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보통선거법 제정 이후 처음으로 실시된 선거로, 1928년에 치러졌다. 이 선거는 중선거구제를 기반으로 25세 이상 모든 남성에게 선거권이 주어져 유권자 수가 대폭 증가했다. 선거 결과, 집권 여당인 입헌정우회와 야당인 입헌민정당이 거의 동등한 의석을 확보하며, 무산정당의 원내 진출도 이루어졌다. 이 선거 이후, 다나카 기이치 내각이 붕괴되고 하마구치 오사치가 내각을 구성하는 등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8년 2월 - 1928년 동계 올림픽
    1928년 동계 올림픽은 스위스 장크트모리츠에서 개최되었으며, 25개국이 참가하여 8개 종목에서 메달 경쟁을 벌였고, 노르웨이가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소냐 헤니가 여자 피겨 스케이팅에서 우승했다.
  • 1928년 선거 - 1928년 프랑스 총선
    1928년 프랑스 총선은 프랑스 제3공화국 시기에 실시된 선거로, 공화급진사회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하고 민주공화연합이 득표율 1위를 기록하며 총 604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 1928년 선거 - 1928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928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1928년 11월 6일에 실시되어 공화당이 압승하며 다수당의 위치를 확고히 했고, 금주법, 종교, 경제 문제 등이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제1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도 정보
선거 개요
국가일본 제국
선거 종류총선
이전 선거1924년
이전 선거 연도1924년
선거일1928년 2월 20일
다음 선거1930년
다음 선거 연도1930년
선출 의석수466석 (중의원 전체)
과반 의석수234석
주요 정당별 결과
제1당 대표다나카 기이치
제1당입헌정우회
다나카 기이치
다나카 기이치
제1당 이전 선거22.41%, 103석
제1당 당선 의석217석
제1당 의석 변동114
제1당 득표수4,244,385표
제1당 득표율43.06%
제1당 득표율 변동20.86pp
제2당 대표하마구치 오사치
제2당입헌민정당
하마구치 오사치
하마구치 오사치
제2당 이전 선거존재하지 않았음
제2당 당선 의석216석
제2당 의석 변동신설
제2당 득표수4,251,771표
제2당 득표율43.14%
제2당 득표율 변동신설
총리 정보
선거 전 총리다나카 기이치
선거 전 총리 소속 정당입헌정우회
선거 후 총리다나카 기이치
선거 후 총리 소속 정당입헌정우회
선거 결과 상세 (일본어 문서 기반)
선거 배경보통선거 해산
입헌정우회 대표 선거구불출마 (귀족원 의원)
입헌정우회 이전 선거 의석190석
입헌정우회 획득 의석218석
입헌정우회 의석 증감28
입헌민정당 대표 선거구고치 1구
입헌민정당 이전 선거신당
입헌민정당 이전 선거 의석219석
입헌민정당 획득 의석216석
입헌민정당 의석 증감[[파일:Decrease2.svg|11px|alt=}|link=|}]]3
실업동지회 대표무토 산지
무토 산지
무토 산지
실업동지회 대표 선거구오사카 2구
실업동지회 이전 선거8석
실업동지회 이전 선거 의석8석
실업동지회 획득 의석4석
실업동지회 의석 증감[[파일:Decrease2.svg|11px|alt=}|link=|}]]4
사회민중당 대표아베 이소오
아베 이소오
아베 이소오
사회민중당 대표 선거구도쿄 2구
사회민중당 이전 선거신당
사회민중당 이전 선거 의석null
사회민중당 획득 의석4석
사회민중당 의석 증감4
혁신당 대표불명
이미지 없음 (남성)
이미지 없음 (남성)
혁신당 대표 선거구null
혁신당 이전 선거신당
혁신당 이전 선거 의석null
혁신당 획득 의석3석
혁신당 의석 증감3
노동농민당 대표오야마 이쿠오
오야마 이쿠오
오야마 이쿠오
노동농민당 대표 선거구가가와 2구
노동농민당 이전 선거신당
노동농민당 이전 선거 의석null
노동농민당 획득 의석2석
노동농민당 의석 증감2
일본노농당 대표미와 주소
미와 주소
미와 주소
일본노농당 대표 선거구불출마
일본노농당 이전 선거신당
일본노농당 이전 선거 의석null
일본노농당 획득 의석1석
일본노농당 의석 증감1
규슈민헌당 대표아사하라 겐조
아사하라 겐조
아사하라 겐조
규슈민헌당 대표 선거구후쿠오카 2구
규슈민헌당 이전 선거신당
규슈민헌당 이전 선거 의석null
규슈민헌당 획득 의석1석
규슈민헌당 의석 증감1
선거 상황 (일본어 문서 기반)
1928년 일본 총선거, 정당별 득표율
각 선거구における党派別獲得議席及び得票率
与党
立憲政友会

野党
立憲民政党 実業同志会 社会民衆党 革新党
労農党 日本労農党 無所属

2. 선거 배경

1925년 가토 다카아키 내각 하에서 보통선거법이 제정되어, 납세 자격 제한 없이 25세 이상 모든 남성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이는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흐름과 제2차 호헌 운동의 영향으로 민주주의 확대 요구가 높아진 결과였다. 이미 일부 지방 의회 선거에서는 1925년부터 보통 선거가 실시되고 있었다.[4]

당시 일본에서는 여당이 내무대신의 지휘 아래 내무 차관, 경보국장, 경시총감 (소위 '내무 삼역')을 동원하여 선거에 간섭, 여당을 승리로 이끄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나카 기이치 내각 역시 스즈키 기사부로 내무대신 지휘 하에 대규모 선거 간섭을 실시했고, 이에 야당인 입헌 민정당은 당내 선거 혁정 위원회를 설치하여 대응했다.

선거 결과, 여당 입헌 정우회는 218석, 제1야당 입헌 민정당은 216석을 얻어 어느 쪽도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다. 나머지 32석은 캐스팅 보트를 쥔 상황이 되었다.

노동농민당 (노농당), 일본노농당, 사회민중당, 일본 농민당 등 무산 정당은 후보를 내세워 8석을 획득했다. 다나카 내각은 이들 무산 정당을 보통 선거로 합법화하는 한편, 총선거 직후인 1928년 3월 15일 치안유지법으로 일본 공산당을 탄압했다("'''3·15 사건'''").

2. 1. 선거 제도

1925년 선거 개혁 이후, 중의원 의원 466명은 3명에서 5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중선거구제 방식으로 선출되었다.[4] 이전에는 연간 3엔 이상의 직접세를 납부하는 25세 이상 남성에게만 투표권이 주어졌으나, 개혁을 통해 납세 자격 요건이 폐지되었다.[4] 그 결과, 유권자 수는 1924년 선거의 약 330만 명에서 약 1,240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4]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발흥과 제2차 호헌 운동으로 성립된 가토 다카아키 수상가토 다카아키 내각은 납세액에 따른 제한 선거를 철폐하고, 25세 이상 모든 남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하는 보통 선거를 실현했다. 이미 1925년에 지방 의회 선거에서 보통 선거가 도입되었으며, 홋카이도삿포로시, 아사히카와시, 무로란시, 오타루시, 하코다테시, 시즈오카현하마마츠시 등 일부 시와 교토부마이즈루정, 니가타현쇼세 촌, 오카야마현카모가타정 등 15개 정촌에서 실시된 바 있다.

이 선거부터 소선거구제에서 중선거구제로 변경되었으며, 1993년 제40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까지 중선거구제가 유지되었다 (대선거구 제한 연기제로 치러진 제2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제외).

3. 주요 정당 및 후보

다나카 기이치 내각은 여당인 입헌정우회를 이끌었다.

4. 선거 운동

일본 최초의 보통 선거에서는 여당이 내무대신의 지휘 아래 내무차관, 경보국장, 경시총감(소위 내무삼역)을 동원하여 선거에 간섭하고 여당을 승리로 이끄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실제로 다나카 기이치 내각스즈키 기사부로 내무대신의 지휘 아래 대규모 선거 간섭을 실시했다.[5] 이에 맞서 야당인 입헌민정당은 당내에 선거 혁정 위원회를 설치하여 선거 간섭에 대응했다.

이 선거부터 선거 포스터가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는데, 세로 3척 1촌(약 94센티미터)×가로 2자 1촌(약 64센티미터)으로 규격은 정해졌지만, 수량이나 게시 장소, 내용에는 제한이 없었다. 따라서 정책보다는 이름을 알리거나 정에 호소하는 내용, 상대 정당을 비판하는 풍자화도 많았다.[5]

5. 선거 결과

1928년 2월 20일에 실시된 제1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입헌정우회입헌민정당 양대 정당이 거의 비슷한 수의 의석을 차지하여 어느 쪽도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다. 노동농민당, 사회민주당 등 무산정당이 총 8석을 획득하여 원내 진출에 성공했다. 이로 인해 소수 정당 및 무소속 의원들이 캐스팅 보트를 쥐게 되는 헝 의회(Hung Parliament) 상황이 만들어졌다.

전체 투표율은 80.33%로, 1924년 제15회 총선거의 투표율 91.18%[1]보다 10.85%p 감소했다.

정당별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

정당득표수득표율(%)
입헌정우회4,244,38540.7%
입헌민주당4,251,77140.8%
노동농민당184,0401.8%
실업동지회166,2501.6%
사회민주당120,0441.2%
일본노동농민당94,6260.9%
혁신당81,3240.8%
일본농민당44,0000.4%
기타669,7566.4%
무효111,8881.0%
총계10,423,696100.0%


5. 1. 개표 결과

정당의석수
입헌정우회218석
입헌민정당217석
실업동지회4석
사회민중당4석
혁신구락부3석
노동농민당2석
일본노농당1석
규슈민헌당1석
무소속16석
합계466석



자료에 따라 입헌정우회는 217석, 입헌민정당은 216석, 무소속은 18석으로 기록된 경우도 있다.


5. 2. 득표율

1928년 2월 20일에 실시된 제1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투표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투표율은 80.33%로, 1924년 제15회 총선거의 투표율 91.18%[1]보다 10.85%p 감소했다.

정당별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

정당득표수득표율(%)
입헌정우회4,244,38540.7%
입헌민주당4,251,77140.8%
노동농민당184,0401.8%
실업동지회166,2501.6%
사회민주당120,0441.2%
일본노동농민당94,6260.9%
혁신당81,3240.8%
일본농민당44,0000.4%
기타669,7566.4%
무효111,8881.0%
총계10,423,696100.0%


5. 3. 분석

입헌정우회입헌민정당 양대 정당이 거의 비슷한 수의 의석을 차지하면서, 어느 쪽도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다. 노동농민당, 사회민주당 등 무산정당이 총 8석을 획득하여 원내 진출에 성공했다. 이로 인해 소수 정당 및 무소속 의원들이 캐스팅 보트를 쥐게 되는 헝 의회(Hung Parliament) 상황이 만들어졌다.


6. 선거 이후

1928년 6월, 만주에서 군벌 장쭤린이 일본군에 의해 암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장쭤린 폭사 사건) 다나카 기이치는 이 사건에 대해 군부를 비난했으나, 지지를 잃고 1929년 7월에 사임했다. 이후 하마구치 오사치가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였다.[1]

6. 1. 정치적 영향

다나카 기이치 내각은 장쭤린 폭사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다.[1] 하마구치 오사치가 총리가 되어 입헌민정당 중심의 새 내각이 구성되었다.[1]

6. 2. 사회적 영향

第16回衆議院議員総選挙일본어에서는 중선거구제와 함께 만 25세 이상의 남성에게만 투표권이 주어지는 보통 선거가 실시되었다. 유권자 수는 12,408,678명이었으며, 투표율은 80.33%로 이전 선거에 비해 10.85% 감소했다.[1]

7. 평가와 의의

제1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일본 역사상 최초로 보통 선거가 실시된 선거로, 일본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다나카 기이치 내각의 대규모 선거 간섭 의혹은 민주주의 선거의 공정성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으며, 선거 이후 3.15 사건을 통한 일본 공산당 탄압은 정치적 자유를 억압했다는 비판도 받는다.[6]

7. 1. 긍정적 평가

제1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일본 역사상 최초로 보통 선거가 실시된 선거로, 일본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선거를 통해 남성 참정권이 확대되면서, 더 많은 일본 국민들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6]

7. 2. 부정적 평가

다나카 기이치 내각의 대규모 선거 간섭 의혹은 민주주의 선거의 공정성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는다.[6] 선거 이후 3.15 사건을 통한 일본 공산당 탄압은 정치적 자유와 민주주의 발전을 억압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7. 3. 종합적 평가

제1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일본 민주주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되지만, 동시에 여러 한계점도 드러냈다. 특히, 선거 제도 개선, 공정성 확보, 정치적 자유 보장 등은 앞으로 일본 민주주의가 발전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게 되었다.

8.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The International Almanac of Electoral History Macmillan 1991
[2] 논문 The Japanese General Election of 1928 https://www.cambridg[...] 1928
[3] 논문 Labor Parties in Japan https://www.cambridg[...] 1929
[4] 문서
[5] 뉴스 【はじまりを歩く】選挙ポスター(東京都)「御同情ヲ!」必死さ前面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7-30
[6]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