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중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중재는 1963년부터 1997년까지 정치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보성고등학교와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하고, 김성수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했다. 민주국민당, 신민당, 민주당 등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6번 역임했으며, 신민당 대변인, 부총재 등을 지냈다. 제5공화국 출범 이후 정치 활동이 금지된 시기에는 민주화추진협의회 운영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1997년 한나라당에 참여했으며, 200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 대한민국헌정회
    대한민국헌정회는 1968년 국회의원동우회로 시작하여 국회의원들의 친목과 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단체이며, 총회, 회장, 부회장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 이한동
    이한동은 대한민국의 6선 국회의원 및 국무총리를 지낸 정치인으로, 판검사 출신이며 여러 정당을 거치며 활동했고 6·29 선언과 직선제 개헌에 기여, 노동 운동 탄압 논란, 인사청문회 후 임명된 최초의 국무총리, DJP 연합 붕괴 시 당적 제명, 대선 낙선 후 사회 활동, 그리고 회고록 《정치는 중업이다》를 남긴 인물이다.
  • 대한국민당 (1948년) 당원 - 윤치영
    윤치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며 이승만, 박정희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제헌 국회의원, 초대 내무부 장관, 주프랑스 공사,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장 등을 지냈으나, 친일 의혹과 독재 정권 옹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대한국민당 (1948년) 당원 - 신익희
    신익희는 해공이라는 호를 가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내무총장과 외무부장을 역임하고 국민대학교를 설립했으며, 국회의장과 대통령 후보를 지냈고 사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 보성전문학교 동문 - 허헌
    허헌은 일제강점기 변호사이자 독립운동가로서 3·1 운동 관련자 변호와 신간회 활동을 했고, 해방 후에는 건준위 부위원장, 민전 공동의장 등을 지내며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월북 후 김일성종합대학 총장 등을 지냈다.
  • 보성전문학교 동문 - 박규정 (축구인)
    박규정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조선 및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고 보성전문학교 축구부 주장을 지냈으며,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39세 이상의 나이로 출전한 최초의 선수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중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중재
출생일1925년 9월 20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전라남도 보성군
사망일2008년 12월 18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직업정치가
학력고려대학교 경제학 학사
본관광주
형제사촌동생: 이경재
자녀장남: 이종구
의정 활동
의원 선수6
의원 대수6·7·8·9·12·15
지역구(6) 전남 보성군
(7) 전남 고흥군·보성군
(8·9) 서울 강남구
(12) (15)

2. 생애

이중재는 광주를 본관으로 하여 전라남도 보성군의 하인을 소유한 대지주 가문에서 태어났다.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6년 보성전문학교 경상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민주국민당에 입당, 한국 전쟁 중 1952년 부산 피난시절 부통령 인촌 김성수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했다.[1]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소속 전국구 비례대표로 출마하여 당선되어 정치 활동을 시작, 제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내리 4선에 성공했으며 그 뒤 제12대와 제15대 국회의원으로 다시 등원했다.[2] 1960년대 김영삼신민당 원내총무가 되자 신민당 대변인을 지냈고, 신민당 정책심의위원회 의장과 신민당 부총재를 지냈다.[3]

1980년대 제5공화국 출범 이후 정치활동이 금지되자 민주화추진협의회 운영위원, 민주인권연구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고, 야당 통합을 위해 야당통합추진위원회를 조직하여 추진위원회 위원장 등으로 활동했다.[3] 신민당, 민한당통일민주당으로 흡수되면서 통일민주당 부총재를, 김대중이 통일민주당을 탈당할 때 평화민주당에 참여, 평화민주당 부총재를 지냈다.[2] 이후 민주화추진협의회 상임운영위원을 지냈으며,[4] 평화민주당, 민주당에서 활동하며 민주당의 부총재를 역임하기도 했다.

1997년 대통령 선거 직전 신한국당과 민주당이 합당하여 한나라당이 되자 이에 참여하였다.[2] 국회 의정활동 기간 중 국회 재무위원회에서만 활동했고 다른 곳에서는 활동하지 않아 동료들은 그를 ‘명석한 경제통’으로 기억하기도 한다.[2] 12대 국회 당시, 야당의 예산안 투쟁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현역 국회의원에서 물러난 뒤 한나라당 상임고문을 지냈다.[2]

2008년 12월 18일 오후 8시 24분 숙환으로 별세했다. 장지는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이다.[3]

2. 1. 초기 생애 및 학창 시절

광주를 본관으로 하여 전라남도 보성군의 하인을 소유한 대지주 가문에서 태어났다.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6년 보성전문학교 경상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민주국민당에 입당, 한국 전쟁 중 1952년 부산 피난 시절 부통령 인촌 김성수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했다.[1]

2. 2. 정치 입문

광주를 본관으로 하는 이중재는 전라남도 보성군의 하인을 소유한 대지주 가문에서 태어났다.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6년 보성전문학교 경상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민주국민당에 입당, 한국 전쟁 중 1952년 부산 피난 시절 부통령 인촌 김성수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했다.[1]

2. 3. 야당 정치인 시절

1952년 한국 전쟁 중 부산 피난 시절 부통령 인촌 김성수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했다.[1]

1963년 제6대 국회에서 민정당 소속 전국구 비례대표로 출마하여 당선되어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2]

6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이후 9대까지 내리 4선에 성공했으며 그 뒤 12대와 15대 국회의원으로 다시 등원했다.[2] 1960년대 김영삼신민당 원내총무가 되자 그 밑에서 신민당 대변인을 지냈고, 신민당 정책심의위원회 의장과 신민당 부총재를 역임했다.[3]

1980년대 제5공화국 출범 이후 정치활동이 금지되자 민주화추진협의회 운영위원, 민주인권연구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고,[3] 야당의 통합을 위해 야당통합추진위원회를 조직하여 추진위원회 위원장 등으로 활동했다.[3]

그 뒤 신민당, 민한당통일민주당으로 흡수되면서 통일민주당 부총재를 지냈다.[2] 이후 김대중이 통일민주당을 탈당할 때 함께 평화민주당에 참여했고, 평화민주당 부총재를 지냈다.[2]

이후 민주화추진협의회 상임운영위원을 지냈으며,[4] 평화민주당, 민주당에서 활동하며 민주당의 부총재를 역임하기도 했다.

2. 4. 여당 정치인 시절

1952년 부산 피난 시절 부통령 인촌 김성수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했다.[1]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소속 전국구 비례대표로 출마하여 당선되어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2]

제6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이후 제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내리 4선에 성공했으며, 그 뒤 제12대, 제15대 국회의원으로 다시 등원했다.[2] 1960년대 김영삼신민당 원내총무가 되자 그 밑에서 신민당 대변인을 지냈고, 신민당 정책심의위원회 의장과 신민당 부총재를 역임했다.[3]

2. 5. 사망

李重載|이중재중국어2008년 12월 18일 오후 8시 24분에 숙환으로 별세했다. 장지는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이다.[3]

3. 학력

4. 경력

직함
대한중석광업 관재과장, 시사과장, 부산영업소장
민정당 선전국장 겸 대변인
고려라이온스클럽 회장, 신민당 정책심의회 의장
신민당 부총재
통일민주당 부총재
평화민주당 부총재
민주당 상임고문
고려대학교 교우회 국회분회 회장
한나라당 상임고문


5. 의정 활동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6.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장남이종구17, 18, 20대 미래통합당 국회의원
차남이종욱한국외대 경영학과 교수
3남이종오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사법연수원 수석교수
사촌 동생이경재13, 14대 평민·민주당 국회의원


7. 평가

(참고: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 있어 '평가'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고 안내드렸습니다. 수정 단계에서도 원본 소스가 여전히 비어있기 때문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수정하겠습니다.)

8.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63년총선민정당1,870,976표 (20.1%)전국구 14번당선초선
1967년총선신민당28,651표 (46.44%)2위낙선
1969년8.14 재보선신민당28,730표 (50.4%)1위당선재선
1971년총선신민당31,990표 (54.22%)1위당선3선
1973년총선신민당45,986표 (31.41%)2위당선4선
1978년총선신민당31,560표 (20.88%)3위낙선
1985년총선민주한국당109,218표 (29.72%)2위당선5선
1992년총선민주당27,876표 (23.55%)3위낙선
1996년총선민주당2,207,695표 (11.2%)전국구 1번당선6선


참조

[1] 뉴스 6선의원 지낸 이중재 상임고문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8-12-19
[2] 웹사이트 JOINS | 아시아 첫 인터넷 신문 http://article.joins[...]
[3] 뉴스 이중재 前 국회의원 별세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4] 뉴스 이중재 전(前)국회의원 별세 https://news.naver.c[...] 네이버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