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재산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재산권은 개인이 재산을 소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며, 헌법상 보장되는 기본권의 하나이다. 대한민국 헌법 제23조는 재산권의 내용과 한계를 법률로 정하며, 공공복리에 적합하도록 행사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재산권은 사적 유용성 및 처분권을 내포하는 재산가치 있는 구체적 권리이며, 자유 실현의 물질적 바탕으로 자유와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재산의 유형은 토지, 동산, 무형 자산 등으로 구분되며, 소유권 외에도 임대차, 저당권 등 다양한 권리가 존재한다. 재산권 침해는 절도, 강도, 사기 등과 같은 범죄로 이어진다. 재산권에 대한 이론은 노력, 희소성, 자연권 등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되며, 사회 및 시대에 따라 그 의미와 중요성이 변화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산권 - 부재지주
    부재지주란 토지 소재지에 거주하지 않는 지주를 뜻하며, 역사적으로 아일랜드,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팔레스타인 등에서 토지 몰수, 식민지화, 높은 임대료, 민족 갈등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여 토지법 제정, 토지 매입, 연방 가입 등의 해결 노력이 있었다.
  • 재산권 - 대한민국 헌법 제23조
    대한민국 헌법 제23조는 모든 국민의 재산권을 보장하고, 재산권의 내용과 한계를 법률로 정하며, 공공의 필요에 의해 재산권을 제한할 경우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도록 규정한다.
  • 사회적 불평등 - 건강 형평성
    건강 형평성은 사회경제적 요인, 인종, 성별, 지역 등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 상태의 불공정한 차이로, 의료 접근성 향상,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건강 교육 강화, 차별 해소 등 다각적인 노력과 정책적 개입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
  • 사회적 불평등 - 차별
    차별은 특정 집단이라는 이유로 개인이나 집단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부당하게 대우하는 행위로, 인종, 성별, 종교 등 다양한 근거로 발생하며, 국제기구들은 차별 종식을 위해 노력하고 각국은 차별 금지 법률을 시행하고 있다.
  • 민법 - 유언
    유언은 사망 후 재산 상속 및 개인적 의사를 반영하는 법률 행위로, 다양한 방식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유언자의 사망 시 효력이 발생하고 생전에는 철회 가능하며, 유언의 무효 또는 취소 사유가 존재한다.
  • 민법 - 사실혼
    사실혼은 혼인신고 없이 부부로서 생활하는 관계를 의미하며, 대한민국 법률에서는 재산분할 및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지만, 법률혼과 비교하여 자녀의 친권, 상속, 세금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재산권
재산
정의사람 또는 사람들의 그룹이 소유한 실체
유형개인 재산
공공 재산
공동 재산
재산권
개념재산에 대한 추상적이고 법적인 권리
종류사적 소유
공적 소유
집합적 소유
경제 체제
소유 형태사유 재산
공공 재산
협동 조합 (협력적) 재산
가치론
인류학적 관점재산은 사회적으로 정의되는 관계의 구성물이다.
사회적 의미
막스 플랑크 사회 인류학 연구소재산은 사람 간의 사회적 관계를 규정하고, 사회적 지위와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필수적이다.
대한민국 법률
재산의 정의 (민법)물건 및 유체물과 무체물을 포함하는 권리의 주체를 의미한다.
재산권의 정의 (민법)개인이 재산을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는 권리
재산법의 범위 (민법)물권법, 채권법, 친족상속법
재산권의 종류소유권
전세권
저당권
유치권
질권
지역권
재물
정의재산의 범주에서 실질적인 물건 또는 대상
종류유형의 물건, 부동산, 동산, 권리 등이 포함됨

2. 헌법상 재산권

대한민국 헌법 제23조는 재산권 보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모든 국민의 재산권은 보장되며, 그 내용과 한계는 법률로 정해진다.[62] 재산권 행사는 공공복리에 적합하도록 해야 하며,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 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써 하되, 정당한 보상을 지급해야 한다.

헌법재판소 판례에 따르면, 헌법상 재산권은 사적 유용성 및 처분권을 내포하는 재산가치 있는 구체적 권리이다. 공무원연금법상의 퇴직급여,[55] 국가유공자의 보상수급권[56] 등은 헌법상 재산권으로 보호받는다. 수용된 토지가 공익사업에 필요 없게 된 경우 발생하는 피수용자의 환매권,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수용 시 토지 소유자의 수용 청구권[61] 등도 헌법상 재산권에 포함된다.

2. 1. 헌법재판소 판례

헌법상 재산권은 사적 유용성 및 처분권을 내포하는 재산가치 있는 구체적 권리이다.[62] 공무원연금법상의 퇴직급여는 사회보장적 급여, 후불임금, 공로보상 등의 성격을 가진다.[55] 국가유공자의 보상수급권은 헌법상 재산권에 의해 보호되지만, 재산권을 근거로 도출되는 헌법상 권리는 아니다.[56]

수용된 토지가 공익사업에 필요 없게 된 경우, 피수용자의 환매권은 헌법상 재산권에 포함된다. 토지초과이득세는 미실현 이득을 과세대상으로 삼아 재산권 침해 우려가 있을 수 있다.[58] 헌법상 재산권은 토지 소유자의 모든 용도나 가장 효율적인 사용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59] 재산권은 자유 실현의 물질적 바탕이며, 자유와 재산권은 상호 보완적 관계이다.[60]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수용 시, 토지 소유자의 수용 청구권은 헌법상 재산권에 포함된다.[61] 교원의 정년 단축으로 인한 경제적 불이익은 재산권 보장 대상이 아니다.[62] 국립공원 입장료는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른 것으로, 토지 소유자의 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는다.[63]

민법 제2조 제2항(권리남용 금지)은 재산권의 사회적 기속성을 구체화한 것으로, 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는다.[64] 민법 제245조 제1항(점유취득시효)은 재산권 보장에 관한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65]

3. 재산의 유형 및 관련 개념

재산은 크게 부동산(토지 및 그 정착물)과 동산(부동산 외의 물건), 유형 자산과 무형 자산(지적 재산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영미법에서 부동산(real property)은 토지와 그 개량에 대한 권리이며, 개인 재산(personal property)은 동산에 대한 권리이다. 부동산 권리에는 소유권과 사용권이 있으며, 소유자는 임대차, 허가, 지상권 등의 형태로 권리를 부여할 수 있다.[11]

2000년대 후반, 개인 재산 개념은 자동차, 의류 등 유형 자산 외에 금융 자산(주식, 채권 포함), 지적 재산권(특허, 저작권, 상표 포함), 디지털 파일, 통신 채널, 도메인 이름 등 무형 자산으로 확장되었다.

무형 재산은 상속 가능 여부와 관계없이 만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형 재산과 다르다. 지적 재산은 만료 시 퍼블릭 도메인이 되어 누구나 사용 가능하나, 희소성이 없어 여러 당사자가 동시 사용 가능하다. 통신 채널, 전자기 스펙트럼 대역 등은 한 번에 한 당사자만 사용 가능하며, 권리 양도가 가능하더라도 사유 재산으로 간주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인체는 많은 사회에서 재산으로 간주된다. 신체 소유권 문제는 인권 논의에서 노예 제도, 징병, 성년 미만 아동 권리, 결혼, 낙태, 매춘, 마약, 안락사, 장기 기증 등과 관련하여 제기된다.

고대 율령법에서 이동이 용이한 동산은 '재물'로 불렸다. 주요 품목은 명칭으로 기재되었고, 그 외는 "재물"로 묶어 표기했다. 노비, 가축 등은 재물에서 제외되었다.

width=15% |일반적인 의미 또는 설명, 소유주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생하는 활동행위자
불법침입일반적으로 부동산(반드시 그런 것은 아님)의 사용 또는 점유.불법침입자
파손행위부동산 또는 그 외관의 변경, 손상 또는 파괴.파손행위자
침해(불법침입에 대한 무형의 유추) 지적 재산권의 사례 변경 또는 복제 및 각각의 대체 또는 복제본의 게시; 샘플은 매체 또는 장치의 정보이며, 이는 설계 계획이 선행하고 제작의 기초가 됨.침해자
위반위반자
절도소유주를 배제하는 방식으로 재산을 취하거나 재산 소유권을 기능적으로 변경하는 행위.절도범
저작권 침해지적 재산권의 인지적 또는 무지적 복제 및 배포, 그리고 이전 과정에서 복제본의 게시를 본 지적 재산권의 소유.저작권 침해자
소유주에게 이익 손실을 초래하는 침해 또는 이익 또는 개인적인 이득과 관련된 침해.
표절지적 재산권(저작권 유무), 공개 도메인 여부와 관계없이, 출판물에 원작인 것처럼 창작자에게 공로를 돌리지 않고 작품을 출판하는 행위.표절자


3. 1. 소유권 및 기타 권리

소유권은 물건을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는 권리이다. 임대차, 전세권, 저당권 등은 소유권 이외의 재산 관련 권리이다. 지상권, 지역권, 광업권 등은 토지 사용과 관련된 권리이다.

소유권 및 기타 권리
권리 종류설명관련 개념
소유권물건을 배타적으로 사용, 수익, 처분할 수 있는 권리
임대차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차임을 지급하고 목적물을 사용, 수익할 수 있는 권리임차인, 임대인
전세권전세권자가 전세금을 지급하고 타인의 부동산을 점유하여 사용, 수익하며, 그 부동산 전부에 대해 후순위권리자 기타 채권자보다 전세금의 우선변제를 받을 권리
저당권채무자가 채무의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에 대해 다른 채권자보다 우선변제를 받을 권리저당권자, 저당권 설정자
지상권타인의 토지에 건물 기타 공작물이나 수목을 소유하기 위하여 그 토지를 사용하는 권리
지역권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타인의 토지를 자기 토지의 편익에 이용하는 권리
광업권등록을 한 일정한 토지 구역(광구)에서 광물을 채굴하고 취득할 수 있는 권리


3. 2. 재산 관련 법률 행위

매매는 재산 또는 소유권을 돈과 교환하여 양도하는 행위이다. 증여는 재산을 대가 없이 이전하는 행위이며, 교환은 재산을 서로 맞바꾸는 행위이다. 이들은 모두 재산의 이전을 수반한다.

임대차는 재산의 사용을 허가하고 그 대가를 받는 계약이다. 사용대차는 대가 없이 재산의 사용을 허가하는 계약이다. 이들은 재산의 사용, 수익과 관련된다.

저당권 설정은 채무 이행을 담보하기 위해 재산에 담보권을 설정하는 행위이다. 담보 제공은 채무 이행을 위해 재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행위이다.

재산 관련 법률 행위
행위설명관련 개념
매매재산 또는 소유권을 돈과 교환하여 양도판매자, 구매자
증여재산을 대가 없이 이전
교환재산을 서로 맞바꿈
임대차재산의 사용을 허가하고 대가를 받음임대인, 임차인
사용대차대가 없이 재산의 사용을 허가
저당권 설정채무 이행을 담보하기 위해 재산에 담보권을 설정저당권자, 저당권설정자
담보 제공채무 이행을 위해 재산을 담보로 제공


4. 재산권 침해 및 관련 범죄

절도, 강도, 사기, 횡령, 배임 등은 타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범죄이다. 손괴, 권리행사방해 등도 재산권 침해와 관련된 범죄이다.

일본 형법에서는 절도죄, 강도죄 등에서 재물을 주요 행위 객체로 규정하며, 전기 역시 재물로 간주한다. 재물의 범위에 관해서는, 어떤 재산적 가치가 있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한편, 본인에게만 가치가 있는 물건(감정적인 의미에서의 가치로 충분하다)이나, 애초에 소유권의 대상이 되지 않는 금제품도 포함된다고 이해되고 있다.

도박 및 복권에 관한 죄(형법 제185조 - 제187조)에서 “재물”은 절도죄 등과는 정의가 달라, 넓게 재산상의 이익이 있으면 대상을 유체물로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통설이다.[52] 따라서 온라인 게임 아이템과 같이 유체물이 아닌 경우에도, 현금거래와 같은 형태로 재산상의 이익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재물”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유체물이라도 “일시적인 오락에 제공하는 물건”(캔 음료나 음식 등)에 대해서는 “재물”에 포함되지 않는다.[53]

5. 재산권 이론 및 철학

재산권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꾸준히 이어져 왔다. 여러 철학자들이 재산권의 기원과 정당성에 대해 다양한 주장을 펼쳐왔다.[30][31][37][24][41][7]

고전적 자유주의는 노동에 의한 소유론을 지지한다. 대표적인 학자인 존 로크는 "모든 사람은 자신의 인격에 재산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자신 외에는 아무도 권리가 없다"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노동을 통해 얻은 산물은 다른 사람들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사람들이 사회에 들어가는 이유는 그들의 재산을 보존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24] 프레데리크 바스티아는 "생명, 자유, 재산은 사람들이 법을 만들었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생명, 자유, 재산이 미리 존재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법을 만들었다"라고 주장했다.

보수주의는 자유와 재산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 재산이 자유를 보장하거나[9] 자유를 야기한다는 사상 전통을 바탕으로,[10] 사유 재산의 소유가 더 널리 퍼질수록 국가가 더 안정적이고 생산적이라고 주장한다. 러셀 커크는 "사유 재산을 사적 소유에서 분리하면 리바이어던이 모든 것을 지배하게 되며, 사유 재산의 기반 위에 위대한 문명이 건설된다"라고 말하며, 재산 소유에 따른 도덕적, 법적 의무를 강조했다.

사회주의는 재산권 개념에 비판적인 입장이다. 재산 방어 비용이 사유 재산 소유로부터 얻는 수익을 초과하며, 재산권이 소유자의 이익만을 추구하게 하여 다른 사람이나 사회 전체에 대한 이점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자유지상 사회주의는 단기 포기 기간이 있는 재산권을 인정하는 "소유 재산" 또는 "용익권"을 주장하며, 부재 소유를 불법으로 간주한다.

공산주의는 생산 수단의 공유만이 불평등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보며, 자본의 사유 소유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자본의 사유 소유가 한 계급을 다른 계급보다 유리하게 하여 지배를 야기한다고 본다. 그러나 프롤레타리아가 "힘들게 얻고, 스스로 획득하고, 스스로 번" 개인 재산은 반대하지 않으며, 자본의 사유 소유와 사유 재산을 구분한다.

애덤 스미스는 "자본 재고를 개선"함으로써 얻는 이익에 대한 기대가 사유 재산권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7] 그는 재산법의 불평등에 대한 영향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표명하기도 했다.[8]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저서 "관습법"에서 재산을 소유와 자격(title)이라는 두 가지 기본적인 측면으로 설명했다. 소유는 소유자의 목표에 반박할 실질적인 능력이 없다는 데 기반한 자원에 대한 통제이고, 자격은 소유하지 않을 때에도 자원을 통제할 권리를 다른 사람들이 인정할 것이라는 기대이다.

5. 1. 고대 및 중세 철학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학』에서 사유 재산을 옹호하며,[30] 공유 재산은 사람들이 주로 자신의 것만 생각하고 공동의 이익은 거의 생각하지 않아 방치된다고 주장했다.[31] 또한, 재산이 공유될 때 노동의 차이로 인해 "많이 일하고 적게 얻는 사람들은 적게 일하고 많이 받거나 소비하는 사람들을 불평"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인간이 외적 사물을 소유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자신의 것으로 소유하는 것은 합법적이라고 보았다.[37] 그는 절도의 본질은 다른 사람의 것을 은밀히 빼앗는 것이며, 강도는 절도보다 더 중대한 죄라고 하였다. 그러나 궁핍으로 인해 절도하는 것은 합법적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모든 것은 공동 재산이라고 보았다.

5. 2. 근대 철학

존 로크는 노동 가치설을 통해 재산권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노동을 자연과 결합할 때, 그 노동이 결합된 자연의 일부에 대한 관계를 갖게 되며, 이것이 재산권의 기원이라고 보았다. 단, "다른 사람들에게도 충분하고 동등하게 남겨두어야 한다"는 로크의 조건을 덧붙였다.[24]

데이비드 흄은 재산권이 사회 관습에 의해 확보된다고 보았다. 그는 가상의 계약이나 인류애를 믿지 않았으며, 실제 인간을 바탕으로 정치를 확립하려고 했다. 흄은 사회 관습에 의해 뒷받침되는 기존 법이 재산권을 확보하며, 그 때문에 재산권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41]

애덤 스미스는 재산권이 경제 발전의 기반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본 재고를 개선"함으로써 얻는 이익에 대한 기대가 사유 재산권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7] 또한, 모든 사람이 자신의 노동에 대해 가지는 재산이 다른 모든 재산의 기초이며, 가장 신성하고 불가침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칼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의 재산권 불평등을 비판했다. 그는 원시 축적 과정을 통해 다수의 농민들이 토지에서 쫓겨나고 귀족에게 몰수당했으며, 이것이 영국 자본주의 창출에 필수적인 요소였다고 주장했다. 마르크스는 자유주의적 재산 이론이 이러한 폭력적인 역사적 과정을 감추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5. 3. 현대적 관점

현대 사회에서 재산권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의미와 중요성이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전통적인 유형 재산뿐만 아니라, 지적 재산권, 데이터 재산권 등 새로운 형태의 재산권이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적 재산권은 창작물, 발명품, 상표 등 인간의 지적 활동으로 만들어진 무형의 자산에 대한 권리를 말한다. 이러한 권리는 창작자의 노력을 보호하고 창의적인 활동을 장려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나친 지적 재산권 보호는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을 막고, 공공의 이익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데이터 재산권은 개인의 정보가 경제적 가치를 가지게 되면서 등장한 개념이다. 개인 정보는 기업의 마케팅, 상품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 정보의 소유권과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처럼 새로운 형태의 재산권이 등장하면서 재산권 보호와 공공복리 간의 조화가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재산권은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중요한 수단이지만, 동시에 사회 전체의 이익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특히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재산권 행사의 제한 필요성이 강조되는데, 이는 환경 보호가 공공의 이익에 해당하며, 개인의 재산권 행사로 인해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또한, 재산권 행사에 대한 사회적 책임도 중요한 문제로 논의된다. 재산권은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보장하지만, 동시에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공정한 경쟁을 유지해야 할 책임이 따른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들은 재산권이 단순한 개인의 권리를 넘어 사회 전체의 이익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중요한 개념임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Powell on Real Property
[2] 사전 property http://wordnetweb.pr[...] Princeton University 2010-06-19
[3] 서적 Comparing Economic Systems in the Twenty-First Century Houghton Mifflin
[4] 웹사이트 Emerging Property Regimes in India: What it Holds for the Future of Socio-economic Rights? https://www.irma.ac.[...] Institute of Rural Management Anand 2012-11-01
[5] 서적 Toward an Anthropological Theory of Value Palgrave
[6] 웹사이트 Max Planck Institute for Social Anthropology http://www.eth.mpg.d[...] Max Planck Institute for Social Anthropology 2015-01-15
[7] 서적 Understanding the Global Economy, Howard Richards (p. 355) https://books.google[...] Peace Education Books 2004
[8] 서적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Company 2011-12-15
[9] 서적 The Origins of Modern Freedom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04-04
[10] 서적 Private Property and the Origins of Nationalism in the United States and Norway: The Making of Propertied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3-04-04
[11] 웹사이트 13 Code of Federal Regulations § 314.1 ("Definitions") https://www.law.corn[...] 2021-05-09
[12] 웹사이트 John Locke: Second Treatise of Civil Government: Chapter 5 http://www.constitut[...] 2015-05-14
[13] 웹사이트 Intellectual Property {{!}} Copyright and Patent in Benjamin Tucker's periodical Liberty http://www.zetetics.[...] 2015-05-14
[14] 웹사이트 Molinari Institute – Anti-Copyright Resources http://praxeology.ne[...] 2015-05-14
[15] 웹사이트 The North American Model of Wildlife Conservation and Public Trust Doctrine http://joomla.wildli[...] 2012-08-19
[16] 웹사이트 Definition of sporting rights http://www.basc.org.[...] 2007-12-31
[17] 서적 A History of World Societies Houghton Mifflin Company
[18] 웹사이트 An Englishman's home is his castle https://www.phrases.[...] 2018-12-06
[19] 법률 United States v. Willow River Power Co.
[20] 법률 Schillinger v. the United States
[21] 법률 Zoltek Corp. v. United States
[22] 법률 Penn Central Transportation Co. v. City of New York
[23] 법률 United States v. Riverside Bayview Homes
[24] 법률 United States v. Causby
[25] 백과사전 Property Routledge
[26] 웹사이트 The Second Treatise of Civil Government http://www.constitut[...] 2010-06-26
[27] 논문 Rerum novarum https://www.vatican.[...] 2023-01-30
[28] 논문 A new double movement?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property in the age of neoliberalism http://www.ingentaco[...]
[29] 저널 The Principles of Communism https://www.marxists[...]
[30] 서적
[31] 서적 From the Tablets of Sumer: Twenty-Five Firsts in Man's Recorded History The Falcon's Wing Press
[32] 웹사이트 Property and Freedom https://www.nytimes.[...] 2018-01-10
[33] 논문 Tragedy of the Commons
[34] 서적 Property: Its Duties and Right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5-04-04
[35] 서적 Property: Its Duties and Right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5-04-04
[36] 서적 Property: Its Duties and Right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5-04-04
[37] 서적 Property: Its Duties and Right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5-04-04
[36] 서적 Property: Its Duties and Rights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5-04-04
[37] 웹사이트 Summa Theologica: Theft and robbery (Secunda Secundae Partis, Q. 66) http://www.newadvent[...] 2015-05-14
[38] 서적 The Second Treatise of Civil Government 1690
[39] 서적 The Second Treatise of Civil Government 1690
[40] 서적 The Second Treatise of Civil Government 1690
[41] 판례 United States v. Willow River Power Co.
[42] 서적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Cooke & Hale 1818
[43] 웹사이트 The Radical Liberalism of Charles Comte and Charles Dunoyer http://homepage.mac.[...]
[44] 서적 Bastiat: Economic Harmonies
[45] 웹사이트 Economic Harmonies (Boyers trans.) – Online Library of Liberty http://oll.libertyfu[...] 2015-05-14
[46] 서적 Sic Itur Ad Astra The Universal Scientific Publications Company, Inc. 1999
[47] 서적 Sic Itur Ad Astra The Universal Scientific Publications Company, Inc. 1999
[48] 서적 Sic Itur Ad Astra The Universal Scientific Publications Company, Inc. 1999
[49] 웹사이트 Finance & Development, March 2001 – The Mystery of Capital http://www.imf.org/e[...] 2015-05-14
[50] 논문 In Defense of Property 2009
[51] 논문 Property and Personhood 1982
[52] 웹사이트 ドラクエX“ダイス賭博”指摘にスク・エニが見解 http://d.hatena.ne.j[...] 弁護士 落合洋司(東京弁護士会)の「日々是好日」 2012-08-30
[53] 웹사이트 お金以外のものを賭けても賭博罪は成立する? http://www.hou-natto[...] ほ~納得!
[54] 서적 민법학 강의 신조사 2006
[55] 판례
[56] 판례
[57] 판례
[58] 판례
[59] 판례
[60] 판례
[61] 판례
[62] 판례
[63] 판례
[64] 판례 2013-05-05
[65] 판례 2013-05-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