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쇄는 종이, 천 등에 문자나 그림을 찍어내는 기술로, 목판 인쇄에서 금속 활자, 평판 인쇄, 디지털 인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동아시아에서는 목판 인쇄가 먼저 발달하여, 751년경 신라의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 시대에는 금속 활자 인쇄술이 발명되어 직지심체요절이 간행되었다. 서양에서는 구텐베르크의 금속 활자 인쇄술 발명으로 인쇄의 대중화가 이루어졌고, 이는 르네상스와 과학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에는 오프셋 인쇄가 주류를 이루며, 디지털 인쇄 기술의 발전으로 다품종 소량 인쇄가 가능해졌다. 인쇄술은 책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지식의 전파와 사회적 변화에 크게 기여했으며, 저작권 보호에도 영향을 미쳤다. 3D 프린팅은 적층 제조 기술을 통해 물리적 객체를 생성하는 새로운 인쇄 기술로 부상하고 있으며, 한국의 인쇄 산업은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본문 연구 - 판본
판본은 원래 목판 인쇄를 의미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인쇄 방식과 대량생산품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내용 변경, 장정, 크기, 출판 정보, 미디어 종류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고, 서지학적 관점과 수집가의 관점에 따라 그 정의가 다르게 적용되며, 문학 작품에서는 내용이 유사하나 차이가 있는 여러 종류의 책을 이본이라 하고 원본에 가장 가까운 것을 정본으로 본다. - 본문 연구 - 문헌학
문헌학은 텍스트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언어 관계, 원본 복원, 고대 문서 해독 등을 연구하며, 비교언어학, 텍스트 비평 등의 분과로 나뉘고, 텍스트에 대한 비판과 언어학적 직관의 중요성 강조 등의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 인쇄 - 구텐베르크 은하계
마셜 맥루한의 《구텐베르크 은하계》는 인쇄술이 시각 중심 문화와 근대 사회 형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고 전자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구술 문화로의 회귀를 예측한 모자이크 형식의 책으로, 캐나다 총독상을 수상했다. - 인쇄 - 복사기
복사기는 문서나 이미지를 복제하는 기계로, 전기 사진술의 발전을 통해 현대적 형태를 갖추었으며,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이미지 스캐너 및 레이저 프린터로 발전했고, 저작권 침해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 기술 및 응용과학에 관한 - 공병
공병은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건설 및 파괴 임무를 수행하며, 도로 및 교량 건설, 장애물 설치 및 제거, 지뢰 매설 및 제거, 도하 지원 등을 주요 임무로 하며, 전투 공병과 시설 공병으로 구분된다. - 기술 및 응용과학에 관한 -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개발한 최초의 탈중앙화 암호화폐로, 중앙 기관 없이 P2P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채굴을 통해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된 자산이다.
인쇄 | |
---|---|
개요 | |
기술 | |
목판 인쇄 | 200년 |
가동 활자 | 1040년 |
인쇄기 | 1440년경 |
식각 | 1430년 |
에칭 | 1515년경 |
메조틴트 | 1642년 |
양각 인쇄 | 1690년 |
아쿼틴트 | 1772년 |
석판 인쇄 | 1796년 |
크로모리소그래피 | 1837년 |
윤전 인쇄기 | 1843년 |
헥토그래프 | 1860년 |
오프셋 인쇄 | 1875년 |
열 금속 조판 | 1884년 |
등사기 | 1885년 |
데이지 휠 인쇄 | 1889년 |
포토스탯 및 렉티그래프 | 1907년 |
스크린 인쇄 | 1911년 |
스피릿 복사기 | 1923년 |
도트 매트릭스 인쇄 | 1925년 |
제록스 | 1938년 |
스파크 인쇄 | 1940년 |
사진 식자 | 1949년 |
잉크젯 인쇄 | 1950년 |
염료 승화 인쇄 | 1957년 |
레이저 인쇄 | 1969년 |
감열 인쇄 | 1972년경 |
솔리드 잉크 인쇄 | 1972년 |
열전사 인쇄 | 1981년 |
3D 인쇄 | 1986년 |
디지털 인쇄 | 1991년 |
관련 문서 | |
위키백과 도움말 | 기사 인쇄 방법 |
영어 위키백과 | printing 또는 press |
2. 역사
인쇄술의 역사는 고대 동아시아에서 시작되었으며, 한국은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술을 발명하는 등 인쇄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최초의 인쇄술은 목판 인쇄로, 한 장의 종이를 나무로 깎은 판으로 인쇄하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본은 751년경에 신라에서 찍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다.[6] 목판 인쇄술은 유럽에도 알려져 성경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으나, 작은 글씨를 깎기에 어려워 주로 그림 위주의 '가난뱅이의 성경'을 출판했다.
조선 태종 때 주자소를 설치하여 계미자와 갑인자를 주조하여 활판 인쇄에 활용하였다.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는 1450년경 금속 활자를 사용한 활판인쇄 기술을 발명하여 인쇄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가져왔다. 그는 금속 활자뿐만 아니라 유성 잉크, 인쇄기, 활자 주조 장치 등을 개발하고[77], 양피지보다 인쇄에 적합한 종이를 사용하여 대량 인쇄 시스템을 구축했다. 독일에서 구텐베르크가 개발한 독특한 활자 인쇄법은 인쇄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16세기 중반경 인쇄술의 빠른 발전으로 노동자 수가 줄자 프랑스에서 인쇄공들이 파업하기도 했다.[105]
활판 인쇄술의 발명은 책의 표준화를 가져왔고, 저작권 보호의 필요성을 야기하는 등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영향을 통틀어 “인쇄 혁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80]
2. 1. 동아시아의 인쇄술
목판 인쇄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패턴을 인쇄하는 기술로, 동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고대 중국에서 직물에, 나중에는 종이에 인쇄하는 방법으로 시작되었다.[1]
중국에서는 6세기 중반에 먹으로 문지르는 인쇄 기법과 초기 목판 인쇄의 흔적이 나타난다. 종이에 인쇄하는 기계적인 목판 인쇄는 7세기 당나라 시대에 시작되었고,[1] 이후 동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나라 시대 일본에서는 770년경 백만탑다라니경을 대량으로 인쇄하여 전국의 사찰에 배포했다. 한국에서는 1966년 8세기 목판 인쇄본이 발견되었다. 751년에 수리된 신라 시대 탑인 경주에서 발견된 불교 다라니경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6] 제작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경주 경주시의 석가탑(불국사)의 751년 중수 이전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7][8][9][10][11] 이 문서는 704년 이전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6]
9세기가 되면 종이에 인쇄하는 기술이 발전하여, 둔황에서 발견된 868년의 금강경(영국 도서관 소장)이 현재까지 완전하게 보존된 최초의 인쇄본이다.[12] 10세기에는 일부 경전과 그림의 인쇄본이 40만 부에 달했고, 유교 경전도 인쇄되었다. 숙련된 인쇄공은 하루에 최대 2,000장의 양면 인쇄물을 만들 수 있었다.[13]
인쇄 기술은 중국 한자를 사용하던 한국과 일본으로 빠르게 전파되었으며, 투루판과 베트남에서도 여러 다른 문자를 사용하여 이 기술을 사용했다. 이 기술은 페르시아와 러시아로도 전파되었다.[14]


활자 인쇄는 활자틀에서 활자 찍개로 찍어 만든 금속 활자 조각을 사용하는 인쇄 및 인쇄술 시스템이다.
1040년경, 최초로 알려진 활자 인쇄 시스템은 중국의 비승에 의해 자기로 만들어졌다.[3] 비승은 쉽게 부서지는 점토 활자를 사용했지만, 왕증은 1298년까지 목재로 더 내구성 있는 활자를 조각했다. 그는 또한 회전판과 중국 한자와 관련된 숫자 체계를 이용한 복잡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활자 조판과 인쇄를 더 효율적으로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목판 인쇄(목판화)였는데, "수천 개의 한자를 인쇄하는 데 더 저렴하고 효율적임이 입증되었다".[20]
구리 활자 인쇄는 12세기 초 중국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북송 왕조가 발행한 대규모 지폐 인쇄에 사용되었다. 활자 인쇄는 고려 시대에 한국으로 전파되었다.
1230년경, 한국인들은 청동을 사용한 금속 활자 인쇄를 발명했다. 1377년에 간행된 ''직지심체요절''은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으로 알려져 있다. 주조는 주화 주조 방식을 응용하여 사용되었다. 글자는 너도밤나무에 새겨진 후 부드러운 점토에 눌러 틀을 만들고, 그 틀에 청동을 부어 넣은 다음, 마지막으로 활자를 연마했다.[21]
인쇄 기술은 고대 중국에서 발명되었다. 2세기경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고, 7세기에서 8세기경에는 목판 인쇄가 행해졌다.[74] 이 목판 인쇄는 한국과 일본에도 전래되었고, 764년부터 770년에 걸쳐 제작된 일본의 백만탑다라니경은 제작 연대가 명확하게 밝혀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인쇄물이다.[75] 북송에 들어서면서 목판 인쇄는 널리 보급되어 많은 책이 인쇄되었다. 1041년경에는 비승(畢昇)이 도자기로 만든 활자를 발명했다. 이 활자는 한국으로 전해져, 13세기~14세기 고려에서 금속 활자 인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에서는 문자 수가 엄청나게 많았고, 목판은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반면, 활자는 인쇄가 끝나면 곧바로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재판 비용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활자는 그다지 보급되지 않았다.[76]
2. 2. 서양의 인쇄술 발전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는 1450년경 유럽에 최초의 활판 인쇄 시스템을 도입했다.[29] 그는 주형과 수동 주조틀을 기반으로 한 활자 주조, 나사식 프레스 개량, 유성 잉크 사용, 더 부드럽고 흡수성이 좋은 종이 제작 등을 발전시켰다.[29] 구텐베르크는 납, 주석, 안티모니, 구리, 비스무트의 합금으로 활자를 만들었는데, 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30] 목판 인쇄와 비교하여, 활자를 이용한 페이지 설정 및 프레스를 사용한 인쇄는 더 빠르고 내구성이 뛰어났다. 또한 금속 활자는 더 견고하고 글씨체가 균일하여 활판 인쇄술과 서체가 탄생했다. 구텐베르크 성경(1455년)의 높은 품질과 비교적 저렴한 가격은 서구 언어에 대한 활판 인쇄의 우수성을 확립했다. 인쇄기는 유럽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르네상스로 이어졌고, 나중에는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32]
타임 라이프 잡지는 구텐베르크의 활판 인쇄 혁신을 2천년대 가장 중요한 발명이라고 불렀다.[33]
1843년 미국에서 리처드 M. 호(Richard M. Hoe)[34]가 발명한 증기식 회전식 인쇄기는 궁극적으로 하루에 수백만 장의 페이지를 인쇄할 수 있게 했다. 연속 공급이 가능해져 인쇄 속도가 훨씬 빨라짐에 따라 롤 형태의 종이로 전환된 후 인쇄물의 대량 생산이 크게 번창했다. 호의 초기 설계는 시간당 최대 2,000회전으로 작동했으며, 각 회전마다 4페이지 이미지가 인쇄되어 시간당 8,000페이지의 처리량을 달성했다.[35] 회전식 인쇄기는 원통형으로 둘러싸인 인쇄판을 사용하여 긴 연속 롤 형태의 종이 또는 기타 기판에 인쇄한다. 회전 드럼 인쇄는 나중에 윌리엄 불록에 의해 크게 개선되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는 여러 유형의 회전식 인쇄 기술이 있는데, 시트 공급 방식의 오프셋, 로토그라비어(rotogravure), 플렉소그래피 인쇄가 있다.[37]
2. 3. 근대 인쇄술
현대 인쇄의 주류는 옵셋 인쇄이다. 2018년 통계 자료에 따르면 인쇄 사업소의 약 73%가 옵셋 인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70] 1960년대까지는 활판 인쇄가 주류였지만, 1980년대부터 옵셋 인쇄가 우세해졌다.책과 신문 인쇄에는 주로 옵셋 인쇄가 사용되며, 그 외에도 고체염료 인쇄,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레이저 인쇄 등이 활용된다.
디지털 인쇄는 전하를 이용해 토너나 액체 잉크를 종이에 찍어내는 기술로, 제록스 iGen3, 휴렛패커드 인디고 시리즈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디지털 인쇄 시스템은 다품종 소량 인쇄에 적합하며, 파일을 바로 인쇄 가능한 형태로 변형하는 디지털 옵셋 방식을 사용한다.
소규모 인쇄소에서는 옵셋 인쇄나 복사기를 사용하며, 기업 및 정부 문서에는 프린터를 이용한 전자인쇄가 주로 사용된다. 이로 인해 전자출판이 발달하고, 주문형 인쇄(POD)가 유행하고 있다.
1798년에는 독일의 세네펠더가 석판 인쇄(리토그래프)를 발명하여 평판 인쇄의 시작을 알렸다. 1800년에는 영국의 찰스 스탠호프가 철제 인쇄기를 발명했고, 1811년에는 독일의 프리드리히 케니히가 증기식 인쇄기를 개발하여 인쇄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수동 | 증기식 | |||||
---|---|---|---|---|---|---|
구텐베르크식 인쇄기 | 스탠호프 인쇄기 | 케니히 인쇄기 (1812년) | 케니히 인쇄기 (1813년) | 케니히 인쇄기 (1814년) | 케니히 인쇄기 (1818년) | |
1시간당 인쇄 매수 | 200 [85] | 480 [86] | 800 [87] | 1,100 [88] | 2,000 [89] | 2,400 [89] |
1851년에는 윤전 인쇄기가 발명되었고,[90] 1884년에는 오토머 마겐탈러가 라이노타입 주조기를 발명하여 인쇄 효율을 높였다.[91] 1904년에는 미국의 루벨이 종이 평판 오프셋 인쇄를 발명했다. 1938년 미국의 체스터 칼슨은 제록스(정전 사진법)를 발명하여 1942년 특허를 취득했고, 이는 1960년 할로이드사에 의해 상품화되어 복사기 보급에 기여했다.[92] 1985년에는 미국에서 DTP가 시작되었다.
2. 4. 한국 근현대 인쇄술
개항 이후 서양의 인쇄 기술이 도입되면서, 한국의 인쇄술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1883년, 한국 최초의 근대 신문인 한성순보가 창간되면서, 활판 인쇄술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을 지원하기 위한 인쇄물들이 비밀리에 제작되기도 했다. 광복 이후, 한국전쟁으로 인해 인쇄 시설이 파괴되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인쇄 산업도 빠르게 발전했다. 1980년대 이후,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지털 인쇄 기술이 도입되면서, 인쇄 산업은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3. 인쇄 방식
인쇄 방식은 판의 구조, 잉크의 종류, 가압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인쇄판의 종류 |
- 판면의 구조에 따른 분류: 판면의 구조에 따라 철판, 평판, 요판, 공판으로 나뉜다.
- 기타 인쇄 방식:
- 날염인쇄: 깃발, 보자기 등에 사용되며, 색료와 호료를 혼합하여 천에 인쇄하는 염색 방법이다. 기계날염과 형날염이 있다.[84]
- 실크스크린 인쇄: 잉크를 투과시키는 실크나 나일론 직물 위에 잉크가 통과하지 않는 부분을 덮어 인쇄하는 방식이다. 다양한 재료에 인쇄 가능하며, 정밀한 다색 인쇄도 가능하다.[84]
- 공판인쇄: 등사인쇄와 같은 원리로, 잉크를 투과시키지 않는 등사원지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잉크를 통과시켜 인쇄한다.
- 잉크젯 프린팅: 1980년대에 전기 관련 회사들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100]
- 염료 승화 프린터
- 레이저 프린팅
- 패드 프린팅
- 릴리프 인쇄
- 인타글리오
- 열전사 프린터
인쇄 공정 | 전사 방식 | 가해지는 압력 | 잉크 방울 크기 | 동점도 | 기판에 대한 잉크 두께 | 참고 | 경제적인 인쇄 부수 |
---|---|---|---|---|---|---|---|
옵셋 인쇄 | 롤러 | 1 MPa | 40–100 Pa·s | 0.5–1.5 μm | 고품질 인쇄 | > 5,000 (A3 트림 크기, 시트 공급)[51] | |
로토그라비어 | 롤러 | 3 MPa | 50–200 mPa·s | 0.8–8 μm | 두꺼운 잉크층 가능, 우수한 이미지 재현, 문자 및 선의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52] | > 500,000[52] | |
플렉소그래피 | 롤러 | 0.3 MPa | 50–500 mPa·s | 0.8–2.5 μm | 고품질 (현재 HD) | ||
활판 인쇄 | 플레이트 | 10 MPa | 50–150 Pa·s | 0.5–1.5 μm | 건조 속도 느림 | ||
실크스크린 인쇄 | 스크린의 구멍을 통해 잉크 압착 | 1000–10,000 mPa·s[53] | < 12 μm | 다용도 방법, 저품질 | |||
전자사진 인쇄 | 정전기 | 5–10 μm | 두꺼운 잉크 | ||||
액체 전자사진 인쇄 | 정전기 및 고정 중 전사에 의한 이미지 형성 | 고품질, 우수한 이미지 재현, 다양한 매체, 매우 얇은 이미지 | |||||
잉크젯 프린터 | 열 | 5–30 피코리터 (pl) | 1–5 mPa·s[54] | < 0.5 μm | 번짐 감소를 위해 특수 용지 필요 | < 350 (A3 트림 크기)[51] | |
잉크젯 프린터 | 압전 | 4–30 pl | 5–20 mPa·s | < 0.5 μm | 번짐 감소를 위해 특수 용지 필요 | < 350 (A3 트림 크기)[51] | |
잉크젯 프린터 | 연속식 | 5–100 pl | 1–5 mPa·s | < 0.5 μm | 번짐 감소를 위해 특수 용지 필요 | < 350 (A3 트림 크기)[51] | |
전사 인쇄 | 열전사 필름 또는 수분 방출 데칼 | 곡면 또는 고르지 않은 표면에 이미지를 적용하는 대량 생산 방법 | |||||
에어로졸 젯 프린터 | 기체에 의해 운반되는 에어로졸 잉크 | 직경 2–5 마이크론 | 1–1000 mPa·s | < 1 μm | 우수한 인쇄 해상도, 고품질[53][55] |
3. 1. 판의 구조에 따른 분류
판면(版面)의 구조에 따라 인쇄 방식을 다음과 같이 구별할 수 있다.판의 종류 | 설명 | 예시 |
---|---|---|
철판 | 인쇄하는 화선(畵線) 부분을 높게 만들어 이 부분에 잉크를 묻혀 인쇄한다. 활판 인쇄라고도 한다. | 활판 인쇄, 플렉소그래피 |
평판 | 인쇄 화선이 다른 부분과 거의 같은 높이의 평평한 판을 사용한다. 감광성 수지를 바른 알루미늄판이나 아연판에 사진 필름으로 된 원판을 노광하고 현상해서 판면 위에 친유성 화선을 만든다. 현재는 잉크를 판면에서 고무 블랭킷으로 전사하여 종이에 인쇄하는 옵셋 인쇄 방식이 쓰인다. | 옵셋 인쇄, 석판 인쇄, 콜로타입 |
요판 | 인쇄 화선이 판면의 다른 부분보다 낮게 요상(凹狀)을 나타낸다. 잉크를 부어 넣어 화선 이외의 부분에 묻은 잉크를 닦아내고 인쇄한다. 지폐, 증권 등에 사용되는 조각 요판 인쇄와 잡지 등의 사진 페이지에 사용되는 그라비어 인쇄가 있다. | 그라비어 인쇄, 에칭 |
공판 | 잉크를 투과시키지 않는 등사원지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잉크가 배게 하여 인쇄한다.[40] | 실크스크린 인쇄, 스텐실 복사기 |
각 인쇄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항목(철판, 평판, 요판, 공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1. 철판 (凸版)
화선(畵線) 부분을 높게 만들어 잉크를 묻혀 인쇄하는 방식이다. 활판 인쇄가 대표적이다.[97] 판의 요철을 이용하는 인쇄 방법 중 하나로, 비화선부를 오목하게, 화선부를 볼록하게 하여 볼록한 부분에 잉크를 묻혀 종이에 옮긴다.[97]활판 인쇄(활자나 사진 볼록판·선화 볼록판, 격자선 등을 조합하여 판으로 만드는 것)는 이러한 방식이다. 인쇄 시 압력에 따라 종이에 요철이 생길 수 있다.[97] 또한, 인쇄된 글자에 마진 영역(잉크가 옆으로 번져 실제 활자의 선폭보다 더 두꺼워지는 부분)이 보이는 등의 특징이 있다.
판이 납으로 만들어져 취급이 어렵고, 오프셋 인쇄의 발달 등으로 활판 인쇄는 쇠퇴했다. 현재 주로 행해지는 볼록판 인쇄는 수지 볼록판 인쇄 및 플렉소 인쇄이다. 수지 볼록판 인쇄는 활판 대신 감광성 수지를 인쇄판에 사용하는 것으로, 주간지의 흑백 페이지, 스티커, 라벨 인쇄 등에 사용된다. 하지만 현재는 주간지의 흑백 페이지는 거의 평판 오프셋으로 인쇄된다. 플렉소 인쇄는 고무나 감광성 수지의 판을 사용하고, 인쇄판에 잉크를 공급하는 부분에 아닐록스 롤이라는 롤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아닐록스 롤은 표면에 규칙적인 배열로 오목한 부분을 조각하여 그 오목한 부분에 채워진 잉크를 판에 공급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오목한 부분의 선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인쇄 압력이 거의 없는 “키스 터치”가 이상적이라고 여겨지며, 골판지 라이너, 포장 필름 등의 인쇄에 사용된다.
독일에서 인쇄술이 유행했던 시기에, 볼록판 인쇄술의 아이디어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고안했고, 인쇄기의 설계도도 그렸지만, 실용화되는 것은 그 300년 후가 된다. 일설에는 레오나르도의 필사본이 거울글씨를 사용한 것도 이 인쇄용 판을 의식한 것이라고 한다.
3. 1. 2. 평판 (平版)
평평한 판 위에 화학적 처리를 통해 친유성(기름과 친한 성질)의 잉크가 묻는 부분과 친수성(물과 친한 성질)의 잉크가 묻지 않는 부분을 만들고, 잉크가 묻는 부분에 잉크를 묻혀 종이에 전사하는 방식이다.[99]일반적으로 옵셋 인쇄와 같은 의미로 이해되고 있지만, 옵셋은 잉크가 판에서 고무판으로 한 번 전사되는 것을 의미하며, 원래는 평판 인쇄가 맞는 표현이다. 옵셋하는 볼록판(드라이 옵셋 인쇄 등)이나 오목판(패드 인쇄=타코 인쇄 등)도 드물게 존재한다. 석판 인쇄(리토그래프, 리소그래피)도 평판의 일종이다.
현대 일본의 출판물은 대부분 평판 옵셋 인쇄로 인쇄된다. 직접 인쇄하는 볼록판이나 오목판과 달리, 인쇄판의 이미지가 반전되지 않으므로 실수 등을 찾기 쉽다. 또한 고속, 대량 인쇄에 적합하다. 일본에서 평판 인쇄가 보급된 이유로 사진식자가 있다. 사진식자에 의한 원고 작성은 그 후 공정으로서 제판 필름화(집판)가 필수적이며, 이 공정을 거치는 한 평판 인쇄가 최적이기 때문이다. 칼라 인쇄는 거의 모두 이 방식을 사용한다.
화선(그림이 되는 부분)과 비화선(그림이 되지 않는 부분) 부분이 같은 높이에 있는 평평한 판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옵셋 인쇄가 대표적이다.
3. 1. 3. 요판 (凹版)
판의 요철을 이용하는 인쇄 방법의 하나로, 비화선부인 볼록 부분의 잉크를 긁어내고 오목 부분에 붙은 잉크를 종이에 전사하는 방식이다.[98] 화선 부분을 낮게 만들어 잉크를 채워 인쇄하는 방식이며, 그라비어 인쇄가 대표적이다. 현재는 전자 조각된 구리제 실린더를 사용한 인쇄판이 사용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있으며, 대량 인쇄에 적합하다. 미세한 선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위조 방지 목적으로 화폐나 수입인지 등에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그라비어 인쇄는 요판 인쇄의 일종으로, 그라비어판은 다른 인쇄 방법과 같은 착각을 이용한 농담 표현과 오목 부분의 깊이 차이에 의한 잉크량 증감에 의한 농담 변화가 모두 가능하여 사진 등의 재현성이 뛰어나다.[98] 과거 잡지에서는 본문은 볼록판으로 인쇄하고 사진 페이지는 그라비어로 인쇄하여 사진 페이지를 그라비아 페이지라고 불렀으나, 현재는 본문, 사진 모두 옵셋 인쇄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98]
3. 1. 4. 공판 (孔版)
Letterpress printing영어와 같은 원리로 잉크를 투과시키지 않는 등사원지에 단속(斷續)하는 작은 구멍을 만들어 이 구멍으로부터 잉크를 배게 하여 인쇄한다. 원지에다 타자기 등을 이용하여 원판(原版)을 만들어 윤전등사기 등으로 인쇄하는데 주로 작은 부수의 보고서·영화대본 등에 이용한다.[40] 실크스크린 인쇄가 대표적이다.3. 2. 가압 방식에 따른 분류
가압 방식에 따른 인쇄 방식은 크게 평압식, 원압식, 윤전식으로 나눌 수 있다.[50]- '''평압식'''은 평평한 판과 압반 사이에 종이를 넣어 눌러 인쇄하는 방식이다.
- '''원압식'''은 평평한 판 위에 원통형 압동을 배치하여 압동이 회전하고 판반이 수평으로 움직이는 방식이다.
- '''윤전식'''은 원통형 판동과 압동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며 인쇄하는 방식이다.
3. 2. 1. 평압식
평평한 판과 평평한 압반(壓盤) 사이에 종이를 넣어 가압하여 인쇄하는 방식이다.[50] 구조가 간단하며 명암인쇄기 등은 현재에도 이 방식이 쓰인다.3. 2. 2. 원압식
평면상(平面狀)의 판 위에 원통형(圓筒形)의 압동(壓胴)을 배치하는 방식이다. 압동은 일정 위치로 회전하고, 판반(版盤)은 수평으로 왕복 운동을 한다. 활판 인쇄에서 이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50]3. 2. 3. 윤전식
원통 모양의 판동과 압동이 서로 압착하여 회전하면서 인쇄하는 방식이다. 신문이나 많은 부수의 잡지 등을 인쇄할 때 주로 이 방식을 사용한다.[50]3. 3. 기타 인쇄 방식
날염인쇄는 깃발이나 보자기 등에 사용되는 인쇄 방식으로, 색료와 호료를 혼합하여 천에 인쇄하는 염색 방법이다. 기계를 사용하는 기계날염과 형을 사용하는 형날염이 있다. 기계날염은 그라비어 인쇄 방식으로, 무늬를 조각한 구리 실린더를 이용해 인쇄한다. 날염인쇄에는 염료날염과 안료날염이 있으며, 최근에는 안료날염 방식이 발전하여 사진제판을 이용한 정교한 인쇄가 가능하다.[84]실크스크린 인쇄는 잉크를 투과시키는 실크나 나일론 직물 위에 잉크가 통과하지 않는 부분을 수지 등으로 덮어 인쇄하는 방식이다. 종이, 목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에 인쇄할 수 있으며, 사진제판을 이용하여 정밀한 다색 인쇄도 가능하다. 티셔츠부터 바닥 타일까지 다양한 용도와 고르지 않은 표면에 사용된다.[84]
공판인쇄는 등사인쇄와 같은 원리로, 잉크를 투과시키지 않는 등사원지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잉크를 통과시켜 인쇄한다. 주로 작은 부수의 보고서나 영화 대본 등에 이용된다. 이상과학공업(理想科学工業)의 프린트고꼬(プリントゴッコ)와 리소그래프(リソグラフ)가 대표적이다. 복제 그림에 사용되는 실크스크린(シルクスクリーン)이나 갱판(謄写版)(갈리판)도 공판의 일종이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인쇄 방식이 있다.
- 염료 승화 프린터
- 잉크젯 프린팅: 소량의 책이나 포장 인쇄, 고품질 용지의 오프셋 인쇄를 모방하는 데 사용된다. 1980년대에 전기 관련 회사들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100]
- 레이저 프린팅: (토너 프린팅) 주로 사무실 및 거래 인쇄에 사용되며, 직접 우편 회사에서 가변 데이터 편지나 쿠폰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
- 패드 프린팅: 복잡한 3차원 표면에 인쇄할 수 있다.
- 릴리프 인쇄: 주로 카탈로그에 사용된다.
- 인타글리오: 통화와 같은 고부가가치 문서에 주로 사용된다.
- 열전사 프린터: 1990년대에는 팩스 인쇄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항공사 수하물 태그나 슈퍼마켓 델리 카운터의 가격 라벨 인쇄 등에 사용된다.
4. 디지털 인쇄
디지털 인쇄는 파일을 바로 인쇄가 가능한 형태로 변형하여 인쇄하는 방식이다. 대부분 전하를 사용하여 토너나 액체 잉크를 종이 같은 인쇄면에 찍어내는 기술이다. 이러한 디지털 인쇄는 제록스사의 iGen3, 휴렛패커드사의 인디고 시리즈 인쇄기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다품종 소량 인쇄에 적합하고 오프셋 인쇄와 품질이 비슷하다.[56]
가정, 사무실 또는 엔지니어링 환경에서의 인쇄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소형(최대 레저 용지 크기): 사무실과 도서관에서 사용됨
- 대형(최대 914mm 너비의 용지 롤): 제도 및 디자인 업체에서 사용됨
일반적인 인쇄 기술은 다음과 같다.
- 청사진 – 및 관련 화학 기술
- 데이지 휠 – 미리 형성된 문자가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경우
- 도트 매트릭스 – 인쇄 스터드 어레이로 임의의 점 패턴을 생성하는 경우
- 라인 인쇄 – 형성된 문자가 줄 단위로 용지에 적용되는 경우
- 열전사 – 초기 팩스 기계나 검은색으로 변하여 인쇄 이미지를 형성하는 특수 용지에 열을 가하는 최신 영수증 프린터와 같은 경우
- 잉크젯 – 버블젯을 포함하여 잉크를 용지에 분사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만드는 경우
- 전자 사진술 – 토너가 충전된 이미지에 끌리고 그 후 현상되는 경우
- 레이저 – 레이저를 사용하여 충전된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기록하는 제록스의 한 유형
- 솔리드 잉크 프린터 – 액체 잉크 또는 토너를 만들기 위해 고체 잉크 스틱을 녹이는 경우
전문 디지털 인쇄(토너 사용)는 주로 전기적 충전을 사용하여 토너 또는 액체 잉크를 인쇄할 기판으로 전달한다. 디지털 인쇄 품질은 초기 컬러 및 흑백 복사기에서 제록스 iGen3, 코닥 Nexpress, HP 인디고 디지털 프레스 시리즈 및 InfoPrint 5000과 같은 정교한 컬러 디지털 프레스로 꾸준히 향상되었다. iGen3 및 Nexpress는 토너 입자를 사용하고 Indigo는 액체 잉크를 사용한다. InfoPrint 5000은 풀 컬러 연속 양식 잉크젯 주문형 인쇄 시스템이다. 모두 가변 데이터를 처리하고 오프셋과 품질이 비슷하다. 디지털 오프셋 프레스는 직접 이미징 프레스라고도 하지만, 이러한 프레스는 컴퓨터 파일을 받아 자동으로 인쇄 준비 플레이트로 변환할 수 있지만 가변 데이터를 삽입할 수는 없다.
소규모 출판 및 팬진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인쇄를 사용한다.

5. 인쇄술의 영향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혁신은 유럽의 책 생산량을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다. 4세기가 채 되지 않아 수백만 권에서 약 10억 권으로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41] 인쇄는 판을 만들고 잉크를 묻혀 종이 등에 압착하여 판과 표면이 반대인 상태로 잉크가 찍히는 작업이다.[67] 이 결과물을 인쇄물이라고 한다.[67] 예를 들어 목판으로 연하장을 만들 경우, 그림을 판에 붙이고 잉크를 묻힐 부분을 남기고 조각칼로 파낸 후, 잉크를 묻혀 종이에 압착하면 된다. 이때 처음 그린 그림은 '원고', 판을 만드는 작업은 '제판', 잉크를 묻혀 종이를 압착하는 작업은 좁은 의미의 인쇄라고 한다.[67]
인쇄를 하는 회사를 인쇄회사, 공장을 인쇄공장이라고 한다. 'print(프린트)'와 'press(프레스)'는 모두 '누르다'라는 의미의 라틴어 동사 'premere 프레메레'에서 유래했다.[68] 'press 프레스'는 압착기에서 유래했는데, 구텐베르크의 인쇄기는 포도 압착기를 개량한 것이다.
현대 인쇄의 주류는 옵셋 인쇄이다. 2017년 통계에 따르면, 인쇄 사업소의 약 73%가 옵셋 인쇄를 사용하며, 활판 인쇄는 9%에 불과하다.[70] 1960년대까지는 활판 인쇄가 주류였으나, 1980년대에 옵셋 인쇄가 우세해졌다. 일반적인 옵셋 인쇄는 얇은 알루미늄 판을 인쇄판으로 사용한다.[71] 인화지 출력 후 필름에 전사하거나, 조판 데이터를 바탕으로 알루미늄 판에 직접 인쇄한다.[72]
2022년 세계 인쇄 산업의 총 매출은 8210억달러였다.[73] 세계 인쇄 수익의 76%는 산업적인 인쇄업체에서 발생하며, 광고 인쇄는 2019년부터 2020년까지 18% 증가했다.[73]
그라비어 인쇄는 오목판 인쇄의 대표적인 예로, 오목한 부분(셀)의 깊이로 잉크 양을 조절하여 농담을 표현한다.
5. 1. 사회적 영향
인쇄술은 지식의 대중화를 촉진하여 사회 변혁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 액턴은 1895년 강연 "역사 연구에 관하여"에서 인쇄술이 "르네상스의 업적이 지속될 것이라는 확신, 즉 기록된 것이 모두에게 접근 가능할 것이라는 확신, 중세를 억눌렀던 지식과 사상의 은폐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 그리고 어떤 사상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주었다고 평가했다.[42] 책의 보급은 독서 문화를 확산시키고, 개인의 지식 습득과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엘리자베스 아이젠슈타인은 인쇄술 발명의 두 가지 장기적인 영향으로 지식에 대한 지속적이고 균일한 기준을 만들고, 상반되는 견해를 비교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을 꼽았다.[48]
아사 브리그스와 피터 버크는 인쇄술의 도입과 관련하여 발전한 다섯 가지 유형의 독서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유형 | 설명 |
---|---|
비판적 독서 | 텍스트가 일반 대중에게 접근 가능해짐에 따라, 사람들이 텍스트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면서 비판적 독서가 등장했다. |
위험한 독서 | 독서는 특히 여성의 경우 반항적이고 비사교적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에 위험한 추구로 여겨졌다. 이는 독서가 위험한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고, 여성이 글을 읽을 수 있다면 연애 편지를 읽을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
창의적 독서 | 인쇄술은 사람들이 텍스트를 읽고 저자가 의도한 것과 매우 다른 방식으로 종종 창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했다. |
광범위한 독서 | 인쇄술이 광범위한 텍스트를 이용할 수 있게 되자, 처음부터 끝까지 텍스트를 집중적으로 읽는 이전의 습관이 변하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선택된 발췌문을 읽기 시작하여 더 광범위한 주제에 대해 훨씬 광범위하게 읽을 수 있게 되었다. |
사적인 독서 | 독서는 개인주의의 부상과 관련이 있었다. 인쇄술 이전에는 독서가 종종 한 사람이 여러 사람에게 읽어주는 집단 행사였기 때문이다. 인쇄술을 통해 문해력과 텍스트의 가용성이 증가하면서 고독한 독서가 표준이 되었다. |
인쇄술의 발명은 유럽 도시의 직업 구조도 바꾸었다. 인쇄업자는 문해력이 필수적인 새로운 장인 집단으로 등장했고, 훨씬 더 노동 집약적인 서기 직업은 자연스럽게 감소했다. 교정은 새로운 직업으로 등장했고, 책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서점과 도서관의 수가 증가했다.
5. 2. 종교적 영향
인쇄술의 발전은 종교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새뮤얼 하틀리브는 인쇄술이 지식을 널리 퍼뜨려 사람들이 자신의 권리와 자유를 알게 되면 억압적인 통치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42][43]
오스만 제국에서는 아랍 문자 인쇄가 서예의 높은 명성 때문에 반대에 부딪혔지만, 히브리어나 아르메니아 문자 인쇄는 허용되었다. 1493년 오스만 제국에서 최초로 히브리어 활판 인쇄가 이루어졌고, 이후 종교적 텍스트와 비종교적 텍스트 모두 히브리어로 인쇄될 수 있었다.[44] 16세기 중반에는 종교 서적 인쇄가 죄악으로 여겨졌고, 1515년 술탄 셀림 1세는 인쇄 행위를 사형으로 처벌하는 칙령을 발표하기도 했다. 16세기 말 술탄 무라드 3세는 아랍어 문자로 된 비종교적 인쇄 서적의 판매를 허용했지만, 대부분 이탈리아에서 수입된 것이었다. 이브라힘 무테페리카는 오스만 제국에서 아랍어 인쇄를 위한 최초의 인쇄소를 설립했지만, 19세기까지 이슬람 세계에서 인쇄는 일반화되지 않았다.[45]
일부 게르만 국가에서 히브리어 인쇄업자들은 길드 가입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히브리어 인쇄는 이탈리아에서 번성했다. 지역 통치자는 히브리어 책 출판 허가를 부여하거나 취소할 권한을 가졌다.[46]
인쇄의 도입은 종교를 강화하고 군주들의 권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여겨졌다.[47] 대부분의 책은 종교적인 성격을 띠었고, 교회와 왕실이 내용을 규제했다. '잘못된' 자료를 인쇄한 결과는 극심했는데, 1584년 친가톨릭 팸플릿을 인쇄한 윌리엄 카터는 교수형에 처해졌다.[47]
5. 3. 교육적 영향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은 대학의 학문 언어, 도서관, 교육과정, 교육방법에 큰 영향을 주었다.[49] 인쇄술 발명 이전에는 대부분의 서면 자료가 라틴어로 작성되었지만, 인쇄술 발명 이후에는 인쇄된 책의 수가 늘어나고 각 나라의 토착어 사용도 증가했다. 라틴어는 18세기까지 국제어로서의 지위를 완전히 잃지는 않았다.[49]이 시기에 대학들은 부속 도서관을 설립하기 시작했다. 15세기에 케임브리지 대학교는 사제에게 도서관 관리 책임을 맡겼지만, 1570년에 이 직책은 폐지되었고 1577년 케임브리지 대학교는 새로운 대학 사서 직책을 신설했다. 루뱅 가톨릭대학교는 교수들이 도서관 개념에 기반하여 대학 도서관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지만, 도서관들은 기증과 구매를 통해 너무 많은 책을 받게 되어 공간이 부족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1589년 머턴이라는 사람이 책을 독서대가 아닌 수평 선반에 보관해야 한다고 결정하면서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49]
인쇄술의 발달은 대학 도서관을 여러모로 바꾸어 놓았다. 교수들은 더 이상 특정 저자 한두 명의 저서만을 참고하는 대신, 여러 저자들의 견해를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교과서 또한 단일 입문서만 제공되던 것과 달리, 다양한 난이도로 출판되기 시작했다.[49]
6. 3D 프린팅
3D 프린팅은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3차원 디지털 모델로부터 물리적 객체를 생성하는 제조 기술이다. 객체는 여러 얇은 재료층을 연속적으로 쌓아 올려 만들어진다. 이 기술은 적층 제조, 신속 프로토타이핑 또는 제작으로도 알려져 있다.[57]
1980년대에는 3D 프린팅 기술이 기능적 또는 미적 프로토타입 생산에만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당시에는 신속 프로토타이핑이라는 용어가 더 적절했다.[58][59] 2019년 기준으로, 3D 프린팅의 정밀도, 반복성 및 재료 범위가 향상되어 일부 3D 프린팅 공정이 산업 생산 기술로서 실행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 경우 "적층 제조"라는 용어를 "3D 프린팅"과 동의어로 사용할 수 있다.[60][61][62] 3D 프린팅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63][64] 중량을 줄이기 위해 내부 트러스 구조를 가진 속이 빈 부품이나 부품을 포함하여 손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매우 복잡한 형태나 형상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용융 적층 모델링(FDM)은 열가소성 재료의 연속 필라멘트를 사용하며, 2020년 현재 가장 일반적인 3D 프린팅 공정이다.[65][66]
참조
[1]
서적
The Book: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Paper and print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
웹사이트
Great Chinese Inventions
https://web.archive.[...]
Minnesota-china.com
2010-07-29
[4]
서적
Johannes Gutenberg: Inventor of the Printing Press
https://web.archive.[...]
2023-04-06
[5]
웹사이트
Cat 262: Printed dated copy of the ''Diamond Sutra''
https://web.archive.[...]
2022-12-08
[6]
논문
[7]
서적
Everlasting Flower: A History of Korea
Reaktion Books
2007-08-15
[8]
웹사이트
Early Printing in Korea. Korea Cultural Center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Gutenberg and the Koreans: Asian Woodblock Books. Rightreading.com
http://www.rightread[...]
[10]
웹사이트
Gutenberg and the Koreans: Cast-Type Printing in Korea's Goryeo Dynasty (918–1392). Rightreading.com
http://www.rightread[...]
[11]
웹사이트
North Korea – Silla. Country Studies
http://countrystudie[...]
[12]
웹사이트
Oneline Gallery: Sacred Texts
https://web.archive.[...]
British Library
2012-03-10
[13]
서적
Paper and Prin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Invention of Printing in China and its Spread Westward
The Ronald Press, NY
[15]
서적
Prints and Peop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6]
논문
Medieval Arabic Tarsh: A Forgotten Chapter in the History of Printing
https://web.archive.[...]
[17]
서적
Muslim Printing Before Gutenberg
[18]
서적
Paper Before Print: The History and Impact of Paper in the Islamic World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
서적
Master E S, five hundredth anniversary exhibition, September fifth through October third, Philadelphia Museum of Art
Philadelphia Museum of Art
1967
[20]
서적
Empires of the Silk Road: 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논문
[22]
서적
Deutsche Sprachgeschichte vom Spät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I. Einführung, Grundbegriffe, Deutsch in der frühbürgerlichen Zeit.
New York/Berlin: Gruyter, Walter de GmbH
[23]
웹사이트
Did East Asian Printing Traditions Influence the European Renaissance?
https://web.archive.[...]
Arts of Asia Magazine (to appear)
2006-10-18
[24]
서적
Historia de las cosas más notables, ritos y costumbres del gran reyno de la China
http://gallica.bnf.f[...]
[25]
서적
The Invention of Printing in China and its Spread Westward
The Ronald Press, NY
[26]
서적
A Global History: From Prehistory to the 21st Century
Prentice Hall
[27]
서적
A Social History of the Media: from Gutenberg to the Internet
Polity
[28]
서적
Cathedral, Forge, and Waterwheel: Technology and Invention in the Middle Age
HarperCollins
[29]
서적
Five Hundred Years of Printing
Penguin
[30]
백과사전
printing
Encyclopædia Britannica
2006-11-27
[31]
서적
Deutsche Sprachgeschichte vom Spät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I. Einführung, Grundbegriffe, Deutsch in der frühbürgerlichen Zeit.
New York/Berlin: Gruyter, Walter de GmbH
[32]
웹사이트
Gutenberg Bible Published
https://education.na[...]
2024-05-19
[33]
웹사이트
1,000 Years, 1,000 People: Ranking The Men and Women Who Shaped The Millennium
https://web.archive.[...]
[34]
서적
A History of Graphic Design
John Wiley & Sons, Inc.
[35]
웹사이트
Richard March Hoe {{!}} American inventor and manufacturer
https://www.britanni[...]
[36]
서적
The International Cyclopædia A Compendium of Human Knowledge, Revised with Large Additions · Volume 12
https://books.google[...]
Dodd, Mead & Company
2020-06-28
[37]
웹사이트
JMC 107 Design and Graphics- Printing Process (Gravure & Screen)
https://www.davunive[...]
2024-05-19
[38]
학술지
The performance of the wooden printing press
1972
[39]
웹사이트
What are crop marks and why would you want to print them?
https://www.microsof[...]
Microsoft
2011-02-09
[40]
서적
Printing on Polymer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2015-09-24
[41]
학술지
Charting the 'Rise of the West':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in Europe, A Long-Term Perspective from the Sixth through Eighteenth Centuries
2009
[42]
서적
A Social History of the Media: from Gutenberg to the Internet
Polity
[43]
서적
A Description of the Famous Kingdome of Macaria
https://www.gutenber[...]
1641
[44]
서적
Bizans'tan 20. Yüzyıla – Türk Yahudileri
Gözlem Gazetecilik Basın ve Yayın A.Ş.
[45]
학술지
İbrāhīm Müteferriḳa and Turkish Incunabula
[46]
뉴스
A Lifetime's Collection of Texts in Hebrew, at Sotheby'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9-02-11
[47]
서적
Mediating Communication: What Happens?
[48]
서적
(Briggs and Burke, 2002)
[49]
학술지
Gutenberg's Effects on Universities
https://rmit-researc[...]
2014
[50]
서적
Handbook of print media: technologies and production methods
https://books.google[...]
Springer
[51]
서적
Handbook of print media: technologies and production methods
https://books.google[...]
Springer
[52]
서적
Handbook of print media: technologies and production methods
https://books.google[...]
Springer
[53]
학술지
Colloidal nanoparticle inks for printing functional devices: emerging trends and future prospects
https://pubs.rsc.org[...]
2020-04-21
[54]
학술지
Functional inks and printing of two-dimensional materials
https://pubs.rsc.org[...]
2018-05-08
[55]
서적
2012 Future of Instrumentation International Workshop (FIIW) Proceedings
2012-10
[56]
웹사이트
When 2% Leads to a Major Industry Shift
http://h20325.www2.h[...]
2007-08-30
[57]
웹사이트
Rapid Prototyping - an overview {{!}}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2022-10-26
[58]
웹사이트
Learning Course: Additive Manufacturing – Additive Fertigung
https://www.tmg-muen[...]
[59]
웹사이트
3-D Printing Steps into the Spotlight
https://upstatebusin[...]
2013-04-11
[60]
학술지
The impact of 3D printing implementation on stock returns: A contingent dynamic capabilities perspective
2019-01-01
[61]
잡지
Ariadne
https://books.google[...]
1974-10-03
[62]
웹사이트
3D printing: you read it here first
https://www.newscien[...]
2019-02-26
[63]
웹사이트
3D Printing: All You Need To Know
https://explainedide[...]
[64]
학술지
Additive manufacturing and 3D printing are two different things
http://www.additivem[...]
2017-08-04
[65]
웹사이트
ISO/ASTM 52900:2015 – Additive manufacturing – General principles – Terminology
https://www.iso.org/[...]
[66]
특허
JP Patent: S56-144478 - 3D figure production device
https://www.j-platpa[...]
[67]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
[68]
웹사이트
Etymoline
https://www.etymonli[...]
[69]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70]
웹사이트
日本印刷産業連合会 各種統計
https://www.jfpi.or.[...]
[71]
웹사이트
https://nippon-pr-ce[...]
[72]
웹사이트
https://ino-ue.jp/wo[...]
[73]
웹사이트
Printing statistics
https://cash4toners.[...]
[74]
서적
図説 本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11-07-30
[75]
서적
図説 本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11-07-30
[76]
서적
日本語活字印刷史
名古屋大学出版会
2015-02-15
[77]
서적
図説 本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11-07-30
[78]
서적
図説 本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11-07-30
[79]
논문
Charting the 'Rise of the West':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in Europe, A Long-Term Perspective from the Sixth through Eighteenth Centuries
https://www.jstor.or[...]
2009
[80]
서적
歴史の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 メディア革命の社会文化史
新曜社
1995-04-20
[81]
서적
歴史の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 メディア革命の社会文化史
新曜社
1995-04-20
[82]
서적
歴史の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 メディア革命の社会文化史
新曜社
1995-04-20
[83]
서적
歴史の中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 メディア革命の社会文化史
新曜社
1995-04-20
[84]
서적
世界を変えた100の本の歴史図鑑 古代エジプトのパピルスから電子書籍まで
原書房
2015-05-25
[85]
논문
The performance of the wooden printing press
https://www.jstor.or[...]
2017-05-10
[86]
논문
Friedrich Koenig und die Erfindung der Druckmaschine
1967
[87]
논문
Friedrich Koenig und die Erfindung der Druckmaschine
1967
[88]
논문
Friedrich Koenig und die Erfindung der Druckmaschine
1967
[89]
논문
Friedrich Koenig und die Erfindung der Druckmaschine
1967
[90]
서적
ビジュアル版 本の歴史文化図鑑 5000年の書物の力
柊風舎
2012-05-22
[91]
서적
図説 世界史を変えた50の機械
原書房
2013-09-30
[92]
서적
世界の発明発見歴史百科
原書房
2015-09-28
[93]
웹사이트
進化するデジタル印刷展が始まります
https://www.dodpcent[...]
デジタル・オンデマンド出版センター
2020-06-22
[94]
서적
日本語活字印刷史
名古屋大学出版会
2015-02-15
[95]
서적
日本語活字印刷史
名古屋大学出版会
2015-02-15
[96]
서적
日本語活字印刷史
名古屋大学出版会
2015-02-15
[97]
서적
トコトンやさしい紙と印刷の本
日刊工業新聞社
2018-12-19
[98]
서적
トコトンやさしい紙と印刷の本
日刊工業新聞社
2018-12-19
[99]
서적
トコトンやさしい紙と印刷の本
日刊工業新聞社
2018-12-19
[100]
논문
デジタルプリントシステムの現状と将来への期待
https://hdl.handle.n[...]
日本写真学会
2003-10
[101]
서적
早わかり印刷の知識: “版式の原理”から“デジタル技術”の基礎まで
日本印刷新聞社
2006
[102]
서적
Handbook of print media: technologies and production method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1
[103]
서적
Handbook of print media: technologies and production method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1
[104]
서적
Handbook of print media: technologies and production method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1
[105]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Ⅰ-2 일상생활의 구조 下
까치
199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비즈하우스, 누적 주문 수 400만건 돌파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