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입헌민정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입헌민정당은 1927년 헌정회와 정우본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일본의 정당이다. '자유'와 '진보'를 이념으로 내세우며 의회 중심 정치를 표방했으나, 일본 제국주의 팽창 정책을 정당화하고 한국을 비롯한 식민지에 대한 수탈을 강화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1928년 총선에서 217석을 얻었으며, 1930년 총선에서는 273석으로 압승하여 하마구치 오사치가 내각총리대신이 되었다. 이후 군부의 대두와 함께 세력이 약화되었고, 1940년 대정익찬회에 흡수되어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7년 설립된 정당 - 철위대
    철위대는 1927년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가 창설한 루마니아의 극우 민족주의 단체로, 반유대주의, 반공주의, 극단적 민족주의를 표방하며 농민과 학생층의 지지를 얻었으나 폭력적인 행태를 보이다 몰락했다.
  • 1940년 해산된 정당 - 입헌정우회
    입헌정우회는 1900년 이토 히로부미가 창당한 일본 정당으로, 게이엔 시대를 거치며 원내 제1당 지위를 유지하고 하라 다카시 시대에는 정당 내각을 구성하는 등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후 분열과 군부 영향력 확대로 1940년 해산되었다.
  • 1940년 해산된 정당 - 사회주의혁명당
    사회주의혁명당은 1900년대 초 러시아에서 결성되어 농민 사회주의를 주창하며 1905년 혁명과 1917년 제헌 의회 선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볼셰비키 혁명 이후 분열과 탄압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상실하고 당원들은 망명하거나 숙청당했다.
  • 쇼와 시대의 정치 (일본 제국) - 마쓰에 소요 사건
    마쓰에 소요 사건은 1945년 일본 항복 직후 마쓰에시에서 극우 단체 황국의용군이 일으킨 봉기로, 현청 방화 등 주요 시설 공격으로 민간인 사망과 시설 피해를 야기하며 종전 직후 사회 혼란과 극단적 민족주의 잔재를 드러낸 사건이다.
  • 쇼와 시대의 정치 (일본 제국) - 입헌정우회
    입헌정우회는 1900년 이토 히로부미가 창당한 일본 정당으로, 게이엔 시대를 거치며 원내 제1당 지위를 유지하고 하라 다카시 시대에는 정당 내각을 구성하는 등 전성기를 맞았으나, 이후 분열과 군부 영향력 확대로 1940년 해산되었다.
입헌민정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입헌민정당 본부
입헌민정당 본부
창립일1927년 6월 1일
해산일1940년 8월 15일
전신 정당헌정회
정우본당
합병 정당대정익찬회
후계 정당익찬의원동맹 (사실상). 인맥적으로는 익찬정치회 → 대일본정치회 → 일본진보당 → 민주당 → 국민민주당 → 개진당 → 일본민주당 → 자유민주당
본부 위치사쿠라다초, 시바구, 도쿄시
기관지『민정』
정치 이념중도 - 중도좌파
자유주의
보수주의
진보주의
의회 중심주의
지도자하마구치 오사치
와카쓰키 레이지로
마치다 추지
영어 명칭
당명Constitutional Democratic Party

2. 정강

입헌민정당은 다음과 같은 정강을 내세웠다.[29]

# 국민의 총의를 제국 의회에 반영하여 천황 통치 하에 의회 중심 정치를 철저히 할 것.

# 국가의 조절에 의해 생산을 왕성하게 하고 분배를 공정하게 하여 사회 불안의 화근을 제거할 것.

# 국제 정의를 국교 위에 관철하고 인종 평등, 자원 공개의 원칙을 확대할 것.

# 품성을 도야하고 독창적이고 자발적인 개성을 계발하며 학습의 기회를 균등하게 하여 진취적으로 교육의 실제화를 기할 것.

# 입법, 행정 및 지방 자치에 침윤된 시대착오적인 폐습을 타파하여 새롭게 일어나는 기운에 순응하는 개조의 실현을 기할 것.

이 정강은 표면적으로는 진보적인 가치를 담고 있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일본 제국주의의 팽창 정책을 정당화하고, 한국을 비롯한 식민지에 대한 수탈을 강화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3. 이념

입헌민정당은 '의회 중심 정치'를 표방하며, 귀족원보다 중의원의 우위를 주장했다.[38][27] 이는 경쟁 정당인 입헌정우회가 '천황 중심주의'를 내세운 것과 대비된다.[26] 정책 입안 및 홍보 책임자였던 나카노 세이고는 "입헌민정당은 보통 선거의 원활한 운영을 통해 강력한 '의회 중심 정치'를 시행할 것이다"라고 선언했다.[28]

입헌민정당은 '자유'와 '진보'를 당의 기본 이념으로 내걸고,[18] 자유주의적인 정당이었다.[31] 관료 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점진적인 민주화를 목표로 했는데, 이는 당내에 관료 출신 의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4. 역사

1927년 6월 1일, 헌정회와 정우본당이 합당하여 입헌민정당이 창당되었다.[3] 하마구치 오사치가 총재를 맡고, 와카쓰키 레이지로, 야마모토 다쓰오, 도코나미 다케지로, 아다치 겐조, 고이즈미 마타지로, 사이토 다카오 등이 지도부에 참여했다. 입헌민정당의 당 강령은 경쟁 정당인 입헌정우회보다 자유주의적이었으며, 일본 제국 의회 중심 통치, 부의 불평등 해소, 국제 협력, 개인의 자유 보호 등을 주장했다.[4]

1928년 총선거에서 입헌민정당은 중의원 217석을 얻어 정우회(218석)와 교착 상태를 만들었다. 1930년 총선거에서는 273석을 획득하여 정우회(174석)를 크게 앞지르고 하마구치 오사치내각총리대신이 되었다. 하마구치 내각은 1929년 주식 시장 붕괴에 대응하여 긴축 재정, 통화량 조절, 수출 증진, 고정 환율 복귀를 통한 대외 투자 안정화를 추진했다.[6]

또한, 입헌민정당은 화해적 외교 정책을 옹호하며 1930년 런던 해군 군축 조약을 비준했다. 그러나 1930년 11월 14일, 하마구치는 도쿄역에서 우익 단체 일원에게 총격을 받아 사망했고,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총리직을 대행했다.

1931년, 입헌민정당은 일본 제국 육군이 조작한 만주 사변에 강력히 반대했다.[7] 시데하라 기주로 외무대신과 와카쓰키 총리는 군 개입에 대한 비판과 부패 혐의로 1931년 내각이 붕괴되었다.

1932년 총선거에서 정우회가 301석으로 다수당이 되었고, 이누카이 쓰요시가 총리가 되었다. 1936년 총선거에서 입헌민정당은 친군부적 입장으로 정우회(175석)보다 많은 205석을 얻었으나, 다시 교착 상태가 발생했다. 1937년 총선거에서는 입헌민정당 179석, 정우회 175석으로 의회 마비가 지속되었다.

1940년 8월 15일, 입헌민정당은 고노에 후미마로의 일당 체제 수립에 따라 대정익찬회에 자진 해산했다.[11]

1925년부터 1932년까지 입헌정우회양당제를 형성했다.[32][33] 대일본 제국 헌법 하에서 천황이 원로의 조언에 따라 총리 후보에게 조각을 명하는 대명 강하 방식으로, 가토 다카오 내각부터 이누카이 내각까지 양당 총재에게 대명이 내려지며 정권을 교체했다.[34][36]

입헌민정당은 도시 중간층의 지지를 받았고, 미쓰비시 재벌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정치 자금을 지원받았다.[39][40]

4. 1. 결성 (1927년)

1927년, 정우회다나카 기이치 내각에 대항하기 위해 제1차 와카쓰키 내각을 구성했던 헌정회와 내부 대립으로 정우회를 이탈했던 도코나미 다케지로 등이 창당한 정우본당이 합당하여 입헌민정당이 만들어졌다.[3]

도쿄부 우에노 세이요켄에서 창당식을 열어 하마구치 오사치를 총재로 추대하고 와카쓰키 레이지로, 도코나미 다케지로, 야마모토 다쓰오, 다케토미 도키토시를 간사장으로, 아다치 겐조, 마치다 추지, 고이즈미 마타지로, 사이토 다카오 등을 총무위원으로 선임했다.[3]

1928년 2월 20일에 실시된 제1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다나카 기이치 내각의 내상 스즈키 기사부로로부터, "민정당이 내건 의회 중심주의는 헌법 위반이다"라는 비방과 선거 간섭을 받았지만, 입헌 정우회에 불과 1석 차이까지 육박하는 216석을 획득하여 정부를 몰아냈다.[41]

4. 2. 정당 정치와 민정당 내각 (1929년 ~ 1931년)

1928년 총선거에서 입헌민정당은 입헌정우회보다 1석 적은 216석을 얻었지만, 1930년 총선거에서는 273석을 획득하여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5] 이에 하마구치 오사치내각총리대신이 되어 내각을 구성했다.[5] 하마구치 내각은 금 해금을 단행하고 기강 숙정과 군축 실현을 목표로 내걸었다.

그러나 런던 해군 군축 회담에서 통수권 간범 문제가 발생했고, 1930년 11월 14일 하마구치는 도쿄역에서 우익 인사의 저격을 받았다.[5]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총재직을 승계하여 1931년 4월 4일 두 번째 내각을 구성했지만,[5] 만주사변대공황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었다.[7]

이 시기, 입헌민정당은 한국에 대한 경제 수탈을 강화하고, 독립운동을 탄압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4. 3. 중간 내각과 군부의 대두 (1932년 ~ 1937년)

5·15 사건으로 이누카이 쓰요시 총리가 암살되면서 일본의 정당 정치는 사실상 막을 내렸다.[34],[36] 이후 사이토 마코토, 오카다 내각 등 군인 출신 총리가 이끄는 중간 내각이 들어섰다. 입헌민정당은 이들 내각에 참여하여 여당 지위를 유지했지만, 군부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정당의 위상은 약화되었다.

1933년, 마치다 주지는 당내 싱크탱크인 '정무조사관'을 발족시키고, 우가키 가즈시게 전 육군대신과의 제휴를 모색했다. 그러나 입헌정우회 총재 스즈키 기사부로가 과거 민정당을 비난했던 점, 스즈키가 중간 내각을 부정하고 야당 노선을 선택한 점 때문에 두 정당의 제휴는 실패했다.

와카쓰키 레이지로가 제국의회에서 군비 확장을 비판하자 군부와 우익의 반발을 샀고, 1934년 7월 총재직에서 물러났다. 마치다 주지가 총재직을 승계했지만, 군부의 영향력은 더욱 강해졌다.

1936년 2·26 사건 이후 히로타 내각을 비롯한 후속 내각에도 입헌민정당은 각료를 배출했고, 정우회 분열로 원내 제1당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군부의 영향력은 계속 커졌고, 민정당의 발언권은 약화되었다.

이 시기, 일본의 군국주의화는 한국에 대한 억압적인 식민 통치를 심화시켰다.

4. 4. 해당 이후 대정익찬회로 합류 (1940년)

1940년 2월, 사이토 다카오가 중의원 본회의에서 반군 연설을 하자, 군부는 이에 분노하여 사이토의 제명을 주장했다. 입헌민정당은 이 요구에 굴복하여 사이토의 중의원 제명에 찬성했고, 이는 국민의 신임을 잃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11] 제2차 고노에 내각이 수립된 뒤 고노에 후미마로가 고노에 신체제를 표방하며 대정익찬회 창당을 추진하자, 나가이 류타로를 비롯한 35명이 1940년 7월 25일 입헌민정당을 이탈했다.[11]

마치다 주지 등 주류파는 하토야마 이치로정우회 정통파와 합당을 추진하다 실패하자, 고노에 내각과 군부의 정책을 모두 추인하는 강령을 내세워 당을 유지하려 했으나 이마저도 실패했다. 결국 1940년 8월 15일, 입헌민정당은 해체되고 대정익찬회로 흡수되었다.[11]

이후 구 민정당 의원 대부분은 대정익찬회 계열 당파의 주축을 이루며 익찬 의회의 주류를 차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대정익찬회가 해산되자 이들은 마치다 주지를 총재로 옹립하여 일본진보당을 결성했다.

5. 조직

입헌민정당의 본부는 도쿄시 시바구 사쿠라다초(현재의 미나토구)에 있었다.[9] 당시 정당은 법인 자격이 없었기 때문에, 본부 토지와 건물은 미노우라 가쓰토와 오니마루 기사이가 소유했다.[9]

당내 운영은 집행부 독재 체제였다.[9] 국회의원들이 거의 모든 운영 직책을 독점했고, 정치 활동도 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9] 당규상 집행부는 공개 선출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전당대회에서 "총재에게 맡긴다"는 동의안이 통과되면서 독재 체제가 굳어졌다.[9]

정확한 당원 수는 알 수 없는데, 입당/탈당 증명서를 창고에 보관하고 명단 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9] 이중 당적자나 부동층 당원도 많았다.[9] 입헌민정당은 200만~300만 명의 당원을 보유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알 수 없었다.[9]

국회의원이 아닌 당원들은 '인가이단'(院外団|원외단일본어)을 조직하여 선거 운동, 경호, 통신, 반정부 운동 등에서 무보수로 활동했다.[9] 도쿄도에는 약 1,300명의 인가이단 당원이 있었다고 한다.[9]

5. 1. 당내 파벌

입헌민정당에는 관료파(官僚派|칸료하일본어)와 당인파(党人派|토진하일본어)라는 파벌이 대립했다.[4] 관료파는 입헌민정당의 중심이었다.[4] 이들은 미쓰비시 재벌과 같은 재계에서 잘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압도적인 정치 자금 조달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4] 또한 원로 및 기타 특권 계층과 강력한 연계를 맺고 있어 정책 결정 능력이 뛰어났다.[4] 이들은 행정, 재정 및 세금 정책을 합리화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의 집합체였다.[4]

당인파는 선거 운동에 뛰어난 기술로 명성이 높았던 아다치 겐조를 중심으로 뭉쳤다.[4] 당인파 구성원은 민주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많은 정치인들을 보유했다.[4] 당인파의 젊은 연령층은 청년 정치 단체와 같은 중산층을 기반으로 하는 시민 단체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고, 간부들에게 포퓰리즘 정책을 시행할 것을 요구하는 당의 좌파를 형성했다.[4] 그러나 1920년대 금융 공황으로 인한 지방 은행의 잇따른 파산은 당인파의 재정 지원자였던 지방 상공계의 쇠퇴를 초래했고, 결과적으로 당인파는 관료파에 완전히 대항할 수 없었다.[4]

이러한 파벌 갈등은 입헌민정당이 일관된 정책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들었고, 결국 군부의 압력에 굴복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5. 2. 지도부

입헌민정당은 당 간부로서 중요했던 총무위원을 선출할 때, 라이벌 정당인 입헌정우회와는 다른 방식을 택했다. 정우회에서는 총재가 총무위원을 임명하여 독재 색채가 강했던 반면, 민정당에서는 의원 및 전직 의원들의 투표로 총무위원을 결정했다.[24]

이러한 방식 덕분에 당인파 및 소장파 의원들(사이토 다카오, 아다치 겐조, 마치다 주지, 고이즈미 마타지로, 도미타 코지로 등)이 총무위원으로 많이 선출될 수 있었다.[24] 다만, 이들에게 권한이 집중되는 경향도 나타났다.[24]

또한, 당 규칙에 따라 공선으로 되어 있는 직책은 당 대회에서 "총재 지명 일임" 동의를 통해 총재 및 간부가 결정했기 때문에, 간부 중심적인 경향은 정우회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25]

총무 위원 구성에 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 상세하게 나와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만 다룬다.



역대 총재 및 간사장에 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 상세하게 나와 있으므로, 여기서는 표를 생략하고 간략하게만 다룬다.

5. 2. 1. 역대 총재



역대 총재들은 모두 일본 제국주의의 팽창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한국에 대한 식민 지배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5. 2. 2. 역대 간사장

간사장재임 기간
사쿠라우치 유키오1927년 6월 1일 ~ 1928년 1월 20일
고이즈미 마타지로1928년 1월 20일 ~ 1929년 1월 20일
다와라 마고이치1929년 1월 20일 ~ 1929년 7월 2일
도미타 고지로1929년 7월 9일 ~ 1931년 1월 20일
사쿠라우치 유키오1931년 1월 20일 ~ 1931년 4월 14일
야마지 조이치1931년 4월 15일 ~ 1931년 12월 14일
나가이 류타로1931년 12월 14일 ~ 1932년 5월 26일
고야마 쇼쥬1932년 5월 26일 ~ 1933년 1월 20일
마쓰다 겐지1933년 1월 20일 ~ 1934년 1월 21일
오아사 다다오1934년 1월 21일 ~ 1935년 1월 20일
가와사키 다쿠키치1935년 1월 20일 ~ 1936년 3월 27일
나가이 류타로1936년 4월 28일 ~ 1937년 5월 7일
고이즈미 마타지로1937년 5월 7일 ~ 1938년 4월 18일
가쓰 마사노리1938년 4월 18일 ~ 1939년 4월 27일
우치가사키 사쿠사부로1939년 4월 27일 ~ 1940년 4월 26일
사쿠라이 효고로1940년 4월 26일 ~ 1940년 8월 15일


5. 2. 3. 총무위원


  • 하마구치 오사치 총재 시기

총무위원
아다치 겐조, 마치다 주지, 도미타 고지로, 사이토 다카오, 고이즈미 마타지로, 마쓰다 겐지, 사쿠라우치 유키오, 나카무라 게이지로, 다와라 마고이치, 후지사와 이쿠노스케, 요모키 케이키치, 나가이 류타로, 하라 슈지로, 사카키다 세이베, 고바시 이치타, 야기 이쓰로


  • 와카쓰키 레이지로 총재 시기

총무위원
사쿠라우치 유키오, 요모키 케이키치, 나카노 세이고, 나가이 류타로, 가와사키 마사루, 이노우에 준노스케, 가와사키 다쿠지, 고사카 준조, 마치다 주지, 마쓰다 겐지, 사쿠라이 효고로


  • 총재 공석 시기

총무위원
오아사 다다오, 다와라 마고이치, 도미타 고지로


  • 마치다 주지 총재 대행 시기

총무위원
마치다 주지, 마쓰다 겐지, 사쿠라우치 유키오, 가와사키 다쿠지, 나가이 류타로, 오아사 다다오


  • 마치다 주지 총재 시기

총무위원
요모키 케이키치, 나가이 류타로, 고사카 준조, 사이토 다카오, 사쿠라이 효고로, 오아사 다다오, 가와사키 마사루, 우치가사키 사쿠사부로, 마쓰무라 겐조, 가쓰 마사노리[45]


6. 획득 의석

중의원 의석 수
선거 연도의석 수변동지위
1928년216석야당
1930년273석+57여당
1932년146석-127야당
1936년205석+59여당
1937년179석-26야당


참조

[1] 웹사이트 Minseitō political party, Japa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03-23
[2] 간행물 Shokun! Bungeishunjū
[3] 웹사이트 National Diet Library http://www.ndl.go.jp[...]
[4] 문서 The State and Labor in Modern Japan Garon
[5] 서적 Hirohito and the Making of Modern Japan HarperCollins
[6] 문서 A Modern History of Japan: From Tokugawa Times to the Present
[7] 문서 Japan's Total Empire
[8] 서적 The state and labor in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 웹사이트 Shiba towa https://kotobank.jp/[...] The Asahi Shimbun Company 2020-06-19
[10] 문서 『昭和の政党』
[11] 문서 『昭和の政党』
[12] 웹사이트 Minseitō political party, Japa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1-01-15
[13] 간행물 諸君! 文藝春秋
[14] 뉴스 【正論】双日総合研究所副所長・吉崎達彦 3本の矢で足りぬなら4本目を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3-04-23
[15]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 政友本党 https://kotobank.jp/[...] 2019-03-12
[16]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 憲政会 https://kotobank.jp/[...] 2019-03-12
[17]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 自由民主党(日本) https://kotobank.jp/[...] 2019-03-12
[18] 문서
[19] 웹사이트 「立憲民政党」の項目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 2019-02-22
[20] 서적 日本政黨變遷󠄃史󠄁 https://dl.ndl.go.jp[...] 安久社 2020-01-01
[21] 웹사이트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https://kotobank.jp/[...] 2019-02-22
[22]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2019-02-22
[23] 웹사이트 みんせいとう【民政党】 - 大辞林 第三版 https://kotobank.jp/[...] 2019-02-22
[24] 문서
[25] 서적 昭和の政党 小学館 1988-11-01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웹사이트 みんせいとう【民政党】 -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https://kotobank.jp/[...] 2019-02-22
[34] 문서
[35]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 たいめい‐こうか〔‐カウカ〕【大命降下】 https://kotobank.jp/[...] 2019-03-16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昭和の政党
[40] 서적 昭和の政党
[41] 서적 昭和の政党
[42] 서적 昭和の政党
[43] 서적 昭和の政党
[44] 서적 日本官僚事典 1868-2000 東京大学出版会
[45] 서적 日本政党史辞典 下 国書刊行会
[46] 서적 昭和の政党
[47] 서적 昭和の政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