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종 (고려 10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종은 고려의 제10대 국왕으로, 현종과 원성왕후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034년 덕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며, 노비종모법 부활, 장자상속법 제정 등 제도 개편을 추진했다. 또한, 거란의 위협에 대응하여 천리장성을 축조하고, 요나라와 화친을 맺기도 했다. 정종은 병세가 악화되자 이복 동생 휘(문종)에게 국정을 맡기고 선위한 후 사망했으며, 능은 주릉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46년 사망 - 후지와라노 사네스케
    후지와라노 사네스케는 일본 헤이안 시대의 귀족으로, 90세까지 장수하며 50년 동안 일기 《쇼유키》를 작성했고, 우다이진에 임명되어 종1위에 서임되었다.
  • 1046년 사망 - 오르세올로 페테르
    오르세올로 페테르는 베네치아 출신으로 헝가리 왕위를 계승했으나, 실정으로 인해 폐위와 복위를 반복하다가 이교도 반란으로 추방당한 11세기 헝가리의 왕이다.
  • 1018년 출생 - 교황 빅토르 2세
    교황 빅토르 2세는 1055년부터 1057년까지 재위했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추천으로 교황이 되어 성직 매매 금지, 황제의 대리인 역할, 하인리히 4세의 후견인 역할을 수행하다가 말라리아로 사망했다.
  • 1018년 출생 - 하르다크누트
    하르다크누트는 아버지 크누트 대왕 사후 덴마크 왕위에 올랐고, 잉글랜드 왕위 계승을 두고 다투었으며, 높은 세금 부과와 가혹한 통치로 백성들의 불만을 샀지만 2년 만에 사망하여 덴마크 왕조 몰락의 시발점이 되었다.
  • 11세기 한국의 군주 - 현종 (고려)
    현종은 고려 제8대 국왕으로, 왕위에 올라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 국방을 강화했으며, 중앙집권화 추진과 연등회 및 팔관회 부활 등 문화 사업에도 힘썼다.
  • 11세기 한국의 군주 - 덕종 (고려)
    덕종은 고려 제10대 임금으로, 천리장성 축조 시작과 국사 편찬 완료 등의 치적을 남겼으나 아들이 없어 동생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정종 (고려 10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정종
한자靖宗
로마자 표기Jeongjong
국왕으로서의 호칭국왕
묘호정종(靖宗)
시호홍효안의강헌영렬문경용혜대왕(弘孝安毅康獻英烈文敬容惠大王)
왕형(王亨)
출생1018년 8월 31일
출생 장소고려 개경 연경궁
사망1046년 6월 24일 (27세)
사망 장소고려 개경 법운사
능묘주릉(周陵)
아버지현종
어머니원성왕후
왕조고려
왕가
재위 정보
즉위1034년 10월 31일
퇴위1046년 6월 24일
대수제10대
즉위 장소개경 중광전, 고려
이전 통치자덕종
다음 통치자문종
가족 관계
왕후용신왕후 한씨 (1035년 결혼)
용의왕후 한씨 (1038년 결혼)
용목왕후 이씨
후궁영절덕비 연흥궁주 (1040년 결혼, 1046년 사망)
연창궁주
자녀아들: 왕형
아들: 애상군 왕방
아들: 낙랑후 왕경
아들: 개성후 왕개
딸: 도애공주
기타 정보
천리장성압록강에서 동해안까지 연결

2. 생애

1034년 덕종이 사망하자 왕위에 올랐다. 1039년 노비종모법을 정했고, 1046년 장자상속법을 제정했다.[1]

2. 1. 생애 초반

1018년 현종과 원성왕후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1] 1022년 내사령 평양군(內史令 平壤君)에 봉해졌고,[1] 1027년 개부의동삼사검교태사 겸 내사령(開府儀同三司檢校太師 兼 內史令)에 임명되었다.[1] 1034년 동복형 덕종이 죽자 그 유언으로 왕위를 승계하였다.[1]

연도사건
1018년현종과 원성왕후 김씨 사이에서 태어남[1]
1022년내사령 평양군에 봉해짐[1]
1027년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겸 내사령에 임명됨[1]
1034년덕종을 이어 고려 왕이 됨[1]


2. 2. 재위 기간

1018년 현종과 원성왕후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1] 1022년 내사령 평양군에 봉해졌으며, 1027년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겸 내사령에 임명되었다.[1] 1034년 덕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1] 1039년 노비종모법을 정했고,[1] 1046년 장자상속법을 제정했다.[1]

2. 2. 1. 즉위 초반

1034년 덕종을 이어 고려 왕위에 올랐다.[1] 즉위년 11월 팔관회를 열었을 때 송나라 상인들과 동·서여진(東西女眞) 및 탐라국에서 토산물을 바쳤는데, 이후 이들 동, 서 여진의 사신 및 탐라국 사절단에게도 팔관회를 관람하도록 규정을 만들었다.[1]

1035년 서북로(西北路) 함경남도 송령(松嶺, 함흥 부근)에 장성을 쌓아 변방의 수비를 강화했고, 지금의 평안북도 창성(昌城)에 성을 쌓아 창주(昌州)라 하고 백성을 이주하여 살게 했다.[1] 1036년 제위군(諸衛軍)에게 토지를 더 지급하여 변경의 방비를 맡게 하였다.[1]

1036년 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을 수리하여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에게 무료로 의복과 옷을 지어주게 하였다.[1]

2. 2. 2. 거란과의 관계

거란의 계속된 위협으로 1037년 압록강 일대에서 거란의 침입을 받자, 강화 회담을 체결하여 한동안 단절되었던 조공을 다시 바치기로 하여 거란과 화친을 맺었으며, 1038년부터는 거란의 연호를 사용하였다.[1] 1039년 거란 요나라 황제로부터 책봉교서를 받았다.[1]

그러나 비밀리에 백성들을 징발하여 정변진(靜邊鎭)·숙주(肅州)·영원(寧遠)·평로(平虜)·장주(長州)·정주(定州)·원흥진(元興鎭) 등에 계속 성을 수축하게 하였는데, 1044년 천리장성을 완공케 했다.[1]

2. 2. 3. 제도 개편

1046년 장자상속법을 제정했다.[1] 또한 5역(五逆), 5천(五賤), 불충·불효한 자와 향(鄕)·부곡인(部曲人)·악공(樂工)·잡류(雜類) 들의 자손들이 과거에 응시하는 것을 금지하고 박탈했다.[1] 예학 관련 서적의 반포를 명하여 그해 〈예기정의 禮記正義〉·〈모시정의 毛詩正義〉 등을 간행하였다.[1]

2. 3. 사망

정종은 병이 위독해지자 이복 동생 휘(문종)에게 임시로 국정을 맡게 하고, 이후 그에게 선위하고 붕어하였다. 정종의 능은 개경부 북효의 주릉인데, 그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나 2016년 6월 28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개성시 해선리 소재지에서 북동쪽으로 4km 떨어진 곳에서 1릉과 2릉, 총 2개의 왕릉을 발견했고, 그중 1릉은 숙릉으로, 2릉은 주릉으로 확정되었다고 발표했다. 2릉(주릉)의 크기는 남북 3.56m, 동서 3.38m, 높이 2.2m이다.[4]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생몰년비고
조부안종? ~ 996년태조의 아들, 헌정왕후와 사통하여 현종을 낳음. 성종의 명으로 왕으로 추존
조모헌정왕후? ~992년 이전태조의 아들 대종의 딸, 경종의 왕후, 성종의 여동생
외조부김은부? ~ 1017년원성왕후, 원혜왕후, 원평왕후의 아버지
외조모안산군대부인 이씨? ~ ?이허겸의 증손녀, 이품언의 조카
현종992년 ~ 1031년고려 제8대 왕
원성왕후? ~ 1028년덕종과 정종의 어머니


3. 1. 부모

아버지현종
어머니원성왕후


3. 2. 왕비와 후궁

시호본관생몰년부모비고
제1비용신왕후 한씨단주미상 - 1036년한조
미상
문종 2년(1048년) 추존
제2비용의왕후 한씨단주미상한조
미상
제3비용목왕후 이씨이씨미상이품언
미상
덕종 비 이씨와 자매
제4비용절덕비 김씨경주미상 - 1102년김원충
미상
문종 비 인목덕비와 자매
궁주연창궁주 노씨미상미상 - 1048년미상


3. 3. 자녀

정종의 자녀
봉호이름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군1035년 - 미상용신왕후 한씨미상
애상군미상용의왕후 한씨미상
낙랑후미상용의왕후 한씨미상
개성후미상 - 1062년용의왕후 한씨미상



정종은 4명의 왕후와 2명의 궁주를 두었으며, 이들로부터 4남 1녀를 얻었다.


  • 용신왕후 한씨 ( ? ~ 1036년 )

:* 왕형

  • 용의왕후 한씨 (용신왕후 한씨와 자매)

:* 왕방

:* 왕경

:* 왕개
:* 도애공주

참조

[1] 뉴스 천리장성 https://www.jeollail[...] 호남제일문 2017-05-25
[2] 뉴스 북한의국보(16) 고려의 기상이 서려있는 '천리장성'...압록강에서 동해안까지 연결 https://www.snkpress[...] 남북경협 뉴스 2023-09-14
[3] 서적 고려사
[4] 뉴스 북한 "개성에서 고려시대 왕릉 2기 새로 발견" https://news.naver.c[...]
[5] 문서 이허겸의 딸. 이자연(고려)의 고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