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편도절제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편도절제술은 편도염이나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해 시행되는 수술이다. 의학적 용도로는 편도 주위 농양, PFAPA 증후군, 코 기도 폐쇄, 편도암, 디프테리아 보균 상태 등이 있으며, 소아의 경우 아데노이드 제거술과 함께 시행되기도 한다. 잦은 인후통, 즉 편도염의 경우, 지난 1년 동안 7번 이상, 지난 2년 동안 매년 5번 이상, 또는 3년 동안 매년 3번 이상의 인후 감염이 있는 경우에 권장된다. 수술 방법으로는 메스, 전기 소작, 고주파 열 절제, 코블레이션, 하모닉 메스, 열 용접, 이산화탄소 레이저, 미세 절제기 등이 사용된다. 수술 후에는 인후통, 출혈, 탈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회복 기간 동안 적절한 수분 섭취가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절제술 - 유방 절제술
    유방 절제술은 유방암 치료, 여유증, 성전환 수술 등의 목적으로 유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수술로, 종양의 크기, 위치, 특성, 예방적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며 수술 후에는 부작용 관리와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
  • 절제술 - 식도절제술
    식도절제술은 식도암이나 식도 폐쇄증 같은 질환 치료를 위해 식도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하고 위나 결장 등으로 식도를 재건하는 수술로, 경열공 및 경흉부 절제술과 최소 침습 수술 방법이 있다.
  • 편도 - 편도염
    편도염은 면역 기능을 하는 편도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감염되어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며 심할 경우 편도절제술을 시행한다.
  • 편도 - 편도결석
    편도결석은 편도 표면의 틈새에 세균과 음식물 찌꺼기가 뭉쳐 생기는 덩어리로, 구취, 목 이물감, 삼킴 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제거하거나 편도절제술을 고려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편도절제술
기본 정보
진료과이비인후과
관련 질병편도염, 수면무호흡증
동의어아데노이드편도절제술, T&A
편도절제술 3일 후 인후 뒤쪽의 모습
편도절제술 3일 후 인후 뒤쪽의 모습
개요
정의편도의 외과적 제거
적응증
편도염만성 또는 재발성 급성 편도염
수면무호흡증소아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효과
편도염 감소수술 후 첫 해에 인후통 발생 횟수 및 인후통 일수 감소
수면무호흡증 개선소아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증상 개선
위험성
출혈수술 후 출혈 위험 존재
통증수술 후 통증 발생 가능
수술 기법
사용 도구수술 기구 (예: Sluder tonsillectome)
추가 정보
ICD-928.2-28.3
메쉬 IDD014068
메드라인플러스003013

2. 의학적 용도

편도절제술은 주로 수면 무호흡증과 재발성 또는 만성 편도염에 시행된다.[1] 편도 주위 농양, 주기적 발열, 아프타성 구내염, 인두염 및 림프절염 (PFAPA), 물방울 건선, 코 기도 폐쇄, 편도암, 디프테리아 보균 상태의 경우에도 시행된다.[1][2] 소아의 경우 아데노이드 제거술과 함께 시행되기도 하지만, 아데노이드 제거가 재발성 인후통 치료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는 불분명하다.[2]

성인의 만성 편도염의 경우 편도절제술은 삶의 질 향상, 증상 감소 및 경제적 이점에 대한 강력한 증거가 있다.[12][13][14] 잦은 편도염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편도절제술이 항생제 및 진통제와 같은 내과적 치료보다 더 효과적이고 비용 효율적이며, 인후통을 겪는 날을 줄였다는 결과가 나왔다.[15][16]

외과적 절제(양측 편도 절제술) 직후의 편도선


편도 절제술 1일 후의 목


편도 절제술 며칠 후의 인두

2. 1. 잦은 인후통 (편도염)

편도절제술은 재발성 또는 만성 편도염에 대해 시행된다.[1] 하지만 지난 1년 동안 7번 미만, 지난 2년 동안 매년 5번 미만, 또는 3년 동안 매년 3번 미만의 인후 감염 기록이 있는 사람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1] 심하게 영향을 받은 어린이의 경우, 편도절제술은 이후 1~2년 동안 연간 평균 인후통 발생 횟수를 줄일 수 있지만,[1][2][17] 그 효과는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한다.[1][17] 성인의 경우 편도절제술 효과에 대한 증거는 불분명하다.[2]

2018년 영국 어린이 160만 명의 의료 기록을 연구한 결과, 15,760명이 편도 절제술을 받을 만한 충분한 인후통을 겪었고, 그 중 13.6%(2,144명)가 수술을 받았다.[60] 같은 연구에서 편도 절제술을 받은 18,281명의 어린이를 발견했는데, 이 중 11.7%(2,144명)만이 근거 기반 적응증(예: 수술을 정당화할 만큼 잦은 인후통)을 보였다.[60]

2. 2.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편도절제술은 대부분의 소아에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SA)을 개선한다.[1] 2015년 코크란 연합 리뷰는 삶의 질과 증상 측면에서 중간 품질의 증거를 발견했지만, 주의력이나 학업 성취도에서는 이점이 없다고 밝혔다.[3] 이 리뷰는 의사와 부모가 수술의 이점과 위험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권고했는데, OSA 증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3] 하지만 AHRQ 리뷰에서는 학교에서의 개선이 발견되었다.[1] 이 수술은 수면 검사를 통해 확인된 OSA 환자에게 권장된다.[1] 연구에 따르면 편도절제술을 동반한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의 치료 성공률은 편도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한다.[19]

2. 3. 기타

편도 결석, 구취, 삼킴 곤란, 그리고 소아의 비정상적인 목소리와 같은 경우에도 편도절제술이 고려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다.[1]

3. 합병증

일반적으로 편도절제술은 안전하지만,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심각하다.[1][2] 합병증은 일차성(수술 후 24시간 이내)과 이차성(24시간 이후)으로 나뉘며, 출혈이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 다른 흔한 합병증으로는 수술 후 오심 및 구토, 탈수, 음식 섭취 곤란, 귀 통증, 미각 이상 및 말하기 곤란 등이 있다.[1][20] 드물게 편도절제술은 치아 손상(수술 중 입안에 삽입되는 클램프 때문에), 후두인두 벽 손상, 흡인성 폐렴, 호흡 곤란, 후두경련, 후두 부종 및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다.[1] 목의 통증은 수술 후 약 1~2주 동안 지속된다.[1][5]

수술 후 심각한 일차성 출혈은 환자의 0.2~2.2%에서 발생하며, 이차성 출혈은 0.1~3.3%에서 발생한다.[1] 여러 사례 연구에서 편도절제술 후 출혈률은 2.0%에서 7.0% 사이였다.[21][22][23] 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다양한 기술에서 편도절제술 후 출혈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23]

합병증으로 인해 환자의 1.3%가 지연 퇴원(4~24시간)하며, 최대 3.9%가 재입원을 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편도절제술 후 입원 유지 또는 재입원의 주요 이유는 조절되지 않는 통증, 구토, 발열 또는 출혈이다. 사망은 2,360~56,000건의 시술 중 1건에서 발생한다.[1] 출혈은 사망의 3분의 1을 차지한다.[1] 시술은 전신 마취 하에 이루어지므로 마취 관련 위험이 있다.[1]

편도절제술이 장기적인 면역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없다.[1][25] 이는 신체의 다른 부위의 감염 위험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26] 일부 연구에서는 편도절제술 후 면역글로불린 농도에 작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그 중요성이 불분명하다.[1] 편도절제술은 크론병의 위험 인자이다.[27][28] 2024년 메타 분석에 따르면 편도절제술은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과 관련이 있으며, 오즈비는 각각 1.93 및 1.24였다.[28] 20세 이전에 편도절제술을 받은 경우 다발성 경화증 발병 위험 증가를 시사하는 연관성이 있다.[29] 2020년에 발표된 메타 분석에서는 편도절제술 병력과 호지킨병 발병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음을 나타냈다.[30] 2022년 메타 분석은 편도절제술 병력이 유방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31] 소아 시절의 편도절제술과 성인기 다른 암 유형의 발병 사이의 관계는 불분명하다.[32]

4. 수술 방법

편도절제술은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될 수 있다. 지난 50년간은 주변 근막에서 편도선을 절개하는 완전 절제술이 주로 시행되었으나, 최근에는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부분 편도 절제술(편도 절개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33]

일반적인 '완전' 편도 절제술은 메스와 둔탁한 절개, 전기 소작 또는 고주파 소작을 사용한다.[34] 하모닉 메스나 레이저도 사용되며, 출혈은 전기 소작, 봉합사 결찰, 트롬빈 국소 사용으로 중단한다.[34] 트롬빈은 응고를 유도하는 단백질이다.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34]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부분/완전 편도 절제술의 장기적인 효과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3]

수술 중 덱사메타손(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물)을 단일 투여하면 수술 후 구토를 예방하고, 빠른 회복과 통증 감소에 도움이 된다.[47] 편도절제술 후 항생제 처방은 일반적이나, 효과 및 위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일상적인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48]

수술 후 약 2주간 인후통이 지속될 수 있으며, 심한 통증은 입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49] 회복에는 7~10일이 걸리며, 탈수는 인후통을 악화시키므로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하다.[50][51] 편도 절제술은 성인이 소아보다 더 고통스러울 수 있다.[52] 통증 관리는 정상적인 식사 복귀에 중요하다.[53]

수술 후 7~11일 후(최대 2주) 딱지가 떨어지며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출혈 위험은 1~2%이며, 성인, 특히 70세 이상 남성에게서 높다. 성인의 약 3%는 출혈로 수술적 중재가 필요할 수 있다.[54]

통증 관리를 위해 이부프로펜,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이 권장된다.[1] 12세 미만은 코데인(오피오이드)은 권장되지 않는다.[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출혈 위험 증가 우려가 있으나, 증거는 없다.[55] 구강 세정제 등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56] 일부 외과 의사는 2주간 부드러운 식단을 권장한다.

편도절제술 빈도는 국가 및 지역 간 차이가 크다.[11][57] 2015년 네덜란드, 벨기에, 핀란드, 노르웨이는 영국보다 최소 2배, 스페인, 이탈리아, 폴란드는 최소 4분의 1 이하였다.[11] 크로아티아는 슬로베니아의 3배였다.[11] 이는 지침 유무 또는 차이로 설명될 수 있다.[8] 독일은 지역 간 최대 8배 차이가 난다.[8] 2000~2005년 잉글랜드는 지역별 최대 7배 차이를 보였다.[57] 2006년 잉글랜드 수석 의무관은 불필요한 편도/자궁절제술로 국민보건서비스에서 연간 2100만 파운드 비용이 발생한다고 밝혔다.[58] 미국은 인후통으로 인한 편도절제술 감소보다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아데노이드 편도절제술 증가가 더 컸다.[59]

4. 1. 절제 및 올가미 방법

이비인후과 의사가 과거에 가장 흔하게 사용했던 방법은 겸자와 가위, 그리고 올가미라고 하는 철사 루프를 사용하여 편도를 제거하는 것이었다.[34] 이 절차는 환자가 전신 마취를 받아야 하며, 편도는 완전히 제거되고 남은 조직 표면은 소작한다. 환자는 수술 후 출혈이 최소화된 상태로 퇴원한다. 하지만 다른 기술들이 선호되면서 이 방법은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4. 2. 전기 소작

전기 소작은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편도 조직을 분리하고 소작하여 혈액 손실을 줄이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완전' 편도 절제술 절차에는 메스와 둔탁한 절개, 전기 소작 또는 고주파 소작이 사용된다.[34] 출혈은 전기 소작, 봉합사에 의한 결찰, 응고를 유도하는 단백질인 트롬빈 국소 사용으로 중단된다.

4. 3. 고주파 열 절제

고주파 소작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완전' 편도절제술 절차 중 하나이다.[34] 고주파 에너지를 사용하여 편도 조직의 크기를 줄인다.

4. 4. 코블레이션 편도절제술

코블레이션(Coblation) 편도절제술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편도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출혈 위험이 높다는 결과가 보고되기도 했다.[34]

4. 5. 하모닉 메스

하모닉 메스는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편도 조직을 절단하고 응고시키는 방법으로, 레이저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34]

4. 6. 열 용접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조직을 봉합하고 절단하는 방법에는 전기 소작 또는 고주파 소작이 있다.[34] 하모닉 메스나 레이저도 사용된다. 출혈은 전기 소작, 봉합사에 의한 결찰, 트롬빈 국소 사용으로 중단하며, 트롬빈은 응고를 유도하는 단백질이다.[34]

4. 7. 이산화탄소 레이저

레이저를 사용하여 편도 조직을 기화시키는 방법이다.

4. 8. 미세 절제기

미세 절제기는 회전 면도 장치를 사용하여 편도를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5. 편도절제술의 빈도

편도절제술의 빈도는 국가 간, 그리고 국가 내에서도 차이가 있다.[60] 영국에서는 다른 대부분의 서유럽 국가보다 편도절제술 비율이 낮다.[11]

2018년, 영국 어린이 160만 명의 의료 기록을 연구한 결과, 15,760명이 편도 절제술을 받을 만한 충분한 인후통을 겪었고, 그 중 13.6%(2,144명)가 수술을 받았다.[60] 같은 연구에서 편도 절제술을 받은 18,281명의 어린이를 발견했는데, 이 중 11.7%(2,144명)만이 근거 기반 적응증(예: 수술을 정당화할 만큼 잦은 인후통)을 보였다.[60]

따라서 영국에서는 편도 절제술을 받는 대부분의 어린이는 실제로 이득을 보지 못하며, 이득을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어린이는 편도 절제술을 받지 못한다.[60] 이 연구는 연간 편도를 제거하는 37,000명의 어린이 중 32,500명(거의 90%)은 "이득을 볼 가능성이 낮다"고 결론지었으며, 따라서 수술이 해당 어린이에게 해가 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60]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영국에서 160만 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60]
편도 절제술의 적응증으로 간주될 수 있는 상태어린이 수
(해당 상태로 진료)
편도 절제술 비율
(해당 상태를 가진 어린이 중)
전체 편도 절제술 중
해당 상태로 인한 비율
편도 종양50%0.0%
아프타성 구내염, 인두염 및 경부 림프절염 증후군4353.4%0.1%
파라다이스 기준15,32013.9%11.6%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3,18522.2%3.9%
기타 수면 장애 호흡15,20514.8%12.3%
편도 주위 농양67514.8%0.5%
재발성 인후통 / 편도염(연간 에피소드):
  5 ~ 625,4208.9%12.4%
  3 ~ 4170,6873.2%30.1%
  2 ~ 4, 물방울상/만성 건선9393.7%0.2%
  2 ~ 4, 사구체신염1484.7%0.0%
  2251,2471%14.3%
  1446,2750.4%9.9%
적응증 없음701,2660.1%4.7%
총계1,630,8071.1%100.0%



대한민국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급여 기준에 따라 편도절제술이 시행되고 있다.

2009년 연구에 따르면 외과의사가 고정 급여 대신 행위별 수가제로 보수를 받을 경우 수술률이 평균 78% 증가했다.[61] 1968년 캐나다 연구에서는 행위별 수가제 프로그램을 통해 일하는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편도절제술을 시행할 가능성이 두 배 더 높다고 지적했다.[62][63]

6. 역사

편도절제술은 2,000년 이상 시행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인기가 달랐다.[65] 이 시술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기원전 1000년경의 "힌두 의학"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약 1천 년 후, 고대 로마의 귀족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켈수스(기원전 25년–서기 50년)는 손가락(또는 필요하다면 뭉툭한 갈고리)을 사용하여 편도를 주변 조직에서 분리한 후 잘라내는 시술을 묘사했다.[65] 갈레노스(121–200 CE)는 올가미 장치로 알려진 외과 기구의 사용을 처음으로 옹호했으며, 이 관행은 아에티우스(490 CE)가 편도의 부분 절제를 권장할 때까지 흔하게 사용되었다. 아에티우스는 "편도 전체를 제거하는 사람들은 동시에 완벽하게 건강한 구조물까지 제거하여 심각한 출혈을 일으킨다"라고 썼다.[65] 7세기 파울루스 아이기네타(625–690)는 필연적인 수술 후 출혈을 포함하여 편도 절제술에 대한 상세한 시술법을 설명했다. 이 시술법이 다시 정확하고 자세하게 묘사되기까지 1,200년의 시간이 흘렀다.[65]

중세 시대에는 편도절제술이 인기를 잃었다. 앙브루아즈 파레(1509)는 이를 "나쁜 수술"이라고 썼으며, 결찰을 사용한 점진적인 질식 방법을 제안했다. 이 방법은 엄청난 고통과 그 뒤에 따르는 감염 때문에 환자들에게 인기가 없었다. 1600년 스코틀랜드 의사 피터 로우는 당시 사용되던 세 가지 방법('올가미', '결찰', '절제술')을 요약했다.[65] 당시에는 편도의 기능이 코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흡수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1828년, 의사 필립 싱 피직은 벤자민 벨이 목젖을 제거하기 위해 원래 설계한 기존 기구를 수정했다. 이 기구는 편도 절제술 기요틴(나중에 편도 절제기)으로 알려졌으며, 80년 이상 편도 제거의 표준 기구로 사용되었다.[65]

편도 절제술 기요틴
1897년까지, 미국 의사 발린저는 부분 절제가 대부분의 경우 증상을 완전히 완화시키지 못한다고 언급한 후, 편도의 부분 절제술보다 완전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 되었다고 하였다.

20세기 초, 영국과 미국에서 편도 절제술이 더욱 흔해졌으며, 1930년대에는 두 국가 모두에서 매우 흔해졌다.[66] 예를 들어, 1934년에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뉴욕의 1,000명의 학생 중 61%가 편도 절제술을 받았고, 의사들은 나머지 학생 중 65명을 제외한 모든 어린이에게 수술을 권장했다.[67] 1940년대에 여러 연구에서 편도 절제술이 소아마비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편도 절제술은 논란이 되었다.[66] 1970년대에 여러 연구에서 편도 절제술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처럼 인후통 및 기타 여러 적응증에 효과적이지 않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영국에서 편도 절제술 비율이 감소하기 시작했다.[66]

미국에서 편도 절제술 비율은 1978년 이후 감소했는데, 당시 국립 보건원의 전문가들은 편도 절제술의 이점이 위험보다 크다는 충분한 증거가 부족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더 많은 연구를 권고했으며, 이는 이후 더 엄격한 지침으로 이어졌다.[67]

참조

[1] 논문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onsillectomy in Children (Update) 2019-02-05
[2] 논문 Tonsillectomy or adenotonsillectomy versus non-surgical treatment for chronic/recurrent acute tonsillitis https://pure.bond.ed[...] 2014-11
[3] 논문 Tonsillectomy or adenotonsillectomy versus non-surgical management for obstructive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http://dspace.librar[...] 2015-10
[4] 서적 Cummings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
[5] 논문 Long-term effects of adenotonsillectomy in children with obstructive sleep apnoea: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2016-09-02
[6] 논문 Tonsillectomy or tonsillotomy? A systematic review for paediatric sleep-disordered breathing 2017-12
[7] 논문 Improvement in symptoms of obstructive sleep apnoea in children following tonsillectomy versus tonsillotom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
[8] 논문 Tonsillitis and sore throat in children 2014-12-01
[9] 논문 Who has been hiding in your tonsillectomy tray? Eponymous instruments in tonsillectomy surgery. 2015-04
[10] 논문 Variation in inpatient tonsillectomy costs within and between US hospitals attributable t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2013-12
[11] 웹사이트 Surgical operations and procedures statistics - Statistics Explained https://ec.europa.eu[...] 2019-10-08
[12] 논문 Quality of life after tonsillectomy in adults with recurrent or chronic tonsillitis https://onlinelibrar[...] 2008-01
[13] 논문 Economic Benefit of Tonsillectomy in Adults with Chronic Tonsillitis http://journals.sage[...] 2002-11
[14] 논문 Impact of tonsillectomy on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chronic tonsillitis https://smw.ch/index[...] 2007-08-11
[15] 논문 Conservative management versus tonsillectomy in adults with recurrent acute tonsillitis in the UK (NATTINA): a multicentre, open-label, randomised controlled trial 2023-06-17
[16] 논문 Removing tonsils is effective and cost-effective for adults with frequent tonsillitis https://evidence.nih[...] 2023-09-05
[17] 논문 Tonsillectomy Versus Watchful Waiting for Recurrent Throat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2017-02
[18] 웹사이트 Tonsillitis https://www.nhs.uk/c[...] 2019-06-22
[19] 논문 Tonsil size and outcome of uvulopalatopharyngoplasty with tonsillectomy in obstructive sleep apnea https://onlinelibrar[...] 2019
[20] 논문 Taste Dysfunction after Tonsillectomy: A Meta-analysis 2020-08-01
[21] 논문 Tonsillectomy in adults: Analysis of indications and complications 2018-06
[22] 논문 Prevalence of Complications from Adult Tonsillectomy and Impact on Health Care Expenditures 2014-04
[23] 논문 Postoperative Bleeding and Associated Utilization following Tonsillectomy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3
[24] 논문 Complications of canine tonsillectomy by clamping technique combined with monopolar electrosurgery – a retrospective study of 39 cases 2022-12
[25] 논문 The effect of tonsillectomy on the immune syste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8
[26] 논문 Toward Adenotonsillectomy in Children: A Review for the General Pediatrician. 2015-12
[27] 논문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environmental and dietary difference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Eastern and Western populations https://pubmed.ncbi.[...] 2021-11-24
[28] 논문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Surgeries as a Possible Risk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gastrores.or[...] 2024-04
[29] 논문 Surgery and risk for multiple scler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ase-control studies 2013-05
[30]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tonsillectomy and Hodgkin's lympho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5-20
[31] 논문 Prior Tonsillectomy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Femal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2-07-20
[32] 논문 Tonsillectomy and the incidence of various types of cancer 2021-09-15
[33] 논문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mparing intracapsular tonsillectomy with total tonsillectomy in a pediatric population 2012-03
[34] 논문 Dissection versus diathermy for tonsillectomy 2011-03-16
[35] 웹사이트 COBLATION Plasma Technology – ENT http://www.smith-nep[...] 2016-07-15
[36] 논문 Radiofrequency tonsil reduction: safety, morbidity, and efficacy 2003-05
[37] 논문 "[Coblation tonsillectomy: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7-05
[38] 논문 Coblation vs. Electrocautery Tonsillectomy: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Comparing Clinical Outcomes in Adolescents and Adults 2013-06
[39] 논문 Coblation versus traditional tonsillectomy: A doub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12-01
[40] 논문 Coblation tonsillectomy in children: incidence of bleeding 2012-10
[41] 논문 Coblation tonsillectomy: is it inherently bloody? 2012-02
[42] 논문 Hemorrhage rate after coblation tonsillectomy: a meta-analysis of published trials 2011-06
[43] 논문 Coblation tonsillectomy versus dissection tonsillectomy: postoperative hemorrhage 2003-11
[44] 웹사이트 COBLATION Tonsillectomy – My Tonsils http://mytonsils.com[...] 2016-07-11
[45] 논문 Regional Anaesthesia and Acute Pain, Paper No: 852.00: Do laser tonsillectomies need less opioids as compared to standard tonsillectomies: a retrospective comparison of peri-operative analgesic requirement
[46] 웹사이트 Interventional procedure overview of laser assisted serial tonsillectomy http://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of clinical excellence 2013-11-30
[47] 논문 Steroids for improving recovery following tonsillectomy in children https://www.ncbi.nlm[...] 2011-08
[48] 논문 Antibiotics to reduce post-tonsillectomy morbidity 2012-12-12
[49] 서적 Pediatric ENT Springer
[50] 서적 Introductory medical-surgical nursing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1] 서적 Mayo Clinic diet manual https://archive.org/[...] B.C. Decker
[52] 논문 Postoperative pain after tonsillectomy—comparison of children and adults
[53] 논문 Perioperative local anaesthesia for reducing pain following tonsillectomy 2000
[54] 논문 Hemorrhage following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in 15,218 patients 2005-02
[55] 논문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perioperative bleeding in paediatric tonsillectomy. 2013-07-18
[56] 논문 Oral rinses, mouthwashes and sprays for improving recovery following tonsillectomy 2013-09-10
[57] 논문 Exploring the variation in paediatric tonsillectomy rates between English regions: a 5-year NHS and independent sector data analysis 2010-04
[58] 뉴스 Billions of NHS money wasted on 'ineffective' operations https://www.standard[...] 2018-01-27
[59] 논문 Changes and consistencies in the epidemiology of pediatric adenotonsillar surgery, 1996–2006 2010-11
[60] 논문 Incidence of indications for tonsillectomy and frequency of evidence-based surgery: a 12-year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primary care electronic records 2019-01
[61] 논문 Operating on commission: analyzing how physician financial incentives affect surgery rates 2010-05
[62] 논문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A Review of the Literature
[63] 논문 An interim report on the Sault Ste. Marie study: a comparison of personal health services utilization. A joint Canada-World Health Organization Project 1970-07
[64] 뉴스 Obama's Fifth News Conference https://www.nytimes.[...] 2019-01-05
[65] 논문 A History of Tonsillectomy: Two Millennia of Trauma, Haemorrhage and Controversy 1960-06
[66] 논문 "'A Wicked Operation'? Tonsillectomy in Twentieth-Century Britain"
[67] 웹사이트 Why More Children Are Keeping Their Tonsils https://www.latimes.[...] 2019-10-02
[68] 서적 Oxford Illustrated Companion to Medici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Books.
[69] 논문 Polio provocation: solving a mystery with the help of history 2014-07-26
[70] 웹사이트 The Immunological Basis for Immunization Series Module 6: Poliomyelitis https://www.who.int/[...] 2019-06-20
[71] 웹사이트 "Polio ! LCI richtlijnen" https://lci.rivm.nl/[...] 2019-07-07
[72] 논문 Tonsillectomy and poliomyelitis: Development of causality https://www.scienced[...] 2022-08-19
[73] 논문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onsillectomy in Children (Update) 2019-02-05
[74] 논문 Tonsillectomy or adenotonsillectomy versus non-surgical treatment for chronic/recurrent acute tonsillitis https://pure.bond.ed[...] 2014-11
[75] 논문 Tonsillectomy or adenotonsillectomy versus non-surgical management for obstructive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https://pubmed.ncbi.[...] 2015-10
[76] 서적 Cummings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
[77] 논문 The effect of tonsillectomy on the immune syste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8
[78] 논문 Long-term effects of adenotonsillectomy in children with obstructive sleep apnoea: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2016-09-02
[79] 논문 Tonsillectomy or tonsillotomy? A systematic review for paediatric sleep-disordered breathing 2017-12
[80] 논문 Improvement in symptoms of obstructive sleep apnoea in children following tonsillectomy versus tonsillotom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
[81] 논문 Tonsillitis and sore throat in children 2014-12-01
[82] 논문 Who has been hiding in your tonsillectomy tray? Eponymous instruments in tonsillectomy surgery. 2015-04
[83] 논문 Variation in inpatient tonsillectomy costs within and between US hospitals attributable t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2013-12
[84] 웹사이트 Surgical operations and procedures statistics - Statistics Explained https://ec.europa.eu[...] 2019-10-08
[85] 논문 Exploring the variation in paediatric tonsillectomy rates between English regions: a 5-year NHS and independent sector data analysis 2010-04
[86] 논문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onsillectomy in Children (Update) 2019-02-05
[87] 논문 Tonsillectomy or adenotonsillectomy versus non-surgical treatment for chronic/recurrent acute tonsillitis https://pure.bond.ed[...] 2014-11
[88] 논문 Tonsillectomy or adenotonsillectomy versus non-surgical management for obstructive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http://dspace.librar[...] 2015-10
[89] 서적 Cummings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
[90] 논문 The effect of tonsillectomy on the immune syste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8
[91] 논문 Long-term effects of adenotonsillectomy in children with obstructive sleep apnoea: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2016-09-02
[92] 논문 Tonsillectomy or tonsillotomy? A systematic review for paediatric sleep-disordered breathing 2017-12
[93] 논문 Improvement in symptoms of obstructive sleep apnoea in children following tonsillectomy versus tonsillotom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
[94] 논문 Tonsillitis and sore throat in children 2014-12-01
[95] 논문 Who has been hiding in your tonsillectomy tray? Eponymous instruments in tonsillectomy surgery. 2015-04
[96] 논문 Variation in inpatient tonsillectomy costs within and between US hospitals attributable t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2013-12
[97] 뉴스 편도선 수술 비싼 병원 1~4위 ‘지방병원’ 석권 https://www.hkn24.co[...] 2023-03-05
[98] 웹인용 Surgical operations and procedures statistics - Statistics Explained https://ec.europa.eu[...] 2019-10-08
[99] 논문 Exploring the variation in paediatric tonsillectomy rates between English regions: a 5-year NHS and independent sector data analysis 20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