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3년 4월 1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제국 해군의 1943년 4월 1일 전투 서열은 연합함대, 제1함대, 제2함대, 제3함대, 제4함대, 제5함대, 제6함대, 남동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로 구성되었다. 연합함대는 일본 해군의 주력 함대로, 제1전대, 제1연합통신대, 부속 함선으로 구성되었다. 제1함대는 제2전대, 제11수뢰전대, 제11잠수전대로 구성되었으며, 제2함대는 제4전대, 제5전대, 제2수뢰전대, 제4수뢰전대로 구성되었다. 제3함대는 제1, 2항공전대, 제3, 7, 8전대, 제10전대, 제50항공전대, 부속 함선으로 구성되었다. 제4함대는 제14전대, 제3, 5, 6특별근거지대, 제2해상호위대, 부속 함선으로 구성되었으며, 제5함대는 제21, 22전대, 제1수뢰전대, 제51특별근거지대, 부속 함선으로 구성되었다. 제6함대는 잠수함 부대였으며, 남동방면함대는 제8함대와 제11항공함대를 포함했다. 남서방면함대는 제1해상호위대가 직속으로 있었고 부속 함선 및 제1, 2, 3남견함대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2년 7월 14일)
1942년 7월 14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은 연합함대를 포함한 다양한 함대와 부대의 편성 정보를 상세히 보여주는 자료로, 각 함대별 전력 편성을 통해 당시 일본 해군의 전력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8월 15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8월 15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8월 15일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및 부대 편성을 정리한 문서로, 지나방면함대, 제1기동함대, 제4함대, 제5함대, 제6함대, 제8함대, 항공함대, 남동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 해상호위총사령부 등의 상세 정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과 일본이 괌 점령을 위해 벌인 전투에 참여한 군대와 부대의 편성을 정리한 문서로, 미국이 괌을 탈환하여 일본 본토 공격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 전투의 주요 지휘관, 부대 현황, 전투 과정, 지휘관, 그리고 전투 결과에 따른 영향 등을 다룬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계획한 올림픽 작전과 코로넷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던 군대의 편성과 장비를 상세히 설명한다. - 1943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3년 일본 - 대동아회의
1943년 일본 제국의 주도로 도쿄에서 열린 대동아회의는 일본을 포함한 7개국 대표가 참가하여 대동아공동선언을 채택하고 대동아공영권 건설 협력을 약속했으나, 태평양 전쟁 중 일본의 선전 및 제국주의 정당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3년 4월 1일) | |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3년 4월 1일) | |
![]() | |
개요 | |
시기 | 1943년 4월 1일 |
관련 국가 | 일본 제국 |
군종 | 일본 제국 해군 |
연합 함대 | |
사령 장관 | 고가 미네이치 대장 |
참모장 | 후쿠도메 시게루 중장 |
위치 | 구레 |
제1함대 | 사령 장관: 다카스 시로시 중장 기함: 나가토 |
제2함대 | 사령 장관: 곤도 노부타케 중장 기함: 아타고 |
제3함대 | 사령 장관: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 기함: 아시가라 |
제11항공함대 | 사령 장관: 구사카 진이치 중장 기함: 카토리 |
부속 | 제1해상호위대 |
제1함대 상세 | |
사령 장관 | 다카스 시로시 중장 |
기함 | 나가토 |
제1전대 | 야마토 무쓰 나가토 |
제3전대 | 곤고 하루나 |
제6전대 | 지쿠마 도네 |
제11전대 | 치토세 가미카와마루 |
제1수뢰전대 | 아부쿠마 제6구축대: 아카쓰키, 히비키, 이카즈치, 이나즈마 제21구축대: 와카바, 하쓰하루, 하쓰시모, 네노히 |
제30구축대 | 아리아케 유구레 시라쓰유 시구레 |
제1항공전대 | 즈이카쿠 쇼카쿠 |
제2항공전대 | 준요 류호 |
제3항공전대 | 히요 즈이호 |
부속 | 이라코 시레토코 사타 쓰루미 이시야 후지산마루 |
제2함대 상세 | |
사령 장관 | 곤도 노부타케 중장 |
기함 | 아타고 |
제4전대 | 아타고 다카오 초카이 마야 |
제5전대 | 묘코 하구로 |
제7전대 | 스즈야 구마노 |
제2수뢰전대 | 스즈쓰키 제15구축대: 구로시오, 오야시오, 하야시오 제24구축대: 우미카제, 가와카제, 스즈카제, 야마카제 제31구축대: 나가나미, 마키나미, 다카나미, 오키나미 |
제3수뢰전대 | 센다이 제11구축대: 후부키, 시라유키, 하쓰유키 제16구축대: 아마쓰카제, 도키쓰카제, 하쓰카제, 유키카제 제21구축대: 하쓰하루, 와카바, 하쓰시모, 네노히 |
제3함대 상세 | |
사령 장관 |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 |
기함 | 아시가라 |
제8전대 | 쇼카쿠 미쿠마 |
제10전대 | 아가노 제7구축대: 아케보노, 우시오, 사자나미 제10구축대: 아사구모, 가자구모, 유구모, 마키구모 |
제17전대 | 미오코 나치 |
제18전대 | 다쓰타 가토리 |
제11항공함대 상세 | |
사령 장관 | 구사카 진이치 중장 |
기함 | 카토리 |
소속 부대 | 제902해군항공대 제951해군항공대 제204해군항공대 제251해군항공대 제582해군항공대 제751해군항공대 제954해군항공대 |
제1해상호위대 상세 | |
사령 장관 | 하라 겐자부로 소장 |
소속 부대 | 미야케 제1호 제3호 제5호 제7호 제9호 제11호 제13호 제15호 제17호 제19호 제21호 제23호 제25호 제27호 제29호 제31호 제33호 제35호 제37호 제39호 제41호 |
2. 연합함대
1943년 4월 1일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의 주력 함대였던 연합함대는 해상 작전을 총괄 지휘했다.[1] 전함,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 등 다양한 함종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쟁 초기에는 태평양 전쟁 전역에서 주요 해전에 참전했다.[1]
2. 1. 부속
- 전함: 이세, 휴가
- 항공모함: 다이요, 운요, 주요
- 수상기모함: 닛신
- 경순양함: 기타가미, 오이
- 제7구축대: 아케보노, 우시오, 사자나미
- 표적함: 야카제, 세쓰
- 공작함: 아카시
- 특설순양함: 아이코쿠마루, 기요스미마루
- 특설공작함: 우라가미마루, 핫카이마루, 야마비코마루
- 특설수뢰모함: 가미카제마루
- 특설병원선: 아사히마루, 다카사고마루, 히카와마루, 덴노우마루, 무로마루
3. 제1함대
제1함대는 주로 전함으로 구성된 함대로, 나가토, 무쓰 등의 전함이 소속되어 있었다.
4. 제2함대
제2함대는 중순양함과 경순양함, 구축함으로 구성된 함대로, 태평양 각지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5. 제3함대
제3함대는 항공모함을 주력으로 하는 함대로, 태평양 전쟁에서 기동 부대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제1항공전대: 쇼카쿠, 즈이카쿠, 즈이호
- 제2항공전대: 준요, 히요
- 제3전대: 곤고, 하루나
- 제7전대: 구마노, 스즈야
- 제8전대: 도네, 지쿠마
- 제10전대: 아가노
- * 제4구축대: 아라시, 하기카제, 노와키, 마이카제
- * 제10구축대: 아키구모, 유구모, 카자구모
- * 제16구축대: 하쓰카제, 유키카제, 아마쓰카제
- * 제17구축대: 우라카제, 이소카제, 다니카제, 하마카제
- * 제61구축대: 아키쓰키, 스즈쓰키, 하치쓰키
- 부속: 오요도
5. 1. 제50항공전대
제50항공전대는 1943년 1월 15일에 기동부대 직속 연습부대로 편제되었다.[2] 둘리틀 공습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내지 방위 부대로서 출동할 예정이었다.- 제1부대: 제751해군항공대
- 제2부대: 쓰이키 해군항공대
- 제3부대: 호쇼, 유카제
- 제4부대: 세쓰
- 제5부대: 류호[2]
6. 제4함대
- 기함: 가시마
- 제14전대: 나카, 이스즈
- 제3특별근거지대
- 이쿠타마루
- 제67경비대, 요코스카 진수부 제2특별육전대, 사세보 진수부 제7특별육전대
- 제4근거지대
- 고에이마루, 제2장안마루, 제2장강마루, 평양마루, 제31, 57구잠대, 제31~33호 구잠정
- 제902해군항공대, 제41~43경비대, 제85잠수함기지대, 제3, 4통신대, 제4항무부
- 제5특별근거지대
- 쇼토쿠마루, 가쓰마루, 제60구잠대
- 제54경비대, 제5통신대
- 제6근거지대
- 가토리마루, 미쓰시마마루, 다이도마루, 제63, 65구잠대, 제16소해대
- 제952해군항공대, 제61~66경비대, 제6잠수함기지대, 제6통신대
- 제2해상호위대
- 제29구축대: 오이테, 아사나기, 유나기, 유즈키 (1943년 4월 15일 폐지)
- 오키, 효도리, 오도리
- 부속: 도키와, 쓰쿠시
- 사세보 진수부 제7특별육전대, 제4기상대
- 제1측량대
7. 제5함대
제5함대는 주로 북태평양 지역을 담당했으며, 순양함과 구축함, 특별근거지대 등으로 구성되었다.[1]
함대 | 구성 |
---|---|
제21전대 | 나치, 다마, 기소 |
제22전대 | 아와타마루, 아카기마루, 아사카마루 |
제1수뢰전대 | 아무쿠마 |
제9구축대 | 아사구모, 시라쿠모, 우스구모 |
제21구축대 | 하쓰하루, 하쓰시모, 와카바 |
제51특별근거지대 | |
부속 | 기미카와마루, 고와마루, 제2히노마루, 제10후쿠에마루, 고즈마루, 제1운요마루 |
제7잠수대 | 이2, 이5, 이6 |
기타 | 제5경비대, 제32방공대, 제30설상대 |
8. 제6함대
제6함대는 잠수함 부대로, 남방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9. 남동방면함대
1943년 4월 1일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의 남동방면함대는 뉴기니와 솔로몬 제도 방면을 담당했으며, 제8함대와 제11항공함대를 포함했다.[1]
제8함대는 쵸카이를 기함으로 하여, 뉴기니, 솔로몬 제도 방면에서 주로 활동한 함대이다. 제11항공함대는 육상 기지를 중심으로 작전을 수행했다.
9. 1. 제8함대
쵸카이를 기함으로 하여, 뉴기니, 솔로몬 제도 방면에서 주로 활동했으며, 중순양함, 경순양함, 구축함 등으로 구성되었다.[1]- 직속
- * 아오바, 유바리
- 제3수뢰전대: 센다이
- * 제11구축대: 하쓰유키, 유기리, 아마기리
- * 제22구축대: 사쓰키, 미나즈키, 후미즈키, 나가쓰키
- * 제30구축대: 모치즈키, 우쓰키, 미카즈키
- 제1근거지대
- 부속: 제26호소해정, 28호소해정
- * 제31, 32구잠대
- * 제87경비대
- * 제1통신대
- * 구레 진수부 제7특별육전대
- * 사세보 진수부 제6특별육전대
- 제2특별근거지대
- * 시라타카
- * 제26, 34구잠대
- * 제2통신대
- * 제12항무부
- 제7근거지대: 제23구잠대, 제82경비대, 제85통신대
- 제8근거지대
- * 닛카이마루, 세이카이마루, 제20, 21호소해정
- * 제21, 24구잠대, 제81, 84경비대, 제8잠수함기지대, 제8통신대, 제8항무부, 제8기상대
- 제8연합특별육전대
- 부속: 쓰가루, 소야, 유나기
- * 구레 진수부 제7특별육전대
- * 사세보 진수부 제5특별육전대
- * 제958해군항공대
- * 제4측량대
9. 2. 제11항공함대
제11항공함대는 남동방면함대 소속 항공 부대로, 육상 기지를 중심으로 작전을 수행했다.10. 남서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는 동남아시아와 필리핀 방면을 담당했으며, 제1남견함대, 제2남견함대, 제3남견함대를 포함했다.[1]
- 직속: 제1해상호위대
- * 제21항공전대: 제151해군항공대, 제253해군항공대, 제751해군항공대
- * 제23항공전대: 제202해군항공대, 제753해군항공대
- 부속
- * 가모이
- * 제19구축대: 이소나미, 우라나미, 아야나미
- * 제30잠수대: 이162, 이165, 이166
- * 제851해군항공대
10. 1. 제1남견함대
제1남견함대는 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방면을 담당했다.[1]10. 2. 제2남견함대
제2남견함대는 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 방면을 담당했다.10. 3. 제3남견함대
제3남견함대는 주로 필리핀 방면을 담당했다.[1]참조
[1]
문서
미준공
[2]
문서
1943년 6월 10일, 제2항공전대 항공모함 히요 (항공모함)가 USS|트리거|SS-237에 뇌격되어 대파, 류호는 제2항공전대로 전속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