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풍덕천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풍덕천동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고려 시대에는 용구현, 조선 시대에는 용인현 수진면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수지면 죽전리와 풍덕천리로 통합되었으며, 2001년 수지읍의 출장소 승격에 따라 풍덕천1동과 풍덕천2동으로 분동되었다. 지명 유래는 고려 말 충신 정몽주의 면례와 관련 있으며, 주요 시설로는 수지구청, 도서관, 학교 등이 있다. 풍덕천동에는 백제 유물과 임진산성 유적이 있으며, 분당선 죽전역과 신분당선 수지구청역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법정동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상현동
    상현동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동으로, 일제강점기 용인군 지내면의 상리와 만현 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등의 문화재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2001년 설치 - 화성시
    화성시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하며 2001년 화성군에서 승격되었고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의 '화성'에서 유래, 동북부는 산지, 중앙은 구릉, 서부는 평야,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철도와 고속도로 교통망이 발달한 2025년 특례시 승격 예정 도시이다.
  • 2001년 설치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는 기원전 6년 백제의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했고, 2001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제조업, 상업 및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남한산성, 팔당호, 광주경기도자박물관 등이 관광 명소이다.
  • 수지구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수지구 - 상현동
    상현동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동으로, 일제강점기 용인군 지내면의 상리와 만현 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등의 문화재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풍덕천동 - [지명]에 관한 문서
행정 구역 정보
이름풍덕천1동
한자 표기豊德川1洞
영어 표기Pungdeokcheon 1(il)-dong
광역시도경기도
시군구용인시 수지구
면적3.4
세대15,506
세대 조사2020.08
인구36,179
인구 조사2022년 2월
법정동풍덕천동
31
324
동주민센터경기 용인시 수지구 수지로 342번길 3
홈페이지풍덕천1동 행정복지센터
행정 구역 정보
이름풍덕천2동
한자 표기豊德川2洞
영어 표기Pungdeokcheon 2(i)-dong
광역시도경기도
시군구용인시 수지구
면적3.4
세대14,904
세대 조사2020.08
인구41,001
인구 조사2022년 2월
법정동풍덕천동
37
364
동주민센터경기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로 51
홈페이지풍덕천2동 행정복지센터

2. 역사

고려 명종 2년(1172년) 용구현으로 개칭되어 광주목에 속하였다. 조선 태종 13년(1413년) 용인현 수진면(水眞面)에 속하였다. 조선 고종 32년(1895년) 23부제 실시에 따라 용인현이 용인군이 되었고, 당시 수진면은 감바위(玄岩), 대지(枝), 내대지(안대지말), 풍덕내(풍덕), 신리(新里), 점촌, 정평리(亭坪里), 토월리(吐月里)를 관할하였다. 1914년 용인군 수진면 풍덕천에서 감바위, 점촌, 대지, 내대지, 풍덕내를 수지면 죽전리로, 토월리, 신리, 정평리 일부를 수지면 풍덕천리(풍덕천동)로 병합하였다. 2001년 12월 24일 수지읍이 수지출장소로 승격하면서 풍덕천리를 풍덕천 1, 2동으로 전환하였고, 2005년 10월 31일 행정기구설치조례에 의거하여 풍덕천 2동에서 신봉동이 분동되었다.

연혁은 다음과 같다.

시기내용
고려 명종 2년(1172년)용구현으로 개칭되어 광주목에 속함
조선 태종 13년(1413년)용인현 수진면(水眞面)에 속함
조선 고종 32년(1895년)23부제 실시에 따라 용인현이 용인군이 됨. 당시 수진면은 감바위(玄岩), 대지(枝), 내대지(안대지말), 풍덕내(풍덕), 신리(新里), 점촌, 정평리(亭坪里), 토월리(吐月里)를 관할
1914년용인군 수진면 풍덕천에서 감바위, 점촌, 대지, 내대지, 풍덕내를 수지면 죽전리로, 토월리, 신리, 정평리 일부를 수지면 풍덕천리(풍덕천동)로 병합
2001년 12월 24일수지읍이 수지출장소로 승격하면서 풍덕천리를 풍덕천 1, 2동으로 전환
2005년 10월 31일행정기구설치조례에 의거하여 풍덕천 2동에서 신봉동이 분동


2. 1. 지명 유래

풍덕천동은 고려시대 용구현(龍駒縣) 수진면(水眞面), 조선시대 태종 13년 용인현(龍仁縣) 수진면(水眞面)이었다. 1895년 용인군(龍仁郡) 수진면(水眞面)의 감바위(玄岩), 대지(枝), 신리(新里), 점촌, 정평리(亭坪里), 내대지(안대지말), 풍덕내(豊德來), 토월리(吐月里) 일대가 풍덕천(豊德川)으로,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에 따라 수진면(水眞面)의 풍덕천(豊德川)에서 감바위(玄岩), 점촌, 대지(枝), 내대지(안대지말), 풍덕내(豊德來)를 수지면 죽전리라 하였고, 토월리(吐月里), 신리(新里), 정평리(亭坪里) 일부를 풍덕천리로 통합하여 수지면의 소재지로 삼았다. 본래 수지면 죽전리(죽전동)는 풍덕천(豊德川) 지역으로 포은 정몽주의 면례(緬禮) 행렬이 이어진 풍덕천(풍덕천동) 지역이 음운변화를 일으켜 죽절(竹節)에서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2]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풍덕천의 천(川) 자는 원래 하천을 의미하는 '내 천(川)' 자가 아닌 '올 래(來)' 자였다고 한다. '풍덕래(豊德來)'는 '풍덕에서 온다' 또는 '덕이 크신 분이 (풍덕에서) 온다'는 의미가 된다. 이러한 지명 해석은 고려 말 충신 포은 정몽주(鄭夢周)의 유택 안치와 관련이 있다. 개성 풍덕(豊德)에 있던 포은 정몽주의 묘소를 면례하면서 용인현 풍덕천(豊德川)을 거쳐 현재 43번 국도를 따라 모현읍 능원리의 문수산 아래 묘소를 자리 잡게 되는 과정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포은 정몽주는 선죽교(善竹橋) 피살 후 개경 풍덕군에 일시 평장 되었다가 후에 그의 고향인 경북 영천(永川)으로 천묘(遷墓) 도중 용인(龍仁)에 안치되었다. 그 면례 행렬이 용인현 풍덕천(수지구 풍덕천동)에 이르자 명정(銘旌)이 바람에 날려 용인현 풍덕천(수지구 죽전동) 대지고개 너머로 날아가 용인현 묘소 자리에 떨어졌는데, 남쪽으로 길을 떠나고자 하면 포은 정몽주(鄭夢周)의 행여가 움직이지 않아 명정이 떨어진 곳으로 가자는 뜻으로 발길을 돌리자 행여가 움직여 용인에 포은 정몽주의 유택(幽宅)이 마련되었다고 한다. 당시 포은 정몽주의 행여길은 포은대로로 재현되었다. 하지만 『1872년지방지도』에 이미 풍덕천이라는 명칭이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풍덕래(豊德來)'는 속설로 전해진다.[2]

'풍덕'이라는 명칭은 이러한 역사적 사건과 관련해 마을 하천이나 마을명으로 자리 잡았다. 『호구총수』를 보면 수진면(水眞面)에는 수상동(水上洞)과 수하동(水下洞), 즉 하천 윗마을과 아랫마을이 등장하는데, 이때의 하천이 풍덕천으로 짐작된다. 다른 설로는 풍덕천의 깊이가 명주 한 필이 들어갈 정도로 깊었는데, 임진왜란 때 왜군이 그 깊은 물에 많이 빠져죽어 '풍덩내'라고 하던 것이 풍덕천이 되었다고도 전해진다.[2]

2. 2. 연혁


  • 고려 명종 2년(1172년): 용구현으로 개칭되어 광주목에 속하였다.
  • 조선 태종 13년(1413년): 용인현 수진면(水眞面)에 속하였다.
  • 조선 고종 32년(1895년): 23부제 실시에 따라 용인현이 용인군이 되었다. 당시 수진면은 감바위(玄岩), 대지(枝), 내대지(안대지말), 풍덕내(풍덕), 신리(新里), 점촌, 정평리(亭坪里), 토월리(吐月里)를 관할하였다.
  • 1914년: 용인군 수진면 풍덕천에서 감바위, 점촌, 대지, 내대지, 풍덕내를 수지면 죽전리로, 토월리, 신리, 정평리 일부를 수지면 풍덕천리(풍덕천동)로 병합하였다.
  • 2001년 12월 24일: 수지읍이 수지출장소로 승격하면서 풍덕천리를 풍덕천 1, 2동으로 전환하였다.
  • 2005년 10월 31일: 행정기구설치조례에 의거하여 풍덕천 2동에서 신봉동이 분동되었다.

3. 주요 시설

4. 교육 기관

풍덕천동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각 1개씩 있다. 용인풍덕초등학교, 수지중학교, 수지고등학교가 있다.

4. 1. 초등학교

용인풍덕초등학교가 있다.

4. 1. 1. 용인풍덕초등학교

용인풍덕초등학교

4. 2. 중학교

풍덕천동에는 수지중학교가 있다.

4. 2. 1. 수지중학교

수지중학교

4. 3. 고등학교

수지고등학교는 풍덕천동에 위치한 고등학교이다.

4. 3. 1. 수지고등학교

수지고등학교

5. 유적

풍덕천 유적에서는 초기 백제 시대부터 4∼5세기에 걸쳐 사용된 백제(한성백제)수혈유구와 말각장방형 주거지, 토광묘, 주조철부(鑄造鐵斧)와 철도자(鐵刀子), 철가래(鐵加乃) 철제 농공구류, 타날문토기, 장란형토기, 심발형토기, 삼족기(三足器) 등이 다량으로 조사되었다.[1]

현재 진산마을 삼성5차아파트 단지 내로 바뀐 임진산에 임진산성(壬辰山城)이 발굴되었고, 이 산성은 풍덕천리성(豊德川里城), 예진산성(芮陳山城)으로도 불렸다.[1] 용인 임진산성은 발굴조사에서 임진왜란 당시 조선군이 임진산 산정에 토성을 축조하고 한성부를 방어하기 위한 테뫼형 토축 보루로 확인되었다.[1] 진산마을은 임진산이라는 이름에서 나온 것으로, 그 산터에 생긴 마을이라 해서 이름이 붙여졌다.[1]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식산국(朝鮮總督府 殖産局) 산림과(山林課)에서 제작한 고적대장의 사본을 참고하여 1942년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를 출간하였고, 이 보고에서 "구상(丘上)의 땅을 고른 것으로 주위(周圍) 약 50칸(90m) 풍덕천진지(豊德川陣址)라 칭한다. 임진역(壬辰役) 일본군이 쌓은 것이라 한다."고 처음 기록되었다.[1] 1971년 『전국유적목록(全國遺蹟目錄)』과 1977년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攬)』에서도 같은 기록이 존재한다.[1]

임진왜란 당시 용인 광교산 전투에서 조선군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총통을 비롯한 무기류, 청동기시대의 무문 토기류, 삼국시대 격자문 타날문토기류 등이 발굴되었다.[1] 조선 시대에는 중국제 청화백자, 기와류 등도 출토된 복합 유적으로, 출토된 자기는 대부분 조선백자(韓國白磁)이다.[1] 임진산성(壬辰山城)에서 출토된 조선백자는 도립삼각형에 회백색, 설백색 유조의 상품백자류와 죽절굽에 상번을 한 회청백색 유조의 하품 백자류를 볼 수 있으며, 대다수는 상품백자류가 출토되었다.[1]

6. 교통

분당선 죽전역신분당선 수지구청역이 근처에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7. 도로

국도 제43호선상현동, 성복동, 죽전동을 비롯한 주변 지역과 풍덕천동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이다.

7. 0. 1.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3호선은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성복동, 풍덕천동, 죽전동을 연결한다.

8. 아파트

단지명건설사시행사주소입주
신정마을 2단지 현대프라임현대산업개발프라임산업㈜
신안주택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정평로 892000년 2월
신정마을 3단지 극동임광임광토건㈜
극동건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정평로 732000년 5월
신정마을 5단지 성지성지건설㈜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정평로 612000년 5월
신정마을 6단지 우성우성건설㈜한국토지신탁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정평로 412000년 5월
신정마을 6단지 진흥진흥기업진흥기업㈜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로 191999년 12월
신정마을 6단지 상록공무원연금공단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로 332000년 1월
신정마을 7단지 상록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로 75
신정마을 1단지 주공㈜한양대한주택공사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로 912000년 3월
신정마을 9단지 주공삼익건설㈜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로 762000년 5월
신정마을 8단지 현대성우고려산업개발㈜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로 521999년 11월
진산마을 래미안 수지5차삼성물산 건설부문삼성전자2003년 7월
진산마을 래미안 수지6차삼성물산 주택부문2002년 2월
진산마을 래미안 수지7차삼성물산 주택부문2002년 11월


9. 사진

참조

[1] 웹인용 2005-08-26 풍덕천 2동 이창우 위원장 화합과 사랑을 앞장서 전달하는 지역의 선봉장 http://www.idweekly.[...] 2008-09-25
[2]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