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브레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브레드는 옥수수 가루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빵으로,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수 세기 동안 옥수수를 식량으로 사용해 온 것에서 유래되었다.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정착하면서 옥수수 레시피를 배우고 콘브레드를 만들기 시작했으며, 특히 미국 남부 지역에서 중요한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콘브레드는 굽거나 튀기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며, 베이크트 콘브레드, 스킬렛 콘브레드, 핫 워터 콘브레드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옥수수 가루의 종류와 설탕 첨가 여부에 따라 논쟁이 있으며, 미국 문화, 특히 문학 작품에서 가족의 사랑과 따뜻함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퀵 브레드 - 스콘
    스콘은 스코틀랜드에서 유래한 퀵 브레드의 일종으로, 밀, 보리, 귀리 등을 주재료로 베이킹파우더를 넣어 만들며, 영국에서는 애프터눈 티 문화와 함께 잼이나 클로티드 크림을 곁들여 먹는 빵으로 알려져 있다.
  • 퀵 브레드 - 팬케이크
    팬케이크는 밀가루, 달걀 등을 반죽하여 굽는 음식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와 조리법이 존재하며, 아침 식사, 간식, 디저트 등으로 즐겨 먹는다.
  • 솔 푸드 - 프라이드 치킨
    프라이드 치킨은 스코틀랜드와 서아프리카 요리의 영향을 받아 미국 남부에서 발전한 닭고기 튀김 요리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정부들을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패스트푸드 산업 발전과 함께 전 세계로 확산되어 다양한 스타일과 변형 요리가 존재한다.
  • 솔 푸드 - 우스터셔 소스
    우스터셔 소스는 19세기 영국에서 개발되어 상업화된 소스로, 몰트 식초, 주정 식초, 당밀, 설탕, 소금, 멸치, 타마린드 등을 주재료로 하여 독특한 풍미를 내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고 일본에서는 독자적인 소스 문화가 발달했다.
  • 미국의 빵 - 프렌치 토스트
    프렌치 토스트는 얇게 썬 빵을 달걀과 우유 혼합물에 적셔 버터에 구운 요리로, 'Aliter Dulcia'라는 고대 조리법에서 기원하여 중세 유럽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발전해왔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아침 식사나 디저트로 널리 즐겨진다.
  • 미국의 빵 - 팬케이크
    팬케이크는 밀가루, 달걀 등을 반죽하여 굽는 음식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와 조리법이 존재하며, 아침 식사, 간식, 디저트 등으로 즐겨 먹는다.
콘브레드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냄비 콘브레드
냄비에 담긴 콘브레드
종류퀵 브레드, 옥수수빵
국가미국
국가별 요리미국 요리
주 재료옥수수가루, 베이킹파우더
변형콘 푼

2. 역사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유럽의 탐험가들이 아메리카에 도착하기 수천 년 전부터 옥수수(옥수수)를 식량으로 사용했다.[5] 약 6천 년 전 멕시코에서 처음 재배된 옥수수는 3천 년에서 1천 년 사이에 현재의 미국에 도입되었다.[7] 원주민들은 옥수수를 이용한 여러 요리법을 개발했는데, 여기에는 유럽 정착민들과 노예로 끌려온 아프리카인들이 나중에 채택한 콘브레드도 포함된다.

대서양 노예 무역을 통해 옥수수가 유럽 상인들에 의해 서아프리카에 소개되었고, 빠르게 아프리카 요리의 주요 식량이 되었다.[7] 세네감비아사헬의 '쿠쉬'와 같은 콘브레드 요리는 대서양을 가로질러 일어난 요리와 문화의 전달을 보여준다.[8] 콘브레드는 미국 남동부 지역에서 요리의 초석이 되었으며, 아프리카계 미국인, 유럽계 미국인, 원주민들의 식탁에 모두 등장하게 되었다.[9]

미국 식민지 시대 초기 콘브레드는 옥수수 가루와 물을 섞어 불에 굽거나 난로에서 구운 것이었다.[10] 콘브레드가 남부 요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남부의 더위와 습도가 유럽 밀을 시들게 하고 상하게 만들어, 호밀을 재배할 수 있었던 북동부와 중서부와는 달리 옥수수를 주재료로 사용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11] 콘브레드가 언제 고안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아메리카 대륙 원산의 옥수수와, 아메리카 대륙에는 없었던 이 사용된 것으로 보아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후 유럽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의 이주가 이루어진 이후임은 틀림없다.

2. 1. 아메리카 원주민의 옥수수 이용

유럽의 탐험가들이 아메리카에 도착하기 전까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약 1000년 동안 음식에 옥수수 가루를 사용해 왔다. 아메리카가 유럽인에 의해 발견되자, 유럽의 개척자들, 특히 영국의 식민지에 사는 사람들은 체로키 족, 치카소 족, 촉토 족, 크리크 족 등의 원주민들로부터 옥수수 레시피와 그 과정을 배웠다. 곧 그들은 유럽의 옥수수로 만든 빵과 비슷한 빵 레시피를 만들 수 있었고, 이 빵은 널리 퍼져 남부 미국에서는 "코너스톤"이라고 불리게 되었다.[5]

옥수수가루는 말린 생옥수수를 갈아서 만들어지지만, 고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그리츠를 즐겨 먹었다. 그리츠는 알칼리성의 수산화 칼슘을 포함하고 있는 뜨거운 물에 생옥수수를 담가서 만들 수 있다. 물에 수산화 칼슘을 첨가하면 아미노산나이아신을 활성화시켜서 영양가를 늘릴 수 있다. 알칼리성에 노출된 옥수수는 호미니라고 불렸다. 고대 아메리카의 이 옥수수 조리 과정은 후세에 닉스타말화라고 이름이 붙여졌다.[5]

콘브레드와 그리츠 외에도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옥수수를 다양한 요리에 썼다.[5]

2. 2. 유럽인들의 정착과 콘브레드의 발전

유럽의 탐험가들이 아메리카에 도착하기 전,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약 1000년 동안 음식에 옥수수 가루를 사용해 왔다.[5] 옥수수는 약 6천 년 전 멕시코에서 처음 재배되었고, 3천 년에서 1천 년 사이에 현재의 미국에 도입되었다.[7] 유럽인들이 아메리카를 발견한 후, 영국 식민지에 살았던 사람들을 포함한 유럽 정착민들은 체로키 족, 치카소 족, 촉토 족, 크리크 족 등 원주민들에게서 옥수수 요리법과 조리 과정을 배웠다. 곧 그들은 유럽의 옥수수로 만든 빵과 비슷한 빵 요리법을 개발했고, 이 빵은 널리 퍼져 미국 남부에서는 "코너스톤"이라고 불리게 되었다.[9]

옥수수가루는 말린 생옥수수를 갈아서 만들지만, 고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그리츠를 즐겨 먹었다. 그리츠는 알칼리성의 수산화 칼슘을 포함한 뜨거운 물에 생옥수수를 담가서 만들 수 있다. 물에 수산화 칼슘을 첨가하면 아미노산나이아신을 활성화시켜 영양가를 높일 수 있다. 알칼리성에 노출된 옥수수는 호미니라고 불렸으며, 이 옥수수 조리 과정은 후세에 닉스타말화라고 이름 붙여졌다.

콘브레드와 그리츠 외에도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옥수수를 다양한 요리에 사용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처음 옥수수를 재배했지만, 대서양 노예 무역을 통해 접촉 직후 유럽 상인들에 의해 서아프리카에 소개되었고, 빠르게 아프리카 요리의 주요 식량이 되었다.[7] 세네감비아사헬의 '쿠쉬'와 같은 콘브레드 요리는 대서양을 가로질러 일어난 요리와 문화의 전달을 보여준다.[8]

미국 식민지 시대 초기 콘브레드는 옥수수 가루와 물을 간단하게 섞어 불에 굽거나 난로에서 구운 것이었다.[10] 콘브레드가 남부 요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북동부와 중서부의 농부들은 밀과 호밀을 재배할 수 있었지만, 남부의 더위와 습도는 유럽 밀을 시들게 하고 상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11] 콘브레드가 언제 고안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아메리카 대륙 원산의 옥수수와, 아메리카 대륙에는 없었던 이 사용된 것으로 보아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후 유럽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의 이주가 이루어진 이후임은 틀림없다.

2. 3. 미국 남부 식문화에서의 중요성

미국 남부와 남서부 지방에서는 콘브레드가 흔하며, 바비큐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콘브레드에 강낭콩을 곁들이거나, 버터, 양파, 파 등 다양한 음식을 곁들여 사이드 디시로 즐겨 먹는다. 추수감사절에는 칠면조고기와 함께 먹기도 한다.[5]

미국 북부와 남부의 콘브레드는 사용하는 옥수수, 설탕, 달걀의 종류가 달라 서로 다른 맛을 낸다. 북부 콘브레드는 점점 달콤해지고 케이크와 비슷해지는 반면, 남부 콘브레드는 전통적으로 설탕을 넣지 않고 옥수수 이외의 곡물도 사용하지 않았다. 남부 콘브레드에는 우락유나 돼지 껍데기를 넣기도 하며, 차가운 우유나 우락유에 조각낸 콘브레드를 넣어 먹기도 한다. 텍사스에서는 멕시코의 영향을 받아 치즈나 멕시코산 고추를 곁들여 먹기도 한다.[5]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기 수천 년 전부터 옥수수와 옥수수 가루를 식량으로 사용했다.[5] 약 6천 년 전 멕시코에서 처음 재배된 옥수수는 3천 년에서 1천 년 사이에 현재의 미국에 도입되었다.[7] 원주민 요리사들은 옥수수를 기본으로 한 여러 레시피를 개발했는데, 여기에는 유럽 정착민들과 노예로 끌려온 아프리카인들, 특히 남부 식민지에 살았던 사람들이 나중에 채택한 콘브레드가 포함되었다.

대서양 노예 무역을 통해 옥수수가 유럽 상인들에 의해 서아프리카에 소개되었고, 빠르게 아프리카 요리의 주요 식량이 되었다.[7] 세네감비아사헬의 '쿠쉬'와 같은 콘브레드 요리는 대서양을 가로질러 일어난 요리와 문화의 전달을 보여준다.[8] 콘브레드는 미국 남동부 지역에서 요리의 초석이 되었으며, 아프리카계 미국인, 유럽계 미국인, 원주민들의 식탁에 모두 등장하게 되었다.[9]

미국 식민지 시대 초기 콘브레드는 옥수수 가루와 물을 간단하게 섞어 불에 굽거나 난로에서 구운 것이었다.[10] 콘브레드가 남부 요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것은 필요에 의한 것이었다. 북동부와 중서부의 농부들은 호밀을 재배할 수 있었지만, 남부의 더위와 습도는 유럽 밀을 시들게 하고 상하게 만들었다.[11]

2. 4. 닉스타말화

유럽의 탐험가들이 아메리카에 도착하기 전까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약 1000년 동안 음식에 옥수수 가루를 사용해 왔다. 아메리카가 유럽인에 의해 발견되자, 유럽의 개척자들 중 특히 영국의 식민지에 사는 사람들은 체로키 족, 치카소 족, 촉토 족, 크리크 족 등의 원주민들로부터 옥수수 레시피와 그 과정을 배웠다.

옥수수가루는 말린 생옥수수를 갈아서 만들어지지만 고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그리츠를 즐겨 먹었다. 그리츠는 알칼리성의 수산화 칼슘을 포함하고 있는 뜨거운 물에 생옥수수를 담가서 만들 수 있다. 물에 수산화 칼슘을 첨가하면 아미노산나이아신을 활성화시켜서 영양가를 늘릴 수 있다. 알칼리성에 노출된 옥수수는 호미니라고 불렸다. 고대 아메리카의 이 옥수수 조리 과정은 후세에 닉스타말화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3. 콘브레드의 종류

콘브레드는 조리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옥수수빵은 남부 요리에서 인기 있는 품목이며, 굽거나 튀기거나 찌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찐 옥수수빵은 뭉개지고 쫄깃하며, 푸딩과 비슷하다. 옥수수빵은 옥수수 케이크로 구워지기도 한다.


  • 콘 푼 (Corn Pone): 두껍고 유연한 반죽으로 만들어지며, 버터마가린, 식용유를 사용한다. 남부 미국의 주식이기도 했으며, 마크 트웨인의 작품에도 등장한다.
  • 핫 워터 콘브레드 (Hot Water Cornbread): 뜨거운 물을 이용해 조리하며, "핫 워터"나 "스칼드 밀"로도 불린다.
  • 프라이드 콘브레드 (Fried Cornbread): 미국 남부, 특히 텍사스 지역에서 흔히 먹는 음식으로, 당밀과 함께 먹는 경우가 많다. 북부 지역에서는 버터와 꿀을 곁들여 먹기도 한다. 럼비 족은 노스캐롤라이나 남동부에서 럼비족만의 독특한 콘브레드 조리법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조니케이크, 허시퍼피 등 다양한 종류의 콘브레드가 존재하며, 각 지역과 가정의 특색에 따라 재료와 조리법에 차이가 있다.

3. 1. 베이크트 콘브레드 (Baked Cornbread)

미국 남부와 남서부 지방에서는 베이크트 콘브레드를 흔히 바비큐와 함께 제공하며, 잘게 부수어 잔에 담아 먹기도 한다. 강낭콩을 곁들인 레시피도 흔하며, 버터, 양파, 파 등 다양한 음식과 함께 먹는 인기 있는 사이드 디시이다. 추수감사절에는 칠면조고기와 함께 베이크트 콘브레드를 먹기도 한다.[13]

미국 북부와 남부의 콘브레드는 사용하는 옥수수 가루 종류, 설탕달걀의 양에 따라 차이가 있다. 남부 콘브레드는 전통적으로 설탕을 거의 넣지 않고 가루를 적게 사용하거나 전혀 사용하지 않는 반면, 북부 콘브레드는 더 달콤하고 케이크와 비슷하다. 남부 콘브레드는 전통적으로 흰색 옥수수 가루와 우락유를 사용하며, 돼지 껍질을 넣기도 한다. 때로는 조각낸 콘브레드를 차가운 우유나 우락유와 함께 먹기도 한다. 텍사스에서는 멕시코의 영향을 받아 치즈나 멕시코산 고추를 곁들이기도 한다.[13]

청옥수수 가루로 만든 홈메이드 콘브레드


콘브레드는 남은 음식을 아침 식사로 먹기도 하며, 바비큐 및 칠리 콘 카르네와 함께 먹기도 한다. 미국 남부와 남서부 일부 지역에서는 피토 콩과 함께 점심 식사로 먹기도 하며, 저녁 식사의 반찬으로 버터와 함께 제공되기도 한다. 콘브레드 부스러기는 가금류 스터핑이나 드레싱에도 사용되는데, 특히 추수 감사절 칠면조와 관련이 깊다.[13]

콘브레드는 옥수수 가루로 만든 반죽을 오븐에 구워 만든 속성 빵의 일종으로, 미국에서는 식사용, 디저트용으로 모두 먹는다. 각 가정이나 지역에 따라 재료 배합이나 만드는 방법이 다양하며, 옥수수 가루도 입자가 고운 콘밀을 사용하거나, 입자가 굵은 코른 그리츠를 사용하기도 한다. 옥수수 가루에서 유래하는 은은한 단맛, 식감과 빵을 갈랐을 때 나는 옥수수 특유의 향이 특징이다. 미국에서는 추수감사절에 칠면조 요리와 함께 먹는 중요한 음식이기도 하다.

3. 2. 스킬렛 콘브레드 (Skillet Cornbread)

노란 옥수수 가루로 만든 팬에 구운 남부 스타일 콘브레드


팬에 굽거나 튀긴 콘브레드(종종 콘브레드 또는 스킬렛 브레드로 단순화)는 미국 시골, 특히 남부 지역에서 전통적인 주식이다. 이는 오븐에서 무겁고, 베이컨 기름, 라드 또는 기타 오일을 사용하여 잘 길들여진 무쇠 프라이팬을 가열한 다음, 옥수수 가루, 달걀 및 우유로 만든 반죽을 뜨거운 기름에 직접 붓는 것을 포함한다. 이 혼합물은 오븐으로 다시 옮겨 바삭한 껍질을 가진 크고 부스러지며 때로는 매우 촉촉한 케이크로 구워진다. 이 빵은 밀도가 높은 경향이 있으며, 일반적인 코스로 제공되는 빵이라기보다는 반찬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프라이팬 방법 외에도, 이러한 콘브레드는 스틱, 머핀, 빵 또는 베이킹 팬으로 만들 수도 있다.

3. 3. 크랙클링 브레드 (Crackling Bread)

돼지 껍데기 튀김을 넣은 콘브레드로, 주로 남부 지방에서 즐겨 먹는다. 어떤 방식으로든 조리할 수 있지만, 콘브레드를 더욱 바삭하게 만들 수 있어 프라이팬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3. 4. 콘 폰 (Corn Pone)

콘 폰(때로는 "인디언 폰"이라고도 함)은 두껍고 유연한 옥수수 가루 반죽(보통 계란과 우유가 들어가지 않음)으로 만들어지며, 개방된 불 위에서 특정 유형의 철제 팬에 요리되는 콘브레드의 일종이다. 주로 베이컨 기름을 사용하지만 나중에는 버터, 마가린, 쇼트닝, 또는 식용유를 사용한다.[14] 콘 폰은 미국 남부 요리의 주요 음식이며, 마크 트웨인을 포함한 많은 미국 작가들에 의해 논의되거나 언급되었다.[14]

애팔래치아 산맥에서는 둥근 철 프라이팬이나 어떤 모양의 케이크 팬에 구운 옥수수빵을 여전히 옥수수빵 "폰"이라고 부른다(팬케이크 스타일로 튀긴 옥수수빵을 뜻하는 "호케이크"와 반대). 비스킷 반죽(즉, 미국식 표현의 "비스킷")을 별도의 비스킷이 아닌 하나의 큰 케이크로 가끔 구울 때 이를 "비스킷 폰"이라고 부른다.

"콘폰"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특정한 시골스럽고 세련되지 않은 특성을 가진 사람("그는 콘폰이다")을 비하하는 데 사용되거나, 특정 시골스럽고 소박하거나 "시골뜨기" 특성(예: "콘폰" 유머)을 설명하는 형용사로 사용된다. 이 경멸적인 용어는 종종 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의 시골 출신 사람들을 겨냥한다. 리'l 애브너 만화의 등장인물인 주빌레이션 T. 콘폰 장군은 도그패치 출신의 신화적인 남북 전쟁 장군으로, 그의 후퇴와 추정되는 비겁함으로 알려져 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참모들은 대부분 미국 북동부 아이비 리그 엘리트였으며, 텍사스 출신 미국 부통령 린든 B. 존슨의 시골적인 말하기 방식을 공개적으로 조롱하며, 존슨을 뒤에서 "엉클 콘폰" 또는 "루퍼스 콘폰"이라고 불렀다.[15]

3. 5. 핫 워터 콘브레드 (Hot Water Cornbread)

핫 워터 콘브레드는 뜨거운 물을 이용해서 조리하는 콘브레드의 일종이다. "핫 워터"나 "스칼드 밀"로도 흔히 알려져 있다.

레인지 톱에서 조리하는 방법은 끓는 과 셀프 라이징 옥수수 가루(옥수수 가루에 베이킹 소다 또는 기타 화학적 팽창제 첨가)로 만든 소량의 액체 반죽을 뜨거운 기름이 든 프라이팬에 붓고 빵 껍질이 황금색으로 바삭해지도록 하면서 반죽의 중심부가 부스러지고 뭉개지는 빵으로 익히는 것이다. 이러한 튀긴 빵은 일반적으로 지름이 약 7.62cm~약 10.16cm 정도이며 부드럽고 매우 풍부하다. 때로는 빵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소량의 밀가루를 반죽에 첨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류의 옥수수 빵은 종종 "뜨거운 물" 또는 "스콜드 밀" 옥수수 빵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 남부 지역에서 유래되었다.

3. 6. 조니케이크 (Johnnycake)

프라이팬에 굽는 옥수수빵과 유사하지만 약간 더 묽은 반죽을 뜨겁게 달궈진 그릴이나 프라이팬에 부어 구우면 팬케이크와 같은 빵인 조니케이크가 만들어진다. 조니케이크는 종종 이 팬케이크 형태의 옥수수빵을 지칭하지만, 주로 북부 지역에서는 옥수수빵을 지칭하는 더 일반적인 용어로도 널리 사용된다.[16]

3. 7. 허시퍼피 (Hushpuppy)

허시퍼피는 팬에 굽는 대신 기름에 튀긴, 더 걸쭉한 버터밀크 반죽으로, 남부 지방에서 튀긴 생선 및 기타 해산물과 함께 흔히 제공되는 음식이다. 허시퍼피 레시피는 주마다 다르며, 양념 양파, 다진 양파, 맥주, 또는 할라페뇨를 포함하기도 한다. 제대로 튀기면, 허시퍼피는 안쪽은 촉촉하고 노란색 또는 흰색을 띠며, 바깥쪽은 바삭하고 옅거나 중간 정도의 진한 황금색을 띤다. 원주민들이 옥수수와 옥수수 가루를 아프리카인들의 식단에 도입했지만, 아프리카 요리사들은 일반적으로 음식을 지방에 튀기는 기술을 소개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원주민의 옥수수 가루와 아프리카의 튀김 기술의 조합은 허시퍼피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3. 8. 프라이드 콘브레드 (Fried Cornbread)

프라이드 콘브레드, 콜라드 그린, 팻백으로 만든 샌드위치


럼비 족은 노스캐롤라이나 남동부에서 그들만의 독특한 콘브레드 조리법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럼비 가정이 식사와 함께 제공하는 "프라이드 콘브레드" 또는 "프라이브레드"는 허시퍼피, 조니케이크와 다르다. 옐로우 옥수수 가루, 달걀, 버터밀크, 소금으로 만들며, 콘브레드 반죽은 얇게 주철 프라이팬에 부어 튀긴다.[17] 럼비 부족의 일원이자 풀러의 올드 패션 바비큐(Fuller's Old-Fashioned BBQ)의 소유주인 에릭 록리어는 "주변에 바삭함이 있어요. 두껍지 않아요. 팬케이크처럼 보이지 않아요. 아주 얇고 바삭해요."라고 설명한다.[18]

프라이드 콘브레드는 보통 치즈 조각이나 콜라드 그린과 함께 먹는다. 노스캐롤라이나의 럼비 수제 아이스크림(Lumbee Homemade Ice-Cream)의 소유주인 글렌 헌트는 "어르신들이 콜라드를 어떻게 먹는지 아시죠? 그들은 콘브레드를 한 조각 가져다가 콜라드에 찍어 손으로 먹는 것을 좋아해요."라고 말한다.[18]

"우리가 요리하면서 우리는 살았다: 럼비 푸드웨이(Lumbee Foodways)"라는 기사에서 말린다 메이노어 로우리(Malinda Maynor Lowery)는 콜라드 샌드위치의 탄생 과정을 추적한다. 콜라드 샌드위치는 럼비 특별식으로, 두 조각의 프라이드 콘브레드와 콜라드 그린, 팻백 고기가 들어간다. 럼비 수제 아이스크림의 공동 소유주인 도르시 헌트는 "[럼비 사람들은] 프라이드 콘브레드와 콜라드를 함께 넣고 샌드위치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 우리는 옥수수 가루 프리터(Fritters)를 만들고, 그 사이에 콜라드를 넣었어요. 팻백 고기와 차우차우를 넣었어요."라고 말한다.[18]

4. 논쟁: 설탕 첨가와 옥수수 가루 종류

미국에서는 북부와 남부의 콘브레드가 서로 다른데, 이는 사용하는 옥수수, 설탕, 달걀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북부의 콘브레드는 점점 달아지고 케이크와 비슷해지는 반면, 남부의 콘브레드는 전통적으로 설탕을 섞지 않고 옥수수 이외의 곡물도 사용하지 않았다. 남부 콘브레드에는 우락유를 넣거나 돼지 껍데기를 쓰기도 했다.[10] 가끔 조각낸 콘브레드를 차가운 우유나 우락유와 함께 제공하기도 한다. 텍사스에서는 멕시코의 영향을 받아 치즈나 멕시코산 고추를 콘브레드에 곁들이기도 한다.

18세기에는 버터밀크, 달걀, 베이킹 소다, 베이킹 파우더, 돼지고기(베이컨, 햄, 돼지 지방)와 같은 재료가 첨가되면서 초창기 콘브레드의 질감과 맛이 크게 바뀌어 오늘날 먹는 버전과 훨씬 더 유사해졌다.[10] 19세기에는 콘브레드의 질감과 맛을 개선하기 위해 설탕과 밀가루가 도입되었지만, 20세기까지 대부분의 레시피에서 제외되었다.[12] 20세기에는 전통적인 돌 제분소가 더 효율적인 강철 롤러 제분소로 대체되면서 옥수수 가루의 품질이 저하되었다. 강철 롤러의 열은 옥수수 알갱이의 자연스러운 단맛과 풍미를 떨어뜨리고 생산된 옥수수 가루의 입자 크기를 줄였다.[12] 그 결과, 새로운 콘브레드 레시피는 옥수수 가루의 감소된 단맛과 구조적 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해 설탕과 밀가루를 첨가하도록 조정되었다. 또한, 강철 롤러 제분소의 도입으로 옥수수 가루에 새로운 모습이 나타났다. 새로운 옥수수 가루는 노란색을 띠는 경향이 있었지만, 남부 해안 지역의 옛 방식의 돌로 갈아 만든 옥수수 가루는 전통적으로 흰색이었다. 더 미세하게 갈린 노란색 옥수수 가루가 널리 퍼지면서 달콤한 콘브레드 대 짭짤한 콘브레드, 흰색 옥수수 가루 대 노란색 옥수수 가루에 대한 논쟁이 일어났고, 이러한 논쟁은 오늘날에도 콘브레드를 먹는 사람들과 요리사들 사이에서 여전히 벌어지고 있다.[12]

미국에서는 각 가정, 지역에 따라 재료 배합이나 만드는 방법도 다양하다. 공통적인 레시피는 "옥수수 가루를 사용한다" 정도이지만, 옥수수 가루도 입자가 고운 콘밀을 사용하는 레시피도 있고, 입자가 굵은 코른 그리츠를 사용하는 레시피도 있다.

5. 문화 속의 콘브레드

마크 트웨인의 소설 『톰 소여의 모험』, 『허클베리 핀의 모험』과 같이 미국 중서부를 배경으로 한 로라 잉걸스 와일더의 『초원의 집』에도 옥수수빵은 자주 등장한다.

현대 소설이나 영화에도 옥수수빵은 등장하는데, 영화로도 만들어진 스티븐 킹의 소설 『그린 마일』에서는 옥수수빵이 중요한 장면에 등장한다.

옥수수빵은 가족의 사랑과 가정의 따뜻함을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Ancestral Diets and Nutri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1
[2] 웹사이트 Baking Bread the Choctaw Way https://www.nanawaya[...] nanawaya.com 2018-03-18
[3] 서적 New York State Museum Annual Report https://books.google[...] 1910
[4] 간행물 Cornbread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7
[5] 문서 Teosinte was known in Rio Balsas (Mexico) valley from 9000 BP and was introduced in what is now the United States by the [[Anasazi]]s circa 1000 AD
[6] 웹사이트 Corn Bread http://www.indians.o[...] Indians.org 2012-05-14
[7] 서적 Native American Contributions to African American Foodways: Slavery, Colonialism, and Cuisine 2015
[8] 웹사이트 A People's History of Cornbread Stuffing https://www.vice.com[...] 2015-11-20
[9] 웹사이트 A Southern Commandment https://pinestrawmag[...] 2019-11-04
[10] 웹사이트 The Southern History of Cornbread https://www.youtube.[...] 2016-12-09
[11] 웹사이트 The A-Maize-ing History of Cornbread https://stanforddail[...] 2021-11-18
[12] 웹사이트 The Real Reason Sugar Has No Place in Cornbread https://www.seriouse[...] 2019-06-05
[13] 서적 Baking Illustrated America's Test Kitchen 2004
[14] 웹사이트 Mark Twain: Corn-pone Opinions http://www.paulgraha[...] 2013-11-07
[15] 서적 The Passage of Power: The Years of Lyndon Johnson Deckle Edge
[16] 논문 '"Stamped Indian": Finding History and Culture in Terms for American "Cornbread"' 2011-09
[17] 웹사이트 Collard Sandwich Recipe https://www.tasteofs[...] 2013-01-07
[18] 논문 As We Cooked, We Lived: Lumbee Foodways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