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황태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황태후는 한국, 중국, 베트남, 일본 등에서 사용된 황실 여성의 존칭이다.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사용되었으며, 중국에서는 한나라 이후 청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베트남에서는 딘 왕조 이후 응우옌 왕조까지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다이호 율령 이후 황후, 황태후와 함께 삼궁의 칭호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태황태후
일반 정보
한자太皇太后
로마자 표기c: tàihuángtàihòu
j: taikōtaigō
k: Tae Hwang Tae Hu (태황태후)
v: Thái Hoàng thái hậu
영어Grand Empress Dowager

2. 한국의 태황태후

삼국 시대고려 시대에는 태왕태후(太王太后), 태상태후(太上太后), 대왕태후(大王太后) 등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는 대왕대비(大王大妃)로 불렸다.

3. 중국의 태황태후

중국에서 태황태후는 한나라 여치(여태후)가 섭정을 명분으로 사용한 이후 청나라 멸망 때까지 계속 쓰였다. 태황태후는 태제태후(太帝太后), 황태태후(皇太太后), 제태태후(帝太太后), 태제태황태후(太帝太皇太后) 등으로도 불렸다.[1][2]

3. 1. 한나라

(황제와의 관계)시호성씨(이름)배우자재위기간능한 전소제
(漢前少帝)할머니고황후
(高皇后)여치
(呂雉)기원전 188년 8월 ~ 기원전 180년 7월장릉
(長陵)한 후소제
(漢後少帝)한 경제
(漢景帝)할머니고황후
(高皇后)박씨
(薄氏)한 고제
(漢高帝)기원전 157년 7월 ~ 기원전 155년 4월남릉
(南陵)한 무제
(漢武帝)할머니효문황후
(孝文皇后)두의방
(竇漪房)한 문제
(漢文帝)기원전 141년 1월 ~ 기원전 135년 5월패릉
(霸陵)한 원제
(漢元帝)작은 증조할머니
(숙종조모)효소황후
(孝昭皇后)상관씨
(上官氏)한 소제
(漢昭帝)기원전 49년 12월 ~ 기원전 37년 8월평릉
(平陵)한 성제
(漢成帝)의붓 할머니효선황후
(孝宣皇后)왕씨
(王氏)한 선제
(漢宣帝)기원전 33년 6월 ~ 기원전 16년 8월두릉
(杜陵)한 애제
(漢哀帝)할머니황태태후
(皇太太后)부씨
(傅氏)한 원제
(漢元帝)기원전 7년 5월 ~ 기원전 2년 1월위릉
(渭陵)의붓 할머니효원황후
(孝元皇后)왕정군
(王政君)기원전 7년 4월 ~ 기원후 8년 12월한 평제
(漢平帝)의붓 할머니유자
(孺子)5촌 백모

3. 2. 위진시대

조위 명제의 할머니 무선황후 변씨는 조위 무제의 배우자였다. 그녀는 226년 음력 7월 18일(양력 8월 28일)부터 230년 음력 6월 11일(양력 7월 9일)까지 태황태후로 재위했으며, 고릉에 묻혔다.[1]

동진 안제의 할머니 효무문황태후 이릉용은 동진 간문제의 배우자였다. 그녀는 397년 음력 3월 16일(양력 4월 19일)부터 400년 음력 7월 4일(양력 8월 9일)까지 태황태후로 재위했으며, 고평릉에 묻혔다.[2]

황제자격
(황제와의 관계)
시호성씨(이름)배우자재위기간
조위 명제할머니무선황후변씨조위 무제226년 음력 7월 18일(8월 28일) ~ 230년 음력 6월 11일(7월 9일)고릉
동진 안제할머니효무문황태후이릉용동진 간문제397년 음력 3월 16일(4월 19일) ~ 400년 음력 7월 4일(8월 9일)고평릉


3. 3. 남북조 시대(남조)

3. 4. 남북조 시대(북조)

3. 5. 당나라

3. 6. 오대십국시대

(오대십국시대 섹션 내용 없음)

3. 7. 요나라

3. 8. 송나라

송나라에서는 여러 인물들이 태황태후 칭호를 받았다. 북송과 남송 시대에 걸쳐 이 칭호를 받은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칭호재위 기간황제비고
조태황태후1067년 ~ 1085년송 신종
고태황태후1085년 ~ 1093년송 철종
오태황태후1189년 ~ 1197년송 광종
사태황태후1194년 ~ 1203년송 영종
사도청태황태후1274년 ~ 1276년송 공종앞선 두 황제는 그녀의 손자였지만 몽골군을 피해 달아나고 있었다.



각 태황태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8. 1. 북송

3. 8. 2. 남송

3. 9. 금나라

요 태종의 할머니 소암모근은 요 덕조의 황후였다. 926년부터 933년까지 태황태후였다.[1]

요 세종의 할머니이자 요 목종의 증조할머니인 술율 평은 요 태조의 황후였다. 947년부터 953년까지 태황태후였다.[2]

요 도종의 할머니 소누근은 요 성종의 황후였다. 1055년부터 1057년까지 태황태후였다.[4]

금 희종 재위 기간(1135~1136) 동안 칭위안궁 태황태후 탕궈와 명덕궁 태황태후 허실열이 있었다.

3. 10. 원나라

3. 11. 명나라

태황태후 장씨는 정통제 재위 기간인 1435년부터 1442년까지 태황태후였다.[19] 태황태후 주씨는 홍치제 재위 기간인 1487년부터 1504년까지 태황태후였다. 태황태후 왕씨는 홍치제정덕제 재위 기간인 1505년부터 1518년까지 태황태후였다. 태황태후 정씨는 홍광제에 의해 추증되었으며, 1630년에 사망하였다.

3. 12. 남명

(황제와의 관계)시호성씨(이름)배우자재위 기간(음력)재위 기간(양력)능묘송 광종법적 할머니헌성자열황후오씨(吳氏) [20]송 고종1194년 6월 16일1194년 7월 5일 ~ 1197년 12월 12일영사릉송 영종할머니성숙황후사씨(謝氏) [21]송 효종1202년 10월 4일1202년 10월 21일 ~ 1203년 7월 4일영부릉송 공제법적 할머니
(백조모)-사도청 [22]송 이종1274년 7월 12일1274년 8월 15일 ~ 1276년 2월 21일-


3. 13. 청나라

(황제와의 관계)시호성씨존호
(궁호)배우자재위기간(음력/양력)능묘비고금 희종작은 할머니
(숙조모)흠인황후당괄씨금 태종1143년 3월 10일
(3월 27일)공릉colspan="10" |


4. 베트남의 태황태후

베트남은 딘 왕조 이후 외왕내제식 정치를 하면서, 황제국 체제의 풍습을 모방하여 마지막 왕조였던 응우옌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황제국의 호칭인 태후(太后)를 사용하였다.[3] 단, 레 왕조의 속주인 응우옌 주와 찐 주는 황제국의 호칭이 아닌 제후국의 호칭인 태비(太妃)를 사용하였고, 찐 주에서는 태황태후를 태존태비(太尊太妃)로 불렀다.

4. 1. 쩐 왕조

(황제와의 관계)시호(존호)성씨배우자재위기간
(음력/양력)능묘비고쩐 영종어머니흠자보성황태후
(Khâm Từ Bảo Thánh Hoàng Thái Hậu|흠자보성황태후vi)진씨
(Trần Thị|진씨vi)쩐 인종(추존)덕릉[3]쩐 명종의붓할머니선자황태후
(Tuyên Từ Hoàng Thái Hậu|선자황태후vi)1314년 3월 18일
(4월 3일)1318년 8월 19일
(9월 14일)귀덕릉혼덕공의붓할머니
(양조모)헌자선성황태후
(Hiến Từ Tuyên Thánh Hoàng Thái Hậu|헌자선성황태후vi)쩐 명종1369년 8월 4일
(9월 5일)1369년 12월 14일
(1370년 1월 12일)목릉


4. 2. 후 레 왕조

제공된 자료는 명나라의 태황태후 목록이며, 후 레 왕조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후 레 왕조 섹션에는 해당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4. 3. 막 왕조

주어진 자료는 청나라 강희제 시기의 태황태후에 대한 내용으로, 막 왕조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막 왕조' 섹션에는 해당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5. 일본의 태황태후

일본에서는 다이호 율령으로 율령제(律令制)를 도입한 이후, 삼궁(황후, 황태후, 태황태후)의 칭호가 쓰였다. 쇼무 천황의 생모이자 고켄 천황의 조모인 후지와라노 미야코(藤原 宮子)를 태황태후로 격상시킨 이후, 역대 천황의 정실과 생모, 준황후(유모, 양모), 전전황후 등을 격상시키거나 추존하였다.[31]

헤이안 시대 중후기에는 섭관정치(摂関政治)와 원정(院政) 등으로 인해 황후와 중궁의 작위가 원래 하나인데도 새로이 황후의 작위를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후지와라 가문의 섭정으로 천황의 재위 기간이 짧아지고, 천황이 양위한 다음에도 중궁을 새로 간택하거나, 천황의 후비가 아닌 황족이 황후나 황태후를 자칭하는 등의 이유로 태황태후 작위는 막부 시대 이후에는 거의 쓰이지 않았다. 난보쿠초 시대 이후에는 황태후 작위도 황후에 재위하거나 중궁 이상의 정실에게만 사용하게 하였다.

일본에서는 이전의 황후에게 사용하는 존칭 또는 위계로 여겨지는 경우가 있었다. 현재의 경칭은 '태황태후 폐하'이지만, 옛날에는 '''태황태후궁'''(오키오이키사이노미야)과 같이 '궁'(구)의 글자를 붙여 경칭했다.

메이지 시대에 율령은 폐지되었지만, 태황태후의 칭호는 남아 구 황실 전범에서 태황태후는 황족(내정 황족)으로 규정되었다. 태황태후에 대한 경칭은 폐하를 사용한다. 또한 황실 상의령 (다이쇼 15년 황실령 제11호)에서는 태황태후가 붕어할 때 궁내 대신이 공시하고 추호를 정하며, 천황이 상주가 된다고 규정한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국 헌법과 함께 새로운 황실 전범이 시행되어, 역시 태황태후는 황족으로 규정되고 (제2조), 또한 섭정으로 취임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된다 (제17조). 경칭은 폐하를 사용하며 (제23조), 태황태후를 장사 지내는 곳은 능으로 칭한다 (제27조).

헤이안 말기의 호겐 3년 (1158년) 2월에 태황태후가 된 후지와라노 타시 (고노에 천황 황후, 니조 천황후궁)를 마지막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태황태후는 등장하지 않았다.

5. 1. 역대 일본 태황태후

태황태후천황과의 관계태황태후 책봉일책봉 이전
후지와라노 미야코몬무 천황의 부인
쇼무 천황의 모친
고켄 천황의 조모
덴표쇼호 1년 (749년)[2]황태부인
다치바나노 카치코사가 천황의 황후
닌묘 천황의 모친
덴초 10년 (833년) 3월 2일황태후
쇼시 내친왕쥰나 천황의 황후사이코 1년 (854년) 4월 26일황태후
후지와라노 준시닌묘 천황의 부인
몬토쿠 천황의 모친
세이와 천황의 조모
조간 6년 (864년) 1월 7일황태후
후지와라노 아키라코몬토쿠 천황의 부인
세이와 천황의 모친
요제이 천황의 조모
겐케이 6년 (882년) 1월 7일황태후
후지와라노 온시다이고 천황의 황후
스자쿠 천황의 모친
무라카미 천황의 모친
덴교 9년 (946년) 4월 26일황태후
쇼시 내친왕레이제이 천황의 황후칸와 2년 (986년) 7월 5일황태후
후지와라노 준시엔유 천황의 황후초와 1년 (1012년) 2월 14일황태후
후지와라노 쇼시이치조 천황의 황후
고이치조 천황의 모친
고스자쿠 천황의 모친
칸닌 2년 (1018년) 1월 7일황태후
테이시 내친왕고스자쿠 천황의 황후
고산조 천황의 모친
지랴쿠 4년 (1068년) 4월 16일황태후
시 내친왕고레이제이 천황의 황후엔큐 1년 (1069년) 7월 3일황태후
후지와라노 칸시고레이제이 천황의 황후엔큐 6년 (1074년) 6월 20일황태후
레이시 내친왕시라카와 천황의 황녀
토바 천황의 준모
초쇼 3년 (1134년) 3월 19일존칭 황후
후지와라노 타시고노에 천황의 황후호겐 3년 (1158년) 2월 3일황태후
추증 태황태후천황과의 관계추증 태황태후 책봉일책봉 이전
타카노노 니이가사고닌 천황의 부인
간무 천황의 모친
헤이제이 천황의 조모
다이도 1년 (806년) 5월 19일추증 황태후
후지와라노 야스코무라카미 천황의 황후
레이제이 천황의 모친
엔유 천황의 모친
안나 2년 (969년) 8월 25일추증 황태후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8, The Ming Dynas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01-28
[2] 문서 孝謙天皇即位後
[3] 문서 쩐 영종 흥롱(興隆) 17년(1309년) 황태후에서 태황태후로 추존됨.
[4] 문서 장락성자태황태후(Trường Lạc Thánh Từ Thái Hoàng Thái Hậu/長樂聖慈太皇太后)
[5] 문서 휘유순덕태종태비(Huy Nhu Thuần Đức Thái Tông Thái Phi/徽柔淳德太宗太妃)
[6] 문서 의공후덕장행단의광운연복태존태비(Ý Công Hậu Đức Trang Hạnh Đoan Nghi Khuông Vận Diễn Phúc Thái Tông Thái Phi/懿恭厚德莊幸端儀匡運衍福太宗太妃)
[7] 문서 성자태존태비(Thánh Từ Thái Tông Thái Phi/聖慈太宗太妃)
[8] 문서 인선자경복수강녕태황태후(Nhân Tuyên Từ Khánh Phúc Thọ Khang Ninh Thái Hoàng Thái Hậu/仁宣慈慶福壽康寧太皇太后)
[9] 문서 자유박혜태황태후(Từ Dụ Bác Huệ Thái Hoàng Thái Hậu/慈裕博惠太皇太后)
[10] 문서 타인타이 황제 즉위 후 태태황태후(太太皇太后)라는 존호를 신설하여 존숭함.
[11] 문서 자유박혜강수태태황태후(Từ Dụ Bác Huệ Khang Thọ Thái Thái Hoàng Thái Hậu/慈裕博惠康壽太太皇太后)
[12] 문서 장의순효태황태후(Trang Ý Thuận Hiếu Thái Hoàng Thái Hậu/莊懿順孝太皇太后)
[13] 문서 곤원창명태황태후(Khôn Nguyên Xương Minh Thái Hoàng Thái Hậu/坤元昌明太皇太后)
[14] 문서 곤의창덕태황태후(Khôn Nghi Xương Đức Thái Hoàng Thái Hậu/坤儀昌德太皇太后)
[15] 문서 명제 즉위 후 황태후로 격하.
[16] 문서 폐제 퇴위 후 황태후로 복위.
[17] 문서 효소제 때 황태후로 복위.
[18] 문서 경수태황태후(慶壽太皇太后)
[19] 문서 숭경태황태후(崇慶太皇太后)
[20] 문서 수성융자비복광우태황태후(壽聖隆慈備福光祐太皇太后)
[21] 문서 수성혜성자우태황태후(壽成惠聖慈佑太皇太后)
[22] 문서 수화성복태황태후(壽和聖福太皇太后)
[23] 문서 경원궁태황태후(慶元宮太皇太后)
[24] 문서 명덕궁태황태후(明德宮太皇太后)
[25] 문서 의천흥성자인소의수원전덕태녕복경휘문숭우태황태후(儀天興聖慈仁昭懿壽元全德泰寧福慶徽文崇佑太皇太后)
[26] 문서 찬천개성인수휘의소선정문자우저선연경복원태황태후(贊天開聖仁壽徽懿昭宣貞文慈佑儲善衍慶福元太皇太后)
[27] 문서 역모를 일으켜 폐서인 됨.
[28] 문서 성자인수태황태후(聖慈仁壽太皇太后)
[29] 문서 자성강수태황태후(慈聖康壽太皇太后)
[30] 문서 소성자수공간안의장경돈혜온장강화인선홍정태황태후(昭聖慈壽恭簡安懿章慶敦惠溫莊康和仁宣弘靖太皇太后)
[31] 문서 황태부인(皇太夫人)에서 태황태후(太皇太后)로 격상됨.
[32] 문서 다이도 (일본)|다이도 원년(806년)에 황태후에서 태황태후로 추증됨.
[33] 문서 안나 2년(969년)에 황태후에서 태황태후로 추증됨.
[34] 문서 역대 일본 황후 중에서 재위기간이 가장 김.
[35] 문서 시라카와 천황의 황녀이자 도바 천황의 준모(准母). 존칭황후(尊称皇后)에서 태황태후로 격상됨.
[36] 문서 역대 최연소 재위이자 최단기간 재위. 이후 [[니조 천황]]에게 재가 하면서 중궁으로 복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