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의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선거는 역사, 선거권 및 피선거권, 선거의 종류, 선거구, 비례대표제, 선거 운동, 투표, 당선자 결정, 통일지방선거 등으로 구성된다. 731년 역인 투표를 통해 참의를 임명한 것을 시작으로, 에도 시대에는 촌락 대표를 선출하는 입찰이 활용되었다. 1878년 제한 선거를 통해 지방 의회 선거가, 1889년에는 만 25세 이상 남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하는 중의원의원선거법이 시행되었다. 이후 선거권은 점차 확대되어 1945년 만 20세 이상 남녀에게, 2015년에는 만 18세 이상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선거는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지방 선거로 나뉘며, 국정 선거에서는 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가 병립한다. 선거구는 인구에 따라 다르며, 선거 운동 기간은 선거 종류에 따라 다르다. 통일지방선거는 4년마다 실시되며, 도도부현 지사 및 의회 의원, 시장 및 시의회 의원 등을 선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선거 - 최고재판소 재판관 국민심사
    최고재판소 재판관 국민심사는 일본국 헌법에 따라 최고재판소 재판관의 파면 여부를 국민이 심사하는 제도로,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동시에 실시되지만 낮은 투표율과 정보 부족 등으로 실효성 논란이 있으며 현재까지 파면된 재판관은 없다.
  • 일본의 선거 - 안분표
    안분표는 투표에서 후보자 이름 표기가 불분명할 때 득표율에 따라 표를 나누는 방식으로, 일본에서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성씨만 기재된 투표를 후보자 득표율에 비례하여 배분하지만, 한국에서는 성씨만 기재된 투표는 무효표로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
  • 일본에 관한 - 소카시
    소카시는 사이타마현 남동부에 위치하며 과거 역참 마을로 발전했고 현재는 도쿄의 베드타운이자 소카 센베이로 유명하며 2004년 특례시로 지정된 인구 약 25만 명의 도시이다.
  • 일본에 관한 - 최고재판소 (일본)
    일본 최고재판소는 1947년에 설립된 일본의 최고 사법기관으로, 상고 및 소송법에서 정하는 항고에 대한 최종심 판결을 내리고, 법령 해석의 통일 및 헌법 위반 여부 판단(위헌심사)을 담당하며, 내각이 임명하는 15명의 재판관과 재판소장으로 구성된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일본의 선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국가일본
선거 종류총선거
참의원 통상선거
통일지방선거
선거 관리 기관총무성
선거 제도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중선거구제 (과거)
비례대표제
선거 연령만 18세 이상
역사
최초 총선거1890년
주요 선거 변화중선거구제 도입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 도입
선거 연령 변화
선거 제도 상세
중의원 선거소선거구와 비례대표로 구성
임기 4년 (해산 가능)
참의원 선거비례대표와 선거구로 구성
임기 6년 (3년마다 절반씩 교체)
지방 선거도도부현 및 시정촌 의원 및 단체장 선출
통일지방선거와 단독 선거
선거 특징
선거 운동엄격한 규제 존재 (선거 기간, 운동 방법 등)
투표 방식기표식 투표
선거 결과정당별 의석수 및 득표율 발표
주요 선거 일람
1890년1890년 일본 총선거
1892년1892년 일본 총선거
1894년 (3월)1894년 3월 일본 총선거
1894년 (9월)1894년 9월 일본 총선거
1898년 (3월)1898년 3월 일본 총선거
1898년 (8월)1898년 8월 일본 총선거
1902년1902년 일본 총선거
1903년1903년 일본 총선거
1904년1904년 일본 총선거
1908년1908년 일본 총선거
1912년1912년 일본 총선거
1915년1915년 일본 총선거
1917년1917년 일본 총선거
1920년1920년 일본 총선거
1924년1924년 일본 총선거
1928년1928년 일본 총선거
1930년1930년 일본 총선거
1932년1932년 일본 총선거
1936년1936년 일본 총선거
1937년1937년 일본 총선거
1942년1942년 일본 총선거
1946년1946년 일본 총선거
1947년1947년 일본 총선거
1949년1949년 일본 총선거
1952년1952년 일본 총선거
1953년1953년 일본 총선거
1955년1955년 일본 총선거
1958년1958년 일본 총선거
1960년1960년 일본 총선거
1963년1963년 일본 총선거
1967년1967년 일본 총선거
1969년1969년 일본 총선거
1972년1972년 일본 총선거
1976년1976년 일본 총선거
1979년1979년 일본 총선거
1980년1980년 일본 총선거
1983년1983년 일본 총선거
1986년1986년 일본 총선거
1990년1990년 일본 총선거
1993년1993년 일본 총선거
1996년1996년 일본 총선거
2000년2000년 일본 총선거
2003년2003년 일본 총선거
2005년2005년 일본 총선거
2009년2009년 일본 총선거
2012년2012년 일본 총선거
2014년2014년 일본 총선거
2017년2017년 일본 총선거
2021년2021년 일본 총선거
2024년2024년 일본 총선거
1947년1947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50년1950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53년1953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56년1956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59년1959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62년1962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65년1965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68년1968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71년1971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74년1974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77년1977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80년1980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83년1983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86년1986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89년1989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92년1992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95년1995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98년1998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01년2001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04년2004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07년2007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0년2010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3년2013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6년2016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9년2019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22년2022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25년2025년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07년2007년 일본 통일지방선거
2011년2011년 일본 통일지방선거
2015년2015년 일본 통일지방선거
2019년2019년 일본 통일지방선거
2023년2023년 일본 통일지방선거
관련 정보
관련 항목일본의 정치
일본의 정당
일본의 선거구

2. 역사

731년경부터 촌락 대표를 선출하는 '입찰'이라는 투표 방식이 나타났으며, 에도 시대에는 촌락 하급 공무원 선출에도 널리 이용되었다.[70] 1868년 에노모토 다케아키에조 공화국에서는 투표로 정권 간부를 선출했으나, 하코다테 주민은 참여하지 않았고 구막부군 사관 이상만 참여했다.[70]

1878년 부현회 규칙으로 제한 선거를 통한 최초의 지방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고,[69] 1889년 대일본제국헌법 공포와 함께 중의원의원선거법이 제정되어 만 25세 이상 남성 중 직접 국세 15엔 이상 납부자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68]

1900년에는 선거권 부여 기준 중 국세액 조건이 10엔으로,[68] 1919년에는 3엔으로 낮아졌고,[68] 1925년에는 국세액 조건이 폐지되고 만 25세 이상 모든 남성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어 남자 보통 선거가 실현되었다.[68]

1945년 만 20세 이상 모든 남녀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어 완전한 보통 선거가 이루어졌고,[68] 1946년 총선거에서는 대선거구 제한 연기제가 한 차례 시행되었다.

1950년 공직선거법이 공포되었고,[68] 1982년 참의원 선거에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으며,[68] 1994년 중의원 선거에는 소선거구제비례대표제를 함께 사용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68]

2000년 국정 선거에서 재외 국민 선거 제도가 도입되었고,[68] 2001년 참의원 선거에서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가 비구속 명부식으로 변경되었다.[68] 2003년 선거 기간 중 매니페스토 배포가 완화되었다.

2015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선거권 연령이 만 18세 이상으로 낮아졌다.[50]

2. 1. 전사(前史): 입찰 시대

731년경부터 촌락의 대표를 선출하는 '입찰'이라는 투표 방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에도 시대에는 촌락의 하급 공무원 선출에까지 입찰이 널리 이용되었다.[70] 1868년 에노모토 다케아키에조 공화국에서는 투표를 통해 정권 간부를 선출했다. 그러나 이 입찰(투표)에 하코다테 주민들은 참가하지 않았고, 구막부군에서도 입찰에 참가한 것은 사관 이상의 자들로, 구막부 탈주군 총수의 3분의 1 정도에 불과했다.[70]

2. 2. 근대 선거 제도

1878년 부현회 규칙이 선포되고, 제한 선거를 통해 최초의 지방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69] 1889년 대일본제국헌법이 공포되면서 중의원의원선거법이 제정되어, 만 25세 이상 남성 중 직접 국세 15엔 이상을 납부하는 사람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68] 이는 제한 선거에 해당한다.

1900년에는 선거권 부여 기준 중 국세액 조건이 10엔으로 낮아졌고,[68] 1919년에는 3엔으로 더 낮아졌다.[68] 1925년에는 국세액 조건이 폐지되고 만 25세 이상 모든 남성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어 남자 보통 선거가 실현되었다.[68]

1945년에는 만 20세 이상 모든 남녀에게 선거권이 부여되면서 완전한 보통 선거가 이루어졌다.[68] 1946년 총선거에서는 대선거구 제한 연기제가 채택되어 한 차례 시행되었다.

1950년에는 여러 법령을 통합한 공직선거법이 공포되었다.[68] 1982년 참의원 선거에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고,[68] 1994년 중의원 선거에는 소선거구제비례대표제를 함께 사용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68]

2000년에는 국정 선거에서 재외 국민의 선거 제도가 도입되었고,[68] 2001년 참의원 선거에서는 정당 명부식 비례대표제가 비구속 명부식으로 변경되었다.[68] 2003년에는 선거 기간 중 매니페스토 배포가 완화되었다.

2015년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선거권 연령이 만 20세 이상에서 만 18세 이상으로 낮아졌다.[50]

3. 선거권 및 피선거권

일본의 선거권은 만 18세 이상인 일본 국민에게 부여되며, 지방선거는 3개월 이상 해당 선거구 내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주어진다. 범죄로 인해 선거권이 정지되기도 한다. 피선거권의 경우 참의원 의원이나 도·도·부·현 지사는 만 30세 이상, 중의원 의원이나 시·정·촌장은 만 25세 이상의 국민에게 부여된다. 시·정·촌 의회 의원은 만 25세 이상으로 해당 선거의 선거권을 가진 국민이어야 한다.

3. 1. 선거권

만 18세 이상의 일본 국민에게 선거권이 부여된다. 투표일 다음날 만 18세가 되는 사람도 포함된다.[2][3] 지방 선거에서는 해당 선거구 내에 3개월 이상 거주해야 투표할 수 있다.[4] 범죄로 인해 선거권이 정지될 수도 있다.

2015년 6월 개정 공직선거법이 성립되어, 2016년 6월부터 선거권 연령이 만 20세에서 만 18세로 낮아졌다.(18세 선거권)[50]

3. 2. 피선거권

참의원 의원이나 도도부현 지사는 만 30세 이상, 중의원 의원이나 시정촌장은 만 25세 이상이어야 한다. 시정촌 의회 의원은 만 25세 이상으로, 해당 선거에 대한 선거권을 가진 국민에게 주어진다.[5]

일본 국민은 선거일 현재 나이에 따라 각각 해당 의원 또는 장의 피선거권을 가진다(공직선거법 제10조).

대상나이
중의원 의원만 25세 이상
참의원 의원만 30세 이상
도도부현 의회 의원만 25세 이상 (선거권 필요)
도도부현 지사만 30세 이상
시정촌 의회 의원만 25세 이상 (선거권 필요)
시정촌장만 25세 이상


3. 3. 선거권 및 피선거권이 없는 자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자는 선거권 및 피선거권이 없다(공직선거법 제11조).[51]

# (삭제)

#: 1호에는 성년후견인이 규정되어 있었으나, 2013년 3월 도쿄지방법원의 위헌 판결이 나와 같은 해 5월 개정 공직선거법으로 삭제되어 성년후견인에게도 선거권이 인정되게 되었다.

# 금고 이상의 형에 처해지고 그 집행을 마칠 때까지의 자

# 금고 이상의 형에 처해지고 그 집행을 받을 수 없게 될 때까지의 자 (형의 집행유예 중인 자는 제외)

# 공직에 있는 동안 범한 일본 형법 제197조부터 제197조의 4까지의 죄 또는 공직에 있는 자 등의 알선행위에 의한 이익 등의 처벌에 관한 법률 제1조의 죄에 의해 형에 처해지고, 그 집행을 마치거나 그 집행의 면제를 받은 자로서 그 집행을 마치거나 그 집행의 면제를 받은 날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않은 자 또는 그 형의 집행유예 중인 자

# 법률로 정하는 바에 따라 행해지는 선거, 투표 및 국민투표에 관한 범죄에 의해 금고 이상의 형에 처해지고 그 형의 집행유예 중인 자

또한, 공직에 있는 동안 범한 형법 제197조부터 제197조의 4까지의 죄 또는 공직에 있는 자 등의 알선행위에 의한 이익 등의 처벌에 관한 법률 제1조의 죄에 의해 형에 처해지고, 그 집행을 마치거나 그 집행의 면제를 받은 자로서 그 집행을 마치거나 그 집행의 면제를 받은 날부터 5년을 경과한 자는, 해당 5년을 경과한 날부터 5년간 피선거권을 가지지 않는다(공직선거법 제11조의 2).

4. 선거의 종류

일본의 선거는 크게 국정 선거, 지방 선거, 특별 선거로 나뉜다.
국정 선거에는 다음 종류가 있다.


  • 중의원 의원 총선거: 중의원 의원 전원을 선출한다. 임기는 4년이지만, 하원이 조기에 해산될 수 있다.[38]
  •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참의원 의원의 절반을 3년마다 선출한다. 참의원 의원의 임기는 6년이다.[6][38]
  • 중의원/참의원 의원 보궐선거: 의원직 공석을 채우기 위해 실시한다.
  • 중의원/참의원 의원 재선거: 선거가 무효화된 후 실시한다.

지방 선거는 현(Prefectural) 선거와 시정촌(Municipal) 선거로 나뉜다.

  • 현 선거
  • 지사 선거(都道府県知事選挙): 4년마다 실시된다.[38]
  • 현의회 의원 선거(都道府県議会議員一般/補欠/再選挙): 4년마다 실시된다.[38]
  • 시정촌 선거
  • 시정촌장 선거(市区町村長選挙): 4년마다 실시된다.[38]
  • 시정촌의회 의원 선거(市区町村議会議員一般/補欠/再選挙): 4년마다 실시된다.[38]


'''통합 지방 선거(統一地方選挙)'''는 1947년부터 4년마다 한 번씩 실시되어, 지사와 도의회 의원, 시장 및 시의회 의원 등을 선출한다.
특별 선거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실시된다.

  • 재선거: 선거를 다시 해야 하거나 당선자가 부족할 때 실시한다.[38]
  • 보궐선거: 의원 정수가 부족할 경우 실시한다.[38]
  • 증원선거: 지방자치단체 의회에서 의원 정수를 늘릴 때 실시한다.[38]

4. 1. 국정 선거

일본 정치 과정에는 두 가지 유형의 선거가 있다.

국가 차원의 선거는 다음을 포함한다.

  • 중의원 의원 총선거: 중의원 의원 전원을 동시에 선출한다. 하원이 조기에 해산되지 않는 한 4년마다 실시된다.[38] 중의원 의원 정수는 465명이며, 소선거구 선출 의원 289명을 선출하는 소선거구 선거와 비례대표 선출 의원 176명을 선출하는 비례대표 선거를 같은 투표일에 실시한다.[38] 또한 두 선거에 중복하여 입후보할 수 있다(중복입후보제도).
  •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참의원 의원의 절반을 3년마다 단계적 선거를 통해 선출한다.[6] 참의원 의원의 임기는 6년이지만, 3년마다 절반씩 개선되므로, 3년에 한 번, 참의원 의원의 절반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는 선거를 말한다.[38] 참의원 의원 정수는 248명이며, 선거구 선출 의원 148명을 선출하는 선거구 선거와 비례대표 선출 의원 100명을 선출하는 비례대표 선거(두 선거에 입후보할 수 없음)를 같은 투표일에 실시한다.[38] [40]
  • 중의원/참의원 의원 보궐선거: 의원직 공석을 채우기 위한 보궐선거
  • 중의원/참의원 의원 재선거: 당선자가 법적 투표 정족수를 충족하지 못하거나 선거법 위반 등으로 선거가 무효화된 후 실시되는 재선거

4. 2. 지방 선거

지방 선거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현(Prefectural) 선거
  • 지사 선거(都道府県知事選挙, to/dō/fu/ken-chiji-senkyo): 4년 주기로 독립적으로 실시된다.[38]
  • 현의회 의원 선거(都道府県議会議員一般/補欠/再選挙, to/dō/fu/ken-gikai giin ippan-/hoketsu-/sai-senkyo): 일반 선거는 4년 주기로 독립적으로 실시된다.[38]
  • 시정촌(Municipal) 선거
  • 시정촌장 선거(市区町村長選挙, shi/ku/chō/son-chō-senkyo): 4년 주기로 독립적으로 실시된다.[38]
  • 시정촌의회 의원 선거(市区町村議会議員一般/補欠/再選挙, shi/ku/chō/son-gikai giin ippan-/hoketsu-/sai-senkyo): 일반 선거는 4년 주기로 독립적으로 실시된다.[38]


1888년 이후 일본에는 47개의 도도부현(都道府県, -to/-dō/-fu/-ken)이 있으며, 2014년 기준으로 1741개의 시정촌(市区町村, -shi/-ku/-chō/-son)으로 나뉘어져 있다(일본의 행정 구역 참조).

'''통합 지방 선거(統一地方選挙, ''tōitsu chihō senkyo'')'''는 4년마다 한 번씩 실시된다. 지사와 도의회 의원, 시장 및 시의회 의원 등이 4년 임기로 선출된다. 1947년 4월, 당시 미군(United States Forces Japan) 통치하에 있던 오키나와현을 제외한 46개 현과 그 관할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동시에 "통합 지방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 이후 일부 도지사 및 시장 선거, 그리고 대부분의 의회 의원 선거는 이 4년 주기에 맞춰 치러졌다. 하지만 대부분의 도지사와 시장 선거는 재직 중인 도지사나 시장의 사임, 사망 또는 해임으로 4년 주기가 "재설정"되면서 다른 일정으로 치러진다. 일부 의회 선거 주기는 의회 해산이나 지방자치단체의 합병으로 인해 변경되기도 했다.

가장 최근 선거는 2023년 일본 통합 지방 선거였다.

2015년 기준 통합 지방 선거의 주요 선거는 다음과 같다.

도지사현의회정령지정도시 선거
홋카이도삿포로 시장
삿포로 시의회
아오모리
아키타
야마가타
토치기
군마
사이타마사이타마 시의회
지바지바 시의회
가나가와요코하마 시의회
가와사키 시의회
사가미하라시 시장
사가미하라 시의회
니가타니가타 시의회
도야마
이시카와
후쿠이
야마나시
나가노
기후
시즈오카시즈오카 시장
하마마쓰시 시장
하마마쓰 시의회
아이치나고야 시의회
미에
시가
교토교토시 시의회
오사카오사카시 시의회
사카이 시의회
효고고베시 시의회
나라
와카야마
돗토리
시마네
오카야마오카야마시 시의회
히로시마히로시마시 시장
히로시마 시의회
야마구치
도쿠시마
가가와
에히메
고치
후쿠오카후쿠오카시 시의회
사가
나가사키
쿠마모토쿠마모토시 시의회
오이타
미야자키
가고시마



도쿄도의 도지사와 도의회 선거는 현재 별도의 일정으로 치러지지만, 23개의 도쿄 23구 중 21개 구는 의회 선거에 대해 통합 선거 일정을 따른다. 예외는 가쓰시카구아다치구이다. 도쿄의 대부분의 특별구는 시장 선거에 대해 별도의 주기를 따른다. 도쿄는 2011년까지 도지사 선거를 통합 선거의 일부로 치렀지만, 이시하라 신타로이노세 나오키의 사임으로 인해 2012년 선거와 2014년 선거를 별도로 치러야 했다.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선거가 연기되면서 더 이상 통합 선거 주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 일반 선거: 도도부현이나 시구정촌(지방자치단체)의 의회에 속하는 의원(또는 당선인)이 임기 만료(4년)나 해산 등으로 모두 사라진 경우, 그 의회의 의원 전원을 뽑기 위한 선거이다.[38]
  •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 도도부현지사나 시구정촌장(지방자치단체장)에 임기 만료(4년), 주민의 직접 청구(리콜)에 의한 해직, 불신임 의결에 의한 실직, 사망, 퇴직, 피선거권 상실에 의한 실직이 발생한 경우, 그 장을 뽑기 위한 선거이다.[38]
  • 설치 선거: 지방 자치 단체가 새로 설치된 경우, 그 지방 자치 단체의 의회 의원과 장을 뽑기 위해 실시되는 선거이다.[38]

4. 3. 특별 선거 (국정·지방)


  • 재선거: 선거가 실시되어도 선거를 다시 해야 하거나 당선자가 여전히 부족하여 보충이 필요할 때 실시되는 선거이다.[38]
  • 보궐선거: 선거 당선자가 의원이 된 후 사망이나 퇴직으로 인해, 상향 당선으로도 의원 정수가 부족할 경우 실시되는 선거이다.[38]
  • 증원선거: 지방자치단체 의회에서 의원의 임기 중에 의원 정수를 늘리게 되었을 때 실시되는 선거이다.[38]

5. 선거구

국정 선거에서는 중의원의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참의원의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서로 다른 다수 대표제 선거구와 비례 대표제 선거구가 병존한다.

1980년대 일본의 선거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인구 분포를 반영하여 도시 유권자들이 과소 대표되는 문제가 있었다.[17] 당시 도시 지역 거주자는 전체 인구의 3분의 1에 불과했고, 3분의 2는 농촌 지역에 거주했다. 이후 경제적 기회를 찾아 도시로 인구가 이동하면서 도시와 농촌 간의 불균형이 심화되었다.

최고재판소는 이러한 불균형이 1인 1표의 헌법 원칙에 위배된다고 판결했다.[17] 1986년에는 도시 지역구에 8명의 대표를 추가하고 농촌 지역구에서 7명을 줄이는 선거구 재획정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불균형이 남아 있었다.

1993년 호소카와 모리히로 정권은 소선거구제비례대표제를 혼합한 새로운 선거 제도를 도입했다.[17] 2009년 중의원 총선거는 현행 제도 하에서 최초로 위헌 판결을 받은 선거였다.[18] 2011년 최고재판소는 2009년 선거에서 고치현 제3구와 지바현 제4구 간의 투표 가중치 최대 차이가 2.30으로 모든 유권자의 평등을 보장하는 헌법을 위반한다고 판결했다.[18]

2016년 전문가 패널은 중의원 의석 배분에 애덤즈 배분 방법 도입을 제안했다.[19] 2017년 선거구 재획정 및 배분으로 중의원 의석수는 465석으로 줄었고, 최대 불균형 비율은 2 이하로 유지되도록 설계되었다.[20]

2010년[21]과 2013년[22] 참의원 선거의 불균형도 최고재판소에 의해 위헌으로 판결되었으며, 2015년 재배분을 통해 3 미만으로 감소했다.[23][24]

다음 표는 2016년 9월 기준 국회 양원에서 의원 1인당 등록 유권자 수가 가장 많고 적은 선거구를 나타낸다.[25]

2016년 기준 국회 의원 1인당 등록 유권자 수가 가장 많고 가장 적은 선거구[25]
중의원참의원
가장 적은 유권자 수가장 많은 유권자 수가장 적은 유권자 수가장 많은 유권자 수
#선거구등록 유권자 수선거구등록 유권자 수선거구선출된 의원 1인당 등록 유권자 수선거구선출된 의원 1인당 등록 유권자 수#
1도쿄 제1구514,974후쿠시마 제4구233,491사이타마 광역구1,015,543후쿠이 광역구328,7721
2홋카이도 제1구505,510미야기 제5구234,373니가타 광역구978,686사가 광역구346,7272
3도쿄 제3구504,929가고시마 제5구240,056미야기 광역구975,466야마나시 광역구353,4023
4도쿄 제5구498,903돗토리 제1구240,874가나가와 광역구951,735가가와 광역구417,0824
5효고 제6구492,173나가사키 제3구242,165도쿄 광역구937,470와카야마 광역구419,0115
6도쿄 제6구490,674돗토리 제2구242,194오사카 광역구915,000아키타 광역구448,2366
7도쿄 제19구488,494나가사키 제4구242,303나가노 광역구885,638토야마 광역구452,8227
8도쿄 제22구486,965아오모리 제3구244,007지바 광역구871,110미야자키 광역구466,8298
9사이타마 제3구483,014미에 제4구244,825기후 광역구850,190야마가타 광역구475,4199
10도쿄 제23구481,206이와테 제3구246,272토치기 광역구827,368이시카와 광역구481,02710


5. 1. 중의원

일본의 중의원은 46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4년이다(임기가 끝나기 전에 해산되는 경우가 많다). 289명은 소선거구에서, 176명은 11개 지역 "블록" 선거구에서 비례대표제를 통해 선출된다.[1]

중의원 총선거는 일반적으로 4년 임기가 끝나기 전에 실시되는데, 내각이 천황을 통해 의회를 해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총리들은 이러한 권한을 사용한다. 전후 역사에서 유일한 예외는 1976년 "록히드 사건 선거"로, 이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처음으로 의석 과반수를 잃었다.

단일 선거구 의석은 과반수를 통해 결정되며, 비례대표 의석은 각 "블록" 선거구에서 각 정당의 득표율에 비례하여 (도는트 방법을 사용하여) 정당 명부에 배분된다.[7] 각 유권자는 지역 선거구의 후보자와 "블록" 선거구의 정당에 각각 한 표씩, 두 번 투표한다. 병립 투표제에서는 한 계층의 투표와 다른 계층의 의석 수 사이에 아무런 연관이 없지만, 한 후보자가 두 선거구에 동시에 입후보하는 중복입후보는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이러한 중복 입후보자가 소선거구에서 패배하더라도, 비례대표 블록에서 당선될 가능성이 있다. 정당은 또한 동일한 명부 순위에 지역구 및 블록 후보를 함께 배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惜敗率|Sekihairitsu일본어 시스템에 따라 후보자의 순위가 결정된다.

국회의원에 대한 입후보자는 선거구가 중복되는 소선거구제 선거비례대표제 선거에 대한 중복입후보가 예외적으로 인정된다. 이는 중복입후보를 금지하는 공직선거법 제87조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동법 제86조의 2 제4항의 규정이 우선되기 때문이다.

5. 2. 참의원

参議院|참의원일본어 입후보자는 선거구제 선거와 비례대표제 선거에 중복 입후보할 수 없다. 이는 중의원과 달리, 공직선거법 제86조의 2 제4항과 같은 중복 입후보를 허용하는 예외 규정이 없고, 제87조 제1항에 따라 중복 입후보가 금지되기 때문이다.[1]

5. 3. 도도부현 의회 의원

공직선거법 제12조 제1항 및 제15조 각 항에 따라 군(郡)·시(市) 단위로 인구에 비례하여 선거구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25] 군(郡)의 경우, 도쿄도에서는 지청(支庁) 관할 구역을 포함하고, 홋카이도에서는 지청(支庁) 관할 구역으로 한다.[25]

5. 4. 시정촌 의회 의원

일반적으로 시정촌은 행정 구역 전체가 하나의 선거구가 되지만, 정령지정도시(政令指定都市)의 경우에는 구 단위로 선거구가 설치된다. 헤이세이 대합병 이후 발족한 시정촌에서는 구 시정촌 단위로 선거구를 설치한 사례가 있었지만, 대부분 합병 후 첫 선거에만 적용되고 두 번째 선거부터는 폐지되었다.[41]

6. 비례대표제

일본의 중의원참의원 선거에는 비례대표제가 적용된다. 2021년 총선에서 나타난 비례대표제 결과는 다음과 같다.[15]

정당의석 수득표율
자유민주당72석34.7%
입헌민주당39석20.0%
일본유신회25석14.0%
공명당23석12.4%
일본공산당9석7.2%
국민민주당5석4.5%
레이와 신선구미3석3.9%
기타 6개 정당0석3.4%



비례대표제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있다.


  • 소속 정당 이적 제한: 비례대표로 당선된 의원은 당선 당시 해당 비례대표 선거구에 있었던 다른 명부를 제출한 정당으로 옮기면 당선이 무효가 된다.[42]
  • 당선자 수 초과: 특정 정당의 당선자 수가 후보자 수보다 많으면, 초과된 의석은 다음 순위 정당에 배분된다.
  • 소선거구 득표 부족: 소선거구에서 일정 득표율을 얻지 못하면 비례대표 당선 자격을 상실할 수 있다.[35]
  • 정당 해산 등: 선거 당시 정당이 합병, 해산하는 경우에도 비례대표 명부는 유효하며, 결원 발생 시 명부 순위에 따라 추가 보충이 이루어진다.[44]

6. 1. 정당명 투표

중의원 비례대표 선거는 정당·정치단체명으로만 투표할 수 있는 구속 명부식이다. 예를 들어, 2005년 제44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무네오 신당"이라고 써도 신당대지에 투표한 것으로 인정되었지만, "가메이 신당"은 국민신당의 유효표로 인정되지 않았다.

참의원 비례대표 선거는 비구속 명부식으로, 후보자 개인명 또는 정당명을 기입할 수 있다. 개인명을 기입하면 해당 후보자가 소속된 정당의 득표로 처리되고, 당선 순위는 개인 득표수가 많은 후보자 순으로 결정된다. 정당명을 기입하면 해당 정당의 득표로 처리된다.

6. 2. 소속 정당 이적 제한

2000년 이후 일본 국정선거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된 의원이 소속 정당이 있는 경우, 당선 당시 해당 비례대표 선거구에 있었던 다른 명부를 제출한 정당으로 옮기면 당선이 무효가 된다. 이는 공직선거법 제99조의 2에 따른 것이다.[42]

하지만 무소속이 되거나, 당선 당시 해당 비례대표 선거구에 없었던 새로운 정당으로 옮기는 것은 당선 무효에 해당되지 않는다. 또한 당선 당시에는 존재했던 정당이라도, 자신이 비례대표로 당선된 선거에서 해당 비례대표 선거구에 후보를 내지 않았던 정당에는 사직하지 않고 이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9년 중의원 총선거에서 모두의 당(みんなの党)은 홋카이도, 도호쿠, 호쿠리쿠 신에쓰, 주고쿠, 시코쿠의 중의원 비례대표 선거구에는 후보를 내지 않았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된 중의원 의원은 당선 무효 없이 모두의 당에 입당할 수 있었다.

다른 정당의 비례대표 당선 의원을 당선 무효 없이 입당시키기 위해, 정당이 일단 해산 절차를 거친 후 신당을 결성하는 형태로 사실상 정당 이적이 가능하다. 보수당이 다른 정당의 비례대표 당선 의원을 입당시키기 위해 해산 후 보수신당을 결성한 것이 그 예이다. 다만 이 경우, 해산 전 국정선거 득표에 따른 정당 보조금을 받을 수 없고 의원 수에 따른 정당 보조금만 받을 수 있어, 과거 득표 수가 많거나 입당 의원이 적으면 오히려 정당 보조금이 줄어들 수 있다.

해당 비례대표 당선 정당이 합병하거나 해산한 경우, 비례대표 당선 의원은 정당 이적 시 당선 무효 없이 이적할 수 있다. 자유당과 민주당의 합당이 이에 해당한다.

2016년 결성된 민진당에서는 구 모두의 당 비례대표 당선 의원이었기 때문에 국회법 제99조의 2 규정에 따라 개선 때까지 국회의원직을 유지한 채 민진당에 참가할 수 없었던 구 유신의 당 참의원 5명은, 공동 교파 소속 국회의원의 지위에 관한 경과 규정(당규약 부칙 2조 2항)에 따라 2019년 9월까지 무소속이면서도 당직에 취임하거나 양원 의원 총회에서 의결권 행사를 허용받아 민진당 소속 국회의원에 준하는 지위를 갖는 것으로 규정되었다. 그러나 산케이 신문은 이를 “무소속 의원을 당 소속 의원으로 취급한다”는 정당 정치의 근본이 의문시되는 비정상적인 상황이라고 비판했다.[43]

6. 3. 당선자 수가 후보자 수를 초과하는 경우

일본에서는 어떤 정당이나 정치 단체의 비례대표 명부에 등록된 후보자보다 당선자가 많을 경우, 초과된 의석 수는 다음 순위로 의석이 배분되는 다른 정당이나 정치 단체에 배분된다. 단, 이는 선거 시에만 해당하며, 보궐선거(보충)의 경우에는 다른 정당이나 정치 단체에 배분되지 않고 결원이 된다.

2005년 9월 중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은 도쿄 블록에서 8석을 확보했지만, 중복 후보로 소선거구에 당선된 사람을 제외한 비례대표 명부 등록자는 7명뿐이었다. 이 때문에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라 전원이 당선될 경우, 다음으로 상위를 차지하는 정당이나 정치 단체에 의석을 주게 되어 사민당 후보(보사카 노리토)에게 1석을 “양도”한 형태가 되었다.

2009년 8월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킨키 블록에서는 민주당의 명부 등록자가 2명 부족했다.

2017년 10월 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입헌민주당은 도카이 블록에서 5석을 확보했지만, 중복 후보로 소선거구에 당선된 사람을 제외한 비례대표 명부 등록자는 4명뿐이었다. 이 때문에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라 전원이 당선될 경우, 다음으로 상위를 차지하는 정당이나 정치 단체에 의석을 주게 되어 자유민주당 후보(타바타 츠요시)에게 1석을 “양도”한 형태가 되었다.

6. 4. 소선거구 득표 부족으로 비례대표 의석 상실 사례

2009년 8월 중의원 선거에서 국민신당은 도카이(東海) 블록과 킨키(近畿) 블록에서 각각 1석씩, 총 2석을 확보했다. 그러나 두 블록의 국민신당 후보는 모두 중복 입후보였고, 해당 지역 소선거구에서 유효 투표의 10%를 얻지 못해 비례대표 부활 당선 자격을 상실했다. 이 때문에 도카이 블록의 의석은 민주당 후보(磯谷香代子)에게 배분되었고, 킨키 블록에서는 민주당 후보 부족(2석)으로 인해 총 3석이 자유민주당(谷公一, 谷畑孝)과 공명당(赤松正雄)에 배분되었다.[35]

2021년 10월 제49회 중의원 선거에서 레이와 신선조는 도카이 블록에서 1석을 확보했다. 그러나 해당 당의 후보는 모두 중복 입후보였고, 해당 지역 소선거구에서 유효 투표의 10%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비례대표 부활 당선 자격을 얻지 못했다. 이 때문에 도카이 블록의 의석은 공명당 후보(中川康洋)에게 배분되었다.[35]

6. 5. 해산 등에 따른 비례대표 명부 처리

선거 당시 정당이 다른 정당과 합류, 합병하거나 해산하는 경우, 해당 정당이 비례대표 명부를 철회하지 않으면 그 명부는 유효하다. 만약 해당 정당이 선거에서 의석을 확보하고 이후 결원이 발생하면, 당시 명부 순위에 따라 추가 보충이 이루어진다.

반면, 탈당이나 제명 등으로 해당 정당 구성원이 아니게 되거나 당선인이 당선을 사퇴하는 경우, 선거 당시 정당이 해산하고 설립된 후계 정당이 법률상 선거 당시 정당과 다른 정당으로 취급되는 경우에는 명부 변경이나 삭제가 불가능하다.[44]

  • 사례 1: 2014년 11월 해산한 みんなの党의 경우, 해산 후 전 みんなの党 비례대표 당선자의 사직으로 결원이 발생했지만, 차점자의 추가 보충 없이 임기 만료까지 결원 상태가 되었다.

  • 사례 2: 2017년 10월 제48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홋카이도 비례구에서 (구) 입헌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차점이 된 야마자키 마야는 2021년 8월 혼다 히라나오의 사직으로 추가 보충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야마자키는 당시 (신) 국민민주당 소속이었고, (구) 입헌민주당은 2020년 9월 해산했지만 비례대표 명부를 철회하지 않았다. (신) 입헌민주당은 (구) 입헌민주당과 법률상 "같은 이름의 다른 정당"이었기 때문에 야마자키를 명부에서 삭제할 수 없었다. 결국 야마자키는 추가 당선되었고, 의석은 (신) 국민민주당으로 넘어갔다.[44]

  • 사례 3: 2019년 7월 제25회 참의원 통상선거·참의원 비례구에서 (구) 입헌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차점이 된 이치이 사야카는 2024년 4월 스도 겐키의 사퇴(중의원 도쿄도 제15구 보궐선거 출마에 따른 자동 실직)로 추가 보충 대상이 되었다. 이치이는 당선 결정 이전에 당선 사퇴 의사를 밝혔지만,[45] (구) 입헌민주당은 2020년 9월 해산 후에도 비례대표 명부를 철회하지 않았고, (신) 입헌민주당은 (구) 입헌민주당과 법률상 "같은 이름의 다른 정당"이었기 때문에 이치이를 명부에서 삭제할 수 없었다.[46] 결국 이치이는 추가 당선되었으나, 당선 증서 수령 직후 의원직을 사퇴했다. 이치이의 의원 임기는 93분으로 헌정 사상 최단 기간이었다.[47]


이처럼 "출마 당시 정당"과 "추가 당선 결정 당시 정당"이 다름에도 추가 당선되거나, 당선 사퇴를 표명한 사람에 대한 처리에 대해 법령 개정을 요구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48]

7. 선거 운동

일본의 선거 운동은 공직선거법에 의해 규제된다. 선거 운동 기간은 선거 종류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거리 연설이나 확성기 사용은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만 허용된다.[1] 이는 선거 비용을 줄이기 위한 조치이며, 다른 나라에 비해 일본은 선거 운동 기간 및 방식에 대한 규제가 엄격한 편이다.[1]

선거 운동 기간은 후보자 등록일부터 투표 전날까지이며, 구체적인 기간은 다음과 같다.

선거 종류기간
국회 (참의원)17일
국회 (중의원)12일
도·도·부·현 지사 선거17일
정령지정도시 시장 선거14일
도·도·부·현 및 정령지정도시 의회 의원 선거9일
일반 시·도쿄도·특별구의 수장 및 의회 의원 선거7일
정(町)·촌(村)의 수장 및 의회 의원 선거5일


7. 1. 선거 운동 기간

선거운동 기간은 공직선거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선거 종류에 따라 기간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선거운동 중 거리 연설이나 확성기 사용은 매일 8시부터 20시까지 가능하다.[1]

선거운동 기간은 공직선거법 제129조에 따라 공직 후보자 신고가 있던 날(선거 공고일 또는 공시일)부터 투표일 전날까지이다.[1]

선거 종류기간
국회 (참의원)17일
국회 (중의원)12일
도·도·부·현 지사 선거17일
정령지정도시 시장 선거14일
도·도·부·현 및 정령지정도시 의회 의원 선거9일
일반 시·도쿄도·특별구의 수장 및 의회 의원 선거7일
정(町)·촌(村)의 수장 및 의회 의원 선거5일



이는 최단 기간이며, 이보다 더 긴 선거운동 기간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비용 문제로 인해 최단 기간보다 길게 설정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1]

일본 이외의 많은 국가에서는 이러한 특별한 활동 기간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방문 선거 운동 금지나 문서 배포 제한 등도 일본만큼 규제하는 국가는 적다. 이는 선거운동 비용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이다.[1]

7. 2. 투표

일본의 국가 및 대부분의 지방 선거에서는 후보자 또는 정당의 이름을 무표 투표용지에 직접 기입하는 방식으로 투표한다. 중의원 선거의 경우 유권자는 두 장의 투표용지를 작성하는데, 하나는 선호하는 지역구 후보의 이름을, 다른 하나는 비례대표 선거구에서 선호하는 정당의 이름을 기입한다. 참의원 선거의 경우 지역구 투표는 중의원 선거와 유사하지만(SNTV 다선거구에서는 여러 후보가 당선될 수 있지만, 각 유권자는 한 표만 행사한다), 참의원 비례대표 투표에서는 정당 명부(정당이 획득하는 비례대표 의석 수를 결정하기 위해) 또는 후보자(정당 명부에서 어떤 후보자가 당선되는지에 추가적으로 영향을 미침)에게 투표한다.[26]

후보자에게 명확하게 할당할 수 없는 투표용지는 무효표로 간주되지 않고, 각 후보자가 받은 명확한 투표 수에 비례하여 잠재적으로 의도된 모든 후보에게 할당된다. 이러한 투표는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반올림한다.[27][28] 예를 들어, "야마다 A"와 "야마다 B" 두 명이 선거에 출마했고 명확한 투표 수가 1500표( "야마다 A" 1000표, "야마다 B" 500표)였다면, "야마다"라고 모호하게 기입된 5표는 야마다 A에게는 5×1000/1500=3.333표, 야마다 B에게는 5×500/1500=1.667표로 계산된다. 따라서 공식적인 최종 결과는 야마다 A 1003.333표, 야마다 B 501.667표가 된다.

2002년 전자투표법[29] 통과로 지방선거에 전자 투표기 도입이 허용되었다.[30] 최초의 전자투표는 2002년 6월 니이미시에서 실시되었다.[31] 2003년에는 사전투표 시스템이 도입되었다.[32] 2017년 총선(중의원 선거)에서는 2100만 명이 넘는 일본인이 사전투표를 하는 기록적인 수치를 기록했다.[33] 동시에 전체 투표율은 낮았다(역대 두 번째로 낮음). 따라서 2017년 실제 투표자의 약 38%가 사전투표를 한 셈이다. 정기/참의원 선거의 경우 2019년 선거에서 1700만 명이 넘는 사전투표자가 나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34] 이는 2019년 전체 투표율이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치를 기록한 가운데 실제 투표자의 약 3분의 1에 해당한다.

투표 마감 시간은 원칙적으로 오후 8시이지만, 산간부나 도서 지역 등의 행정 부담을 고려하여 지자체의 판단으로 앞당길 수 있으며, 사전 투표의 정착을 이유로 도시 지역에서도 투표 시간 단축화가 확대되고 있다.[52]

7. 3. 당선자

일본선거에서 당선자는 유효 투표 중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사람으로 결정되지만, 법정 득표수를 얻어야 한다.[54] 득표수가 같아서 당선자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선거회에서 추첨으로 결정한다.[54] 구체적인 추첨 방법은 각 지방 자치 단체에 맡겨져 있다.[54] 참고로, 1947년 일본 공직선거법 개정 이전에는 연장자를 당선자로 했다.[55]

다음은 추첨으로 당선자가 결정된 선거 사례이다.

지역선거 종류날짜출처
아오모리현대와니정장 선거2010년[56]
아오모리현카미가타정 의회의원 선거2023년 4월 23일[56]
지바현아사히시 의회의원 선거2021년 12월 19일[57]
가나가와현사가미하라시 의회의원 선거2019년 4월 7일[58]
기후현제1회 참의원 통상선거(기후현 선거구)1947년 4월 20일
미에현이가시 의회의원 선거2021년[59]
교토부오야마자키정 의회의원 선거2018년 10월 21일[60]
오사카부훗다바야시시 의회의원 선거2023년 4월 23일[61]
시마네현치부무라 의회의원 선거1991년[62]
시마네현이이나미정 의회의원 선거2017년[62]
시마네현치부무라 의회의원 선거2023년 4월 23일[62]
사가현카미미네정 의회의원 선거2023년 1월 15일[63]
구마모토현구마모토시 의회의원 선거2015년 4월 12일[64]
오이타현히메시마무라 의회의원 선거2023년 4월 23일[54]


8. 통일지방선거

삿포로 시의회아오모리아키타야마가타♦토치기♦군마사이타마사이타마 시의회지바지바 시의회가나가와♦♦요코하마 시의회
가와사키 시의회
사가미하라시 시장
사가미하라 시의회니가타니가타 시의회도야마이시카와후쿠이♦♦야마나시나가노기후시즈오카시즈오카 시장
하마마쓰시 시장
하마마쓰 시의회아이치♦나고야 시의회미에♦♦시가교토교토시 시의회오사카오사카시 시의회
사카이 시의회효고고베시 시의회나라♦♦와카야마돗토리♦♦시마네♦♦오카야마오카야마시 시의회히로시마히로시마시 시장
히로시마 시의회야마구치도쿠시마♦♦가가와에히메고치후쿠오카♦♦후쿠오카시 시의회사가나가사키♦쿠마모토♦쿠마모토시 시의회오이타♦♦미야자키가고시마



도쿄도의 도지사와 도의회 선거는 현재 별도의 일정으로 치러지지만, 23개의 도쿄 23구 중 21개 구는 의회 선거에 대해 통합 선거 일정을 따른다. 예외는 가쓰시카구아다치구이다. 도쿄의 대부분의 특별구는 시장 선거에 대해 별도의 주기를 따른다. 도쿄는 2011년까지 도지사 선거를 통합 선거의 일부로 치렀지만, 이시하라 신타로이노세 나오키의 사임으로 인해 2012년 선거와 2014년 선거를 별도로 치러야 했다.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선거가 연기되면서 더 이상 통합 선거 주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통합 지방 선거 목록은 다음과 같다.



1971년부터 이바라키현에서는 통합선거에 앞선 12월에 현 의회 선거를 실시하여, 이 선거는 이듬해 4월 전국 선거의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2014년 이바라키 선거는 2014년 일본 총선과 같은 날 실시되었다.

2005년 4월에 시행된 "헤이세이 대합병"으로 약 193개의 새로운 지자체가 설립되었다. 이들 지자체의 첫 지방선거는 이 시기에 실시되었으며, 지바현지사 선거와 아키타현지사 선거, 나고야시장 선거와 동시에 실시되어, 때때로 "소규모 통합 지방선거"라고 불리는 두 번째 주요 지방선거가 형성되었다.

오키나와현과 대부분의 지방 정부는 1972년 6월 일본으로 환원된 이후 시작된 4년 주기를 따르고 있으며(그 중 나하시 등 몇몇 예외가 있음), 오키나와 선거는 일반적으로 통합선거 다음 해에 실시된다.

참조

[1] 웹사이트 総務省|選挙の種類 https://www.soumu.go[...] 2021-08-09
[2] 웹사이트 Diet enacts law lowering voting age to 18 from 20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3] 웹사이트 Public Offices Election Act amended to reduce the voting age to 18 Liberal Democratic Party of Japan https://www.jimin.jp[...] 2021-08-09
[4] 웹사이트 Japan:Public Offices Election Act (2016) — https://aceproject.o[...] 2021-08-09
[5] 웹사이트 Japan:Public Offices Election Act (2016) — https://aceproject.o[...] 2021-08-09
[6] 웹사이트 The Government of Modern Japan: Elections Asia for Educators Columbia University http://afe.easia.col[...] 2021-08-09
[7] 웹사이트 公職選挙法 e-Gov法令検索 https://elaws.e-gov.[...] 2021-08-09
[8] 뉴스 Diet passes controversial bill adding seats to Japan's Upper House for first time in nearly half a century https://www.japantim[...] 2018-07-18
[9] 뉴스 特定枠、れいわ・労働も利用【19参院選】 https://www.jiji.com[...] Jiji Press 2019-07-04
[10] 뉴스 2019参院選 公示 特定枠に5候補者 比例に導入、優先的に当選 https://mainichi.jp/[...] Mainichi Shimbun 2019-07-05
[11] 비디오 The Ally From The Far East - Japan in World War 1 https://www.youtube.[...] 2017-10-22
[12] 웹사이트 Advisory Council to Consider the Direct Election of the Prime Minister http://www.kantei.go[...]
[13] 뉴스 衆議院補欠選挙 立民 3選挙区すべて勝利 自民は議席失う NHK 2024-04-28
[14] 웹사이트 H.R. by-elections https://www3.nhk.or.[...]
[15] 웹사이트 by-elections https://www.nhk.or.j[...]
[16] 웹사이트 Complete results of the 26th regular election https://www.soumu.go[...]
[17] 서적 Mixed-Member Electoral Systems in Constitutional Context: Taiwan, Japan and Beyon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6
[18] 뉴스 09年衆院選は違憲状態=1人別枠方式「平等に反する」-廃止要請・最高裁大法廷 http://www.jiji.com/[...] Jiji Tsūshin 2011-03-23
[19] 뉴스 衆院定数10減決まる 選挙制度改革まとめ http://www.nikkei.co[...] Nihon Keizai Shimbun 2017-03-15
[20] 웹사이트 衆議院小選挙区の区割りの改定等について http://www.soumu.go.[...]
[21] 뉴스 Japan's 2 Diet chambers both ruled all but 'unconstitutional' http://ajw.asahi.com[...] Asahi Shimbun 2012-10-18
[22] 뉴스 Supreme Court assails vote disparity in 2013 election but doesn’t nullify results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4-11-26
[23] 뉴스 2016参院選:「1票の格差」一斉提訴 最大3.08倍、無効訴え 14高裁・支部 https://mainichi.jp/[...] Mainichi Shimbun 2016-07-12
[24] 웹사이트 Voter statistics as of September 2, 2016 http://www.soumu.go.[...] 2019-12-27
[25] 웹사이트 Voter statistics as of September 2, 2016 http://www.soumu.go.[...] 2016-12-27
[26] 뉴스 Some election campaign rules outdated, quirky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12-12-11
[27] 웹사이트 按分票とはなんですか? https://www.city.ner[...] Nerima, Tokyo city electoral commission 2021-05-17
[28] 웹사이트 按分票 https://kotobank.jp/[...] kotobank.jp (Voyage Marketing) 2021-05-17
[29] 웹사이트 地方公共団体の議会の議員及び長の選挙に係る電磁的記録式投票機を用いて行う投票方法等の特例に関する法律 http://law.e-gov.go.[...] 2009-09-26
[30] 웹사이트 電磁的記録式投票制度について http://www.soumu.go.[...]
[31] 뉴스 全国初の電子投票ルポ 岡山・新見市 http://www.kobe-np.c[...] Kōbe Shimbun 2002-06-28
[32] 웹사이트 期日前投票制度 http://www.soumu.go.[...]
[33] 뉴스 期日前投票、2137万人で過去最多 https://www.nikkei.c[...] Nihon Keizai Shimbun 2017-10-22
[34] 뉴스 期日前投票は1706万人で過去最多 https://r.nikkei.com[...] Nihon Keizai Shimbun 2019-07-21
[35] 웹사이트 kōshoku-senkyo-hō http://elaws.e-gov.g[...]
[36] 뉴스 41 prefectural assembly elections: number of walkovers at all-time high https://www3.nhk.or.[...] NHK News 2019-03-29
[37] 뉴스 Low turnout, poor competition mar local elections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9-03-22
[38] 웹사이트 選挙の種類 https://www.soumu.go[...] 総務省 2018-03-04
[39] 웹사이트 日本国憲法第7条
[40] 웹사이트 参議院選挙って? http://www.akaruisen[...] 公益財団法人 明るい選挙推進協会 2019-08-02
[41] 웹사이트
[42] 간행물 民進党規約 https://www.minshin.[...] 民進党 2016-03-27
[43] 뉴스 無所属なのに党役員ってどういうこと? こんな脱法行為を是とする民進党に立憲主義を掲げる資格があるの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4-12
[44] 뉴스 立民から国民に実質1議席移る珍事…旧立民の名簿で次点、国民の山崎摩耶氏が繰り上げ当選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1-08-06
[45] 뉴스 須藤元気氏、補選に出馬表明 衆院東京15区、無所属 https://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24-04-03
[46] 뉴스 市井紗耶香氏、本人が繰り上げ当選を辞退しても”強制的に”参議院議員に…辞職するまで歳費はいくら支払われる?(全文) https://www.dailyshi[...] デイリー新潮 2024-04-24
[47] 뉴스 元モー娘。の市井紗耶香氏は93分で「前」議員に 過去の参院最短記録40日を大幅更新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4-04-26
[48] 뉴스 元モー娘・市井紗耶香氏が繰り上げ当選で日給7万6466円の〝一日だけ参院議員〟 立憲・泉健太代表「超党派で改善したい」 https://www.tokyo-sp[...] 東スポWEB 2024-04-25
[49] 웹사이트
[50] 뉴스 選挙権年齢「18歳以上」に 改正公選法が成立 https://web.archive.[...] 47NEWS 2015-06-17
[51] 뉴스 成年被後見人に選挙権 今夏の参院選から適用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5-27
[52] 웹사이트 減り続ける投票所と投票時間 投票率の向上に識者「ネット活用」を提案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1-11-04
[53] 웹사이트 長野市内の投票所 閉鎖時間の午後8時に入場待ち 開票作業遅れの一因に https://www.shinmai.[...] 信濃毎日新聞 2021-11-04
[54] 웹사이트 くじ引きで当落を決定 姫島村村議会議員選挙 https://tosonline.jp[...] TOSオンライン 2023-04-25
[55] 웹사이트 えっ!当選人が「くじ」で決まる https://www.city.kaw[...] 川崎市選挙管理委員会事務局選挙部選挙課 2023-04-25
[56] 웹사이트 階上町議会議員選挙 くじで最後の1議席決まる https://www3.nhk.or.[...] NHK 2023-04-25
[57] 웹사이트 最後の1議席 得票同数でくじ引き 旭市議選 https://www.chibanip[...] 千葉日報 2023-04-25
[58] 웹사이트 市議選得票同数でくじ引き、「1票重い」と号泣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3-04-25
[59] 웹사이트 得票数が同じに…1年余続いた市議選の最下位当選争い『くじ引き』で決着 落選者も「ある意味スッキリした」 https://www.tokai-tv[...] 東海テレビ 2023-04-25
[60] 웹사이트 最後の1議席くじ引きで決定 京都の町議選、落選候補「運だから仕方がない」 https://www.sankei.c[...] 産経WEST 2023-04-25
[61] 웹사이트 大阪・富田林市議選 18人目は得票同数、くじ引きで当選者決定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3-04-25
[62] 웹사이트 【朝刊先読み!】最終議席は「くじ引き」 島根県知夫村議選 当選者の父も経験 https://www.sanin-ch[...] 山陰中央新報 2023-04-25
[63] 웹사이트 佐賀・上峰町議選、くじ引きで最後の1議席決定…同じ得票数で並び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3-04-25
[64] 웹사이트 得票同数…熊本市議選、決着は"くじ引き" https://news.ntv.co.[...] 日本テレビ 2023-04-25
[65] 웹사이트 国会議員の選挙等の執行経費の基準に関する法律施行令(平成十九年政令第百二十二号)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07
[66] 웹사이트 選挙執行委託費 https://web.archive.[...] 財務省 2017-10-14
[67] 웹사이트 第1会場評価結果・議事概要 https://web.archive.[...] 内閣府行政刷新会議事務局 2017-10-14
[68] 웹사이트 選挙の歴史 http://www.pref.fuku[...] 福井県選挙管理委員会事務局 2016-12-18
[69] 웹사이트 地方自治制度の歴史 https://www.soumu.go[...] 総務省 2016-12-18
[70] 웹사이트 『函館市史』通説編2 4編1章2節3 http://archives.c.fu[...] 2021-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