다카마사
모리 다카마사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하시바 히데요시를 섬기다 모리 데루모토의 양자가 되었으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 세키가하라 전투 후 분고 사이키 번주가 되어 성 축조와 성하마을 건설을 추진하고 막부의 여러 공사에 참여했다. - 1592년 사망 - 신립
조선 중기 무장 신립은 무과 급제 후 북방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 임진왜란 당시 탄금대 전투에서 패배하여 자결하였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그의 묘소는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1592년 사망 - 나카가와 히데마사
나카가와 히데마사는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긴 무장으로, 아버지의 전사 후 가독을 이어 영주가 되었으며 규슈 정벌, 오다와라 정벌, 임진왜란 등에 참전하여 조선에서 전사했다. - 우계 이씨 - 이성민 (배우)
이성민은 1968년 경상북도 봉화 출생으로 연극 무대에서 시작하여 영화와 드라마 조연을 거쳐 주연 배우로 활동하며,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우계 이씨 - 이복남
이복남은 1555년 강원도 명주 출신으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활약하다 남원성 전투에서 전사한 조선 중기의 무관이다.
이인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인남 (李仁男) |
자(字) | 원보(元甫) |
생애 | 1559년 - 1592년 음력 4월 28일 |
출생지 | 조선 강원도 명주군 |
사망지 | 조선 충청도 충주시 탄금대 |
군사 정보 | |
복무 | 조선 육군 |
복무 기간 | 1583년 ~ 1592년 8월 16일 |
최종 계급 | 남도우후 |
부대 | 조선 육군 |
지휘 | 한성부->도원수의 부장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충주 탄금대 전투/임진왜란 |
서훈 내역 | 선무원종공신 3등(宣武原從功臣三等) |
기타 이력 | 1583년 과거 급제 |
2. 생애
1559년에 태어났으나, 생일은 전해지지 않는다. 1583년(선조 16) 알성 무과(謁聖武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1589년 선전관을 거쳤다.[1] 1592년(선조 25) 남도우후가 되었다. 그해 임진왜란이 터지자 도순찰사 신립의 부관으로 출전, 음력 4월 28일 탄금대 전투에서 신립, 김여물 등과 함께 왜군과 싸웠으나 중과부적으로 패하고 전사하였다.
자녀가 없어 둘째 형 이복남의 차남 이경수(李慶受)를 양자로 들였다. 1604년(선조 36) 선무 원종공신 3등에 추록되었다.
하버드 대학교 옌칭 도서관과 UCA버클리 대학교 도서관 소장의 만력11년계미4월초4일문무과방목(萬曆十一年癸未四月初四日文武科榜目)을 통해 그의 과거 급제 기록과 인적사항이 알려졌다. 묘소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포이동에 있다.
2. 1. 가계와 출생
1559년에 태어났으나, 생일은 전해지지 않는다. 증조부는 이광식이고, 할아버지는 이전이며, 아버지는 흥덕현감과 갑산도호부사를 지낸 이준헌(李遵憲)이다. 어머니 전주이씨 이명복(全州李氏 李明福)은 평안도병마절도사를 지내고 증 병조판서에 추증된 이구침의 딸이다.어머니 전주이씨 이명복은 정종의 왕자 수도정 이덕생의 5대손으로, 할아버지는 군산부수 금손(群山副守 金孫)이고 증조부는 심곡수 숙인, 고조부는 풍산부정 이외이다. 친정어머니는 제주고씨로 병마절도사 고자겸의 딸이다. 어머니 이명복의 이름은 1970년 이후 선원록, 유부록을 한글화하는 과정에서 왕실의 내외 6대자손의 이름을 기록한 것에서 확인되었다.
전주 웅치 전투와 남원성 전투에서 활약하고 남원성에서 전사한 이복남은 그의 둘째 형이었다. 큰형은 이귀남인데 43세의 나이로 일찍 죽었고 사망년도는 불명이다. 셋째 형은 이덕남이다. 그의 가계는 대대로 무관 가계였으며, 고조부 이지방, 증조부 이광식, 할아버지 이전, 종조부 이용 등은 모두 변방에서 장수로 복무했다.
2. 2. 관직 활동과 임진왜란
1583년(선조 16) 알성 무과(謁聖武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1589년 선전관을 거쳐[1], 1592년(선조 25) 남도우후가 되었다. 그 해 임진왜란이 터지자 도순찰사 신립의 부관으로 출전, 그해 음력 4월 28일 도순찰사 신립, 부순찰사 김여물 등과 함께 충주 탄금대에서 올라오는 왜적과 맞서 싸웠으나 중과부적으로 패하고 전사하였다. 당시 숙부 이경헌(李敬憲), 이승헌(李承憲) 역시 신립 장군의 군관으로 탄금대 전투에 참전했다가 전사하였다.이때 김화 현감으로 재직 중이던 그의 셋째 형 이덕남도 임진왜란 초기에 사망하였다.
그는 자녀가 없이 사망하였으므로 둘째 형 이복남의 차남 이경수(李慶受)를 양자로 들여 후사로 삼았다. 이경수는 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1604년(선조 36) 선무 원종공신 3등에 추록되었다.
2. 3. 사후
그의 행적과 가계는 오랫동안 실전되었고, 자녀가 없어 형 이복남의 둘째 아들 이경수를 양자로 입양하였다. 그의 집안 족보에서도 2000년대 초까지 간략하게 실려 있다가 2010년 만력11년계미4월초4일문무과방목(萬曆十一年癸未四月初四日文武科榜目)이 하버드 대학교 옌칭 도서관 소장본과 UCA버클리 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 확인되면서 과거 급제 기록과 인적사항이 알려지게 되었다. 또한 왕실 족보인 선원록, 유부록을 1970년대 이후 한글화 번역하는 과정에서 그가 중종의 서녀 혜정옹주의 외손녀사위인 것이 확인되었다.묘소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포전(현 서울특별시 강남구 포이동 포전(浦田)부락)에 있다. 근처 헌릉(獻陵) 서쪽 언덕 내동부락 축좌에는 그의 양자 이경수의 묘가 있다.
3. 가계
이인남의 가계는 무신 가문이자 왕실의 외척이었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이광식 | |
증조모 | 함안 이씨 | 이세응의 딸, 이방실의 7대손 |
종조부 | 이감 | |
종조부 | 이용 | |
조부 | 이전 | |
조모 | 고성이씨 | 형조좌랑 이광택의 딸, 슬하 자녀 없음 |
조모 | 하빈이씨 | 부장 이윤우의 딸 |
숙부 | 이경헌 | 1592년 음력 4월 28일 사망 |
숙부 | 이승헌 | 1592년 음력 4월 28일 사망 |
숙부 | 이봉헌 | |
고모 | 이씨 | 청주한씨 서천군 한강에게 출가 |
아버지 | 이준헌 | 통훈대부 갑산도호부사 겸 갑산진병마첨절제사 |
어머니 | 평산 신씨 | 신직의 딸 |
어머니 | 전주 이씨 이명복 | 1536년 ~ 1586년, 수도군 이덕생 5대손 평안도병마절도사 이구침의 딸 |
형 | 이귀남 | |
형 | 이복남 | 1555년 - 1597년 8월 |
동생 | 이덕남 | 1557년 - 1592년 |
누이 | 우계 이씨 | |
매제 | 윤훤 | 해평 윤씨, 윤두수의 아들 |
부인 | 파평 윤씨 | 1558년 ~ ?, 첨지 윤호의 딸, 충의공 윤임 증손 |
장인 | 윤호 | 윤임의 손자 |
장모 | 남양 홍씨 홍옥환 | 1531년 ~ ?, 혜정옹주와 당성위 홍려의 딸 |
양자 | 이경수 | ? ~ 1697년 3월 15일, 형 이복남의 아들, 사후 양자로 입후 |
양며느리 | 해주 최씨 | 주부 최발의 딸 |
양손자 | 이득우 | 1655년 ~ ?, 자녀가 없어 먼 친척 이기명의 아들 이성망을 양자로 들임 |
양손자 | 이윤구 | |
양손부 | 배천 조씨 | 참봉 조서린의 딸 |
양증손자 | 이문망 | 1673년 ~ 1707년 10월 16일 |
양증손부 | 해주 최씨 | 진사 최석로의 딸 |
3. 1. 직계
- 증조부: 이광식(1493년 ~ 1563년)
- 증조모: 함안 이씨(1492년 ~ 1536년, 이세응의 딸, 이방실의 7대손)
- 조부: 이전(1517년 ~ ?)
- 조모: 고성 이씨(이광택의 딸), 하빈 이씨(이윤우의 딸)
- 아버지: 이준헌(갑산도호부사 역임)
- 어머니: 평산 신씨(신직의 딸), 전주 이씨 이명복(1536년 ~ 1586년, 이구침의 딸)
3. 2. 형제 관계
3. 3. 처가
- 부인: 파평 윤씨(1558년 ~ ?), 첨지 윤호의 딸, 충의공 윤임 증손[1]
- 장인: 윤호(尹琥), 윤임의 손자[1]
- 장모: 남양 홍씨 홍옥환(1531년 ~ ?), 혜정옹주와 당성위 홍려(洪礪)의 딸[1]
3. 4. 양자
이경수는 이복남의 아들로, 이인남의 사후 양자로 입후하였다.- 양며느리: 해주 최씨(주부 최발의 딸)
4. 기타
양자 이경수, 양손자 이득우는 행적이 자세히 전하지 않으며, 이윤구는 무과에 급제하여 가산군수를 지냈지만 일찍 사망했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에도 등장하지 않고 이름만이 전한다. 윤구와 그의 아들 문망의 묘는 연안군 홍장리 자좌에 있다.
왕실 족보 선원록, 유부록의 혜정옹주 자손록에도 간략하게 이름과 관직명만 전하고 자세한 행적은 전하지 않는다.[2] 선원록, 유부록에 이인남의 양자로 이경수가 기록되고 후손들이 기록된 것으로 보아, 어느 시점에 양자로 입양했는지 입양 시점은 알 수 없으나 당대에 양자로 지목된 것은 확실하다.
참조
[1]
서적
閔仁伯 苔泉集卷二, 討逆日記 任鎭安時
[2]
서적
선원록 유부록 혜정옹주자손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