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지역구 선거구
- 3. 지역구 선거 결과
- 3.1. 제주시
- 3.1.1. 제주시 일도1동·이도1동·건입동 선거구
- 3.1.2. 제주시 일도2동 갑 선거구
- 3.1.3. 제주시 일도2동 을 선거구
- 3.1.4. 제주시 이도2동 갑 선거구
- 3.1.5. 제주시 이도2동 을 선거구
- 3.1.6. 제주시 삼도1동·삼도2동 선거구
- 3.1.7. 제주시 용담1동·용담2동 선거구
- 3.1.8. 제주시 화북동 선거구
- 3.1.9. 제주시 삼양동·봉개동 선거구
- 3.1.10. 제주시 아라동 선거구
- 3.1.11. 제주시 오라동 선거구
- 3.1.12. 제주시 연동 갑 선거구
- 3.1.13. 제주시 연동 을 선거구
- 3.1.14. 제주시 노형동 갑 선거구
- 3.1.15. 제주시 노형동 을 선거구
- 3.1.16. 제주시 외도동·이호동·도두동 선거구
- 3.1.17. 제주시 한림읍 선거구
- 3.1.18. 제주시 애월읍 선거구
- 3.1.19. 제주시 구좌읍·우도면 선거구
- 3.1.20. 제주시 조천읍 선거구
- 3.1.21. 제주시 한경면·추자면 선거구
- 3.2. 서귀포시
- 3.1. 제주시
- 4. 비례대표 선거 결과
- 5. 전체 결과
- 참조
1. 개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선거는 2018년에 치러졌으며, 지역구 30석과 비례대표 7석, 교육의원 5석을 선출했다. 지역구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25석,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각각 1석, 무소속이 4석을 차지했다.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석, 자유한국당, 정의당, 바른미래당이 각각 1석을 얻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선거의 지역구는 제주시와 서귀포시로 나뉘어 총 31개의 선거구로 구성되었다. 각 지역구의 명칭과 관할 구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하라.
2. 지역구 선거구
2. 1. 제주시
wikitext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제주시 일도1동·이도1동·건입동 선거구 | 일도1동, 이도1동, 건입동 |
제주시 일도2동 갑 선거구 | 일도2동 (1통~24통) |
제주시 일도2동 을 선거구 | 일도2동 (25통~48통) |
제주시 이도2동 갑 선거구 | 이도2동 (1통~20통, 48통~55통, 57~59통) |
제주시 이도2동 을 선거구 | 이도2동 (21통~47통, 56통) |
제주시 삼도1동·삼도2동 선거구 | 삼도1동, 삼도2동 |
제주시 용담1동·용담2동 선거구 | 용담1동, 용담2동 |
제주시 화북동 선거구 | 화북동 |
제주시 삼양동·봉개동 선거구 | 삼양동, 봉개동 |
제주시 아라동 선거구 | 아라동 |
제주시 오라동 선거구 | 오라동 |
제주시 연동 갑 선거구 | 연동 (1통~21통, 37통) |
제주시 연동 을 선거구 | 연동 (22통~36통, 38통~43통) |
제주시 노형동 갑 선거구 | 노형동 (1통~14통, 30통~43통, 51통~52통, 54통) |
제주시 노형동 을 선거구 | 노형동 (15통~29통, 44통~50통, 53통, 55통~58통) |
제주시 외도동·이호동·도두동 선거구 |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
제주시 한림읍 선거구 | 한림읍 |
제주시 애월읍 선거구 | 애월읍 |
제주시 구좌읍·우도면 선거구 | 구좌읍, 우도면 |
제주시 조천읍 선거구 | 조천읍 |
제주시 한경면·추자면 선거구 | 한경면, 추자면 |
2. 2. 서귀포시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
서귀포시 송산동·효돈동·영천동 선거구 | 송산동, 효돈동, 영천동 |
서귀포시 정방동·중앙동·천지동 선거구 | 정방동, 중앙동, 천지동 |
서귀포시 동홍동 선거구 | 동홍동 |
서귀포시 서홍동·대륜동 선거구 | 서홍동, 대륜동 |
서귀포시 대천동·중문동·예래동 선거구 | 대천동, 중문동, 예래동 |
서귀포시 대정읍 선거구 | 대정읍 |
서귀포시 남원읍 선거구 | 남원읍 |
서귀포시 성산읍 선거구 | 성산읍 |
서귀포시 안덕면 선거구 | 안덕면 |
서귀포시 표선면 선거구 | 표선면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지역구 의원 선거에서는 총 33석 중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며 큰 승리를 거두었다.
3. 지역구 선거 결과
전체 33개 지역구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26석(제주시 20석, 서귀포시 6석)을 확보하여 전체 의석의 약 78.8%를 차지했다. 특히 제주시에서는 노형동 갑, 노형동 을, 한경면·추자면 선거구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단독으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기도 하였다.
무소속 후보는 총 4석(제주시 1석, 서귀포시 3석)을 차지하였다. 자유한국당은 제주시 용담1동·용담2동 선거구에서 김황국 후보가 당선되어 단 1석을 얻는 데 그쳤으며, 바른미래당은 서귀포시 송산동·효돈동·영천동 선거구에서 강충룡 후보가 당선되어 1석을 확보했다.
정당별 의석 분포는 아래와 같다.정당 제주시 (석) 서귀포시 (석) 합계 (석) 더불어민주당 20 6 26 무소속 1 3 4 자유한국당 1 0 1 바른미래당 0 1 1 합계 23 10 33
각 지역구별 상세한 선거 결과는 아래 제주시 및 서귀포시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제주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제주시 지역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선거는 총 23개 선거구에서 치러졌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인 다수 의석을 확보하며 승리하였다. 자유한국당은 용담1동·용담2동 선거구에서 단 1석을 얻는 데 그쳤으며, 삼양동·봉개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다.
아래는 제주시 각 선거구별 당선자 명단이다. 상세한 득표 결과는 각 선거구별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선거구 | 당선자 | 정당 |
---|---|---|
제주시 일도1동·이도1동·건입동 선거구 | 문종태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일도2동 갑 선거구 | 박호형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일도2동 을 선거구 | 김희현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이도2동 갑 선거구 | 홍명환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이도2동 을 선거구 | 강성민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삼도1동·삼도2동 선거구 | 정민구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용담1동·용담2동 선거구 | 김황국 | 자유한국당 |
제주시 화북동 선거구 | 강성의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삼양동·봉개동 선거구 | 안창남 | 무소속 |
제주시 아라동 선거구 | 고태순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오라동 선거구 | 이승아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연동 갑 선거구 | 양영식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연동 을 선거구 | 강철남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노형동 갑 선거구 | 김태석 | 더불어민주당 (무투표 당선) |
제주시 노형동 을 선거구 | 이상봉 | 더불어민주당 (무투표 당선) |
제주시 외도동·이호동·도두동 선거구 | 송창권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한림읍 선거구 | 박원철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애월읍 선거구 | 강성균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구좌읍·우도면 선거구 | 김경학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조천읍 선거구 | 현길호 | 더불어민주당 |
제주시 한경면·추자면 선거구 | 좌남수 | 더불어민주당 (무투표 당선) |
제주시 노형동 갑, 노형동 을, 한경면·추자면 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단독으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3. 1. 1. 제주시 일도1동·이도1동·건입동 선거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문종태 후보가 5,581표를 얻어 53.1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문종태 | 더불어민주당 | 5,581 | 53.13 | 당선 |
박왕철 | 자유한국당 | 2,003 | 19.06 | |
김명범 | 무소속 | 1,720 | 16.37 | |
강길봉 | 바른미래당 | 932 | 8.87 | |
박선호 | 무소속 | 268 | 2.55 | |
합계 | 10,504 | 100.00 |
3. 1. 2. 제주시 일도2동 갑 선거구
wikitext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박호형 | 더불어민주당 | 4,881 | 54.33% | 당선 |
6 | 고정식 | 무소속 | 2,617 | 29.13% | |
2 | 한재림 | 자유한국당 | 1,485 | 16.53% | |
계 | 8,983표 | ||||
유권자 수 | 14,011명 |
3. 1. 3. 제주시 일도2동 을 선거구
wikitext
3. 1. 4. 제주시 이도2동 갑 선거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제주시 이도2동 갑 선거구 선거 결과이다. 총 유권자 수는 20,972명이며, 투표수는 13,654표이다.
3. 1. 5. 제주시 이도2동 을 선거구
- '''유권자 수''': 17,708명
- '''투표수''': 11,737표
3. 1. 6. 제주시 삼도1동·삼도2동 선거구
wikitext
3. 1. 7. 제주시 용담1동·용담2동 선거구
3. 1. 8. 제주시 화북동 선거구
- '''유권자 수''': 19,316명
- '''투표수''': 12,738표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강성의 | 더불어민주당 | 6,563 | 51.52% | 당선 |
고경남 | 무소속 | 4,272 | 33.53% | |
김호중 | 자유한국당 | 1,903 | 14.93% | |
계 | 12,738표 | 100.00% |
3. 1. 9. 제주시 삼양동·봉개동 선거구
wikitext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안창남 | 무소속 | 7,206 | 51.61% | 당선 |
김은정 | 더불어민주당 | 6,756 | 48.38% | 낙선 |
합계 | 13,962 | 100.00% | - |
3. 1. 10. 제주시 아라동 선거구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고태순 | 더불어민주당 | 9,109 | 56.88% | 당선 |
신창근 | 바른미래당 | 4,790 | 29.91% | |
김효 | 자유한국당 | 2,115 | 13.20% | |
합계 | 16,014표 | - |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고태순 후보가 9,109표를 얻어 56.8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바른미래당 신창근 후보는 4,790표(득표율 29.91%)를, 자유한국당 김효 후보는 2,115표(득표율 13.20%)를 각각 득표하였다.
3. 1. 11. 제주시 오라동 선거구
wikitext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이승아 | 더불어민주당 | 4,283 | 59.22% | 당선 |
백성철 | 자유한국당 | 2,949 | 40.77% | 낙선 |
유효투표수 | 7,232표 | - |
3. 1. 12. 제주시 연동 갑 선거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제주시 연동 갑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7,205명으로 집계되었다.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양영식 후보가 71.13%의 높은 득표율을 얻어 자유한국당 고태선 후보를 상당한 표차로 제치고 당선되었다.
3. 1. 13. 제주시 연동 을 선거구
wikitext기호 | 후보자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강철남 | 더불어민주당 | 6,485 | 63.48% | 당선 |
2 | 하민철 | 자유한국당 | 3,730 | 36.51% | |
계 | 10,215표 | 100.00% | |||
유권자 수 | 16,754명 | ||||
투표율 | 60.97% |
3. 1. 14. 제주시 노형동 갑 선거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김태석 후보가 단독으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3. 1. 15. 제주시 노형동 을 선거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상봉 후보가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3. 1. 16. 제주시 외도동·이호동·도두동 선거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송창권 후보가 52.1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다.
3. 1. 17. 제주시 한림읍 선거구
3. 1. 18. 제주시 애월읍 선거구
3. 1. 19. 제주시 구좌읍·우도면 선거구
wikitext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김경학 | 더불어민주당 | 7,950 | 80.17% | 당선 |
2 | 박용모 | 자유한국당 | 1,966 | 19.82% | 낙선 |
계 | 9,916표 | 100% | |||
유권자 수 | 15,198명 | ||||
투표율 |
3. 1. 20. 제주시 조천읍 선거구
3. 1. 21. 제주시 한경면·추자면 선거구
3. 2. 서귀포시
서귀포시 지역은 총 10개의 선거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과 무소속 후보가 강세를 보였다. 전체 10석 중 더불어민주당이 6석, 무소속이 3석, 바른미래당이 1석을 차지했다. 자유한국당과 정의당은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각 선거구별 당선자 현황은 아래와 같다.
선거구 | 당선자 | 정당 |
---|---|---|
송산동·효돈동·영천동 | 강충룡 | 바른미래당 |
정방동·중앙동·천지동 | 김용범 | 더불어민주당 |
동홍동 | 윤춘광 | 더불어민주당 |
서홍동·대륜동 | 이경용 | 무소속 |
대천동·중문동·예래동 | 임상필 | 더불어민주당 |
대정읍 | 허창옥 | 무소속 |
남원읍 | 송영훈 | 더불어민주당 |
성산읍 | 고용호 | 더불어민주당 |
안덕면 | 조훈배 | 더불어민주당 |
표선면 | 강연호 | 무소속 |
3. 2. 1. 서귀포시 송산동·효돈동·영천동 선거구
- '''유권자수''': 12,771명
- '''투표수''': 8,732표
3. 2. 2. 서귀포시 정방동·중앙동·천지동 선거구
wiki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