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저출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저출산은 출생률이 낮아 인구 감소를 초래하는 현상으로, 주택 가격, 노동 시장, 육아 비용, 여성의 경력 단절, 도시화, 고등 교육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초저출산은 합계출산율 1.3명 미만을 의미하며, 인구 감소, 고령화, 경제 성장 둔화, 사회 복지 시스템 위협 등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한국은 2023년 합계출산율 0.65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이며, 정부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지만, 출산율은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다른 국가들은 양성평등 정책, 이민 정책, 육아 지원 등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성 평등한 사회 문화 조성, 주거 및 고용 안정, 다양한 가족 형태 지원, 이민 정책 확대 등이 필요하다.

2. 원인

저출산은 여러 사회경제적, 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출산율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으로는 혼인율과 유배우 출산율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축적되어 왔으며,[211][212][213][214] 출산, 보육, 양육 지원 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여러 국가에서 진행되었다.[215][216][217] 한국에서도 육아 서비스, 보육비 및 양육수당 지원, 출산장려금 지원 등 개별 정책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가 있다.[206][218][219][220][221][222]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출산율 변화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유배우 여성 비율의 감소가 출산율 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이후 정부의 저출산 대응 정책이 시작되면서 유배우 출산율은 증가했지만, 유배우 여성 비율 감소의 영향이 더 커서 전체적인 출산율은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206]

구체적인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 도시화로 인한 개인주의적 가치관 확산[17][18]
  • 경제 악화와 고용 불안, 특히 청년층의 고용 불안 심화[230][231][233][234]
  • 1인 가구 증가와 각종 서비스업 발달로 인한 독신 생활 여건 개선
  • 사교육비를 포함한 육아 비용 부담 증가
  • 출산 휴가 사용의 어려움 등 직장 내 출산 및 육아 지원 부족
  • 높은 집값과 주거비용[223][224][225][210][226]
  • 결혼과 육아를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보는 인식 확산
  • 만혼 증가로 인한 여성의 가임 기간 단축
  • 자녀 양육 가치관 변화, 시집살이 부담 등


도시화를 주요 원인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도시 지역 거주민들은 농촌 지역 사람들보다 자녀 수가 적은 경향이 있는데,[17][18] 이는 농촌에서는 자녀의 추가적인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도시는 부동산 가격이 높아 대가족을 꾸리는 데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이다.

2. 1. 사회경제적 요인

높은 집값과 주거 비용은 한국에서 저출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2014년 미국의 한 연구에서는 주택 가격이 1만 달러 오를 때 주택 소유자의 출산율은 2.1% 상승하지만, 주택이 없는 사람은 0.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3][224] 한국에서도 아파트 매매 가격이 10% 상승하면 전세 거주자의 출산 확률이 자가 보유자보다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225] 또한, 지역별 주택의 평당 매매가격이 높을수록 그 지역의 출생성비(여아 100명당 남아 수)가 낮아지는데, 이는 주택 마련 부담이 남아에게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206][226]

고용 불안과 낮은 임금 역시 출산율 감소에 영향을 준다. 1930년대 미국 대공황 당시 경기 악화로 혼인율이 20% 감소했으며, 특히 경기 침체가 심했던 지역에서 결혼이 더 줄었다.[230] 1990년대 초 스페인의 연구에서는 남성이 실직 상태로 오래 있을수록 결혼 확률이 낮아지고, 시간제나 임시직으로 일하는 경우도 정규직에 비해 결혼 확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에서도 취업하지 못했거나 재학 기간이 길어져 늦게 취업하는 남성일수록 결혼 확률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33] 임시직 비율이 높아지면 결혼 건수와 결혼율이 감소한다는 연구도 있다.[234]

사교육비를 비롯한 육아 비용 부담 증가는 출산율을 낮추는 또 다른 요인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자녀의 교육, 주거 공간, 여행, 문화 활동 등 자녀 양육에 더 많은 투자를 하는 경향이 있다. 과거에는 유아 사망률이 높아 더 많은 아이를 낳았지만, 자녀에게 투자하는 비용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오늘날 부모들은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을 확률이 높아지면서 자녀에게 더 많은 투자를 하게 되었고, 이는 결국 많은 자녀를 갖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12]

여성의 경력 단절 또한 저출산의 주요 원인이다. 가정 내 자원 배분에 있어 남녀 불평등, 노동 시장에서 여성이 겪는 불이익은 여성, 그중에서도 고학력·전문직 여성이 결혼과 출산을 꺼리게 만든다. 남성이 가사 노동을 더 많이 분담할수록 출산율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227]

이 밖에도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저출산을 일으킨다.

  • 도시화에 따른 개인주의 확산[17][18]
  • 1인 가구 증가, 즉석식품 발달, 각종 서비스업 발달 등 독신 생활을 돕는 환경 증가
  • 결혼과 육아를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여기는 인식 확산
  • 대인관계에 서툰 사람 증가 및 독신 선호 증가
  • 늦은 결혼(만혼)으로 여성이 아이를 낳을 수 있는 기간 감소
  • 자녀 양육에 대한 가치관 변화

2. 2. 문화적 요인

도시화와 함께 개인주의적 가치관이 확산되면서 결혼과 출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약화되었다.[17][18] 결혼과 육아를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보는 시각이 늘어났고,[7] 성 불평등과 가사 분담 문제도 여성의 출산 의지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227] 2018년 제임스 페이레르(James Feyrer) 등의 연구에 따르면 남성의 가사노동 분담 비율이 높아질수록 출산율이 높아진다.[227]

만혼(晩婚)과 비혼(非婚) 증가도 출산율 감소에 영향을 준다. 2016년 황지수 교수는 빠른 경제 성장에 비해 문화적 규범 변화가 느려 고학력·전문직 여성의 결혼 감소 현상, 즉 "골드미스" 현상이 나타난다고 보았다.[206][229]

2. 3. 기타 요인


  • 도시화로 개인주의 사상이 확산되었다.[17][18]
  • 경제 악화와 고용률 감소, 특히 청년층의 고용 불안이 심화되었다.[230][231][233][234]
  • 1인 가구 증가, 인스턴트 식품, 세탁소 등 서비스업 확산으로 독신 생활 여건이 좋아졌다.
  • 사교육비를 포함한 육아 양육비 부담이 증가했다.
  • 출산 휴가 사용의 어려움 등 직장 내 출산 및 육아 지원 부족으로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미비하다.
  • 높은 집값과 주거비용으로 인해 결혼을 포기하는 경우가 늘었다.[223][224][225][210][226]
  • 결혼과 육아를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보는 시각이 확산되었다.
  • 성격 문제, 인간관계 스트레스, 대인관계 미숙 등으로 결혼을 기피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만혼 증가로 여성의 가임 기간이 단축되어 출산율이 감소했다.
  • 자녀 양육 가치관 변화, 신체적·체력적 결함, 시집살이 부담 등도 저출산 요인으로 작용한다.
  • 불우한 유년, 청년기를 보낸 경우 자녀에게 대물림될까 우려하여 출산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인구학적 요인으로 유배우 여성인구 비율의 변화와 유배우 출산율의 변화는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206][207][208] 1991년부터 2009년까지 합계출산율 변화는 유배우 비율 감소로 설명되며, 유배우 출산율은 오히려 증가하여 출산율 감소를 완화했다.[209] 2000년~2016년 기간에는 정부의 저출산 대응 정책 시작 이후 유배우 출산율이 증가했으나, 유배우 비율 감소로 상쇄되어 합계출산율은 소폭 증가했다.[206][210]

도시화를 주요 원인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도시 지역 거주민들은 농촌 지역 사람들보다 자녀 수가 적은 경향이 있다.[17][18] 농장에서는 자녀의 추가적인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고, 도시는 부동산 가격이 높아 대가족을 꾸리는 데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이다.

3. 초저출산

초저출산은 합계출산율 1.3명 미만을 의미하는 용어로, 유럽의 출산율 하락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다.[242] 1990년대 유럽의 출산율을 연구한 쾰러(Kohler) 등이 처음 사용하였다.[242]

일반적으로 합계출산율 2.1명은 인구 규모를 유지할 수 있는 대체출산율로 여겨지지만,[240] 이보다 낮은 출산율이 지속되면 인구 감소가 가속화될 수 있다. 합계출산율 1.3명은 안정인구모형에서 매년 인구가 1.6%씩 감소하고 44년 후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심각한 수준을 의미한다.[243]

초저출산 현상은 주로 동아시아, 동유럽, 남유럽 국가에서 나타난다.[239] 특히 대한민국은 2023년 합계출산율 0.65명을 기록하여 세계적으로 매우 낮은 출산율을 보이고 있다. 2000년에는 중국 헤이룽장성 자무쓰시 샹양구가 0.41명으로 가장 낮은 합계출산율을 기록한 바 있다.[273]

다음은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주요 국가 및 지역의 출산율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순위국가2000년2010년2011년2012년
17.727.587.587.57
26.966.73--
36.846.846.856.85
823.142.562.532.51
85세계 평균2.802.56--
1162.361.841.821.81
1261.982.152.062.05
1292.061.931.901.80
1351.892.032.012.01
141(북한)1.99.2.002.002.00
1881.511.651.661.66
1.521.631.581.54
2031.381.391.361.38
2201.361.391.391.41
2261.471.221.241.29[274]
227[275]1.761.211.081.01
2281.441.151.201.29
2291.041.131.201.28
2300.941.001.031.06



초저출산의 원인으로는 여성의 지위 향상, 낮은 성 평등, 사회경제적 혼란, 높은 자녀 양육비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대학 진학률 증가와 교육비 상승은 결혼과 출산을 늦추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의 수가 늘면서 결혼 연령이 높아지거나 아예 결혼하지 않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미국 인구조사국이 2019년 미국 공동체 조사를 통해 집계한 주별 대졸자 이상 비율


아동 노동 또한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저개발 국가에서는 아동 노동이 흔하고, 자녀가 가족의 생계에 기여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고소득 국가에서는 아동 노동이 금지되고 부모가 자녀에게 많은 투자를 하는 경향이 있다.

도시화 역시 출산율 감소의 한 원인으로 여겨진다. 도시 거주민은 시골 거주민보다 자녀를 적게 낳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도시의 높은 주거 비용과 장거리 통근으로 인한 맞벌이의 어려움 등과 관련이 있다.

3. 1. 초저출산의 영향

초저출산은 인구 감소를 가속화하고 고령화 사회를 심화시켜 사회 전체의 활력을 저하시킨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고, 사회 전체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고령 인구 증가와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연금, 의료보험 등 사회 복지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한다.[54]

고령화는 근로자 수에 비해 공적 연금을 받는 은퇴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에 경제적 어려움을 안겨줄 수 있다. 이는 프랑스, 독일, 미국 등에서 정치적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54]

대체 수준 이하의 출산율은 기대수명 증가와 인구 모멘텀 때문에 자동적으로 인구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최근 높은 출산율은 젊은 인구를 불균형적으로 많이 만들어내고, 젊은 인구는 출산율이 더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출산율 추세가 지속되면 인구 고령화 및/또는 인구 감소로 이어진다. 이것은 이미 유럽동아시아의 대부분 국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 총 출산율은 2050년까지 대체 수준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55] 2050년 이후 인구 증가에 대한 여러 인구 증가 전망이 있다. 유엔 인구부는 2020년 기준 78억 명인 세계 인구가 2100년경 109억 명에서 안정될 것으로 전망한다.[56][57] 세계 질병 부담 연구(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의 자금을 지원받은 연구원들이 2020년에 발표한 랜싯(The Lancet)의 연구는 세계 인구가 2064년에 97억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100년에는 88억 명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낮은 성장 시나리오를 제시한다.[58] 비트겐슈타인 센터 IIASA의 분석에 따르면 세계 인구는 2070년에 94억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100년에는 90억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59]

4. 나라별 저출산 현황 및 대책

결혼하지 않거나 만혼 추세가 심화되면서 저출산에 더욱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측면이 있다. 여성의 임신 가능성은 30대 초반까지 서서히 감소하다가, 37세를 넘으면 급격히 감소한다. 남성도 나이가 들면서 임신 능력이 저하된다.[99] 또한 남성의 정자의 질도 나이가 들면서 저하되어 아이를 가질 가능성이 감소하고 염색체 이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보고도 있다.[100]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2020년 기준 합계출산율 0.84명으로 전 세계 최저 수준이다.[272] 이는 1960년대박정희 정부의 강력한 가족계획 정책으로 1984년 1.74명까지 떨어진 이후[269]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인 결과다. 1996년 8월 김영삼 정부가 산아제한정책을 폐지했으나, 출산율은 계속 감소했다.

역대 정부별 출산율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역대 정부별 출산율 변화[268]
정부1955년 ~ 1987년1998년 ~ 2002년2003년 ~ 2007년2008년 ~ 2012년2013년 ~ 2017년2018년 ~ 2022년2023년 ~ 현재
출산율6.1명(1955년)
→ 1.53명(1987년)
1.47명(2000년)
→ 1.178명(2002년)
1.191명(2003년)
→ 1.259명(2007년)
1.192명(2008년)
→ 1.297명(2012년)
1.187명(2013년)
→ 1.052명(2017년)
0.977명(2018년)
→ 0.78명(2022년)
0.65명(2023년)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과 2007-08년 세계 금융 위기 등 경제적 어려움은 출산율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김대중 정부의 2000년 즈문둥이 출산 장려 정책으로 일시적 반등이 있었으나, 2002년 1.17명을 기록하며 초저출산 사회에 진입했다. 노무현 정부는 2003년부터 출산장려정책을 폈지만, 2005년 1.08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했고, 2007년 황금돼지해 마케팅에도 불구하고 2009년 다시 1.15명으로 하락했다.

보건복지가족부와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시대별 출산 정책 변화를 다음과 같은 구호로 요약했다.

4. 1. 1. 현황

2023년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65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268] 이는 2000년 중국 헤이룽장성 자무쓰시 샹양구의 0.41명[273] 다음으로 낮은 기록이며, 중국 이외 지역에서는 가장 낮은 수치다.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7년에는 2002년 이후 15년 동안 유지되던 40만 명대가 붕괴되었고, 2020년에는 20만 명대(27.2만 명)로 추락했다.[272]

합계 출산율 (2002-2023)[268]
연도출산율
20021.178
20031.191
20041.164
20051.085
20061.132
20071.259
20081.192
20091.149
20101.226
20111.244
20121.297
20131.187
20141.205
20151.239
20161.172
20171.052
20180.977
20190.918
20200.837
20210.81
20220.78
20230.65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에 따른 경제적 여파, 카드대란, 경제 위기 등은 출산율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김대중 정부 시기인 2000년 즈문둥이 출산 장려로 일시적인 출생아 수 증가가 있었으나, 2002년 1.17명을 기록하며 "초저출산" 사회에 진입했고, 이 현상은 20년 넘게 지속되고 있다. 정부는 2003년부터 출산장려정책을 폈지만, 2005년 1.08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2007년 황금돼지해 홍보 등으로 1.26명까지 증가했으나, 경제 위기로 2009년 1.15명으로 다시 감소했다. 2012년 1.29명으로 일시적 반등을 보였으나, 이후 불경기 등으로 2014년 1.21명을 기록했다.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저출산 현상을 겪고 있다. 일본1970년대 중반부터 합계출산율이 2 이하로 떨어져 2005년 인구 감소가 시작되었다. 중화민국, 홍콩, 싱가포르2003년 기준 각각 1.24, 0.94, 1.25의 합계출산율을 기록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 공산당의 1가구 1자녀 정책으로 인구가 억제되었으나, 미신고 출생아를 포함하면 실제 출산율은 더 높을 수 있다.

4. 1. 2. 대책

문재인 정부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중심으로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아동수당 지급,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육아휴직 급여 인상 등 다양한 경제적 지원 및 돌봄 서비스 확대 정책을 추진했다.[272] 그러나 이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은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272]

4. 2. 기타 국가

미국에서는 1985년 이후 출산율이 상승하여 1990년 이후에는 합계출산율 2.0 근처에서 정체되었다. 이는 낙태피임에 반대하는 로마 가톨릭 신자인 히스패닉계 국민의 높은 출산율 때문으로, 비히스패닉계 백인이나 아시아계의 출생률은 인구치환수준(여성 1명당 2.1명) 아래이다. 그러나 비히스패닉계 백인의 출생률도 2000년 이후 1.85 정도로 한국, 일본, 유럽보다는 높으며, 저하 경향이 아닌 정체 상태에 있다.

미국의 출산율
연도합계출산율
19902.081
20002.056
20052.057
20101.931
20151.843
20201.638



유럽의 인구 증가율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이미 감소하고 있었지만, 미국에서는 전쟁 직후인 1946년부터 1965년에 이르기까지 베이비 붐이 일어났다. 1986년까지는 많은 나라에서 출산율이 계속 저하했지만, 1987년부터는 출산율이 반전 혹은 정체하는 나라가 증가하였다. 남유럽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합계출산율이 급격히 저하해, 1990년대 중반부터 이탈리아스페인에서는 1.1대의 초저출산률을 보였다.

동유럽과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공산주의 사회의 특징 덕분에 공산주의 붕괴 전에도 여성들이 많은 출산을 하는 일이 드물었다.[245] 특히 동독1961년베를린 장벽을 만들기 전까지 많은 사람들이 서독으로 갔기 때문에 1961년까지 인구가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소비에트 연방은 다자녀 가정에 메달을 수여하며 출산을 장려하여 출산율이 높았으나, 경제난으로 1993년부터 러시아의 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그러나 2009년 러시아의 경제가 좋아지면서 출산율과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이민자도 늘어나서 러시아의 인구는 2009년 8월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247]

합계출산율은 어떤 유형의 가족을 가질 것인지, 언제 아이를 가질 것인지, 그리고 몇 명의 아이를 가질 것인지에 대한 선택의 자유와도 관련이 있다. 여기에는 아동결혼, 강제결혼 등의 관행 금지가 포함된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신부값 지불이 아내에게 아이를 낳을 의무를 부과하며, 그렇게 하지 못하면 위협과 폭력으로 이어진다.[23] 고소득 국가는 출산율이 상당히 낮고, 무자녀가 증가하는데, 이는 자녀가 없는 사람들이 낙인이 찍힐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결혼하지 않거나 만혼 추세가 심화되면서 저출산에 더욱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측면도 있다. 여성의 임신 가능성은 30대 초반까지 서서히 감소하다가, 37세를 넘으면 급격히 감소한다. 남성도 나이가 들면서 임신 능력이 저하된다.[99] 또한 남성의 정자의 질도 나이가 들면서 저하되어 아이를 가질 가능성이 감소하고 염색체 이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보고도 있다.[100]

4. 2. 1. 프랑스

프랑스는 1980년대에 저출산 문제를 겪었으나,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으로 이를 극복한 대표적인 국가이다. 당시 프랑스 정부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출산 장려 정책을 펼쳤다.[252]

프랑스 정부는 아이 출산 전 보너스(800유로, 140만)를 지급하고, 개인 소득과 자산에 따라 아이가 3세가 될 때까지 고정 수당을 지급했다.[252] "아이 낳는 것이 직업이 될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정부는 저출산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섰다.[252]

프랑스의 출산율은 다음과 같다.[251]

프랑스의 출산율
연도합계출산율
19901.77
20001.89
20051.94
20102.03
20151.96
20191.87



프랑스는 국경 개방과 이민 정책을 통해 낮은 출산율을 보완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며 젊은 국가를 유지하고 있다.[253] 서유럽 이민자의 평균 연령은 28세로 유럽 평균인 42세보다 훨씬 젊으며, 이민 여성 1000명당 평균 85명을 출산하는 반면 서유럽 여성은 65명을 낳는다.[256]

프랑스는 결혼과 비혼의 중간 형태인 동거를 제도적으로 인정하여 새로운 가족 형태로 수용하고 있다.[255] 또한, 다양한 가족 형태를 인정하고 혼외 출산아[258]와 동거인에게도 법률혼과 동등한 보조금 및 사회보장 혜택을 제공한다.

프랑스는 국공립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며, 유치원은 무상 교육으로 3~5세 아동 대부분이 이용한다. 부모의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시간제 보육 및 가정 내 보육도 제도화되어 있으며, 국립가족수당기금공단[257]에서 보육 비용 보조금을 지급한다. 또한, 임신 6개월 이후 모든 의료비, 입원비, 치료비를 국영 의료보험에서 100% 부담한다.

프랑스는 시간제 일자리를 포함한 유연한 근무 제도가 활성화되어 있어 여성이 출산 후에도 일자리를 유지하기 쉽다. 프랑스 여성(25~54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83.1%이다. 남성에게도 출산 휴가를 법적 권리로 부여하여 남성이 육아와 가사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4. 2. 2. 스웨덴

스웨덴은 양성평등 정책과 적극적인 이민 정책을 통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1974년 시작된 부모보험 제도는 출산휴가, 간병휴가, 임신수당 및 출산터울혜택 등을 포함하는 스웨덴의 독특한 사회보장 제도이다.[249]

  • 출산휴가: 2002년 기준 480일(출산 예정 60일 전부터, 쌍둥이의 경우 180일 추가 가능)까지 지속적으로 증가되었고, 부모가 나누어 60일을 사용할 수 있다. 출산휴가 수당은 부모보험에서 월평균 소득의 약 80% 수준으로 지급된다.
  • 간병휴가: 12세 이하 아동이 아픈 경우에 부모가 120일까지 사용할 수 있고, 간병휴가 수당은 부모보험에서 월평균 소득의 약 80% 수준으로 지급된다.
  • 임신수당: 임신으로 인해 일을 할 수 없게 되면 최대 50일간 근로수당의 80%가 지급된다.
  • 출산터울혜택: 여성이 출산한 뒤 30개월 이내에 추가로 아이를 낳을 경우 직전 아기를 출산했을 때 받은 월급만큼을 육아휴직 급여액으로 보장하는 제도이다. 첫째 자녀 출산과 둘째 자녀 출산 사이에 육아휴직, 이직 등으로 인해 직장에서 받은 월급이 적어졌더라도 첫째 자녀를 출산할 당시의 월급에 맞추어 부모 보험에서 육아휴직수당을 지급함으로써 첫째와 둘째 사이의 터울을 줄여 보다 많은 자녀를 출산하도록 유도한다.


1948년부터 지급된 자녀수당은 아동이 만 16세가 될 때까지 매달 해당 아동 또는 어머니에게 지급되고, 지급액은 일반 봉급자 급여의 13% 수준(OECD 18개국 평균 7∼8%)으로 유지되고 있다. 2011년 기준 170만 명의 스웨덴 아동이 매월 17만의 아동수당을 받고 있으며, 이는 스웨덴 전체 예산의 3%, 가족복지 예산의 33%를 차지하고 있다.[249]

학업보조금은 아동이 만 16세가 되면 20세가 될 때까지 매달 14만(1,050크로네)가 지급되고, 대학 진학자에게 상환의무가 없는 학자금 106만(8,140크로네)가 학기 중인 8개월 동안 매달 지급되는 등 국가보조금이 중단 없이 지급되어 부모의 자녀 교육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있다.[249]

스웨덴은 1990년대 초부터 매년 GDP의 2% 이상을 보육시설에 투자하여 전체 보육시설의 80%가 공공보육시설이고, 민간시설도 공공보육시설과 동등한 지원을 받는다. 어린이집, 자유 유치원, 시간제 유치원 및 가정보육 등의 보육서비스와 방과후 학교, 패밀리홈 등 교육서비스를 부모의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249]

스웨덴은 외국 이주민에게도 내국민에게 제공하는 복지 혜택을 동일하게 제공하는데 다문화 포용정책 등 적극적인 인구 유입정책을 펼친 결과, 이민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무슬림 이민 여성이 평균 3.5명의 아이를 낳고 있어 인구증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249] 2015년 시리아 내전으로 대규모 시리아 난민들이 유럽으로 들어왔는데, 다른 나라들은 모두 난민을 거부하는 가운데, 스웨덴은 16만 명의 시리아 난민을 받아들였다. 그 결과 스웨덴은 2017년 인구 1000만 명을 돌파했다. 이 기조대로라면 2024년엔 1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260]

스웨덴의 출산율[259]
연도합계출산율
19902.13
20001.54
20051.77
20101.98
20151.85
20191.70


4. 2. 3. 일본

일본은 1970년대 중반부터 합계출산율이 2 이하로 떨어져 저출산 현상이 계속되었으며, 2005년에는 인구 감소가 시작되었다.[264] 일본 정부는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정책 수단으로는 일·가정 양립을 위한 출산, 육아, 간호휴직제도 및 경제적 지원책인 아동수당 등이 있다.[265]

출산휴직은 출산 전 6주, 출산 후 8주로 총 14주간 가능하다. 휴직 기간 중 급여는 원래 급여의 67%가 지급된다. 육아휴직은 1년에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2년까지 연장 가능하다. 휴직 기간 중 급여는 180일까지는 원래 급여의 67%(월 426000JPY, 약 4520000KRW), 그 이후에는 180일까지 지급된 급여의 50%(월 213000JPY, 약 2260000KRW)가 지급된다.

간호휴직은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1년간 5일, 자녀가 2인 이상이면 10일까지 가능하다. 휴직 기간 중 급여는 67%가 지급된다. 아동수당은 자녀가 중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3세 미만은 월 15000JPY(약 160000KRW)이 지급되는 등 연령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265]

그 외에도 자녀가 있는 가족의 세액 공제 및 과세 공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아동 돌봄 서비스 등이 시행되고 있다.

일본의 출산율 (세계은행[264])
연도합계출산율
19901.54
20001.359
20051.26
20101.39
20151.45
20191.36



일본은 1990년대 초반까지 단일민족주의를 공식 견해로 내세웠으나, 2000년대 이후 다문화 공생을 표명하면서 2010년 이후 간병, 가사 및 육아 등의 분야에서 외국 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2018년에는 단순 노동자의 유입을 공식화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249]

5. 결론 및 제언

폴리비우스는 저서 『역사』에서 헬레니즘 세계가 저출산으로 쇠퇴했다고 주장하며, 당시 그리스에 아동 부족과 인구 감소가 만연했던 원인을 남자들이 허영심, 돈, 나태함에 빠져 결혼하지 않거나 아이를 기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37][38]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로마 엘리트 계층의 저출산을 언급하며 로마 원주민들의 가족과 이름이 사라지는 것을 우려했고,[39][40] 로마 제국아우구스투스는 로마 귀족의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법률을 제정했다.[41]

일부 학자들은 대불황과 대공황이 전반적인 출산율 감소의 결과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미국의 주택 수요 감소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인한 '가구 형성'(결혼) 감소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42]

미국에서는 1985년 이후 출산율이 상승했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다시 감소하여 2017년에는 1.8 정도가 되었다.[120] 이는 히스패닉계의 출산율이 높기 때문이며, 비히스패닉계 백인의 출산율도 하락 추세에 있다.[121][122][123] 흑인의 출산율 또한 1970년대 이후 급격히 하락해 백인, 아시아인 수준에 가까워졌다.[122] 미국은 유럽처럼 출산·육아 지원 제도를 직접적으로 개입하기보다는 민간, 비영리 단체, 재단 등이 저출산 대책에 대응하는 경우가 많으며, 2014년 40~44세 미국 여성 중 자녀가 없는 비율은 15.3%였다.[124]

5. 1. 제언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 전반에 걸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주요 제언은 다음과 같다.

  • '''성 평등한 사회 문화 조성''': 가사 분담과 육아 참여에 대한 남녀 간의 평등한 인식을 확립하고,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33]
  • '''주거 안정 및 고용 안정''': 청년 세대가 안정적인 주거 환경과 일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결혼과 출산에 대한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
  • '''교육 개혁''': 과도한 경쟁 교육과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여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여야 한다.
  • '''다양한 가족 형태 인정''': 비혼 출산, 동거 가족 등 다양한 가족 형태를 인정하고, 이에 대한 차별 없는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29][30][31][32]
  • '''이민 정책 확대''': 이민 정책을 확대하여 생산가능인구를 확보하고, 사회 전체의 활력을 유지해야 한다. 특히, 한국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고급 인력 유치에 힘써야 한다.[53]


이러한 제언들은 출산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참조

[1] 논문 The surprising global variation in replacement fertility
[2]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https://data.worldba[...]
[3] 간행물 Figure 8: Population by Total Fertility (millions)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11
[4]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https://data.worldba[...]
[5] 뉴스 Korea marks first-ever decline in registered population https://koreajoongan[...] 2021-01-03
[6] 웹사이트 Niger Total fertility rate - Demographics https://www.indexmun[...]
[7] 웹사이트 NCHS Pressroom - 1997 Fact Sheet - Mothers Education and Birth Rate https://www.cdc.gov/[...] 1997-04-24
[8] 웹사이트 SF2.5: Childlessness http://www.oecd.org/[...] 2017-02-15
[9] 웹사이트 Childlessness https://www.oecd.org[...]
[10] 웹사이트 U-shape link between education and childlessness in Hungary - a new Central European phenomenon http://demografia.hu[...]
[11] 웹사이트 Birth rate by educational attainment of mother U.S. 2022 https://www.statista[...]
[12] 보고서 The quantity–quality fertility–education trade-off http://wol.iza.org/a[...] IZA World of Labor 2015-05
[13] 웹사이트 Fact Sheet: The Decline in U.S. Fertility http://www.prb.org/p[...] 2017-02-05
[14] 논문 Population ageing and low fertility: Recent demographic changes in Bosnia and Herzegovina
[15] 웹사이트 Europe ::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1-11-03
[16] 간행물 Society at a Glance 2024: OECD Social Indicators https://www.oecd.org[...] OECD 2024-06-20
[17] 논문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recent decline in birth rate in Japan] 1995-02
[18] 논문 Factors affecting the most recent fertility rates in urban-rural Bangladesh http://researchrepos[...] 1997-02
[19] 웹사이트 Child Labour, Fertility and Economic Growth https://tad.colman.a[...]
[20] 웹사이트 OECD Family Database - OECD http://www.oecd.org/[...]
[21] 논문 Europe the continent with the lowest fertility
[22] 서적 Demographic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steroid contraception in developed countries
[23] 논문 Women's fears and men's anxieties: the impact of family planning on gender relations in Northern Ghana https://www.popcounc[...] 1999
[24] 논문 Mother or nothing: the agony of infertility https://www.who.int/[...] 2010-12
[25] 서적 Population Change in Europe, the Middle-East and North Africa: Beyond the Demographic Divide Routledge
[26] 논문 The End of the Fertility Transition in the Developed World
[27] 웹사이트 A Short Explanation of the "Tempo Effect https://medium.com/@[...] 2019-04-13
[28] 웹사이트 Tempo-adjusted TFR https://www.humanfer[...]
[29] 논문 How Similar are Cohabiting and Married Parents? Second Conception Risks by Union Type in the United States and Across Europe
[30] 논문 Fertility in Advanced Societies: A Review of Research: La fécondité dans les sociétés avancées: un examen des recherches 2013-02
[31] 웹사이트 Fertility of Men and Women Aged 15–44 Years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Survey of Family Growth, 2006–2010 https://www.cdc.gov/[...] Division of Vital Statistics,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32] 웹사이트 Fertility Differences between Married and Cohabiting Couples: A Switching Regression Analysis http://ftp.iza.org/d[...] 2007-12
[33] 논문 Fertility in Advanced Societies: A Review of Research 2013-02
[34] 뉴스 Germany's birthrate is the lowest in Europe – and falling fast https://www.theguard[...] 2012-09-21
[35] 뉴스 Germany passes Japan to have world's lowest birth rate – study https://www.bbc.com/[...] 2015-05-29
[36] 뉴스 Germany agonises over 30% childless women https://www.theguard[...] 2006-01-26
[37] 서적 Histories Tufts 2016-02-18
[38] 서적 The Histories of Polybius: Translated from the Text of F. Hultsc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11-02
[39] 웹사이트 UNKNOWN http://www.gutenberg[...] 2016-02-18
[40] 서적 Dio's Rome, Volume 4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13-11-03
[41] 웹사이트 Ancient Rome: Administration of Rome and Italy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5-01-17
[42] 서적 The American Economy in the 20th Century 2011-12-18
[43] 웹사이트 Administration of Rome and Ital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9-09-30
[44] 논문 Augustus' Legislation on Marriage and Children http://www.jstor.com[...]
[45] 논문 Europe the continent with the lowest fertility
[46] 논문 The remarkable story of Romanian women's struggle to manage their fertility 2013-01-01
[47] 서적 Conceiving the New World Order: The Global Politics of Reprodu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8] 웹사이트 Bomba de peste 20 de ani: Ce se va intampla cand vor iesi la pensie "decreteii", cei 1,7 milioane de romani care sustin economia? http://www.zf.ro/eve[...]
[49] 웹사이트 Pensiile "decreţeilor" sunt o bombă cu ceas. Statul le poate plăti 15% din salariu la bătrâneţe http://www.zf.ro/eve[...]
[50] 웹사이트 Evenimentul Zilei https://evz.ro/
[51] 뉴스 Suddenly, the old world looks younger 2007-06-14
[52] 논문 Reproducing Italians: contested biopolitics in the age of 'replacement anxiety'
[53] 보고서 No Elixir of Youth: Immigration Cannot Keep Canada Young http://www.cdhowe.or[...] C.D. Howe Institute 2006-09-01
[54] 논문 Is low fertility really a problem? Population aging, dependency, and consumption 2014-10-01
[55] 웹사이트 Population, Health and Human Well-being — Demographics: Total fertility rate (dynamically generated) http://earthtrends.w[...] World Resources Institute 2010-06-13
[56]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https://population.u[...] 2019
[57]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Population Data, File: Total Population Both Sexes, Medium Variant tab https://population.u[...] 2019
[58] 논문 Fertility, mortality, migration, and population scenarios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from 2017 to 2100: a forecasting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20-07-14
[59] 웹사이트 Projected world population by level of education https://ourworldinda[...] 2016
[60] 웹사이트 Total Fertility Rate of the United States, History plus Forecast http://www.ifs.du.ed[...] University of Denver 2012-04-26
[61]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for the United States https://fred.stlouis[...] 1960-01-01
[62] 웹사이트 Tabc3 Tableau complémentaire 3 : Taux de fécondité par groupe d'âges http://www.insee.fr/[...] INSEE
[63]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France Data https://data.worldba[...] 2022-05-25
[64] 웹사이트 Births and Deaths in England and Wales, 2011 (Provisional) http://www.ons.gov.u[...]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3-01-13
[65]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United Kingdom Data https://data.worldba[...] 2022-05-25
[66] 웹사이트 Feature Article 2: Recent Increases in Australia's Fertility http://www.abs.gov.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08-02-07
[67] 웹사이트 NOTES http://www.abs.gov.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08-10-28
[67] 웹사이트 Births registered, Summary statistics for Australia(a) http://www.abs.gov.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8-09-13
[68]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Australia Data https://data.worldba[...] 2022-05-25
[69] 뉴스 Baby boom goes against mothers' advice http://www.nzherald.[...] 2011-11-14
[70]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New Zealand Data https://data.worldba[...] 2022-05-25
[71] 웹사이트 Demographic Optimism, Not Pessimism https://web.archive.[...] 2008-07-25
[72] PDF 加速するインドの少子化〜人口ピークのタイミングは2040年代に早まる可能性〜 https://www.jri.co.j[...] 日本総研
[73] 논문 将来人口推計の国際比較: 日本と主要先進諸国の人口のゆくえ https://www.ipss.go.[...]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 2002-07-31
[74] 서적 少子化の人口学 原書房 2004
[75] 서적 人口学事典 丸善出版 2018
[76] 웹사이트 遅きに失した…韓国はいかにして少子化の罠にはまったのか https://japan.hani.c[...] 2023-02-22
[77] 웹사이트 有史以来の日本の人口の変化 https://www8.cao.go.[...] 内閣府 2004
[78] 웹사이트 世界の出生率、今世紀末までに大半の国が人口維持できず=調査 https://web.archive.[...] jp.reuters.com
[79] 서적 国民生活白書 平成4年版 日本経済新聞社 1992-11-13
[80] 웹사이트 第1部 少子社会の到来とその影響 https://www8.cao.go.[...] 2004
[81] 서적 人口大事典 培風館 2002
[82] 서적 人口大事典 培風館 2002
[83] 서적 青少年白書 昭和57年版 1983
[84] 서적 教育社会学 玉川大学出版部 1987
[85] 웹사이트 妊産婦死亡率の年次推移 https://www.mhlw.go.[...]
[86] 웹사이트 妊産婦死亡率の年次推移 https://www.mhlw.go.[...]
[87] 웹사이트 死産率・周産期死亡率 https://www.mhlw.go.[...]
[88] 웹사이트 死産率の年次推移 https://www.mhlw.go.[...]
[89] 웹사이트 周産期死亡率の年次推移 https://www.mhlw.go.[...]
[90] 웹사이트 新生児死亡率の年次推移 https://www.mhlw.go.[...]
[91] 웹사이트 Maternal mortality ratio http://www.who.int/g[...]
[92] 웹사이트 Stillbirth rate , neonatal mortality rate http://www.who.int/g[...]
[93] 웹사이트 簡易生命表の概況 https://www.mhlw.go.[...]
[94] 웹사이트 合計特殊出生率の推移 https://web.archive.[...]
[95] 웹사이트 Total fertility rate http://www.who.int/g[...]
[96] 논문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recent decline in birth rate in Japan 1995-02
[97] 논문 Factors affecting the most recent fertility rates in urban-rural Bangladesh 1997-02
[98] 논문 Fertility, mortality, migration, and population scenarios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from 2017 to 2100: a forecasting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https://www.thelance[...] 2020-10-17
[99] 웹사이트 1.妊娠適齢年令 http://www.jaog.or.j[...] 公益社団法人 日本産婦人科医会
[100] 웹사이트 http://www.llnl.gov/[...]
[101] 웹사이트 実は多い2人目不妊 早めに受診、子育てと仕事が壁に https://style.nikkei[...] woman smart DUELプレミアム 2018-12-06
[102] 웹사이트 16人に1人が体外受精児 17年、5万6千人誕生 https://news.yahoo.c[...] 2019-10-28
[103] 웹사이트 歴史的に見た日本の人口と家族 https://www.sangiin.[...] 参議院 2006-10
[104] 웹사이트 あなたは大丈夫? 「セックスレス大国」日本 「性の不満足」は夫婦関係のリスク要因 https://toyokeizai.n[...] 東京経済オンライン 2014-11-13
[105] 웹사이트 咽頭における高リスク型HPVの感染と中咽頭癌バイオマーカーとしての意義 https://www.daiwa-gr[...] H29_第40集_大和証券_研究業績
[106] 웹사이트 「反省文を掲載しなさい」堀江貴文氏がHPVワクチンをめぐる朝日新聞に言及 https://www.tokyo-sp[...] 東京スポーツ新聞社 2021-07-03
[107] 웹사이트 HPVワクチンへの誤解を解きたい、子宮頸がんの犠牲者を減らしたい──専門医の訴え https://wezz-y.com/a[...] サイゾー 2021-06-10
[108] 웹사이트 新型コロナ「反ワクチン報道」にある根深いメディアの問題(ニッポン放送) https://news.yahoo.c[...] 2021-06-10
[109] 웹사이트 “マザーキラー”子宮頸がんの予防ワクチン 稲葉可奈子先生に聞く「積極的勧奨の再開」の意義 https://news.yahoo.c[...] 2021-11-12
[110] 웹사이트 「身体が原因でなければ心の問題でしょ?」 HPVワクチン接種後に訴えられる症状を悪化させてきたもの https://www.buzzfeed[...] 2019-09-08
[111] 웹사이트 「HPVワクチンのせい」として深刻な問題を見逃す恐れも 原因究明だけにこだわるのは危険 https://www.buzzfeed[...] 2019-09-09
[112] 웹사이트 ニッポン “精子力” クライシス https://www.nhk.jp/p[...] NHK 2022-04-04
[113] 웹사이트 令和2年度 子ども・子育て支援推進調査研究事業 不妊治療の実態に関する調査研究最終報告書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1-03-01
[114] 웹사이트 不妊治療大国、しかし成功率は最下位 日本の「妊活」 不都合な真実 https://www2.hosp.me[...] 鳥取大学医学部附属病院 2021-03-01
[115] 웹사이트 「第15回出生動向基本調査(結婚と出産に関する全国調査)」の 結果報告書 https://www.ipss.go.[...] 厚生労働省 2022-03-14
[116] 웹사이트 40代高齢の妊娠中絶手術が実は増えている! https://allabout.co.[...] ALL ABOUT 暮らし 2022-10-31
[117] 웹사이트 少子化対策を先進国に学ぶ https://web.archive.[...] www10.plala.or.jp 2019-06-03
[118] 논문 超低出生・南欧諸国の出生変動の研究-日本の少子化への示唆 https://waseda.repo.[...] 早稲田大学人間科学学術院
[119] 웹사이트 少子化の国際比較 https://www8.cao.go.[...] 内閣府
[120] 뉴스 危険な“人口時限爆弾”、日本はやや回復、アメリカは危険な状態に https://www.business[...] 2018-07-18
[121] 웹사이트 第2節 欧米諸国の出生の動向 https://www8.cao.go.[...]
[122] 보고서 National VitalStatistics Reports Volume 68, Number 1 Total Fertility Rates by State and Race and Hispanic Origin: United States, 2017(米国人口動態統計レポート68巻1号 州別および人種別、ヒスパニック系別の合計特殊出生率:2017年) https://www.cdc.gov/[...] 2019-01-10
[123] 보고서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Volume 66, Number 2 Trends and Variations in Reproduction and Intrinsic Rates: United States, 1990-2014(米国人口動態統計レポート66巻2号 出生率と自然増加率の傾向と推移:1990〜2014年) https://www.cdc.gov/[...] 2017-02-22
[124] 뉴스 進む米国の少子化 20%は未婚で出産 https://www.afpbb.co[...] 2015-04-09
[125] 웹사이트 Births by parents’ country of birth, England and Wales: 2020 https://www.ons.gov.[...]
[126] 논문 フランスにおける少子化と政策対応 https://dl.ndl.go.jp[...] 東京 : 国立国会図書館 2007-11-01
[127] 웹사이트 「現金ばらまき」では少子化解消されない実態 「優等生」スウェーデンでさえ出生率は低下 https://toyokeizai.n[...]
[128] 웹사이트 ドイツでベビーブーム、出生率が43年ぶりの高水準に 3つの要因とは? https://newsphere.jp[...] ニューススフィア
[129] 뉴스 少子高齢化進むドイツに人材危機-有権者は移民受け入れに傾く http://www.bloomberg[...] 2014-06-11
[130] 웹사이트 ドイツが移民政策で強硬姿勢、凶悪犯罪を起こしたら国外退去措置を強化…ショルツ首相表明 https://www.yomiuri.[...]
[131] 웹사이트 【ロシアを読む】面目つぶれたプーチン政権 ロシアが苦しむダブル減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132] 뉴스 人口減少進むロシアの州政府、「家族計画の日」を制定 https://www.afpbb.co[...] 2007-09-12
[133] 웹사이트 プーチン氏、新たな少子化対策発表 第1子から一時金支給 https://www.afpbb.co[...] AFP
[134] 웹사이트 ロシアの運命は人口状況にかかっている=プーチン大統領 https://sputniknews.[...] Sputnik
[135] 웹사이트 ロシア労働社会保障省のトピリン大臣は12日、2018年のロシアの出生率は前年比5.4%減少したと明らかにした。 https://sputniknews.[...]
[136] 웹사이트 ロシアの人口、1年で51万人減少 https://www.afpbb.co[...] AFP
[137] 뉴스 ロシアが名門以外の大学生に軍事教育を義務化 破綻の危機に直面する徴兵制、頭をひねる政府幹部・・・ http://jbpress.ismed[...] 2014-02-20
[138]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ユダヤ情報バンク:イスラエルの歴史━現代イスラエル https://myrtos.co.jp[...]
[139] 웹사이트 産めよ増やせよ?!エルサレムで不妊治療をしてみたら https://courrier.jp/[...] クーリエ・ジャポン
[140] 웹사이트 出生率高いイスラエル、背景は? 体外受精費、国が補助 https://www.asahi.co[...] 2018-04-22
[141] 웹사이트 少子化考:イスラエル、出生率3超えの秘密 日本とは大きく違う子育て事情とは https://mainichi.jp/[...] 2023-01-31
[142] 웹사이트 少子化問題 https://web.archive.[...] 内閣府 2021-09-30
[143] 뉴스 世界一「お節介な国」、シンガポール婚活事情 https://www.recordch[...] 2015-05-23
[144] 웹사이트 各国の少子化対策 https://www8.cao.go.[...] 内閣府 2008-07-26
[145] 간행물 クーリエ・ジャポン 2010-05
[146] 웹사이트 止まらない韓国の出生率低下 「22世紀に国が消滅」の危惧も (1/2ページ) - zakzak:夕刊フジ公式サイト https://web.archive.[...] 2020-01-07
[147] 웹사이트 韓国政府、世界初の「少子化税」検討 http://www.chosunonl[...] Chosun online 朝鮮日報
[148] 웹사이트 韓国、OECD加盟国で出生率最下位…唯一の「超少子化国」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08-22
[149] 웹사이트 韓国18年出生率、初めて1.0割れ 世界最低水準に https://web.archive.[...] www.nikkei.com 2019-09-12
[150] 웹사이트 ソウルの合計特殊出生率0.69「絶滅への道に入った水準」 https://web.archive.[...] www.chosunonline.com 2019-11-28
[151] 뉴스 South Koreans 'will be extinct by 2750' https://www.telegrap[...] 2014-08-25
[152] 웹사이트 韓国、来年から人口減に 2065年に高齢化で日本逆転 https://www.nikkei.c[...] 2019-03-31
[153] 뉴스 韓国、来年から人口減に 2065年に高齢化で日本逆転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3-28
[154] 웹사이트 合計特殊出生率、史上最低の0.92人…今年から「人口の崖」 https://web.archive.[...] ハンギョレ 2020-03-01
[155] 웹사이트 韓国の人口、初めて減少に転じる 政府予想より9年早く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1-01-04
[156] 웹사이트 韓国、2020年に初の人口減 出生率が過去最低更新 https://www.nikkei.c[...] 2021-02-24
[157] 웹사이트 韓国の出生率0・81、過去最低を更新 OECDで唯一「1」下回る https://web.archive.[...]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02-23
[158] 웹사이트 「韓国が消えていく!」将来の人口が4分の1に減少か… https://web.archive.[...] 日テレNEWS 2023-02-23
[159] 웹사이트 韓国の出生率、0・72に 日本上回る「超少子化」 教育費など負担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4-02-28
[160] 웹사이트 北朝鮮女性の「出産拒否」で金正恩氏もタジタジ https://news.livedoo[...] デイリーNKジャパン 2018-02-23
[161] 웹사이트 北朝鮮 11年ぶりに「母親大会」キム総書記 出生率低下に言及 http://www3.nhk.or.j[...] nhk 2023-12-05
[162] 방송 そうだったのか!池上彰の学べるニュース 2010-10-13
[163] 웹사이트 2|「人口ボーナス」から「人口オーナス」へ http://www.nli-resea[...] 2018-06-01
[164] 웹사이트 中学校跡に遺族集結=手抜き工事責任追及やまず-四川大地震から10年・中国 http://www.afpbb.com[...] 2018-06-01
[165] 웹사이트 結婚も出産も「今じゃない」20代。一人っ子政策廃止でも少子化進む中国 https://www.business[...] 2018-06-01
[166] 웹사이트 中国、昨年の出生数発表 「一人っ子政策」完全廃止も前年比減 https://www.afpbb.co[...] 2018-06-01
[167] 웹사이트 中国の出生数、建国後最少に https://newspicks.co[...] 2024-01-18
[168] 웹사이트 『未来の年表』著者が日本より急激に少子高齢化する台湾で訴えたこと https://gendai.media[...] 現代新書編集部 2019-12-19
[169] 웹사이트 第106回:香港政府はいつまで少子化問題を放置するか https://www.toyo-sec[...] 東洋証券 2019-12-19
[170] 웹사이트 中国学習塾、非営利団体に転換 政府が教育費抑制へ規制 https://www.nikkei.c[...] 2021-07-25
[171] 뉴스 中国、営利目的の個別学習指導禁止 関連企業の株価急落 https://jp.reuters.c[...] 2021-07-23
[172] 웹사이트 平成16年版少子化社会白書 https://www8.cao.go.[...]
[173] 웹사이트 平成17年 人口動態統計の年間推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05-12-22
[174] 웹사이트 19年の出生率1.36、12年ぶり低水準 少子化加速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06-05
[175] 웹사이트 日本の将来推計人口 https://www.ipss.go.[...]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
[176] 뉴스 日本の人口、50年後には3割減 https://www.afpbb.co[...] 2012-01-31
[177] 뉴스 2060年、総人口8674万人に 減少数は1都6県消失規模に https://web.archive.[...] 2012-01-30
[178] 웹사이트 人口推計(2019年(令和元年)10月1日現在)結果の要約 https://www.stat.go.[...] 総務省
[179] 웹사이트 19年総人口1億2616万7000人 減少率は最大の0.22%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180] 웹사이트 2019年(令和元年)人口推計(2019年(令和元年)10月1日現在)‐全国:年齢(各歳),男女別人口 ・ 都道府県:年齢(5歳階級),男女別人口‐) https://www.stat.go.[...]
[181] 뉴스 タイの出生率が史上最低に=女性の地位向上と教育レベルの上昇が関係か=高齢化社会入り―中国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2013-10-06
[182] 서적 手にとるように経済がわかる本 かんき出版 2009
[183] 웹사이트 図録▽少子化対策と出生率の推移(日本など6カ国) http://www2.ttcn.ne.[...] 2005-03-11
[184] 뉴스 来年の出生数80万人割れも…妊娠届、コロナ禍の5月以降減少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0-10-22
[185] 웹사이트 少子化に関連する諸外国の取組み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1999-06-28
[186] 서적 ビジュアル 日本経済の基本 日本経済新聞社 2010
[187] 웹사이트 スウェーデンと日本の少子化対策 https://web.archive.[...] www2.ngu.ac.jp
[188] 웹사이트 スウェーデンの家族と少子化対策への含意-「スウェーデン家庭生活調査」から- http://www.esri.go.j[...] 内閣府経済社会総合研究所 2004-02
[189] 웹사이트 デンマーク “ゆりかごから墓場まで”政策で世界一幸福な国 http://worldjc.com/3[...] ワールドジョイントクラブ(WJC)
[190] 웹사이트 デンマーク - 合計特殊出生率(出産) https://web.archive.[...] jp.knoema.com
[191] 뉴스 デンマーク:「移民の罠」にはまりかけるその先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オンライン 2008-08-07
[192] 웹사이트 「人口減少下の経済に関する研究会」中間報告書 https://www5.cao.go.[...] 経済企画庁 2000-06
[193] 웹사이트 第7章 人口減少下の日本の労働市場の方向性 https://www.mof.go.j[...] 財務省
[194] 웹사이트 Foreign background include foreign-born and Swedish-born with two foreign-born parents http://www.scb.se/Pa[...]
[195] 간행물 6.5% of the EU population are foreigners and 9.4% are born abroad http://epp.eurostat.[...] Eurostat 2011
[196] 웹사이트 http://www.ssd.scb.s[...]
[197] 웹사이트 Befolkning efter födelseland och ursprungsland 31 december 2012 http://www.scb.se/St[...] Statistics Sweden 2013-12-31
[198] 뉴스 経団連会長、TPP参加で労働力として移民奨励 2010-11-08
[199] 뉴스 ◆貧しい国から富める国へ、東欧も人口減少危機 https://newsphere.jp[...] ニューススフィア
[200] 뉴스 中川少子化相「移民政策を視野」…政府で議論も 2012-02-24
[201] 뉴스 移民で日本の人口1億人を維持できるか 政府の議論が本格化 http://www.huffingto[...] The Huffington Post 2014-02-25
[202] 웹사이트 https://www.nhk.or.jp/politics/articles/feature/9756.html https://www.nhk.or.j[...] NHK
[203] 웹사이트 衆議院議員奥野総一郎君提出外国人労働者と移民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204] 뉴스 『少子化対策は妊娠中絶問題から』 自民・野田総務会長 - 政治 2013-02-23
[205] 웹사이트 Ceausescu's Longest-Lasting Legacy - the Cohort of '67 http://www.sustainab[...]
[206] 웹인용 출생아 수 변화요인 분석과 장래전망 https://www.kci.go.k[...] 2019-06-06
[207] 논문 New Results on the Decline in Household Fertility in the United States from 1750 to 190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208] 논문 The Population of Britain in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09] 논문 한국의 합계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 혼인과 유배우 출산율 변화의 효과 2012
[210] 논문 한국의 출산장려정책은 실패했는가? 2000년~2016년 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2018
[211] 논문 Subsidizing the Stork: New Evidence on Tax Incentives and Fertility
[212] 논문 Cheaper Child Care, More Children
[213] 논문 Did Australia’s Baby Bonus Increase Fertility Intentions and Births?
[214] 논문 The effect of a universal child benefit on conceptions, abortions, and early maternal labor supply
[215] 보고서 Trends and Determinants of Fertility Rates: The Role of Policies OECD
[216] 논문 Does Family Policy Affect Fertility?
[217] 논문 The impact of family policy expenditure on fertility in western Europe
[218] 보고서 저출산정책 효과성 평가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19] 논문 보육비 지원 정책의 효과성 분석
[220] 보고서 영유아 교육·보육 재정 증가 추이와 효과 : 2004-2014 육아정책연구소
[221] 논문 출산장려금 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222] 보고서 영유아보육료와 양육수당 지원 정책이 출산율에 미친 영향 보건사회연구원
[223] 논문 House prices and birth rates: The impact of the real estate market on the decision to have a baby
[224] 뉴스 한국, 세계 최저 출산율의 원인은…"집값 오를수록 애 덜 낳는다" https://biz.chosun.c[...] 조선일보 2017-05-15
[225] 논문 주택가격 변화에 따른 여성 출산율에 관한 연구
[226] 보고서 Son Preference, Sex Sel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eory and Evidence from South Korea NBER
[227] 논문 Will the stork return to Europe? Understanding fertility within developed nations
[228] 보고서 Social Norms, Labor Market Opportunities, and the Marriage Gap for Skilled Women NBER
[229] 논문 Housewife, ‘Gold Miss,’ and Equal: The Evolution of Educated Women’s Role in Asia and the U.S.
[230] 논문 Love in the Time of the Depression: The Effect of Economics Conditions on, Marriage in the Great Depression
[231] 보고서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Retirement of Spanish Older Men: Trends and Prospects FEDEA Documento de Trabajo
[232] 논문 Why Not Settle Down Already?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elay in Marriage
[233] 논문 남성의 고용상황과 결혼형성
[234] 보고서 저출산 인구고령화의 원인에 관한 연구 : 결혼결정의 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은행
[235] 서적 Marriage Markets: How Inequality is Remaking the American Family Oxford University Press
[236] 논문 Family Inequality: Diverging Patterns in Marriage, Cohabitation, and Childbearing
[237] 보고서 When Work Disappears: Manufacturing Decline and the Falling Marriage-Market Value of Men NBER
[238] 웹인용 European data http://www.ssc.upenn[...] 2020-01-27
[239] 웹인용 The End of 'Lowest-Low' Fertility? http://www.demogr.mp[...] Max Planck Institute for Demographic Research 2020-01-27
[240] 서적 대체수준 이하의 출산력
[241] 논문 Synthetic Fertility Measures and the Search for Commonalities
[242] 서적 초저출산현상 지속의 원인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43] 논문 Synthetic Fertility Measures and the Search for Commonalities
[244] 서적 인구대사전 통계청
[245] 소설 태백산맥
[246] 뉴스 러시아 인구 15년 만에 증가 http://news.nate.com[...]
[247] 뉴스 ‘출산 증가’에 우쭐한 푸틴 http://news.nate.com[...]
[248] 웹인용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Germany https://data.worldba[...] 세계은행 2021-09-25
[249] 웹인용 저출산·고령화 대책 성과분석 https://www.bai.go.k[...] 감사원 전략감사1과 2021-08-13
[250] 웹인용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Russian Federation https://data.worldba[...] 세계은행 2021-08-15
[251] 웹인용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France https://data.worldba[...] 2021-08-15
[252] 뉴스 [인구대재앙] 예산과 출산율은 비례… '20兆 프로젝트' 서둘러야 서울경제 2009-08-19
[253] 뉴스 양극화 해결 위해 세금 내는 것 당연히 여겨야 국정브리핑 2007-02-01
[254] 뉴스 “노동시장 모성 패널티 없애야 저출산 해결될 것” 한국일보 2019-11-19
[255] 뉴스 학자 7인이 짚어본 저출산의 해법 국민일보 2019-05-18
[256] 뉴스 [기고] 유럽처럼 이민 받아 경제발전 이어가야 매일경제 2018-05-29
[257] 문서 프랑스의 국민과 가족 지원 제도
[258] 문서 한국의 혼외출산 비율
[259] 웹인용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Sweden https://data.worldba[...] 세계은행 2021-08-15
[260] 뉴스 유럽 저출산 대책 ‘이민 대 순혈주의’ 극과 극 경향신문 2019-02-14
[261] 웹인용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United Kingdom https://data.worldba[...] 세계은행 2021-09-25
[262] 웹인용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Hungary https://data.worldba[...] 세계은행 2021-09-25
[263] 문서 독일의 자녀수에 따른 소득세 감면 및 신혼부부 소득세 감면
[264] 웹인용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Japan https://data.worldba[...] 세계은행 2021-09-25
[265] 문서 일본의 자녀 수당
[266] 웹인용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China https://data.worldba[...] 세계은행 2021-09-25
[267] 뉴스 中 3자녀 허용하고 출산 지원금까지 동원 https://news.naver.c[...] 매경이코노미 2021-08-30
[268] 웹인용 시도/합계출산율, 모의 연령별 출산율 https://kosis.kr/sta[...] 대한민국 통계청 2021-08-25
[269] 문서 1970년대 중반까지의 베이비붐 현상
[270] 뉴스 출산율 여전히 '꼴찌수준' …한국 1.22명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9-11-18
[271] 뉴스 “2013년 출산율 1.18명 안팎…2012년보다 하락전망”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4-02-12
[272] 뉴스 작년 출생아 사상 첫 20만명대…합계출산율 '역대 최저' 0.84명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08-25
[273] 논문 Fertility in China in 2000: A County-Level Analysis http://txspace.tamu.[...] Texas A&M University 2005
[274] 뉴스 한국, 11년만에 초저출산국 탈출 임박…출생아 3년째 ↑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3-02-26
[275] 뉴스 대만 출산율 꼴찌 http://pluskorean.co[...] 플러스코리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