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설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설야는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 평론가이다. 1925년 등단하여 카프 활동을 통해 계급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대표작으로 장편소설 《황혼》이 있다. 광복 후 북한에서 정치적으로 성공하여 교육상 등을 역임했으나, 1962년 숙청된 후 사망했다. 사후 복권되어 북한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의 작품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대표적인 예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변 한씨 - 신의왕후
신의왕후는 안변 한씨로, 조선 태조 이성계의 첫 번째 부인이자 정종과 태종의 생모이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전 사망하여 왕비로 책봉되지는 못했으나 사후 왕후로 추존되어 왕태후로 격상되는 등 칭호에 대한 논란을 겪기도 했다. - 안변 한씨 - 한호
한호는 1543년 개성에서 태어나 해서, 행서, 초서 등 모든 서체에 능했고, 독창적인 석봉 서체를 만들어 조선 서예 발전에 기여한 조선 시대의 서예가이다. - 조선문학가동맹의 인물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조선문학가동맹의 인물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설가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설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한병도 |
출생일 | 1900년 8월 3일 |
출생지 | 함흥시, 대한제국 |
사망일 | 1976년 4월 6일 |
사망지 | 평양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안장지 | 애국렬사릉 |
직업 | 소설가, 단편 소설 작가, 문학 행정가, 정치인 |
국적 | 한국 |
시민권 | 북한 |
모교 | 니혼 대학 |
수상 | 국기 훈장 (2급, 1951년) 인민상 (역사, 1958년) 인민예술가 (1958년) |
한국어 이름 | 한설야 |
한자 표기 | 韓雪野 |
로마자 표기 | Han Seol-ya |
문화어 표기 | 한설야 |
본명 (한글) | 한병도 |
본명 (한자) | 韓秉道 |
본명 (로마자 표기) | Han Byeongdo |
정치 경력 | |
직책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부주석 |
임기 시작 | 1958년 10월 2일 |
임기 종료 | 1963년 10월 22일 |
주석 | 최용건 |
동반 | 이극로, 고춘택, 백남운 |
직책 1 | 교육문화상 |
임기 시작 1 | 1956년 5월 11일 |
임기 종료 1 | 1958년 9월 29일 |
총리 1 | 김일성 |
전임자 1 | 김창만 |
후임자 1 | 이일경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기타 이름 | 한설야 (韓雪野) |
일본어 이름 | ハン・ソリャ (한 소리야), かん せつや (칸 세츠야) |
조선어 이름 | 한설야 (한설야) |
한국어 이름 | 한설야 (韓雪野) |
직책 | 초대 문화상 |
수상 | 김일성 |
소속 정당 | 무소속 |
경력 | 북한 김두봉 인민정부시대 제2대 교육상 북한 김원봉 과도정부시대 제2대 교육문화상 |
전임 | (초대) |
후임 | 박웅걸 |
국가 | 북한 문화성 |
임기 | 1960년 12월 27일 ~ 1961년 1월 21일 |
그림 | 1952-10 1952年10月2日亚洲太平洋区域和平会议美国代表团长与朝鲜代表韩雪野.png |
그림 설명 | 1952년 10월 2일 당시의 한설야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2. 생애
함경남도 함흥에서 태어나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함흥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중국과 일본에서 유학 후 1925년 이광수의 추천으로 《조선문단》에 〈그날 밤〉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1927년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KAPF)에 가담, 계급문학 이론 확립과 실천에 앞장섰으며, 〈그 전후〉, 〈뒷걸음질〉 등에서 농촌의 빈궁 문제를 다루었다.
1934년 카프 문인들과 함께 검거되어 일제강점기 동안 두 차례 투옥되었다. 이 시기 삶의 구체성에 대한 형상화에 집중, 1936년 대표작 《황혼》을 발표하여 당대 자본가와 노동자의 삶을 대조적으로 묘사했다.
광복 후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함경도 대표, 북조선인민위원회 교육부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하며 북한 대표 문인으로 정치적 성공을 거두었다. 한국 전쟁 이후 조선문학가총동맹 위원장으로서 임화, 김남천, 이태준 등 남로당 계열 문인 숙청을 주도하고 최고인민회의 부위원장, 교육상, 인민상을 수상했으며, 1957년 내각 교육문화상에 임명되었다.
1962년 《문학신문》 연재 시조 중단과 함께 숙청설이 돌았고, 안막, 서만일 등 측근 예술인들도 사라졌다. 이후 행적은 불분명하며, 자강도 노동교화소 추방 후 1976년 사망했다는 설이 있다.
1985년 《조선문학》에 〈승냥이〉 재게재, 《황혼》의 《문학예술사전》(1993) 등재, 수령형상소설 발기자로 인정받는 등 사후 복권되었고, 유해는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9]
2. 1.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1900년 8월 3일 함경남도 함주군 주서면(현 함흥시)에서 비교적 부유한 집안의 2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조용한 어머니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함흥보통학교를 거쳐 1915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1919년 함흥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함흥법학전문학교에 진학했으나, 학교 내 사건에 연루되어 제적되었다. 베이징 유학 후, 1921년 일본 니혼대학 사회학과에 입학했으나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학업을 중단하였다.2. 2. 문단 활동과 KAPF 참여
1925년 이광수의 추천으로 《조선문단》에 〈그날 밤〉을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다.[9] 1927년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KAPF) 창립 초기부터 가담하여 중앙위원을 맡았고, 계급문학 이론 확립과 실천에 앞장섰다.[9] 《조선일보》 편집기자로도 활동했다. 1934년 제2차 카프 검거 사건으로 체포되어 1935년 12월까지 투옥되었다. 석방 후 함흥에서 인쇄소와 극장을 경영하며 《황혼》을 집필했다.2. 3. 해방 이후 북한에서의 활동
1945년 해방 후, 한설야는 이기영, 송영 등과 함께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을 조직했다.[9] 이 단체는 임화, 김남천 등이 조직한 조선문학건설본부와 대립했지만, 이후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통합되었다.[9] 한설야를 포함한 좌익 작가들은 월북했다. 1946년, 조선로동당의 지원으로 각 단체가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으로 통합되자 한설야는 그 안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 위원장직도 역임했다.[9]1946년부터 한설야는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기관지인 문화전선문화전선|Munhwa chonsŏn한국어을 편집했고, 1948년 1월부터는 그 기관의 의장을 역임했다.[9] 한국 전쟁 중에는 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의장이자 문학조직의 일원이었다.[9] 1953년부터는 조선작가동맹의 위원장을 역임했다.[9] 이 직책은 그를 국가에서 가장 강력한 문화 행정가로 만들었고, 그는 효과적으로 문학 출판과 작가 지원 시스템 전체를 운영했다.[9]
정치적으로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함경도 대표를 지냈고, 북조선인민위원회 교육부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역임했다.[9] 1946년 한설야는 북조선노동당 제1차 중앙위원회의 위원이 되었다.[9] 그는 당과 그 후신인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에서 1969년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9] 1956년 5월 교육부 장관이 되었으며, 작가동맹 위원장직도 유지했다.[9] 장관 재임 중 한설야는 1956년 봄 북한 대학에서 러시아어 교육의 중요성을 줄이기 위한 운동을 시작했다.[9] 그는 또한 프롤레타리아 출신 작가들을 영입하기 시작했다.[9]
한설야는 김일성의 가장 초기이자 열렬한 숭배자 중 한 명이 되었으며,[9] 자신의 글에서 김일성의 개인숭배를 "관리하는 자" 역할을 했다.[9]
2. 4. 숙청과 복권
1962년 《문학신문》에 연재하던 시조가 예고 없이 중단되면서 숙청되었다는 설이 나돌았다.[9] 이 무렵 안막, 서만일, 신불출, 임선규, 현덕, 박팔양, 민병균 등 한설야와 가까운 예술인들도 대거 공식 석상에서 사라졌다.[9]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장 김창만이 공개 석상에서 서만일을 먼저 공격한 뒤, 한설야가 민병균에게 보낸 사적인 편지를 인용하면서 전면 비판을 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숙청설 이후 행적은 거의 드러난 바가 없으며, 전 재산을 몰수당한 뒤 자강도의 노동교화소로 추방되었다가 1976년 사망했다는 설만 있다.[9]
1980년대에 들어와 북한에서 완전히 흔적이 없어져 버린 남로당 계열 작가들과는 달리, 1985년 《조선문학》에 예전 작품인 〈승냥이〉가 게재되었고, 《황혼》이 《문학예술사전》(1993)에 등재되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북한 예술에서 중시하는 수령형상소설의 발기자로 인정을 받아 사후 복권되었다.[9] 유해는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9]
3. 작품 세계
한설야는 조선 문학 역사상 가장 중요한 소설가 중 한 명으로, 이기영과 함께 "현대 한국 문학의 가장 위대한 작가"라는 공식 칭호를 얻었으며, "살아있는 고전"이라고 불렸다.[9] 1955년부터 1957년까지 그의 경력이 절정에 달했으며,[9] 김두봉과 함께 북한의 문화 정책을 형성하는데 기여했다.[2]
문학적으로 한설야의 글쓰기 스타일은 다양한 서사 구조를 활용하는 등 실험적인 것으로 평가받는다.[10] 그러나 안드레이 랑코브는 한설야를 평범한 작가로 평가하며, 그의 경쟁자였던 김남천과 이태준을 "약간 더 재능 있는" 작가로 보았다.[9] 랑코브는 당시 북한 문학 전반을 "지루하고 정치적으로 편향된 선전"으로 간주하며, 한설야가 문단에서 우위를 점한 것은 문학적 재능보다는 당파 싸움 때문이라고 분석했다.[9]
연홍 최는 한설야를 전형적인 북한 작가가 아니라 김일성을 기쁘게 하려는 극도로 정치적인 작가로 평가한다.[9] B. R. 마이어스는 한설야의 유산을 북한 시인 조기천의 유산과 대조한다. 한설야의 작품에서 김일성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머리가 아니라 마음으로 터득한" 순수함과 순진함이라는 전통적인 한국적 미덕을 구현하는 반면,[9] 조기천의 작품에서는 소련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블록 순응에 기반한 초기의 인격 숭배의 특징을 보여준다.[9] 한국 민족주의에 기반한 한설야의 스타일은 궁극적으로 조기천의 스타일보다 선전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9]
한편, 한설야의 작품은 대한민국에서는 문화공보부에 의해 금지되기도 했다.[12]
3. 1. 주요 작품
제목 | 발표 연도 | 유형 | 비고 |
---|---|---|---|
조선문단 | 1925년 | 단편 소설 | 등단작 |
과도기한국어 | 1929년 | 단편 소설 | [19] |
씨름한국어 | 1929년 | 단편 소설 | [19] |
침식한국어 | 1932년 | [19] | |
황혼한국어 | 1936년 | 장편 소설 | 당대 자본가와 노동자의 삶을 대조적으로 묘사[19] |
이녕한국어 | 1939년 | ||
탑한국어 | 1940년 | 장편 소설 | 자전적 소설[19] |
피의 길한국어 | 1946년 | [19] | |
광산촌한국어 | 1946년 | [19] | |
모자한국어 | 1946년 | [19] | |
자라는 마을한국어 | 1949년 | [19] | |
남매한국어 | 1949년 | [19] | |
초소에서한국어 | 1950년 | ||
승냥이한국어 | 1951년 | 소설 | 미국 반대와 기독교 반대 경향, 미국 선교사들의 만행 고발[15] |
대동강한국어 | 1955년 | 3부작 소설 | [19] |
만경대한국어 | 1955년 | [19] | |
설봉산한국어 | 1956년 | ||
력사한국어 | 1958년 | 장편 소설 | 김일성의 항일투쟁 시기를 다룸[13] |
사랑한국어 | 1960년 | [19] | |
수령을 본받자한국어 | 1960년 | [19] |
3. 2. 작품 경향
한설야의 작품 경향은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된다. 초기에는 카프의 영향으로 경향문학적 색채가 강한 작품을 썼으며, 농촌 현실의 빈궁함과 몰락해 가는 농촌사회를 묘사했다.[9] 1925년 작 『그 날 밤』, 1929년 작 『과도기』 등이 대표적이다.중기에는 삶의 구체성을 형상화하는 데 집중했다.[9] 1936년 작 『황혼』, 1939년 작 『이녕』, 1940년 작 『탑』 등이 이 시기의 대표작이다.
북한으로 간 이후인 후기에는 김일성 개인 숭배와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경도된 작품을 썼다.[9] 1954년 작 『역사』, 1955년 작 『대동강』, 1956년 작 『설봉산』 등이 대표적이다. 그는 김일성을 "우리의 태양", "민족의 태양"으로 칭송하며 개인 숭배를 주도했다.[9]
한설야는 다양한 서사 구조를 활용하는 실험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10] 그러나 그의 작품은 전반적으로 정치 편향성이 강하며, 특히 북한에서의 작품은 선전성이 짙다는 평가를 받는다.[9]
다음은 한설야의 주요 작품 및 평론 목록이다.
발표 연도 | 종류 | 제목 |
---|---|---|
1925년 | 소설 | 그 날 밤 |
1927년 | 평론 | 계급대립과 계급문학 |
1928년 | 평론 | 문예운동의 실천적 근거 |
1929년 | 소설 | 과도기 |
1929년 | 평론 | 조선문단운동의 당면과제 |
1931년 | 평론 | 사실주의 비판 |
1936년 | 소설 | 황혼 |
1939년 | 소설 | 이녕 |
1940년 | 소설 | 탑 |
1954년 | 소설 | 역사 |
1955년 | 소설 | 대동강 |
1955년 | 평론 | 발전 도상에 오른 전후의 조선문학 |
1956년 | 소설 | 설봉산 |
3. 3. 평가
한설야는 조선 문학 역사상 가장 중요한 소설가 중 한 명으로, 이기영과 함께 "현대 한국 문학의 가장 위대한 작가"라는 공식 칭호를 얻었으며, "살아있는 고전"이라고 불렸다.[9] 그는 개인숭배를 형성하는데 기여했으며, 그의 작품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대표적인 예로 여겨진다.[9]
그러나 한설야는 기회주의적이고 출세주의적인 인물이라는 비판도 받는다.[9] 안드레이 랑코브는 한설야를 평범한 작가로 평가하며, 그의 경쟁자였던 김남천과 이태준을 "약간 더 재능 있는" 작가로 평가한다.[9] 랑코브는 한설야가 문학계 내에서 우위를 점한 것은 그의 문학적 재능보다는 당파 싸움 때문이라고 본다.[9]
B. R. 마이어스는 한설야가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가가 아니라, 한국 민족주의에 기반한 글을 쓴 "자기 자신의 사람"이라고 평가한다.[9] 반면, 연홍 최는 한설야가 김일성을 찬양하고 유토피아적인 북한을 묘사하는 등 전형적인 북한 작가이며, 극도로 정치적인 작가라고 평가한다.[9]
4. 일본어 번역
번역자 | 작품명 | 출판사 | 출판년도 |
---|---|---|---|
이은직 | 황혼 | 조선문화사 | 1960년 |
무라카미 토모유키 | 역사 | 쿠로시오출판 | 1960년 |
장장길 | 진창 | 이와나미쇼텐 | 1984년 |
유광석 | 과도기 | 삼우사출판 | 1990년 |
참조
[1]
논문
한일 전향소설의 문학사적 성격-한설야(韓雪野)와 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를 중심으로
http://www.dbpia.co.[...]
2015-06-27
[2]
서적
Music and Conflict
http://site.ebrary.c[...]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0-09
[3]
웹사이트
Benoit Symposium: Writers in the DPRK: The Invisible Stars
http://sinonk.com/20[...]
2016-08-21
[4]
서적
Would Trotsky Wear a Bluetooth?: Technological Utopianism under Socialism, 1917–1989
http://site.ebrary.c[...]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On eliminating dogmatism and formalism and establishing Juche in ideological work
https://www.marxists[...]
2015-07-02
[6]
서적
Everlasting Flower: A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07
[7]
웹사이트
Prometheus.co.kr
http://www.prometheu[...]
Prometheus
2015-07-07
[8]
웹사이트
Grave of Han Sol Ya (Han Sŏrya)
https://www.flickr.c[...]
2016-10-05
[9]
논문
World literature in review: Korea
http://connection.eb[...]
1995
[10]
서적
The Making of Minjung: Democracy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South Korea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11]
서적
North Korea Handbook
https://books.google[...]
Yonhap News Agency
[12]
서적
South Korea's Minjung Movement: The Culture and Politics of Dissidence
http://site.ebrary.c[...]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5
[13]
논문
On Reading North Korean Short Stories on the Cusp of the New Millennium
http://actakoreana.o[...]
2015-06-24
[14]
서적
[15]
웹사이트
Collapsist Narratives and State Strength: Reading The Interview through Han Sorya's Jackals
http://sinonk.com/20[...]
2015-06-26
[16]
웹사이트
The Obsessions of Kim Jong Il
https://www.nytimes.[...]
2015-07-02
[17]
웹사이트
Drama 'Wolf' Re-created in DPRK
http://www.kcna.co.j[...]
2016-08-21
[18]
웹사이트
Writers from the Other Asia: The two Koreas
http://www.japanfocu[...]
The Asia-Pacific Journal
2015-06-23
[19]
서적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0]
웹사이트
한설야(韓雪野)
http://encykorea.aks[...]
2022-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